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은총(grace)의 정의(definition) 외. 가해 부활 제4주일(착한 목자 주일) 온라인 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자료 <가부활4주일>

인쇄

. [121.190.18.*]

2020-04-23 ㅣ No.2047

[내용 보강 일자: 2023년 4월 28일] 

게시자 주 1: (1) 오늘의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동영상게시자 주 2 다음에 있습니다.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47.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341.htm <----- 필히 시청 요망

 

"KF94 마스크 미착용, 착용 시의 커다란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실험 동영상들 - 오미크론 출현 이전인 2021년 10월 14일에 확보한 자료들임" 제목의 졸글에 추가된 중요한 방역 수칙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2: [첫 공지 일자: 2022년 7월 17일(다해 연중 제16주일)]

(1) [PC 혹은 노트북의 경우]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제시된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듣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바로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면, New American Bible (NAB)에서 발췌된 오늘의 영어 전례성경 본문(즉,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들을, 화답송 등과 함께, 청취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에, 이어지는 제(2)항 으로 이동하여 안내대로 하십시오.][원 출처: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http://ch.catholic.or.kr/pundang/4/cbs/Cycle_A/Easter/a_east_5_mp3 <----- 여기를 클릭하라  


[스마트폰의 경우]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제시된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듣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i) 위의 주소를 손가락으로 살짝 누르고 가만히 있으면 가지게 되는 작은 메뉴판 한 개에서, 다른 브라우저로 열기를 선택하십시오. 그런 다음에, (ii) 사용 중인 스마트폰에 이미 열려있는 본글의 브라우저를 찾아서 거기로 이동한 후에,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있는 주소를 누르면,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들을 수 있습니다.

 

2006년 12월 10일(다해 대림 제2주일)부터 지금까지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안내된 English Bible Study 까페[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영어 성경공부 자료실]에서 필자가 지속적으로 전달 제공해온 자료이므로, 여기에 진작에 올려드릴 수도 있었으나, 혹시라도 거부감을 가지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겠다 싶어 그동안 그러지 않았던 것인데,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바로 위의 제(1)항에서 듣게 되는 NAB에서 발췌된 영어 전례성경 본문들 등을 또한 눈으로 직접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lub.catholic.or.kr/community/asp/club/attboard/read.asp?type=attboard&schcode=pundang4biblestudy&seq=8&id=1259 <----- 또한 필독 권고   

 

이것도 또한 여기에 진작에 올려드릴 수도 있었으나, 혹시라도 거부감을 가지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겠다 싶어 그동안 그러지 않았던 것인데,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3) 바로 위에 제(1)항제(2)항 제공의 정보들을 반복적으로 꾸준히 함께 활용하면,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2 끝) 

[이상, 2023년 4월 28일자 내용 보강 끝]     

 

가해 부활 제4주일(착한 목자 주일) 온라인 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자료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동영상 청취 주소: http://pds.catholic.or.kr/Archives/300/1/gnattboard/2839/2/가해부활제4주일.mp4 <-----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가해/나해/다해 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동영상 목록: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13.htm  

동영상 교재: 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해-I, 가톨릭출판사, 2007년.

동영상 교안(敎案)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47.htm

 

시작 기도: 대성호경, 주님의 기도

 

이 십자성가 표적(表迹)으로써, (이마 위에 +)

우리의 주님이신 천주께서는 (입 위에 +)

우리의 원수들로부터 우리를 구하소서. (가슴 위에 +)

성부와 (이마 위에 손끝을 찍음) 

성자와 (배 위에 손끝을 찍음) 

성령의 이름으로. (왼쪽 어깨 위에 손끝을 찍은 후에 그리고 곧바로 직선으로 이동하여 오른쪽 어깨 위에 손끝을 찍음) 

아멘.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저희에게 잘못한 이들을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아멘.

 

<가부활4주일> 가해 부활 제4주일


요한 복음서 10,1-10; 사도행전 2,14.36-41; 1베드로 2.20ㄴ-25

 

오늘의 독서들의 주제: 양 우리(sheepfold) 쪽으로 유일한 문(the gate)으로서, 예수님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lerus/homilies/a_east_4.htm <----- 필독 권고

[주: 교황청 성직자 및 수도자들을 위한 홈페이지 제공]

(발췌 시작)

Theme of the readings 

 

As the gate to the sheepfold, Jesus is the metaphor that summarizes the message of the liturgy. Jesus says of himself: "I tell you most solemnly that I am the gate of the sheepfold" (Gospel). In the Acts of the Apostles, Peter exhorts his listeners: "You must repent … and every one of you must be baptized in the name of Jesus Christ for the forgiveness of your sins" (first reading). Again Peter, in his First Letter, writes: "You had gone astray like sheep, but now you have come back to the shepherd and guardian of your souls" (second reading), showing one of the functions of the gate, which is to protect the flock from anything that could harm it.

 

양 우리(sheepfold) 쪽으로 유일한 문(the gate)으로서, 예수님께서는 오늘 전례의 메시지를 요약하는 은유(metaphor)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 자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는 양들의 문이다." (오늘의 복음 말씀). 사도행전에서, 베드로(Peter)는 자신의 청중들에게 다음과 같이 권고합니다: “회개하십시오. 그리고 저마다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아 여러분의 죄를 용서받으십시오." (오늘의 제1독서). 또다시 베드로는, 자신의 첫 번째 서한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는데, "여러분이 전에는 양처럼 길을 잃고 헤매었지만, 이제는 여러분 영혼의 목자이시며 보호자이신 그분께 돌아왔습니다." (오늘의 제2독서), 이 기술은, 양떼를 해칠 수 있는 어떠한 것으로부터도 이 무리(flock)를 보호하는, 문의 역할/기능(functions)들 중의 하나를 보여줍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오늘의 복음 말씀인 요한 복음서 10,1-10 중에서: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는 양들의 문이다. ...


9 나는 문이다. 누구든지 나를 통하여 들어오면 구원을 받고(will be saved), 또 드나들며 풀밭을 찾아 얻을 것이다.  ...


나는 양들이 생명을 얻고 또 얻어 넘치게 하려고 왔다(I came so that they might have life and have it more abundantly)."

 

(졸번역) 

구함을 받게 될 것이고(will be saved), 또 드나들며 풀밭을 찾아 얻을 것이다.  ...

[주: 이 세상에서의 삶에 있어 일시적 구원에 양들의 참여를 말씀하시는 듯함.]

 

나는 양들이 생명을 얻을 수도 있고 또 더 넉넉하게 얻을 수도 있도록 하고자(might have life and have it more abundantly) 왔다.

[주: 이 세상에서 및 이 세상에서의 삶이 끝난 후에, 희망하는, 영원한 구원에 양들의 참여를 말씀하시는 듯함.]

(이상, 졸번역 끝)

 

공동번역성서 요한 복음서 10,9:

 

출처: http://maria.catholic.or.kr/bible/read/bible_read.asp?menu=bible&m=4&n=50&p=10  

(발췌 시작)

9   나는 문이다. 누구든지 나를 거쳐서 들어 오면 안전할뿐더러 마음대로 드나들며 좋은 풀을 먹을 수 있다.

(이상, 발췌 끝)

 

A.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27.htm <----- 필독 권고

[제목: 빈도수가 높은 성경 용어들; 게시일자: 2020-01-24]

(발췌 시작)

300 salvation 구원 [주: NAB 신약 성경 본문 중에서 총 44번 사용되고 있음.]

242 save 구하다

155 saved 구함을 받은

109 savior 구세주

137 delivered 

(이상, 발췌 끝)

 

오늘의 전례성경이 가르치는 바를 학습하기 위하여,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합시다.

 

유관 보편 교회 문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Lumen Gentium, 제6항

 

출처 1: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east_4.htm <----- 필독 권고

출처 2: http://www.intratext.com/IXT/ENG0037/__P8.HTM 

출처 3: https://www.vatican.va/archive/hist_councils/ii_vatican_council/documents/vat-ii_const_19641121_lumen-gentium_en.html 

출처 4: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92844&path=120726085919&page=83 

출처 5: http://www.cbck.or.kr/Documents/Council 

(출처 1로부터 발췌 시작)

In addition to the title of Good Shepherd, Christ applies to Himself the image of the door into the sheepfold of the Church. "The Church," Vatican II teaches, "is a sheepfold, the sole and necessary gateway to which is Christ (cf. John 10:1-10). It is also a flock, of which God foretold that He Himself would be the shepherd (cf. Isaiah 40:11; Ezekiel 34:11ff), and whose sheep, although watched over by human shepherds, are nevertheless at all times led and brought to pasture by Christ Himself, the Good Shepherd and Prince of shepherds (cf. John 10:11; 1 Peter 5:4), who gave His life for His sheep (cf. John 10:11-1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Lumen Gentium", 6]. 

 

착한 목자라는 칭호에 추가하여, 그리스도께서는 교회(the Church)라는 양 우리 안쪽으로 들어가는 문의 모습을 당신 자신께 적용하십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가르칩니다:

 

"교회(the Church)는, 그리스도 쪽으로 향하는 하나뿐인 그리고 필수적인 통로(gateway)인, 하나의 양 우리(a sheepfold)입니다 (요한 복음서 10,1-10 참조). 교회는 또한 하나의 무리(a flock)인데, 이 무리에 관하여 하느님께서는 당신 자신께서 목자가 장차 될 것이라고 미리 말씀하셨으며(이사야 40,11; 에제키엘 34,11부터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 참조), 그리고 그 양은, 비록 인간인 목자들에 의하여 위험에서 지켜지게(watched over)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시간들에 있어, 착한 목자이시고 목자들의 군왕이신, 그리스도 당신 자신에 의하여 목초지(pasture) 쪽으로 인도되고 그리고 데려오게 되는데 (요한 복음서 10,1-10; 1베드로 5,4 참조), 그분께서는 당신의 양(sheep)을 위하여 당신의 생명을 내어주십니다 (요한 복음서 10,11-1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Lumen Gentium", 6].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B. 일시적 구원(temporal salvation)과 영원한 구원(eternal salvation)의 차이점:



 

가해 부활 제2주일 (자비 주일) 제2독서 1베드로 1,3-9 중의 제5절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에서 발췌:

 

(발췌 시작) 

그리스도교 신앙의 목표인 구원(salvation)은, 하나의 미래의 사건으로서 제시되고 있다. 한 번 구함을 받음(once saved)은 항상 구함을 받음(always saved)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다만 영원한 구원(eternal salvation)에 대한 하나의 희망일 뿐이다. [Salvation, the goal of Christian faith, is presented as a future event. Not once saved, always saved, but a hope for eternal salvation.]

(이상, 발췌 끝)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9.htm <----- 필독 권

[제목: 구원이라는 용어의 성경적 정의(definition) 외; 게시일자: 2011-08-24]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65.htm <----- 필독 권고

[제목: 모세의 구리 뱀과 십자고상의 의미 외; 게시일자: 2012-02-07]

 

주의 사항 한 개: 다수의 [개신교회 측의 선교사들에 의하어 번역된] 한문본 성경들의 요한 복음서 10,9에서, 우리말본 성경들에서와는 달리, "구원"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 않음:

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43&chap=10&sec=9 

 

C. 다른 한편으로, 국내의 우리말본 성경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원(救援)이라는 차용 번역 용어의 출처:


1643년에 초간된 아담 샬 신부님의 "주교연기"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92-1666_아담_샬/1643_주교연기.htm  

(발췌 시작)

주교연기_권1_조물주묘유무형무시무종무소부재_44-49 (<---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2017년 12월 14일) 주: 제26쪽에 "조물주", "무형", "무시무종", "무소부재". "3부즉", "유형", "재", "자주", "환우", "인영", "상물", "물상", "천주", 제27쪽에 "작자", "총작자", "질모", "결의", "자립", "유결", "무결", "유근", "전미", "유형", ""유소부재", "주제", 제28쪽에 "무소부유", "무소부재", "무시", "자생", "자유", "시", "소이연", "무종", "유종", "한시", "무한", "유한시", "주심", "전재", "환우", 제29쪽에 "6합", "구우", "조물자", "소조", "소재", "소존", "무소부재", ""유형제자", "신체", "유소재", "유소부재", "구원", "인심지영", "각", "유신물", "인류", 제30쪽에 "결의", "계", "보존", "주소조", "자소조", "환우" 등의 용어들이 사용됨.] 

 

 

게시자 주: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왼쪽에서 네 번째 열(column)을 보라.

 

(유관 부분 발췌 시작)

每見人罹急難 仰首呼號以望救援 豈徒然哉?

 

사람들이 급난(急難)을 만나면(罹) 머리를 들어올려(仰首) 구원(救援)을 바라기 때문에(以望) 괴로워하면서 큰 소리로 울부짖는(呼號) 것을 매번 보는데, 어찌 그렇게 할 뿐이겠는지요(豈徒)? 

(이상, 유관 부분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발췌 끝) 

 

[내용 추가 일자: 2020년 10월 12일]

게시자 주: 그런데, 바로 위에 발췌된 한문 문장에서, 救援(구원)의 의미는, 예수님의 구속/속량(redemption) 위업의 한 개의 열매/결과로서 입을 수도 있게 되는 혜택인, 그리하여 신약 성경과 가톨릭 교회 교리서 등에서 말하는, "salvation"(구원)을 의미하지 않고, 이와 무관하게, 다만 위험으로부터 구조/구출(rescue)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상, 2020년 10월 12일자 내용 추가 끝]

 

사도행전 2,14.36-41 중의 유관 부분:

 

37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마음 꿰찔리듯 아파하며 ... (Now when they heard this, they were cut to the heart, ...)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형제 여러분,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다.


38 베드로가 그들에게 말하였다. “회개하십시오. 그리고 저마다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아 (Repent and be baptized, every one of you, ...) 여러분의 죄를 용서받으십시오. 그러면 성령(the holy Spirit)을 선물로 받을 것입니다. ...


40 ... "여러분은 이 타락한 세대로부터 자신을 구원하십시오(save)" 하고 타일렀다. 41 베드로의 말을 받아들인 이들은 세례를 받았다. 그리하여 그날에 신자가 삼천 명가량 늘었다.

 

D. ‘마음(mind)’‘심장(heart)’의 차이점: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2.htm <----- 필독 권고

[제목: 심장(heart)과 마음(mind)의 차이점; 게시일자: 2011-03-23]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5.htm <----- 필독 권고

[제목: 주자(朱子)의 心은 마음(nous, mind)이 아니라 인간의 심장(heart)을 말한다; 게시일자: 2017-05-14]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heart.htm <----- 필독 권고

 

E. 회심(conversion)과 회개(repentance)의 차이점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4.htm <----- 필독 권고

[제목: 후회와 회개의 차이점 및 이들 사이의 관계; 게시일자: 2012-11-14]

 

F. 세례명은 하느님께서 나를 부르시는 바로 그 이름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2.htm <----- 필독 권고

[제목: 축일표에 따른 성인, 성녀 모음으로 바로가기..; 게시일자: 2005-03-01]

 

제2독서 1베드로 2.20ㄴ-25 중의 유관 부분:

 

20ㄴ "그러나 선을 행하는데도 겪게 되는 고난을 견디어 내면, 그것은 하느님에게서 받는 은총(grace)입니다." ...


22 “그는 죄를 저지르지도 않았고 그의 입에는 아무런 거짓도 없었다.” 23 그분께서는 모욕을 당하시면서도 모욕으로 갚지 않으시고 고통을 당하시면서도 위협하지 않으시고, 의롭게 심판하시는 분께 당신 자신을 맡기셨습니다. 24 그분께서는 우리의 죄를 당신의 몸에 친히 지시고 십자 나무에 달리시어, 죄에서는 죽은(free from sin) 우리가 의로움(righteousness)을 위하여 살게 해 주셨습니다.


그분의 상처로 여러분은 병이 나았습니다. 25. 여러분이 전에는 양처럼 길을 잃고 헤매었지만, 이제는 여러분 영혼의 목자이시며 보호자이신 그분께 돌아왔습니다.

 

G.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성 금요일 제1독서로 봉독되는 4번째 "고통받는 종의 노래"(이사야 52,13-53,12)에 포함되는, 이사야 53,4-12를 읽도록 하라.

 

%%%%%%%%%%

가해 부활 제4주일 (착한 목자 주일) 전례성경 묵상 동영상(#):
http://pds.catholic.or.kr/Archives/300/1/gnattboard/2839/2/가해부활제4주일.mp4 <----- (클릭하십시오) 은총의 정의(definition) 및 고유한 역할: 27:28-3:10 

 

[안내: 우선적으로, 바로 위에 있는 전례성경 묵상 동영상(#) 주소에 접속하여: 27:28-3:10  [즉, 27분28초-3분10초] 동안 먼저 시청/청취하면, 아래의 내용을 훨씬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name="grace_2047"][본 화면을 갖게 하는 전달용 링크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grace_2047.htm (클릭하지 마십시오)]   

H.

은총(grace)의 정의(definition)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grace(은총)의_정의_1555.htm  <----- 전문 필독 권고

(발췌 시작)

2-3. [은총의 정의(definition) 및 고유한 역할]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5항에 이어서 "은총의 고유한 역할"을 개념적으로 잘 요약하여 설명하고 있는 항은 다음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96항일 것입니다. 그리고 바로 이 항의 두 번째 문장에서, 대단히 간결(簡潔)하게 "은총(恩寵, grace)" 의 정의(definition)가 주어져 있습니다:

 

출처 1: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_P6Z.HTM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96항]
(발췌 시작)

1996 Our justification comes from the grace of God. Grace is favor, the free and undeserved help that God gives us to respond to his call to become children of God, adoptive sons,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and of eternal life.46

 

출처 2: http://www.vatican.va/archive/FRA0013/__P6T.HTM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96항]

(발췌 시작)

1996 Notre justification vient de la grâce de Dieu. La grâce est la faveur, le secours gratuit que Dieu nous donne pour répondre à son appel : devenir enfants de Dieu (cf. Jn 1, 12-18), fils adoptifs (cf. Rm 8, 14-17), participants de la divine nature (cf. 2 P 1, 3-4), de la vie éternelle (cf. Jn 17, 3).

 

1996 우리의 의화(justification)는 하느님의 은총으로부터 옵니다. 은총(恩寵, grace)은 다음과 같이 되라는 당신의 부르심에 화답하도록 하고자 하느님께서 우리들에게 제공하시는, [하느님의 특별한] 우의적(友誼的) 도움(favor)(*), 즉 무상의 그리고 마땅히 받을 만 하지 않은 도움(the free and undeserved help)를 말합니다: 하느님의 자녀들(요한 1,12-18 참조), 입양된 아들들(로마 8,14-17 참조), 신성적 본성(divine nature)의(2 베드로 1,3-4 참조) 그리고 영원한 삶/생명(eternal life)의(요한 17,3 참조) 참가자(partakers)들이 되라.

 

-----

(*) 번역자 주:

(1) "favor""우의적(友誼的) 도움(friendly help)" 로 번역한 것은,
(i) 예를 들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 주어진 "charity(애덕)"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와의 의미/개념들 사이의 상호 관련성 등을 충분하게 고려하면서, 그리고 또한
(ii) 출처 1의 라틴어 사전 및 출처 2의 어원 사전에 주어진 설명을 또한 고려하면서,
(iii) 출처 3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을 따른 것이다:

 

출처 1: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text:1999.04.0059:
entry=gratia&highlight=gratia

출처 2: http://www.etymonline.com/index.php?term=grace&allowed_in_frame=0

출처 3: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favor

 

(2)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 주어진 "charity(애덕)"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65.htm <----- 필독 권고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발췌 끝)

 

"은총"(grace)에 대한 졸글들의 모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grace.htm <----- 필독 권고

 

제25절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east_4.htm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25. The messianic prophecy about the Servant of Yahweh includes the image of the scattered flock (cf. Isaiah 53:6), to which Jesus alludes in His allegory of the Good Shepherd (cf. John 10:11-16). St. Peter, to whom our Lord had given charge of His flock (cf. John 21:15-19), would have had a special liking for imagery connected with shepherding.

 

25. 야훼의 종에 관한 메시아적 예언(the messianic prophecy)은 흩어진 무리의 모습을 포함하는데(이사야 53,6 참조), 예수님께서는 착한 목자에 대한 당신의 우의(寓意)/풍유(諷喩)(allegory)에서(요한 복음서 10,11-16 참조) 그쪽으로 넌지시 암시하십니다. 성 베드로에게 우리의 주님께서 당신의 무리에 대한 책임을 이미 맡기셨는데, 성 베드로(St. Peter)는 양을 보살핌과 연결되는 비유적 표현(imagery)에 대한 어떤 종적인 종아함(a special liking for)을 아마도 가졌을 것입니다.

Jesus Christ is "the Shepherd and Guardian of your souls" and "the chief Shepherd" (1 Peter 5:4). The etymology of the Greek word--"episcopos" (guardian) -- means "overseer"; the word was used in civic life to designate those who were responsible for seeing that the law was kept. In the Dead Sea manuscripts the Hebrew equivalent ("mebaqqer") is used to designate the religious leaders of the schismatic community of Qumran. Whatever might be the origin of the term, in the New Testament the word "episcopos" (bishop) is often used to mean the pastor of the Church (cf., e.g., Acts 20:28; see the note on 1 Peter 5:1-4). Here St. Peter applies to Christ the words the prophet Ezekiel places on the lips of God: "I will seek out My sheep and I will rescue them from all places where they have been scattered" (Ezekiel 34:12). Our Lord founded the Church as a sheepfold "whose sheep, although watched over by human shepherds, are nevertheless at all times led and brought to pasture by Christ Himself, the Good Shepherd and prince of shepherds (cf. John 10:11; 1 Peter 5:4), who gave His life for His sheep (cf. John 10:11-16)" (Vatican II, "Lumen Gentium", 6).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여러분의 영혼들의 목자이고 보호자"이시며 그리고 "수석 목자" (1베드로 5,4)이십니다. 그리스어 단어 - "episcopos" (guardian, 보호자) - 의 어원은 "내려다보는 자"(overseer)이며, 그리고 이 단어는 시민 생활에 있어 법률이 지켜지는지를 바라보는 것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자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과거에 사용되었습니다. 사해 문서들에서 등가인 히브리어("mebaqqer")가 쿰란의 종파분리적 공동체의 경신 지도자(religious leaders)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용어의 어원이 무엇이든지간에, 신약 성경에서 "episcopos" (bishop, 주교)라는 단어는 교회의 감독(pastor)을 의미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사도행전 20,28 참조; 1베드로 5,1-4에 대한 주석을 보라.)  여기서 성 베드로는 예수님께, 다음과 같은, 예언자 에제키엘이 하느님의 입술 위에 놓은 말을 적용합니다: "나는 내 양을 장차 찾아 나설 것이고 그리고 그들이 이미 흩어진 모든 장소들로부터 그들을 내가 장차 구출할(rescue) 것이다" (에제키엘 34,12). 우리의 주님께서는 교회를 하나의 양 우리로서 기초하셨는데,

 

"그 양은, 비록 인간인 목자들에 의하여 위험에서 지켜지게(watched over)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시간들에 있어, 착한 목자이시고 목자들의 군왕이신, 그리스도 당신 자신에 의하여 목초지(pasture) 쪽으로 인도되고 그리고 데려오게 되는데 (요한 복음서 10,1-10; 1베드로 5,4 참조), 그분께서는 당신의 양(sheep)을 위하여 당신의 생명을 내어주십니다 (요한 복음서 10,11-1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Lumen Gentium", 6].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3분 복음/교리 묵상


CCCC 129. 예수님의 부활하신 몸의 상태는 어떠하였는지요?

CCC 645-646

http://ch.catholic.or.kr/pundang/4/a_east_4_c645.htm

 

그리스도의 부활은 이 세상의 생명(earthly life) 쪽으로 어떤 되돌아감(a return)이 아니었습니다. 당신의 부활하신 몸은 십자가 형벌을 받으셨고 그리하여 당신의 수난 자국(marks)들을 가지고 있는 바로 그 몸이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신의 몸은 영광을 받은 거룩한 몸(a glorified Body)이라는 특성과 함께 유일한 신성적 생명(the divine life)에 또한 참여하십니다(participate in).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부활하신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제자들에게 나타나심에 있어, 어떻게 그리고 어디를 당신께서 원하셨든지 간에 그리고 다양한 상황들 아래에서, 전적으로 자유로우셨습니다(utterly free).

 

CCCC 130. 예수님의 부활이 어떻게 가장 거룩한 삼위일체의 일입니까?

CCC 648-650

http://ch.catholic.or.kr/pundang/4/a_east_4_c648.htm

 

그리스도의 부활은 하느님의 초월(超越)하는 일(transcendental work)입니다. [성삼위 하느님의] 세 위격들께서는 당신들께 고유한(proper) 바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함께 활동하십니다(act together): 성부(the Father)께서는 당신의 힘(power)을 명백하게 드러내시고, 성자(the Son)께서는, 성령(the Spirit)께서 생명(life) 쪽으로 데려가시어 영광을 더하신(glorifies) 당신의 몸을 당신의 영혼(soul)과 재결합하심으로써, 당신께서 무상으로 봉헌하셨던 생명(the life)을 “다시 취하십니다”(요한 복음서 10,17),

 

 

마침 기도: 성모송, 영광송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 20시간 

 



542 2

추천

Sun_T_SOH,개신교회_선교사들의_중국_최초진출(1807년)_이전에_도입된_한문문화권_천주교회의_고유한_용어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