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시경(詩經)의 4자성구들 중에서 가운데 두 개의 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인 용례들 모음

인쇄

. [119.194.105.*]

2017-06-22 ㅣ No.1837

게시자 주:

(1) 일부 이들 시어들의 경우에는, 총305개의 시(詩)들로 구성된 시경(詩經)의 몇 개의 시(詩)들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경우들도 또한 정량적으로(quantitatively) 파악할 수 있도록, 중복 사용을 포함하여, 모두를 나열하였습니다.

 

(2)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 4자성구의 맨 마지막 낱글자가 어조사가 아닌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에는 화살표료 시작하는 빨간색의 "반드시 참조하라"는 굵은 글자를 붙였습니다.

 

(3) 맨 왼쪽에 있는 번호는 단지 식별하기 위하여 붙인 나열 번호일뿐이므로, 해당 시(詩)가, 예를 들어, 시경의 제 몇 번째 시(詩)임을 말하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1. 國風·邶風 (陸曰:鄭云:“邶、鄘、衛者,殷紂畿內地名,屬古冀州。自紂城而北曰邶,南曰鄘,東曰衛。衛在汲郡朝歌縣,時康叔正封於衛。其末子孫稍並兼彼二國,混其地而名之。作者各有所傷,從其本國而異之,故有邶、鄘、衛之詩。”王肅同。從此訖《豳 七月》,十二國並變風也。邶,蒲對反,本又作“鄁”,《字林》方代反。柏音百,字又作“栢”)柏舟(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34 [不可以茹; 不可以據]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802CD58E2D1D1927619823A74A59481&cult=TW&bv=1

(발췌 시작)

可以

 

    【1】表示可能或能夠。《詩·陳風·衡門》:“衡門之下﹐可以棲遲。”《孟子·梁惠王上》:“五畝之宅﹐樹之以桑﹐五十者可以衣帛矣。”{宋}{蘇軾}《御試重巽申命論》:“天地之化育﹐有可以指而言者﹐有不可以求而得之者。”{清}{徐蘭}《雨阻黑河》詩:“花里見魚不見水﹐一網可以盈一船。”{夏衍}《長途》八:“我們以為今天總可以到達{桂林}了。”【2】表示有某種用途。《詩·小雅·鶴鳴》:“它山之石﹐可以爲錯。”{孔穎達}疏:“它山遠國之石﹐取而得之﹐可以爲錯物之用。”{唐}{張鷟}《游仙窟》:“莫言釵意小﹐可以掛渠冠。”《前漢書平話》卷下:“今有{周勃}兵機深厚﹐可以爲帥退之。”如:棉花可以織布﹐棉籽還可以榨油。【3】表示許可。{唐}{韓愈}《盧君墓志銘》:“{河南}尹與人有仇﹐誣仇與賊通﹐收掠取服﹐法曹曰:‘我官司也﹐我在不可以爲是。’”{清}{李漁}《閑情偶寄·詞曲上·音律》:“九宮十三調﹐南曲之門戶也。小齣可以不拘﹐其成套大曲則分門別戶﹐各有依歸。”【4】猶言不壞;還好。{{夏丐尊}{葉圣陶}}《文心》四:“這封信清楚明白﹐末了兩節又有活潑趣味﹐也就可以了。”{丁玲}《母親》一:“現在家里規矩究竟松多了﹐就是{于五妹}也算可以。”【5】猶很,厲害。{魯迅}《朝花夕拾·范愛農》:“他辦事﹐兼教書﹐實在勤快得可以。”{朱自清}《回來雜記》:“這真閑得可以。”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395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687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F%AF%E4%BB%A5 3955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F%AF%E4%BB%A5 6877

-----

 

 2. 旄丘(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45 [何多日也; 必有以也]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4FBCFC2899E03930A16CD9AFAF06DAC&cult=TW&bv=1

(발췌 시작)

多日

 

    【1】指一段較長的日子。{唐}{杜甫}《大云寺贊公房》詩之一:“把臂有多日﹐開懷無愧辭。”{老舍}《駱駝祥子》一:“夜深了﹐多日的疲乏﹐與逃走的驚懼﹐使他身心全不舒服。”《詩·邶風·旄丘》:“旄丘之葛兮﹐何誕之節兮。{叔}兮{伯}兮﹐何多日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물게(즉, 5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4%9A%E6%97%A5 6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4%9A%E6%97%A5 5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19DD9C1D2D36A1B195270588A1725AE&cult=TW&bv=1

(발췌 시작)

有以

 

    【1】猶有因。有道理;有規律。{宋}{葉紹翁}《四朝聞見錄·武林》:“{武林山}出{武林}水﹐{靈隱}後山毋乃是此山﹐亦復用此名﹐細考其來真有以。”《史記·田儋列傳》:“〔{橫}〕遂自剄﹐令客奉其頭﹐從使者馳奏之{高帝}。{高帝}曰:‘嗟乎﹐有以也夫!起自布衣﹐兄弟三人更王﹐豈不賢乎哉!’”{晉}{潘岳}《西征賦》:“豈虛名之可立﹐良致霸其有以。”《詩·邶風·旄丘》:“何其久也?必有以也。”{唐}{白居易}《黑龍飲渭賦》:“或隱或見﹐時行時止﹐順冬夏而無乖﹐應昏明而有以。”【2】表示具有某種條件﹑原因等。{宋}{葉適}《安集兩淮申省狀》:“自古立國﹐未嘗不有以處之也;無以處之﹐則地爲棄地而國誰與共守!”《孫子·九變》:“故用兵之法﹐無恃其不來﹐恃吾有以待也;無恃其不攻﹐恃吾有所不可攻也。”《史記·淮陰侯列傳》:“{信}喜﹐謂漂母曰:‘吾必有以重報母。’”{嚴復}《原強》:“彼西洋者﹐無法與法並用而皆有以勝我者也。”【3】猶有為。有所作為。《老子》:“衆人皆有以﹐而我獨頑似鄙。”{王弼}注:“以﹐用也。皆欲有所施用也。”【4】猶有何。有什么。《孟子·梁惠王上》:“殺人以梃與刃﹐有以異乎?”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51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90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C%89%E4%BB%A5 513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C%89%E4%BB%A5 908

-----

 

 3. 簡兮(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46 [彼美人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E978C75DFAE0CA530186FD1D0FFA9BC&cult=TW&bv=1

(발췌 시작)

美人

 

    【1】容貌美麗的人。多指女子。《六韜·文伐》:“厚賂珠玉﹐娛以美人。”{唐}{顧況}《悲歌》:“美人二八顔如花﹐泣向春風畏花落。”{清}{袁枚}《隨園詩話》卷三:“女寵雖爲患﹐過終在男子。{范同叔}云:‘{吳國}若教丞相在﹐{越王}空送美人來!’”【2】喻君上。《楚辭·九章·抽思》:“結微情以陳詞兮﹐矯以遺夫美人。”{王逸}注:“舉與{懷王}﹐使覽照也。”【3】品德美好的人。《詩·邶風·簡兮》:“云誰之思﹐西方美人。”{鄭玄}箋:“思{周}室之賢者。”《孟子·盡心下》“充實之謂美”{漢}{趙岐}注:“充實善信﹐使之不虛﹐是爲美人。”{唐}{柳宗元}《初秋夜坐贈吳武陵》詩:“美人隔{湘}浦﹐一夕生秋風。”{潘緯}注:“謂{吳武陵}。”{宋}{王安石}《答韓求仁書》:“{顔子}具聖人之體而微﹐所謂美人也。”【4】妃嬪的稱號。《漢書·外戚傳序》:“美人視二千石﹐比少上造。”《後漢書·皇后紀序》:“〔{光武}中興〕又置美人﹑宮人﹑采女三等﹐并無爵秩﹐歲時賞賜充給而已。”{宋}{高承}《事物紀原·嬪御命婦·美人》:“{光武}又置美人﹐歷代多有之﹐國初亦置之﹐正四品也。”{蔡東藩}《前漢演義》第五回:“還有一半晦氣的美人﹐簡直是一生一世﹐盼不到御駕來臨。”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17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95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E%8E%E4%BA%BA 173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E%8E%E4%BA%BA 959

-----

 

 4. 北門(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48 [莫知我艱] <----- 반드시 참조하라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99EEFA06B3437DC5633143CCACB9486&cult=TW&bv=1

(발췌 시작)

知我

 

    【1】深切了解我。《詩·王風·黍離》:“知我者﹐謂我心憂;不知我者﹐謂我何求。”{宋}{蘇軾}《觀魚臺》詩:“若信萬殊歸一理﹐子今知我我知魚。”《史記·管晏列傳》:“{管仲}曰:‘吾始困時﹐嘗與{鮑叔}賈﹐分財利多自與﹐{鮑叔}不以我爲貪……生我者父母﹐知我者{鮑子}也。’”{南朝} {宋}{劉義慶}《世說新語·賞譽》:“{王長史}云:‘{劉尹}知我﹐勝我自知。’”【2】器重我。《史記·刺客列傳》:“〔{豫讓}〕去而事{智伯}﹐{智伯}尊寵之……〔{豫讓}〕曰:‘嗟呼!士爲知己者死﹐女爲説己者容。今{智伯}知我﹐我必爲報讎而死﹐以報{智伯}﹐則吾魂魄不愧矣。’”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11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43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F%A5%E6%88%91 114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F%A5%E6%88%91 434

-----

 

 5. 桑中(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56 [美孟姜矣; 爰采葑矣]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D3DF6766746635433DA2EFC901B8D62&cult=TW&bv=1

(발췌 시작)

孟姜

 

    【1】{春秋}時{齊}為{姜}姓,故稱{齊}君之長女為{孟姜}。亦泛指世族婦女或美貌女子。《詩·鄭風·有女同車》:“彼美{孟姜}﹐洵美且都。”{毛}傳:“{孟姜}﹐{齊}之長女。”《詩·鄘風·桑中》:“云誰之思﹐美{孟姜}矣。”{明}{徐復祚}《投梭記·恣劫》:“如雲女﹐如雲女﹐顔如{孟姜};{秦淮}里﹐{秦淮里}﹐宛如{濮上}。”{清}{孫枝蔚}《木槿》詩:“豈爲{孟姜}色﹐須邀詩客誇。”【2】即{孟姜}。{清}{俞樾}《小浮梅閑話》:“俗傳{秦}築{長城}﹐有{范郎}之妻{孟姜}﹐送寒衣至城下﹐聞夫死﹐一哭而城爲之崩。”{清}{無名氏}《孟姜女四季歌》:“冬季裏來雪花飛﹐{孟姜}雪裏送寒衣。”【3】傳說為{孤竹君}的侍女。因被獻給{殷紂王}而投井自盡。{郭沫若}《星空·孤竹君之二子》:“他看見我們父親的侍女﹐才滿十五歲的{孟姜}--啊啊﹐可憐的{孟姜}!她便在那年離開了我們了……她流了多少眼淚呵!”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D%9F%E5%A7%9C 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D%9F%E5%A7%9C 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15769827B6558EAED815DBB36F814FB&cult=TW&bv=1

(발췌 시작) 

采葑 

 

    【1】語出《詩·邶風·谷風》:“采葑采菲,無以下體。”葑即蔓菁,葉和根﹑莖都可食,但根﹑莖味苦。詩意謂采者不可因此連它的葉子都不要。后因以“采葑”為被人賞識器重的謙詞。{宋}{秦觀}《謝程公辟啟》:“不謂修撰給事﹐誤賜采葑﹐曲加推轂。”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7%87%E8%91%91 11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7%87%E8%91%91 14

-----

 

 6. 蝃蝀(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59 [懷昏姻也; 大無信也]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0612DD8C40B3EF82F2A22FEB1131737&cult=TW&bv=1

(발췌 시작)

昏姻

 

    亦作“[昏]”亦作“[昏因]”【1】嫁娶;結婚之事。《詩·鄘風·蝃蝀》:“乃如之人也﹐懷昏姻也。”《禮記·經解》:“昏姻之禮﹐所以明男女之別也。”{鄭玄}注:“昏姻﹐謂嫁取也。”{晉}{潘岳}《懷舊賦》序:“余十二﹐而獲見于父友{東武}{戴侯}{楊君}﹐始見知名﹐遂申之以昏姻。”一本作“婚姻”。【2】親家;夫妻關系,姻親關系。《詩·小雅·角弓》:“兄弟昏姻﹐無胥遠矣。”{高亨}注:“昏姻﹐指姻戚。”{唐}{韓愈}《祭故陜府李司馬文》:“{愈}以守官﹐不獲弔送。昏姻之好﹐以哀以悲。敬致微禮﹐公其歆之。”《金史·世戚傳序》:“然則四十七部之中亦有不通昏因者矣﹐其故則莫能詰也。”{梁啟超}《試辦不纏足會簡明章程》:“故特創此會﹐使會中同志﹐可以互通昏。”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8%8F%E5%A7%BB 26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8%8F%E5%A7%BB 1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BCFE39FA311AC4096BE38EBC8377B94&cult=TW&bv=1
(발췌 시작)

無信

 

    【1】不要相信;不相信。《詩·鄭風·揚之水》:“無信人之言﹐人實■女。”《詩·小雅·青蠅》:“豈弟君子﹐無信讒言。”【2】不守信用,沒有信用。《論語·為政》:“人而無信﹐不知其可也。”{漢}{董仲舒}《春秋繁露·竹林》:“伐喪無義﹐叛盟無信。”{周敬文}《武塘農業生產合作社是怎樣從中農占優勢轉變為貧農占優勢的》二:“先認為貧農說話無信﹐做事無能﹐因此就看不起他們。”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6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13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4%A1%E4%BF%A1 6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4%A1%E4%BF%A1 131

-----

 

 7. 國風·衛風 (鄭、王俱云:“紂都之東也。”)淇奧(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63 [倚重較兮; 善戲謔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F8892DE05309B5AE176A26F3D0FCA30&cult=TW&bv=1

(발췌 시작)

重較

 

    【1】指古代卿士所乘車箱前左右有伸出的彎木(車耳)可供倚攀的車子。《詩·衛風·淇奧》:“寬兮綽兮﹐猗重較兮。”{陸德明}釋文:“較﹐古岳反。車兩傍上出軾者。”{朱熹}集傳:“重較﹐卿士之車也。較兩輢上出軾者﹐謂車兩傍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7%8D%E8%BC%83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7%8D%E8%BC%83 1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324F3611E8E803F909A30A14D72FD0F&cult=TW&bv=1

(발췌 시작)

戲謔 

 

    【1】以詼諧的話取笑,開玩笑。《詩·衛風·淇奧》:“寬兮綽兮﹐猗重較兮;善戲謔兮﹐不爲虐兮。”{明}{徐渭}《漱老謔墨》詩:“世間無事無三昧﹐老來戲謔塗花卉。”{高云覽}《小城春秋》第三五章:“新郎新婦喜逐顏開的接受客人的戲謔和祝賀﹐滿屋子是笑聲。”{宋}{張世南}《游宦紀聞》卷二:“{蜀}昔有術士﹐精於談天﹐尤善戲謔。”{漢}{徐幹}《中論·法象》:“君子口無戲謔之言﹐言必有防;身無戲謔之行﹐行必有檢。”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3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8%B2%E8%AC%94 7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8%B2%E8%AC%94 33

----- 

 

 8. (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66 [不可說也]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66 
(발췌 시작)

《漢語大詞典》:可说(可説)  拼音:kě shuō

 

可以解说。《诗·卫风·氓》:“士之耽兮,犹可説也。” 郑玄 笺:“説,解也。”按,一说为解脱,摆脱。说,读为“脱”。见 林义光 《诗经通解》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16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F%AF%E8%AA%AA 33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F%AF%E8%AA%AC 167

-----

 

 9. 有狐(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71 [有狐綏綏; 有狐綏綏; 有狐綏綏]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1E4C8F1A15765BF1A4148510268615A&cult=TW&bv=1

(발췌 시작)

狐綏

 

    【1】《詩·衛風·有狐》:“有狐綏綏,在彼{淇}梁。”{朱熹}集傳:“狐者,妖媚之獸。綏綏,獨行求匹之貌。”后因以“狐綏”喻婦女淫亂。{明}{謝肇淛}《五雜俎·人部四》:“{辰嬴}以國君之女﹐朝事其弟﹐夕事其兄;鶉奔﹑狐綏之行﹐見於大邦之主﹐而恬不爲恥也。”{明}{汪廷訥}《獅吼記·訴冤》:“{黃州}{柳氏}{陳}家婦﹐鷙悍狐綏恣嫉妬。勞勞長舌牝雞晨﹐廢弛三綱全不顧。”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B%90%E7%B6%8F 6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B%90%E7%B6%8F 5

-----

 

10. 國風·王風 (陸曰:王國者,周室東都王城畿內之地,在豫州,今之洛陽是也。幽王滅,平王東遷,政遂微弱,詩不能複雅。下列稱風,以“王”當國,猶《春秋》稱王人)黍離(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73 [不知我者; 不知我者; 不知我者; (謂我心憂; 謂我心憂)]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99EEFA06B3437DC5633143CCACB9486&cult=TW&bv=1

(발췌 시작)

知我

 

    【1】深切了解我。《詩·王風·黍離》:“知我者﹐謂我心憂;不知我者﹐謂我何求。”{宋}{蘇軾}《觀魚臺》詩:“若信萬殊歸一理﹐子今知我我知魚。”《史記·管晏列傳》:“{管仲}曰:‘吾始困時﹐嘗與{鮑叔}賈﹐分財利多自與﹐{鮑叔}不以我爲貪……生我者父母﹐知我者{鮑子}也。’”{南朝} {宋}{劉義慶}《世說新語·賞譽》:“{王長史}云:‘{劉尹}知我﹐勝我自知。’”【2】器重我。《史記·刺客列傳》:“〔{豫讓}〕去而事{智伯}﹐{智伯}尊寵之……〔{豫讓}〕曰:‘嗟呼!士爲知己者死﹐女爲説己者容。今{智伯}知我﹐我必爲報讎而死﹐以報{智伯}﹐則吾魂魄不愧矣。’”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11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43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F%A5%E6%88%91 114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F%A5%E6%88%91 434

-----

 

11. 君子陽陽(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75 [其樂只且; 其樂只且]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DABF56BD51DD85D13BBE91D60F01091&cult=TW&bv=1
(발췌 시작)

樂只

 

    【1】和美;快樂。只,語助詞。{宋}{王安石}《聞望之解舟》詩:“子來樂只﹐子去悲如何?”{鄭澤}《短歌行》:“香起增高華﹐雙情堪樂只。”《詩·小雅·南山有臺》:“樂只君子﹐邦家之基。樂只君子﹐萬壽無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5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8%82%E5%8F%AA 3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8%82%E5%8F%AA 57

 

12. 葛藟(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79 [謂他人父; 謂他人父; 謂他人母; 謂他人母; 謂他人昆; 謂他人昆]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230CE6DA0A688A2474D988DD767DC3A&cult=TW&bv=1
(발췌 시작)

他人

 

    【1】別人。《醒世恒言·蔡瑞虹忍辱報仇》:“那船頭便去包攬他人貨物﹐圖個免稅之利。”《詩·小雅·巧言》:“他人有心﹐予忖度之。”{唐}{白居易}《太行路》詩:“人生莫作婦人身﹐百年苦樂由他人。”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9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83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B%96%E4%BA%BA 90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B%96%E4%BA%BA 837

-----

 

13. 采葛(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80 [彼采葛兮; 如三月兮; 彼采艾兮; 如三秋兮; 彼采艾兮; 如三歲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15769827B6558EA0FF9D67C48186C2B&cult=TW&bv=1
(발췌 시작)

采葛

 

    【1】《詩·王風》篇名。《詩·王風·采葛序》謂“《采葛》,懼讒也”。后世因用為畏懼或避免讒言的典故。{北周}{庾信}《擬詠懷》之二一:“避讒采葛,忘情遂食薇。”又詩中有“一日不見,如三月兮”﹑“一日不見,如三秋兮”﹑“一日不見,如三歲兮”之句,故亦用為懷人的典故。{明}{何景明}《將雪有懷》詩:“已動尋梅興﹐空成采葛詩。”

(이상, 밫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7%87%E8%91%9B 7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7%87%E8%91%9B 1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80
(발췌 시작)

《漢語大詞典》:三月  拼音:sān yuè

 

格里历(即阳历)每年的第三个月
农历(阴历)每年的第三个月,第三个朔望月
三个月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138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자주(즉, 194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9%E6%9C%88 1389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9%E6%9C%88 194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15769827B6558EAED904A4D841DD869&cult=TW&bv=1
(발췌 시작)

采艾 

 

    【1】采摘艾草。古有采艾療疾禳毒之俗。{南朝} {梁}{宗懔}《荊楚歲時記》:“五月五日﹐謂之浴蘭節。{荊}{楚}人并蹋百草﹐又有鬭百草之戲。采艾以爲人形﹐懸門戶上以禳毒氣。”一本作“採艾”。《詩·王風·采葛》:“彼采艾兮﹐一日不見﹐如三歲兮。”{毛}傳:“艾所以療疾。” 

(이상, 밫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주(즉, 1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7%87%E8%89%BE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7%87%E8%89%BE 1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04A7D8CC7999EACAC541C4D1720B05A&cult=TW&bv=1
(발췌 시작)

三秋 

 

    【1】謂九個月。一秋三月,三秋為九月。《詩·王風·采葛》:“一日不見,如三秋兮。”{孔穎達}疏:“年有四時,時皆三月,三秋謂九月也。”一說指三年。見{清}{俞樾}《古書疑義舉例·以小名代大名例》。{晉}{陸機}《挽歌》之一:“三秋猶足收﹐萬世安可思!”{宋}{李彌遜}《水調歌頭·次向伯恭薌林見寄》詞:“不見隱君子﹐一月三秋。”《燕山外史》卷二:“室邇人遐﹐每切三秋之感。”【2】指秋季。七月稱孟秋﹑八月稱仲秋﹑九月稱季秋﹑合稱三秋。{晉}{陶潛}《閑情賦》:“願在莞而爲席﹐安弱體於三秋。”{清}{納蘭性德}《與顧梁汾書》:“天清氣朗﹐時值三秋。”《文選·王融<永明十一年策秀才文>》:“四境無虞﹐三秋式稔。”{李善}注:“秋有三月﹐故曰三秋。”{宋}{柳永}《望海潮》詞:“重湖疊巘清佳﹐有三秋桂子﹐十里荷花。”【3】指秋季的第三月,即農歷九月。{北周}{庾信}《至仁山銘》:“三秋雲薄﹐九日寒新。”{唐}{白行簡}《李都尉重陽日得蘇屬國書》詩:“三秋異鄉節﹐一紙故人書。”【4】秋收﹑秋耕﹑秋種的統稱。 

(이상, 밫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주(즉, 14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9%E7%A7%8B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9%E7%A7%8B 14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42B7F17C86E296761FD6A2725E12B2E&cult=TW&bv=1
(발췌 시작)

一日三歲

 

    【1】《詩·王風·采葛》:“彼采艾兮,一日不見,如三歲兮。”后以“一日三歲”形容對人思念殷切。《北史·王肅傳》:“尋徵入朝﹐帝詔曰:‘不見君子﹐中心如醉﹐一日三歲﹐我勞如何。’”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더러(즉, 24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43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9%E6%AD%B2 249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9%E6%AD%B2 434

-----

 

14. 將仲子(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84 [將仲子兮; 仲可懷也; 將仲子兮; 仲可懷也; 將仲子兮; 仲可懷也]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C9A04C09AE2B4E9A018053D7DCEC407&cult=TW&bv=1

(발췌 시작)

仲子

 

    【1】對兄弟中排行為第二者的尊稱。《詩·鄭風·將仲子》:“將仲子兮﹐無踰我里。”{高亨}注:“仲﹐兄弟行列在第二的稱仲。”【2】猶次子。{明}{沈德符}《野獲編·年伯》:“{嘉靖}辛丑榜{王}大司馬{思質}﹐督{薊}{遼}……{後王}仲子{麟洲}﹐分藩{江}{右}﹐與{鄢}絶不往還。”{宋}{王安石}《示平甫弟》詩:“萬檣如山屹不動﹐嗟我仲子行亦止。”《明史·劉鉉傳》:“〔{鉉}〕仲子{瀚}以進士使南方。”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15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17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B%B2%E5%AD%90 159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B%B2%E5%AD%90 17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92A348CDD4EEE1386E17E0B2DD967B0&cult=TW&bv=1

(발췌 시작) 

可懷 

 

    【1】值得思念。《詩·豳風·東山》:“不可畏也﹐伊可懷也。”{鄭玄}箋:“懷﹐思也。”{漢}{班固}《幽通賦》:“豈余身之足殉兮﹐違世業之可懷。”{晉}{潘岳}《西征賦》:“伊故鄉之可懷﹐疚聖達之幽情。”{唐}{韓愈}《閔己賦》:“下土茫茫其廣大兮﹐余壹不知其可懷。”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2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F%AF%E6%87%B7 15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F%AF%E6%87%B7 28

-----

 

15. 叔于田(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85 [巷無服馬; 豈無服馬]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38C11B2293ADFB36F24538FC68BBFE1&cult=TW&bv=1

(발췌 시작)

無服

 

    【1】沒有衣穿。《詩·衛風·有狐》:“心之憂矣﹐之子無服。”{毛}傳:“言無室家﹐若人無衣服。”【2】古喪制指五服之外無服喪關系稱“無服”。《禮記·喪服小記》:“爲父後者﹐爲出母無服無服也者﹐喪者不祭故也。”{宋}{蘇軾}《寶月大師塔銘》:“{寳月大師}{惟簡}﹐字{宗可}﹐姓{蘇氏}﹐{眉山}人﹐於予爲無服兄。”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8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28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4%A1%E6%9C%8D 58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4%A1%E6%9C%8D 282

 

16. 大叔于田(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86 [抑磬控忌; 抑縱送忌; 抑鬯弓忌] [주: 여기서 ""는 어조사임(출처: 한어대사전)]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98341E526E6D51A4E6C66FA90D25168&cult=TW&bv=1

(발췌 시작)

磬控

 

    【1】縱馬和止馬。泛指馭馬。《詩·鄭風·大叔于田》:“抑磬控忌。”{毛}傳:“騁馬曰磬﹐止馬曰控。”{朱熹}集傳:“忌﹑抑﹐皆語助詞。”{清}{紀昀}《閱微草堂筆記·姑妄聽之一》:“實見小人在蝶背﹐有磬控駕馭之狀﹐俯仰顧盼﹐意殊生動﹐殊不類偶人也。”{宋}{岳珂}《桯史·義騟傳》:“〔{王成}〕呼常馭羸卒持鞚來﹐則帖耳訓服如平時﹐振迅通衢﹐磬控緩亟無少忤者。”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A3%AC%E6%8E%A7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7%A3%AC%E6%8E%A7 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B5BEE3515193182AC1C2EB80FCC9505&cult=TW&bv=1

(발췌 시작)

縱送 

 

    【1】本謂射箭與逐禽。形容奔馳之貌。《詩·鄭風·大叔于田》:“抑磬控忌﹐抑縱送忌。”{毛}傳:“發矢曰縱﹐縱禽曰送。”{孔穎達}疏:“縱謂放縱﹐故知發矢;送謂逐後﹐故知從禽。”{馬瑞辰}通釋:“磬﹑控﹑雙聲字。縱﹑送﹐疊韻字……磬﹑控﹑縱﹑送﹐皆言御者馳逐之貌。”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8%B1%E9%80%81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8%B1%E9%80%81 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B02584C02BA5D38AA703590817DC221&cult=TW&bv=1

(발췌 시작)

鬯弓 

 

    【1】猶韔弓。把弓藏入弓袋。鬯,通“韔”。《詩·鄭風·大叔于田》:“抑釋掤忌﹐抑鬯弓忌。”{毛}傳:“鬯弓﹐弢弓。”{孔穎達}疏:“鬯者﹐盛弓之器。鬯弓﹐謂弢弓而納之鬯中。”{朱熹}集傳:“鬯﹐弓囊也。與韔同。”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C%AF%E5%BC%93%20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C%AF%E5%BC%93 5

-----

 

17. 狡童(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4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94 [彼狡童兮; 彼狡童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C14286237AEBEBE8FFB3BFA90D851C5&cult=TW&bv=1
(발췌 시작)

狡童

 

    【1】姣美的少年。《詩·鄭風·山有扶蘇》:“不見{子充}﹐乃見狡童。”{孔穎達}疏:“狡童﹐謂狡好之童。”{銀雀山}{漢}墓竹簡《孫臏兵法·將德》:“愛之若狡童﹐敬之若嚴師﹐用之若土芥。”{清}{蒲松齡}《聊齋志異·金和尚》:“不敢公然蓄歌妓;而狡童十數輩﹐皆慧黠能媚人。”【2】《詩·鄭風》有《狡童》篇,譏刺公子{忽}。后以“狡童”借指壯狡昏亂的國君。亦作“[狡僮]”。《史記·宋微子世家》:“〔{箕子}〕乃作《麥秀之詩》以歌詠之。其詩曰:‘麥秀漸漸兮﹐禾黍油油。彼狡僮兮﹐不與我好兮!’所謂狡童者﹐{紂}也。”《文選·任昉<宣德皇后令>》:“惟彼狡童﹐■兇極虐。”{張銑}注:“狡﹐亂也;童﹐謂{東昬侯}即位。”{古直}《哀朝鮮》詩:“降王迎軹道﹐哀哉彼狡童。”【3】指霸占一方的割據者。{唐}{元稹}《加裴度幽鎮兩道招撫使制》:“{蔡}有逆孽﹐{齊}有狡童。”【4】未成年的童仆。{清}{周亮工}《書影》卷一:“外無狡童﹐內無老婢。”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3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B%A1%E7%AB%A5 6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B%A1%E7%AB%A5 35

-----

 

18. 子衿(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4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99 [在城闕兮; 如三月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C72A67358F10A03C866604D431C58B4&cult=TW&bv=1

(발췌 시작)

城闕

 

    【1】宮闕。帝王所居之處。{唐}{白居易}《長恨歌》:“九重城闕煙塵生﹐千乘萬騎西南行。”{晉}{陸機}《謝平原內史表》:“不得束身奔走﹐稽顙城闕。”{宋}{何薳}《春渚紀聞·后土詞瀆慢》:“即令黃衣人復引余過數城闕﹐止一殿庭。”【2】都城,京城。{唐}{杜甫}《自京赴奉先縣詠懷五百字》:“鞭撻其夫家﹐聚歛貢城闕。”{仇兆鰲}注:“京師有闕﹐得稱城闕。”{漢}{張衡}《東京賦》:“肅肅習習﹐隱隱轔轔﹐殿未出乎城闕﹐斾已返乎郊畛。”{三國} {魏}{曹植}《贈丁翼》詩:“嘉賓填城闕﹐豐膳出中廚。”【3】城門兩邊的望樓。《詩·鄭風·子衿》:“佻兮達兮﹐在城闕兮。”{孔穎達}疏:“謂城上之別有高闕﹐非宮闕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12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F%8E%E9%97%95 5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F%8E%E9%97%95 12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180
(발췌 시작)

《漢語大詞典》:三月  拼音:sān yuè

 

格里历(即阳历)每年的第三个月
农历(阴历)每年的第三个月,第三个朔望月
三个月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138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자주(즉, 194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9%E6%9C%88 1389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9%E6%9C%88 1947

-----

 

19. 猗嗟(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5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14 [巧趨蹌兮; 儀既成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271CCCF0BE0698346FA65778CCA1D3E&cult=TW&bv=1
(발췌 시작)

趨蹌

 

    【1】奔走侍奉。{宋}{蘇舜欽}《應制科上省使葉道卿書》:“閣下以高文閎才都盛位﹐而某以吏屬﹐時得趨蹌左右。”{清}{紀昀}《閱微草堂筆記·灤陽續錄二》:“{劉德}狀貌如村翁﹐而臨陣鎮定乃爾!參將都司﹐徒善應對趨蹌耳。”【2】指入朝做官, 出仕。{明}{湯顯祖}《陽谷主人飲》詩:“趨蹌乃人理﹐臥托非世資。”【3】疾行貌。{明}{徐渭}《翠鄉夢》第二出:“這嘴臉便不像俺的爺﹐臨了那幾步趨蹌卻像得俺爺好。”{清}{平步青}《霞外攟屑·論文上·羅臺山》:“〔{羅臺山}〕掌師子周旋趨蹌如往月時﹐由是門內外人始知公負奇力。”【4】指音樂的板眼節奏。{宋}{梅堯臣}《依韻和春日見示》:“龍咽嘹喨留行月﹐鳳翼趨蹌巧定場。”【5】形容步趨中節。古時朝拜晉謁須依一定的節奏和規則行步。亦指朝拜, 進謁。{唐}{元稹}《王悅昭武校尉行左千牛備身制》:“{莊憲皇后}姪{王悅}等﹐或勳戚蔭餘﹐或公卿貴胤。佩觿有趨蹌之美﹐釋褐參侍從之榮。”《詩·齊風·猗嗟》:“巧趨蹌兮。”{孔穎達}疏:“禮有徐趨疾趨﹐爲之有巧有拙﹐故美其巧趨蹌兮。”{宋}{王禹偁}《差官通攝謁廟大禮使表》:“既列三臺之首﹐合居五使之先。顧筋力之不支﹐慮趨蹌之失度。輒伸悃愊﹐冀免遣差。”{清}{唐孫華}《偕夏重至國學觀古槐》詩:“推排列拜皆新貴﹐烏紗銀帶紛趨蹌。”【6】奉承拍馬; 阿附。{金}{董解元}《西廂記諸宮調》卷七:“莫難道詩骨瘦嵓嵓﹐掂詳了這廝趨蹌﹐身分便活脫下{鍾馗}一二三。”{清}{袁枚}《續新齊諧·淫諂二罪冥責甚怪》:“貧賤之人謀生不得﹐或奔走權門﹐或趨蹌富室﹐被人恥笑﹐亦是不得已之事。”{明}{高明}《琵琶記·牛氏規奴》:“更羨他知書知禮﹐是一箇不趨蹌的秀才﹐若論他有德有行﹐好一位戴冠兒的君子。”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6%A8%E8%B9%8C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6%A8%E8%B9%8C 1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2AF19A4761D11C71ADA74E739F23B35&cult=TW&bv=1
(발췌 시작)

既成 

 

    【1】已經完成;已經成為。《詩·小雅·六月》:“維此六月﹐既成我服。”{毛澤東}《統一戰線中的獨立自主問題》:“有些則造成既成事實再告訴它。”{郭沫若}《革命詩人屈原》:“到了這個時候﹐或早或遲必然的要起來一次革命﹐便是文字打破既成的定型而向脫去了桎梏的言語急起直追。”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98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17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7%A2%E6%88%90 98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7%A2%E6%88%90 171

-----

 

20. 園有桃(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5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17 [不知我者]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99EEFA06B3437DC5633143CCACB9486&cult=TW&bv=1

(발췌 시작)

知我

 

    【1】深切了解我。《詩·王風·黍離》:“知我者﹐謂我心憂;不知我者﹐謂我何求。”{宋}{蘇軾}《觀魚臺》詩:“若信萬殊歸一理﹐子今知我我知魚。”《史記·管晏列傳》:“{管仲}曰:‘吾始困時﹐嘗與{鮑叔}賈﹐分財利多自與﹐{鮑叔}不以我爲貪……生我者父母﹐知我者{鮑子}也。’”{南朝} {宋}{劉義慶}《世說新語·賞譽》:“{王長史}云:‘{劉尹}知我﹐勝我自知。’”【2】器重我。《史記·刺客列傳》:“〔{豫讓}〕去而事{智伯}﹐{智伯}尊寵之……〔{豫讓}〕曰:‘嗟呼!士爲知己者死﹐女爲説己者容。今{智伯}知我﹐我必爲報讎而死﹐以報{智伯}﹐則吾魂魄不愧矣。’”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11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43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F%A5%E6%88%91 114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F%A5%E6%88%91 434

-----

 

21. 伐檀(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5 [彼君子兮; 不素食兮; 彼君子兮; 不素食兮; 彼君子兮; 不素食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37D5DE2DE58F34BFC7D50B6ADA8E74E&cult=TW&bv=1

(발췌 시작)

君子

 

    【1】對統治者和貴族男子的通稱。常與“小人”或“野人”對舉。《淮南子·說林訓》:“農夫勞而君子養焉。”{高誘}注:“君子國君。”《孟子·滕文公上》:“無君子莫治野人﹐無野人莫養君子。”《詩·魏風·伐檀》:“彼君子兮﹐不素餐兮!”【2】泛指才德出眾的人。《易·乾》:“九三﹐君子終日乾乾。”{清}{方文}《石橋懷與治》詩:“昔年居南邨﹐卜隣近君子。”{漢}{班固}《白虎通·號》:“或稱君子何?道德之稱也。君之爲言羣也;子者丈夫之通稱也。”{宋}{王安石}《君子齋記》:“故天下之有德﹐通謂之君子。”{洪深}《少奶奶的扇子》第四幕:“我想世界上的人﹐也不能就分做兩群:說這群是好﹐那群是壞;這群君子﹐那群小人。”【3】舊時妻對夫之稱。《詩·召南·草蟲》:“未見君子﹐憂心忡忡。”《後漢書·列女傳·曹世叔妻》:“進增父母之羞﹐退益君子之累。”{李賢}注:“君子﹐謂夫也。”{唐}{李白}《古風》之二七:“焉得偶君子﹐共乘雙飛鸞。”{清}{孫枝蔚}《采蓮曲》之一:“妾采蓮﹐采蓮寄君子。”【4】指{春秋}{越國}的君子軍。《國語·吳語》:“〔{越王}〕以其私卒君子六千人爲中軍。”{韋昭}注:“私卒君子﹐王所親近有志行者﹐猶{吳}所謂賢良﹐{齊}所謂士。”{明}{梁辰魚}《浣紗記·被擒》:“{越王}親率兕甲十萬﹐君子六千﹐直渡{太湖}。”【5】對人的尊稱。猶言先生。《武王伐紂平話》卷中:“{姜尚}問曰:‘君子﹐爾何姓?’”{清}{李漁}《蜃中樓·雙訂》:“我姊妹出來已久﹐恐家慈見疑﹐如今要返深閨﹐君子﹐請回去罷。”{元}{李壽卿}《伍員吹簫》第三折:“君子﹐你這等一個人﹐可被那廝欺負﹐我好是不平也。”《太平廣記》卷四一九引{唐}{李朝威}《異聞錄·柳毅》:“夫人泣謂{毅}曰:‘骨肉受君子深恩﹐恨不得展媿戴﹐遂至睽別。’”【6】美酒。《類說》卷四三引{唐}{皇甫松}《醉鄉日月》:“凡酒……以家醪糯觴醉人者爲君子。”【7】竹之雅號。{宋}{蘇轍}《林筍復生》詩:“偶然雷雨一尺深﹐知爲南園衆君子。”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427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588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0%9B%E5%AD%90 427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0%9B%E5%AD%90 588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62F8AC9882B9942CA71BE1ABAA77837&cult=TW&bv=1

(발췌 시작)

素食 

 

    【1】特指僧人齋食。{唐}{顏師古}《匡謬正俗·素食》:“今俗謂桑門齋食爲素食﹐蓋古之遺語焉。”《清平山堂話本·西湖三塔記》:“媽媽交安排‘素食’請真人齋畢。”【2】素餐。不勞而食。{明}{劉基}《題李伯時畫<淵明歸來圖>》詩:“{陶公}節義士素食豈其心。”《詩·魏風·伐檀》:“彼君子兮﹐不素食兮。”{宋}{黃庭堅}《贛上食蓮有感》詩:“甘飡恐臘毒﹐素食則懷慚。”{清}{蒲松齡}《聊齋志異·愛奴》:“久以素食爲恥﹐贄固猶在囊耳。”【3】瓜菜之類的食物。后指菜食無肉。《管子·禁藏》:“率三十畝而足於卒歲。歲兼美惡﹐畝取一石﹐則人有三十石﹐果蓏素食當十石﹐糠粃六畜當十石﹐則人有五十石。”{戴望}校正:“{王氏}{引之}云:‘素讀爲疏﹐字或作蔬。’”{北魏}{賈思勰}《齊民要術·素食》:“缹瓜﹑瓠﹑菌﹐雖有肉素兩法;然此物多充素食﹐故附素條中。”《漢書·霍光傳》:“〔{昌邑王}〕亡悲哀之心﹐廢禮誼﹐居道上不素食。”{顏師古}注:“素食﹐菜食無肉也。言王在道常肉食﹐非居喪之制也。”{孫中山}《行易知難》第一章:“西人之倡素食者﹐本於科學衛生之知識﹐以求延年益壽之功。”【4】謂人類未知熟食以前食草木之實。《墨子·辭過》:“古之民未知爲飲食時﹐素食而分處。”{孫詒讓}間詁:“素食﹐謂食草木……《禮運》説上古云:‘未有火化﹐食草木之實’﹐即此素食也。”【5】平時所食。《儀禮·喪服》:“既練﹐舍外寢﹐始食菜果﹐飯素食﹐哭無時。”{鄭玄}注:“素﹐猶故也﹐謂復平生時食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3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4%A0%E9%A3%9F 1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4%A0%E9%A3%9F 30

----

 

22. 有杕之杜(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6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31 [彼君子兮; 飲食之; 彼君子兮; 飲食之]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37D5DE2DE58F34BFC7D50B6ADA8E74E&cult=TW&bv=1

(발췌 시작)

君子

 

    【1】對統治者和貴族男子的通稱。常與“小人”或“野人”對舉。《淮南子·說林訓》:“農夫勞而君子養焉。”{高誘}注:“君子國君。”《孟子·滕文公上》:“無君子莫治野人﹐無野人莫養君子。”《詩·魏風·伐檀》:“彼君子兮﹐不素餐兮!”【2】泛指才德出眾的人。《易·乾》:“九三﹐君子終日乾乾。”{清}{方文}《石橋懷與治》詩:“昔年居南邨﹐卜隣近君子。”{漢}{班固}《白虎通·號》:“或稱君子何?道德之稱也。君之爲言羣也;子者丈夫之通稱也。”{宋}{王安石}《君子齋記》:“故天下之有德﹐通謂之君子。”{洪深}《少奶奶的扇子》第四幕:“我想世界上的人﹐也不能就分做兩群:說這群是好﹐那群是壞;這群君子﹐那群小人。”【3】舊時妻對夫之稱。《詩·召南·草蟲》:“未見君子﹐憂心忡忡。”《後漢書·列女傳·曹世叔妻》:“進增父母之羞﹐退益君子之累。”{李賢}注:“君子﹐謂夫也。”{唐}{李白}《古風》之二七:“焉得偶君子﹐共乘雙飛鸞。”{清}{孫枝蔚}《采蓮曲》之一:“妾采蓮﹐采蓮寄君子。”【4】指{春秋}{越國}的君子軍。《國語·吳語》:“〔{越王}〕以其私卒君子六千人爲中軍。”{韋昭}注:“私卒君子﹐王所親近有志行者﹐猶{吳}所謂賢良﹐{齊}所謂士。”{明}{梁辰魚}《浣紗記·被擒》:“{越王}親率兕甲十萬﹐君子六千﹐直渡{太湖}。”【5】對人的尊稱。猶言先生。《武王伐紂平話》卷中:“{姜尚}問曰:‘君子﹐爾何姓?’”{清}{李漁}《蜃中樓·雙訂》:“我姊妹出來已久﹐恐家慈見疑﹐如今要返深閨﹐君子﹐請回去罷。”{元}{李壽卿}《伍員吹簫》第三折:“君子﹐你這等一個人﹐可被那廝欺負﹐我好是不平也。”《太平廣記》卷四一九引{唐}{李朝威}《異聞錄·柳毅》:“夫人泣謂{毅}曰:‘骨肉受君子深恩﹐恨不得展媿戴﹐遂至睽別。’”【6】美酒。《類說》卷四三引{唐}{皇甫松}《醉鄉日月》:“凡酒……以家醪糯觴醉人者爲君子。”【7】竹之雅號。{宋}{蘇轍}《林筍復生》詩:“偶然雷雨一尺深﹐知爲南園衆君子。”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427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588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0%9B%E5%AD%90 427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0%9B%E5%AD%90 588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E0BAAAB580284E95962D7ED5CB51975&cult=TW&bv=1
(발췌 시작)

飲食

 

    【1】指飲料和食品。《詩·小雅·楚茨》:“苾芬孝祀﹐神嗜飲食。”{鄭玄}箋:“苾苾芬芬有馨香矣﹐女之以孝敬享祀也﹐神乃歆嘗女之飲食。”《二十年目睹之怪現狀》第五四回:“他自從聽了那朋友這句話之後﹐連人家送他的飲食也不敢入口﹐恐怕人家害他。”{巴金}《家》三一:“他吞了這些話﹐好像吞下好的飲食。”{宋}{蘇軾}《和王鞏六首并次韻》之一:“況子三年囚﹐苦霧變飲食。”【2】吃喝。{宋}{張齊賢}《洛陽縉紳舊聞記·焦生見亡妻》:“滿身及手足多棘刺﹐血污狼藉﹐不飲食﹐不知親疎。”《書·酒誥》:“爾乃飲食醉飽。”{清}{紀昀}《閱微草堂筆記·灤陽消夏錄五》:“〔{聶松巖}〕言其鄉有與狐友者﹐每賓朋宴集﹐招之同坐。飲食笑語﹐無異於人﹐惟聞聲而不睹其形耳。”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51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104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3%B2%E9%A3%9F 519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3%B2%E9%A3%9F 1045

-----

 

23. 國風·陳風 (今河南省淮陽縣之地)宛(陸曰:陳者,胡公媯滿之所封也。其先虞舜之胄有虞遏父者,為周陶正。武王賴其器用,與其神明之後,故妻以元女。其子滿乃封於陳,以備三恪。其地宓犧之墟,在古豫州之界,宛丘之側)(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6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44 [而無望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FCEFD9F8DD171980CBD9EE03332290A&cult=TW&bv=1
(발췌 시작)

無望

 

    【1】沒有指望;沒有希望。《詩·陳風·宛丘》:“洵有情兮﹐而無望兮。”《左傳·昭公二十七年》:“嗚呼!爲無望也夫﹐其死於此乎!”{清}{費經虞}《休》詩:“黃冠返故今無望﹐添箇人間小雪菴。”{沙汀}《淘金記》三:“升學﹐當然更艱難了。是無望的和不可能的。”【2】不希望;不期望。《史記·春申君列傳》:“世有無望之福﹐又有無望之禍。”{張守節}正義:“無望﹐謂不望而忽至也。”{宋}{洪邁}《容齋續筆·無望之禍》:“自古無望之禍玉石俱焚者﹐釋氏謂之劫數﹐然固自有幸不幸者。”【3】指不舉行山川之祭。望,指望祭。《左傳·僖公三十一年》:“望﹐郊之細也。不郊亦無望﹐可也。”【4】無怨望。《東觀漢記·李忠傳》:“上問諸將破賊所得物﹐惟{忠}獨無所掠。上曰:‘我欲賜之﹐諸君得無望乎!’”【5】無界限。《呂氏春秋·下賢》:“神覆宇宙而無望。”{高誘}注:“無望﹐無界畔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3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4%A1%E6%9C%9B 16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4%A1%E6%9C%9B 32

-----

 

24. 月出(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7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51 [舒窈糾兮; 舒夭紹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5EA3CF232B42BC4791A62B285384AD2&cult=TW&bv=1
(발췌 시작)

窈糾

 

    【1】形容步履舒緩﹐體態優美。《詩·陳風·月出》:“月出皎兮﹐佼人僚兮﹐舒窈糾兮﹐勞心悄兮。”{毛}傳:“舒﹐遲也。窈糾﹐舒之姿也。”{孔穎達}疏:“舒者﹐遲緩之﹐言婦人行步﹐貴在舒緩。言舒時窈糾兮﹐故知窈糾舒遲之姿容。”【2】幽深曲折。{清}{朱彝尊}《兜率院》詩:“其中路窈糾﹐其外雲封緘。”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AA%88%E7%B3%BE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7%AA%88%E7%B3%BE 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C1E61FE7F9A5B8BEBEB49E42FCA10D4&cult=TW&bv=1
(발췌 시작)

夭紹 

 

    【1】曲折貌。{清}{王夫之}《南岳賦》:“匪思存而稅駕﹐脈夭紹以東縈。”【2】輕盈多姿貌。{漢}{張衡}《七辯》:“蟬緜宜愧﹐夭紹紆折﹐此女色之麗也。”《詩·陳風·月出》:“佼人燎兮﹐舒夭紹兮。”{胡承珙}後箋:“《文選·西京賦》‘要紹修態’﹐注:‘要紹﹐謂嬋娟﹐作姿容也。’《南都賦》‘要紹便娟’﹐要紹﹐皆與夭紹同。”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51
(발췌 시작)

《漢語大詞典》:夭绍(夭紹)  拼音:yāo shào

 

(1).轻盈多姿貌。《诗·陈风·月出》:“佼人燎兮,舒夭绍兮。” 胡承珙 后笺:“《文选·西京赋》‘要绍修态’,注:‘要绍,谓嬋娟,作姿容也。’《南都赋》‘要绍便娟’,要绍,皆与夭绍同。” 汉 张衡 《七辩》:“蝉緜宜愧,夭绍紆折,此女色之丽也。”
(2).曲折貌。 清 王夫之 《南岳赋》:“匪思存而税驾,脉夭绍以东縈。”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4%AD%E7%B4%B9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4%AD%E7%B4%B9 1

-----

 

25. 匪風(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7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57 [匪風發兮; 匪風發兮; 誰能亨魚]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EE7569EDE0C174BE736FC7CAE3A9A1C&cult=TW&bv=1
(발췌 시작)

風發

 

    【1】發瘋。《二刻拍案驚奇》卷十三:“〔{劉秀才}〕看著行動舉止﹐聲音笑貌﹐宛然與{鄭氏}一般無二。衆人多道是:‘這養娘風發了。’”《西游記》第二七回:“好{行者}!風發了!只行了半日路﹐倒打死三個人!”【2】風起。《詩·檜風·匪風》:“匪風發兮﹐匪車揭兮。”《魏書·中山王英傳》:“即如{黃石公}所謂戰如風發﹐攻如{河}決。”【3】奮發。{唐}{韓愈}《柳子厚墓志銘》:“〔{柳子厚}〕儁傑廉悍﹐議論證據今古﹐出入經史百子﹐踔厲風發﹐率常屈其座人。”{晉}{袁宏}《後漢紀·靈帝紀中》:“移神器於將興﹐推亡{漢}於已墜﹐實神機之至會﹐風發之良時。”【4】比喻迅疾。{魯迅}《墳·文化偏至論》:“青年之所思惟﹐大都歸罪惡于古之文物﹐甚或斥言文爲蠻野﹐鄙思想爲簡陋﹐風發浡起﹐皇皇焉欲進{歐}西之物而代之﹐而于適所言十九世紀末之思潮﹐乃漠然不一措意。”《資治通鑒·晉成帝咸和五年》:“俟足下軍到﹐風發相赴。”{胡三省}注:“風發﹐言其速也。”{漢}{揚雄}《河東賦》:“風發飆拂﹐神騰鬼趡。”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8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2%A8%E7%99%BC 36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2%A8%E7%99%BC 8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5A00DAF823CFDDC9AD883630BA4468E&cult=TW&bv=1
(발췌 시작)

能亨

 

    【1】即寧馨。如此;這樣。{宋}{周密}《癸辛雜識續集·徐淵子詞》:“{淵子}賦《一翦梅》云:‘……他年青史總無名﹐我也能亨﹐你也能亨。’能亨﹐鄉音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E698877F7FEA78BF98D66371A86D6E3&cult=TW&bv=1
(발췌 시작)

寧馨 

 

    【1】{晉}{宋}時的俗語,“如此”﹑“這樣”之意。{元}{曹之謙}《白菊》詩:“數枝的皪照秋清﹐何物爲花乃寧馨。”{宋}{蘇軾}《平山堂次王居卿祠部韻》:“六朝興廢餘丘壠﹐空使姦雄笑寧馨。”{唐}{劉禹錫}《贈日本僧智藏》詩:“爲問{中華}學道者﹐幾人雄猛得寧馨。”{清}{吳廷楨}《試兒行為天標令子賦》詩:“幾人有兒得寧馨﹐萬金之産良非誣。”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3%BD%E4%BA%A8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3%BD%E4%BA%A8 3

-----

 

26. 候人(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7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59 [彼候人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DD72703BA839FE8FFBC2042076E1965&cult=TW&bv=1
(발췌 시작)

候人

 

    【1】古代掌管整治道路稽查姦盜,或迎送賓客的官員。《國語·周語中》:“敵國賓至……行理以節逆之﹐候人爲導。”{韋昭}注:“道賓至於朝﹐出送之於境也。”《詩·曹風·候人》:“彼候人兮﹐何戈與祋。”《左傳·宣公十二年》:“今{鄭}不率﹐寡君使羣臣問諸{鄭}﹐豈敢辱候人?”《周禮·夏官·司馬》:“候人各掌其方之道治與其禁令。”{鄭玄}注:“道治﹐治道也……禁令﹐備姦寇也。”【2】斥候。軍中偵伺敵情者。《管子·侈靡》:“候人不可重也。”{郭沫若}等集校:“重﹐亦‘動’字﹐古金文以童﹑重爲‘動’。‘候人不可動’者言斥候之人不可擅離其崗位。”{唐}{張九齡}《敕北庭經略使蓋嘉運書》:“近勅彼軍與{天山}計會﹐當審觀事勢﹐遠著候人。”《金史·太祖紀》:“{遼懿州}節度使{劉宏}以戶三千并{遼}候人來降。”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2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0%99%E4%BA%BA 15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0%99%E4%BA%BA 27

-----

 

27. 國風·豳風 (今陝西邠縣一帶)七(陸曰:豳者,戎狄之地名也。夏道衰,後稷之曾孫公劉自邰而出居焉。其封域在雍州岐山之北,原隰之野,於漢屬右扶風郇邑。周公遭流言之難,居東都,思公劉、大王為豳公,憂勞民事,以此敘己誌而作《七月》、《鴟鴞》之詩。成王悟而迎之,以致太平,故大師述其詩為豳國之風焉)(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7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62 [為公子裳]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96A528966C5C6FA31797F012244C1F7&cult=TW&bv=1
(발췌 시작)

公子

 

    【1】古代稱諸侯之庶子﹐以別于世子﹐亦泛稱諸侯之子。《儀禮·喪服》:“公子爲其母﹐練冠﹐麻﹐麻衣縓緣。”{鄭玄}注:“公子﹐君之庶子也。”《禮記·服問》:“傳曰﹐有從輕從重﹐公子之妻﹐爲其皇姑。”{孔穎達}疏:“公子謂諸侯之妾子也。”《禮記·玉藻》:“公子曰臣孽。”{鄭玄}注:“適而傳世曰世子﹐餘則但稱公子而已。”《詩·豳風·七月》:“殆及公子同歸。”{孔穎達}疏:“諸侯之子稱公子。”{唐}{韓愈}《答呂毉山人書》:“夫{信陵}{戰國}公子﹐欲以取士聲勢傾天下而然耳。”【2】諸侯之女亦稱公子。《公羊傳·莊公元年》:“主王姬者﹐則曷爲必爲之改築?於路寢則不可﹐小寢則嫌﹐羣公子之舍﹐則以卑矣。”{何休}注:“謂女公子也。”《公羊傳·昭公三十一年》:“{顔}淫九公子於宮中﹐因以納賊﹐則末知其爲{魯}公子與?{邾婁}公子與?”【3】尊稱有權勢地位的人;稱富貴人家的子弟。《史記·貨殖列傳》:“游閑公子﹐飾冠劍﹐連車騎﹐亦爲富貴容也。”{宋}{蘇軾}《王定國真贊》:“雍容委蛇者﹐貴介之公子﹐而短小精悍者﹐游俠之徒也。”《古今小說·汪信之一死救全家》:“此事一時傳遍了{臨安府}﹐王孫公子﹐富家巨室﹐人人來買{宋五嫂}魚羹吃。”{丁玲}《母親》:“一個是公子脾氣﹐細事不管﹐一個是小姐脾氣﹐百事不問。”【4】敬稱他人之子。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210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자주(즉, 202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5%AC%E5%AD%90 210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5%AC%E5%AD%90 2020

-----

 

28. 東山(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7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64 [有敦瓜苦]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560F8A8F5762A2AF63CC5E0A058E274&cult=TW&bv=1
(발췌 시작)

敦瓜

 

    【1】《詩·豳風·東山》:“有敦瓜苦,烝在栗薪”。{毛}傳:“敦,猶專專也。烝,衆也。言我心苦,事又苦也。”{陸德明}釋文:“專,徒端反。”后因以“敦瓜”指辛勞痛苦。{王闿運}《愁霖賦》:“穆悲黃竹旦感敦瓜淫霖爲災兮自古由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5%A6%E7%93%9C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5%A6%E7%93%9C 2

-----

 

29. 常棣(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8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72 [如鼓瑟琴]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14C754174D7B1ACF0B2BF80AD3D1CFA&cult=TW&bv=1
(발췌 시작)

鼓瑟

 

    【1】{漢}{楊惲}與其妻感情甚篤,于《報孫會宗書》中曰:“家本{秦}也,能爲{秦}聲。婦,{趙}女也,雅善鼓瑟。奴婢歌者數人,酒後耳熱,仰天拊缶而呼烏烏。”后以“鼓瑟”比喻夫婦感情融洽。{明}{歸有光}《歸氏二孝子傳》:“{華伯}夫婦如鼓瑟﹐{汝威}卒變頑嚚﹐考其終皆有以自達。”【2】彈瑟。《楚辭·遠游》:“使{湘靈}鼓瑟兮﹐令{海若}舞{馮夷}。”《詩·小雅·鼓鍾》:“鼓鍾欽欽﹐鼓瑟鼓琴﹐笙磬同音。”{郭沫若}《高漸離》第三幕:“自來彈琴鼓瑟的人都是瞎子﹐他不應該多了一雙眼睛。”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11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C%93%E7%91%9F 57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C%93%E7%91%9F 119

-----

 

30. 伐木(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8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73 [鳥鳴嚶嚶; 猶求友聲; 矧伊人矣; 不求友生]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78832403041985A335B142F5247E26D&cult=TW&bv=1

(발췌 시작)

鳴嚶

 

    【1】鳥叫。語本《詩·小雅·伐木》:“伐木丁丁,其鳴嚶嚶。”{唐}{{韓愈}{孟郊}}《城南聯句》:“惟昔集嘉詠﹐吐芳類鳴嚶。”{明}{劉基}《乙卯歲首早朝奉天殿柬翰林大本堂諸友》詩:“枝上鳴嚶報早春﹐御溝波澹碧龍鱗。”{南朝} {宋}{謝靈運}《酬從弟惠連》:“鳴嚶已悅豫﹐幽居猶鬱陶。”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3%B4%E5%9A%B6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3%B4%E5%9A%B6 1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DCF72FDA14344B24C9466B9CD586103&cult=TW&bv=1

(발췌 시작)

求友 

 

    【1】尋求朋友。語本《詩·小雅·伐木》:“ 嚶其鳴矣,求其友聲”。{清}{魏源}《村居雜興·呈筠谷從兄》詩:“適聞求友聲﹐嚶嚶方出谷。”{三國} {魏}{阮籍}《詠懷詩》之三:“鳴鳥求友﹐《谷風》刺愆。”【2】指訪友。{唐} {高適}《崔司錄宅燕大理李卿》詩:“上卿才大名不朽﹐早朝至尊暮求友。”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3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1%82%E5%8F%8B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1%82%E5%8F%8B 3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4173A0A1A577FF6B70D6817563BC980&cult=TW&bv=1

(발췌 시작)

伊人 

 

    【1】此人,這個人。指意中所指的人。《詩·秦風·蒹葭》:“所謂伊人﹐在水一方。”{高亨}注:“伊人﹐是人﹐意中所指的人。”{宋}{蘇軾}《顏闔》詩:“伊人畏照影﹐獨往就陰息。”{許地山}《無法投遞之郵件》:“原來那是伊人底文件!我伸伸腰﹐揉著眼﹐取下來念了又念﹐伊人的冷面又復顯現了。”{晉}{陶潛}《桃花源記并詩》:“{黃}{綺}之{商山}﹐伊人亦云逝。”{清}{周亮工}《陳階六在云間索同社諸子作畫數十幅見寄感賦一詩》:“伊人盈一水﹐好句滿千林。”{明}{何景明}《望郭西諸峰有懷昔隱兼發鄙志》詩:“嘉遯懷伊人俯仰今昔。”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6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C%8A%E4%BA%BA 10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C%8A%E4%BA%BA 61

-----

 

31. 天保(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8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74 [以莫不庶; 以莫不興; 以莫不增]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29553287CA6312DF480852242434A56&cult=TW&bv=1
(발췌 시작)

莫不

 

    【1】無不; 沒有一個不。{唐}{韓愈}《韓滂墓志銘》:“天固生之邪﹐偶自生邪﹐天殺也邪﹐其偶自死邪﹐莫不歸於死﹐壽何少多。”《詩·周頌·時邁》:“薄言震之﹐莫不震疊。”{明}{劉基}《諸暨州重修州學記》:“人倫既明﹐則爲民者莫不知愛其親﹐而不敢爲不義以自累。”《左傳·成公十六年》:“民生敦厖﹐和同以聽﹐莫不盡力﹐以從上命。”{沈從文}《從文自傳·我讀一本小書同時又讀一本大書》:“我不歡喜讀書的性情從塾師方面﹐從家庭方面﹐從親戚方面﹐莫不對于我感覺得無多希望。”【2】猶言莫不, 莫非。{金}{董解元}《西廂記諸宮調》卷四:“你莫不枉相思﹐枉受苦﹐枉煩惱?”{元}{王實甫}《西廂記》第一本第二折:“哎﹐你個饞窮酸倈沒意兒﹐賣弄你有家私﹐莫不我圖謀你的東西來到此?”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116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198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E%AB%E4%B8%8D 1169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E%AB%E4%B8%8D 1984

-----

 

32. 采薇(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8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75 [豈不日戒; 莫知我哀]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A87C793AE6FCE25F322BDB7D2C373AB&cult=TW&bv=1
(발췌 시작)

不日

 

    【1】謂不署日期。《穀梁傳·隱公元年》:“卑者之盟不日。”{楊士勛}疏:“卑者之盟不日﹐則公卿之盟書日可知。”{宋}{蘇軾}《問雩月何以為正》:“一月之旱故雩書月﹐一時之旱故雩書時﹐書雩之例﹐時月而不日。”【2】不見日,指天陰。《詩·邶風·終風》:“終風且曀﹐不日有曀。”{鄭玄}箋:“既竟日風且復曀﹐不見日矣。”【3】不久。《詩·大雅·靈臺》:“經始靈臺﹐經之營之﹐庶民攻之﹐不日成之。”{孔穎達}疏:“謂不設時日已成功﹐言民心樂爲之也。”《北齊書·魏收傳》:“{侯景}叛入{梁}﹐寇南境﹐{文襄}時在{晉陽}﹐令收爲檄﹐五十餘紙﹐不日而就。”{宋}{吳曾}《能改齋漫錄·事始二》:“{包孝肅公}守{廬州}﹐歲饑﹐亦不限米價﹐而商賈載至者遂多﹐不日米賤。”《儒林外史》第十二回:“不日要設一個大會。”{錢鍾書}《圍城》一:“也許因為不日到{香港}﹐先得把身心收拾整潔。”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99EEFA06B3437DC5633143CCACB9486&cult=TW&bv=1

(발췌 시작)

知我

 

    【1】深切了解我。《詩·王風·黍離》:“知我者﹐謂我心憂;不知我者﹐謂我何求。”{宋}{蘇軾}《觀魚臺》詩:“若信萬殊歸一理﹐子今知我我知魚。”《史記·管晏列傳》:“{管仲}曰:‘吾始困時﹐嘗與{鮑叔}賈﹐分財利多自與﹐{鮑叔}不以我爲貪……生我者父母﹐知我者{鮑子}也。’”{南朝} {宋}{劉義慶}《世說新語·賞譽》:“{王長史}云:‘{劉尹}知我﹐勝我自知。’”【2】器重我。《史記·刺客列傳》:“〔{豫讓}〕去而事{智伯}﹐{智伯}尊寵之……〔{豫讓}〕曰:‘嗟呼!士爲知己者死﹐女爲説己者容。今{智伯}知我﹐我必爲報讎而死﹐以報{智伯}﹐則吾魂魄不愧矣。’”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8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14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D%E6%97%A5 83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D%E6%97%A5 141

-----

 

33. 出車(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8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76 [自天子所; 彼旟旐斯]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08AE07D282F31B9E63EEA0E3F17D924&cult=TW&bv=1
(발췌 시작)

天子

 

    【1】古以君權為神所授﹐故稱帝王為天子。《儒林外史》第三五回:“{莊徵君}戴了朝巾﹐穿了公服﹐跟在班末﹐嵩呼舞蹈﹐朝拜了天子。”《史記·五帝本紀》:“於是{帝堯}老﹐命{舜}攝行天子之政﹐以觀天命。”{唐}{高適}《燕歌行》:“男兒本自重橫行﹐天子非常賜顔色。”《詩·大雅·江漢》:“明明天子﹐令聞不已。”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많이(즉, 435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많이(즉, 729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4%A9%E5%AD%90 435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4%A9%E5%AD%90 729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C0DBCB1811728B3772CA63579D7B57E&cult=TW&bv=1
(발췌 시작)

旟旐

 

    【1】泛指旌旗。{明}{鄭若庸}《玉玦記·接詔》:“翠華游幸﹐正返{鍾山}旟旐。”{清}{魏源}《默觚上·學篇十四》:“彼熊羆﹑蛇虺﹑旟旐﹑衆魚之幻﹐何足語知道。”《漢書·揚雄傳上》:“騰清霄而軼浮景兮﹐夫何旟旐郅偈之旖柅也!”《詩·小雅·出車》:“彼旟旐斯﹐胡不旆旆。”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7%9F%E6%97%90 4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7%9F%E6%97%90 8

-----

 

34. 六月(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8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85 [我是用急]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285F15DE5D8EEF1B46DFD8ABD2EF80D&cult=TW&bv=1
(발췌 시작)

是用

 

    【1】因此。{漢}{張衡}《東京賦》:“百姓弗能忍﹐是用息肩於大{漢}﹐而欣戴{高祖}。”{清}{李漁}《閑情偶寄·詞曲上·結構》:“是用瀝血鳴神﹐剖心告世。”《左傳·襄公八年》:“如匪行邁謀﹐是用不得于道。”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7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36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8%AF%E7%94%A8 74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8%AF%E7%94%A8 364

-----

 

35. 庭燎(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9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90 [如何其; 夜如何其; 夜如何其]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4BB58687C334F11103BB730F510F663&cult=TW&bv=1
(발췌 시작)

如何 

 

    【1】怎樣。{宋}{蘇軾}《贈包安靜先生》詩之二:“{建}茶三十斤﹐不審味如何。”{明}{唐順之}《游塘侯巡公》詩:“{禰生}狂態復如何?一刺懷中半滅磨。”《書·堯典》:“帝曰:‘俞﹐予聞﹐如何?’”{劉大白}《割麥插禾》詩:“插禾雖多﹐割禾如何?”【2】奈何。怎么辦。《詩·秦風·晨風》:“如何如何﹐忘我實多。”{唐}{白居易}《上陽白發人》詩:“{上陽}人﹐苦最多:少亦苦﹐老亦苦。少苦老苦兩如何?”《漢書·霍光傳》:“{光}曰:‘{昌邑王}行昏亂﹐恐危社稷﹐如何?’”【3】奈何。對付,處置。{郭沫若}《如何研究詩歌與文藝》:“母親要這樣教我們﹐當然不是我們主觀上所能如何的事。”《易·小過》:“‘飛鳥以兇’﹐不可如何也。”{高亨}注:“不可如何﹐無可奈何。”【4】奈何。亦指對付﹑處置的辦法。{清}{魏源}《圣武記》卷六:“{阮惠}自爲{泰德王}﹐{鄭棟}自爲{鄭靖王}﹐兩竝抗﹐{黎王}無如何也。”《漢書·曹參傳》:“相舍後園近吏舍﹐吏舍日飲歌呼。從吏患之﹐無如何﹐乃請{參}遊後園。”【5】怎么;為什么。{唐}{韓愈}《宿龍宮灘》詩:“如何連曉語﹐一半是思鄉?”《左傳·僖公二十二年》:“傷未及死﹐如何勿重?若愛重傷﹐則如勿傷。”{宋}{歐陽修}《荷葉》詩:“如何江上思﹐偏動{越}人悲?”【6】表反詰。猶言那又是什么。《左傳·襄公二十三年》:“夫鼠晝伏夜動﹐不穴於寢廟﹐畏人故也。今君聞{晉}之亂而後作焉。寧將事之﹐非鼠如何?”《公羊傳·宣公六年》:“爾爲仁爲義﹐人弒爾君﹐而復國不討賊﹐此非弒君如何?”【7】傳說中的樹名。《神異經·南方經》:“南方大荒有樹焉﹐名曰如何﹐三百歲作華﹐九百歲作實……金刀剖之則酸﹐籚刀剖之則辛。”《太平御覽》卷九六一引{晉}{顧愷之}《啟蒙記》:“如何隨刀而改味。”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26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많이(즉, 771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6%82%E4%BD%95 265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6%82%E4%BD%95 7710

----- 

 

36. 祈父(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9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93 [靡所止居]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1364E42212039DA2E4DECAE28FE6575&cult=TW&bv=1
(발췌 시작)

所止 

 

    【1】所居之地。《太平廣記》卷二六五引{唐}{丁用晦}《芝田錄》:“又問弟知{白員外}所止否?”《詩·商頌·玄鳥》:“邦畿千里﹐維民所止。”【2】所到之地。{漢}{枚乘}《上書諫吳王》:“然其所止﹐百步之內耳。”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8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21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9%80%E6%AD%A2 8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9%80%E6%AD%A2 212

-----

 

37. 斯干(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9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97 [式相好矣]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C283D447589A74E9DA971B3A3BFE8F4&cult=TW&bv=1
(발췌 시작)

相好 

 

    【1】指好友。{清}{宣鼎}《夜雨秋燈錄·騙子》:“爾我既成相好﹐不妨實告。”【2】戀愛。亦指戀人。《管子·輕重丁》:“五衢之民﹐男女相好﹐往來之市者﹐罷市﹐相睹樹下﹐談語終日不歸。”《孔叢子·陳士義》:“{李由}之母少寡﹐與{李音}竊相好而生{由}。”{許杰}《臺下的喜劇》:“{松哥}夫婦是很想侵占她的財產的﹐所以時常在外面說她有幾個‘相好’。”【3】舊時對狎客稱與之過從密切的妓女。《文明小史》第四八回:“{張媛媛}是你自己的相好﹐反要朋友花了本錢叫了局來陪你﹐怎麼不要你承朋友的情呢?”【4】彼此友善;相互交好。{唐}{韓愈}《送區冊序》:“有{區生}者﹐誓言相好﹐自{南海}挐舟而來。”《詩·小雅·斯干》:“兄及弟矣﹐式相好矣。”{茅盾}《子夜》六:“沒有什么人認識他們﹐往相好人家一躲﹐不就完事了么?”{元}{貢師泰}《姑孰道中》詩:“鄰舟頗相好﹐有酒忽見招。”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8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B%B8%E5%A5%BD 16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B%B8%E5%A5%BD 82

-----

 

38. 小雅·節南山之什 節南山(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9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299 [民具爾瞻]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F9802521CAF50F516704EC518F97797&cult=TW&bv=1
(발췌 시작)

具爾 

 

    【1】《詩·大雅·行葦》:“戚戚兄弟﹐莫遠具爾。”具﹐猶俱;爾﹐通“邇”。本為都很親近之意﹐因上句有兄弟二字﹐后遂以為兄弟的代稱。《文選·陸機<嘆逝賦>》:“痛靈根之夙隕﹐怨具爾之多喪。”{李善}注:“具爾﹐兄弟也。”{唐}{盧照鄰}《宴鳳泉石翁神祠詩》序:“心灰兩寂﹐長無具爾之歡;形木雙枯﹐將有終焉之志。”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2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5%B7%E7%88%BE 1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5%B7%E7%88%BE 20

-----

 

39. 十月之交(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9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01 [民莫不逸]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29553287CA6312DF480852242434A56&cult=TW&bv=1
(발췌 시작)

莫不

 

    【1】無不; 沒有一個不。{唐}{韓愈}《韓滂墓志銘》:“天固生之邪﹐偶自生邪﹐天殺也邪﹐其偶自死邪﹐莫不歸於死﹐壽何少多。”《詩·周頌·時邁》:“薄言震之﹐莫不震疊。”{明}{劉基}《諸暨州重修州學記》:“人倫既明﹐則爲民者莫不知愛其親﹐而不敢爲不義以自累。”《左傳·成公十六年》:“民生敦厖﹐和同以聽﹐莫不盡力﹐以從上命。”{沈從文}《從文自傳·我讀一本小書同時又讀一本大書》:“我不歡喜讀書的性情從塾師方面﹐從家庭方面﹐從親戚方面﹐莫不對于我感覺得無多希望。”【2】猶言莫不, 莫非。{金}{董解元}《西廂記諸宮調》卷四:“你莫不枉相思﹐枉受苦﹐枉煩惱?”{元}{王實甫}《西廂記》第一本第二折:“哎﹐你個饞窮酸倈沒意兒﹐賣弄你有家私﹐莫不我圖謀你的東西來到此?”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116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자주(즉, 198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E%AB%E4%B8%8D 1169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E%AB%E4%B8%8D 1984

-----


40. 雨無正(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9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02 [靡所止戾; 莫知我勩]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1364E42212039DA2E4DECAE28FE6575&cult=TW&bv=1
(발췌 시작)

所止 

 

    【1】所居之地。《太平廣記》卷二六五引{唐}{丁用晦}《芝田錄》:“又問弟知{白員外}所止否?”《詩·商頌·玄鳥》:“邦畿千里﹐維民所止。”【2】所到之地。{漢}{枚乘}《上書諫吳王》:“然其所止﹐百步之內耳。”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8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21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9%80%E6%AD%A2 8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9%80%E6%AD%A2 21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99EEFA06B3437DC5633143CCACB9486&cult=TW&bv=1

(발췌 시작)

知我

 

    【1】深切了解我。《詩·王風·黍離》:“知我者﹐謂我心憂;不知我者﹐謂我何求。”{宋}{蘇軾}《觀魚臺》詩:“若信萬殊歸一理﹐子今知我我知魚。”《史記·管晏列傳》:“{管仲}曰:‘吾始困時﹐嘗與{鮑叔}賈﹐分財利多自與﹐{鮑叔}不以我爲貪……生我者父母﹐知我者{鮑子}也。’”{南朝} {宋}{劉義慶}《世說新語·賞譽》:“{王長史}云:‘{劉尹}知我﹐勝我自知。’”【2】器重我。《史記·刺客列傳》:“〔{豫讓}〕去而事{智伯}﹐{智伯}尊寵之……〔{豫讓}〕曰:‘嗟呼!士爲知己者死﹐女爲説己者容。今{智伯}知我﹐我必爲報讎而死﹐以報{智伯}﹐則吾魂魄不愧矣。’”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11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43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F%A5%E6%88%91 114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F%A5%E6%88%91 434

-----

 

41. 小弁(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9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05 [民莫不穀]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29553287CA6312DF480852242434A56&cult=TW&bv=1
(발췌 시작)

莫不

 

    【1】無不; 沒有一個不。{唐}{韓愈}《韓滂墓志銘》:“天固生之邪﹐偶自生邪﹐天殺也邪﹐其偶自死邪﹐莫不歸於死﹐壽何少多。”《詩·周頌·時邁》:“薄言震之﹐莫不震疊。”{明}{劉基}《諸暨州重修州學記》:“人倫既明﹐則爲民者莫不知愛其親﹐而不敢爲不義以自累。”《左傳·成公十六年》:“民生敦厖﹐和同以聽﹐莫不盡力﹐以從上命。”{沈從文}《從文自傳·我讀一本小書同時又讀一本大書》:“我不歡喜讀書的性情從塾師方面﹐從家庭方面﹐從親戚方面﹐莫不對于我感覺得無多希望。”【2】猶言莫不, 莫非。{金}{董解元}《西廂記諸宮調》卷四:“你莫不枉相思﹐枉受苦﹐枉煩惱?”{元}{王實甫}《西廂記》第一本第二折:“哎﹐你個饞窮酸倈沒意兒﹐賣弄你有家私﹐莫不我圖謀你的東西來到此?”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116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198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E%AB%E4%B8%8D 1169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E%AB%E4%B8%8D 1984

----- 

 

42. 巧言(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9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06 [曰父母且; 亂是用長; 亂如此憮; 亂是用暴; 亂是用餤; 予忖度之]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F04A88F3092A175E8522C42493AC70F&cult=TW&bv=1
(발췌 시작)

父母 

 

     【1】見“父母”。【2】父親和母親。《詩·小雅·蓼莪》:“哀哀父母﹐生我劬勞。”《史記·屈原賈生列傳》:“父母者﹐人之本也。”{杜鵬程}《保衛延安》第三章:“要像父母一樣愛護﹑關心戰士。”《法苑珠林》卷四:“〔主〕奉行十善﹐哀念人民﹐如父母愛子。”【3】指萬物化生的根源。《鹖冠子·泰錄》:“味者﹐氣之父母也;精微者﹐天地之始也。”《淮南子·俶真訓》:“夫天之所覆﹐地之所載﹐六合所包﹐陰陽所呴﹐雨露所濡﹐道德所扶:此皆生一父母而閲一和也。”《書·泰誓上》:“惟天地﹐萬物父母;惟人﹐萬物之靈。”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100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294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8%B6%E6%AF%8D 1004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8%B6%E6%AF%8D 294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285F15DE5D8EEF1B46DFD8ABD2EF80D&cult=TW&bv=1
(발췌 시작)

是用 

 

    【1】因此。{漢}{張衡}《東京賦》:“百姓弗能忍﹐是用息肩於大{漢}﹐而欣戴{高祖}。”{清}{李漁}《閑情偶寄·詞曲上·結構》:“是用瀝血鳴神﹐剖心告世。”《左傳·襄公八年》:“如匪行邁謀﹐是用不得于道。”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7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36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8%AF%E7%94%A8 74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8%AF%E7%94%A8 36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9A46E5F6390E2E3BB914A218085D0FA&cult=TW&bv=1
(발췌 시작)

如此 

 

    【1】這樣。《禮記·樂記》:“如此﹐則國之滅亡無日矣。”{毛澤東}《沁園春·雪》詞:“江山如此多嬌﹐引無數英雄競折腰。”{唐}{杜甫}《房兵曹胡馬》詩:“驍騰有如此﹐萬里可橫行。”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114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훨씬 더 많이(즉, 1058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6%82%E6%AD%A4 114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6%82%E6%AD%A4 1058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6E0A89170E1F61815EAA4B9E9E9F03C&cult=TW&bv=1
(발췌 시작)

忖度 

 

    【1】推測。《詩·小雅·巧言》:“他人有心﹐予忖度之。”《資治通鑒·漢獻帝建安二十四年》:“忖度操意﹐豫作答教十餘條。”{三國} {魏}{曹操}《讓縣自明本志令》:“或者人見孤彊盛﹐又性不信天命之事﹐恐私心相評﹐言有不遜之志﹐妄相忖度﹐每用耿耿。”{郭沫若}《虎符》第二幕:“我轉來的意思﹐{侯生}先生﹐你怕多少可以忖度吧?”【2】思量。{梁斌}《播火記》二五:“這件事情誰也要去考慮﹑忖度﹑反復地思量﹐做著這樣那樣的打算。”{唐}{韓愈}《柳州羅池廟碑》:“凡有所爲……莫不忖度﹐而後從事。”《後漢書·鄭玄傳》:“吾自忖度無任於此﹐但念述先聖之元意﹐思整百家之不齊﹐亦庶幾以竭吾才﹐故聞命罔從。”{元}{湯式}《沉醉東風·悼伶女》曲:“恨殺閻羅不忖度﹐偏怎教可意人兒命夭。”【3】量度。{唐}{令狐楚}《謝敕書賜春衣并尺表》:“矜臣有濕暑之患﹐賜之葛衣;念臣無忖度之能﹐降之寳尺。”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3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F%96%E5%BA%A6 14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F%96%E5%BA%A6 33

-----

 

43. 何人斯(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9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07 [亦不遑舍]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8CABBAF24C8AF536CBB2094116F9912&cult=TW&bv=1
(발췌 시작)

不遑

 

    【1】“不遑暇食”的略語。《清史稿·阿濟格傳》:“{阿濟格}曰:‘攝政王躬攝大政﹐爲國不遑﹐吾敢以吾妻廢國事?’”【2】無暇,沒有閑暇。《詩·小雅·四牡》:“王事靡盬﹐不遑啓處。”《舊唐書·裴度傳》:“{度}受命之日﹐蒐兵補卒﹐不遑寢息。”{明}{張居正}《謝兩宮遣使郊勞疏》:“聞君召命﹐豈敢俟駕而行﹐起居不遑﹐分義宜爾。”{孫犁}《<秀露集>后記》:“然于寫作一途﹐還是不愿停步﹐幾乎是終日矻矻﹐不遑他顧﹐夜以繼日﹐繞以夢魂。”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1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D%E9%81%91 33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D%E9%81%91 113

----- 

 

44. 巷伯(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9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08 [彼譖人者; 彼譖人者]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97D7E572DAA7D71FB70B5AEBB43B295&cult=TW&bv=1
(발췌 시작)

譖人 

 

    【1】讒毀他人。《詩·小雅·巷伯》:“彼譖人者﹐亦已大甚。”【2】讒毀他人的人。{宋}{葉適}《文林郎前秘書省正字周君南仲墓志銘》:“小夫譖人﹐不能爲善而惡其異己﹐於是反而攻之。”{明}{陳繼儒}《讀書鏡》卷五:“故譖人翩翩﹐嗇夫喋喋﹐非有冥禍﹐則有奇窮。”《詩·小雅·巷伯》:“取彼譖人﹐投畀豺虎。”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D%96%E4%BA%BA 1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D%96%E4%BA%BA 15

----- 

 

45. 蓼莪(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0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10 [民莫不穀; 民莫不穀]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29553287CA6312DF480852242434A56&cult=TW&bv=1
(발췌 시작)

莫不

 

    【1】無不; 沒有一個不。{唐}{韓愈}《韓滂墓志銘》:“天固生之邪﹐偶自生邪﹐天殺也邪﹐其偶自死邪﹐莫不歸於死﹐壽何少多。”《詩·周頌·時邁》:“薄言震之﹐莫不震疊。”{明}{劉基}《諸暨州重修州學記》:“人倫既明﹐則爲民者莫不知愛其親﹐而不敢爲不義以自累。”《左傳·成公十六年》:“民生敦厖﹐和同以聽﹐莫不盡力﹐以從上命。”{沈從文}《從文自傳·我讀一本小書同時又讀一本大書》:“我不歡喜讀書的性情從塾師方面﹐從家庭方面﹐從親戚方面﹐莫不對于我感覺得無多希望。”【2】猶言莫不, 莫非。{金}{董解元}《西廂記諸宮調》卷四:“你莫不枉相思﹐枉受苦﹐枉煩惱?”{元}{王實甫}《西廂記》第一本第二折:“哎﹐你個饞窮酸倈沒意兒﹐賣弄你有家私﹐莫不我圖謀你的東西來到此?”

(이상, 발췌 끝)

-----

 

46. 四月(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0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12 [民莫不穀]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29553287CA6312DF480852242434A56&cult=TW&bv=1
(발췌 시작)

莫不

 

    【1】無不; 沒有一個不。{唐}{韓愈}《韓滂墓志銘》:“天固生之邪﹐偶自生邪﹐天殺也邪﹐其偶自死邪﹐莫不歸於死﹐壽何少多。”《詩·周頌·時邁》:“薄言震之﹐莫不震疊。”{明}{劉基}《諸暨州重修州學記》:“人倫既明﹐則爲民者莫不知愛其親﹐而不敢爲不義以自累。”《左傳·成公十六年》:“民生敦厖﹐和同以聽﹐莫不盡力﹐以從上命。”{沈從文}《從文自傳·我讀一本小書同時又讀一本大書》:“我不歡喜讀書的性情從塾師方面﹐從家庭方面﹐從親戚方面﹐莫不對于我感覺得無多希望。”【2】猶言莫不, 莫非。{金}{董解元}《西廂記諸宮調》卷四:“你莫不枉相思﹐枉受苦﹐枉煩惱?”{元}{王實甫}《西廂記》第一本第二折:“哎﹐你個饞窮酸倈沒意兒﹐賣弄你有家私﹐莫不我圖謀你的東西來到此?”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116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198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E%AB%E4%B8%8D 1169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E%AB%E4%B8%8D 1984

-----

 

47. 無將大車(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0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14 [祇自塵兮; 祇自重兮]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75775915319AF12788317503B0195BC&cult=TW&bv=1
(발췌 시작)

自塵

 

    【1】猶自污。《詩·小雅·無將大車》:“無將大車﹐祇自塵兮。”{孔穎達}疏:“若將此大車﹐適自塵蔽于己。”{唐}{杜牧}《朱坡》詩:“自塵何太甚﹐休笑觸藩羝。”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7%AA%E5%A1%B5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7%AA%E5%A1%B5 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6469902FC2E6BAA6187FF82D9F165D9&cult=TW&bv=1
(발췌 시작)

自重 

 

    【1】謹言慎行﹐尊重自己的人格。{明}{方孝孺}《送吏部員外郎龔彥佐序》:“予少行天下﹐求自重之士與之遊而不可得。”《漢書·魏相傳》:“願少慎事自重﹐臧器于身。”{宋}{曾鞏}《都官員外郎曾君墓志銘》:“其家故貧﹐然君爲人節廉自重。”【2】抬高自己的身價或地位。《三國志·魏志·華佗傳》:“{太祖}曰:‘{佗}能愈此。小人養吾病﹐欲以自重﹐然吾不殺此子﹐亦終當不爲我斷此根原耳。’”{唐}{元稹}《敘詩寄樂天書》:“由是諸侯敢自爲旨意﹐有羅列兒孩以自固者﹐有開導蠻夷自重者。”《西游補》第九回:“{行者}又看冊子﹐和議已決﹐{秦檜}挾{金}人以自重。”【3】物體自身的重量。【4】自己重視。《梁書·文學傳下·劉勰》:“{勰}自重其文﹐欲取定於{沈約}。”《史記·季布欒布列傳論》:“{欒布}哭{彭越}﹐趣湯如歸者﹐彼誠知所處﹐不自重其死。”【5】自累。《詩·小雅·無將大車》:“無思百憂﹐祇自重兮。”{鄭玄}箋:“重﹐猶累也。”【6】書簡習用套語。意謂自珍自愛。{宋}{蘇軾}《與蹇序辰書》之二:“惟萬萬爲國自重。”{清}{劉大櫆}《再與左君書》:“惟萬萬自重不宣。”{明}{方孝孺}《與鄭叔度書》之五:“臨紙悵塞﹐惟千萬自重不宣。”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4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7%AA%E9%87%8D 17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7%AA%E9%87%8D 43

-----

 

48. 信南山(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0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18 [維禹甸之; 雨雪雰雰]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84F4D7BB865994FEEE2D27C4341AA96&cult=TW&bv=1

(발췌 시작)

禹甸

 

    【1】《詩·小雅·信南山》:“信彼南山,維{禹}甸之。畇畇原隰,曾孫田之。”{毛}傳:“甸,治也。”{朱熹}集傳:“言信乎此南山者,本{禹}之所治,故其原隰墾闢,而我得田之。”本謂{禹}所墾辟之地。后因稱{中國}之地為{禹}甸。{宋}{方夔}《苦熱》詩之一:“誰是蒼生霖雨手﹐普將{禹}甸釀西成。”{清}{王式丹}《南中書事》詩:“{禹}甸埴墳殊廣大﹐蠻方節鉞漫紛紜。”

(이삳,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A6%B9%E7%94%B8 3

http://ctext.org/post-han?searchu=%E7%A6%B9%E7%94%B8 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C20E240AEEEBEF2907D4EB0B62B9291&cult=TW&bv=1

(발췌 시작)

雪雰 

 

    【1】雪花紛飛。語本《詩·小雅·信南山》﹕“雨雪雰雰。”{三國} {魏}{曹植}《平原懿公主誄》:“悲風激興﹐霜猋雪雰。”{漢}{張衡}《四愁詩》序:“依{屈原}以美人爲君子﹐以珍寶爲仁義﹐以水深雪雰爲小人。” 

(이삳,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B%AA%E9%9B%B0 3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B%AA%E9%9B%B0 7

----- 

 

49. 大田(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0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17 [以介景福]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927F01FAFC8D61C6E4885D86DA99C89&cult=TW&bv=1
(발췌 시작)

介景

 

    【1】祝福。語出《詩·小雅·楚茨》:“以妥以侑,以介景福。”{清}{龔自珍}《阮尚書年譜第一序》:“海內之士﹐懷觚握槧之倫﹐介景者鏘羊﹐祝延者漎萃。”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B%8B%E6%99%AF 6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B%8B%E6%99%AF 9

----- 

 

50. 采菽(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30 [何錫予之]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5CF624A9D377FEA69C30815A2E01F7E&cult=TW&bv=1
(발췌 시작)

錫予

 

    亦作“[錫與]”【1】賜給。{郭沫若}《斷斷集·屈原時代》:“《左傳·定四年》明明說{周武王}以{殷}民六族給{魯公}{伯禽}﹑{殷}民七族給{衛康叔}﹐{懷}姓九宗給{唐叔虞}……老幼男女﹐父子妻孥一道與物品同時錫予﹐不是奴隸是什么呢?”《詩·小雅·采菽》:“君子來朝﹐何錫予之。”{漢}{班固}《白虎通·考黜》引作“何錫與之”。《新唐書·王縉傳》:“或夷狄入寇﹐必合衆沙門誦《護國仁王經》爲禳厭﹐幸其去﹐則橫加錫與﹐不知紀極。”【2】指賜給的財物。{明}{歸有光}《朱夫人鄭氏五十壽序》:“予嘗讀其家所藏書﹐皆天子使中貴人傳語﹐恩旨丁寧﹐錫予優渥。”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C%AB%E4%BA%88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C%AB%E4%BA%88 4

----

 

51. 角弓(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31 [我是用憂]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285F15DE5D8EEF1B46DFD8ABD2EF80D&cult=TW&bv=1
(발췌 시작)

是用

 

    【1】因此。{漢}{張衡}《東京賦》:“百姓弗能忍﹐是用息肩於大{漢}﹐而欣戴{高祖}。”{清}{李漁}《閑情偶寄·詞曲上·結構》:“是用瀝血鳴神﹐剖心告世。”《左傳·襄公八年》:“如匪行邁謀﹐是用不得于道。”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7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36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8%AF%E7%94%A8 74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8%AF%E7%94%A8 364

-----

 

52. 菀柳(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32 [亦傅于天]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1D3B87CFC51CC8C863A50513EB36C45&cult=TW&bv=1

(발췌 시작)

 

    《廣韻》方遇切,去遇,非。【1】輔佐;教導。《左傳·僖公二十八年》:“{鄭伯}傅王。”《孟子·滕文公下》:“有{楚}大夫於此,欲其子之{齊}語也,則使{齊}人傅諸?使{楚}人傅諸?”《史記·趙世家》:“大夫悉爲臣,{肥義}爲相國,并傅王。”《漢書·張良傳》:“{子房}雖疾,彊臥傅太子。”{唐}{張九齡}《論教皇太子狀》:“{秦始皇}使{趙高}傅其太子{胡亥},因教之以獄,所習者非斬劓人,則夷人之三族也。”【2】師傅,指負輔佐責任的官或負責教導的人。《左傳·僖公四年》:“公殺其傅{杜原款}。”《孟子·盡心上》:“王子有其母死者,其傅爲之請數月之喪。”《資治通鑒·周威烈王二十三年》:“君之子無傅,臣進{屈侯}{鮒}。”{胡三省}注:“傅者,傅之以德義,因以爲官名。”【3】附;依附。《左傳·僖公十四年》:“皮之不存,毛將安傅?”《史記·酷吏列傳》:“是時上方鄉文學,{湯}決大獄,欲傅古義,乃請博士弟子治《尚書》﹑《春秋》補廷尉史,亭疑法。”《漢書·刑法志》:“廷尉所不能決,謹具爲奏,傅所當比律令以聞。”{金}{王若虛}《詩話》:“{茆璞}評{劉夷叔}長短句,謂以{少陵}之肉傅{東坡}之骨,亦猶是也。”{清}{戴震}《<考工記圖>自序》:“圖傅某工之下,俾學士顯白觀之。”【4】誣陷捏造。《史記·循吏列傳》:“{李離}曰:‘臣居官爲長,不與吏讓位,受祿爲多,不與下分利。今過聽殺人,傅其罪下吏,非所聞也。’”《新唐書·蕭遘傳》:“{田令孜}受{溥}金,劾{損},付御史獄,中丞{盧渥}傅成其罪。”《明史·云南土司傳一》:“{顯忠}益誣其陰事,傅以反狀,撫按會奏,得旨大剿。”【5】附會。{明}{胡應麟}《少室山房筆叢·丹鉛新錄五》:“此文載{計氏}《唐詩紀事》,其傅會之跡灼然。因父尉{任城},{白}有詞廳事,遂傅{彰明}令詩;因{杜}{匡山}讀書之句,遂傅{大匡山}……考{魏萬}﹑{李華}﹑{李陽冰}傳,{傳正}諸文,無一合者。”{章炳麟}《再與劉光漢書》:“此皆以歐語強傅漢文。”【6】附和。《新唐書·祝欽明傳》:“時左僕射{韋巨源}助后掎掣帝,奪政事,即傅{欽明}議。帝果用其言,以皇后爲亞獻。”【7】跟隨。《史記·樊酈滕灌列傳》:“臣故{秦}民,恐軍不信臣,臣願得大王左右善騎者傅之。”{裴骃}集解引{如淳}曰:“傅,猶言隨從者。”【8】安上,加上。《漢書·韓王信傳》:“請令彊弩傅兩矢外鄉。”{顏師古}注:“每一弩而加兩矢外鄉,以禦敵也。”《後漢書·耿純傳》:“{純}勒部曲,堅守不動。選敢死二千人,俱持彊弩,各傅三矢,使銜枚閒行,繞出賊後……遂破之。”《史記·韓信盧綰列傳》:“護軍中尉{陳平}言上曰:‘{胡}者全兵,請令彊弩傅兩矢外嚮,徐行出圍。’”【9】涂搽。《史記·佞倖列傳》:“故{孝惠}時郎侍中皆冠鵕,貝帶,傅脂粉。”{唐}{元稹}《<蟆子>詩序》:“故囓人成瘡,秋夏不愈,膏楸葉而傅之,則差。”{明}{馬愈}《馬氏日抄·番藥》:“又治金瘡膿不出,嚼碎傅瘡止即出。”{巴金}《家》二四:“打開鏡匣,對鏡理了發鬢,傅了一點粉。”【10】迫近;靠近。《孫臏兵法·十問》:“或傅而佯北,而示之懼。”《金史·完顏合達傳》:“見{夏}人數萬餘傅山而陣。”《明史·張赫傳》:“是時,{倭}寇出沒海島中,乘間輒傅岸剽掠。”《史記·蘇秦列傳》:“{秦}之攻{韓}{魏}也,無有名山大川之限,稍蠶食之,傅國都而止。”《新唐書·太宗紀》:“{太宗}從數騎傅其城,舉鞭指麾,若將圍之者。”【11】至,達。《詩·小雅·菀柳》:“有鳥高飛,亦傅于天。彼人之心,于何其臻。”{鄭玄}箋:“傅﹑臻,皆至也。”《史記·項羽本紀》:“君王能自{陳}以東傅海,盡與{韓信};{睢陽}以北至{穀城},以與{彭越},使各自爲戰,則{楚}易敗也。”{張守節}正義:“傅,著也。”《左傳·僖公三十一年》:“分{曹}地,自{洮}以南,東傅于{濟},盡{曹}地也。”《新唐書·孝友傳·侯知道》:“{知道}垢塵積首,率夜半傅墳,踴而哭,鳥獸爲悲號。”《資治通鑒·後唐莊宗同光元年》:“若先廣地,東傅於海,然後觀釁而動,可以萬全。”【12】古時登記其名于冊籍以備服役。《史記·孝景本紀》:“男子二十而得傅。”{司馬貞}索隱引{荀悅}云:“傅,正卒也。”《漢書·高帝紀上》:“{漢王}屯{滎陽},{蕭何}發{關中}老弱未傅者悉詣軍。”{顏師古}注:“{孟康}曰:‘古者二十而傅,三年耕有一年儲,故二十三而後役之。’……{師古}曰:‘傅,著也,言著名藉,給公家徭役也。’”【13】穿著;裹住。《淮南子·原道訓》:“席旃茵,傅旄象。”《漢書·外戚傳下·孝成趙皇后》:“昏夜平善,鄉晨,傅絝韤欲起,因失衣,不能言,晝漏上十刻而崩。”《史記·田單列傳》:“〔{田單}〕令其宗人盡斷其車軸末而傅鉄籠。”【14】通“[付]”。付托。《呂氏春秋·情欲》:“{荊莊王}好周游田獵,馳騁弋射,歡樂無遺,盡傅其境內之勞與諸侯之憂於{孫叔敖}。”【15】姓。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32

(발췌 시작)

《漢語大詞典》:傅于 

 

附着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2%85%E4%BA%8E 1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2%85%E4%BA%8E 19
-----

 

53. 都人士(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33 [彼君子女; (我不見兮); 彼君子女; (我不見兮); 彼君子女; (我不見兮)]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37D5DE2DE58F34BFC7D50B6ADA8E74E&cult=TW&bv=1

(발췌 시작)

君子

 

    【1】對統治者和貴族男子的通稱。常與“小人”或“野人”對舉。《淮南子·說林訓》:“農夫勞而君子養焉。”{高誘}注:“君子國君。”《孟子·滕文公上》:“無君子莫治野人﹐無野人莫養君子。”《詩·魏風·伐檀》:“彼君子兮﹐不素餐兮!”【2】泛指才德出眾的人。《易·乾》:“九三﹐君子終日乾乾。”{清}{方文}《石橋懷與治》詩:“昔年居南邨﹐卜隣近君子。”{漢}{班固}《白虎通·號》:“或稱君子何?道德之稱也。君之爲言羣也;子者丈夫之通稱也。”{宋}{王安石}《君子齋記》:“故天下之有德﹐通謂之君子。”{洪深}《少奶奶的扇子》第四幕:“我想世界上的人﹐也不能就分做兩群:說這群是好﹐那群是壞;這群君子﹐那群小人。”【3】舊時妻對夫之稱。《詩·召南·草蟲》:“未見君子﹐憂心忡忡。”《後漢書·列女傳·曹世叔妻》:“進增父母之羞﹐退益君子之累。”{李賢}注:“君子﹐謂夫也。”{唐}{李白}《古風》之二七:“焉得偶君子﹐共乘雙飛鸞。”{清}{孫枝蔚}《采蓮曲》之一:“妾采蓮﹐采蓮寄君子。”【4】指{春秋}{越國}的君子軍。《國語·吳語》:“〔{越王}〕以其私卒君子六千人爲中軍。”{韋昭}注:“私卒君子﹐王所親近有志行者﹐猶{吳}所謂賢良﹐{齊}所謂士。”{明}{梁辰魚}《浣紗記·被擒》:“{越王}親率兕甲十萬﹐君子六千﹐直渡{太湖}。”【5】對人的尊稱。猶言先生。《武王伐紂平話》卷中:“{姜尚}問曰:‘君子﹐爾何姓?’”{清}{李漁}《蜃中樓·雙訂》:“我姊妹出來已久﹐恐家慈見疑﹐如今要返深閨﹐君子﹐請回去罷。”{元}{李壽卿}《伍員吹簫》第三折:“君子﹐你這等一個人﹐可被那廝欺負﹐我好是不平也。”《太平廣記》卷四一九引{唐}{李朝威}《異聞錄·柳毅》:“夫人泣謂{毅}曰:‘骨肉受君子深恩﹐恨不得展媿戴﹐遂至睽別。’”【6】美酒。《類說》卷四三引{唐}{皇甫松}《醉鄉日月》:“凡酒……以家醪糯觴醉人者爲君子。”【7】竹之雅號。{宋}{蘇轍}《林筍復生》詩:“偶然雷雨一尺深﹐知爲南園衆君子。”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427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588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0%9B%E5%AD%90 427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0%9B%E5%AD%90 588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3299FB16F933326EE0D0BE85655DCE2&cult=TW&bv=1

(발췌 시작)

不見

 

    【1】不看,不讀。《梁書·任昉傳》:“{昉}墳籍無所不見﹐家雖貧﹐聚書至萬餘卷。”【2】謂不易看到。《左傳·成公十六年》:“怨豈在明﹐不見是圖。”{張舜徽}注:“謂防止怨恨不僅在明顯之仇恨﹐尚須圖謀不易見之細微怨恨。”【3】看不到。《易·艮》:“行其庭﹐不見其人。”{唐}{韓愈}《琴操·拘幽操》詩:“朝不日出兮﹐夜不見月和星。”{茅盾}《色盲》:“{李蕙芳}趕快拾起一片碎瓦﹐正想擲過去﹐那蝦蟆一跳﹐便不見了。”【4】用在“聞”“看”“找”等動詞之后,表示行動沒有結果。{清}{李漁}《奈何天·驚丑》:“腳上那一種﹐做一頭睡﹐自然聞不見不消慮他。”{柯巖}《快活的小詩·眼鏡惹出了什么事情》:“我的眼鏡怎么找不見?”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128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487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D%E8%A6%8B 1289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D%E8%A6%8B 4875

-----

 

54. 隰桑(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36 [遐不謂矣]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A1F64547704DEE02AB6DB8A99F447DC&cult=TW&bv=1
(발췌 시작)

不謂

 

    【1】不告訴。《詩·小雅·隰桑》:“心乎愛矣﹐遐不謂矣﹐中心藏之﹐何日忘之。”{陳奐}傳疏:“‘ 遐不謂矣’《禮記》引《詩》作‘瑕不謂矣’。遐﹑瑕古通用。{鄭}注云:瑕之言胡也﹐謂猶告也。”【2】不算作;不稱為。{清}{戴震}《徐節婦傳》:“{徐氏}之禍﹐可不謂烈哉!微節婦﹐{徐氏}不祀矣!”{清}{蒲松齡}《聊齋志異·金生色》:“{金氏}子其神乎!諄囑醮婦﹐抑何明也!一人不殺﹐而諸恨並雪﹐可不謂神乎!”【3】不意,不料。{漢}{蔡琰}《胡笳十八拍》:“不謂殘生兮卻得旋歸﹐撫抱胡兒兮泣下沾衣。”{唐}{杜甫}《贈韋左丞丈濟》詩:“不謂矜餘力﹐還來謁大巫。”{清}{王韜}《淞隱漫錄·悼紅仙史》:“乖隔以來﹐靡日不思﹐不謂今日又有相見之期。”{毛澤東}《反對本本主義》:“不謂共產黨內討論問題﹐也還有人開口閉口‘拿本本來’。”【4】不以為。《史記·廉頗藺相如列傳》:“〔{趙括}〕嘗與其父{奢}言兵事﹐{奢}不能難﹐然不謂善。”{晉}{干寶}《晉紀總論》:“百姓皆知上德之生己﹐而不謂浚己以生也﹐是以感而應之﹐悅而歸之。”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24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D%E8%AC%82 104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D%E8%AC%82 245

-----

 

55. 漸漸之石(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40 [俾滂沱矣]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B23A00D0EBDC7277B01ECA26D0C87F5&cult=TW&bv=1

(발췌 시작)

滂沱

 

    【1】雨大貌。《詩·小雅·漸漸之石》:“月離于畢﹐俾滂沱矣。”《北史·藝術傳上·王早》:“至申時﹐雲四合﹐遂大雨滂沱。”{元}{楊暹}《西游記·水部滅火》:“驟雨滂沱電光滿﹐古剌剌雷聲如車轉。”{清}{唐孫華}《大雨行海淀道中》詩:“何況連宵旦﹐滂沱瀉驚瀑。”{柳青}《銅墻鐵壁》第十章:“整一天陰云翻騰﹐后晌時下時住﹐到黑夜終于下起了滂沱大雨。”【2】形容淚或血等流得多。《詩·陳風·澤陂》:“寤寐無爲﹐涕泗滂沱。”{晉}{程曉}《嘲熱客》詩:“搖扇髀中疾﹐流汗正滂沱。”{晉}{葛洪}《抱樸子·論仙》:“人君有赫斯之怒﹐芟夷之誅﹐黃鉞一揮﹐齊斧暫授﹐則伏尸千里﹐流血滂沱。”《南史·孔珪傳》:“父{靈産}……於{禹井山}立館﹐事道精篤。吉日於靜屋四向朝拜﹐涕泣滂沱。”{唐}{杜甫}《蠶谷行》:“不勞烈士淚滂沱﹐男穀女絲行復歌。”{歐陽予倩} 《漁夫恨》第四場:“聽爹爹述往事心如刀割﹐背轉身忍不住兩淚滂沱。”【3】水流廣遠貌。{三國} {魏}{阮籍}《元父賦》:“方池邊屬兮﹐容水滂沱。”{清}{周亮工}《今夕歌宿郎山呂正始天咫樓作》之三:“望高山兮山嵯峨﹐顧流水兮水滂沱。”【4】充溢貌。《文選·陸機<吳趨行>》:“禮讓何濟濟﹐流化自滂沱。”{呂延濟}注:“滂沱﹐充溢貌。”{馬駿聲}《端陽赫麗樓獨酌》詩:“千古《離騷》容耿介﹐百年流化自滂沱。”【5】形容豐盛。{晉}{葛洪}《抱樸子·道意》:“遠近翕然﹐同來請福﹐常車馬填溢﹐酒肉滂沱。”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8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B%82%E6%B2%B1 16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B%82%E6%B2%B1 81

-----

 

56. 苕之華(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41 [人可以食; 鮮可以飽]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802CD58E2D1D1927619823A74A59481&cult=TW&bv=1

(발췌 시작)

可以

 

    【1】表示可能或能夠。《詩·陳風·衡門》:“衡門之下﹐可以棲遲。”《孟子·梁惠王上》:“五畝之宅﹐樹之以桑﹐五十者可以衣帛矣。”{宋}{蘇軾}《御試重巽申命論》:“天地之化育﹐有可以指而言者﹐有不可以求而得之者。”{清}{徐蘭}《雨阻黑河》詩:“花里見魚不見水﹐一網可以盈一船。”{夏衍}《長途》八:“我們以為今天總可以到達{桂林}了。”【2】表示有某種用途。《詩·小雅·鶴鳴》:“它山之石﹐可以爲錯。”{孔穎達}疏:“它山遠國之石﹐取而得之﹐可以爲錯物之用。”{唐}{張鷟}《游仙窟》:“莫言釵意小﹐可以掛渠冠。”《前漢書平話》卷下:“今有{周勃}兵機深厚﹐可以爲帥退之。”如:棉花可以織布﹐棉籽還可以榨油。【3】表示許可。{唐}{韓愈}《盧君墓志銘》:“{河南}尹與人有仇﹐誣仇與賊通﹐收掠取服﹐法曹曰:‘我官司也﹐我在不可以爲是。’”{清}{李漁}《閑情偶寄·詞曲上·音律》:“九宮十三調﹐南曲之門戶也。小齣可以不拘﹐其成套大曲則分門別戶﹐各有依歸。”【4】猶言不壞;還好。{{夏丐尊}{葉圣陶}}《文心》四:“這封信清楚明白﹐末了兩節又有活潑趣味﹐也就可以了。”{丁玲}《母親》一:“現在家里規矩究竟松多了﹐就是{于五妹}也算可以。”【5】猶很,厲害。{魯迅}《朝花夕拾·范愛農》:“他辦事﹐兼教書﹐實在勤快得可以。”{朱自清}《回來雜記》:“這真閑得可以。”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395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687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F%AF%E4%BB%A5 3955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F%AF%E4%BB%A5 6877

-----

 

57. 大明(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44 [摯仲氏任]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C9A04C09AE2B4E91BABD02FBFFF8C23&cult=TW&bv=1
(발췌 시작)

仲氏

 

    【1】指{漢}末{仲長統}。《文選·孔稚珪<北山移文>》:“嗚呼!{尚生}不存﹐{仲氏}既往﹐山阿寂寥﹐千載誰賞?”{李善}注引《後漢書》:“{仲長統}﹐字{公理}﹐{山陽}人也。性俶儻﹐默語無常﹐每州郡命召﹐輒稱疾不就。”【2】兄弟或姐妹中排行第二者。指二妹。《詩·邶風·燕燕》:“仲氏任只,其心塞淵。”{高亨}注:“仲氏,古代長子長女稱伯稱孟,中子中女稱仲,幼子幼女稱叔稱季。”一說指{春秋}{衛}{戴嬀}。參閱《詩經》毛傳。【3】{漢}末{袁術}占有{長江}{淮河}下游地區,自稱為帝,號{仲氏}。又稱{仲家}。《三國志·魏志·袁術傳》“用{河內}{張烱}之符命﹐遂僭號”{裴松之}注引{三國}{魏}{魚豢}《典略》:“{術}以{袁}姓出{陳}﹐{陳}﹐{舜}之後﹐以土承火﹐得應運之次。又見讖文云:‘代{漢}者﹐當塗高也。’自以名字當之﹐乃建號稱{仲氏}。”【4】兄弟或姐妹中排行第二者。指二弟。《詩·小雅·何人斯》:“伯氏吹壎﹐仲氏吹篪。”{鄭玄}箋:“伯仲﹐喻兄弟也。”{高亨}注:“仲氏﹐二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2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B%B2%E6%B0%8F 10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B%B2%E6%B0%8F 20

-----

 

58. 旱麓(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1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47 [以介景福]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927F01FAFC8D61C6E4885D86DA99C89&cult=TW&bv=1
(발췌 시작)

介景

 

    【1】祝福。語出《詩·小雅·楚茨》:“以妥以侑,以介景福。”{清}{龔自珍}《阮尚書年譜第一序》:“海內之士﹐懷觚握槧之倫﹐介景者鏘羊﹐祝延者漎萃。”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B%8B%E6%99%AF 6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B%8B%E6%99%AF 9

----- 

 

59. 文王有聲(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52 [以燕翼子]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5498B0FD252E84DD717BC58ED867B94&cult=TW&bv=1

(발췌 시작)

燕翼

 

    【1】《詩·大雅·文王有聲》:“{武王}豈不仕,詒厥孫謀,以燕翼子。”{毛}傳:“燕,安;翼,敬也。”{孔穎達}疏:“思得澤及後人,故遺傳其所以順天下之謀,以安敬事之子孫。”{陳奐}傳疏:“詒,遺也……言{武王}以安敬之謀遺其孫子也。”后以“燕翼”謂善為子孫后代謀劃。《周書·宣帝紀》:“朕以眇身祗承寳祚﹐庶幾聿修之志﹐敢忘燕翼之心。”{宋}{陳師道}《代賀生皇子表》:“承列聖之丕緒﹐方懷燕翼之思;以百姓而爲心﹐宜有子孫之福。”{漢}{蔡邕}《郡掾吏張玄祠堂碑銘》:“篤垂餘慶﹐貽此燕翼。邈矣遺孫﹐用懷多福。”{清}{錢謙益}《父約封文林郎贈徵仕郎刑科給事中制》:“凡此象賢之美﹐誰非燕翼之詒?”【2】指輔佐。{宋}{陸游}《逆曦授首賀太皇太后箋》:“坤厚資生﹐母儀燕翼。每道先朝之家法﹐助成聖主之性仁。”《後漢書·鄭興傳》:“昔{張仲}在{周}﹐燕翼{宣王}﹐而詩人悅喜。”【3】燕的翅膀。{唐}{元稹}《酬翰林白學士代書一百韻》:“鶯聲愛嬌小﹐燕翼玩逶迤。”{唐}{郭紹蘭}《寄夫》詩:“我壻去重湖﹐臨窗泣血書。殷勤憑燕翼﹐寄與薄情夫。”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7%95%E7%BF%BC 9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7%95%E7%BF%BC 16

-----

 

60. 大雅·生民之什 生民(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53 [厥初生民; 鳥覆翼之] <----- [특히 "上帝"가 사용되고 있는 여기를]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9B4B41C2260516DB1B64A74E8C0BB49&cult=TW&bv=1
(발췌 시작)

初生

 

    【1】剛剛出生。{明}{徐光啟}《農政全書》卷三一:“初生色黑﹐漸漸加食﹐三日後﹐漸變白。”《書·召誥》:“若生子﹐罔不在厥初生﹐自貽哲命。”《詩·王風·大車》“毳衣如菼”{毛}傳:“菼﹐鵻也﹐蘆之初生者也。”【2】初現。{五代}{朱希濟}《臨江仙》詞:“素{洛}春光瀲灧平﹐千重媚臉初生。”【3】猶初興。開始發展。《詩·大雅·緜》:“民之初生﹐自土{沮}{漆}。”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4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27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8%9D%E7%94%9F 4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8%9D%E7%94%9F 27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1C9F8A19CBA96B4692FE2D38B02B3AF&cult=TW&bv=1
(발췌 시작)

覆翼 

 

    【1】遮蔽;保護。{清}{蒲松齡}《聊齋志異·局詐》:“公主待人以禮﹐能覆翼人。”{漢}{劉向}《列女傳·母儀》:“鳥獸覆翼﹐乃復收恤。”《詩·大雅·生民》:“誕寘之寒冰﹐鳥覆翼之。”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6%86%E7%BF%BC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6%86%E7%BF%BC 3

-----

 

61. 行葦(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54 [以介景福]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927F01FAFC8D61C6E4885D86DA99C89&cult=TW&bv=1
(발췌 시작)

介景

 

    【1】祝福。語出《詩·小雅·楚茨》:“以妥以侑,以介景福。”{清}{龔自珍}《阮尚書年譜第一序》:“海內之士﹐懷觚握槧之倫﹐介景者鏘羊﹐祝延者漎萃。”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B%8B%E6%99%AF 6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B%8B%E6%99%AF 9

----- 

 

62. 民勞(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61 [俾民憂泄]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0EE99FD9470B003D046164B9A3FB41B&cult=TW&bv=1

(발췌 시작)

民憂

 

    【1】民眾的憂戚。《詩·大雅·民勞》:“式遏寇虐﹐無俾民憂。”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0%91%E6%86%82 13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0%91%E6%86%82 14

-----

 

63. (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64 [匪面命之]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A0AC322515F48ADCEF7B6C80BB611DE&cult=TW&bv=1

(발췌 시작)

面命

 

    【1】當面任命。{唐}{元稹}《有唐贈太子太保崔公墓志銘》:“{憲宗皇帝}深嘉之﹐面命金紫﹐加檢校職方郎中。”《新唐書·沈傳師傳》:“翰林缺承旨﹐次當{傳師}﹐{穆宗}欲面命。”【2】當面告語。《詩·大雅·抑》:“匪面命之﹐言提其耳。”{鄭玄}箋:“我非但對面語之﹐親提撕其耳。”{清}{俞樾}《群經平議·尚書二》“率爾衆慼出矢言”:“此九十四字﹐獨爲明順﹐蓋譔述之文與面命者不同也。”{晉}{干寶}《搜神記》卷十七:“{定國}大驚曰:‘都未嘗面命﹐何由便爾?此必有異。’”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2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D%A2%E5%91%BD 17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D%A2%E5%91%BD 21

-----

 

64. 桑柔(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65 [靡所止疑]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1364E42212039DA2E4DECAE28FE6575&cult=TW&bv=1
(발췌 시작)

所止 

 

    【1】所居之地。《太平廣記》卷二六五引{唐}{丁用晦}《芝田錄》:“又問弟知{白員外}所止否?”《詩·商頌·玄鳥》:“邦畿千里﹐維民所止。”【2】所到之地。{漢}{枚乘}《上書諫吳王》:“然其所止﹐百步之內耳。”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8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21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9%80%E6%AD%A2 8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9%80%E6%AD%A2 212

-----

 

65. 雲漢(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66 [云如何里]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4BB58687C334F11103BB730F510F663&cult=TW&bv=1
(발췌 시작)

如何 

 

    【1】怎樣。{宋}{蘇軾}《贈包安靜先生》詩之二:“{建}茶三十斤﹐不審味如何。”{明}{唐順之}《游塘侯巡公》詩:“{禰生}狂態復如何?一刺懷中半滅磨。”《書·堯典》:“帝曰:‘俞﹐予聞﹐如何?’”{劉大白}《割麥插禾》詩:“插禾雖多﹐割禾如何?”【2】奈何。怎么辦。《詩·秦風·晨風》:“如何如何﹐忘我實多。”{唐}{白居易}《上陽白發人》詩:“{上陽}人﹐苦最多:少亦苦﹐老亦苦。少苦老苦兩如何?”《漢書·霍光傳》:“{光}曰:‘{昌邑王}行昏亂﹐恐危社稷﹐如何?’”【3】奈何。對付,處置。{郭沫若}《如何研究詩歌與文藝》:“母親要這樣教我們﹐當然不是我們主觀上所能如何的事。”《易·小過》:“‘飛鳥以兇’﹐不可如何也。”{高亨}注:“不可如何﹐無可奈何。”【4】奈何。亦指對付﹑處置的辦法。{清}{魏源}《圣武記》卷六:“{阮惠}自爲{泰德王}﹐{鄭棟}自爲{鄭靖王}﹐兩竝抗﹐{黎王}無如何也。”《漢書·曹參傳》:“相舍後園近吏舍﹐吏舍日飲歌呼。從吏患之﹐無如何﹐乃請{參}遊後園。”【5】怎么;為什么。{唐}{韓愈}《宿龍宮灘》詩:“如何連曉語﹐一半是思鄉?”《左傳·僖公二十二年》:“傷未及死﹐如何勿重?若愛重傷﹐則如勿傷。”{宋}{歐陽修}《荷葉》詩:“如何江上思﹐偏動{越}人悲?”【6】表反詰。猶言那又是什么。《左傳·襄公二十三年》:“夫鼠晝伏夜動﹐不穴於寢廟﹐畏人故也。今君聞{晉}之亂而後作焉。寧將事之﹐非鼠如何?”《公羊傳·宣公六年》:“爾爲仁爲義﹐人弒爾君﹐而復國不討賊﹐此非弒君如何?”【7】傳說中的樹名。《神異經·南方經》:“南方大荒有樹焉﹐名曰如何﹐三百歲作華﹐九百歲作實……金刀剖之則酸﹐籚刀剖之則辛。”《太平御覽》卷九六一引{晉}{顧愷之}《啟蒙記》:“如何隨刀而改味。”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26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많이(즉, 771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6%82%E4%BD%95 265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6%82%E4%BD%95 7710

----- 

 

66. 崧高(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2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67 [維嶽降神]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3711B7E22D1E89A858A422F02462034&cult=TW&bv=1

(발췌 시작)

岳降

 

    亦作“[嶽降]”【1】《詩·大雅·崧高》:“維嶽降神,生{甫}及{申}。”{鄭玄}箋:“〔四嶽〕德當嶽神之意而福興,其子孫歷{虞}{夏}{商},世有國土,{周}之{甫}也,{申}也﹑{齊}也﹑{許}也,皆其苗胄。”后遂以“岳降”稱頌誕生或誕辰。{清}{方文}《重至太湖訪李明府﹑林先生》詩:“況逢嶽降辰﹐乃在陽月初。”{太平天囯}{{洪仁玕}等}《戒浮文巧言諭》:“至祝壽浮詞﹐如鶴算﹑龜年﹑嶽降嵩生及三生有幸字樣﹐尤屬不倫﹐且涉妄誕。”{明}{張居正}《壽嚴少師三十韻》:“嶽降生{申}日﹐巖居夢{説}年。”{宋}{陳亮}《與章德茂侍郎第二書》:“{亮}不識岳降之辰﹐欲作一詞不能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2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2%B3%E9%99%8D 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2%B3%E9%99%8D 23

-----

 

67. 韓奕(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69 [維禹甸之; 榦不庭方]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84F4D7BB865994FEEE2D27C4341AA96&cult=TW&bv=1

(발췌 시작)

禹甸

 

    【1】《詩·小雅·信南山》:“信彼南山,維{禹}甸之。畇畇原隰,曾孫田之。”{毛}傳:“甸,治也。”{朱熹}集傳:“言信乎此南山者,本{禹}之所治,故其原隰墾闢,而我得田之。”本謂{禹}所墾辟之地。后因稱{中國}之地為{禹}甸。{宋}{方夔}《苦熱》詩之一:“誰是蒼生霖雨手﹐普將{禹}甸釀西成。”{清}{王式丹}《南中書事》詩:“{禹}甸埴墳殊廣大﹐蠻方節鉞漫紛紜。”

(이삳,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A6%B9%E7%94%B8 3

http://ctext.org/post-han?searchu=%E7%A6%B9%E7%94%B8 4

-----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A1F64547704DEE080D814E6BCF6A009&cult=TW&bv=1

(발췌 시작)

不庭

 

    【1】不出門庭。《莊子·山木》:“{莊周}反入,三月不庭。”一說,庭當讀為“逞”。不逞,不快。見{清}{王念孫}《讀書雜志·莊子》。【2】無道;叛逆。《詩·大雅·韓奕》:“榦不庭方﹐此佐戎辟。”{毛}傳:“庭﹐直也。”《國語·周語中》:“以待不庭不虞之患。”{韋昭}注:“庭﹐直也。虞﹐度也。不直﹐猶不道也。”{漢}{趙曄}《吳越春秋·夫差內傳》:“昔吾前王有不庭之臣﹐以能遂疑計﹐不陷於大難。”《明史·西域傳一·吐魯番》:“事干國體﹐不可不慎。況此賊倔強無禮﹐久蓄不庭之心。”{陳毅}《和郭副司令并呈朱總司令以志其親臨南線之快》:“首夏清和花事殘﹐爲討不庭向{江}南。”【3】不朝于王庭者;不朝于王庭。《左傳·隱公十年》:“以王命討不庭。”{杜預}注:“下之事上皆成禮於庭中。”{楊伯峻}注:“庭﹐動詞﹐朝于朝庭也。九年《傳》云‘{宋公}不王’故此云以討不庭。此不庭爲名詞﹐義爲不庭之國。”《漢書·趙充國傳》:“{鬼方}賓服﹐罔有不庭。”{顏師古}注:“庭﹐來帝庭也。”{宋}{王安石}《上皇帝萬言書》:“於是內修政事﹐外討不庭﹐而復有{文}﹑{武}之境土。”{章炳麟}《訄書·序種姓上》:“當{堯}時﹐{三苗}不庭﹐遏絶其世﹐竄之{三危}﹐其遺種尚在。”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8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3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D%E5%BA%AD 18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D%E5%BA%AD 31

-----

 

68. 瞻卬(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72 [伊胡為慝; 天何以刺]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72

(발췌 시작)

《漢語大詞典》:胡为(胡爲)  拼音:hú wéi

 

何为,为什么。《诗·邶风·式微》:“微君之故,胡为乎中露?”《礼记·檀弓上》:“夫古之人,胡为而死其亲乎?”《汉书·黥布传》:“胡为废上计而出下计?” 颜师古 注:“胡,何也。” 唐 李白 《蜀道难》诗:“嗟尔远道之人,胡为乎来哉!” 宋 苏轼 《郑州别后马上寄子由》诗:“不饮胡为醉兀兀,此心已逐归鞍发。” 明 高启 《赠金华隐者》诗:“嗟我胡为在尘网,远望高峰若天壤。” 何其芳 《画梦录·扇上的烟云》:“你这些话又胡为而来?我一点儿也不能追踪你思想的道路。”
胡作非为;任意乱来。《京本通俗小说·拗相公》:“如今説先朝一个宰相,他在下位之时,也着实有名有誉的,后来大权到手,任性胡为,做错了事,惹得万口唾駡,饮恨而终。” 元 吴昌龄 《东坡梦》第二折:“由他閒戏,任你胡为。”《红楼梦》第一一一回:“ 寳釵 听着这话,好不自在,便説道:‘我原不该给他行礼,但只老太太去世,咱们都有未了之事,不敢胡为。’” 鲁迅 《书信集·致郑振铎》:“盖 中国 艺术家,一向喜欢介绍 欧洲 十九世纪末之怪画,一怪,即便于胡为,于是畸形怪相,遂弥漫于画苑。”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24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3%A1%E7%82%BA 53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3%A1%E7%88%B2 24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B41522DF22E0555ECA8733C6B39097B&cult=TW&bv=1

(발췌 시작)

何以

 

    【1】用反問的語氣表示沒有或不能。{金}{王若虛}《論語辯惑總論》:“凡人有好則有惡﹐有喜則有怒﹐有譽則有毀﹐聖人亦何以異哉?”{明}{劉基}《襲封誠意伯誥券》:“古稱名世﹐何以過之?”{漢}{劉向}《列女傳·楚江乙母》:“今令尹之治也﹐耳目不明﹐盜賊公行﹐是故使盜得盜妾之布﹐是與使人何以異也?”【2】為什么。{唐}{韓愈}《秋懷》詩之七:“我無汲汲志﹐何以有此憾?”《論語·季氏》:“夫{顓臾}﹐昔者先王以爲{東蒙}主﹐且在邦域之中矣﹐是社稷之臣也。何以伐爲?”{巴金}《滅亡》第八章:“大家有點愕然﹐不明白他何以會這樣不高興。”《續資治通鑒·宋孝宗隆興元年》:“{琚}固辭﹐{金}主曰:‘卿之才望﹐無不可者﹐何以辭爲!’”《詩·大雅·瞻卬》:“天何以刺?何神不富?”【3】用什么;怎么。《詩·召南·行露》:“誰謂雀無角?何以穿我屋。”{冰心}《寄小讀者》八:“為著人生不得不別離﹐卻又禁不起別離﹐你們何以慰我?”《南史·陳後主紀》:“監者又言:‘{叔寶}常耽醉﹐罕有醒時。’{隋文帝}使節其酒﹐既而曰:‘任其性﹐不爾何以過日?’”{明}{高啟}《臥東館簡諸友生》詩:“何以度茲運?相勗蹈其常。”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219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자주(즉, 288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D%95%E4%BB%A5 2193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D%95%E4%BB%A5 2882

-----

 

69. 我將(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80 [既右饗之]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92A348CDD4EEE136E85A35C952CA097&cult=TW&bv=1

(발췌 시작)

右饗

 

    【1】謂享受祭獻,佑助降福。《詩·周頌·我將》:“維羊維牛﹐維天其右饗之。”{鄭玄}箋:“言神饗其德而右助之。”《漢書·韋賢傳》:“唯{高皇帝}﹑{孝文皇帝}﹑{孝武皇帝}省察﹐右饗皇帝之孝﹐開賜皇帝眉壽亡疆。”{顏師古}注:“右讀曰祐。”{宋}{秦觀}《代賀明堂禮畢表》:“徒欣右饗之成﹐莫預駿奔之列。”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F%B3%E9%A5%97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F%B3%E9%A5%97 1

-----

 

70. 噫嘻(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3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85 [既昭假爾; 終三十里]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8604DB90158AEEA421D4D5A67C85B4F&cult=TW&bv=1

(발췌 시작)

昭假

 

    【1】向神禱告,昭示其誠敬之心以達于神。《詩·大雅·云漢》:“大夫君子﹐昭假無贏。”{毛}傳:“假﹐至也。”{馬瑞辰}通釋:“言誠能昭假於天﹐其感應之理無有贏差者。”又《周頌·噫嘻》:“噫嘻{成王}﹐既昭假爾。”一說﹐明告。{高亨}注:“昭﹐明也。假﹐讀爲嘏﹐告也。”又一說﹐招請。見{郭沫若}《讀了關于<周頌·噫嘻篇>的解釋》。《後漢書·馮異傳》:“昔我{光武}受命中興﹐恢弘聖緒﹐橫被四表﹐昭假上下﹐光耀萬世。”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8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8%AD%E5%81%87 8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8%AD%E5%81%87 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007F4FF7BD4B1F1E674B3E245DF1F7E&cult=TW&bv=1

(발췌 시작)

三十

 

    【1】數詞。十的三倍。《詩·小雅·無羊》:“三十維物﹐爾牲則具。”《左傳·宣公三年》:“{成王}定鼎于{郟鄏}﹐卜世三十卜年七百。”【2】指三十歲。《穀梁傳·文公十二年》:“丈夫三十而娶。”{南朝} {梁簡文帝}《戲贈麗人》詩:“自矜心所愛﹐三十中郎。”{唐}{崔灝}《贈王威古》詩:“三十羽林將﹐出身常事邊。”【3】指三十年。{唐}{權德輿}《古興》詩:“人生大限雖百歲﹐就中三十一世。”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많이(즉, 3008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 많이(즉,539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9%E5%8D%81 3008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9%E5%8D%81 5391

-----

 

71. 敬之(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4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96 [命不易哉]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A1F64547704DEE090A5632D5E41E489&cult=TW&bv=1

(발췌 시작)

不易

 

    【1】不改變;不更換。《易·乾》:“不易乎世﹐不成乎名。”{王弼}注:“不爲世俗所移易。”《漢書·哀帝紀》:“制節謹度以防奢淫﹐爲政所先﹐百王不易之道也。”{顏師古}注:“言爲常法﹐不可改易。”{宋}{蘇軾}《仇池筆記·記張憨子》:“冬夏布褐﹐三十不易﹐然近之不覺有垢穢氣。”【2】艱難,不容易。《詩·大雅·文王》:“宜鑒于{殷}﹐駿命不易。”{朱熹}集傳:“不易﹐言其難也。”《論語·子路》:“爲君難﹐爲臣不易。”{清}{李漁}《閑情偶寄·詞曲》:“要知此種文字﹐作之可憐﹐出之不易。”{毛澤東}《<中國農村的社會主義高潮>的序言二》:“對于一些不易看懂的名詞﹐作了一些注解。”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26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60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D%E6%98%93 266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D%E6%98%93 601

-----

 

72. (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4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401 [時純熙矣]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FF5C6F114A4A0176CEA965A288151C6&cult=TW&bv=1

(발췌 시작)

純熙

 

    【1】光明。多用于道德或品德。《詩·周頌·酌》:“於鑠王師﹐遵養時晦﹐時純熙矣。”{馬瑞辰}通釋:“純熙﹐謂大光明也。”{明}{唐順之}《書王氏傳家錄後》:“豈其翊贊於遵晦之日者﹐不及乎純熙大介之會。”《文選·王延壽<魯靈光殿賦>》:“殷五代之純熙﹐紹伊{唐}之炎精。”{李善}注:“《爾雅》曰:純﹐大也。”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사용되지 않았음(즉, 0번):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4%94%E7%86%99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4%94%E7%86%99 0

-----

 

73. 長發(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5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383054 [如火烈烈]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F21119C166662A6F4BDB88A8012FBE2&cult=TW&bv=1

(발췌 시작)

火烈

 

    【1】持火把者的行列。烈,通“列”。《詩·鄭風·大叔于田》:“{叔}在藪﹐火烈具舉。”{鄭玄}箋:“列人持火俱舉﹐言衆同心。”{孔穎達}疏:“火有行列﹐俱時舉之。”【2】火勢猛烈。《左傳·昭公二十年》:“夫火烈﹐民望而畏之﹐故鮮死焉。”《三國志·吳志·周瑜傳》“{蓋}放諸船﹐同時發火”{裴松之}注引{晉}{虞溥}《江表傳》:“去北軍二里餘﹐同時發火﹐火烈風猛﹐往船如箭……燒盡北船。”{宋}{蘇軾}《司竹監燒葦園》詩:“霜乾火烈聲爆野﹐飛走無路號且訝。”《說岳全傳》第二九回:“一霎時﹐火烈煙飛。”【3】比喻威勢猛烈。《文選·陸機<漢高祖功臣頌>》:“威亮火烈﹐勢踰風掃。”{張銑}注:“言其威武信爲猛烈。”{南朝} {梁}{江淹}《北伐詔》:“驍雄競奮﹐火烈風掃。”【4】起火焚燒。《梁書·武帝紀上》:“移檄京邑曰:‘……火烈高原﹐芝蘭同泯。’”{宋}{蘇舜欽}《游山》詩:“近爲雷霆拔﹐火烈瓦甓糜。”【5】指物被火焚燒而爆裂。《後漢書·蔡邕傳》:“{吳}人有燒桐以爨者﹐{邕}聞火烈之聲﹐知其良木﹐因請而裁爲琴。”【6】喻嚴明。{明}{謝肇淛}《五雜俎·人部四》:“至於小人﹐雖憲典火烈﹐殺人奸盜﹐猶不絶踵﹐而況地獄之眇茫乎!”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매우 드물게(즉, 2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1%AB%E7%83%88 14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1%AB%E7%83%88 26

-----

 

74. 殷武(先秦·詩經)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http://sou-yun.com/PoemIndex.aspx?dynasty=XianQin&author=%e8%af%97%e7%bb%8f&type=All&page=15

http://sou-yun.com/Query.aspx?type=poem1&id=463713 [昔有成湯] <----- 반드시 참조하라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BC8291DA93549187E33F50C495FECD9&cult=TW&bv=1

(발췌 시작)

有成

 

    【1】成功;有成效;有成就。如:雙方意見已漸接近﹐談判可望有成。《論語·子路》:“茍有用我者﹐期月而已可也﹐三年有成。”{金}{董解元}《西廂記諸宮調》卷三:“娘子侍{鶯}左右﹐但欲假你一言﹐申予肺腑。如萬一有成﹐不忘厚德。”《詩·小雅·黍苗》:“{召伯}有成﹐王心則寧。”{清}{惲敬}《與二小姐》:“次孫{滎孫}﹐相貌英發﹐聲音宏朗﹐或可有成。”{唐}{韓愈}《魏博書度觀察使沂國公先廟碑銘》:“{田侯}稽首﹐臣愚不肖﹐迨茲有成﹐祖考之教。”【2】有收獲。謂豐收。《樂府詩集·燕射歌辭三·晉朝饗樂章》:“八表無事﹐三秋賀有成。”

(이상, 발췌 끝)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이 시어(詩語)의 용례 분석]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이 시어(詩語)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14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21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C%89%E6%88%90 14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C%89%E6%88%90 211

-----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601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