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Holy Ghost가 Holy Spirit로 교체됨이 聖神 을 聖靈 으로 교체할 이유가 될 수 없다 spiritus_ Holy_Ghost_

인쇄

. [119.194.105.*]

2017-08-12 ㅣ No.1850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50.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질문 1: 영어권에서 어느 시기가 되면, 일부 영어본 개신교회 성경들의 본문에서 "the Holy Ghost""the Holy Spirit"로 교체되었는지요? 

 

질문 1에 대한 간략한 답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아무리 늦더라도 1901년에 초간된 American Revised Version 입니다.

 

그러나 영어권의 일부 개신교회 영어본 성경들에서는 여전히 지금까지도 전통적 용어인 "the Holy Ghost"계속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제2항을 읽도록 하십시오.

(이상, 질문 1에 대한 간략한 답변 끝)

 

질문 2: 영어 문화권의 일부 개신교회 영어본 성경들의 본문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the Holy Ghost"이, 20세기에 들어와, "the Holy Spirit"로 교체되었기 때문에,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용 성경 본문에서도 또한, 1970년 초 쯤에 들어와 국내의 개신 교회 측과 함께 "공동번역성서"를 마련할 때에, 그 당시까지 국내의 가톨릭 교회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성경 용어인 차용(語源) 번역 용어 "성신(聖神)"을 반드시 "성령(聖靈)"으로 교체하였어야 하는 것인지요?

 

질문 2에 대한 간략한 답변: 그럴 필요가 전혀 없었다는 생각이며, 특히 참혹한 박해가 시작되었던 1801년부터 약 150년 동안의 우리나라 천주교회의 역사 안에서 발생한 "단절된 전통"의 복원을 위하여, 지금이라도 전통적 용어인 "성신(聖神)"으로 회복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특정 지역 문화권"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한 개의 초자연적 개념인 성삼위의 제3위격의 칭호/호칭으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선정되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는, 선교/전교(mission)/복음화(evangelization)로도 불리는 토착화의 입장에서, 해당 문화권 내에서, 차용(借用)된 용어에 사용된 성분 글자들의 어원(語源) 등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정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은지요?

 

당연한 말씀이지만, "영어 문화권""한문 문화권"은, 지리학적으로 겹치는 부분도 전혀 없는, 동일한 문화권이 결코 아니므로, 이 지적을 드리는 것입니다.

 

더 포괄적으로, 왜냐하면, 인간의 지성(human intellect)이 인지하는 "형이상학적 개념들"은 특정 지역의 언어/어법에 따라 달라지는 그러한 종류의 그 무엇(somethings)들이 결코 아니기 때문입니다. 특히 해당 개념들이 추상적일수록, 더욱 더 그러할 것임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그리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한문 문화권"에서 "성삼위 하느님의 제3위격"을 나타내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인 "성신(聖神)"이 중국에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에 의하여 최초로/처음으로 확정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시점은 1615년 이후의 시점 입니다.

 

참고로, 중국 천주교회를 위한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한문본 문헌들에서는, (i) 이 전통적 용어 "성신(聖神)"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ii) "성령(聖靈)"전혀 사용하지 않아왔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글에서, 별도로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51.htm

(이상, 질문 2에 대한 간략한 답변 끝)

 

1. 들어가면서

이번 항에서는, 우선적으로, 교황님들의 문헌들의 영문본들에서 언제쯤부터 "the Holy Ghost" 대신에 "the Holy Spirit"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는지를 파악하도록 하겠습니다.

 

1-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년) 문헌들 영어본에서 "the Holy Ghost"라는 단어가 총 79번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intratext.com/IXT/ENG0432/3X.HTM <----- 클릭하여 꼭 확인하라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년) 문헌들 영어본에서 "the Holy Spirit"라는 단어가 총 7번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intratext.com/IXT/ENG0432/FU.HTM <----- 클릭하여 꼭 확인하라

 

1-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년) 문헌들 영어본 어디에서도 "ghost"라는 단어가 사용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1965년 경에 이르면 "the Holy Ghost"라는 번역 표현이 교황청 제공의 영문본 문헌들에서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intratext.com/IXT/ENG0037/_FA8.HTM <----- 클릭하여 꼭 확인하라

 

게시자 주 1-2: 지금부터는, 예를 들어, 교황 회칙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으며, 이를 위하여, 다음에 접속하면, 구글 검색 결과들을 접할 수 있습니다:

"the Holy Ghost" "the Holy Spirit" site:vatican.va

 

1-3. "성삼위의 제3위격을 말하는 the Holy Ghost (즉, Spiritus Sanctus의 번역 용어, 즉, 聖神)""the Holy Spirit (즉, Spiritus의 번역 용어, 즉, 聖靈)" 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는 1893년 11월 18일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영어본:

http://w2.vatican.va/content/leo-xiii/la/encyclicals/documents/hf_l-xiii_enc_18111893_providentissimus-deus.html [라틴어 정본]

http://w2.vatican.va/content/leo-xiii/en/encyclicals/documents/hf_l-xiii_enc_18111893_providentissimus-deus.html [영어본]

 

1-4. "성삼위의 제3위격을 말하는 the Holy Ghost (즉, Spiritus Sanctus의 번역 용어, 즉, 聖神)""the Holy Spirit (즉, Spiritus의 번역 용어, 즉, 聖靈)" 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는 1897년 9월 5일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영어본:

http://w2.vatican.va/content/leo-xiii/la/encyclicals/documents/hf_l-xiii_enc_09051897_divinum-illud-munus.html [라틴어 정본}

http://w2.vatican.va/content/leo-xiii/en/encyclicals/documents/hf_l-xiii_enc_09051897_divinum-illud-munus.html [영어본]

 

1-5. "성삼위의 제3위격을 말하는 the Holy Ghost (즉, Spiritus Sanctus의 번역 용어, 즉, 聖神)""the Holy Spirit (즉, Spiritus의 번역 용어, 즉, 聖靈)" 둘 다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라틴어 정본에서 "Paraclitus" 가 영어본에서 "the Holy Spirit"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이 된, 1922년 12월 23일교황 비오 11세의 회칙 영어본:

https://w2.vatican.va/content/pius-xi/la/encyclicals/documents/hf_p-xi_enc_19221223_ubi-arcano-dei-consilio.html [라틴어 정본]

https://w2.vatican.va/content/pius-xi/en/encyclicals/documents/hf_p-xi_enc_19221223_ubi-arcano-dei-consilio.html [영어본]

 

(라틴어 정본에서 발췌 시작)

cum sacerdotes bonique laici, tamquam si delapsus iterum in eos Paraclitus esset, precum spiritu et apostolatus studio inflammatos animos vulgo ostenderent;

(이상, 발췌 끝)

 

(영어본에서 해당 부분 발췌 시작)

We beheld, too, the Holy Spirit, as it were, descend into the hearts of both priests and faithful as He did on the first Pentecost Sunday, to rekindle in them the spirit of prayer and of the apostolate.

(이상, 발췌 끝)

 

1-6. "the Holy Ghost (즉, Spiritus Sanctus의 번역 용어, 즉, 聖神)""the Holy Spirit (즉, Spiritus의 번역 용어, 즉, 聖靈)" 둘 다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그러나 라틴어 정본에서 총 열두 번 사용되고 있는 "Spiritus Sanctus, 즉, 聖神)"이 영어본에서, 이전의 교황 회칙들에서처럼 "the Holy Ghost"로 일관성있게 번역되지 않고, 단 한 번 "the Holy Ghost"로 번역된 것을 제외하고, 모두 "the Holy Spirit"로 [주: "the Holy Spirit"는 총 스물두 번 사용됨] 번역이 되고 있다는 생각임,, 그리고 라틴어 정본에서 "Sanctus가 곧바로 뒤따르지 않은 라틴어 표현 Spiritus"를, 예를 들어, 바로 위에 예들로서 제시된 이전의 획들에서와는 달리, 영어본에서 "Holy라는 형용사를 바로 앞에 사용하지 않은 Spirit"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을 하고 있는, 1943년 6월 29일교황 비오 12세의 회칙 영어본:

http://w2.vatican.va/content/pius-xii/la/encyclicals/documents/hf_p-xii_enc_29061943_mystici-corporis-christi.html [라틴어 정본]

http://w2.vatican.va/content/pius-xii/en/encyclicals/documents/hf_p-xii_enc_29061943_mystici-corporis-christi.html [영어본]

 

게시자 주 1-6: 특히, 1946년에 RSV (Revised Standard Version)신약 성경 초판이 발행되기 약 3년 전인 1943년 6월 29일자 교황 교도권 문헌인 교황 회칙영문본에서 이러한 용어 변화가 이미 일어났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1-7. "the Holy Ghost (즉, Spiritus Sanctus의 번역 용어, 즉, 聖神)""the Holy Spirit (즉, Spiritus의 번역 용어, 즉, 聖靈)" 둘 다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라틴어 정본에서 총 열한 번 사용되고 있는 "Spiritus Sanctus, 즉, 聖神)" 이 영어본에서, 이전의 교황 회칙들에서처럼 "the Holy Ghost"로 일관성있게 번역되지 않고, 단 한 번 "the Holy Ghost"로 번역된 것을 제외하고, 모두 "the Holy Spirit"로 [주: "the Holy Spirit"는 총 열두 번 사용됨] 번역이 되고 있다는 생각임, 그리고 라틴어 정본에서 "Sanctus가 곧바로 뒤따르지 않은 라틴어 표현 Spiritus"를, 예를 들어, 위에 예들로서 제시된 이전의 교황 회칙들에서와는 달리, 영어본에서 "Holy라는 형용사를 바로 앞에 사용하지 않은 Spirit"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을 하고 있는, 1956년 5월 15일교황 비오 12세의 회칙 영어본:

http://w2.vatican.va/content/pius-xii/la/encyclicals/documents/hf_p-xii_enc_15051956_haurietis-aquas.html [라틴어 정본]

http://w2.vatican.va/content/pius-xii/en/encyclicals/documents/hf_p-xii_enc_15051956_haurietis-aquas.html [영어본]

 

게시자 주 1-7: 특히, 예를 들어, 1946년에 RSV (Revised Standard Version)신약 성경 초판이 발행되고 나서 약 10년이 경과한 후인 1956년 5월 15일자 교황 교도권 문헌인 교황 회칙영문본에서 이러한 용어 변화가 수용되어 받아들여졌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1-8. "the Holy Ghost (즉, Spiritus Sanctus의 번역 용어, 즉, 聖神)""the Holy Spirit (즉, Spiritus의 번역 용어, 즉, 聖靈)" 둘 다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라틴어 정본에서 총 아홉 번 사용되고 있는 "Spiritus Sanctus, 즉, 聖神)" 이 영어본에서, 이전의 교황 회칙들에서처럼 "the Holy Ghost"로 일관성있게 번역되지 않고, 단 한 번 "the Holy Ghost"로 번역된 것을 제외하고, 모두 "the Holy Spirit"로 [주: "the Holy Spirit"는 총 아홉 번 사용됨] 번역이 되고 있다는 생각임, , 그리고 라틴어 정본에서 "Sanctus가 곧바로 뒤따르지 않은 라틴어 표현 Spiritus"를, 예를 들어, 위에 예들로서 제시된 이전의 교황 회칙들에서와는 달리, 영어본에서 "Holy라는 형용사를 바로 앞에 사용하지 않은 Spirit"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을 하고 있는, 1964년 8월 6일바오로 6세의 회칙 영어본:

http://w2.vatican.va/content/paul-vi/la/encyclicals/documents/hf_p-vi_enc_06081964_ecclesiam.html [라틴어 정본]

http://w2.vatican.va/content/paul-vi/en/encyclicals/documents/hf_p-vi_enc_06081964_ecclesiam.html [영어본]

 

게시자 주 1-8: 특히, 예를 들어, 1946년에 RSV (Revised Standard Version)신약 성경 초판이 발행되고 나서 약 18년이 경과한 후인 1964년 8월 6일자 교황 교도권 문헌인 교황 회칙영문본에서 이러한 용어 변화가 수용되어 받아들여졌었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2.

이번 항에서는, 영어본 신약 성경들에서 언제쯤에 이르면 "the Holy Spirit"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는지에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2-1.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위한 영어본 Douay Rheims Bible:

이 성경의 신약 성경은 1582년에 초간되었으며, 성삼위의 제3위격이, "the Holy Spirit" 로 번역되지 않고, "the Holy Ghost"로 번역됨:

https://en.wikipedia.org/wiki/Douay%E2%80%93Rheims_Bible 

http://www.intratext.com/IXT/ENG0011/MA.HTM [the Holy Ghost 총 91번]

http://www.intratext.com/IXT/ENG0011/6D.HTM [총 8번: holy spirit 2번 ; holy Spirit 4번; Holy Spirit 2번]

 

게시자 주 2-1: 따라서, 이 시기에 영어권 세속에서 널리 받아들여진 "ghost"라는 영어 단어의 주된 의미가 "disembodied spirit of a dead person(죽은 자의 몸을 떠난 영, 즉, 유령)"이 결코 결코 아니었음을 알 수 있음.

 

2-2. 개신교회용 영어본 1611년 King James Version:

성삼위의 제3위격이, 가톨릭교회용 영어본 Douay Rheims Bible의 전통에 따라 "the Holy Spirit" 로 번역되지 않고, "the Holy Ghost"로 번역됨:

http://www.intratext.com/IXT/ENG0001/JW.HTM [the Holy Ghost 총 90번]

http://www.intratext.com/IXT/ENG0001/69.HTM [총 7번: holy spirit 2번 ; holy Spirit 4번; Holy Spirit 1번]

 

게시자 주 2-2: 따라서, 이 시기에 영어권 세속에서 널리 받아들여진 "ghost"라는 영어 단어의 주된 의미가 "disembodied spirit of a dead person(죽은 자의 몸을 떠난 영, 즉, 유령)"을 주되게 나타내는 단어가 결코 아니었음을 알 수 있음.

 

2-3. 개신교회용 영어본 1901년 American Standard Version (ASV):

성삼위의 제3위격이, "the Holy Ghost"로 전혀 번역되지 않고, 모두 "the Holy Spirit"로 번역됨:

http://www.intratext.com/IXT/ENG0108/1/WD.HTM [the Holy Ghost 0번]

http://www.intratext.com/IXT/ENG0108/5C.HTM [the Holy Spirit 81번]

 

2-4. 1946-1966년 Revised Standard Version (RSV) [주: 가톨릭교회 및 개신교회 공동번역]

성삼위의 제3위격이, "the Holy Ghost"로 전혀 번역되지 않고, 모두 "the Holy Spirit"로 번역됨:

http://quod.lib.umich.edu/r/rsv/simple.html [RSV 검색 엔진]

http://quod.lib.umich.edu/cgi/r/rsv/rsv-idx?type=simple&format=Long&q1=Ghost&restrict=All&size=All [the Holy Ghost 0번]

http://quod.lib.umich.edu/cgi/r/rsv/rsv-idx?type=simple&format=Long&q1=Spirit&restrict=All&size=All [총 97번: holy spirit 1번 ; holy Spirit 4번; Holy Spirit 92번]

 

게시자 주 2:
(1) 다른 한편으로, 로버트 모리슨의 영중사전: [주: "Holy Ghost"라는 표제어는 아예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대신에, 표제어로 수록된 "Holy" 아래에 주어진 표제어 "Holy Spirit" 는, "聖靈"으로 번역된 것이 아니라"聖神" 혹은 "聖風"으로 번역되었음.(*)

 

-----

(*) 게시자 주: 로버트 모리슨"Holy Spirit" 를 설명하면서 제시한 차용 번역 용어들인 "聖神" 혹은 "聖風"의 출처 등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별도의 글에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51.htm

-----

 

(2) 그런데, 이 사전에서, "Holy Ghost"라는 표제어의 선정 대신에, 표제어 "Holy Spirit"의 선정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 로버트 모리슨이 중국에 오기 전에 영어권에서, 성삼위 하느님의 제3위격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하기 위하여 "Holy Ghost"라는 차용 번역 용어가 "영어 문화권" 내에 처음 도입된 이후 적어도 약 200년 이상의 세월 속에서, "ghost"라는 영어 단어의 원래의 세속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들 중의 하나였던, 한 개의 종적 의미(special sense)인 "disembodied spirit of a dead person(죽은 자의 몸을 떠난 영, 즉, 유령)"가, 약 200년 이전부터 사용되어온 성경 용어 "Holy Ghost"에 사용된 "ghost"의 더 포괄적인 의미(more inclusive sense), 즉, 고유의 속적 의미(generic sense)인 "supernatural being(초자연적 있음), (supernatural or natual) spirit[(초자연적 혹은 자연적) ]"와, 비슷한 정도로 혹은 보다 더 우세한 정도로, 이미 사용되기 시작하였음을 뜻한다는 생각임.

 

즉, "ghost"라는 단어의 속적 의미(generic sense) 자체에 소위 말하는 전와(轉訛)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음을 뜻한다는 생각임]

 

(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ghost"어원(etymology)에 대한 정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 바쁘지 않으신 분들께서는, 지금까지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또한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www.etymonline.com/index.php?term=ghost&allowed_in_frame=0

(발췌 시작)

ghost (n.) Look up ghost at Dictionary.com

 

Old English gast "breath; good or bad spirit, angel, demon; person, man, human being," in Biblical use "soul, spirit, life," from Proto-Germanic *gaistaz (source also of Old Saxon gest, Old Frisian jest, Middle Dutch gheest, Dutch geest, German Geist "spirit, ghost"). This is conjectured to be from a PIE root *gheis-, used in forming words involving the notions of excitement, amazement, or fear (source also of Sanskrit hedah "wrath;" Avestan zaesha- "horrible, frightful;" Gothic usgaisjan, Old English gæstan "to frighten").

Ghost is the English representative of the usual West Germanic word for "supernatural being." In Christian writing in Old English it is used to render Latin spiritus (see spirit (n.)), a sense preserved in Holy Ghost. Sense of "disembodied spirit of a dead person," especially imagined as wandering among the living or haunting them, is attested from late 14c. and returns the word toward its likely prehistoric sense.

Most Indo-European words for "soul, spirit" also double with reference to supernatural spirits. Many have a base sense of "appearance" (such as Greek phantasma; French spectre; Polish widmo, from Old Church Slavonic videti "to see;" Old English scin, Old High German giskin, originally "appearance, apparition," related to Old English scinan, Old High German skinan "to shine"). Other concepts are in French revenant, literally "returning" (from the other world), Old Norse aptr-ganga, literally "back-comer." Breton bugelnoz is literally "night-child." Latin manes probably is a euphemism.

The gh- spelling appeared early 15c. in Caxton, influenced by Flemish and Middle Dutch gheest, but was rare in English before mid-16c. Sense of "slight suggestion, mere shadow or semblance" (in ghost image, ghost of a chance, etc.) is first recorded 1610s; sense of "one who secretly does work for another" is from 1884. Ghost town is from 1908. Ghost story is by 1811. Ghost-word "apparent word or false form in a manuscript due to a blunder" is from 1886 (Skeat). Ghost in the machine was British philosopher Gilbert Ryle's term (1949) for "the mind viewed as separate from the body." The American Indian ghost dance is from 1890. To give up the ghost "die" was in Old English.

 

(이상, 발췌 끝)

 

[내용 추가 일자: 2023년 4월 14일]

(4) 그리고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ghost라는 단어의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g/g043.htm 

(발췌 시작)

GHOST

 

A disembodied spirit. Christianity believes that God may, and sometimes does, permit a departed soul to appear in some visible form to people on earth. Allowing for legend and illusion, there is enough authentic evidence, for example in the lives of the saints, to indicate that such apparitions occur. Their purpose may be to teach, or warn, or request some favor of the living.

 

혼/영혼/유령(幽靈)(ghost)

 

한 개의, 육체가 없는(disembodied), 영(spirit)을 말합니다. 그리스도교는 하느님께서 한 명의 죽은 자의 영혼이 어떠한 가시적인 형태로 지상의 사람들 쪽으로 나타나는 것을 허락하실 수도, 그리고 때로는 정말로 나타나게 하심을 믿습니다. 전설(legend)과 환시를 허락하심으로써, 바로 그러한 출현(apparitions)들이 발생함을 가리키는 충분하게 진정한 증거가, 예를 들어 성인들의 삶들에, 있습니다. 그들[즉, 전설과 환시]의 목적은 산 사람들에 대하여 가르치거나, 혹은 경고하거나, 혹은 어떠한 배려(favor)를 요구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2023년 4월 14일자 내용 추가 끝]

(이상, 게시자 주 2 끝)

 

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51.htm <----- 필독 권고

 

17세기 초반의 "한문 문화권" 안쪽으로 이동하는, 이 글에 이어지는 글[제목: 宗徒信經에서 聖神相通功이 諸聖相通功으로 교체된 시점은 교요해략 신수당제3각의 초판과 중판 사이이다]을 읽을 수 있습니다. 혹시하여 말씀드립니다만, 여기서 말하는 宗徒信經(종도신경)"은 요즈음에 들어와 "사도신경"으로 불립니다. 

 

현재까지 "한문 문화권"의 그리스도교(즉, 기독교) 신자들이 사용해온 다수의 한자 용어들의 출처와 기원과 관련하여, 이 글 또한 대단히 중요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되도록 많은 분들께서 꼭 읽으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555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