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Re:1월24일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3.Mandatum Novum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14-05-08 ㅣ No.2141

 

축일 : 124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

San Francesco di Sales Vescovo e dottore della Chiesa

Thorens, Savoia, 21 agosto 1567 - Lione, Francia, 28 dicembre 1622

Patronato: Giornalisti, Autori, Scrittori, Sordomuti

Etimologia: Francesco = libero, dall''antico tedesco

Emblema: Bastone pastorale

 

St. Franciscus de Sales, E. et D

Saint Francis de Sales

Also known as : Francis of Sales, Gentle Christ of Geneva, the Gentleman Saint, Franz von Sales

Born : 21 August 1567 at Château de Thorens, Savoy (part of modern France)

Died : 28 December 1622 at Lyon, France of natural causes

buried at the basilica of the Visitation, Annecy, France

his heart was preserved as a relic at Lyon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his heart was was moved to Venice, Italy

Beatified : 8 January 1662 by Pope Alexander VII

Canonized : 19 April 1665 by Pope Alexander VII  

 

  성 프란치스코 드 살(Franciscus de Sales, 또는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프란체스코 살레시오) 주교는 1567821일 이탈리아의 독립 공국인 사보이아(Savoia)의 토렌스(Thorens)에 있는 가문의 성()인 샤토 드 살(Chateau de Sales)에서 태어났다. 그는 파리(Paris) 인근 안시(Annecy) 대학과 클레르몽(Clermont)의 예수회 대학에서 공부하였고, 이탈리아 파도바(Padova) 대학교에서는 교회법과 일반법을 전공하여 불과 24세의 약관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가족들의 반대는 물론 법률가 자격 제의와 상원 의원 제안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수도생활을 위하여 화려한 세속의 일과 전망을 모두 포기하고 15931218일 안시에서 사제품을 받았다.

 

  그 후 그는 1594년 샤블레(Chablais) 지방의 선교사를 자원하여 5년 동안 활동하였는데, 그곳은 칼뱅주의자들이 약 50년간 가톨릭 신앙을 금지하고 프로테스탄트를 강요하던 지역으로 사보이아 공국이 되찾은 지 얼마 안 되는 선교 지역이었다. 암살자와 칼뱅교도들의 끊임없는 공격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곳 주민들을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는데 큰 성공을 거두었다. 1599522일 그는 스위스 제네바 교구의 보좌주교로 임명되었다가, 1602년에 선임 교구장이 사망하자 그를 계승하여 교구장 주교가 되었다.

 

  그는 곧 종교개혁자에 대항하는 지도자들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사람이 되었는데, 그의 지혜와 지식을 따를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뛰어난 고해신부이자 설교가인 그는 해박한 신학지식과 이해심으로 만인의 심금을 울리고도 남았다. 그는 학교를 세우고 예비자들을 가르쳤으며 자신의 교구를 훌륭하게 다스렸다. 1604년 그는 부르고뉴(Bourgogne)의 수도인 디종(Dijon)에서 유명한 강연을 하였는데, 그때 네 명의 어린 자녀들을 둔 젊은 남작 미망인인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Joanna Francisca de Chantal, 812)을 처음 만나 그녀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두 사람의 관계는 교회 역사상 가장 유명한 영적인 우정으로 자라났다. 그 후 1607년 성 프란치스코 드 살은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과 함께 기존 수도회의 육체적 엄격함을 견디기 어려운 젊은 여성들이나 미망인들을 위한 성 마리아 방문 수도회를 설립하였다.

 

  그는 프랑스를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리옹(Lyon)에 있는 성 마리아 방문 수도원의 작은 방에서 머물렀는데, 이때 뇌일혈을 일으켜 병자성사와 고해성사를 하고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지소서! 예수, 내 하느님 나의 전부여!"라고 기도한 후 그 다음날인 16221228일 숨을 거두었다. 그의 저서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신심생활 입문”(1609)신애론”(1616)을 들 수 있다. 그는 166218일 교황 알렉산데르 7(Alexander VII)에 의해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시복되었는데, 이는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거행한 첫 번째 공식 시복식으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그는 16651119일 같은 교황에 의해 시성되었고, 18771116일 교황 비오 9(Pius IX)에 의해 교회학자로 선포되었으며, 1923년에는 교황 비오 11(Pius XI)에 의해 작가와 언론인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참고자료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 -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 학자'',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 470-473.

마리 크리스토프 편, 이혜정 역, 더 큰 부드러움으로 -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와 함께하는 하루 한 생각, 서울(생활성서), 2011.

왈터 닉 저, 정은순 역, 위대한 성인들, 왜관(분도출판사), 1991.

페르디난트 홀뵉 저, 이숙희 역, 성체의 삶을 위한 성체와 성인들 -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성인'', 서울(성요셉출판사), 2000, 283-295.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12-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2006, 9059-9062.

L. 폴리 저, 이성배 역, 매일의 성인, ''성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 서울(성바오로), 2002, 34-36.

M. 앙리 코위아니에, 안응렬 역,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우정의 성인, 서울(돈보스코미디어), 2001

(가톨릭홈에서) 

 

  이 위대한 주교는 토랑에 있는 가족 성()인 샤토 드 살에서 태어나 파리의 아네시와 클레르몽 예수회 대학에서 공부하였고, 파두아 대학교에서는 법률과 신학을 전공하여, 불과 24세의 약관에 법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가족들의 반대는 물론 이사직의 제안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수도생활을 위하여 화려한 세속의 일과 전망을 모두 포기하고, 1593년에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 후 그는 카블레 지방의 선교사로서 5년 동안 활동하였는데, 이곳 사람들은 군사력으로 가톨릭을 억누르는 사보이 공작의 노력에 피나는 항쟁을 하고 있었다.

  암살자와 칼빈교도들의 끊임없는 공격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곳 주민들을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는데 큰 성공을 거두었다. 1599, 그는 제네바 주교의 보좌주교로 임명되었다가, 1602년에 완전히 계승하여 주교가 되었다. 그는 곧 반개혁자의 지도자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사람이 되었는데, 그의 지혜와 지식을 따를 사람이 없었다. 뛰어난 고해신부이자 설교가이며, 해박한 신학지식과 이해심은 만인의 심금을 울리고도 남았다. 그는 학교를 세우고, 예비자들을 가르쳤으며, 자신의 교구를 훌륭하게 다스렸다. 1604, 그는 프란치스까 드 상탈을 만나 그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으며, 그녀와 함께 방문회를 세웠다(1610)

  그는 프랑스 리용에서 운명하였는데, 그의 저서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1. 신심생활 입문(1609), 2. 신애론(1616)이다. 그는 사망한 해에 시복되었는데, 성 베드로 성당에서 거행한 첫번째 공식 시복식으로 기록되었고, 1665년에 시성되었다. 1877년에는 교회 박사로 선언되었으며, 1923년에는 가톨릭 언론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성바오로수도회에서)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 수도자 축일: 1212(812).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방문 축일: 531 

 

 

프란치스코 드 살은 부친의 뜻을 받들어 변호사가 되고, 나중에는 프랑스 사부아 지역의 상원 의원이었던 부친의 후계자가 되어야 했다. 그 때문에 그는 법률을 공부하러 파도바로 갔다. 그곳에서 박사 학위를 받아 집으로 돌아온 그는 적당한 시기에 부모에게 사제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자 그의 부친은 완강하게 반대를 했지만, 착한 프란치스코의 꾸준하고 열심한 설득에 결국은 허락하고 말았다.

 

  프란치스코는 사제로 서품되어 얼마 뒤에는 칼뱅교의 중심지였던 스위스 제네바 교구의 사무관으로 선출되었다. 프란치스코는 칼뱅과 이단자들을 회개시키기로 결심하고, 특히 샤빌 지역에서 활동했다. 그는 진정한 가톨릭 교리를 설명하는 자그마한 팜플렛을 만들어 배부하고 설교도 함으로써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35세에 제네바의 주교가 된 프란치스코는 교구의 사목 행정을 담당하면서도 설교를 하고 고해성사를 주며 어린이들에게 교리를 가르쳤다.그의 부드러운 성격은 사람들을 하느님께로 이끄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그는 "한 숟가락의 꿀은 한 통의 식초보다 더 많은 파리를 끌어들인다."는 자신의 좌우명을 실천에 옮겼다. 그는 널리 알려진 [신심 생활의 입문][신애론] 외에도 수많은 소책자를 쓰고 광범한 분야에 걸쳐서 편지 왕래를 했다. 그의 이러한 문필 생활로 인해 그는 가톨릭 신문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그는 비교적 짧고도 바쁜 일생을 보냈지만 방문 수녀회를 창설하는 일에서 또 다른 성녀인 잔 프랑스아 드 샹탈과 협력할 수 있는 여유를 가졌다. 이 수녀원은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하는 데서 모범을 보인 덕행, 즉 겸손과 신심 그리고 상호 애덕을 실천하고자 하는 여인들에 의해서 이룩되었다.

 

  프란치스코 드 살은 우리에게 말한다.

"그리스도교적 온화함을 지닌 사람은 누구에게나 부드럽고 사랑스럽다. 그는 다른 사람의 잘못을 용서하고 변호해 줄 자세가 되어 그의 착한 마음은 그의 말과 행동에 영향을 주는 상냥하고 부드러운 태도에서 나타나며,모든 일에 있어서 가장 큰 애덕과 기쁨의 빛을 비추는 관점을 제공한다."

(꼰벤뚜알프란치스코회홈에서 

 

  1567년 사보이아에서 태어났다. 사제로 서품된 후 자기나라에서 가톨릭 교회의 재건을 위해 열심히 일했다.제네바의 주교로 선임되어 성직자와 신자들에게 참다운 목자로서의 면모를 보여 주고,만사에서 모범이 되고 저서로써 모든 이에게 신앙을 가르쳐주었다.

16221228일 리옹에서 세상을 떠나, 1623124일 안네시에 묻혔다. 

 

 

성 프란치스꼬 살레시오 주교의 [신심 생활 입문]에서

(Pars, 1, cap. 3)

 

신심 생활은 모든 소명과 직업에 가하다

 

  하느님께서 만물을 창조하실 때 그 종류를 따라 열매를 맺을 것을 초목에게 명하셨다.

이와 같이 하느님은 또한 그 교회의 생활한 초목인 신자들에게 그 처지와 각자 맡은 직분에 따라 각각 신심의 열매를 맺기를 설명하신다.귀족과 직공, 왕족과 노복, 과부와 주부, 소녀들의 차이에 따라 그들의 신심은 각각 달라야 한다.

 

  또 한층 이것을 개인의 능력, , 직무에 맞추어야 한다. 필로테아여, 주교가 샤르트르 수도회의 수사처럼 관상적 독수자가 되려고 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만일 가정을 가진 자들이 카푸친회수사들처럼 금전을 소홀히 여기거나, 또는 직공이 수도자처럼 종일 성당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는다든지, 또는 수사가 주교처럼 언제나 타인을 위해 분주히 돌아다닌다면, 이런 신심은 참으로 우습고 질서를 뒤집으며 또한 견디기 어려운 일이라고말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런 착오는 극히 많다. 따라서 세속은 참된 신심과 그릇된 신심을 구별치 않고 또는 구별하려고도 않으며 신심을 배척하고 이를 비난한다. 그러나 이런 비난과 배척은 위에 말한 그릇된 신심에 한해서만 말해야 할 것이다.

 

  아니, 필로테아여, 진정한 신심은 아무것도 손상치 않고 오히려 만사를 완성시킨다. 자기의 정당한 직무를 거스르는 자의 신심은 확실히 그릇된 신심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전하는 바에 의하면,꿀벌은 꿀을 마실 때 조금도 꽃을 상하지 않게 하며 꽃은 이전의 아름다움을 조금도 잃지 않는다고 한다. 참된 신심은 이보다 더 어떠한 직무나 처지도 손상치 않을 뿐더러 오히려 이를 아름답게 꾸민다. 보석을 꿀에 담그면 그 성질에 따라 광채를 더한다고 한다. 그와 같이 어떤 사람도 그의 경우를 신심과 합치시켜면 그의 경우는 일층 더 아름다워진다.

가정의 평화는 커지고 부부간의 애정은 깊어지며, 임금께 대한 충성은 두터워지고 각자가 맡은 일은 유쾌하고 즐거워진다.

  신심 생활의 군인들의 병영, 직공들의 공장, 제왕의 궁정, 결혼한 자들의 가정에 존재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유설이며 이단의 교설이다. 필로테아여, 관상적인 신심이나 수도원식 또는 수도자적 신심이 이런 이에게 전연 맞지 않을 것은 말할 여지도 없지만,위에 말한 세 가지 신심 외에 세속에서 생활하는 사람을 완덕으로 인도하는 신심의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우리는 어떤 환경에서든지 완덕의 생활을 구할 수 있고 이것을 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가톨릭홈에서) 

 

  "거짓 예언자가 여기저기 나타나서 많은 사람들을 속여 넘길 것입니다. 또 세상은 무법천지가 되어 많은 사람의 마음속에서 따뜻한 사랑을 찾아 볼 수 없을 것입니다"(마태 24, 11).

 

  주 예수의 이 예언 말씀은 16세기에 놀랄 정도록 맞아 들어갔다.즉 루터를 위시해 쯔빙글리나 칼빈이라는 거짓 선지자들이 나타나서각각 이단을 주장하고 프로테스탄트를 세우므로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등의 여러 지방의 인심을 현혹케 했다.

  그러나 자비 깊으신 하느님께서는 가련한 양()인 신자들이포악한 사람인 이단자들에게 현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3인의 유명한 인물을 보내셔서 교회를 개혁케 하셨다.그들은 즉 독일에 있어서는 성 베드로 가니시오, 이탈리아에 있어서는 성 가롤로 보로메오,그리고 프랑스에 있어서는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이다.

 

*성 베드로 가니시오 사제 축일: 1221.게시판802,1531.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 축일: 114.게시판734,1454.

*성 필립보 네리 사제 축일: 526.게시판1182,1785 

 

   성 프란치스코 드 살은 1567821일에 토랑에 있는 가족 성()인 사토 드 살에서후작가(候爵家)의 장남으로 태어났다.그의 양친은 모두 경건하고 독실한 신자였고, 특별히 신앙심이 두터웠던 어머니 프란치스카는아들의 교육을 세심한 주의로 시행하는 동시에그 순진한 어린 마음에 신앙과 덕행의 씨를 뿌리며 이를 양성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첫째로 태어난 프란치스코는 파리에 있는 예수회의 대학에 입학하고 오래지 않아그 지혜와 성실한 점으로 단연 출중한 성적을 올려교사들을 놀라게 했을 뿐 아니라 신앙 도덕을 위협하는 많은 위험 중에서는 자숙하여 기도와 고행에 힘쓰고그러한 십자가의 길로써 무사히 백합화와 같은 마음을 끝까지 보존할 수가 있었다. 그가 가장 정덕에 대해 노력한 것은 그때에 비로소 시작한 것이 아니라,이미 어렸을 때 성 마리아 제대 앞에 엎드려 일평생 동정을 지킬 서원을 발한 때부터였던 것이다.

 

  그 후 그는 파리에서 파도바 대학으로 가서 신학과 법학 박사의 학위를 획득하고 대 성공리에 졸업했지만, 옛 고향인 사보아에 금의환향(金衣還鄕)하기 전에 먼저 성도(聖都) 로마를 방문하고 세상에서 출세해 영화를 누리는 것보다 사제가 되어 희생의 생활을 하려고 결심했다. 그런 줄도 모르던 아버지는 벌써부터 그를 사보아에서 변호사 개업을 시킬 예정이었지만, 신앙심이 깊었던 관계로 아들의 희망을 듣고 나서 즉시 승낙하게 되어 프란치스코는 마침내 수도 생활을 위해 화려한 세속의 일과 전망을 모두 포기하고 1593년에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리고 교황에게 아네시 주교의 참사원(參事員)으로 임명되었다.

 

  그가 제단에서 처음으로 미사 성제를 드린 것은 159312월 초순경이었다. 그 후 그는 뜨거운 신앙심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영혼 구원을 위해 일하며 사제로서의 성무를 완전히 이행했고,아네시 주교는 그의 수완을 인정하여 특히 중대하고 어려운 사명을 그에게 맡기게 되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사보아의 남부에서 세력을 부리고 있던 칼빈파 이단에 떨어진 사람들을 다시 교회로 개종시키는 일이었다. 처음부터 예측하고 있었지만 일단 착수해보니 그 사업은 보통 일이 아니었다. 교회의 이단자들에게 쫓겨 깊은 산으로 피신한 때도 있었고, 초막에서 하룻밤을 지낸 일도 있었다. 또 어떤 때는 위험하게도 생명을 빼앗길 뻔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성인은 영웅적인 인내와 온순과 겸손으로 취후의 승리를 거두었다. 그 사업을 시작한 지 8년 후 비로소 크리스마스 밤 미사를 이단의 중심지에서 봉헌하고8백 명의 개종자에게 성체를 영해 줄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 후부터 칼빈파의 지반은 점차 붕괴하여 연거푸 개종자들이 증가해,1597년에는 프란치스코의 노력으로 개종한 사람들이 7만을 헤아리게 되었다.참으로 사보아의 남부에 있던 칼빈파의 이단이 전멸된 것은 오로지 성인의 감탄할 만한 기도와 희생의 절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네시 주교는 자기의 후계자로서는 이 젊은 사도 프란치스코 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교황에게 추천했으므로, 그는 1599년에는 제네바 주교의 보좌 주교로 임명되었다가, 1602년에는 완전히 계승하여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높은 지위에 올랐어도 항상 겸손하며 자기가 맡은 영혼을 돌보는데도각별한 열의를 항상 가지고 있었다. 우선 그는 자기 교구에 있어서 성직 지원자의 전형(銓衡)을 엄격히 하고, 참으로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만을 뽑고,모든 이에게 모범을 보이는 완덕의 생활과 그의 스승다운 깊은 학문 등을 그들에게 요구했다.

그리고 자신은 주교직에 있으면서도 주일에는 신자들에게 도리를 설명해 주고성사를 주는 등 보농 사제들과 같이 영혼의 지도에 노력햇다.

 

  물론 이와 같은 그의 사도적 활동이 세상에 퍼지지 않을 수 없었다.오래지 않아 그의 유명한 명성은 프랑스 국왕의 귀에까지 들어갔다.국왕은 파리나 리용의 대도시에 아직 남아있는 칼빈파 이단을 전멸하기 위해 프란치스코를 초빙했다.그래서 그는 그 도시에서 강론과 기타 모든 방법으로 많은 성과를 올리게 되었다. 덕이 높고 학식이 많은 성인에게 영적 지도를 청하는 이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여서그들에게 일일이 대답해 주기에는 여간 힘드는 일이 아니었지만,끝까지 친절하고 온순한 주교는 서간으로써 각자에게 적당한 권고와 교훈을 하며할 수 있는 데까지 그들의 희망을 채워주려고 했다.또 그의 유명한 저작 필로테아라는 신심생활의 입문서도그의 지도를 바라는 사람들의 간청으로 저술한 것이다.

 

  성인의 개인적 지도로 가장 훌륭하게 된 이는 한 수녀원을 창설한 샹탈의 백작(伯爵)부인 성녀 프란치스카였다.성인은 1604년 사순절의 강론때에 처음 프란치스카를 만나 즉시그녀가 하느님께 간선된 부인이라 이미 161066일두 동료와 같이 하느님의 전선을 찬미하여 유화(柔和), 소박(素朴), 자비(慈悲)의 정신을세상 사람에게 알려주는 새 수도회(방문회)를 세웠다. 그 이상(理想)에 대해서 성 주교 자신의 얼마나 열렬한 동경을 가지고 있었던가는 그가 프란치스카에게 말한 다음의 말로써도 알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는 언제 참된 사랑과 온순으로 모든 사람들을 대할 수 있을까? 나는 온전히 자기를 끊고 무슨 일에 있어서든지 모든 사람들의 희망대로 하고 그를 위해 진력하고 싶다!"

이와 같이 사랑이 대단하고 친절한 마음을 갖고 있었던 만큼 아무리 완고한 이단자라 해도 그에게 자기 죄를 고백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성 프란치스코는 전후 20년간 주교직에 있으면서 모든 이에게 성덕의 감화를 주며 제네바에 있는 600여개의 교회 신자들에게 신앙심을 북돋아 주고 교리를 모르면 그들에게 잘 깨닫게 해 주었다.그 뿐 아니라 중부 프랑스, 동부 프랑스의 사람들도 이 성스러운 주교를 만나 그의 말씀을 들으려고성인을 초대하고 교훈을 청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성 프란치스코 드 살은 성무와 영혼의 지도에 진력한 결과, 과로하게 되어 아직 노년이라 할 수 없는 55세 때인 16221228, 리용에서 병석에 눕게 되어 모인 사람들이 병자를 위한 기도문을 외울때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그의 저서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신심 생활 입문(1609)신애론(1616)이다. 그는 사망한 해에 시복되었는데, 성 베드로 성당에서 거행한 첫 번째 공식 시복식으로 기록되었고, 1655년에 시성되었다. 1877년에는 교회 박사로 선언되었으며, 1923년에는 가톨릭 언론의 수호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대구대교구홈에서)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회

청소년들의 스승이요 아버지라고 불리는 성 요한 보스코(St. John Bosco, 1815~1888) 에 의해 1854,이탈리아의 토리노에서 창립된 살레시오 수도회는 청소년 교육을 주목적으로 한다.요한 보스코(돈 보스코)성인은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성인?사도적 사명감과 고귀한 정신에 감명되어수도회 명칭을 살레시오회로 하였다고 합니다.

 

*성 요한 보스코(돈 보스코) 사제 축일:131. 

 

 

[우리의 영원한 귀감, 영성의 대가들]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1)

 

박재만 신부(대전 대흥동 본당 주임) 

 

근대의 성인들 중 가장 위대한 인물 또는 17세기부터 현대에 이르는 영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이들 중의 한 분으로 일컬어지는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독창적 방식으로 교회의 정통적 영성을 가르치고 생활하며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는 무엇보다도 성성(聖性)에의 보편적 성소의 선각자였다. 성인(聖人)으로 불린 이는 일부 소수의 특전 받은 사람이 아니고 주어진 각 생활 상태에서 사는 모든 그리스도인이라는 이 중요한 교의는 그 후 약 400년 뒤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밝히고 공식으로 천명하게 되는 진리(''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39~42항 참조)이다. 먼저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생애를 살펴보기로 한다.

 

1. 생애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이탈리아의 국경에 접해있는 프랑스 동남쪽 사보아 지방에서 1567821일에 명문가 드 살르(de Sales) 후작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경건한 신앙인들이었는데 특히 신앙심이 두터웠던 모친은 아들이 어렸을 때부터 좋은 인성 및 신앙을 갖추도록 교육하는 데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프란치스코는 지방의 학교 교육과정을 마친 후 빠리에 유학하여 예수회가 운영하는 끌레르몽 대학에서 6년 동안 수사학, 철학 및 신학 등을 공부하였다. 이 기간에 그는 신앙의 일대 위기를 겪게 된다. 그것은 그가 당시 파급되어 있던 칼뱅의 운명 예정설에 사로잡혀 자신이 혹시 구원받지 못하고 영원한 지옥으로 예정된 것이 아닐까 심히 번민하며 고통스러워하던 체험이다. 그 때 그는 하느님을 영원히 사랑하지 못하게 되리라는 상상에 빠져 들어가면서 크게 고뇌했던 것이다. 그는 이 고통스런 상상을 떨쳐버리려고 애썼으나 벗어나기 어려웠고 점점 더 깊이 우울한 환상에 사로잡혀 나중엔 온갖 신심이 한낱 기만으로 여겨지기까지 하였다.

 

그러던 어느날 그가 성모님 상 앞에 꿇어 기도하던 중 종신토록 정결을 지키며 자신의 삶을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봉헌하겠다는 서약을 했는데, 그 순간 놀랍게도 마음의 폭풍우가 홀연히 진정되고 감미로운 평화로 가득 채워지게 됨을 느꼈다. 이러한 어둔 밤의 체험은 훗날 그가 사목 활동 중 어두움 속에 헤매면서 고통받는 이들의 마음을 읽고 이해하며 도와주는 데 큰 보탬이 되었다. 빠리에서 공부를 마친 후 그는 부친의 원의에 따라 유명한 법학부를 갖추고 있던 이탈리아의 빠도바 대학으로 옮겨가 법률 공부를 하게 된다. 거기서 그는 법 뿐 아니라 또한 신학 공부에도 계속 열중하였다. 신앙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학문의 불충분함과 허전함을 보충하고 보완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지만, 그보다도 그가 어린 시절부터 마음이 끌리던 사제 생활에 대한 성소를 그 때에 더욱 강하게 느꼈기 때문이다.

 

프란치스코는 1592년에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샨 베리 시()의 원로원의 법률가가 되었다. 그리고 이어서 부친의 주선으로 그는 원로원 의원직 취임 교섭까지 받았으나 정중히 사양하였다. 그가 걸어야 할 길과 수행해야 할 사명이 다른 곳에 있다는 것을 깊이 의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아들이 자신의 소망을 채워주지 않아 실망스러워 하던 부친에게 프란치스코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해야 하는 자신의 입장을 차분히 설명하면서 허락해 주길 간곡히 청하여 결국 부친을 설득하였고 이로써 그에게 사제의 길로 나아가는 길이 열렸다.

 

159312월에 프란치스코는 사제 성품을 받고 열정적으로 사목 활동을 하면서 봉사하였다. 교구의 장상이 샤블레의 칼뱅파 교도들을 다시 성교회로 귀의시키기 위해 선교활동 할 사제를 찾고 있을 때 그는 그 사명을 수행하겠다고 자원하여 나섰다. 그는 많은 위험과 곤경 중에도 굴복하지 않고 칼뱅주의자들의 귀의를 위해 온갖 정성과 방법들(동기는 선의였으나 비판받을만한 방법들도 활용했음을 뒤에서 살펴보게 될 것임)을 동원하여 투신하였으며 결국 7만이 넘는 사람들을 가톨릭 교회로 다시 돌아오도록 하는 데 기여하였다.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1602년에 즈네브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교구장으로서 그리고 사목자로서 교구쇄신을 위한 폐습의 교정과 조직 개편, 신자들의 신앙교육을 위한 여건 조성과 장려, 쇄신적 사제양성을 위한 배려, 수도생활 쇄신을 위한 독려, 영적 서적들의 저술, 영적 지도 등에 온 힘을 기울였다.

 

그리고 그는 교구 내 산재해 있는 벽촌들을 끊임없이 순회하여 미사를 봉헌하고 강론하며 고해성사 집전과 교리교육 등 헌신적인 사목 봉사를 하였다. 그는 또한 자주 사제들을 두루 방문하여 그들과 친교를 이루고 그들이 사도직에 더욱 충실하며 기쁨에 충만한 생활을 하도록 격려하고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이단으로 황폐해졌던 그의 교구가 얼마 후엔 프랑스에서 가장 열심하고 모범적인 교구가 되었다.

 

1607년엔 성녀 요한나 샹딸과 함께 성모 방문 수도회를 창설하였다. 그 수도회는 봉쇄 공동체였는데, 심한 육체적 고행을 회칙으로 명하던 종전의 수도회들과 달리, 신체적으로 연약한 여인들도 입회할 수 있도록 수덕 행위를 덜 엄격하게 조절 완화하였다. 완덕에 이르는 데 필요한 것은 육체적 고행보다 정신적 희생 즉 자신의 뜻을 떠나며 모든 것을 하느님의 뜻에 따르고 일치하는 것이라는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견해를 따랐던 것이다. 프란치스코 주교는 161811월부터 다음 해 9월까지 빠리에 용무가 있어 머물게 되었는데 시민들은 이 유명한 대 강론가의 말씀을 경청하고자 매일 성당에 운집하였고 그들은 열광적으로 환호하면서, 불가능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가 빠리에 상주하기를 간청하였다. 그가 그 곳에 머무는 동안 가장 큰 기쁨이 되었던 것은 자선사업의 사도이며 프랑스 성직자들의 쇄신 활동가로 유명한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와 친교를 맺은 것이다. 그는 빠리 시에 있는 성모 방문회 수도원의 영적 지도를 빈첸시오 아 바오로에게 부탁하였다.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영성은 그의 저작 총 27권 안에 풍성히 담겨있으나 특히 신심생활 입문과 신애론(神愛論) 그리고 영적 담화에 잘 나타나고 있다. 그의 작품 중 12권에는 영적 지도를 위해 그가 썼던 2100여 통의 편지들이 수록되어 있다.

 

프란치스코는 또한 과학, 예술 및 프랑스어의 연구 발전에 큰 관심을 기울이며 안느시에 플로리몬타느 아카데미를 세웠는데 그것은 프랑스 아카데미가 태어나기 30년 전 일이었다.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는 1622년 겨울에 리옹 시에 있는 성모 방문회 수도원에 머물게 되었는데 갑자기 뇌일혈로 인해 세상을 떠나 하느님의 품으로 돌아갔다. 그 때가 그의 나이 56세이던 16221227일이었다. 그의 유해는 안느시의 성모 방문회 수도원에 안치되었다. 1665년에 교황 알렉산더 7세가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를 시성을 통하여 성인품에 올렸으며, 1877년에 교황 비오 9세는 그를 교회의 박사로 선언하였다. 그리고 비오 11세는 그의 문학적 능력과 공헌을 높이 기리며 그를 언론인과 저술가들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

[가톨릭신문, 200086 

 

[우리의 영원한 귀감, 영성의 대가들]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2)

 

2. 영성사 안에서의 역할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혼자서 하나의 영성학파를 형성하여 교회의 유익에 기여함으로써 영성사 안에서 중요한 한 획을 긋고 있다. 학자들은 프란치스코 살레시오가 프랑스의 르네상스로 하여금 세례를 받아 그리스도교화 하도록 하였고, 인문주의가 경건하게 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고 평가한다.

 

그는 또한 르네상스와 근대를 잇는 가교 역할을 했으며 완덕, 성성, 수덕 및 신심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방향 제시 등 그리스도인 영성생활에 17세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영향을 미친 이들 중의 하나이다.

 

1)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신심의 보편성과 다양성에 대한 가르침은 참으로 혁신적인 것이었다. 그것은 약 4세기 후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천명하게 될 성성에의 보편성과 성화 및 영성의 다양성 교의를 앞서 밝힌 것이다. 그는 수도자 뿐 아니라 세상에서 생활하고 있는 모든 계층의 평신도들이 자신의 신분과 직업 안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완덕에 나아갈 수 있음을 강조하며 수덕과 성화의 새로운 이상을 제시하였다.

 

2)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평신도의 영성에 관해 가르치고 글을 쓰게 된 최초의 영성 작가이다. 그 때까지 영성은 관상 수도자적 완덕의 삶으로 제한, 이해되고 있었기에 세상에 사는 평신도들에게는 요원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영성에 관한 저술가들은 속세와 관계를 끊은 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썼으며 또한 영성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속세와 관계를 끊는 수덕을 실천해야 함을 강조했던 것이다. 그러나 프란치스코는 세상에서 자기 직업에 종사하고 가족과 함께 단란하게 지내면서 경건한 신앙생활을 할 수 있다는 영적 가르침을 주고자 했던 것이다.

 

그리스도교 영성이 여러 세기 동안 제한적으로 이해되고 제약되어 온 수도생활적 구조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망을 갖도록 하였다.

 

3) 프란치스코 살레시오가 쓴 신심생활 입문은 이미 2세기 앞서 쓰인 준주 성범과 함께 교회 안에서 필독서로 추천되고 아장 많이 애독되어 온 영성생활 지침서이다.

 

1619신심생활 입문의 완성판이 출간되자 불어권 지역에 금방 널리 보급되었고, 그의 생애 중 40판 이상 인쇄되었다. 이책은 당시 비판도 없지 않았지만, 신자들 뿐 아니라 대다수의 성직자, 수도자들한테 높이 평가되었다. 프란치스코 주교를 늘 존경하던 왕 앙리 4세는 이 책이 자신의 기대를 훨씬 초월한 걸작이라고 격찬하였으며 왕후는 이 책 한 권을 금강석으로 장식하여 영국 왕에게 보냈다. 그 책은 곧 18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빨리 전파되었다. 그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시대변천에 상관없이 모든 계층의 신자들로부터 고전적 신심서로 읽히며 사랑받고 있다.

 

준주 성범이 수도자적 완덕의 길을 위한 지침서라면, 신심생활 입문은 평신도 를 위한 영성생활의 안내서이다. 준주 성범이 그리스도인에게 영적으로 적지 않은 유익을 주는 고전적 교과서이지만, 그보다는 오히려 고독과 침묵 중에 복음 권고 덕의 서원을 지키며 완덕의 길을 걷는 수도자의 규범서라고 한다면, 한편 신심생활 입문은 수도자들을 위해 유익한 영적 입문서가 될 수 있지만 그보다 세상 안에 살고 일하며 봉사하는 평신도들에게 참신한 영성을 제시하는 교본인 것이다.

 

프란치스코의 문장은 이해하기 쉽고 흥미를 끌면서도 세련미를 갖추고 있고, 그의 영적 가르침은 온전하고 중용적이다.

 

4)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신학적으로 아우구스티노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향을 받았으나 예수회원들이 운영하는 대학에서 교육과 훈련을 받았기에 영성실천에 있어서는 다분히 이냐시오적이었다.

 

그의 가르침은 무엇보다 성서와 성전 그리고 교부들의 가르침과 교회의 신앙에 기초를 두었다. 그는 세에나의 성녀 가타리나, 제노아의 성녀 가타리나, 필립보 네리의 작품들에 정통했고, 수덕 신비 신학 분야에서는 스페인학파의 저자들,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 십자가의 성 요한, 아빌라의 요한, 그라나다의 루도비꼬 등의 영향을 받았다.

 

한편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사망 근 두 세기 후인 1859년 성 요한 보스코는 수도회를 창설하여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회라 부르며 그를 수호 성인으로 모셨다. 요한 보스코는 수호 성인의 영성 뿐 아니라 저서들을 통해 그분의 가르침을 깊이 이해하고 있었기에 그를 수도회원들의 모범과 스승으로 삼았던 것이다.

 

5)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가톨릭 신앙생활에서 감정을 다시 일깨움으로써 지성에 치우쳐 신심행위가 타성적으로 흐르게 되는 것을 반성하고 좀더 따뜻한 정감을 되찾도록 하는 데 기여하였다.

 

그는 인간을 하느님과 비슷하게 해주는 이성(異性)을 하느님의 귀한 선물로 여겼지만, 신심이란 정적 생활에 근거를 두는 것이기에 신심 생활을 위해서 정적 측면을 소중히 생각하였다. 이를 위해서 예수성심께 대한 신심을 장려하게 되었으며 차차 교회 안에 예수 성심 공경이 파급되어 갔다. 

그가 설립한 성모 방문 수도회에서 예수 성심 신심의 사도 성녀 마리아 알라꼬끄(1647~1690)가 나온 것은 우연이 아니다.

 

6)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경건한 인문주의 사상을 통해 17세기 프랑스 교회와 그 주변에 새로운 정신을 불어넣었다.

 

그가 살던 시기의 사회는 그리스도교 정신이 희석되어 가는 위기를 겪고 있었는데 거기엔 인문주의가 한 몫을 하였다. 자연과 학자들의 운동으로서 인문주의 뿐 아니라 진리의 미적 표현을 추구하는 교양 운동으로 이해되는 인문주의 방향도 그리스도교에서 멀리 떨어져 나가려고 하였다. 인문주의는 인간에게만 관심을 집중시킴으로써 인간이 만물의 척도가 되었으며, 결국 그리스도교 정신의 감퇴를 초래하게 되었다.

 

그리스도교와 인문주의의 분리는 어느편을 위해서도 유익한 결가를 가져오지 않았다. 그리스도교가 인간성을 의심하고 거부하는 경우 영성생활에도 중요부분을 잃게 되며, 한편 인문주의가 그리스도교 정신을 포기할 경우 그 기반과 전통을 떠나게 되는 것이다.

 

당시 이러한 문제점을 명확하게 인식한 인물이 프란치스코였다. 그는 두 가지가 내적으로 상반된다고 믿지 않았다. 여러가지 대립을 화해시키는데 특별한 소질이 있던 그는 조화적인 성품으로 두 운동의 연결을 시도하였다. 자연과 초자연을 화해시키며 속된 영역과 거룩한 것에의 노력을 통일시키려는 그의 새로운 신심 이상은 바로 인문주의와 그리스도교의 융합에 있었다. 그것은 경건한 인문주의또는 그리스도적 인문주의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인간이 하느님의 모상이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그리스도교적인 힘에 의하여 움직이는 신앙적 기반 위에 선 인문주의인 것이다. 그것은 하느님의 사랑이 하늘에서 내려옴에 여러 형태와 인간성의 완성을 이루도록 한다는 것이다. 경건한 인문주의적 신심운동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불완전한 실재에 대하여 과도한 엄격함으로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부드러움과 엄격함을 서로 조화시키면서 영적발전을 이루도록 한다는 것이다.

 

인문주의를 신심행위에 유용하고자 노력한 그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오리게네스, 페츠라르카, 에라스무스 등이 이미 형성한 전통의 계보에 속한다.

[가톨릭신문, 2000813] 

 

 

[우리의 영원한 귀감, 영성의 대가들]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3)

 

3. 인성 · 영성 및 사목적 성숙과정

 

온유함의 성인혹은 신사 성인이라 불리는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탁월한 평온과 온유는 본해 타고난 성품이 아니었다.

 

그가 보여준 온화함과 밝은 마음 그리고 친절이 일상적 행동 양식이 되기까지엔 하느님의 은총에 협력하는 인고의 수련이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이렇게 표현하였다. 나는 내 과격한 성격을 극복하는 데 20년이나 걸렸다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인성, 영성 및 사목적 성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1단계

 

젊은 사제 프란치스코는 샤블레 지방의 칼뱅주의자들을 개종시키는 임무를 자원해 맡으며 위험한 일에 뛰어들었다. 그는 그곳에서 마치 서적 외판원처럼 집집마다 돌면서 문틈으로 자신이 쓴 전도지를 밀어 넣었고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 토론하고 강론하는 등 2년간 열정적으로 업무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그가 얻은 결실은 겨우 열 아홉명이 개종자였다. 그는 시몬처럼 이렇게 푸념할 수 밖에 없었다.

주님, 저희가 밤새도록 애썼지만 한 마리도 못 잡았습니다(루가 5,5) 

 

2단계

 

결실이 미흡하자 그는 선교방법을 바꿨다. 공권력을 선교에 이용하여 억지로라도 데려오는 방법(루가 14,23 참조)을 택하고자 한 것이다. 사보아의 공작이 자신의 속령인 샤블레 지방에서 공권력 행사에 동의하였다. 군주로서 그는 칼뱅파의 설교자들을 추방하고 신도들을 공직 채용에서 제외시켰으며 그들의 성서를 압수했다. 프란치스코를 대동하고 공작은 주민들을 광장에 집합시켜 칼뱅파의 신앙을 고수할 사람은 그 지역에서 떠나라고 명령했다. 이러한 강압적 방법은 샤블레 지역의 사람들 2000여명은 다시 가톨릭 교회로 돌아왔다.

 

이러한 행위는 아무리 시대적 상황을 감안하여 선의에서 행한 것이라 변호해도 정당화될 수 없는 역사적 과오가 아닐 수 없다. 이교도들이 그리스도의 참된 교회에 큰 피해를 주며 안타깝게도 구원에서 벗어나 방황하고 있다고 믿었던 프란치스코에게 혈기 왕성한 정의감은 있었지만 그리스도의 참된 사랑과 관용의 정신이 부족했던 것이다. 그는 아직 성인의 경지에 이르지 못하고 있었다. 그가 이룩한 업적은 수적으로 볼때 성공적이었을지 모르나 방법에 있어서는 그렇다고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그는 시몬과 함께 이렇게 고백해야 할 입장이었다. 주님, 저는 죄인입니다. 저에게서 떠나 주십시오(루가 5,8)

 

프란치스코가 사람들을 자연스럽게 끈 매력적 온유함과 설득력을 갖추기까지엔 하느님의 은총에 협력하는 길고 엄한 자기 수련의 인고의 과정이 요청되었다.

프란치스코는 그의 생애 중 가톨릭 교회를 떠났던 칼뱅주의자들 7만 여명을 귀의시킨 놀라운 업적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여기엔 영욕(榮辱)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3단계

 

그는 천부적으로 사람 낚는 어부였다. 사도적 열성이 그를 사로잡아 그는 거기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는 주교로 축성된 후 사도적 방향을 바꾸었다. 이교도들은 개종시키는 선교보다 우선 교회 안에서 확신을 잃어가는 사람들에 대한 사목에 주력하게 된 것이다. 그 목표는 냉담한 신자들의 무관심을 일깨우고 해이해진 신자들에게 신앙을 견고케 하는 것이었다. 그것을 위해 그는 신앙을 선포하는 기존 방법을 바꿔야 할 필요를 깨달았다. 따라서 무엇보다 교리 교수법 발전을 위해 노력했으며 신심의 다양성과 수덕의 새로운 이상을 제시하면서 모든 신분과 직업 안에서 그리스도인이 완덕에 나아갈 수 있다는 가르침을 전하기에 온 힘을 기울였다. 그렇나 그의 가르침을 참신한 방법으로 서술한 신심생활 입문은 프랑스 뿐 아니라 주변 여러 나아에 선풍을 일으켰다. 

 

4단계

 

프란치스코는 인격적, 영적 발전에 큰 영향을 받은 한 사건을 체험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성녀 요한나 샹딸과의 우정관계였다. 아씨시의 프란치스코와 글라라, 아빌라의 데레사와 십자가의 요한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남녀의 우정 관계는 성인들 사이에서 가끔 있어온 일이었다. 그러나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와 요한나 샹딸의 우정은 성인들의 세계에 있어서도 매우 새로운 사건이어서 어떤 범주에 분류해야 할 지 당혹스럽다. 이 두 성인을 서로 연결한 독특한 체험은 프란치스코 뿐 아니라 요한나 역시 비상한 인물이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디죵 시 부르궁디 의회 의장의 딸이었으며 샹딸 남작의 미망인이던 요한나는 160432세 때 마침 디죵 시 친정에 머물러 있던 동안 그 곳에 사순절 강론을 하러 온 프란치스코 주교를 처름 만났다.

 

이 때부터 두 성인 사이에는 세상에서 드문 우정이 맺어졌다. 두 사람은 하느님 앞에서 그들의 관계가 용납될 수 있는지 대답을 얻기 위하여 기도하면서 식별하느라 분투하였으며 결국 하느님의 동의를 얻은 것으로 믿었다. 요한나는 총 고해를 한 후 프란치스코의 모든 지시에 순종하기로 서원했다. 한편 프란치스코는 항상 그녀를 사랑 안에서 인도하겠다고 약속했으며 그의 영혼이 그녀에게 결속되어 있다는 것을 승인하였다. 이것은 오늘 가톨릭 교회에서 생각할 수 없는 영적 결혼으로서 바로크 시대에나 주교가 체험할 수 있었음직한 것이다.

 

두 성인의 우정 관계는 하느님의 계획을 실현하는 공동 작업 안에서 연결되어 구체화된다. 그것은 처녀들과 미망인들을 위한 성모 방문회의 창립을 위한 협동 작업이었다.

 

그들 간의 영적 우정의 순화는 아빌라의 데레사와 십자가의 요한 등 스페인의 신비주의자들에 깊이 공감하면서 이루어졌다. 그들이 쓴 책에서 하느님이 아닌 것은 무엇이든지 완전히 포기해야 한다는 가르침에 프란치스코는 점점 매력을 더 느끼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그는 요한나에게 그들의 정다운 영혼의 일치에서 벗어나기를 요구하였고 그로 인해 그들의 관계는 큰 시련을 겪으며 그것을 극복해야 했다. 하느님이 우리 사이에 맺어주신 우정이나 영적 결합에 관하여 더 이상 생각하지 마십시오라는 프란치스코의 편지를 받은 요한나는 그것을 십자가로 받아들였고 그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묵묵히 그리고 충실하게 그와 함께 일하였다.

그들의 우정을 자신들의 개인적 목적으로 여기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은 상호의 인간적, 영적 성숙과 사도직 사명 수행을 위해 유익할 수 있었다. 프란치스코는 우정을 영원에 이르는 다리로 체험했으며 우정의 도움으로 그는 더욱 긴밀히 하느님께 접근할 수 있었던 것이다. 

 

5단계

 

성 프란치스코는 특출한 영적 지도자였다. 그는 우선 인간의 심성을 읽는 직관력과 영의 움직임에 대한 식별력, 지성 그리고 설득력 있는 말씀의 은사 등을 타고났다. 그리고 후천적으로 인내, 온유함의 자세를 키웠으며 끊임없이 공부했고 많은 것을 체험했다. 그는 신심(영성)의 다양성, 성성의 본질과 단계, 성화의 방법 등에 대한 지식과 교회의 정통한 가르침에 입각하여 구원의 메시지를 당시의 사람들의 사고에 가까이 접근시키는 방법을 터득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그는 영적 지도자로서 적격의 인물이었다. 그는 영적 지도자에게 모범적 삶이 무엇보다 더욱 값진 것이라는 것을 잘 알았고 있었다.

 

실로 프란치스코는 근대적 영적 지도자의 사부라 할 수 있다. 그는 모든 이에게 언제나 온유하고 친절한 자세로 도왔으며 강론과 저서 그리고 편지들을 통해 직접, 간접적으로 영적 지도 봉사를 하였다.

[가톨릭신문, 2000820]  

 

[우리의 영원한 귀감, 영성의 대가들]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4)

 

영적 가르침

 

교황 바오로 6세는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탄생 400주년을 맞아 사도적 서한(1967.1.29)을 썼다. 교황은 이 서한에서 성인이 이룬 은총의 결실들을 장엄하게 회상하며 기리고 있다.

 

예지에 밝고 통찰력을 가진 시각, 건실하고 명석한 이성, 날카로운 판단력, 거의 믿을 수 없을 만한 친절과 호의, 말과 표현에 있어 부드럽고 친절한 우아함, 항상 활동하는 정신의 조용한 정열. 차분하고 조용한 평온. 힘과 분리되지 않은 온건, 정신의 높은 앙양과 다른 사람드에게 가장 좋은 재산, 하늘과 시를 주기를 희망하는 아름다움의 예찬, 다른 모든 덕행을 초월하는 거의 무제한적인 사람들에 대한 사랑과 하느님께 대한 사랑, 이런 것들이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의 탁월한 모습을 묘사하는 특징들입니다

 

그과 같이 인간적, 지성적, 영적으로 성숙해 풍요로움을 지녔던 성 프란치스코의 중요한 가르침 중 몇 가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1) 애덕

 

프란치스코가 영성신학에 기여한 큰 공헌의 하나는 애덕의 유대 안에 모든 그리스도교 윤리와 성성을 통일시킨 것이다. 그는 그리스도교적 완덕 혹은 진정한 신심의 본질이 특별한 수덕 실천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에 있다는 진리를 강조하였다. 그것을 이미 교의적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와 중세의 다른 신학자들이 언급하엿지만 그 때까지 프란치스코 만큼 큰 열정으로 사람들을 설득시키고자 한 사목자나 신학자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에 의하면, 애덕이 모든 덕들 중 첫 자리를 차지하는 이유가 다른 모든 덕에 능동적이고 현실적인 효력과 조화를 주기 때문이다. 실로 덕은 사랑의 질서인 것이다. 애덕을 통해 인간은 그리스도교적 완덕의 절정에까지 오를 수 있게 되며 사랑 자체이신 하느님과 일치하여 그분의 신성에 참여하게 된다.

 

완덕에 이르는 최고의 길은 하느님께 대한 사랑이며 하느님을 참으로 사랑한다면 이웃을 진정으로 사랑할 수 있는 은총을 받는다. 한편 가장 중요한 것인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사랑을 떠날 각오를 해야 한다. 따라서 이웃사랑을 하느님께 대한 사랑에서 흘러나오는 것이다.

 

(2) 온유의 덕

 

프란치스코가 가르치고 실천한 덕들 중에서 애덕 다음으로 탁월한 것은 온유의 덕이라 할 수 있다. 

그는 한 편지에서 이렇게 쓴다. 우리 주님께서 우리에게 세 마디로 남겨 주신 중요한 교훈을 잊지 마십시오. 그러기 위해 그것을 하루에 백 번이라도 반복해야 합니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를 본받으시오이것이 모두입니다. 이웃에게 온유한 마음을 가지며 하느님께 겸손한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그에 의하면, 온유함이란 그리스도 정신의 구현이며 그 온유함에는 한계가 없다. 오랜 내적 투쟁을 통해 얻은 승화된 온유함은 그의성성의 한 표현이었다. 그는 행복하여라 온유한 사람들, 그들은 땅을 차지하리니(마태 5,5)라는 주님의 말씀을 눈에 보이도록 구체적으로 생활한 증인이다.

 

(3) 신심 혹은 경건한 생활

 

프란치스코는 참된 신심이란 어떤 비상한 은총이나 은사에 있는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

 

많은 이들이 덕이라 생각하는 것들이 잇으나 그것들은 전혀 덕이 아니다. 나는 탈혼, 황홀경, 무감각, 무감정, 신적 일치, 고양, 변형 등 영혼을 순수한 지성적 관상에로 들어올리고 근원적으로 정신을 응용하며 탁월한 생활을 하도록 해준다는 모종의 책에서 논하는 바 유사한 다른 완덕을 언급하려 한다. 이러한 것들은 덕이 아니고 오히려 하느님께서 덕을 위해 또는 미래의 삶을 즐거움을 맛보이는 작은 표본으로 내리시는 보상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러한 은총을 받기를 열망해서는 안된다. 그것들은 우리의 유일한 목표인 하느님을 사랑하고 섬기는 데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작품집 , 131). 그리고 참된 신심이 어떤 특수한 영성 훈련이나 수덕에 있는 것도 아님을 역설한다.

 

어떤 이들은 준엄한 생활을 덕으로 여기고 또 어떤 이들은 절식을, 어떤 이들은 자선을. 또 어떤 이들은 구송 기도나 묵상 기도를 덕행이라고 생가하기도 하고 또 어떤 이들은 어떤 수동적이고 탁월한 관상 기도에 덕을 두기도 하며, 무상으로 받은 특은들에 두는 이들도 있다. 그들은 모두 결과를 원인으로, 개울을 샘으로, 가지를 뿌리로, 부속물을 주물로, 흔히는 그림자를 실물로 잘못 생각하고 있다. 나로서는 하느님을 전심으로 사랑하고 이웃을 내 몸같이 사랑하는 것 외에 또 다른 그리스도교적 완덕을 알지 못하고 체험하지도 못했다. 이것이 없는 다른 모든 완덕은 거짓 완덕이다

 

그에게 그리스도교적 완덕과 동일한 참된 신심이란 바로 그리스도께서 선언하신 애덕에 관한 이중적 계명(마태 22,34~40)의 실천인 것이다.

 

참되고 살아있는 신심은 반드시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전제로 한다. 그것은 실로 하느님에 대한 진실한 사랑일 뿐 결코 다른 어떤 종류의 사랑이 아니다. 신적 사랑이 우리의 영혼을 아름답게 하는 한 그것은 은총이라 불리고 그로 인해 우리가 하느님의 마음에 들게 된다. 신적 사랑이 우리에게 선을 행하는 힘을 주는 한 그것은 애덕이라 불린다. 그러나 그것이 우리로 하여금 선을 행하게 할 뿐 아니라 조심스럽게, 빈번히 그리고 신속하게 행하게 한다면, 바로 그것은 신심이라 불린다(작품집, , 14)

 

(4) 신심의 다양성

 

프란치스코는 뒷날 제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언급하게 될 성성신심으로, 영성의 다양성을 신심의 특성으로 표현한다.

 

신심의 다양성에 대한 그의 가르침은 당시 새로운 것이었다. 그래서 비판받고 반대에 부딪히기도 하였다. 그는 사람이 완덕에 이르는 방법은 다양하니 하느님께 가는 길도 여러가지라고 하였다. 그는 신심생활 입문에서 이렇게 신심(영성)의 다양성을 설명하고 있다. 하느님께서 만물을 창조하실 때 그 종류에 따라 열매를 맺을 것을 초목에게 명하셨다. 이와같이 하느님은 또한 교회의 생활한 초목인 신자들에게 그 처지와 각각 맡은 직분에 따라 각각 신심의 열매를 맺기를 명하신다. 귀족과 직공, 왕족과 노복, 과부와 주부, 소녀 등의 차이에 따라 그들의 신심을 각각 달리 해야 한다(신심생활 입문, ,3).

 

그는 진정한 신심 수련이 모든 이에게 필요하고 모든 처지에서 가능하지만 그것은 똑같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생활의 상태, 신분, 직업에 따라 다르게 배려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한 사람에게 적합한 것이 다른 이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는 그리스도인의 성화가 세상을 떠나 수덕하는 소수인들의 특권이 아니고 모든 그리스도인이 달성해야 할 목표임을 강조했다. 신샘생활이 군인들의 병사, 직공들의 공장, 제왕의 궁정, 결혼한 이들의 가정에 존재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가르침이며 이단 교설이다. 관상적, 수도자적 신심이 이런 이에게 맞지 않는 것은 말할 여지도 없지만, 세속에서 생활하는 사람을 완덕으로 인도하는 신심의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신심생활 입문, ,3)

 

성화와 완덕이 수도원 안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생활 조건이든지 세상 안에서 실현될 수 있다는 그의 가르침은 매우 진보적인 것이다.

[가톨릭신문, 2000827]



... He was not a Franciscan Tertiary, but a member of the Third Order of the Minims, founded by St. Francis de Paul. However, he accepted affiliation to the First Order of St. Francis from the Capuchins in 1617; and his spirit undoubtedly has a close kinship with that of the Seraphic Saint. He once told the Capuchins that he belonged to the Franciscan Order by special ties; and in 1609, the holy bishop, girded with the cord, preached a beautiful sermon and took part in the traditional procession of the Archconfraternity. The Portiuncula Chapel at Assisi was especially dear to him because of the great spiritual favours he received there. At Evian, on the south shore of Lake Geneva, St. Francis of Assisi appeared to him and said: “You desire martyrdom, just as I once longed for it. But, like me, you will not obtain it. You will have to become an instrument of your own martyrdom.”  ....

 

 




 

 

 

♬13.Mandatum Novum Do Vobis-베네딕도수도원

 

 

 

 

 

 

 

 

 

 

 

 

 

 

 

 

 

 

 

 

 

 

 

 

 

 

 

Do not fear

what may happen to you

tomorrow.

The same Father

who cares for you today,

will care for you

tomorrow

and every other day.

Either He will

shield you from suffering

Or He will give you

the unfailing strength

to bear it.

Be at peace then,

And put aside all anxious

thoughts and imaginings.

-Saint Frances de Sales

 

 

Do not look forward

to the trials and crosses

of this life with dread

and fear.

Rather, look to them,

with full confidence that,

as they arise,

God to whom you belong,

will deliver you from them.

-St. Francis de Sales

 

 

 

 

January 24

St. Francis de Sales

1567-1622

The city of Geneva in Switzerland is situated at the western end of the 45 mile long lake of the same name, near the French boundary. In the 16th century the Dukedom of Savoy lost this city, as well as the province of Vaud on the north side of the lake and that of Chablais on the south side, to the Calvinists of Switzerland. By giving up his claim to Vaud, the duke of Savoy finally regained Chablais; but the people of the latter province had meanwhile become fanatical Calvinists. The bishop of Geneva resided at Annecy, some 20 miles south of Geneva.

 

 

A prominent noble family of Savoy, at this time was that of De Sales; and St. Francis de Sales, who was born in 1567 at the Chateau de Sales, near Annecy, became its most illustrious member. His father had the title to the Signory of Nouvelles by inheritance and that of Boisy by marriage. At baptism, St. Francis de Sales received St. Francis of Assisi together with St. Bonaventure as his patron saints; and after he was appointed coadjutor bishop of Geneva, he had himself enrolled in the Archconfraternity of the Cord of St. Francis.

 

 

He was not a Franciscan Tertiary, but a member of the Third Order of the Minims, founded by St. Francis de Paul. However, he accepted affiliation to the First Order of St. Francis from the Capuchins in 1617; and his spirit undoubtedly has a close kinship with that of the Seraphic Saint. He once told the Capuchins that he belonged to the Franciscan Order by special ties; and in 1609, the holy bishop, girded with the cord, preached a beautiful sermon and took part in the traditional procession of the Archconfraternity. The Portiuncula Chapel at Assisi was especially dear to him because of the great spiritual favours he received there. At Evian, on the south shore of Lake Geneva, St. Francis of Assisi appeared to him and said: “You desire martyrdom, just as I once longed for it. But, like me, you will not obtain it. You will have to become an instrument of your own martyrdom.”

 

 

From early youth, St. Francis de Sales had a great desire to devote himself entirely to the service of God, although his father had other plans for him. With the pious Abbe Deage as his tutor, Francis was a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Paris from his 14th to his 20th year; and after studying jurisprudence at the University of Padua for 4 more years, he was awarded the degree of Doctor of Law. In 1593 he finally obtained the consent of his father to enter the sacred ministry; and since he had devoted much time to the study of theology during his student years, he was ordained a priest 6 months later.

 

Not long afterwards he volunteered for the difficult and dangerous task of leading the people of the province of Chablais back to the fold of the Church. Several times he miraculously escaped death at the hands of assassins. But he persevered in his heroic and patient efforts, and after 4 years succeeded in converting a large number of Calvinists. In 1599 he was appointed coadjutor to his bishop; and in 1602 he became bishop of Geneva, a position which he filled in an exemplary manner for 20 years. St. Francis de Sales has rightly been styled “the Gentleman Saint” because of his wonderful patience and gentleness. He always tempered his unflagging zeal by imperturbable meekness and kindness. He is a model for every priest and bishop. Though a learned man, he insisted on simple catechizing and preaching and himself set the example. The people came in crowds to hear him preach, not only in Savoy, but also in various cities of France. He began his writing career as a missionary to the Calvinists, by preparing leaflets explaining the principle doctrines of the Church as opposed to the errors of Calvinism. His best known works are: Philothea, or Introduction to a Devout Life and Theotimus, a treatise on the love of God. At Dijon, in 1604, he became acquainted with St. Jane de Chantal, for whom and through whom he founded the nursing/teaching order known as Visitation Nuns. He died at Lyons on Dec 28, 1622, was beatified in 1661, canonized in 1665, and declared a Doctor of the Church in 1877. He is the special patron of Catholic journalists and the Catholic press.

 

 

 

ON BEING A CHRISTIAN GENTLEMAN

A Christian gentleman is one who practices the supernatural virtues of kindness, meekness, and charity, in thought, in word, and in deed, at all times and under all circumstances. St. Francis de Sales, who was a model in this respect, describes the Christian gentleman in these words: “The man who possesses Christian meekness is affectionate and tender towards everyone. He is disposed to forgive and excuse the frailties of others. The goodness of his heart appears in a sweet affability that influences his words and actions, and presents every object to his view in the most charitable and pleasing light. He never allows himself to use a harsh phrase, much less any language that is haughty or rude. There is always a gentle serenity in his expression which distinguishes him from those violent characters who, with looks full of fury, only know how to say no, or who, when they grant, do it with so bad a grace, that they lose all the merit of the favour they confer.” The world too has its gentlemen who know how to control themselves and to put on an exterior mask of meekness for the sake of material gain or advancement; but theirs is merely a sham meekness which hides their real thoughts and intentions. They are not Christian gentlemen.

The Christian gentleman remains kind and meek even when he is unreasonably harassed and provoked. St. Francis de Sales was often tried in this way when the crowds came to him for help in their various needs, scarcely allowing him a moment to breathe; but he always remained affable, and that encouraged them to come all the more. “God,” says he, “makes use of such occasions to try whether our souls are sufficiently strengthened to bear every attack. I have myself been sometimes in this difficulty; but I made a covenant with my heart and with my tongue, in order to confine them within the bounds of duty... The most powerful remedy against sudden movements of impatience is a sweet and amiable silence. If one speaks at all, however little, self-love will have a share in it, and some word will escape that will sour the heart, and disturb its peace, for a long time. When nothing is said, and cheerfulness is preserved, the storm subsides, anger and indiscretion are put to flight, and the only thing left is a joy, pure and lasting.”

3. The Christian gentleman is kind and loving also towards sinners. When some criticized St. Francis de Sales for being too indulgent toward sinners he replied: “If there were anything more excellent than meekness, God would certainly have taught it to us; and yet there is nothing to which He so earnestly exhorts all, as to me meek and humble of heart. Why would you hinder me from obeying the command of my Lord, and following Him in the exercise of that virtue which He so eminently practiced and so highly esteems? Can we really be better advised in these matters than God Himself?” He justified the tender welcome which he extended to returning apostates by observing: “Are they not a part of my flock? Has not our blessed Lord shed his blood for them, and shall I refuse them my tears? These wolves will be changed into lambs: a day will come when, cleansed from their sins, they will be more precious in the sight of God that we are. If Saul had been cast off, we should never have had a St. Paul.” Of St. Francis de Sales another saint, St. Vincent de Paul, said: “Going over his words in my mind, I have been filled with such admiration that I am moved to see in him the man who, of all others, has most faithfully reproduced the love of the Son of God on earth.”

 

 

 

 

PRAYER OF THE CHURCH

Oh God, by whose gracious will Blessed Francis, Thy confessor and bishop, became all things unto all men for the saving of their souls: mercifully grant, that, being filled with the sweetness of Thy love, we may, through the guidance of his counsels and by the aid of his merits, attain unto the joys of life eternal. Through Christ our Lord. Amen.

 

 

 

 

 

 

 

San Francesco di Sales Vescovo e dottore della Chiesa

24 gennaio

Thorens, Savoia, 21 agosto 1567 - Lione, Francia, 28 dicembre 1622

 

Vescovo di Ginevra, fu uno dei grandi maestri di spiritualità degli ultimi secoli. Scrisse l’Introduzione alla vita devota (Filotea) e altre opere ascetico-mistiche, dove propone una via di santità accessibile a tutte le condizioni sociali, fondata interamente sull’amore di Dio, compendio di ogni perfezione (Teotimo). Fondò con santa Giovanna Fremyot de Chantal l’Ordine della Visitazione. Con la sua saggezza pastorale e la sua dolcezza seppe attirare all’unità della Chiesa molti calvinisti. (Mess. Rom.)

 

Patronato: Giornalisti, Autori, Scrittori, Sordomuti

Etimologia: Francesco = libero, dall''antico tedesco

Emblema: Bastone pastorale

 

Martirologio Romano: Memoria di san Francesco di Sales, vescovo di Ginevra e dottore della Chiesa: vero pastore di anime, ricondusse alla comunione cattolica moltissimi fratelli da essa separati, insegnò ai cristiani con i suoi scritti la devozione e l’amore di Dio e istituì, insieme a santa Giovanna di Chantal, l’Ordine della Visitazione; vivendo poi a Lione in umiltà, rese l’anima a Dio il 28 dicembre e fu sepolto in questo giorno ad Annecy.

(28 dicembre: A Lione in Francia, anniversario della morte di san Francesco di Sales, vescovo di Ginevra, la cui memoria si celebra il 24 gennaio nel giorno della sua deposizione ad Annecy).

 

 

Ascolta da RadioVaticana:

Ascolta da RadioRai:

Ascolta da RadioMaria:

 

 

San Francesco di Sales, vescovo di Ginevra e dottore della Chiesa, è sicuramente il più importante e celebre fiore di santità sbocciato in Savoia, sul versante alpino francese.

Figlio primogenito, Francois nacque il 21 agosto 1567 in Savoia nel castello di Sales presso Thorens, appartenente alla sua antica nobile famiglia. Ricevette sin dalla più tenera età un’accurata educazione, coronata dagli studi universitari di giurisprudenza a Parigi e a Padova. Qui ricevette con grande lode il berretto dottorale e ritornato in patria fu nominato avvocato del Senato di Chambéry. Ma sin dalla sua frequentazione accademica erano iniziati ad emergere i suoi preminenti interessi teologici, culminati poi nelle scoperta della vocazione sacerdotale, che deluse però le aspettative paterne. Nel 1593 ricevette l’ordinazione presbiterale ed il 21 dicembre celebrò la sua prima Messa.

Fu sacerdote zelante ed instancabile lavoratore nella vigna del Signore. Visti gli scarsi frutti che ottenuti dal pulpito, si diede alla pubblicazione di fogli volanti, che egli stesso faceva scivolare sotto gli usci delle case o affiggeva ai muri, meritandosi per questa originale attività pubblicitaria il titolo di patrono dei giornalisti e di quanti diffondono la verità cristiana servendosi dei mezzi di comunicazione sociale. Ma anche quei foglietti, che egli cacciava sotto le porte delle case, ebbero scarsa efficacia.

Spinto da un enorme desiderio di salvaguardare l’ortodossia cristiana, mentre imperversava la Riforma calvinista, Francois chiese volontariamente udienza al vescovo di Ginevra affinché lo destinasse a quella città, simbolo supremo del calvinismo e massima sede dei riformatori, per la difficile missione di predicatore cattolico. Stabilitosi a Ginevra, non si fece remore a discutere di teologia con i protestanti, ardendo dal desiderio di recuperare quante più anime possibili alla Chiesa, ma soprattutto alla causa di Cristo da lui ritenuta più genuina. Il suo costante pensiero era rivolto inoltre alla condizione dei laici, preoccupato di sviluppare una predicazione e un modello di vita cristiana alla portata anche delle persone comuni, immerse nella difficile vita quotidiana. Proverbiali divennero i suoi insegnamenti, pervasi di comprensione e di dolcezza, permeati dalla ferma convinzione che a supporto delle azioni umane vi fosse sempre la provvidenziale presenza divina. Molti dei suoi insegnamenti sono infatti intrisi di misticismo e di nobile elevazione spirituale.I suoi enormi sforzi ed i grandi successi ottenuti in termini pastorali gli meritarono la nomina a vescovo coadiutore di Ginevra già nel 1599, a trentadue anni di età e dopo soli sei anni di sacerdozio. Dopo altri tre anni divenne vescovo a pieno titolo e si spese per l’introduzione nella sua diocesi delle riforme promulgate dal Concilio di Trento. La città rimase comunque nel suo complesso in mano ai riformati ed il novello vescovo dovette trasferire la sua sede nella cittadina savoiarda di Annecy, “Venezia delle Alpi”, sulle rive del lago omonimo.

Fu direttore spirituale di San Vincenzo de’ Paoli. Nel corso della sua missione di predicatore, nel 1604 conobbe poi a Dijon la nobildonna Giovanna Francesca Frèmiot, vedova del barone de Chantal, con cui iniziò una corrispondenza epistolare ed una profonda amicizia che sfociarono nella fondazione dell’Ordine della Visitazione.

“Se sbaglio, voglio sbagliare piuttosto per troppa bontà che per troppo rigore”: in questa affermazione di Francois de Sales sta il segreto della simpatia che egli seppe suscitare tra i suoi contemporanei.

Il duca di Savoia, dal quale Francesco dipendeva politicamente, sostenne l’opera dell’inascoltato apostolo con la maniera forte, ma non addicendosi l’intolleranza al temperamento del santo, quest’ultimo preferì portare avanti la sua battaglia per l’ortodossia con il metodo della carità, illuminando le coscienze con gli scritti, per i quali ha avuto il titolo di dottore della Chiesa. Le sue principali opere furono dunque “Introduzione alla vita devota” e “Trattato dell''amore di Dio”, testi fondamentali della letteratura religiosa di tutti i tempi. Quello dell’amore di Dio fu l’argomento con il quale convinse i recalcitranti ugonotti a tornare in seno alla Chiesa Cattolica.

L’11 dicembre 1622 a Lione ebbe l’ultimo colloquio con la sua penitente e qui morì per un attacco di apoplessia il 28 dello stesso mese nella stanzetta del cappellano delle Suore della Visitazione presso il monastero. Il 24 gennaio 1623 il corpo mortale del santo fu traslato ad Annecy, nella chiesa oggi a lui dedicata, ma in seguito fu posto alla venerazione dei fedeli nella basilica della Visitation, sulla collina adiacente alla città, accanto a Santa Giovanna Francesca di Chantal.Francesco di Sales fu presto beatificato il 8 gennaio 1662 e già tre anni dopo venne canonizzato il 19 aprile 1665 dal pontefice Alessandro VII. Successivamente fu proclamato Dottore della Chiesa nel 1877, nonché patrono dei giornalisti nel 1923.

Il Martyrologium Romanum riporta la sua commemorazione nell’anniversario della morte, cioè al 28 dicembre, ma per l’inopportuna coincidenza con il tempo di Natale, il calendario liturgico della Chiesa universale ha fissato la sua memoria obbligatoria al 24 gennaio, anniversario della traslazione delle reliquie.

San Francesco di Sales, considerato quale padre della spiritualità moderna, ha avuto il merito di influenzare le maggiori figure non solo del “grand siècle” francese, ma anche di tutto il Seicento europeo, riuscendo a convertire al cattolicesimo addirittura alcuni esponenti del calvinismo. Francesco di Sales a ragione può essere considerato uno dei principali rappresentanti dell’umanesimo devoto di tipica marca francese. Fu un vescovo santo, innamorato della bellezza e della bontà di Dio.

E’ infine doveroso ricordare come al suo nome si siano ispirate parecchie congregazioni, tra le quali la più celebre è indubbiamente la Famiglia Salesiana fondata da San Giovanni Bosco, la cui attenzione si rivolge più che altro alla crescita ed all’educazione delle giovani generazioni, con un’attenzione tutta particolare alla cura dei figli delle classi meno abbienti.

 

 

DALLA “INTRODUZIONE ALLA VITA DEVOTA”

Nella creazione Dio comandò alle piante di produrre i loro frutti, ognuna “secondo la propria specie” (Gn 1, 11). Lo stesso comando rivolge ai cristiani, che sono le piante vive della sua Chiesa, perché producano frutti di devozione, ognuno secondo il suo stato e la sua condizione.

La devozione deve essere praticata in modo diverso dal gentiluomo, dall’artigiano, dal domestico, dal principe, dalla vedova, dalla donna non sposata e da quella coniugata. Ciò non basta, bisogna anche accordare la pratica della devozione alle forze, agli impegni e ai doveri di ogni persona.

Dimmi, Filotea, sarebbe conveniente se il vescovo volesse vivere in una solitudine simile a quella dei certosini? E se le donne sposate non volessero possedere nulla come i cappuccini? Se l’artigiano passasse tutto il giorno in chiesa come il religioso, e il religioso si esponesse a qualsiasi incontro per servire il prossimo come è dovere del vescovo? Questa devozione non sarebbe ridicola, disordinata e inammissibile? Questo errore si verifica tuttavia molto spesso. No, Filotea, la devozione non distrugge nulla quando è sincera, ma anzi perfeziona tutto e, quando contrasta con gli impegni di qualcuno, è senza dubbio falsa.

L’ape trae il miele dai fiori senza sciuparli, lasciandoli intatti e freschi come li ha trovati. La vera devozione fa ancora meglio, perché non solo non reca pregiudizio ad alcun tipo di vocazione o di occupazione, ma al contrario vi aggiunge bellezza e prestigio.

Tutte le pietre preziose, gettate nel miele, diventano più splendenti, ognuna secondo il proprio colore, così ogni persona si perfeziona nella sua vocazione, se l’unisce alla devozione. La cura della famiglia è rèsa più leggera, l’amore fra marito e moglie più sincero, il servizio del principe più fedele, e tutte le altre occupazioni più soavi e amabili.

E’ un errore, anzi un’eresia, voler escludere l’esercizio della devozione dall’ambiente militare, dalla bottega degli artigiani, dalla corte dei principi, dalle case dei coniugati. E’ vero, Filotea, che la devozione puramente contemplativa, monastica e religiosa può essere vissuta solo in questi stati, ma oltre a questi tre tipi di devozione, ve ne sono molti altri capaci di rendere perfetti coloro che vivono in condizioni secolari. Perciò dovunque ci troviamo, possiamo e dobbiamo aspirare alla vita perfetta.

 

ORAZIONE DAL MESSALE

O Dio, tu hai voluto che il santo vescovo Francesco di Sales

si facesse tutto a tutti nella carità apostolica:

concedi anche a noi di testimoniare sempre,

nel servizio dei fratelli, la dolcezza del tuo amore.

Per il nostro Signore Gesù Cristo, tuo Figlio, che è Dio,

e vive e regna con Te, nell’unità dello Spirito Santo,

per tutti i secoli dei secoli.

Amen.

 

 

Autore: Fabio Arduino

 

 

Spunti bibliografici su San Francesco di Sales a cura di LibreriadelSanto.it

 

Gilles Jeanguenin, Guarire le ferite dell''anima, Paoline Edizioni, 2011 - 176 pagine

Ghiglione Gianni, San Francesco di Sales, Elledici, 2010 - pagine

Jeanguenin Gilles, San Francesco di Sales e la sua lotta contro..., Paoline Edizioni, 2010 - pagine

Francesco di Sales (san), Giovanna di Chantal, Missione e spirito dell''Ordine della..., Città Nuova, 2009 - 80 pagine

Franceschini Mariagrazia, Breve guida spirituale secondo S. Francesco..., Elledici, 2009 - 104 pagine

Jeanguenin Gilles, I fioretti di San Francesco di Sales...., Gribaudi, 2008 - 96 pagine

Alburquerque Frutos Eugenio, Una spiritualità dell''amore: San Francesco..., Elledici, 2008 - 248 pagine

Passone Cristiano, Il Dio del cuore umano, Glossa Edizioni, 2007 - 558 pagine

Lajeunie Etienne-Marie, San Francesco di Sales e lo spirito salesiano, Elledici, 2007 - 168 pagine

Ghiglione Gianni, Un anno con Francesco di Sales, Elledici, 2006 - 144 pagine

Wirth Morand, Francesco di Sales e l''educazione, LAS Editrice, 2006 - 680 pagine

Tissot Joseph, L'' arte di trarre profitto dai nostri peccati, Chirico, 2006 - 192 pagine

Francesco di Sales (san), Pensando e pregando. Pensieri scelti, San Paolo Edizioni, 2004 - 112 pagine

Francesco di Sales (san), Lettere di amicizia spirituale, Paoline Edizioni, 2003 - 256 pagine

Francesco di Sales (san), Filotea. Introduzione alla vita devota, Shalom, 2003 - 512 pagine

Altri suggeriment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06-01-11

 

 

 

 

 

 

 

 

Saint Francis de Sales

Also known as

Francis of Sales

Gentle Christ of Geneva

the Gentleman Saint

Franz von Sales

 

 

Memorial

24 January

formerly 29 January

23 January (Anglican Church in Wales)

 

 

Profile

 

Born in the castle of Château de Thorens to a well-placed Savoyard family, the eldest of twelve children born to François de Boisy and Françoise de Sionnz. His parents intended that Francis become a lawyer, enter politics, and carry on the family line and power. He studied at La Roche and Annecy in France, taught by Jesuits. Attended the Collège de Clermont in Paris, France at age 12. In his early teens, Francis began to believe in pre-destination, and was so afraid that he was pre-emptorily condemned to Hell that he became ill and eventually was confined to bed. However, in January 1587 at the Church of Saint Stephen, he overcame the crisis, decided that whatever God had in store for him was for the best, and dedicated his life to God.

 

Studied law and theology at the University of Padua, Italy, and earned a doctorate in both fields. He returned home, and found a position as Senate advocate. It was at this point that he received a message telling him to “Leave all and follow Me.” He took this as a call to the priesthood, a move his family fiercely opposed, especially when he refused a marriage that had been arranged for him. However, he pursued a devoted prayer life, and his gentle ways won over the family.

 

Priest. In 1593 he was appointed provost of the diocese of Geneva, Switzerland, a stronghold of Calvinists. Preacher, writer and spiritual director in the district of Chablais. His simple, clear explanations of Catholic doctrine, and his gentle way with everyone, brought many back to the Roman Church. He even used sign language in order to bring the message to the deaf, leading to his patronage of deaf people.

 

Bishop of Geneva in 1602. He travelled and evangelized throughout the Duchy of Savoy, working with children whenever he could. Friend of Saint Vincent de Paul. He turned down a wealthy French bishopric to continue working where God had placed him. With Saint Jeanne de Chantal he helped found the Order of the Visitation . A prolific correspondent, many of his letters have survived.

 

The value of his writings led to his being declared a Doctor of the Church by Pope Blessed Pius IX in 1877, and a patron of writers and journalists by Pope Pius XI in 1923. The Salesians of Don Bosco, the Oblates of Saint Francis de Sales, and the Missionaries of Saint Francis de Sales are named in his honour as is the Saint François Atoll in the Seychelles Islands.

 

 

Born

21 August 1567 at Château de Thorens, Savoy (part of modern France)

Died

28 December 1622 at Lyon, France of natural causes

buried at the basilica of the Visitation, Annecy, France

his heart was preserved as a relic at Lyon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his heart was was moved to Venice, Italy

Beatified

8 January 1662 by Pope Alexander VII

Canonized

19 April 1665 by Pope Alexander VII

 

 

Patronage

against deafness

authors

Baker, Oregon, diocese of

Cincinnati, Ohio, archdiocese of

Catholic press

Champdepraz, Aosta, Italy

Columbus, Ohio, diocese of

confessors

deaf people

educators

journalists

Keimoes-Upington, South Africa, diocese of

teachers

Wilmington, Delaware, diocese of

writers

 

 

Prayers

Prayer I by Saint Francis

Prayer II by Saint Francis

Prayer re Saint Francis

 

 

Representation

bald man with a beard wearing the robes of a bishop while holding a book, and with his heart pierced with thorns

bald man with a beard wearing the robes of a bishop while holding a picture of the Virgn Mary

crown of thorns

heart of Jesus

 

 

Images

Gallery of images of Saint Francis

 

 

Storefront

Commercial Links related to Saint Francis

 

 

Additional Information

Book of Saints, by the Monks of Ramsgate

Catholic Encyclopedia

Catholic Online

Christian Biographies, by James Keifer

Domestic Church, by Catherine Fournier

For All The Saints, by Katherine Rabenstein

Lives of the Saints, by Father Alban Butler

Lives of the Saints, by John J Crawley

New Catholic Dictionary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by Matthew Bunson, Margaret Bunson, and Stephen Bunson

Pictorial Lives of the Saints

Rerum Omnium Perturbationem, by Pope Pius XI

Saint Charles Borromeo Church, Picayune, Mississippi, USA

Saint Francis and the Dynamics of Love, Susanne A Kjekshus Koch

Saints for Now, editor Clare Boothe Luce

The Saints: A Concise Biographical Dictionary, editor John Coulson

Wikipedia

 

 

Writings

 

Introduction to the Devout Life, Saint Francis

Exercise of Virtues

Sermons of Saint Francis on Prayer

Treatise on the Love of God

 

Readings

 

Nothing makes us so prosperous in this world as to give alms. - Saint Francis de Sales

 

It is to those who have the most need of us that we ought to show our love more especially. - Saint Francis de Sales

 

Let us run to Mary, and, as her little children, cast ourselves into her arms with a perfect confidence. Saint Francis de Sales

 

Salvation is shown to faith, it is prepared for hope, but it is given only to charity. Faith points out the way to the land of promise as a pillar of fire hope feeds us with its manna of sweetness, but charity actually introduces us into the Promised Land. Saint Francis de Sales

 

Oh what remorse we shall feel at the end of our lives, when we look back upon the great number of instructions and examples afforded by God and the Saints for our perfection, and so carelessly received by us! If this end were to come to you today, how would you be pleased with the life you have led this year? Saint Francis de Sales

 

We must fear God out of love, not love Him out of fear. Saint Francis de Sales

 

In the royal galley of divine Love, there is no galley slave: all rowers are volunteers. Saint Francis de Sales

 

We are not drawn to God by iron chains, but by sweet attractions and holy inspirations. Saint Francis de Sales

 

Perfection of life is the perfection of love. For love is the life of the soul. Saint Francis de Sales

 

By giving yourself to God, you not only receive Himself in exchange, but eternal life as well. Saint Francis de Sales

 

Man is the perfection of the Universe.

 

The spirit is the perfection of man.

 

Love is the perfection of the spirit, and charity that of love.

 

Therefore, the love of God is the end, the perfection of the Universe. Saint Francis de Sales

 

There are many who say to the Lord, “I give myself wholly to Thee, without any reserve,” but there are few who embrace the practice of this abandonment, which consists in receiving with a certain indifference every sort of event, as it happens in conformity with Divine Providence, as well afflictions as consolations, contempt and reproaches as honor and glory. Saint Francis de Sales

 

One of the principle effects of holy abandonment in God is evenness of spirits in the various accidents of this life, which is certainly a point of great perfection, and very pleasing to God. The way to maintain it is in imitation of the pilots, to look continually at the Pole Star, that is, the Divine Will, in order to be constantly in conformity with it. For it is this will which, with infinite wisdom rightly distributes prosperity and adversity, health and sickness, riches and poverty, honor and contempt, knowledge and ignorance, and all that happens in this life. On the other hand, if we regard creatures without this relation to God, we cannot prevent our feelings and disposition from changing, according to the variety of accidents which occur. - Saint Francis de Sales

 

Some torment themselves in seeking means to discover the art of loving God, and do not know poor creatures that there is no art or means of loving Him but to love those who love Him that is, to begin to practice those thing which are pleasing to Him. - Saint Francis de Sales

 

Our business is to love what would have done. He wills our vocation as it is. Let us love that and not trifle away our time hankering after other people’s vocations. - Saint Francis de Sales

 

Every moment comes to us pregnant with a command from God, only to pass on and plunge into eternity, there to remain forever what we have made of it. - Saint Francis de Sales

 

All of us can attain to Christian virtue and holiness, no matter in what condition of life we live and no matter what our life work may be. - Saint Francis de Sales

 

An action of small value performed with much love of God is far more excellent than one of a higher virtue, done with less love of God. - Saint Francis de Sales

 

Blessed are those whose hearts are ever open to God’s inspiration; they will never lack what they need to live good holy lives, or to perform properly the duties of their state. For just as God gives each animal through its nature the instincts needed for its self-preservation, so if we offer no obstacle to grace he gives each of us the inspirations needed for life, activity and self-preservation on the spiritual level. When we are at a loss what to do, when human help fails us in our dilemmas, then God inspires us. If only we are humbly obedient, he will not let us go astray. Some plants point their flowers at the sun, turn them with it as it moves. The sunflower, however, turns not only its flowers, but its leaves as well. In the same way all God’s chosen ones turn their hearts toward God’s will by keeping his commandments. But those who are utterly filled with charity turn to God’s will by more than mere obedience to his commandments. They also give him their hearts, follow him in all that he commands, counsels or inspires, unreservedly, with no exceptions whatsoever. - Saint Francis de Sales, from Finding God Wherever You Are

 

Anxiety is a temptation in itself and also the source from and by which other temptations come. Sadness is that mental pain which is caused by the involuntary evils which affect us. These may be external such as poverty, sickness, contempt of others or they may be internal such as ignorance, dryness in prayer, aversion, and temptation itself. When the soul is conscious of some evil, it is dissatisfied because of this, and sadness is produced. The soul wishes to be free from this sadness, and tries to find the means for this. If the soul seeks deliverance for the love of God, it will seek with patience, gentleness, humility, and calmness, waiting on God’s providence rather than relying on its own initiative, exertion, and diligence. If it seeks from self-love, it is eager and excited and relying on self rather than God. Anxiety comes from an irregulated desire to be delivered from the evil we experience. Therefore, above all else, calm and compose your mind. Gently and quietly pursue your aim. - Saint Francis de Sales, from Daily Readings with Saint Francis de Sales

 

The highest degree of meekness consists in seeing, serving, honoring, and treating amiably, on occasion, those who are not to our taste, and who show themselves unfriendly, ungrateful, and troublesome to us. - Saint Francis de Sales

 

Make yourself familiar with the angels, and behold them frequently in spirit; for without being seen, they are present with you. - Saint Francis De Sales

 

The virtue of patience is the one which most assures us of perfection. - Saint Francis De Sales

 

To be pleased at correction and reproofs shows that one loves the virtues which are contrary to those faults for which he is corrected and reproved. And, therefore, it is a great sign of advancement in perfection. - Saint Francis de Sales

 

Two mistakes I find common among spiritual persons. One is that they ordinarily measure their devotion by the consolations and satisfactions which they experience in the way of God, so that if these happen to be wanting, they think they have lost all devotion. No, this is no more than a sensible devotion. True and substantial devotion does not consist in these things, but in having a will resolute, active, ready and constant not to offend God, and to perform all that belongs to His service. The other mistake is that if it ever happens to them to do anything with repugnance and weariness, they believe they have no merit in it. On the other hand, there is then far greater merit; so that a single ounce of good done thus by a sheer spiritual effort, amidst darkness and dullness and without interest, is worth more than a hundred pounds done with great facility and sweetness, since the former requires a stronger and purer love. And how great so ever may be the aridities and repugnance of the sensible part of our soul, we ought never to lose courage, but pursue our way as travelers treat the barking of dogs. - Saint Francis de Sales

 

Our greatest fault is that we wish to serve God in our way, not in His way- according to our will, not according to His will. When He wishes us to be sick, we wish to be well; when He desires us to serve Him by sufferings, we desire to serve Him by works; when He wishes us to exercise charity, we wish to exercise humility; when He seeks from us resignation, we wish for devotion, a spirit of prayer or some other virtue. And this is not because the things we desire may be more pleasing to Him, but because they are more to our taste. This is certainly the greatest obstacle we can raise to our own perfection, for it is beyond doubt that if we were to wish to be Saints according to our own will, we shall never be so at all. To be truly a Saint, it is necessary to be one according to the will of God. - Saint Francis de Sales

 

All the science of the Saints is included in these two things: To do, and to suffer. And whoever had done these two things best, has made himself most saintly. - Saint Francis de Sales

 

The greatest fault among those who have a good will is that they wish to be something they cannot be, and do not wish to be what they necessarily must be. They conceive desires to do great things for which, perhaps, no opportunity may ever come to them, and meantime neglect the small which the Lord puts into their hands. There are a thousand little acts of virtue, such as bearing with the importunities and imperfections of our neighbors, not resenting an unpleasant word or a trifling injury, restraining an emotion of anger, mortifying some little affection, some ill-regulated desire to speak or listen, excusing indiscretion, or yielding to another in trifles. These things are to be done by all; why not practice them. The occasions for great gains come but rarely, but of little gains many can be made each day; and by managing these little gains with judgement, there are some who grow rich. Oh, how holy and rich in merits we should make ourselves, if we but knew how to profit by the opportunities which our vocation supplies to us! Yes, yes, let us apply ourselves to follow well the path which is close before us, and to do well on the first opportunity, without occupying ourselves with thoughts of the last, and thus we shall make good progress. - Saint Francis de Sales

 

To be perfect in one’s vocation is nothing else than to perform the duties and offices to which one is obliged, solely for the honor and love of God, referring to His glory. Whoever works in this manner may be called perfect in his state, a man according to the heart and will of God. - Saint Francis de Sales

 

A servant of God signifies one who has a great charity towards his neighbor and an inviolable resolution to follow in everything the Divine Will; who bears with his own deficiencies, and patiently supports the imperfections of others. - Saint Francis de Sales

 

The person who possesses Christian meekness is affectionate and tender towards everyone: He is disposed to forgive and excuse the frailties of others; the goodness of his heart appears in a sweet affability that influences his words and actions, presents every object to his view in the most charitable and pleasing light. - Saint Francis

 

Do not lose courage in considering your own imperfections, but instantly set about remedying them. - Saint Francis de Sales

 

Consider all the past as nothing, and say, like David: Now I begin to love my God. - Saint Francis de Sales

 

One of the things that keep us at a distance from perfection is, without a doubt, our tongue. For when one has gone so far as to commit no faults in speaking, the Holy Spirit Himself assures us that he is perfect. And since the worst way of speaking is to speak too much, speak little and well, little and gently, little and simply, little and charitably, little and amiably. - Saint Francis de Sales

 

It should be our principal business to conquer ourselves and, from day to day, to go on increasing in strength and perfection. Above all, however, it is necessary for us to strive to conquer our little temptations, such as fits of anger, suspicions, jealousies, envy, deceitfulness, vanity, attachments, and evil thoughts. For in this way we shall acquire strength to subdue greater ones. - Saint Francis de Sales

 

There is nothing which edifies others so much as charity and kindness, by which, as by the oil in our lamp, the flame of good example is kept alive. - Saint Francis de Sales

 

When God the Creator made all things, he commanded the plants to bring forth fruit each according to its own kind. He has likewise commanded Christians, who are the living plants of his Church, to bring forth the fruits of devotion, each one in accord with his character, his station, and his calling, I say that devotion must be practiced in different ways by the noblemen and by the working man, by the servant and by the prince, by the widow, by the unmarried girl and by the married woman. But even this distinction is not sufficient; for the practice of devotion must be adapted to the strength, to the occupation and to the duties of each one in particular. Moreover, just as every sort of gem, cast in honey, becomes brighter and more sparkling, each according to its color, so each person becomes more acceptable and fitting in his own vocation when he sets his vocation in the context of devotion. Through devotion your family cares become more peaceful, mutual love between husband and wife becomes more sincere, the service we owe to the prince becomes more faithful, and our work, no matter what it is, becomes more pleasant and agreeable. - from Introduction to the Devout Life by Saint Francis de Sales

 

How displeasing to God are rash judgments! The judgments of the children of men are rash because they usurp the office of Our Lord, the just Judge. They are rash because the principal malice of sin depends on the intention and the counsel of the heart, and these are hidden things not known to human judges. They are rash because every person has things that could be judged, and, indeed, on which one should judge oneself. On the cross our Savior could not entirely excuse the sin of those who crucified him, but he extenuated the malice by pleading their ignorance. When we cannot excuse a sin, let us at least make it worthy of compassion by attributing the most favorable cause we can to it, such as ignorance or weakness. We can never pass judgment on our neighbor. - from Introduction to the Devout Life by Saint Francis de Sales

 

As often as you can during the day, recall your mind to the presence of God. Consider what God is doing, what you are doing. You will always find God’s eyes fixed on you in unchangeable love. Our hearts should each day seek a resting-place on Calvary or near our Lord, in order to retire there to rest from worldly cares and to find strength against temptation. Remember frequently to retire into the solitude of your heart, even while you are externally occupied in business or society. This mental solitude need not be hindered even though many people may be around you, for they surround your body not your heart, which should remain alone in the presence of God. As David said, “My eyes are ever looking at the Lord.” We are rarely so taken up in our exchanges with others as to be unable from time to time to move our hearts into solitude with God. - Saint Francis de Sales

 

Our profit does not depend so much on mortifying ourselves, as upon knowing how to mortify ourselves; that is, upon knowing how to chose the best mortifications, which are those most repugnant to our natural inclinations. Some are inclined to disciplines and fasts, and though they may be difficult things, they embrace them with fervor, and practice them gladly and easily, on account of this leaning which they have toward them. But then they will be so sensitive in regard to reputation and honor, that the least ridicule, disapproval, or slight is sufficient to throw them into a state of impatience and perturbation and to give rise to such complaints as show an equal want of peace and reason. These are the mortifications which they ought to embrace with the greatest readiness, if they wish to make progress. - Saint Francis de Sales

 

The greater part of Christians usually practice incision instead of circumcision. They will make a cut indeed in a diseased part but as for employing the knife of circumcision, to take away whatever is superfluous from the heart, few go so far. - Saint Francis de Sales

 

Undertake all of your duties with a calm mind and try to do them one at a time. If you try to do them all at once, or without order, your spirits will be so overcharged and depressed that they will likely sink under the burden and nothing will be done. In all of your affairs, rely on the Providence of God through which alone you much look for success. Strive quietly to cooperate with its designs. If you have a sure trust in God, the success that comes to you will always be that which is most useful to you, whether it appears good or bad in your private judgment. Think of the little children who with one hand hold fast to their father while with the other they gather berries. If you handle the goods of this world with one hand, you must also always hold fast with the other to your heavenly Father’s hand, and turn toward him from time to time to see if you are pleasing him. Above all, be sure that you never leave his hand and his protection, thinking that with your own two hands you can gather more or get some other advantage. - Saint Francis de Sales, from Introduction to the Devout Life

 

We must intend our own salvation in the way God intends it. God desires that we should be saved. We too need constantly to desire what God desires. God not only means us to be saved, but actually dives us all we need to achieve salvation. So we are not to stop at merely desiring salvation, but go a step further and accept all the graces God has prepared for us, the graces constantly offered to us. It is all very well to say, “I want to be saved.” It is not must use merely saying, “I want to take the necessary steps.” We must actually take the steps. We need to make a definite resolution to take and use the graces God holds out to us. Our wills must be in tune with God’s. Because God wants us to be saved, we should want to be saved. We should also welcome the means to salvation that God intends us to take.that is why general acts of devotion and prayer should always be followed by particular resolutions. - Saint Francis de Sales

 

Love is strong as death since both equally separate the soul from the body and all terrestrial things,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separation is real and effectual when caused by death, whereas that occasioned by love is usually confined to the heart. I say usually, because divine love is sometimes so violent that it actually separates the soul from the body, and, by causing the death of those who love, it renders them infinitely happier than it it bestowed on them a thousand lives. As the lot of the reprobate is to die in sin, that of the elect is to expire in the love and grace of God, which is effected in several ways. Many of the saints died, not only in the state of charity, but in the actual exercise of divine love. Saint Augustine expired in making an act of contrition, which cannot exist without love; Saint Jerome, in exhorting his disciples to charity and the practice of all virtues; Saint Ambrose, in conversing sweetly with his Saviour, whom he had received in the Holy Eucharist; Saint Anthony of Padua also expired in the act of discoursing with our Divine Lord, after having recited a hymn in honor of the ever glorious Virgin; Saint Thomas of Aquinas, with his hands clasped, his eyes raised to heaven, and pronouncing these words of the Canticles, which were the last he had expounded: ” Come, my beloved, let us go forth into the field ” (Canticle 7:2). All the apostles, and the greater number of the martyrs, died in prayer. Venerable Bede, having learned the hour of his death by revelation, went to the choir at the usual hour to sing the evening office, it being the feast of the Ascension, and at the very moment he had finished singing vespers he expired, following his Guide and Master into Heaven, to celebrate His praises in that abode of rest and happiness, round which the shades of night can never gather, because it is illumined by the brightness of the eternal day, which neither dawns nor ends. John Gerson, Chancellor of the University of Paris, remarkable for his learning and virtue, of whom Sixtus of Sienna said, ” that it is difficult to decide whether the vein of piety which runs through his works surpasses his science, or whether his learning exceeds his piety,” after having explained the fifty properties of divine love mentioned in the Canticles, expired at the close of three days, smiling, and pronouncing these words of the same sacred text: ” Thy love, O God, is strong as death ” (Canticle 8:6). The fervor and ardor of Saint Martin at the hour of his death are remarkable. Saint Louis, who has proved himself as great a monarch among the saints as an eminent saint among kings, being attacked by the plague, ceased not to pray, and after receiving the viaticum, he extended his arms in the form of a cross, fixed his eyes on heaven, and, animated with love and confidence, expired in saying with the Psalmist: ” I will come into Thy house, O Lord; I will worship towards Thy holy temple, in Thy fear ” (Psalms 5:8). Saint Peter Celestine, after having endured the most cruel and incredible afflictions ,, seeing the end of his days approach, began to sing like the swan, and terminated his song with his life, by these words of the last Psalm: ” Let every spirit praise the Lord ” (Psalms 150:5). Saint Eusebia, surnamed the Stranger, died kneeling in fervent prayer. Saint Peter the Martyr yielded his last sigh in writing (with his finger, which he had dipped in his blood ) the articles of the faith for which he sacrificed his life, and in saying: “Into Thy hands, O Lord, I commend my spirit ” (Psalms 30:6). The great apostle of the Indies and Japan, Saint Francis Xavier, expired holding a crucifix, which he tenderly embraced, and incessantly repeated in transports of love, ” O Jesus! the God of my heart!” - Saint Francis de Sales, from “On the Love of God”

 

As soon as worldly people see that you wish to follow a devout life they aim a thousand darts of mockery and even detraction at you. The most malicious of them will slander your conversion as hypocrisy, bigotry, and trickery. They will say that the world has turned against you and being rebuffed by it you have turned to God. Your friends will raise a host of objections which they consider very prudent and charitable. They will tell you that you will become depressed, lose your reputation in the world, be unbearable, and grow old before your time, and that your affairs at home will suffer. You must live in the world like one in the world. They will say that you can save your soul without going to such extremes, and a thousand similar trivialities. Philothea, all this is mere foolish, empty babbling. These people aren’t interested in your health or welfare. “If you were of the world, the world would love what is its own but because you are not of the world, therefore the world hates you,” says the Savior. We have seen gentlemen and ladies spend the whole night, even many nights one after another, playing chess or cards. Is there any concentration more absurd, gloomy, or depressing than this last? Yet worldly people don’t say a word and the players’ friends don’t bother their heads about it. If we spend an hour in meditation or get up a little earlier than usual in the morning to prepare for Holy Communion, everyone runs for a doctor to cure us of hypochondria and jaundice. People can pass thirty nights in dancing and no one complains about it, but if they watch through a single Christmas night they cough and claim their stomach is upset the next morning. Does anyone fail to see that the world is an unjust judge, gracious and well disposed to its own children but harsh and rigorous towards the children of God? We can never please the world unless we lose ourselves together with it. It is so demanding that it can’t be satisfied. “John came neither eating nor drinking,” says the Savior, and you say, “He has a devil.” “The Son of man came eating and drinking” and you say that he is “a Samaritan.” It is true, Philothea, that if we are ready to laugh, play cards, or dance with the world in order to please it, it will be scandalized at us, and if we don’t, it will accuse us of hypocrisy or melancholy. If we dress well, it will attribute it to some plan we have, and if we neglect our dress, it will accuse of us of being cheap and stingy. Good humor will be called frivolity and mortification sullenness. Thus the world looks at us with an evil eye and we can never please it. It exaggerates our imperfections and claims they are sins, turns our venial sins into mortal sins and changes our sins of weakness into sins of malice. “Charity is kind,” says Saint Paul, but the world on the contrary is evil. “Charity thinks no evil,” but the world always thinks evil and when it can’t condemn our acts it will condemn our intentions. Whether the sheep have horns or not and whether they are white or black, the wolf doesn’t hesitate to eat them if he can. Whatever we do, the world will wage war on us. If we stay a long time in the confessional, it will wonder how we can have so much to say; if we stay only a short time, it will say we haven’t told everything. It will watch all our actions and at a single little angry word it will protest that we can’t get along with anyone. To take care of our own interests will look like avarice, while meekness will look like folly. As for the children of the world, their anger is called being blunt, their avarice economy, their intimate conversations lawful discussions. Spiders always spoil the good work of the bees. Let us give up this blind world, Philothea. Let it cry out at us as long as it pleases, like a cat that cries out to frighten birds in the daytime. Let us be firm in our purposes and unswerving in our resolutions. Perseverance will prove whether we have sincerely sacrificed ourselves to God and dedicated ourselves to a devout life. Comets and planets seem to have just about the same light, but comets are merely fiery masses that pass by and after a while disappear, while planets remain perpetually bright. So also hypocrisy and true virtue have a close resemblance in outward appearance but they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Hypocrisy cannot last long but is quickly dissipated like rising smoke, whereas true virtue is always firm and constant. It is no little assistance for a sure start in devotion if we first suffer criticism and calumny because of it. In this way we escape the danger of pride and vanity, which are comparable to the Egyptian midwives whom a cruel Pharaoh had ordered to kill the Israelites’ male children on the very day of their birth. We are crucified to the world and the world must be crucified to us. The world holds us to be fools; let us hold it to be mad. - Saint Francis de Sales, from Introduction to the Devine Life

 

MLA Citation

 

“Saint Francis de Sales”. Saints.SQPN.com. 3 December 2010. Web. {today’s date}.

 

 

 

 

 

 

 

FRANCIS de Sales

Also known as

Francis of Sales; Gentle Christ of Geneva; the Gentleman Saint

 

Memorial

24 January

 

Profile

 

Born in a castle to a well-placed family, his parents intended that he become a lawyer, enter politics, and carry on the family line and power. Studied at La Roche, Annecy, Clermont College in Paris, and law at the University of Padua. Doctor of Law. He returned home, and found a position as Senate advocate.

 

It was at this point that he received a message telling him to "Leave all and follow Me." He took this as a call to the priesthood, a move his family fiercely opposed. However, he pursued a devoted prayer life, and his gentle ways won over the family.

 

Priest. Provost of the diocese of Geneva, Switzerland, a stronghold of Calvinists. Preacher, writer and spiritual director in the district of Chablais. His simple, clear explanations of Catholic doctrine, and his gentle way with everyone, brought many back to the Roman Church.

 

Bishop of Geneva at age 35. Travelled and evangelized throughout the Duchy of Savoy, working with children whenever he could. Friend of Saint Vincent de Paul. Turned down a wealthy French bishopric. Helped found the Order of the Visitation with Saint Jeanne de Chantal. Prolific correspondent. Doctor of the Church.

 

Born

1567 at Chateau of Thorens, Savoy

 

Died

28 December 1622 at Lyons; buried at Annecy

 

Beatified

8 January 1662 by Pope Alexander VII

 

Canonized

19 April 1665 by Pope Alexander VII

 

Patronage

authors, diocese of Baker, Oregon, archdiocese of Cincinnati, Ohio, Catholic press, diocese of Columbus, Ohio, confessors, deaf people, deafness, diocese of Wilmington Delaware, educators, journalists, teachers, writers.

 

Readings

 

Nothing makes us so prosperous in this world as to give alms.

-Saint Francis de Sales

----------------------------------------------------------------------------

 

It is to those who have the most need of us that we ought to show our love more especially.

-Saint Francis de Sales

-----------------------------------------------------------------------------

 

Let us run to Mary, and, as her little children, cast ourselves into her arms with a perfect confidence.

 

Saint Francis de Sales

----------------------------------------------------------------------------

 

Salvation is shown to faith, it is prepared for hope, but it is given only to charity. Faith points out the way to the land of promise as a pillar of fire hope feeds us with its manna of sweetness, but charity actually introduces us into the Promised Land.

 

Saint Francis de Sales

-----------------------------------------------------------------------------

 

Oh what remorse we shall feel at the end of our lives, when we look back upon the great number of instructions and examples afforded by God and the Saints for our perfection, and so carelessly received by us! If this end were to come to you today, how would you be pleased with the life you have led this year?

 

Saint Francis de Sales

-----------------------------------------------------------------------------

 

We must fear God out of love, not love Him out of fear.

 

Saint Francis de Sales

-----------------------------------------------------------------------------

 

In the royal galley of divine Love, there is no galley slave: all rowers are volunteers.

 

Saint Francis de Sales

-----------------------------------------------------------------------------

 

We are not drawn to God by iron chains, but by sweet attractions and holy inspirations.

 

Saint Francis de Sales

-----------------------------------------------------------------------------

 

Perfection of life is the perfection of love. For love is the life of the soul.

 

Saint Francis de Sales

-----------------------------------------------------------------------------

 

By giving yourself to God, you not only receive Himself in exchange, but eternal life as well.

 

Saint Francis de Sales

-----------------------------------------------------------------------------

 

Man is the perfection of the Universe.

The spirit is the perfection of man.

Love is the perfection of the spirit, and charity that of love.

Therefore, the love of God is the end, the perfection of the Universe.

 

Saint Francis de Sales

-----------------------------------------------------------------------------

 

There are many who say to the Lord, "I give myself wholly to Thee, without any reserve," but there are few who embrace the practice of this abandonment, which consists in receiving with a certain indifference every sort of event, as it happens in conformity with Divine Providence, as well afflictions as consolations, contempt and reproaches as honor and glory.

 

 

 

 

 

 

 

 

San Francesco di Sales Vescovo e dottore della Chiesa

24 gennaio

Thorens, Savoia, 21 agosto 1567 - Lione, Francia, 28 dicembre 1622

 

Vescovo di Ginevra, fu uno dei grandi maestri di spiritualità degli ultimi secoli. Scrisse l’Introduzione alla vita devota (Filotea) e altre opere ascetico-mistiche, dove propone una via di santità accessibile a tutte le condizioni sociali, fondata interamente sull’amore di Dio, compendio di ogni perfezione (Teotimo). Fondò con santa Giovanna Fremyot de Chantal l’Ordine della Visitazione. Con la sua saggezza pastorale e la sua dolcezza seppe attirare all’unità della Chiesa molti calvinisti. (Mess. Rom.)

 

Patronato: Giornalisti, Autori, Scrittori, Sordomuti

Etimologia: Francesco = libero, dall''antico tedesco

Emblema: Bastone pastorale

 

Martirologio Romano: Memoria di san Francesco di Sales, vescovo di Ginevra e dottore della Chiesa: vero pastore di anime, ricondusse alla comunione cattolica moltissimi fratelli da essa separati, insegnò ai cristiani con i suoi scritti la devozione e l’amore di Dio e istituì, insieme a santa Giovanna di Chantal, l’Ordine della Visitazione; vivendo poi a Lione in umiltà, rese l’anima a Dio il 28 dicembre e fu sepolto in questo giorno ad Annecy.

(28 dicembre: A Lione in Francia, anniversario della morte di san Francesco di Sales, vescovo di Ginevra, la cui memoria si celebra il 24 gennaio nel giorno della sua deposizione ad Annecy).

 

Ascolta da RadioVaticana:

Ascolta da RadioRai:

Ascolta da RadioMaria:

 

 

Nel Ducato Sabaudo visse ed operò San Francesco di Sales, fondatore e primo Preposito dell’Oratorio di Thonon, “gemma della Savoia”, come lo ricordò Paolo VI.

Nato a Thorens il 21 agosto 1567, concluse a Lione i suoi giorni, consunto dalle fatiche apostoliche, il 28 dicembre del 1622, l’anno della canonizzazione di San Filippo Neri, che Francesco conosceva attraverso la Vita scritta dal Gallonio, a lui inviata dall’amico Giovanni Giovenale Ancina. Iscritto nell’albo dei Beati nel 1661, fu canonizzato nel 1665 e proclamato Dottore della Chiesa nel 1887 da Leone XIII.

Francesco di Sales si formò alla cultura classica e filosofica alla scuola dei Gesuiti, ricevendo al tempo stesso una solida base di vita spirituale. Il padre, che sognava per lui una brillante carriera giuridica, lo mandò all’università di Padova, dove Francesco si laureò, ma dove pure portò a maturazione la vocazione sacerdotale. Ordinato il 18 dicembre 1593, fu inviato nella regione del Chablais, dominata dal Calvinismo, e si dedicò soprattutto alla predicazione, scegliendo non la contrapposizione polemica, ma il metodo del dialogo.

Per incontrare i molti che non avrebbe potuto raggiungere con la sua predicazione, escogitò il sistema di pubblicare e di far affiggere nei luoghi pubblici dei “manifesti”, composti in agile stile di grande efficacia. Questa intuizione, che dette frutti notevoli tanto da determinare il crollo della “roccaforte” calvinista, meritò a S. Francesco di essere dato, nel 1923, come patrono ai giornalisti cattolici.

A Thonon fondò la locale Congregazione dell’Oratorio, eretta da Papa Clemente VIII con la Bolla “Redemptoris et Salvatoris nostri” nel 1598 “iuxta ritum et instituta Congregationis Oratorii de Urbe”. Il suo contatto con il mondo oratoriano non riguardò tanto la persona di P. Filippo, quanto quella di alcuni tra i primi discepoli del Santo, incontrati a Roma quando Francesco vi si recò nel 1598-99: P. Baronio, i PP. Giovanni Giovenale e Matteo Ancina, P. Antonio Gallonio.

L’impegno che Francesco svolse al servizio di una vastissima direzione spirituale, nella profonda convinzione che la via della santità è dono dello Spirito per tutti i fedeli, religiosi e laici, fece di lui uno dei più grandi direttori spirituali. La sua azione pastorale - in cui impegnò tutte le forze della mente e del cuore - e il dono incessante del proprio tempo e delle forze fisiche, ebbe nel dialogo e nella dolcezza, nel sereno ottimismo e nel desiderio di incontro, il proprio fondamento, con uno spirito ed una impostazione che trovano eco profondo nella proposta spirituale di San Filippo Neri, la quale risuona mirabilmente esposta, per innata sintonia di spirito, nelle principali opere del Sales - “Introduzione alla vita devota, o Filotea”, “Trattato dell’amor di Dio, o Teotimo” - come pure nelle Lettere e nei Discorsi.

Fatto vescovo di Ginevra nel 1602, contemporaneamente alla nomina dell’Ancina, continuò con la medesima dedizione la sua opera pastorale. Frutto della direzione spirituale e delle iniziative di carità del Vescovo è la fondazione, in collaborazione con S. Francesca Fremiot de Chantal, dell’Ordine della Visitazione, che diffuse in tutta la Chiesa la spiritualità del S. Cuore di Gesù, soprattutto attraverso le Rivelazioni di Cristo alla visitandina S. Margherita Maria Alacocque, con il conseguente movimento spirituale che ebbe anche in molti Oratori, soprattutto dell’Italia Settentrionale, centri di convinta adesione.

 

Autore: Mons. Edoardo Aldo Cerrato CO

 

-----------------------------------------------------------------------------

 

San Francesco di Sales, vescovo di Ginevra e dottore della Chiesa, è sicuramente il più importante e celebre fiore di santità sbocciato in Savoia, sul versante alpino francese.

Figlio primogenito, Francois nacque il 21 agosto 1567 in Savoia nel castello di Sales presso Thorens, appartenente alla sua antica nobile famiglia. Ricevette sin dalla più tenera età un’accurata educazione, coronata dagli studi universitari di giurisprudenza a Parigi e a Padova. Qui ricevette con grande lode il berretto dottorale e ritornato in patria fu nominato avvocato del Senato di Chambéry. Ma sin dalla sua frequentazione accademica erano iniziati ad emergere i suoi preminenti interessi teologici, culminati poi nelle scoperta della vocazione sacerdotale, che deluse però le aspettative paterne. Nel 1593 ricevette l’ordinazione presbiterale ed il 21 dicembre celebrò la sua prima Messa.

Fu sacerdote zelante ed instancabile lavoratore nella vigna del Signore. Visti gli scarsi frutti che ottenuti dal pulpito, si diede alla pubblicazione di fogli volanti, che egli stesso faceva scivolare sotto gli usci delle case o affiggeva ai muri, meritandosi per questa originale attività pubblicitaria il titolo di patrono dei giornalisti e di quanti diffondono la verità cristiana servendosi dei mezzi di comunicazione sociale. Ma anche quei foglietti, che egli cacciava sotto le porte delle case, ebbero scarsa efficacia.

Spinto da un enorme desiderio di salvaguardare l’ortodossia cristiana, mentre imperversava la Riforma calvinista, Francois chiese volontariamente udienza al vescovo di Ginevra affinché lo destinasse a quella città, simbolo supremo del calvinismo e massima sede dei riformatori, per la difficile missione di predicatore cattolico. Stabilitosi a Ginevra, non si fece remore a discutere di teologia con i protestanti, ardendo dal desiderio di recuperare quante più anime possibili alla Chiesa, ma soprattutto alla causa di Cristo da lui ritenuta più genuina. Il suo costante pensiero era rivolto inoltre alla condizione dei laici, preoccupato di sviluppare una predicazione e un modello di vita cristiana alla portata anche delle persone comuni, immerse nella difficile vita quotidiana. Proverbiali divennero i suoi insegnamenti, pervasi di comprensione e di dolcezza, permeati dalla ferma convinzione che a supporto delle azioni umane vi fosse sempre la provvidenziale presenza divina. Molti dei suoi insegnamenti sono infatti intrisi di misticismo e di nobile elevazione spirituale.I suoi enormi sforzi ed i grandi successi ottenuti in termini pastorali gli meritarono la nomina a vescovo coadiutore di Ginevra già nel 1599, a trentadue anni di età e dopo soli sei anni di sacerdozio. Dopo altri tre anni divenne vescovo a pieno titolo e si spese per l’introduzione nella sua diocesi delle riforme promulgate dal Concilio di Trento. La città rimase comunque nel suo complesso in mano ai riformati ed il novello vescovo dovette trasferire la sua sede nella cittadina savoiarda di Annecy, “Venezia delle Alpi”, sulle rive del lago omonimo.

Fu direttore spirituale di San Vincenzo de’ Paoli. Nel corso della sua missione di predicatore, nel 1604 conobbe poi a Dijon la nobildonna Giovanna Francesca Frèmiot, vedova del barone de Chantal, con cui iniziò una corrispondenza epistolare ed una profonda amicizia che sfociarono nella fondazione dell’Ordine della Visitazione.

“Se sbaglio, voglio sbagliare piuttosto per troppa bontà che per troppo rigore”: in questa affermazione di Francois de Sales sta il segreto della simpatia che egli seppe suscitare tra i suoi contemporanei.

Il duca di Savoia, dal quale Francesco dipendeva politicamente, sostenne l’opera dell’inascoltato apostolo con la maniera forte, ma non addicendosi l’intolleranza al temperamento del santo, quest’ultimo preferì portare avanti la sua battaglia per l’ortodossia con il metodo della carità, illuminando le coscienze con gli scritti, per i quali ha avuto il titolo di dottore della Chiesa. Le sue principali opere furono dunque “Introduzione alla vita devota” e “Trattato dell''amore di Dio”, testi fondamentali della letteratura religiosa di tutti i tempi. Quello dell’amore di Dio fu l’argomento con il quale convinse i recalcitranti ugonotti a tornare in seno alla Chiesa Cattolica.

L’11 dicembre 1622 a Lione ebbe l’ultimo colloquio con la sua penitente e qui morì per un attacco di apoplessia il 28 dello stesso mese nella stanzetta del cappellano delle Suore della Visitazione presso il monastero. Il 24 gennaio 1623 il corpo mortale del santo fu traslato ad Annecy, nella chiesa oggi a lui dedicata, ma in seguito fu posto alla venerazione dei fedeli nella basilica della Visitation, sulla collina adiacente alla città, accanto a Santa Giovanna Francesca di Chantal.Francesco di Sales fu presto beatificato il 8 gennaio 1662 e già tre anni dopo venne canonizzato il 19 aprile 1665 dal pontefice Alessandro VII. Successivamente fu proclamato Dottore della Chiesa nel 1877, nonché patrono dei giornalisti nel 1923.

Il Martyrologium Romanum riporta la sua commemorazione nell’anniversario della morte, cioè al 28 dicembre, ma per l’inopportuna coincidenza con il tempo di Natale, il calendario liturgico della Chiesa universale ha fissato la sua memoria obbligatoria al 24 gennaio, anniversario della traslazione delle reliquie.

San Francesco di Sales, considerato quale padre della spiritualità moderna, ha avuto il merito di influenzare le maggiori figure non solo del “grand siècle” francese, ma anche di tutto il Seicento europeo, riuscendo a convertire al cattolicesimo addirittura alcuni esponenti del calvinismo. Francesco di Sales a ragione può essere considerato uno dei principali rappresentanti dell’umanesimo devoto di tipica marca francese. Fu un vescovo santo, innamorato della bellezza e della bontà di Dio.

E’ infine doveroso ricordare come al suo nome si siano ispirate parecchie congregazioni, tra le quali la più celebre è indubbiamente la Famiglia Salesiana fondata da San Giovanni Bosco, la cui attenzione si rivolge più che altro alla crescita ed all’educazione delle giovani generazioni, con un’attenzione tutta particolare alla cura dei figli delle classi meno abbienti.

 

 

DALLA “INTRODUZIONE ALLA VITA DEVOTA”

Nella creazione Dio comandò alle piante di produrre i loro frutti, ognuna “secondo la propria specie” (Gn 1, 11). Lo stesso comando rivolge ai cristiani, che sono le piante vive della sua Chiesa, perché producano frutti di devozione, ognuno secondo il suo stato e la sua condizione.

La devozione deve essere praticata in modo diverso dal gentiluomo, dall’artigiano, dal domestico, dal principe, dalla vedova, dalla donna non sposata e da quella coniugata. Ciò non basta, bisogna anche accordare la pratica della devozione alle forze, agli impegni e ai doveri di ogni persona.

Dimmi, Filotea, sarebbe conveniente se il vescovo volesse vivere in una solitudine simile a quella dei certosini? E se le donne sposate non volessero possedere nulla come i cappuccini? Se l’artigiano passasse tutto il giorno in chiesa come il religioso, e il religioso si esponesse a qualsiasi incontro per servire il prossimo come è dovere del vescovo? Questa devozione non sarebbe ridicola, disordinata e inammissibile? Questo errore si verifica tuttavia molto spesso. No, Filotea, la devozione non distrugge nulla quando è sincera, ma anzi perfeziona tutto e, quando contrasta con gli impegni di qualcuno, è senza dubbio falsa.

L’ape trae il miele dai fiori senza sciuparli, lasciandoli intatti e freschi come li ha trovati. La vera devozione fa ancora meglio, perché non solo non reca pregiudizio ad alcun tipo di vocazione o di occupazione, ma al contrario vi aggiunge bellezza e prestigio.

Tutte le pietre preziose, gettate nel miele, diventano più splendenti, ognuna secondo il proprio colore, così ogni persona si perfeziona nella sua vocazione, se l’unisce alla devozione. La cura della famiglia è rèsa più leggera, l’amore fra marito e moglie più sincero, il servizio del principe più fedele, e tutte le altre occupazioni più soavi e amabili.

E’ un errore, anzi un’eresia, voler escludere l’esercizio della devozione dall’ambiente militare, dalla bottega degli artigiani, dalla corte dei principi, dalle case dei coniugati. E’ vero, Filotea, che la devozione puramente contemplativa, monastica e religiosa può essere vissuta solo in questi stati, ma oltre a questi tre tipi di devozione, ve ne sono molti altri capaci di rendere perfetti coloro che vivono in condizioni secolari. Perciò dovunque ci troviamo, possiamo e dobbiamo aspirare alla vita perfetta.

 

ORAZIONE DAL MESSALE

O Dio, tu hai voluto che il santo vescovo Francesco di Sales

si facesse tutto a tutti nella carità apostolica:

concedi anche a noi di testimoniare sempre,

nel servizio dei fratelli, la dolcezza del tuo amore.

Per il nostro Signore Gesù Cristo, tuo Figlio, che è Dio,

e vive e regna con Te, nell’unità dello Spirito Santo,

per tutti i secoli dei secoli.

Amen.

 

Autore: Fabio Arduino

 

 

Spunti bibliografici su San Francesco di Sales a cura di LibreriadelSanto.it

Ghiglione Gianni, San Francesco di Sales, Elledici, 2013 - 246 pagine

Jeanguenin Gilles, Credere sperare amare con San Francesco di..., Paoline Edizioni, 2013 - 144 pagine

Giuseppe Gioia, Nella luce dell''amore, , 2013 - pagine

Ghiglione Gianni, San Francesco di Sales. Padre, maestro e..., Elledici, 2012 - 200 pagine

Francesco di Sales (San), Esortazioni vol. 6/1, , 2012 - 572 pagine

Francesco di Sale (San), Esortazioni vol. 6/2, , 2012 - 352 pagine

Gilles Jeanguenin, Guarire le ferite dell''anima, Paoline Edizioni, 2011 - 176 pagine

Jeanguenin Gilles, San Francesco di Sales e la sua lotta contro..., Paoline Edizioni, 2010 - 144 pagine

Ghiglione Gianni, San Francesco di Sales, Elledici, 2010 - 48 pagine

Franceschini Mariagrazia, Breve guida spirituale secondo S. Francesco..., Elledici, 2009 - 104 pagine

Francesco di Sales (san), Giovanna di Chantal, Missione e spirito dell''Ordine della..., , 2009 - 72 pagine

Alburquerque Frutos Eugenio, , Elledici, 2008 - 248 pagine

Jeanguenin Gilles, I fioretti di San Francesco di Sales...., Gribaudi, 2008 - 96 pagine

Passoni Cristiano, Il Dio del cuore umano, Glossa Edizioni, 2007 - 558 pagine

Lajeunie Etienne-Marie, San Francesco di Sales e lo spirito salesiano, Elledici, 2007 - 168 pagine

Altri suggerimenti...

 

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14-01-23

 

 

 

St. Francis de Sales

Feastday: January 24

Patron Saint of Journalists, Writers

Birth: 1567

Death: 1622

 

 

Born in France in 1567, Francis was a patient man. He knew for thirteen years that he had a vocation to the priesthood before he mentioned it to his family. When his father said that he wanted Francis to be a soldier and sent him to Paris to study, Francis said nothing. Then when he went to Padua to get a doctorate in law, he still kept quiet, but he studied theology and practiced mental prayer while getting into swordfights and going to parties. Even when his bishop told him if he wanted to be a priest that he thought that he would have a miter waiting for him someday, Francis uttered not a word. Why did Francis wait so long? Throughout his life he waited for God''s will to be clear. He never wanted to push his wishes on God, to the point where most of us would have been afraid that God would give up!

 

God finally made God''s will clear to Francis while he was riding. Francis fell from his horse three times. Every time he fell the sword came out of the scabbard. Every time it came out the sword and scabbard came to rest on the ground in the shape of the cross. And then, Francis, without knowing about it, was appointed provost of his diocese, second in rank to the bishop.

 

Perhaps he was wise to wait, for he wasn''t a natural pastor. His biggest concern on being ordained that he had to have his lovely curly gold hair cut off. And his preaching left the listeners thinking he was making fun of him. Others reported to the bishop that this noble-turned- priest was conceited and controlling.

 

Then Francis had a bad idea -- at least that''s what everyone else thought. This was during the time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and just over the mountains from where Francis lived was Switzerland -- Calvinist territory. Francis decided that he should lead an expedition to convert the 60,000 Calvinists back to Catholicism. But by the time he left his expedition consisted of himself and his cousin. His father refused to give him any aid for this crazy plan and the diocese was too poor to support him.

 

For three years, he trudged through the countryside, had doors slammed in his face and rocks thrown at him. In the bitter winters, his feet froze so badly they bled as he tramped through the snow. He slept in haylofts if he could, but once he slept in a tree to avoid wolves. He tied himself to a branch to keep from falling out and was so frozen the next morning he had to be cut down. And after three years, his cousin had left him alone and he had not made one convert.

 

Francis'' unusual patience kept him working. No one would listen to him, no one would even open their door. So Francis found a way to get under the door. He wrote out his sermons, copied them by hand, and slipped them under the doors. This is the first record we have of religious tracts being used to communicate with people.

 

The parents wouldn''t come to him out of fear. So Francis went to the children. When the parents saw how kind he was as he played with the children, they began to talk to him.

 

By the time, Francis left to go home he is said to have converted 40,000 people back to Catholicism.

 

In 1602 he was made bishop of the diocese of Geneva, in Calvinist territory. He only set foot in the city of Geneva twice -- once when the Pope sent him to try to convert Calvin''s successor, Beza, and another when he traveled through it.

 

It was in 1604 that Francis took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in his life, the step toward holiness and mystical union with God.

 

In Dijon that year Francis saw a widow listening closely to his sermon -- a woman he had seen already in a dream. Jane de Chantal was a person on her own, as Francis was, but it was only when they became friends that they began to become saints. Jane wanted him to take over her spiritual direction, but, not surprisingly, Francis wanted to wait. "I had to know fully what God himself wanted. I had to be sure that everything in this should be done as though his hand had done it." Jane was on a path to mystical union with God and, in directing her, Francis was compelled to follow her and become a mystic himself.

 

Three years after working with Jane, he finally made up his mind to form a new religious order. But where would they get a convent for their contemplative Visitation nuns? A man came to Francis without knowing of his plans and told him he was thinking of donating a place for use by pious women. In his typical way of not pushing God, Francis said nothing. When the man brought it up again, Francis still kept quiet, telling Jane, "God will be with us if he approves." Finally the man offered Francis the convent.

 

Francis was overworked and often ill because of his constant load of preaching, visiting, and instruction -- even catechizing a deaf man so he could take first Communion. He believed the first duty of a bishop was spiritual direction and wrote to Jane, "So many have come to me that I might serve them, leaving me no time to think of myself. However, I assure you that I do feel deep-down- within-me, God be praised. For the truth is that this kind of work is infinitely profitable to me." For him active work did not weaken his spiritual inner peace but strengthened it. He directed most people through letters, which tested his remarkable patience. "I have more than fifty letters to answer. If I tried to hurry over it all, i would be lost. So I intend neither to hurry or to worry. This evening, I shall answer as many as I can. Tomorrow I shall do the same and so I shall go on until I have finished."

 

At that time, the way of holiness was only for monks and nuns -- not for ordinary people. Francis changed all that by giving spiritual direction to lay people living ordinary lives in the world. But he had proven with his own life that people could grow in holiness while involved in a very active occupation. Why couldn''t others do the same? His most famous book, INTRODUCTION TO THE DEVOUT LIFE, was written for these ordinary people in 1608. Written originally as letters, it became an instant success all over Europe -- though some preachers tore it up because he tolerated dancing and jokes!

 

For Francis, the love of God was like romantic love. He said, "The thoughts of those moved by natural human love are almost completely fastened on the beloved, their hearts are filled with passion for it, and their mouths full of its praises. When it is gone they express their feelings in letters, and can''t pass by a tree without carving the name of their beloved in its bark. Thus too those who love God can never stop thinking about him, longing for him, aspiring to him, and speaking about him. If they could, they would engrave the name of Jesus on the hearts of all humankind."

 

The key to love of God was prayer. "By turning your eyes on God in meditation, your whole soul will be filled with God. Begin all your prayers in the presence of God."

 

For busy people of the world, he advised "Retire at various times into the solitude of your own heart, even while outwardly engaged in discussions or transactions with others and talk to God."

 

The test of prayer was a person''s actions: "To be an angel in prayer and a beast in one''s relations with people is to go lame on both legs."

 

He believed the worst sin was to judge someone or to gossip about them. Even if we say we do it out of love we''re still doing it to look better ourselves. But we should be as gentle and forgiving with ourselves as we should be with others.

 

As he became older and more ill he said, "I have to drive myself but the more I try the slower I go." He wanted to be a hermit but he was more in demand than ever. The Pope needed him, then a princess, then Louis XIII. "Now I really feel that I am only attached to the earth by one foot..." He died on December 28, 1622, after giving a nun his last word of advice: "Humility."

 

He is patron saint of journalists because of the tracts and books he wrote

 

 

 

  

 

 

 

 



228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