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47,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28 ㅣ No.1829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29.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47 장   죽음(*0)

 

 1 黽勉肅雍       민면숙옹         정성 다해 공경하라

                       힘써 구하고 공경하라/(2017년 8월 12일) 부지런히 힘써고 공경하라

    힘써(주: 한한대사전)(黽勉) (제사에서처럼) 엄숙하고 조용하며 정돈되고 화락하도록 하라(주: 한한대사전)(肅雍)

 

주 47-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黽勉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3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B%BD%E5%8B%89 4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B%BD%E5%8B%89 3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黽勉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bb%be%e5%8b%89&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黽勉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9CD1C79D185517BF91C002B18E8501A&cult=TW&bv=1
(발췌 시작)

黽勉

 

    亦作“[黽俛]”【1】勉勵,盡力。{梁啟超}《論變法不知本原之害》:“任此者弗賞﹐弗任者弗罰﹐欲其振厲黽勉圖功﹐烏可得也。”《詩·邶風·谷風》:“黽勉同心﹐不宜有怒。”{毛}傳:“言黽勉者﹐思與君子同心也。”《明史·夏時正傳論》:“{金純}等黽勉奉公﹐當官稱職。”{宋}{蘇軾}《屈原廟賦》:“黽勉於亂世而不能去兮﹐又或爲之臣佐。”【2】勉強。{唐}{吳兢}《貞觀政要·納諫》:“雖黽勉聽受﹐而意終不平。”{宋}{蘇轍}《杭州龍井院訥齋記》:“事聞於朝﹐明年俾復其舊。師黽俛而還﹐如不得已。”{晉}{葛洪}《<抱樸子>自敘》:“乃表請{洪}爲參軍﹐雖非所樂﹐然利避地於南﹐故黽勉就焉。”

(이상, 발췌 끝)

 

주 47-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肅雍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4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2%85%E9%9B%8D 11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2%85%E9%9B%8D 4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肅雍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82%83%e9%9b%8d&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肅雝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BCB4D2470F4C1F5DAB6F5C79D76374A&cult=TW&bv=1
(발췌 시작)

肅雝

 

    亦作“[肅邕]”亦作“[肅雍]”【1】莊嚴雍容, 整齊和諧。形容祭祀時的氣氛和樂聲。《詩·周頌·有瞽》:“喤喤厥聲﹐肅雝和鳴﹐先祖是聽。”{宋}{司馬光}《瞻彼南山詩》:“自堂徂庭﹐上下肅雍﹐靡有不恭。”{清}{錢謙益}《吳門送福清公還閩》詩之二:“上帝高居儼肅雍﹐中書退食敢從容。”《詩·周頌·清廟》:“於穆清廟﹐肅雝顯相。”{毛}傳:“肅﹐敬;雝﹐和。”《漢書·劉向傳》引作“肅雍顯相”。《樂府詩集·郊廟歌辭七·唐禪社首樂章》:“樂以平志﹐禮以和容﹐上帝臨我﹐云胡肅邕。”【2】《詩·召南·何彼襛矣》:“曷不肅雝, 王姬之車。”原指行車之貌。《詩序》則謂:“《何彼襛矣》,美王姬也。雖則王姬,亦下嫁於諸侯,車服不繫其夫,下王后一等,猶執婦道以成肅雝之德也。”后因以“肅雝”為稱頌婦德之辭。{南朝} {梁}{劉潛}《為王儀同謝國姻啟》:“荊布陋飾﹐已膺凡奬;負薪微胤﹐復降肅邕。”{宋}{沈遘}《中書祭秦國夫人》:“惟靈孝友肅雝﹐慈祥溫惠。”{明}{屠隆}《曇花記·法眷聚會》:“其妻{房氏}理家戢衆﹐門戶肅雍;相夫奉姑﹐婦道無缺。”{清}{袁枚}《新齊諧·醫妒》:“一月之間﹐{馬氏}家政肅雍﹐內外無間言。”《後漢書·皇后紀序》:“所以能述宣陰化﹐修成內則﹐閨房肅雍﹐險謁不行也。”

(이상, 발췌 끝)


 2 慌逢殤殂       황봉상조         죽음 앞에 다다르면

      요절(夭折) 또는 장수(長壽)를 금세 만나리라/(2017년 8월 12일) 죽음 갑자기 맞으리라

나이가 스무 살이 되기 이전의 죽음()과 시들어 떨어짐(주: 한한대사전))을 두려워하며(주: 한한대사전)() 만나도록 하라()

 

주 47-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慌逢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5%8C%E9%80%A2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5%8C%E9%80%A2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47-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殤殂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E%A4%E6%AE%82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E%A4%E6%AE%82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3 軀殼匪牢       구각비뢰         뼈와 살은 허약하니

                                 육신(肉身)은 오래가지 않으니

      신체(軀殼)는 손상되고(주: 한한대사전)() 시름에 잠기며(주: 한한대사전)()

 

주 47-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軀殼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2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B%80%E6%AE%BC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B%80%E6%AE%BC 2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軀殼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ba%af%e5%a3%b3&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軀殼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504B5B209D0BA20097064DA55055C3D&cult=TW&bv=1
(발췌 시작)

軀殼

 

    【1】指身體,對精神而言。{熊瑾玎}《聞端綬亦被捕》詩:“軀殼原無用﹐精神自不磨。”{宋}{孔武仲}《松上老藤》詩:“蛇蟠筋脈壯﹐龍死軀殼在。”{清}{李漁}《蜃中樓·傳書》:“如今軀殼雖在{涇河}﹐精靈實歸{柳氏}。”

(이상, 발췌 끝)

 

주 47-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匪牢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C%AA%E7%89%A2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C%AA%E7%89%A2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4 眚慝酸楚       생특산초         죄 숨기면 괴롭다네

                                 작은 허물도 숨기면 쓰리고 아프니라

  과실(過失)(주: 한어대사전)()은 장기(瘴氣)와 고독(蠱毒)의 종류(주: 한어대사전)()이어서 시큰시큰 쑤시고 아프게 하니라(주: 한한대사전)(酸楚)

 

주 47-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眚慝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C%9A%E6%85%9D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C%9A%E6%85%9D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256689DA170F52A3FD1F536366B8C8C&cult=TW&bv=1
(발췌 시작)

 

    《廣韻》所景切,上梗,生。【1】眼睛生翳。《新唐書·西域傳下·拂菻》:“有善醫能開腦出蟲以愈目。”《說文·目部》:“,目病生翳也。”【2】泛指疾病。{唐}{沈既濟}《任氏傳》:“{鄭子}如市,果見一人牽馬求售者,在左股。”【3】疾苦。《文選·張衡<東京賦>》:“勤恤民隱而除其。”{薛綜}注:“,病也。言有隱痛不安者,今憂恤之也。”【4】日月蝕。亦指災異;妖祥。《易·訟》:“九二, 不克訟,歸而逋,其邑人三百戶,無。”{宋}{方鳳}《物異考·異》:“{哲宗}{政和}中,宮中作。狀先若屋倒聲,其形丈餘,彷彿如龍,金眼……兵刃不能施。”{清}{袁枚}《續新齊諧·尸奔》:“蓋槁死之魂,久則成魅,特借新死之體以禍人。無所借,則久而爲。”《左傳·莊公二十五年》:“非日月之不鼓。”{杜預}注:“,猶災也。月侵日爲。”【5】過失。{唐}{元稹}《敕駱怡壽州長史》:“一而去其人,則改行自新之徒蔑由進矣。”{清}{魏源}《圣武記》卷八:“用人者當録其大功而宥其小。”《書·康誥》:“人有小罪非,乃惟終自作,不典式爾,有厥罪小,乃不可不殺。”《左傳·僖公三十三年》:“且吾不以一掩大德。”【6】敗;損壞。《易·說卦》:“其於輿也,爲多。”{李鼎祚}集解引{虞翻}曰:“,敗也。”【7】通“[省]”。削減;減免。《魏書·源懷傳》:“時有詔,以姦吏犯罪,每多逃遁,因乃出,並皆釋然。”《周禮·夏官·大司馬》:“以九伐之灋正邦國,馮弱犯寡則之。”{賈公彥}疏:“瘦其他,使不得強大也。”{清}{李賡蕓}《炳燭編·古字通叚舉例》:“爲省。《春秋》肆大,《公羊》作大省。”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軀殼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39EA4C442A954B8DFB130F2BC632A86&cult=TW&bv=1
(발췌 시작)

 

    《廣韻》他德切,入德,透。【1】邪惡。《書·大禹謨》:“〔{舜}〕負罪引,祗載見{瞽瞍}。”{孔}傳:“,惡。”{孔穎達}疏:“自負其罪,自引其惡。”《國語·魯語上》:“且夫君也者,將牧民而正其邪者也,若君縱私回而棄民事,民旁有,無由省之,益邪多矣。”{韋昭}注:“,惡也。”{唐}{韓愈}《平淮西碑》:“{肅宗}﹑{代宗},{德}祖﹑{順}考,以勤以容;大適去,稂莠不薅。”{清}{陳夢雷}《抒哀賦》:“余躬之載誕兮,皇降衷其猶弗。”【2】指惡人。參見“[作]”。【3】災害;禍患。《國語·晉語八》:“蠱之,穀之飛實生之。”{韋昭}注:“言蠱之爲惡害于嘉穀。”《舊唐書·陸贄傳》:“太上消於未萌,其次救失於始兆,況乎事情已露,禍難垂成,委而不謀,何以制亂?”【4】陰氣。《左傳·莊公二十五年》:“唯正月之朔,未作,日有食之。”{杜預}注:“,陰氣。”《漢書·五行志下之下》:“謂陰爻也,冬至陽爻初起,故曰復。”【5】瘴氣蠱毒之類。《周禮·地官·土訓》:“道地,以辨地物而原其生。”{鄭玄}注:“地,若障蠱然也。”【6】禁諱的語言。《周禮·地官·誦訓》:“掌道方,以詔辟忌,以知地俗。”{鄭玄}注:“方,四方言語所惡也。”【7】通“[忒]”。變更;差失。《詩·鄘風·柏舟》:“髧彼兩髦,實維我特。之死矢靡。”{馬瑞辰}通釋:“,當爲忒之同音假借。”《國語·周語下》:“若視聽不和……於是乎有狂悖之言,有眩惑之明,有轉易之名,有過之度。”{王引之}《經義述聞·國語上》:“此字當讀爲忒。忒,差也。”《漢書·王嘉傳》:“臣之有作威作福玉食;害于而家,兇于而國,人用側頗辟,民用僭。”

(이상, 발췌 끝)

 

주 47-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酸楚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2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5%B8%E6%A5%9A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5%B8%E6%A5%9A 1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酸楚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85%b8%e6%a5%9a&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酸楚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8DDE70683CCF1BD340629A5A437FB58&cult=TW&bv=1
(발췌 시작)

酸楚

 

    【1】悲痛凄楚。{宋}{周煇}《清波雜志》卷四:“放臣逐客﹐一旦棄置遠外﹐其憂悲憔悴之嘆﹐發爲詩什﹐特爲酸楚。”{晉}{袁宏}《後漢紀·靈帝紀上》:“上釋皇乾震動之怒﹐下解黎庶酸楚之情也。”{周立波}《暴風驟雨》第一部二十:“他的心涌起一陣陣的酸楚﹐他的眼睛濕潤了。”【2】酸疼痛楚。《太平廣記》卷三〇六引《河東記·盧佩》:“{佩}即先入白母。母方呻吟酸楚之次﹐聞{佩}言﹐忽覺小瘳。”{清}{袁枚}《續新齊諧·大通和尚》:“進士骨節酸楚﹐腹中雷鳴﹐溲溺俱下。”

(이상, 발췌 끝)


 5 涕淚悚惶       체루송황         눈물 흘려 근심하며

                                 눈물과 두려움에서/(2017년 8월 12일) 눈물과 두려움에

   소리내어 슬피 울며 근심하고(주: 한어대사전)(涕淚) 두렵고 무서워 하면서(주: 한한대사전)(悚惶)

 

주 47-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涕淚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4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6%95%E6%B7%9A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6%95%E6%B7%9A 5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涕淚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6%95%e6%b3%aa&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涕淚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BAB957BF0ED1DED521C1BB275A91BCD&cult=TW&bv=1
(발췌 시작)

涕淚

 

    【1】涕淚俱下;哭泣。{清}{蒲松齡}《聊齋志異·紉針》:“妻攜女歸告兩弟。兩弟任其涕淚﹐並無一詞肯爲設處。”《三國志·魏志·趙王幹傳》“{黃初}二年﹐進爵﹐徙封{燕王}”{裴松之}注引{三國}{魏}{魚豢}《魏略》:“{良}年小常呼{文帝}爲阿翁。{帝}謂{良}曰:‘我汝兄耳!’{文帝}又愍其如是﹐每爲涕淚。”{唐}{杜甫}《公安送韋二少府匡贊》詩:“古往今來皆涕淚﹐斷腸分手各風煙。”【2】鼻涕和眼淚。亦專指眼淚。《兒女英雄傳》第三四回:“他就接連不斷地打了無數的噴嚏﹐鬧得涕淚交流。”{漢}{王粲}《贈蔡子篤》詩:“中心孔悼﹐涕淚漣洏。”{宋}{司馬光}《送張兵部知遂州》詩:“聞道{西州}遺畫像﹐使我涕淚空霑衣。”{北齊}{顏之推}《顏氏家訓·風操》:“然人性自有少涕淚者﹐腸雖欲絶﹐目猶爛然。”

(이상, 발췌 끝)

 

주 47-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悚惶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2%9A%E6%83%B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2%9A%E6%83%B6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悚惶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8D940766D74894C2F315D0BFA8B49A6&cult=TW&bv=1

(발췌 시작)

悚惶

 

    亦作“[悚皇]”【1】猶惶恐。{清}{夏燮}《中西紀事·庚申換約之役》:“敢皇上聖鑒﹐不勝悚皇屏營之至。”《鏡花緣》第六八回:“當日讀書東朝﹐既未樹援﹐此時回國﹐亦豈另有腹心!勢甚孤而年又稚﹐安得不時切悚惶!”{魯迅}《集外集拾遺補編·關于<子見南子>》:“激憤陳詞﹐無任悚惶待命之至。”{明}{徐渭}《與許口北書》:“失候二公高蓋﹐悚惶悚惶。”

(이상, 발췌 끝)


 6 頻挈伴侶       빈설반려         자주자주 친구 함께

                       자주 짝을 이끌어 와/(2017년 8월 12일) 자주 동료 이끌어와

자주() 동반하는 바(伴侶)를 들추어내어(주: 한한대사전)() [(2017년 8월 12일) 주: 번역 오류를 바로잡음]

 

주 47-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頻挈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0%BB%E6%8C%88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0%BB%E6%8C%88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47-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伴侶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3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C%B4%E4%BE%B6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C%B4%E4%BE%B6 3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伴侶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c%b4%e4%be%a3&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伴侶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4FFA639D03B010DBAE233DFEB8568C7&cult=TW&bv=1
(발췌 시작)

伴侶

 

    【1】同伴;伙伴。{宋}{楊萬里}《歸路過南溪橋》詩:“童子隔溪呼伴侶﹐併驅水牯過溪來。”{葉圣陶}《倪煥之》一:“等候在前頭的﹐是志同道合的伴侶。”《百喻經·伎兒著戲羅剎服共相驚怖喻》:“時行伴中從睡寤者﹐卒見火邊有一羅剎……一切伴侶悉皆逃奔。”【2】古曲名。傳為{北齊}后主{高緯}所作,音極哀怨。《文獻通考·樂十五》:“〔{北齊}〕{後主}亦自能度曲……別採新聲﹐爲《無愁》﹑《伴侶》曲﹐音韻窈窕﹐極於哀思。使胡兒﹑閹宦輩齊唱和之﹐曲終樂闋﹐莫不隕涕。”《舊唐書·音樂志一》:“今《玉樹》﹑《伴侶》之曲﹐其聲具存。”{宋}{司馬光}《和范景仁緱氏別後見寄求決樂議》:“{唐}民聽《伴侶》﹐不復含悲酸。”《舊唐書·音樂志一》:“{齊}將亡也﹐而爲《伴侶曲》。”【3】指夫妻或夫妻中的一方。{茅盾}《創造》:“他要研究各種學問﹐他要我找一個理想的女子做生活中的伴侶。”{巴金}《滅亡》第三章:“他想這就是她的終身伴侶了。”如:結為伴侶

(이상, 발췌 끝)


 7 旦肄旬諏       단이순추         매일매일 공부하며

                                 아침마다 살펴보고 열흘마다 자문(諮問)하며

   아침()부터 수고하고/살펴보고(주: 한한대사전)() 열흘()마다 자문(諮問)하여()

 

주 47-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旦肄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7%A6%E8%82%84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7%A6%E8%82%84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47-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旬諏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7%AC%E8%AB%8F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7%AC%E8%AB%8F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8 警惕臭腐       경척취부         육신 부패 경계하라

                                 썩는 냄새 두려워해야 하니라

          썩는 냄내 나는 것(臭腐)을 경계하고() 두려워해야() 하느니라

 

주 47-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警惕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D%A6%E6%83%95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D%A6%E6%83%95 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警惕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C467DA27613B241BB1CE8DFEC829B5D&cult=TW&bv=1

(발췌 시작)

警惕

 

    【1】保持警覺﹐小心戒備。《朱子語類》卷九七:“湛然純一之謂齋﹐肅然警惕之謂戒。”{峻青}《海嘯》第二章十九:“他警惕著意外事情的發生﹐做著最壞的準備。”{明}{王直}《鐘銘》:“嗟爾子孫﹐警惕弗愆。”

(이상, 발췌 끝)

 

주 47-8-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臭腐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7%AD%E8%85%90 15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7%AD%E8%85%90 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臭腐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87%ad%e8%85%9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臭腐神奇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163F0D4C95BFF5EEF3A41FED69132AE&cult=TW&bv=1

(발췌 시작)

臭腐神奇

 

    【1】《莊子·知北游》:“是其所美者爲神奇﹐其所惡者爲臭腐臭腐復化爲神奇﹐神奇復化爲臭腐。故曰﹐通天下一氣耳。”意謂同一事物﹐其是非美丑﹐隨人之好惡而異。后以之謂化無用為有用;化廢為寶。{明}{宋應星}《天工開物·蜂蜜》:“凡蜂釀蜜……咀嚼花心汁﹐吐積而成﹐潤以人小遺﹐則甘芳並至﹐所謂臭腐神奇也。”{明}{宋應星}《丹麴》:“凡丹麴一種﹐法出近代。其義臭腐神奇﹐其法氣精變化。”

(이상, 발췌 끝)

 


右節言, 人當勤求於道, 致敬盡禮, 畏死亡之日近, 而知肉體之牢, (주: 위의 본문 제3절을 볼 때에,  글자가 빠진 것으로 판단됨)
우절언, 인당근구어도, 치경진례, 외사망지일근, 이지육체지뢰,


罪惡之未免, 邀結同志, 恐懼祈求,
죄악지미면, 요결동지, 공구기구,


蓋深惕臭腐之期, 靈魂之失於救耳.
개심척취부지기, 영혼지실어구이.


黽勉, 勤求也. 肅, 誠敬. 雍, 和順. 夭死曰, 殤. 壽死曰, 殂.
민면, 근구야. 숙, 성경. 옹, 화순. 요사왈, 상. 수사왈, 조.


軀殼, 肉身也. 眚, 小罪. 慝, 隱惡. 悚惶, 恐懼之貌.
구각, 육신야. 생, 소죄. 특, 은악. 송황, 공구지모.

 

윗절은 사람이 마땅히 道를 부지런히 구하여야 함을 말씀하신 것이다. 禮를 다하여 정성되이 공경하며 죽을 날이 가까워 옴을 두렵게 생각하고 육신의 굴레 속에서 죄악을 면하지 못하고 있음을 깨달아 동지들과 요결하며 두렵고 송구한 마음으로 기구하여라. 이는 대개 육신이 썩는 날 영혼의 구원을 잃을까 깊이 염려함인 것이다.


민면(黽勉)은 부지런히 구함, 숙(肅)은 정성스럽게 공경함, 옹(雍)은 부드럽게 순종함이다. 일찍 죽는 것을 상(殤)이라 하고, 오래 살다 죽는 것을 조(殂)라고 한다. 구각(軀殼)은 육신이며, 생(眚)은 모르고 지은 작은 죄이다. 특(慝)은 악을 숨긴다는 뜻이다. 송황(悚惶)은 두려워하는 모습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81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