2025년 7월 20일 (일)
(녹) 연중 제16주일(농민 주일) 마르타는 예수님을 자기 집으로 모셔 들였다. 마리아는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

자유게시판

[문암칼럼] 한국 천주교 2대 사제 최양업(토마스) 신부 생애 연구(4)[강원경제신문-2025-07-09]

인쇄

박관우 [pgu77] 쪽지 캡슐

2025-07-09 ㅣ No.232904

 

▲ 문암 박관우.역사작가/강원경제신문 객원 칼럼니스트 © 박관우

조선(朝鮮) 최초(最初)의 신학생(神學生) 최양업(崔良業.토마스)을 비롯하여 최방제(崔方濟.프란치스코 하비에르)와 김대건(金大建.안드레아)은 1836년(헌종 2) 12월 2일 대망(大望)의 유학길에 오르기에 앞서 마카오 외방전교회 극동대표회 신학교(神學校) 학장 신부(學長神父)에게 순명(順命)하고 교구(敎區)의 신부가 되어 열심히 봉사(奉仕)할 것을 선서문(宣誓文)에 서약(誓約)하였는데 그 전문(全文)을 공개(公開)한다.

< 제1회 조선신학생의 선서문 >

1836년(헌종 2) 12월 2일

조선신학생이 수업할 신학교 교장 000 전

성부와 성자와 성신의 이름으로 하노라.

나에게와 또한 나의 뒤를 이어 조선교회를 다스릴 목자들에게 순명과 복종을 맹세하느냐? ㅡ 맹세합니다.

나에게와 또한 나의 뒤를 이어 조선교회를 다스릴 수석성직자들에게 장상의 허가 없이는 그들이 지정하지 아니한 다른 지방이나 다른 회로 가지 않을 것을 맹세하느냐? ㅡ 맹세합니다.

외방전교회 신부 조선선교사, 조선교회의 수석으로 있는(이 아래에 서명한) 나는 이 소년들 ㅡ 즉 최 방지거(최 야고보와 황 안나의 아들, 태생지 : 충청도 홍주), 최 토마스(태생지 : 충청도 홍주 다래골), 김 안드레아(태생지 : 충청도 솔뫼) ㅡ 이들이 오주(吾主) 예수 고상 앞에서 복음 성경 위에 손을 얹고 1836년(헌종 2) 12월 2일 서약하였음을 받았음.

베드로, 필립벨도, 모방, 조선선교사.

위의 선서문은 가톨릭 청년 제 16호(1934.9) p.9 에 게재된 내용으로 Pichon(宋世興) 신부가 파리외방전교회 고문서관(古文書館)에서 찾아 번역(飜譯)한 것이라는 점을 밝혀둔다.

위의 선서문을 통하여 볼 때 먼저 신학생들에게 성직자(聖職者)로서 순명을 요구하였고, 다른 곳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특히 신학교의 학장 신부 성명(姓名)을 정확히 기재하지 않은 이유는 연락 관계(連絡關係)가 여의치 못하여 그곳에 가서 형편에 따라 조치할 것이며, 국경 지방(國境地方)에서 입국(入國)의 기회(機會)를 기다리던 샤스탕(Chastan, 鄭牙各伯) 신부에게 일임한다는 뜻이었다.

*문암 박관우.역사작가/강원경제신문 객원 칼럼니스트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3 2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