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꼭필독] 하느님의 사랑 < 하느님의 속성들 < Ia q20 신학 대전 여행 [신학대전여행] [성경용어_사랑] 773_love [교리용어_사랑][영어본 신학대전 번역 오류]

인쇄

사랑 3/4 신학대전여행 [122.128.45.*]

2011-06-21 ㅣ No.1070

 
게시자 주:
 
 
여기를 클릭하면, "사랑(love)"에 대한 글들 전부를 순서대로 읽을 수 있습니다. [링크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concept_of_love.htm]
----------
 
 
20. 하느님의 사랑
 

1. Where there is will there is love, for love is the fundamental act of will. Since God is will, God is love.

 

1. 의지(will)가 있는 곳에 사랑(love)이 있는데, 이는 사랑이 의지의 근본적 행위(fundamental act)이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의지이시므로, 하느님께서는 사랑이십니다.

 

2. God loves all existing things, that is, things that have positive being. For these things exist by God's will, that is, by his love. To love a thing is to will the thing and to will good to it. God wills the existence, essence, and perfections of existing things; hence he loves these things. God's love is not like human love which is attracted to things by the good it finds in them; God's love causes the good in things.

 

2. 하느님께서는 존재하는 사물들, 즉, 실재하는 있음(positive being)을 가진 사물들, 모두를 사랑하십니다. 이는 이러한 사물들이 하느님의 의지(God's will)에 의하여, 즉(that is), 당신의 사랑(his love)에 의하여,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물을 사랑하는 것(to love)은 그 사물을 의도하는 것(to will)이며 그리고 그것에 선(good)을 의도하는 것(to will)입니다. 하느님께서는 본질인 존재를, 그리고 존재하는 사물들의 완미(完美)(perfections)들을 의도하시며(wills), 그리하여 그 결과 당신께서는 이러한 사물들을 사랑하십니다. 하느님의 사랑(God's love)은, 사물들에서 발견하는 선한 것(the good)들에 의하여 사물들 쪽으로 끌려가게 되는(is atttacted to)인간의 사랑(human love)(*)비슷하지(like) 않은데, 이는 하느님의 사랑은 사물들 안에 있는 선한 것(the good)들의 원인(cause)이기 때문입니다.

 

-----
번역자 주 1 : 여기서 "사랑(love)"이 "의지(will)의 근본적 행위"로 정의되고 있다. 따라서, 바로 여기서, "사랑하다(to love)"의지(will)의 동사형으로 정의된다(is defined). 다음의 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5항에 있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love(사랑)" 용어에 대한 설명을 또한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86.htm
<----- 필독 권고

 

번역자 주 2 : 그리스도인의 사랑(애덕, Christian love, charity, caritas, agape)의 가톨릭 계약 신학적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으니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35.htm <----- 필독 권고

 

(*) 번역자 주: 사물들에서 발견하는 선한 것(the good)들에 의하여 사물들 쪽으로 끌려가게 되는(is attracted to)인간의 사랑(human love)"원초적 사랑(primal love, primordial love)"이라고 불린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8.htm <----- 필독 권고

-----

 

3. God loves some things more than others inasmuch as he confers more perfection on some things than on others. A plant has more perfection than a lifeless body; an animal has more perfection than a plant; a human being has more perfection than an animal. In each case, greater perfection means greater love of God for that reality.

 

3. 하느님께서는, 당신께서 다른 사물들보다 더 많은 완미(完美, perfection)를 어떤 사물들에 수여하시는 한(inasmuch as), 다른 사물들보다 어떤 사물들을 더 사랑하십니다. 식물은 생명이 없는 몸체보다 더 완미(完美)하며, 동물은 식물보다 더 완미(完美)하며, 그리고 사람은 동물보다 더 완미(完美)합니다. 각 경우에 있어, 더 큰 완미(完美)는 바로 그 실체에 대한 하느님의 더 큰 사랑을 뜻합니다. 

 

4. God wills or loves the better things more than others inasmuch as these better things have more good from the divine will.

 

4. 하느님께서는, 이들 더 나은 사물들이 신성적 의지(the divine will)로부터 더 나은 선을 가지고 있는 한, 다른 사물들 보다 더 나은 사물들을 의도하시거나(wills) 혹은 사랑하십니다(loves).

 

-----
번역자 주: 이상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의 약 600여 개에 달하는 각 문항(Questions)들에 대한 "압축된 바꾸어 말하기"인 Paul J. Glenn 몬시뇰(1893-1957)의 저서: "A Tour of the Summa(신학대전여행)"의 Ia q20 하느님의 사랑 이며, 이하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q20 하느님의 사랑 전문이다.
-----

 

==============================

 

출처 1: http://www.newadvent.org/summa/1020.htm
출처 2: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__PK.HTM

 

신학 대전 Ia

 

Question 20. God's love

 

We next consider those things that pertain absolutely to the will of God. In the appetitive part of the soul there are found in ourselves both the passions of the soul, as joy, love, and the like; and the habits of the moral virtues, as justice, fortitude and the like. Hence we shall first consider the love of God, and secondly His justice and mercy. About the first there are four points of inquiry:

 

우리는 이어서 하느님의 의지에 절대적으로 적합한(pertain ablolutely to) 바로 그러한 사물들을 고찰합니다(consider). 영혼의 욕구적 부분(appetitive part) 안에서, 기쁨(joy), 사랑(love), 등과 같은 영혼의 정(情, passions)들, 그리고 정의(justice), 굳셈(fortitude) 등과 같은 윤리적 덕(the moral virtues)들이라는 습관들 둘 다가 우리 자신들 안에서 발견됩니다. 따라서 우리는 첫 번째로 하느님의 사랑을 고찰하며, 그리고 두 번째로 당신의 정의(의로움)과 자비(mercy)를 고찰합니다. 이 첫 번째에 관하여 질문에 대한 네 개의 요지들이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1. Does love exist in God?
2. Does He love all things?
3. Does He love one thing more than another?
4. Does He love more the better things?

 

Article 1. Whether love exists in God?

 

제1항 사랑이 하느님 안에 존재하는지?

 

Objection 1. It seems that love(amor) does not exist in God. For in God there are no passions. Now love(amor) is a passion. Therefore love(amor) is not in God.

 

반대 1. 사랑(love, amor)이 하느님 안에 존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는 하느님 안에는 어떠한 정(情, passions)들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사랑(love, amor)은 한 개의 정(情)입니다. 그러므로 사랑(love, amor)은 하느님 안에 있지 않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love(amor), anger, sorrow and the like, are mutually divided against one another. But sorrow and anger are not attributed to God, unless by metaphor. Therefore neither is love(amor) attributed to Him.

 

반대 2. 게다가, 사랑(love, amor), 분노(anger), 후회(sorrow) 등들은 서로에 반하여 상호간에 나누어집니다. 그러나 후회와 분노는, 비유(metaphor)에 의하여서가 아니면, 하느님께 귀착시켜지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또한 사랑(love, amor)도 그분께 귀착시켜질 수가 없습니다.

 

Objection 3. Further, Dionysius says (Div. Nom. iv): "Love(amor) is a uniting and binding force." But this cannot take place in God, since He is simple. Therefore love(amor) does not exist in God.

 

반대 3. 게다가, 디오니시오(Dionysius)(Div. Nom. iv)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사랑(love, amor)은 한 개의 결합시키로 그리고 묶는 힘이다." 그러나 이것은 하느님 안에서 일어날 수 없는데, 왜냐하면 당신께서는 단체(單體)적(simple)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사랑(love, amor)은 하느님 안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On the contrary, It is written: "God is love(caritas)" (John 4:16).

 

이와는 달리, "하느님께서는 사랑(love, caritas)이시다"(요한 복음서 4,16)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1) 영어로 번역된 문장들 만으로는 절대로 구분됨을 알 수 없으나, 그러나 라틴어 원문에서 사용된 단어들에 의하여 우리는 사랑(love, amor)과 사랑(love, caritas)이 동일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2) 사실, 사랑(love)에는 (i) 행위(act) 혹은 정(情, passion)을 거쳐 심장 바깥쪽으로 표현되는 amor[concupiscence, 사욕(私欲)/사욕편정(私欲偏情)], (ii) 한 개의 습관과 같은 amor[amicitia, friendship, 우의(友誼)], (iii) 행위(act) 혹은 정(情, passion)을 거쳐 심장 바깥쪽으로 표현되는 dilectio[dilection, 애호(?好)/애모(?慕), 즉, 의지(즉, 이성적 욕구(rational appetite)/지성적 욕구(intellective appetite)가 선택하는 amor], 그리고 (iv) caritas[charity, 애덕(愛德)] 이렿게 네 종류들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그 태생에 의하여, 하느님 안에 결코 있을 수 없는 것은, 아담과 하와의 원죄의 결과로 우리들에게 부모들로부터 전달되는, amor[concupiscence, 사욕(私欲)/사욕편정(私欲偏情)]뿐이다.  

 

(3) amor[concupiscence, 사욕(私欲)/사욕편정(私欲偏情)]는 (i) 감각적 욕구(sensitive appetive), (ii) 의지, 이들 둘 안에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특히 의지 안에 있는 amor[concupiscence, 사욕(私欲)/사욕편정(私欲偏情)]는 dilectio[dilection, 애호(?好)/애모(?慕), 즉, 의지가 선택하는 amor]와 동일하다.

 

(4) 또 다른 한편으로, 하느님 안에 있는 caritas[charity, 애덕(愛德)]은 amor[amicitia, friendship, 우의(友誼)]와 dilectio[dilection, 애호(?好)/애모(?慕)] 둘 다의 완미(perfection)이기 때문에, 단순히 amor가 하느님 안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코 결론내릴 수 없는 것이다.

 

(5 지금 지적한 바는, 다음에 있는, 신학 대전 Ia, iiae, q26, a3에 더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는 바에 근거한 것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74.htm [영문본과 영문본의 우리말 번역문]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
Summa-IIa-26-29.htm#q26a3
 [라틴어 원문 및 영문본]

-----

 

I answer that, We must needs assert that in God there is love(amorem): because love(amor) is the first movement of the will and of every appetitive faculty. For since the acts of the will and of every appetitive faculty tend towards good and evil, as to their proper objects: and since good is essentially and especially the object of the will and the appetite, whereas evil is only the object secondarily and indirectly, as opposed to good; it follows that the acts of the will and appetite that regard good must naturally be prior to those that regard evil; thus, for instance, joy is prior to sorrow, love(amor) to hate: because what exists of itself is always prior to that which exists through another. Again, the more universal is naturally prior to what is less so. Hence the intellect is first directed to universal truth; and in the second place to particular and special truths. Now there are certain acts of the will and appetite that regard good under some special condition, as joy and delight regard good present and possessed; whereas desire and hope regard good not as yet possessed. Love(amor), however, regards good universally, whether possessed or not. Hence love(amor) is naturally the first act of the will and appetite; for which reason all the other appetite movements presuppose love(amorem), as their root and origin. For nobody desires anything nor rejoices in anything, except as a good that is loved(amato): nor is anything an object of hate except as opposed to the object of love(amatae). Similarly, it is clear that sorrow, and other things like to it, must be referred to love(amorem) as to their first principle. Hence, in whomsoever there is will and appetite, there must also be love(amorem): since if the first is wanting, all that follows is also wanting. Now it has been shown that will is in God (19, 1), and hence we must attribute love(amorem) to Him.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우리는 하느님 안에 사랑(love, amorem)이 있다고 반드시 강력히 주장하여야(assert) 하는데, 왜냐하면 사랑(love, amorem)은 의지(will)의 그리고 욕구를 수행하는 능력(appetitive faculty) 모두의 첫 번쨰 움직임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의지(will)의 그리고 욕구를 수행하는 능력(appetitive faculty) 모두의 행위들은, 그들의 고유한 대상들에 대하여, 선과 악 쪽으로 향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리고 선(good)는 본질적으로(essentially) 및 종(種)적으로(specially) 의지와 욕구의 대상이며, 이와는 달리 악(evil)은 오로지, 선에 반대되는 것으로서, 두 번째로 그리고 간접적으로일뿐이므로, 선(good)에 관련한 의지와 욕구의 행위들은 악(evil)에 관련한 그것들에 본성적으로 앞서는 것이 틀림없다는 것이 결론으로서 뒤따르며, 따라서, 예를 들어, 기쁨(joy)은 비통(悲痛)/후회(sorrow)에 앞서고, 사랑(love, amor)은 증오(hate)에 앞서는데, 왜냐하면 그 자체로 존재하는 바는 항상 다른 것을 통하여 존재하는 바로 그것에 앞서기 때문입니다. 또다시, 더 보편적인 것들은 본성적으로 덜 보편적인 것들을 앞섭니다. 따라서 지성은 보편적 진리 쪽으로 향하게 되는 첫 번째이고, 그리고 두 번째로 개별적이고 종(種)적인 진리들 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그런데, 기쁨(joy)과 환희/크게 즐거워함(delight)이 현존하는 그리고 소유하게 된 선(good)에 관련한 것이듯이, 어떠한 종(種) 조건 아래에 있는 선(good)에 관련한 의지와 욕구의 어떤 행위들이 있으며, 이와는 달리 욕망(desire)과 희망(hope)은 아직 소유하게 되지 못한 것으로서 선(good)에 관련한 것입니다. 그러나 사랑(love, amor)은, 소유하게 되었나 혹은 아니거나 간에, 보편적으로 선에 관련합니다. 따라서 사랑(love, amor)은 본성적으로 의지와 욕구의 첫 번째 행위이며, 바로 이 이유 때문에 다른 욕구의 움직임들 모두는, 그들의 뿌리(root)이고 기원(origin)으로서, 사랑(love, amorem)을 사전에 전제합니다(presuppose). 이는 아무도 어떤 사물을, 사랑받고(amato) 있는 한 개의 선(good)으로서를 제외하고는, 대상 사물에 대하여 욕망하지 않고 그리고 기뻐하지 않기 때문이여, 그리고 또한 어떤 사물도, 사랑(love, amatae)의 대상에 반대되는 것으로서를 제외하고는, 증오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유사하게, 비통/후회(sorrow)와 그것에 비슷한 다른 사물들이 사랑(love, amorem) 쪽으로 반드시 언급되어져야 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따라서, 누구 안에 의지와 욕구가 있던지 간에, 사랑(love, amorem)이 또한 반드시 거기에 있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만약에 그 첫 번째가 모자란다면(wanting), 뒤따르는 모두는 또한 모자라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의지가 하느님 안에 있음은 이미 보여졌으며(19, 1), 그리하여 그 결과 우리는 사랑(love, amorem)을 그분께 반드시 귀착시켜야 합니다.

  

Reply to Objection 1. The cognitive faculty does not move except through the medium of the appetitive: and just as in ourselves the universal reason moves through the medium of the particular reason, as stated in De Anima iii, 58,75, so in ourselves the intellectual appetite, or the will as it is called, moves through the medium of the sensitive appetite. Hence, in us the sensitive appetite is the proximate motive-force of our bodies. Some bodily change therefore always accompanies an act of the sensitive appetite, and this change affects especially the heart, which, as the Philosopher says (De part. animal. iii, 4), is the first principle of movement in animals. Therefore acts of the sensitive appetite, inasmuch as they have annexed to them some bodily change, are called passions; whereas acts of the will are not so called. Love(Amor), therefore, and joy and delight are passions; in so far as they denote acts of the intellective appetite, they are not passions. It is in this latter sense that they are in God. Hence the Philosopher says (Ethic. vii): "God rejoices by an operation that is one and simple," and for the same reason He loves(amat) without passion.

 

반대 1에 대한 답변. 인식을 수행하는 능력은 욕구라는 매개물(medium)을 통하여를 제외하고는 움직이지 않으며,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De Anima iii, 58,75에 서술되어 있듯이, 우리들 안에서 보편적 이성이 개별 이성(the particular reason)이라는 매개물을 통하여 움직이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우리들 안에서 지성적 욕구(intellectual appetite) 혹은 소위 의지(the will)는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the sensitive appetite)라는 매개물을 통하여 움직입니다. 따라서,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 안에는 우리의 몸들에 대한 가장 가까운(proximate) 기동력(起動力, motive-force)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신체/몸의 변화는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의 한 행위(an act)를 항상 동반하고, 그리고 바로 이러한 변화는 특별히, 철학자[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De part. animal. iii, 4)가 말하듯이, 동물들에 있어 움직임의 첫 번째 원리(the first principle)인, 심장(heart)에 영향을 끼칩니다. 그러므로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의 행위들은, 이 행위들이 자신들 쪽으로 어떠한 몸의 변화를 이미 부가한 한, 정(情, passions)들이라고 불리나, 이에 반하여(whereas) 의지의 행위들은 그렇게 불리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사랑(love, amor)과 기쁨(joy)과 환희(delight)들은 정(情, passions)들이며, 그리고 그들이 지성을 수행하는 욕구[즉, 의지]의 행위들을 나타내는 한, 그들은 정(情, passions)들이 아닙니다. 그들이 하느님 안에 있다는 것은 바로 이 후자의 의미로 입니다.  따라서 이 철학자(Ethic. vii)는 "하느님께서는 하나이고(one) 그리고 단체(單體)인(simple) 한 개의 작동(an operation)에 의하여 크게 기뻐하신다."라고 말하며, 그리고 이 동일한 이유 때문에 그분께서는 정(情, passions) 없이 사랑하십니다(loves, amat).

 

Reply to Objection 2. In the passions of the sensitive appetite there may be distinguished a certain material element--namely, the bodily change--and a certain formal element, which is on the part of the appetite. Thus in anger, as the Philosopher says (De Anima iii, 15,63,64), the material element is the kindling of the blood about the heart; but the formal, the appetite for revenge. Again, as regards the formal element of certain passions a certain imperfection is implied, as in desire, which is of the good we have not, and in sorrow, which is about the evil we have. This applies also to anger, which supposes sorrow. Certain other passions, however, as love(amor) and joy, imply no imperfection. Since therefore none of these can be attributed to God on their material side, as has been said (ad 1); neither can those that even on their formal side imply imperfection be attributed to Him; except metaphorically, and from likeness of effects, as already show (3, 2, ad 2; 19, 11). Whereas, those that do not imply imperfection, such as love(amor) and joy, can be properly predicated of God, though without attributing passion to Him, as said before (19, 11).

 

반대 2에 대한 답변.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에 기인하는 정(情, passions)들에 있어 어떤 질료적 요소(a material element), 즉, 몸의 변화와, 욕구의 측에 있는 어떤 형상적 요소(a formal element)가 구분될 수도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분노에 있어, 이 철학자(De Anima iii, 15,63,64)가 말하듯이, 질료적 요소는 심장(heart)에 관하여 피(blood)의 흥분(kindling)이나, 그러나 형상적 요소는 복수(revenge)를 위한 욕구(appetite)입니다. 또다시, 어떤 정(情, passions)들의 형상적 요소에 관련하여, 우리가 가지지 못한 선한 사물(the good)에 대하여 인, 욕망(desire)에 있어, 그리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악한 사물(the evil)에 관한 것인, 후회/비탄(sorrow)에 있어, 어떤 불완미(imperfection)가 의미됩니다. 이것은 또한, 후회/비탄(sorrow)을 가정하는, 분노(anger)에 적용됩니다. 그러나, 사랑(love, amor)과 기쁨(joy)처럼 어떤 다른 정(情, passions)들은 불완미(imperfection)을 전혀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왜냐하면 이들 중의 어떤 것은, 이미 말해졌듯이(ad 1), 그들의 질료적 측에서, 하느님께 귀착시켜질 수 없기 때문에, 심지어 그들의 형상적 측에서 불완미를 의미하는 것들은, 이미 (3, 2, ad 2; 19, 11)가 보이듯이,  수사적으로, 그리고 결과들의 비슷함으로부터를 제외하고는, 또한 그분 쪽으로 결코 귀착시겨질 수 없습니다. 이와는 달리, 사랑(love, amor)과 기쁨(joy) 등과 같이 불완미(imperfection)를 의미하지 않는 것들은, 이전에(19, 11) 말해졌듯이, 하느님 쪽으로 정(passion)을 귀착시킴 없이를 통하여,  하느님에 대하여 고유하게(properly) 서술될 수 있습니다.

 

Reply to Objection 3. An act of love(amoris) always tends towards two things; to the good that one wills, and to the person for whom one wills it: since to love(amare) a person is to wish that person good. Hence, inasmuch as we love(amat) ourselves, we wish ourselves good; and, so far as possible, union with that good. So love(amor) is called the unitive force, even in God, yet without implying composition; for the good that He wills for Himself, is no other than Himself, Who is good by His essence, as above shown (6, 1, 3). And by the fact that anyone loves(amat) another, he wills good to that other. Thus he puts the other, as it were, in the place of himself; and regards the good done to him as done to himself. So far love(amor) is a binding force, since it aggregates another to ourselves, and refers his good to our own. And then again the divine love(amor divinus) is a binding force, inasmuch as God wills good to others; yet it implies no composition in God.

 

반대 3에 대한 답변. 사랑(love, amoris)의 어떤 행위는 항상 다음의 두 개의 사물들 쪽으로 향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데: 당사자가 의도하는 선한 사물(the good) 쪽으로, 그리고 당사자가 그를 위하여 이 선한 사물을 의도하는 그 격(the person) 쪽으로, 왜냐하면 한 격(a person)을 사랑하는 것(to love, amare)은 바로 이 격의 선(good)을 바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우리 자신들을 사랑하는(love, amat) 한, 우리는 우리 자신들에게 선을 바라고, 그리고, 가능한 한, 바로 이 선과 결합(union)을 바랍니다. 그래서 사랑(love, amor)은, 심지어 하느님에 있어서도 그러나 구성/합성(composition)을 의미함 없이, 결합하는 힘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그분께서 그분 자신을 위하여 의도하시는 선한 사물은, 위에서(6, 1, 3) 보였듯이, 그분의 본질에 의하여 선(good)하신, 다름 아닌 바로 그분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어떠한 자도 다른 이를 사랑한다는(loves, amat) 사실에 의하여, 그는 바로 그 다른 이에게 선을 의도합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그는 다른 이를, 말하자면, 자기 자신의 자리에 놓으며, 그리고 그자에게 행해진 선한 사물을 자기 자신에게 행해진 것으로서 간주합니다. 지금까지(so far) 사랑(love, amor)은 한 개의 묶는 힘인데, 왜냐하면 그것이 다른 이를 우리들 자신 쪽으로 모으고, 그리고 우리 자신의 것 쪽으로 그의 선을 돌리기(refers) 때문입니다. 게다가(and then) 신성(神性)적 사랑(amour divin, the divine love(amor divinus))(*)은, 하느님께서 다른 사물들에 선을 의도하시는 한, 한 개의 묶는 힘인데, 그러나 이 힘은 하느님 안에서 어떠한 구성/합성(composition)도 의미하지 않습니다.

 

-----

[내용 추가 일자: 2016년 4월 30일]

(***) 번역자 주: 신성(神性)적 사랑(divine love, amour divin, amor divinus)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91.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

 

Article 2. Whether God loves all things?

 

제2조. 하느님께서 모든 사물들을 사랑하시는지?

 

Objection 1. It seems that God does not love(amet) all things. For according to Dionysius (Div. Nom. iv, 1), love(amor) places the lover(amantem) outside himself, and causes him to pass, as it were, into the object of his love(amatum). But it is not admissible to say that God is placed outside of Himself, and passes into other things. Therefore it is inadmissible to say that God loves(amet) things other than Himself.

 

반대 1. 하느님께서 모든 사물들을 사랑하지(love, amet) 않으시는 것 같습니다. 이는 디오니시오(Dionysius)(Div. Nom. iv, 1)에 따르면, 사랑(amor)은 사랑하는 자(the lover, amantem)를 자기 자신 바깥에 놓으며, 그리고 자신을, 말하자면, 자신의 고유한 사랑(amatum)의 대상으로 바뀌도록(pass into) 야기하기(causes)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당신 자신 바깥에 놓여지고, 그리고 다른 사물들로 바뀐다는 것은 용인될 수 없습니다. 그러믈 하느님께서 당신 자신 이외의 사물들을 사랑하신다(loves, amet)는 것은 용인될 수 없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the love(amor) of God is eternal. But things apart from God are not from eternity; except in God. Therefore God does not love(amat) anything, except as it exists in Himself. But as existing in Him, it is no other than Himself. Therefore God does not love(amat) things other than Himself.

 

반대 2. 게다가, 하느님의 사랑(love, amor)은 영원합니다. 그러나 하느님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사물들은, 하느님 안에 있는 경우롤 제외하고, 영원(eternity)으로부터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어떠한 것도, 그것이 당신 자신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서를 제외하고, 사랑하지(love, amat) 않으십니다. 그러나 당신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그것은 바로 당신 자신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당신 자신 이외의 사물들을 사랑하지(love, amat) 않으십니다. 

 

Objection 3. Further, love(amor) is twofold--the love, namely, of desire(concupiscentiae), and the love of friendship(amicitiae). Now God does not love(amat) irrational creatures with the love of desire(amore concupiscentiae), since He needs no creature outside Himself. Nor with the love of friendship(amore amicitiae); since there can be no friendship with irrational creatures, as the Philosopher shows (Ethic. viii, 2). Therefore God does not love(amat) all things.

 

반대 3. 게다가, 사랑은 다음과 같이 두 겹입니다: 즉, 사욕/사욕편정(concupiscence, concupiscentiae)에 기인하는 사랑, 그리고 우의에 기인하는 사랑(love of friendship, amicitiae). 그런데 하느님께서는 사욕/사욕편정에 기인하는 사랑(love of concupiscence, concupiscentiae)으로써 비이성적 피조물(irrational creatures)들을 사랑하지(love, amat) 않으시는데, 왜냐하면 당신께서는 당신 자신 바깥에 있는 어떠한 피조물로 필요로 하지 않으시기 때문입니다. 또한, 철학자[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가 보이듯이(Ethic. viii, 2), 우의에 기인하는 사랑(love of friendship, amicitiae)으로써도 사랑하지 않으십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모든 사물들을 사랑하지(love, amat) 않으십니다.

 

Objection 4. Further, it is written (Psalm 5:7): "Thou hatest all the workers of iniquity." Now nothing is at the same time hated and loved(amatur). Therefore God does not love(amat) all things.

 

반대 4. 게다가, "하느님께서는 나쁜 짓 하는 자들을 모두 미워하신다."(시편 5,6(7))라고 쓰여 있습니다. 그런데 어떠한 것도 동시에 증오받게 되고 그리고 사랑받게 되지(loved, amatur) 않습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모든 사물들을 사랑하지(love, amat) 않습니다.

 

On the contrary, It is said (Wisdom 11:25): "Thou lovest(diligis) all things that are, and hatest none of the things which Thou hast made." 

 

이와는 달리, "당신께서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사랑하시며(diligis) 당신께서 만드신 것을 하나도 혐오하지 않으십니다" (지혜 11,24(25)) 라고 말해지고 있습니다.

 

I answer that, God loves(amat) all existing things. For all existing things, in so far as they exist, are good, since the existence of a thing is itself a good; and likewise, whatever perfection it possesses. Now it has been shown above (Question 19, Article 4) that God's will is the cause of all things. It must needs be, therefore, that a thing has existence, or any kind of good, only inasmuch as it is willed by God. To every existing thing, then, God wills some good. Hence, since to love(amare) anything is nothing else than to will good to that thing, it is manifest that God loves(amat) everything that exists. Yet not as we love. Because since our will is not the cause of the goodness of things, but is moved by it as by its object, our love(amor), whereby we will good to anything, is not the cause of its goodness; but conversely its goodness, whether real or imaginary, calls forth our love(amorem), by which we will that it should preserve the good it has, and receive besides the good it has not, and to this end we direct our actions: whereas the love(amor) of God infuses and creates goodness.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존재하는 사물들 모두를 사랑하십니다(love, amat). 이는 존재하는 사물들 모두는, 그들이 존재하는 한, 선(good)하기 때문인데, 왜냐하면 한 사물의 존재 그 자체가 한 개의 선(a good)이기 때문이며, 그리고 한 사물이 어떠한 완미(完美)(whatever perfection)를 소유하고 있던지 간에 또한 마찬가지(likewise)[번역자 주: 즉, 한 개의 선]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위에서(질문 19, 제4조) 하느님의 의지가 모든 사물들의 원인임을 이미 보였습니다. 그러므로 한 사물은, 오로지 그것이 하느님에 의하여 의도되는 한, 존재(existence)를, 혹은 선(good)의 어떤 종류를, 가지고 있는 것이 틀림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then) 존재하는 각 사물에 하느님께서는 어떠한 선(some good)을 의도하십니다(will). 따라서, 어떤 사물(anything)을 사랑하는 것(to love, amare)은 바로 그 사물에 선을 의도하는 것(to will good) 이상의 어떤 것도 아니기 때문에,(*1) 하느님께서 존재하는 모든 것을 사랑하시는(loves, amat) 것은 명백합니다.(*2) 그러나 우리가 사랑하듯이(*3)아닙니다. 왜냐하면(because), 우리의 의지[번역자 주: 즉, 우리의 이성적 욕구(rational appetite)]는 사물들의 선함(goodness)의 원인(cause)[번역자 주: 즉, 하느님의 의지]이 아니고, 이 원인의 대상을 경유하여서 처럼(as by its object) 이 원인에 의하여 움직여지므로(since),(*4) 바로 그것[번역자 주: 즉, 바로 이 움직임]에 의하여 우리가 임의의 사물에 선을 의도하는 우리의 사랑(love, amor)은 이 사물의 선함의 원인이 아니며, 거꾸로(conversely), 실제이든 혹은 상상이든지간에, 이 사물의 선함이 우리의 사랑(love, amorem)을 [번역자 삽입: 심장(heart) 안쪽에] 야기시키는데(calls forth),(*3) 바로 이 사랑에 의하여 [번역자 삽입: 이 야기됨 직후부터] 우리가 [번역자 삽입: 부수적으로(accidentally)] 의도하는(wills) 바는, 이 사물이 마땅히(should) (i) [번역자 삽입: 장차 우리의 concupiscence에 관련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한 것(the good)들을 유지하고(preserve), 그리고 (ii) 그 위에(besides) [번역자 삽입: 장차 우리의 amicitia에 관련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선한 것(the good)들을 받아들이며(receive), 그리고 (iii) 바로 이러한 끝/목적지(end) 쪽으로 우리가 우리의 행동(actions)들을 향하게 하는(direct)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와는 달리 [번역자 삽입: concupiscence가 전혀 없는] 하느님의 사랑(love, amor)은 선함(goodness)을 주입하며(infuses) 그리하여 선함을 창조합니다(creates).

 

-----

(*1) 번역자 주:

(1) 바로 여기서, "사랑하다(to love)"의지(will)의 동사형으로 정의된다(is defined). 다음의 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5항에 있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love(사랑)" 용어에 대한 설명을 또한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86.htm <----- 필독 권고

 

그런데, 이 "사랑하다(to love, amore)"라는 동사의 정의(definition)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정의(definition)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36.htm <----- 필독 권고

 

(2)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어떤 사물(anything)"은 여기서 말하는 사랑의 "주체(subjcet)"인 "나(I)"도 될 수 있고 또한 이 사랑의 "대상(object)"인 "너(you)"도 될 수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지금 지적한 바를 올바르게 인지하지 못하여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을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우리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에 대한 지적의 글이 바로 위의 제(1)항에 안내된 글 중에 있으니 또한 꼭 읽도록 하라.

 

(*2) 번역자 주: 아담(Adam)과 하와(Eve)에 의하여 범해진 "원죄(original sin)"의 결과로 그 이후부터 우리에게는 부모들로부터 물려받는 "concupiscence[사욕(私欲)/사욕편정(私欲偏情)]"가 있게 되므로, 따라서, 왜냐하면 하느님은 아무런 형이하학적 감각 기관들을 가지고 있지 않으시기 때문에, 바로 이 "concupiscence[사욕(私欲)/사욕편정(私欲偏情)]"가 하느님께 전혀 없음을 반드시 기억하도록 하라.

 

(*3) 번역자 주: 바로 이 문맥 안에서 말해지고 있는 우리가 하는 사랑을,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원초적 사랑(primal love)"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따라서, 바로 이 정의에 의하여, "원초적 사랑"은, 변성(變成)함(bedoming)에 있어 그 다음 단계로서 정(情, passion)을 통하여 심장(heart) 바깥으로 표현되는, 한문 문화권에서 소위 말하는 "칠정"들 중의 하나인 "사욕(私欲)/사욕편정(私欲偏情)에 기인하는 사랑/애(愛(love, amor)"가 아닌, "심장(heart) 안쪽에 있는 애(愛, amor)"임에 주목하라.

 

(*4) 번역자 주: 바로 이 문장이, 이 "원초적 사랑(primal love)"의 원인이 "concupiscence[사욕(私欲)/사욕편정(私欲偏情)]"가 아니라 "하느님의 의지(God;s will)"임을 명백하게 밝히고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

 

Reply to Objection 1. A lover(amans) is placed outside himself, and made to pass into the object of his love(amatum), inasmuch as he wills good to the beloved(amato); and works for that good by his providence even as he works for his own. Hence Dionysius says (Div. Nom. iv, 1): "On behalf of the truth we must make bold to say even this, that He Himself, the cause of all things, by His abounding love(amativae) and goodness, is placed outside Himself by His providence for all existing things."

 

반대 1에 대한 답변. 한 명의 사랑하는 자(lover, amans)는, 그가 사랑받는 자(beloved, amato)에게 선을 의도하는 한, 자기 자신 바깥에 놓여지고, 그리고 자신의 사랑(love, amatum)의 대상으로 바뀌도록 만들며, 그리고 심지어 그가 자신의 소유를 위하여 노동하듯이 자신의 준비(providence)에 의하여 바로 그 선을 위하여 노동합니다. 따라서 디오니시오(Dionysius)(Div. Nom. iv, 1)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진리를 대신하여 우리는 심지어, 모든 사물들의 원인이신 하느님 당신 자신이, 당신의 풍부한 사랑(love, amativae)과 선함에 의하여, 존재하는 사물들 모두를 위한 당신의 섭리(providence)에 의하여 당신 자신 바깥으로 놓여진다 라는 바로 이것을 말하기 위하여 용감해져야 합니다."

 

Reply to Objection 2. Although creatures have not existed from eternity, except in God, yet because they have been in Him from eternity, God has known them eternally in their proper natures; and for that reason has loved(amavit) them, even as we, by the images of things within us, know things existing in themselves.

 

반대 2에 대한 답변. 비록 피조물들이, 하느님 안에서를 제외하고는, 영원으로부터 존재해(existed) 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냐하면 그들이 영원으로부터 당신 안에 있어(been) 왔기 때문에, 하느님께서 그들의 고유한 본성들로 영원히 그들을 알아 오셨으며, 그리고 이 이유 때문에, 심지어 우리가, 우리 안쪽에 있는 사물들의 모습들에 의하여, 그들 스스로 존재하는 사물들을 알듯이, 그들을 사랑해 오셨습니다(loved, amavit).

 

Reply to Objection 3. Friendship(amicitia) cannot exist except towards rational creatures, who are capable of returning love, and communicating one with another in the various works of life, and who may fare well or ill, according to the changes of fortune and happiness; even as to them is benevolence properly speaking exercised. But irrational creatures cannot attain to loving God, nor to any share in the intellectual and beatific life that He lives. Strictly speaking, therefore, God does not love(amat) irrational creatures with the love of friendship(amore amicitiae); but as it were with the love of desire(amore quasi concupiscentiae), in so far as He orders them to rational creatures, and even to Himself. Yet this is not because He stands in need of them; but only on account of His goodness, and of the services they render to us. For we can desire a thing for others as well as for ourselves.

 

반대 3에 대한 답변. 우의(friendship, amicitia)는, 사랑을 되돌려 줄, 그리고 삶의 다양한 노동들에 있어 다른 이에게 자신을 나누어 줄(communicating), 능력이 있는 자들인, 그리고, 심지어 그들 쪽으로 고유하게 말하여 선의(benevolence)가 수행되듯이, 행운과 행복의 변화들에 따라, 편한 혹은 고된 생활을 할 수도 있는 자들인, 이성적 피조물(rational creatures)들 쪽으로 향하는 것을 제외하고, 존재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성을 가지지 못한 피조물(irrational creatures)들은 하느님을 사랑함 쪽으로 도달할 수 없고, 또한 당신께서 살고 계시는 지성적 및 참행복의 삶에 있어 어떤 함께 나눔 쪽으로 도달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엄밀하게 말하여 하느님은 우의에 기인하는 사랑(the love of friendship, amore amicitiae)으로써 이성을 가지지 못한 피조물들을 사랑하는(love, amat) 것이 아니라, 말하자면, 당신께서 그들을 이성적 피조물들 쪽으로, 그리고 심지어 당신 자신 쪽으로 오라고 명하시는 한, 의사(擬似)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에 기인하는 사랑(the love of desire, amore quasi concupiscentiae)으로써 사랑하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 이것은 왜냐하면 당신께서 그들에 대한 필요에 있기 때문이 아니고, 오로지 당신의 선함 때문, 그리고 그들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봉사들 때문입니다. 이는 우리가 우리 자신들뿐만이 아니라 다른 이들을 위하여 어떤 사물을 욕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4. Nothing prevents one and the same thing being loved(amari) under one aspect, while it is hated under another. God loves(amat) sinners in so far as they are existing natures; for they have existence and have it from Him. In so far as they are sinners, they have not existence at all, but fall short of it; and this in them is not from God. Hence under this aspect, they are hated by Him.

 

반대 4에 대한 답변. 어떠한 것도 동일한 사물이 하나의 양상 아래에서 사랑받고(amari), 이와는 달리 다른 양상 아래에서 증오받은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죄인들을, 그들이 존재하고 있는 본성들인 한, 사랑하시는데(loves, amat), 이는 그들이 존재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그것을 당신으로부터 가지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죄인들인 한, 그들은 전혀 존재를 가지기 못하고, 다만 존재에 부족한 것이며, 그리고 그들에게 있어 이것은 하느님으로부터가 아닙니다. 따라서 바로 이러한 양상 아래에서, 그들은 당신에 의하여 증오받게 됩니다.

 

Article 3. Whether God loves all things equally?

 

제3항. 하느님께서 동등하게(equally) 모든 사물들을 사랑하시는지?

 

Objection 1. It seems that God loves(diligat) all things equally. For it is said: "He hath equally care of all" (Wisdom 6:8). But God's providence over things comes from the love(amore) wherewith He loves(amat) them. Therefore He loves(amat) all things equally.

 

반대 1. 하느님께서 동등하게 모든 사물들을 사랑하시는(loves, diligat) 것 같습니다.(*) 이는 "그분께서 ... 모두를 똑같이 소중히 하신다."(지혜 6,8)에 쓰여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사물들에 대한 하느님의 섭리는, 바로 그것으로써 당신께서 그들을 사랑하시는(loves, amat), 사랑(love, amore)으로부터 옵니다. 그러므로 당신께서 동등하게 모든 사물들을 사랑하십니다(loves, amat). 

 

-----

(*) 번역자 주: 그 대상이 하나가 아니고 적어도 둘 이상, 따라서, 주체(subject)와 대상(object)를 포함하여, 적어도 3자들 혹은 그 이상의 숫자의 말단(teminals)들로 구성된 한 개의 집합체(a set)에 대하여, 바로 라틴어 동사 diligo의 파생어인 diligat가 사용되고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

 

Objection 2. Further, the love(amor) of God is His essence. But God's essence does not admit of degree; neither therefore does His love(amor). He does not therefore love(amat) some things more than others.

 

반대 2. 게다가, 하느님의 사랑(love, amor)은 당신의 본질입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본질은 등급(degree)를 허락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또한 당신의 사랑(love, amor)도 그러합니다. 그러므로 당신께서는 다른 사물들보다 어떠한 사물들을 더 사랑하지(love, amat) 않으십니다.

 

Objection 3. Further, as God's love(amor) extends to created things, so do His knowledge and will extend. But God is not said to know some things more than others; nor will one thing more than another. Neither therefore does He love(diligit) some things more than others.

 

반대 3. 게다가, 하느님의 사랑(love, amor)은 창조된 사물들에까지 뻗으므로(extends to), 또한 당신의 지식(knowledge)과 의지(will)도 그렇게 뻗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다른 사물보다 어떠한 사물들을 더 잘 알지 않고, 그리고 또한 다른 사물보다 하나의 사물을 더 의도하지(will) 않으십니다. 그러므로 당신이 다른 사물들보다 어떠한 사물을 더 사랑하지(love, diligit) 않으십니다.

 

On the contrary, Augustine says (Tract. in Joan. cx): "God loves(diligit) all things that He has made, and amongst them rational creatures more, and of these especially those who are members of His only-begotten Son Himself."

 

이와는 달리, 아우구스티노(Augustine)(Tract. in Joan. cx)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하느님은 당신께서 이미 만드셨던 모든 사물들을 사랑하시고(loves, diligit), 그리고 그들 중에서 이성적 피조물들을 더 사랑하시며(loves, diligit), 그리고 이들 중에서 특별히(especially) 당신의 유일한 독생자 그분 자신의 구성원/지체인 자(members)들을 더 사랑하십니다(loves, diligit). 

 

I answer that, Since to love(amare) a thing is to will it good, in a twofold way anything may be loved(amari) more, or less. In one way on the part of the act of the will itself, which is more or less intense. In this way God does not love(amat) some things more than others, because He loves(amat) all things by an act of the will that is one, simple, and always the same. In another way on the part of the good itself that a person wills for the beloved. In this way we are said to love(amare) that one more than another, for whom we will a greater good, though our will is not more intense. In this way we must needs say that God loves(amat) some things more than others. For since God's love(amor) is the cause of goodness in things, as has been said (2), no one thing would be better than another, if God did not will greater good for one than for another.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한 사물을 사랑하는 것(to love(amare))은 그것에 선(good)을 의도하는 것(to will)이므로, 어떤 2겹의 방식으로, 임의의 사물은 더 많이, 혹은 더 적게 사랑받을(loved, amari) 수도 있습니다. (i) 다소간 강렬한 의지(will) 그 자체의 행위(act)의 측에서 하나의 방식으로. 바로 이런 방식으로 하느님께서는 다른 사물들보다 어떠한 사물들을 더 사랑하지(love, amat) 않으시는데, 왜냐하면 당신께서는 하나인(one), 단체(單體)적인(simple), 그리고 항상 동일한 의지(will)의 한 행위(an act)에 의하여 모든 사물들을 사랑하시기(loves, amat) 때문입니다. (ii) 한 격(a person)이 사랑받는 자를 위하여 의도하는 선(good) 그 자체의 측에서 다른 방식으로.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는 다른 이보다 한 사람을 더 사랑한다고(love, amare) 말하게 되는데, 이는, 비록 우리의 의지가 더 격렬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그를 위하여 어떤 더 커다란 선을 의도하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하느님께서 다른 사물들보다 어떠한 사물들을 더 사랑하신다고(loves, amat) 말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2)에서 이미 말해졌듯이, 하느님의 사랑(love, amor)은 사물들에 있어 선함의 원인이므로, 만약에 하느님께서 다른 사물을 위하여서보다 하나의 사물을 위하여 더 커다란 선을 의도하지 않으신다고 하면, 어떠한 하나의 사물도 다른 사물보다 더 선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1. God is said to have equally care of all, not because by His care He deals out equal good to all, but because He administers all things with a like wisdom and goodness.

 

반대 1에 대한 답변. 하느님은 모두를 동등하게 소중히 여기신다고 말해지는데, 왜냐하면 당신의 돌보심에 의하여 당신께서 모두에게 동등한 선을 나우어 주시기 때문이 아니고, 당신께서 어떤 비슷한 지혜와 선함으로써 모든 사물들을 관리하시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This argument is based on the intensity of love(amoris) on the part of the act of the will, which is the divine essence. But the good that God wills for His creatures, is not the divine essence. Therefore there is no reason why it may not vary in degree.

 

반대 2에 대한 답변. 바로 이 주장은, 신성적 본질(the divine essence)인, 당신 의지의 행위(act)의 측에서 사랑(love, amoris)의 강렬함(intensity)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신의 피조물들을 위하여 하느님께서 의도하시는 선은 신성적 본질(the divine essence)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왜 당신의 사랑이 정도에 있어 변하지 않을 수도 있는지 그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Reply to Objection 3. To understand and to will denote the act alone, and do not include in their meaning objects from the diversity of which God may be said to know or will more or less, as has been said with respect to God's love(amorem).

 

반대 3에 대한 답변. 이해하는 것과 의도하는 것은, 홀로 그 행위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리하여, 하느님의 사랑(love, amorem)에 관하여 이미 말해졌듯이, 그것에 대하여 하느님께서 다소 알거나 혹은 의도한다고 말해질 수도 있는 다양성으로부터 유래하는 대상들을 그들의 의미들 안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Article 4. Whether God always loves more the better things?

 

제 4항. 하느님께서 더 선한 사물들을 항상 더 사랑하시는지?

 

Objection 1. It seems that God does not always love(diligat) more the better things. For it is manifest that Christ is better than the whole human race, being God and man. But God loved(dilexit) the human race more than He loved Christ; for it is said: "He spared not His own Son, but delivered Him up for us all" (Romans 8:32). Therefore God does not always love(diligit) more the better things.

 

반대 1. 하느님께서 더 선한 사물들을 항상 더 사랑하지(love, diligat) 않으시는 것 같습니다. 이는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이시고 그리고 사람이시기 때문에, 전체 인류보다 더 선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당신께서 그리스도를 사랑하셨던 것보다 인류를 더 사랑하셨는데(loved, dilexit), 이는 "당신께서는 당신의 친아드님마저 아끼지 않으시고 우리 모두를 위아혀 내어주셨습니다."(로마 8,32)라고 말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 더 선한 사물들을 항상 더 사랑하시지(love, diligit) 않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an angel is better than a man. Hence it is said of man: "Thou hast made him a little less than the angels" (Psalm 8:6). But God loved(dilexit) men more than He loved the angels, for it is said: "Nowhere doth He take hold of the angels, but of the seed of Abraham He taketh hold" (Hebrews 2:16). Therefore God does not always love(diligit) more the better things.

 

반대 2. 게다가, 한 천사는 한 사람보다 더 선합니다. 따라서 사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해집니다: "당신께서 그를 천사들보다 조금만 못하게 이미 만드셨습니다."(시편 8,6).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당신께서 천삳들을 사랑하셨던 것보다 더 많이 사람들을 사랑하셨는데(loved, dilexit), 이는 다음과 같이 말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분께서는 분명 천사들을 보살펴 주시는 것이 아니라, 아브라함의 후손들을 보살펴 주십니다."(히브리 2,16).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더 선한 사물들을 항상 더 사랑하시는(love, diligit) 것이 아닙니다. 

 

Objection 3. Further, Peter was better than John, since he loved Christ more. Hence the Lord, knowing this to be true, asked Peter, saying: "Simon, son of John, lovest(diligis) thou Me more than these?" Yet Christ loved(dilexit) John more than He loved Peter. For as Augustine says, commenting on the words, "Simon, son of John, lovest(diligis) thou Me?": "By this very mark is John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disciples, not that He loved him only, but that He loved(diligebat) him more than the rest." Therefore God does not always love(diligit) more the better things.

 

반대 3. 게다가, 베드로(Peter)는 요한(John)보다 더 선하였는데, 왜냐하면 그가 그리스도를 더 사랑하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님께서는, 이것이 참임을 아셨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너는 이들이 나를 사랑하는 것보다 더 나를 사랑하느냐(lovest, diligis)?"(요한 복음서 21,15).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께서는 당신께서 베드로를 사랑하셨던 것보다 요한을 더 사랑하셨습니다(loved, dilexit). 이는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lovest, diligis)?"라는 말에 대하여 주석하면서, "바로 이 표시에 의하여 요한은 다른 사도들로부터 구별되는데, 당신께서 그만을 오로지 사랑하셨기 때문이 아니라, 당신께서 나머지 사도들보다 그를 더 사랑하셨기(loved, diligebat) 때문이다."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더 선한 사물들을 항상 더 사랑하지(love, diligit) 않으십니다. 

 

Objection 4. Further, the innocent man is better than the repentant, since repentance is, as Jerome says (Cap. 3 in Isa.), "a second plank after shipwreck." But God loves(diligit) the penitent more than the innocent; since He rejoices over him the more. For it is said: "I say to you that there shall be joy in heaven upon the one sinner that doth penance, more than upon ninety-nine just who need not penance" (Luke 15:7). Therefore God does not always love(diligit) more the better things.

 

반대 4. 게다가, 때묻지 않은(innocent) 사람이 회개하는 자(the repentant)보다 더 선한데, 왜냐하면 회개는, 예로니모(Jerome)(Cap. 3 in Isa.)가 말하듯이, "배의 난파 후 한 개의 두 번째 널판지"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때묻지 않은 자보다 참회하는 자(the penitent)를 더 사랑하시는데(loves, diligit), 왜냐하면 당신께서 그자에 대하여 더 많이 기뻐하시기 때문입니다. 이는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이와 같이 하늘에서는 회개할 필요가 없는 의인 아흔아홉보다 회개하는 죄인 한 사람 때문에 더 기뻐할 것이다."(루카 복음서 15,7)라고 말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더 선한 사물들을 항상 더 많이 사랑하시는(love, diligit) 것이 아닙니다.

 

Objection 5. Further, the just man who is foreknown is better than the predestined sinner. Now God loves(diligit) more the predestined sinner, since He wills for him a greater good, life eternal. Therefore God does not always love(diligit) more the better things.

 

반대 5. 게다가, 미리 알게 된 의로운 사람은 예정된 죄인보다 더 선합니다. 그런데 하느님께서는 예정된 죄인을 더 사랑하시는데(loves, diligit), 왜냐하면 당신께서 그를 위하여 어떤 더 커다란 선인, 영원한 생명을 의도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 더 선한 사물들을 항상 더 사랑하지(love, diligit) 않으십니다.

 

On the contrary, Everything loves(diligit) what is like it, as appears from (Sirach 13:19): "Every beast loveth(diligit) its like." Now the better a thing is, the more like is it to God. Therefore the better things are more loved(diliguntur) by God.

 

이와는 달리, 각 사물은, "모든 짐승은 자신과 비슷한 존재를 사랑한다(loves, diligit)."(집회 13,15(19))로부터 분명하듯이(appears), 자신과 비슷한 바를 사랑합니다. 그런데 한 사물이 더 선할수록, 그것은 하느님 쪽으로 더 비슷합니다. 그러므로 더 선한 사물들은 하느님에 의하여 더 사랑받게 됩니다(loved, diliguntur).

 

I answer that, It must needs be, according to what has been said before, that God loves(diligat) more the better things . For it has been shown (2, 3), that God's loving(diligere) one thing more than another is nothing else than His willing for that thing a greater good: because God's will is the cause of goodness in things; and the reason why some things are better than others, is that God wills for them a greater good. Hence it follows that He loves(amet) more the better things.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이전에 이미 말해진 바에 따라, 하느님께서는 더 선한 사물들을 더 사랑하신다는 것은 틀림없습니다. 이는, 왜냐하면 하느님의 의지는 사물들에 있는 선함의 원인이고, 그리고 왜 어떠한 사물들이 다른 사물들보다 더 선한 이유는 하느님께서 그들을 위하여 어떤 더 커다란 선을 의도하시기 때문에, 하느님께서 다른 사물보다 하나의 사물을 더 사랑하시는 것(loving, diligere)은 단지 당신께서 바로 그 사물을 위하여 어떤 더 커다란 선을 의도하시는 것일 따름임이 이미 보여졌기(2, 3) 때문입니다. 따라서 당신께서 더 선한 사물들을 더 사랑하심(loves, amet)이 결론으로서 뒤따릅니다.

 

Reply to Objection 1. God loves(diligit) Christ not only more than He loves the whole human race, but more than He loves the entire created universe: because He willed for Him the greater good in giving Him "a name that is above all names," in so far as He was true God. Nor did anything of His excellence diminish when God delivered Him up to death for the salvation of the human race; rather did He become thereby a glorious conqueror: "The government was placed upon His shoulder," according to Isaiah 9:6.

 

반대 1에 대한 답변. 하느님께서는 그리스도를 당신께서 전체 인류를 사랑하시는 것보다 더 사랑하실(loves, diligit)뿐만이 아니라, 또한 당신께서 전체 창조된 우주보다 더 사랑하시는데, 왜냐하면, 그분께서 참 하느님이셨던 한, 당신께서 그분께 "모든 이름들 위에 있는 한 개의 이름"을 주심으로서(in) 더 카다란 선을 그분을 위하여 의도하셨기 때문입니다. 또한 하느님께서 인류의 구원을 위하여 그분을 죽음에 이르기까지 내어주셨을 때에도 그분의 탁월의 어떠한 것도 줄어들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분께서는 바로 그것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한 분의 영광스러운 정복자가 되십니다: 이사야서 9,5(6)에 따라, "통치권이 그분의 어깨 위에 놓여졌습니다." 

 

Reply to Objection 2. God loves the human nature assumed by the Word of God in the person of Christ more than He loves(amat) all the angels; for that nature is better, especially on the ground of the union with the Godhead. But speaking of human nature in general, and comparing it with the angelic, the two are found equal, in the order of grace and of glory: since according to Revelation 21:17, the measure of a man and of an angel is the same. Yet so that, in this respect, some angels are found nobler than some men, and some men nobler than some angels. But as to natural condition an angel is better than a man. God therefore did not assume human nature because He loved(diligeret) man, absolutely speaking, more; but because the needs of man were greater; just as the master of a house may give some costly delicacy to a sick servant, that he does not give to his own son in sound health.

 

반대 2에 대한 답변. 하느님께서는 당신께서 천사들 모두를 사랑하시는(loves, amat) 것보다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서 하느님의 거룩한 말씀에 의하여 취해진 인성을 더 사랑하시는데, 이는, 특별히 신성(the Godhead)과의 결합이라는 이유로, 바로 그 본성이 더 선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속(屬)적으로(in general) 인성에 대하여 말함, 그리고 그것을 천사의 본성과 비교함, 이 둘은, 은총과 영광의 순서/질서(order)에 있어, 동등하다(equal)고 인지되는데, 왜냐하면 요한 묵시록 21,17에 따라, 한 사람에 대한 척도(measure)와 한 천사에 대한 척도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바로 이 점에 있어, 일부 천사들은 일부 사람들보다 더 고귀하고, 그리고 일부 사람들은 일부 천사들보다 더 고귀하다는 것이 인지됩니다. 그러나 본성의 조건에 관련하여 한 명의 천사가 한 명의 사람보다 더 선합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당신께서, 절대적으로 말하여, 사람을 더 사랑하셨기(loved, diligeret) 때문에 인성을 취하셨던 것이 아니라, 사람의 결핍들이 더 커다랗기 때문에, 어떤 집의 주인이 한 명의 종에게, 건전한 건강 상태에 있는 자신의 고유한 아들에게 그가 제공하지 않는, 어떠한 값비싼 맛있는 것을 제공할 수도 있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인성을 취하셨던 것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This doubt concerning Peter and John has been solved in various ways. Augustine interprets it mystically, and says that the active life, signified by Peter, loves(diligit) God more than the contemplative signified by John, because the former is more conscious of the miseries of this present life, and therefore the more ardently desires to be freed from them, and depart to God. God, he says, loves(diligit) more the contemplative life, since He preserves it longer. For it does not end, as the active life does, with the life of the body.

 

반대 3에 대한 답변. 베드로와 요한에 관련한 바로 이러한 의문은 다양한 방식들로 이미 풀렸습니다. 아우구스티노(Augustine)는 그것을 신비적으로(mystically) 해석하며, 그리하여, 요한에 의하여 나타내어진 관상적 삶(the contemplative)보다 베드로에 의하여 나타내어진 활동적 삶(the active life)이 하느님을 더 사랑한다고(loves, diligit) 말하는데, 왜냐하면 전자는 바로 이 현재의 삶의 불행들에 대하여 더 의식하고 있고, 그리하여 그결과 그들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것을, 그리고 하느님 쪽으로 떠나는 것을 더 욕망하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는, 관상적 삶을 더 사랑하신다고(loves, diligit) 그는 말하는데, 왜냐하면 당신께서 그것을 더 오래 보존하시기(preserves) 때문입니다. 이는 그것이, 활동적 삶이 그러하듯이, 이 몸의 생명과 함께 끝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Some say that Peter loved(dilexit) Christ more in His members, and therefore was loved(dilectus) more by Christ also, for which reason He gave him the care of the Church; but that John loved(dilexit) Christ more in Himself, and so was loved(dilectus) more by Him; on which account Christ commended His mother to his care. Others say that it is uncertain which of them loved(dilexerit) Christ more with the love of charity(amore caritatis), and uncertain also which of them God loved(dilexerit) more and ordained to a greater degree of glory in eternal life. Peter is said to have loved(dilexisse) more, in regard to a certain promptness and fervor; but John to have been more loved(dilectus), with respect to certain marks of familiarity which Christ showed to him rather than to others, on account of his youth and purity. While others say that Christ loved(dilexit) Peter more, from his more excellent gift of charity(caritatis); but John more, from his gifts of intellect. Hence, absolutely speaking, Peter was the better and more beloved(dilectus); but, in a certain sense, John was the better, and was loved the more. However, it may seem presumptuous to pass judgment on these matters; since "the Lord" and no other "is the weigher of spirits" (Proverbs 16:2).

 

어떤 이는 베드로가 그리스도를 그분의 지체들[즉, 교회의 구성원들] 중에서 더 사랑하였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그리스도에 의하여 또한 더 사랑받았으며, 바로 이 이유 때문에 그분께서 그에게 교회에 대한 보살핌을 맡기셨다고 말하고, 그러나 요한은 그분 자신 안에서 그리스도를 더 사랑하였고(loved, dilexit), 그리하여 그 결과 그분에 의하여 더 사랑받았으며(loved, dilectus), 바로 이 이유 때문에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어머니를 그의 보살핌에 명하셨다고 말합니다. 다른 이들은 그들 중의 누구가 애덕에 기인하는 사랑(love of amore caritatis)으로써 그리스도를 더 사랑하였는지 확실하지 않고, 그리고 또한 하느님께서 그들 중의 누구를 더 사랑하셨고(loved, dilexerit) 그리하여 영원한 삶에 있어 영광에 있어서의 어떤 더 커다란 등급 쪽으로 명하셨는지 확실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배드로가, 어떤 기민함과 열정에 관하여 이미 더 사랑을 받았다고(loved, dilexisse) 말해지나, 그러나 요한이, 그의 젊음과 순수성 때문에, 그리스도께서 다른 사도들 쪽으로보다 오히려 그자 쪽으로 보이셨던 친밀함의 어떤 표시들과 관련하여, 이미 더 사랑받았다고 말해집니다. 이와는 달리 다른 이들은 그리스도께서 베드로를, 애덕(caritatis)이라는 그의 더 탁월한 선물로부터, 더 사랑하셨다고(loved, dilexit) 말하면서, 그러나 요한이, 지성이라는 그의 선물들로부터, 더 사랑받았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절대적으로 말하여, 베드로는 더 선하였고 더 사랑받았으나(beloved, dilectus), 그러나, 어떤 의미에 있어, 요한이 더 선하였으며, 그리하여 더 만히 사랑받았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 망망적일/주제 넘을(presumptuous)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어떤 자도 아니고 "주님"만이 "영을 살피시는 분이시기"(잠언 16,2)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4. The penitent and the innocent are related as exceeding and exceeded. For whether innocent or penitent, those are the better and better loved(dilecti) who have most grace. Other things being equal, innocence is the nobler thing and the more beloved(dilecta). God is said to rejoice more over the penitent than over the innocent, because often penitents rise from sin more cautious, humble, and fervent. Hence Gregory commenting on these words (Hom. 34 in Ev.) says that, "In battle the general loves(diligit) the soldier who after flight returns and bravely pursues the enemy, more than him who has never fled, but has never done a brave deed."

 

반대 4에 대한 답변. 참회하는 자와 때묻지 않은 자는 과도함과 과도하게 됨으로서 관계됩니다. 이는 때묻지 않거나 혹은 참회하거나 간에, 가장 많은 은총을 가진 자들이 더 선하고 그리하여 더 선하게 사랑받게 되기(loved, dilecti) 때문입니다. 다른 사물들이 동등하다면, 때묻지 않은 자가 더 고귀하고 그리하여 더 사랑받게 됩니다(beloved, dilecta). 하느님께서는 때묻지 않은 자보다 참회하는 자를 더 기뻐한다고 말해지는데, 왜냐하면 참회하는 자들이 더 신중한, 겸손한, 그리고 강렬한 죄로부터 자주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Gregory)은 이러한 말에 대하여 주석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전쟁에서 장군은 결코 도망간 적이 없으나 그러나 한 개의 용감한 행위도 결코 한 적이 없는 병사보다 도망 후에 돌아와 그리고 용감하게 적을 뒤쫓는 병사를 더 사랑한다(loves, diligit)."

 

Or it may be answered that gifts of grace, equal in themselves, are more as conferred on the penitent, who deserved punishment, than as conferred on the innocent, to whom no punishment was due; just as a hundred pounds [marcoe] are a greater gift to a poor man than to a king.

 

혹은, 그들 자체로 동등한, 은총의 선물들은, 한 명의 임금 쪽으로보다 한 명의 가난한 사람 쪽으로 백 파운드 [marcoe]가 더 커다란 선물인 것과 꼭 마찬가지로, 그자 쪽으로 아무런 벌도 정당하지(due) 않은 때묻지 않은 자에게 수여된 것으로서보다, 벌을 마땅히 받을 만하였던 참회하는 자에게 수여된 것으로서, 더 많다는 답변이 주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Reply to Objection 5. Since God's will is the cause of goodness in things, the goodness of one who is loved(amatur) by God is to be reckoned according to the time when some good is to be given to him by divine goodness. According therefore to the time, when there is to be given by the divine will to the predestined sinner a greater good, the sinner is better; although according to some other time he is the worse; because even according to some time he is neither good nor bad.

 

반대 5에 대한 답변. 왜냐하면 하느님의 의지는 사물들에 있는 선함의 원인이기 때문에, 하느님에 의하여 사랑받는(loved, amatur) 자의 선함은 어떠한 선이 신성적 선함(the divine goodness)에 의하여 그자 쪽으로 주어질 때인 바로 그 시기에 따라 측정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예정된 죄인 쪽으로 어떤 더 커다란 선이 신성적 의지(the divine will)에 의하여 주어짐이 있을 때인, 바로 그 시기에 따라, 비록 어떠한 다른 시기에 그가 더 나빴다고 하더라도, 해당 죄인은 더 선한데, 왜냐하면 심지어 어떠한 시기에 따라 그는 선하지도 않고 그리고 나쁘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출처: http://club.catholic.or.kr/tourofSumma

 



2,005 3

추천

Sun_T_SOH,신성적_사랑(divine_love)의_세_종류들,하느님의뜻,하느님의의지,God's_will,하느님의사랑,사랑하다=의지의동사형,아리스토텔레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