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은총(恩寵)과 자비(慈悲)의 차이점 [공로] [최초은총] merits mercy

인쇄

. [175.115.209.*]

2012-07-19 ㅣ No.1225

 

[이 글의 실제 작성 시작 일자: 2014년 10월 19일]


질문 1: 성경을 읽다보면 "은총" 이라는 단어와 "자비" 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하나의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지요? 즉, 혹시 이들 두 단어가 동의어가 아닌지요?

 

질문 2: 그리고 "최초 은총" 은 언제 가지게 되는 은총을 말하는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질문 1: 성경을 읽다보면 "은총" 이라는 단어와 "자비" 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하나의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지요? 즉, 혹시 이들 두 단어가 동의어가 아닌지요?

  

질문 1에 대한 답변: 아닙니다. 그리스도교 신학에 있어, 간단하게 말씀드려, "하느님의 자비(divine mercy)"는 "하느님의 은총(the grace of God)"이나,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습니다.

 

1. 들어가면서

아번 글에서는 "하느님의 은총(恩寵, grace)" 과 "하느님의 자비(慈悲, mercy)"의 차이점에 대하여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1-1. 우선적으로, "새 번역 성경"의 구약 본문에서 차용(借用) 번역 용어인 "은총(grace)"이라는 단어는 총 13개의 절들에서만 사용되고 있음은, 그리하여 구약 성경의 본문에서 그리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음은,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old2&prindex=0&Keyword=은총

 

그러나 "새 번역 성경"의 신약 본문에서 차용(借用) 번역 용어인 "은총(grace)"이라는 단어는 총 127개 절들에서 사용되고 있음은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new2&prindex=0&Keyword=은총

 

(중간 결론 1)

따라서, "하느님의 은총(grace)" 이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가 나타내는 개념은, 비록 그 정의(definition)를 아직 전달해 드리지 않았으나, 이상 간단하게 고찰한 바로 부터, 신약(New Testament, New Covanent, 새 계약)에 고유한(proper) 개념임을 이미 확인하였습니다.

 

1-2. 그 다음으로, "새 번역 성경"의 구약 본문에서 차용(借用) 번역 용어인 "자비(mercy)"라는 단어는 총 185개의 절들에서 사용되고 있음은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old2&prindex=0&Keyword=자비

 

그리고 "새 번역 성경"의 신약 본문에서 차용(借用) 번역 용어인 "자비(mercy)"라는 단어는 총 60개 절들에서 사용되고 있음은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new2&prindex=0&Keyword=은총

 

(중간 결론 2)

따라서, "하느님의 자비(mercy)"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가 나타내는 개념은, 비록 그 정의(definition)를 아직 전달해 드리지 않았으나, 이상 간단하게 고찰한 바로 부터, 구약(Old Testament, Old Covenant, 옛 계약) 와 신약(New Testament, New Covenant, 새 계약) 둘 다고유한(proper) 개념임을 이미 확인하였습니다.

 

1-3. 이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에 주어진 차용(借用) 번역 용어인 "하느님의 은총(grace)"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주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십시오. 대단히 중요한 내용이므로,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55.htm <----- 필독 권고

 

1-4. 그리고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하면, "하느님의 은총(grace of God)" "하느님의 선물(gift of God)"의 차이점에 대하여서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려, "하느님의 은총(恩寵)""하느님의 선물"이나,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습니다.

(이상, 질문 1에 대한 답변 끝)

 

질문 2: 그리고 "최초 은총(the initial grace)" 은 언제 가지게 되는 은총을 말하는지요?

 

1-5. 질문 2에 대한 답변: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027항 전문인데, 질문 2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3s1c3a2.htm

(발췌 시작)

2027 No one can merit the initial grace which is at the origin of conversion. Moved by the Holy Spirit, we can merit for ourselves and for others all the graces needed to attain eternal life, as well as necessary temporal goods.

 

2027. 누구도, 회심(conversion)의 시초(始初)/원점(原點)(origin)에 있는, 최초 은총(initial grace, gratia prima)을 공로로써 마땅히 얻을 만할 수 없습니다. 성령에 의하여 움직여져, 우리는 우리들 자신들을 위하여 그리고 다른 이들을 위하여, 필요한 일시적 재화(temporal goods)들 뿐만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eternal life)을 획득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되는 모든 은총들을 공로로써 마땅히 얻을 만할 수 있습니다(can merit).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1-5: 이로써, "하느님의 은총" 의 정의(definition)에 대한 내용은 여기서 마무리하며, 이어지는 제2항부터는 "하느님의 자비"에 대하여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2.

2-1. 우선적으로, "하느님의 자비""하느님의 은총"인데, 이것은, 예를 들어,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교령(Bull) [제목: Incarnationis Mysterium(강생 신비), BULL OF INDICTION OF THE GREAT JUBILEE OF THE YEAR 2000]에서 발췌된 다음의 문장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jubilee_2000/docs/documents/
hf_jp-ii_doc_30111998_bolla-jubilee_en.html

(발췌 시작)

6. ... For us believers, the Jubilee Year will highlight the Redemption accomplished by Christ in his Death and Resurrection. After this Death, no one can be separated from the love of God (cf. Rm 8:21-39), except through their own fault. The grace of mercy is offered to everyone, so that all who have been reconciled may also be “saved by his life” (Rm 5:10).

 

6. ... 믿는 자들인 우리에게 있어, 이 대 희년(the Jubilee Year)은 당신의 죽음과 부활에서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된 구속/속량(Redemption)을 장차 돋보이게 할 것입니다. 바로 이 죽음 후부터, 아무도, 자신들 고유의 잘못을 제외하고는, 하느님의 사랑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습니다(로마 8,21-39 참조). 이미 화해하게 된 모든 이가 "당신의 생명(life)에 의하여 또한 구함을 받을" 수 있도록(로마 5,10), 자비(慈悲)라는 은총(the grace of mercy)이 모든 이에게 제시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2.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화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 사전에 주어진 "mercy"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cc_glossary.htm#m

(발췌 시작)

MERCY: The loving kindness, compassion, or forbearance shown to one who offends (e.g., the mercy of God to us sinners) (1422, 1829). See Works of Mercy.

 

자비(mercy): (예를 들어, 죄인들인 우리들에 대한 하느님의 자비 등과 같이) 위반하는/침범하는(offends) 자에게 베풀게 되는 애정있는 친절(loving kindness), 연민(compassion, 불쌍히 여김), 혹은 관용(forbearance)을 말합니다. (CCC 1422, 1829). 자비의 일(works of mercy)들을 보라.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2: 그런데 위의 제2-2항에 주어진 설명은 상당히 부족하다는 생각입니다.

 

2-3.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mercy(자비)" 라는 용어에 대한 더 나은 설명(즉, 정의(definition))과 이어지는 글들은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제1-3항부터 계속하여 읽도록 하십시오. 필독을 권고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61.htm <----- 필독 권고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 

 

최초 은총 = initial grace = prima gratia vocans = 최초의 부르는 은총

"prima gratia vocans"
http://www.gutenberg.org/files/29540/29540-h/29540-h.html



931 2

추천

Sun_T_SOH,개신교회_선교사들의_중국_최초진출(1807년)_이전에_도입된_한문문화권_천주교회의_고유한_용어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