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신학 대전에서 덕(virtues, 德)들과 다른 개념들과의 관계는? 792_ 972_ 1444_ [교리용어_덕] [번역오류_사욕편정] 969_토미즘학습 wisdom

인쇄

. [122.128.41.*]

2010-11-11 ㅣ No.972

 

 + 찬미 예수님


이 글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실린 Virtues에 대한 설명으로, 여기를 클릭하시면 읽으실 수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있어 덕(Virtue)의 의미" 제목의 저의 졸글(번역문)에 이어지는 졸글(번역문)입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및 "신학 대전 요약(Compendium of the Summa Theologica)"을 읽고 이해하려면, 우선적으로, 개념들의 의미을 담고 있는 신학 대전의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및 이들 개념들 사이의 관계들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 중의 두 번째 졸글(번역문)로서 마련되었으니,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아마도 "사람의 마음의 상태"를 단계별로 이해하는 데에도 또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15472a.htm

 

Virtue
덕(德)

The subject will be treated under the following heads:

이 주제는 다음의 항목들 아래에서 다루어질 것입니다:

I. Definitions;
I. 정의들;
II. Subjects;
II. 주체들;
III. Divisions;
III. 구분들;
IV. Causes;
IV. 원인들;
V. Properties.
V. 고유의 성질들

 

Definitions
정의들

 

According to its etymology the word virtue (Latin virtus) signifies manliness or courage. "Appelata est enim a viro virtus: viri autem propria maxime est fortitudo" ("The term virtue is from the word that signifies man; a man's chief quality is fortitude"; Cicero, "Tuscul.", I, xi, 18). Taken in its widest sense virtue means the excellence of perfection of a thing, just as vice, its contrary, denotes a defect or absence of perfection due to a thing. In its strictest meaning, however, as used by moral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it signifies a habit superadded to a faculty of the soul, disposing it to elicit with readiness acts conformable to our rational nature. "Virtue", says Augustine, "is a good habit consonant with our nature." From Saint Thomas's entire Question on the essence of virtue may be gathered his brief but complete definition of virtue: "habitus operativus bonus", an operative habit essentially good, as distinguished from vice, an operative habit essentially evil. Now a habit is a quality in itself difficult of change, disposing well or ill the subject in which it resides, either directly in itself or in relation to its operation. An operative habit is a quality residing in a power or faculty in itself indifferent to this or that line of action, but determined by the habit to this rather than to that kind of acts. (See HABIT.) Virtue then has this in common with vice, that it disposes a potency to a certain determined activity; but it differs specifically from it in that it disposes it to good acts, i.e. acts in consonance with right reason. Thus, temperance inclines the sensuous appetite to acts of moderation conformably to right reason just as intemperance impels the same appetite to acts of excess contrary to the dictates of our rational nature. Virtue then has this in common with vice, that it disposes a potency to a certain determined activity; but it differs specifically from it in that it disposes it to good acts, i.e. acts in consonance with right reason. Thus, temperance inclines the sensuous appetite to acts of moderation conformably to right reason just as intemperance impels the same appetite to acts of excess contrary to the dictates of our rational nature.

 

그 어원에 따르면 덕(virtue) (라틴어: virtus) 단어는 남자다움(manliness) 혹은 용기(courage)를 뜻합니다(signifies). “Appelata est enim a viro virtus: viri autem propria maxime est fortitudo” [“덕이라는 용어는 남성을 나타내는(signifies) 단어로부터 유래하며, 남성의 주된 성질은 굳셈이다(The term virtue is from the word that signifies man; a man's chief quality is fortitude)”; Ciecero, "Tuscul", I, xi, 18)]. 그 가장 폭넓은 의미로 받아들였을 때에 덕은, 그 반대인 악덕(vice)이 어떤 것에 기인하는(due to) 완미(完美)(perfection)의 결함 혹은 결여(a defect or absense)를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떤 것에 대한 완미(完美)의 우수함(excellence of perfection)을 뜻합니다. 그러나 윤리 철학자들 및 윤리 신학자들에 의하여 사용되는 것과 같이, 그 엄밀한 의미에 있어 이것은 영혼의 능력(faculty of the soul)에 다시 보태진(superadded), 능력으로 하여금 우리의 이성적 본성(rational nature)에 들어맞는(conformable to) 행위들을 기꺼이 할 마음이 내키게 하는(disposing it to elicit with readiness acts), 어떤 습관(a habit)을 뜻합니다. 아우구스티노(Augustine)는 “덕은 우리의 본성과 조화하는 좋은 습관이다”라고 말합니다. 성 토마스(Saint Thomas)의 덕의 본질에 대한 전체 질문으로부터 그의 간략한 그러나 완전한 덕의 정의(definition)가 다음과 같이 이해될(be gathered) 수도 있을 것입니다: 본질적으로 악한 영향을 끼치는 습관인 악덕(vice)과 구별하여서의(as distinguished from), “선한 영항을 끼치는 습관," 즉 본질적으로 선한 영향을 끼치는 습관. 그런데 습관은, 그 안에 이 습관이 존재하고 있는 주체(subject)로 하여금, 본질적으로 직접적으로 혹은 그 작용과 관련하여, 그 대상을 좋게 혹은 나쁘게 배치하는(dispose), 그 자체로는(in itself) 변화하기 어려운 성질입니다. 작용하는 습관(an operative habit)은, 행위의 이런 혹은 저런 순서에 있어 그 자체로는 무관한, 그러나 행위들의 저러한 종류들보다는 이러한 종류들에 대한 습관에 의하여 결정되는, 힘 혹은 능력(a power or faculty)에 존재하는 어떤 성질을 말합니다. [습관(HABIT)을 보라]. 따라서 덕(virtue)은 어떤 확정된 활동에 어떤 잠재력(a potency)을 배치하는 점을 악덕(vice)과 공통으로 가지고 있으나, 그러나 이것은 덕이 좋은 행동들에, 즉 올바른 이성(right reason)과의 일치 상태에 있는 행동들에, 이 잠재력을 배치하는 점에 있어 구체적으로(specifically) 악덕과 다릅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여러 덕들 중의 하나인] 절제(temperance)는, 방종(intemperance)이 이 동일한 욕구를 우리의 이성적 본성의 명령들에 반하여 초과 행위(acts of excess)들로 강요하는(impels) 것과 마찬가지로, 올바른 이성에 적합하게, 감각적 욕구(the sensuous appetite)를 온건 행위(acts of moderation)들로 기울어지게 합니다(incline).


Subjects of virtue
덕의 주체들

 

Before determining the subjects or potencies in which the different virtues reside, it will be necessary to distinguish two kinds of virtues: those which are virtues absolutely (simpliciter) and those which are virtues only in a restricted sense (secundum quid). The later confer only a faculty for well-doing, and render the possessor good only in a restricted sense, e.g. a good logician. The former, in addition to the facility for well-doing, cause one to use the facility rightly, and render the possessor unqualifiedly good. Now the intellect may be the subject of those habits which are called virtues in a restricted sense, such as science and art. But the will only, or any other faculty only in so far as it is moved by the will, can be the subject of habits, which are called virtues in the absolute sense. For it is the proper function of the will to move to their respective acts all the other powers which are in any way rational. Thus the intellect and sensuous appetite as moved by the will are the subjects of prudence and temperance, while the will itself is the subject of justice, a virtue in the absolute sense.

 

그 안에 다른 덕들이 존재하는 주체(subjects)들 혹은 힘(potencies)들을 한정하기(determining) 전에, 덕들에 있어서의 두 종류들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는 것은 필요할 것입니다: 절대적으로(absolutely, simpliciter) 덕들인 것들오로지 어떤 제한된 의미에 있어서의(secundum quid) 덕들인 것들. 후자는 오로지 잘하기 위한 능력(a faculty for well-doing)만을 주며, 그리고, 예를 들어 좋은 논리학자(a logician)처럼, 오로지 어떤 제한된 의미에 있어서의 선(good)만을 그 소유자에게 제공합니다. 전자는, 잘하기 위한 능력에 추가하여, 우리로 하여금 이 능력을 올바르게 사용하도록 야기하며(cause one to use the facility rightly), 그리고 그 소유자에게 선(good)을 아무런 제한 없이 제공합니다. 이제 지성(the intellect)은, 과학(science, 학문) 기술(技術)[art, techno](*) 등과 같은, 제한된 의미에 있어서의 덕들로 불리는 덕들의 주체(the subject)일 것입니다. 그러나 오로지 의지(the will)만이, 혹은 그것이 의지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한 오로지 어떤 다른 능력만이, 절대적 의미에 있어서의 덕들로 불리는 습관들의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이성적인 다른 모든 힘(powers)들을 그들 각각의 행위들로 이동하는 것이 바로 의지의 고유한 역할(proper function)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지성(the intellect)감각적인 욕구(the sensuous appetite)의지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기에 현명(prudence)절제(temperance)의 주체(subjects)들인 반면에, 의지(the will) 그 자체는, 절대적 의미에 있어서의 덕(a virtue in the absolute sense)인, 정의(justice)의 주체입니다.

-----
(*) 번역자 주:
(1) 그 어원을 고려할 때에, "art"를, 예를 들어, 1968년 12월 5일에 선포되었던 "국민교육헌장"의 "학문과 기술"이라는 표현에서 사용 중인 "기술(技術)"로 번역하는 것이 더 나은 차용 용어 번역일 것이다.

(2) 여기서 "기술(art)" 이라는 용어가 나타내는 의미 혹은 개념이 정의되고 있다.
-----


Divisions of virtue
덕들의 구분들

 

Virtues may be divided into intellectual, moral, and theological.

덕들은 지성적(intellectual), 윤리적(moral), 그리고 신학적(theological)으로 분류될 것입니다.

 

Intellectual virtues
지성덕들(지성적 덕들)

 

Intellectual virtue may be defined as a habit perfecting the intellect to elicit with readiness acts that are good in reference to their proper object, namely, truth. As the intellect is called speculative or practical according as it confines itself to the sole contemplation of truth or considers truth in reference to action, the intellectual virtue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is twofold function of the mental faculty. The speculative intellectual virtues are wisdom, science, and understanding. Wisdom is the knowledge of conclusions through their highest causes. Thus philosophy, and particularly metaphysics, is properly designated as wisdom, since it considers truth of the natural order according to its highest principles. Science is the knowledge of conclusions acquired by demonstration through causes or principles which are final in one class or other. Thus there are different sciences, mathematics, physics, etc., but only one wisdom, the supreme judge of all. Understanding is defined as the habit of first principles; as habit or virtue it is to be distinguished, at least logically, from the faculty of intelligence. It is also called intuition, as it has for its object truths that are self-evident, the perception of which requires no discursive process. It is to be observed that these virtues differ from the gifts of the Holy Ghost, designated by the same name, inasmuch as they are qualities of the natural order, while the gifts are intrinsically supernatural. The practical intellectual virtues are two, namely, art and prudence.

 

지성덕(intellectual virtue)은 그 고유한 대상(object), 즉, 진리(truth)와 관련한 선한 행위들을 기꺼이 할 마음을 내키게 하고자(to elicit with readiness acts) 지성을 완미(完美)하게 하는(perfecting) 습관으로서 정의될(may be defined) 것입니다. 지성이 진리에 대한 독점적인 관상(the sole contemplation)에만 스스로를 제한하는지(confine) 혹은 행위와 관련한 진리를 고찰하는지에 따라, 지성 사변적 혹은 실천적(speculative or practical)이라고 불리듯이, 지성적 덕들은 마음의 능력(mental faculty)의 이러한 이중의 역할(twofold function)에 따라 분류될(be classified) 것입니다. 사변적 지성덕(the speculative intellectual virtues)들지혜(wisdom), 과학(science, 학문) 그리고 이해(understanding, 오성)를 말합니다. 지혜는 그들의 최고의 원인(highest causes)들을 통하여 결과(conclusions)들에 대한 지식(knowledge)을 말합니다 (신학 대전, Ia IIae, q57). 그러므로 철학, 그리고 특히 형이상학(metaphysics)지혜로서 고유하게 불리는데(is properly designated), 이는 이것이 그 최고의 원리들에 따라 자연의 질서(the natural order)에 대한 진리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과학(학문)은 한 과(class) 혹은 다른 과에 있어(in one class or another) 최종적인 원인(causes)들 혹은 원리(principles)들을 통하여 논증에 의하여(by demonstration) 습득되는 결론들에 대한 지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거기에는 수학(mathematics), 물리(physics) 등과 같은 여러 과학(학문)(different sciences)들이 있으나, 그러나, 모든 것에 대한 지고의 판단(the supreme judge)인, 오직 한 개의 지혜(wisdom)만 존재합니다. 이해(understanding, 오성)는 제1 원리들[의 획득 및 적용]에 있어서의 [당사자의] 습관(the habit of first principles)으로서 정의되는데, 이는 이것이 습관 혹은 덕으로서, 적어도 논리적으로, 지능(intelligence)이라는 [지성의] 능력(the faculty of intelligence)과 구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또한, 아무런 추론 과정(discursive process)을 요구하지 않는 인식(perception)인, 직관(intuition)으로 불리는데, 이는 그 대상(object)으로서 자명한 진리(self-evident truths)들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들 덕들이, 그들이 본성의 질서의 질/특성(qualities of the natural order)들인 반면에, 이와는 달리 성령의 선물들이 내재적으로 초자연적인(intrinsically supernatural) 한, 꼭 같은 이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성령의 선물(the gifts of the Holy Ghost)들과 다름(즉, 동일하지 않음)은 말해져야만(to be observed) 합니다. 실천적 지성덕(the practical intellectual virtues)들은, 두 가지, 즉 예술(art, 기술) 그리고 현명(prudence)입니다.

 

Art
기술(技術)[art, techno]


Art, according to the Schoolmen, signifies the right method with regard to external productions (recta ratio factibilium). Just as science perfects and directs the intellect to reason correctly with regard to its proper object in view of the attainment of truth, so also art perfects and directs the intellect in the application of certain rules in view of the production of external works, whether these be of a useful or æsthetic character. Hence the division into useful and fine arts. Art has this in common with the three speculative intellectual habits, that they are all virtues only in a restricted sense. Hence they constitute a man good only in a qualified sense, e.g. a good geometrician or a good sculptor. For the proper function of science as art, as such, is not to confer moral goodness, but to direct the intellect in its scientific or artistic processes.
 

 

기술(art, techno)은, 스콜라 철학자(the Schoolmen)들에 따르면, 외면적 창작물(external productions)들과 관련한 올바른 방법(recta ratio factibilium)을 뜻합니다(signifies). 과학(science, 학문)이 진리의 습득을 위하여 그 고유한 대상(object)에 관련하여 올바르게 추론하도록 지성(the intelligence)을 완미(完美)하게 하고(perfects) 그리고 지성에게 길을 가르쳐 주는 것(directs)과 꼭 같이, 마찬가지로 또한 기술은, 외면적 창작물들의 산출(production)을 위하여 특정한 규칙(certain rules)들을 적용함에 있어, 이들이 실용적(useful) 혹은 미학적(aesthetic) 특성에 대한 것이거나 간에, 지성을 완미(完美)하게 하고 그리고 지성에게 길을 가르쳐 줍니다. 따라서 응용(useful) 기술순수 기술(the fine arts)로 구분됩니다. 기술은 세 개의 사변적 지성적 습관(the three speculative intellectual habits)들과 공통으로(in common with) 다음의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모두 오로지 제한된 의미에 있어 덕들입니다. 따라서 그들은, 예를 들어 좋은 기하학자(a good geometrician) 혹은 좋은 조각가(a good sculptor) 등의, 한정적인 의미에 있어 사람을 오로지 좋게(good, 선하게) 만듭니다. 이는 기술로서의 과학(학문)의 고유한 역할이, 그러한 것으로서(as such), 윤리적 선함(moral goodness)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학문적) 혹은 기술적 과정들로 지성을 향하게 하는(direct) 데에 있기 때문입니다.

 

Prudence
현명

As art is the right method of production, so prudence, as defined by St. Thomas, is the right method of conduct (recta ratio agibilium). It differs from all the other intellectual virtues in this, that it is a virtue in the absolute sense, not only conferring a readiness for well-doing, but causing one to use that readiness rightly. Considered more specifically, it is that virtue which directs one in the choice of means most apt, under existing circumstances, for the attainment of a due end. It differs from the moral virtues as it resides not in the appetitive powers but in the intellect, its proper act being, not the choice of apt means, but the direction of that choice. But although prudence is essentially an intellectual virtue, nevertheless, under a certain respect (materialiter) it may be considered a moral virtue, since it has as its subject matter the acts of the moral virtues. For if the end be vicious, though a certain astuteness be manifested in the discernment of means, such astuteness is not real prudence, but the semblance of prudence. (See PRUDENCE.)

 

기술(art, techno)이 산출(production)에 있어서의 올바른 방법이듯이, 마찬가지로 현명(prudence)은, 성 토마스(St. Thomas)정의하였듯이(defined), 처신(conduct)에 있어서의 올바른 방법입니다(recta ratio agibilium). 이것은 모든 다른 지성덕들로부터 다음에 있어 다릅니다: 이것은 절대적 의미에 있어, 잘 하기 위한 준비된 상태(readiness for well-doing)를 제공할 뿐만이 아니라, 우리로 하여금 바로 그 준비된 상태를 즉시 사용하도록 시키는(causing), 하나의 덕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생각하게 되면, 이것은 하나의 마땅한 목표(a due end)를 획득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여건들 아래에서, 가장 적절한 수단들의 선택으로 우리에게 지시하는(direct) 바로 그러한 덕입니다. 이 덕은 윤리덕(moral virtues)들과는 다른데 이는 이 덕이 욕구를 수행하는 힘(the appetitive powers)들에 존재하는(reside in) 것이 아니라, 그 고유한 행위가 적절한 수단들의 선택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 선택의 방향에 있는, 지성에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비록 현명이 본질적으로 하나의 지성덕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특정한 면(materialiter) 아래에서 이 덕은 하나의 윤리덕으로 생각될 것인데, 이는 이것이 자신의 주제(subject matter)로서 윤리덕들에 기인하는 행위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만약에 그 결과(the end)가 악의적(vicious)이면, 비록 수단들의 인식에 있어 어떤 특정한 통찰력의 예리함(astuteness)이 드러나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예리함은 진정한 현명(real prudence)이 아니라, 현명의 가장(the semblance of prudence)이기 때문입니다. [현명(PRUDENCE)을 보라].


Moral virtues
윤리덕들(윤리적 덕들)

 

Moral virtues are those which perfect the appetitive faculties of the soul, namely, the will and the sensuous appetite. Moral virtue is so called from the word mos, which signifies a certain natural or quasi-natural inclination to do a thing. But the inclination to act is properly attributed to the appetitive faculty, whose function it is to move the other powers to action. Consequently that virtue is called moral which perfects the appetitive faculty. For as appetite and reason have distinct activities, it is necessary that not only reason be well disposed by the habit of intellectual virtue, but that the appetitive powers also be well disposed by the habit of moral virtue. From this necessity of the moral virtues we see the falsity of the theory of Socrates, who held that all virtue was knowledge, as he held that all vice was ignorance. Moreover, the moral virtues excel the intellectual, prudence excepted, in this, that they give not only the facility, but also the right use of the facility, for well-doing. Hence moral virtues are virtues absolutely; and when we say without qualification that a man is good, we mean morally good. As the proper function of the moral virtues is to rectify the appetitive powers, i.e. to dispose them to act in accordance with right reason, there are principally three moral virtues: justice, which perfects the rational appetite or will; fortitude and temperance, which moderate the lower or sensuous appetite. Prudence, as we have observed, is called a moral virtue, not indeed essentially, but by reason of its subject matter, inasmuch as it is directive of the acts of the moral virtues.

 

윤리덕들은 영혼의 욕구를 수행하는 능력(the appetitive faculties)들, 즉 의지(the will)감각적 욕구(the sensuous appetite)를, 완미(完美)하게 하는 덕들입니다. 윤리덕은 mos 라는 라틴어 단어로부터 유래하여 그렇게 불리는데, 이 단어는 어떤 것을 행하려고 하는 특정한 자연적 혹은 준특정의 자연적(quasi-natural) 기울어짐(inclination)을 뜻합니다(signifies). 그러나 행위로의 기울어짐은 욕구를 수행하는 능력(the appetitive faculty)에 고유하게 있다고 생각되는데(is attributed to), 이 덕들의 능력은 다른 힘(powers)들을 행동으로 움직이게 하는(move) 데에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욕구를 수행하는 능력을 완미(完美)하게 하는(perfects) 바로 그러한 덕이 윤리적(moral)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욕구와 이성이 뚜렷한 활동들을 가지고 있기에, 이성이 이성적 덕이라는 습관에 의하여 잘 배치되어야(be well disposed) 할 필요가 있을 뿐만이 아니라, 또한 욕구를 수행하는 힘(the appetitive powers)들도 또한 윤리덕이라는 습관에 의하여 잘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윤리적 덕들의 필요성으로부터 우리는, 모든 덕들은 지식(knowledge)이라고 주장하였던, 소크라테스(Socrates)의 이론의 잘못(the falsity)을 알아차리는데(see), 이는 그가 모든 악덕은 무지(ignorance)라고 주장하였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윤리덕들은, 현명을 제외하고는, 잘 하기 위하여, 그 능력뿐만이 아니라, 또한 그 능력의 올바른 사용(the right use)도 제공하는 바로 이러한 점에 있어, 지성덕들을 능가합니다(excels). 따라서 윤리덕들은 절대적인 덕들이며, 그리고 우리가 아무런 조건 없이 어떤 사람이 선(good)하다고 말할 때에, 우리는 윤리적으로 선한 것을 의미합니다. 윤리덕의 고유 역할이 욕구를 수행하는 힘들을 바로잡는 데에 있기에, 즉 그들로 하여금 올바른 이성과의 일치 안에서 행동하도록 만드는 데에 있기에, 다음과 같이 주되게(principally) 세 개의 윤리덕들이 존재합니다. 이성의 욕구 혹은 의지(the rational appetite or will)를 완미(完美)하게 하는 정의(justice, 의로움), 저급의 혹은 감각적인 욕구(the lower or sensuous appetite)를 적당하게 만드는(moderate) 용기(fortitude)절제(temperance). 우리가 이미 관찰하였던 현명(prudence)이, 윤리덕들에 기인하는 행위들에 대한 명령(directive)인 한(inasmuch as), 정말로 본질적으로가 아니라, 그 피작용물의 이유(by the reason of its subject matter)에 의하여, 하나의 윤리덕으로 불립니다.

 

Justice
정의(의로움, 의덕)


Justice, an essentially moral virtue, regulates man in relations with his fellow-men. It disposes us to respect the rights of others, to give each man his due. (See JUSTICE.) Among the virtues annexed to justice are:
 

 

본질적으로 윤리덕인 정의는 사람을 자신의 동료인 사람(fellow-men)들과의 관계에 있어 규제합니다(regulates). 이 덕은 우리로 하여금 다른 이들의 권리들을 존중하게 하도록 만들며, 각 사람에게 그 사람의 몫을 주도록 만듭니다(dispose). [정의(JUSTICE)를 보라].

 

정의(Justice)에 부속되는(annexed) 덕들 중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습니다:

 

     - religion, which regulates man in his relations to God, disposing
       him to pay due worship to his Creator;
     - piety, which disposes to the fulfillment of duties which one owes
       to 
parents and country (patriotism);
     - gratitude, which inclines one to recognition of benefits received;
     - liberality, which restrains the immoderate affection for wealth
       from withholding seasonable gifts or expenses;
     - affability, by which one is suitably adapted to his fellow-men in 
       social ntercourse so as to behave toward each appropriately.

 

     - 경신덕(religion), 이 덕은 사람을 하느님에 대한 그의 관계에 
       있어 규제하는데, 그로 하여금 자신의 창조주께 마땅히 돌려져야 할 경
       배
(due worship)를 드리고 싶도록 만들며,
     - 경의(敬意)/존중(尊重)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

       이 덕은 부모들과 조국에 우리가 빚을 지고 있는 의무들[나라 사랑

       (patriotism)]의 실현을 하고 싶도록 만들며(disposes), 

       [여기를 클릭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에 주어진 piety 
       라는 용어의 의미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을 읽을 수 있다].
     - 감사(gratitude, 사의), 이 덕은 받았던 혜택들에 대한 인정으로 우
       리를 
기울어지게 하며,
     - 인색하지 않음(liberality, 관대), 이 덕은 계절에 맞는 선물들 혹은 
       지출들을 억제하는 것으로부터 유래하는 부를 위한 부적절한 애착을 억
       제하며,
     - 상냥함(affability), 이 덕에 의하여 우리는 사교(social intercourse)
       에 있어 자신의 동료인 사람들에 적절하게 적응하게 되어 그리하여 합당
       하게(appropriately) 서로에 대하여 처신하게 됩니다.

 

All these moral virtues, as well as justice itself, regulate man in his dealings with others. But besides these there are moral virtues which regulate man with regard to his own inner passions. Now there are passions which impel man to desire that which reason impels him forward; hence there are principally two moral virtues, namely, temperance and fortitude, whose function it is to regulate those lower appetites.

 

이들 윤리덕들 모두는, 정의(justice)와 마찬가지로, 사람을 그가 다른 이들과 관련을 맺음에 있어 규제합니다(regulate). 그러나 이들 이외에 사람을 그 고유의 내면의 정(情)/수동(inner passions)들과 관련하여 규제하는 윤리덕들이 있습니다. 이제 이성(reason)이 사람으로 하여금 그것을 향하여 나아가도록 다그치는 바로 그것을 요구하도록(desire) 사람을 다그치는(impels) 정(情)/수동(passions)들이 있으므로(now), 그리하여 따라서 주되게(principally) 두 개의 윤리덕들, 즉 절제(temperance)용기(fortitude)가 있으며, 이 덕들의 역할은 이들 저급의 욕구(those lower appetites)들을 규제하는 데에 있습니다.  
   
Temperance
절제(절덕)

Temperance it is which restrains the undue impulse of concupiscence for sensible pleasure, while fortitude causes man to be brave when he would otherwise shrink, contrary to reason, from dangers or difficulties. Temperance, then, to consider it more particularly, is that moral virtue which moderates in accordance with reason the desires and pleasures of the sensuous appetite attendant on those acts by which human nature is preserved in the individual or propagated in the species. The subordinate species of temperance are: 

절제(temperance)는 감각(senses)들에 의하여 인지될 수 있는 즐거움(sensible pleasure)에 대한 사욕편정(concupiscence, 偏情)(*)에 기인하는 부당한 충동(undue impulse)을 제약하는 바로 그 덕이며, 이에 반하여 용기(fortitude)는 위험들 혹은 어려움들로부터, 이성에 반하여, 그렇지 않다면 그가 움츠려들(shrink) 때에, 사람으로 하여금 용감해지도록 합니다. 따라서 절제는, 더 개별적으로(more particularly) 이것을 생각하면, 이성과 일치하여, 그것에 의하여 인성(human nature, 人性)이 개인(the individual) 안에 보존되거나 혹은 인류(the species)로 널리 퍼지게 되는 바로 그러한 행위들에 따르는(attendant on), 감각적인 욕구(sensuous appetite)의 욕망들과 즐거움(desires and pleasures)들을 적당하게 하는(moderate) 바로 그 윤리덕입니다.

-----
[내용 추가 일자: 2012.12.17]
(*) 번역자 주: 현재까지 국내의 가톨릭계에서 사용중인, 영어로 "concupiscence"로 번역되는 라틴어 단어 "concupiscentia"의 번역 용어인 "慾偏情" 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이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제2-2-4항제2-2-5항반드시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5.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

 

절제의 하위의 종(the subordinate species of temperance)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abstinence, which disposes to moderation in the use of food;
     - sobriety, which inclines to moderation in the use of spirituous 
       liquors;
     - chastity, which regulates the appetite in regard to sexual
       pleasures; to chastity may be reduced modesty, which is concerned 
       with acts subordinate to the act of reproduction.

 

     - 절식(abstinence, 節食), 이 덕은 음식의 소비에 있어 온건
       (moderation)의 경향을 가지게 하며(disposes to),
     - 절주(sobriety, 節酒), 이 덕은 다량의 알코올을 함유한 술
       (spirituous liquors)들의 소비에 있어 온건으로 기울어지게 하며,
     - 정조(chastity, 貞操),(#1) therealpresence.org 이 덕은, 번식 행위에 종속하는 행위들과 관련
       이 있는 성적 즐거움(sexual pleasures)들에 관련된 욕구(the appetite)
       를 온건(modesty)으로 줄여지도록(reduced) 규제합니다. 

 

The virtues annexed to temperance are:

 

절제(temperance)에 부속되는(annexed) 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ntinence, which according to the Scholastics, restrains the will
       from consenting to violent movements or concupiscence;
     - humility, which restrains inordinate desires of one's own
       excellence;
     - meekness,(*) which checks inordinate movements of anger;
     - modesty or decorum, which consists in duly ordering the external 
       movements of anger; to the direction of reason.

 

     - 자제/금욕(continence/continency, 自制),(#1) 이 덕은 스콜라 신학자
       (Scholastics)들에 따르면, 의지로 하여금 난폭한 움직임(violent 
       movements)들에 혹은 사욕편정(concupiscence)에 동의하지 못하도록 하며,
     - 겸손(humility, 謙遜),(#2) 이 덕은 자신 고유의 우월(excellence)에 기인
       하는 과도한 욕망(inordinate desires of one's own excellence)[즉,
      교만(pride)(#3)]들을 제한하며(restrain),
     - 겸화(謙和)(mansuetudo, gentleness/mildness),(#1)(*) 이 덕은 분노(anger)(#3)
        기인하는 과도한 움직임(inordinate movements of anger)들을 억제하며
       (checks),
     - 온건(modesty, 穩健) 혹은 예의바름(decorum),(#1) 이 덕은 분노에 기인
       하는 외면적 동작(external movements)들을 이성의 지배(the
       direction of reason) 쪽으로 지체 없이 정돈하는 것(duly ordering)
       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consists in).


[내용 추가 일자: 2023년 2월 1일]

----- 

(#1) 번역자 주: 이들은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 갈라티아서 5,22-23에 나열된 12개의 성령의 열매들에 포함된다.

 

(#2) 번역자 주: 이 덕은 12개의 성령의 열매들 중의 한 개인 온건(modesty, 穩健) 혹은 예의바름(decorum)에 포함된다.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것을 구체적으로 화인할 수 있다:
https://www.newadvent.org/summa/3.htm 

 

(#3) 번역자 주: 이들은 칠죄종(seven capital sins)들에 포함된다.
 

(*)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라틴어 "mansuetudo"의 영어 번역 용어로서, "meekness"대단히 부적절하고, 대신에, "gentleness"가 매우 적절함에 대한 졸글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964.htm <----- 필독 권고

-----

[이상, 2023년 2월 1일자 내용 추가 끝]

 

To this virtue may be reduced to what Aristotle designated as eutrapelia, or good cheer, which disposes to moderation in sports, games, and jests, in accordance with the dictates of reas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ircumstance of person, season, and place.

 

이 덕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eutrapelia로서, 혹은 원기(good cheer)로서 나타내었던 바로 줄여질(is reduced to) 것인데, 이 덕은, 사람, 계절, 그리고 장소로 구성된 환경을 고려하여, 이성의 명령(dictates)들과 일치를 이루면서, 운동(sports)들, 놀이(games)들, 그리고 농담(jests)들에 있어 온건 쪽으로 배치합니다.

 

Fortitude 
용기(용덕)


As temperance and its annexed virtues remove from the will hindrances to rational good arising from sensuous pleasure, so fortitude removes from the will those obstacles arising from the difficulties of doing what reason requires. Hence fortitude, which implies a certain moral strength and courage, is the virtue by which one meets and sustains dangers and difficulties, even death itself, and is never through fear of these deterred from the pursuit of good which reason dictates. (See FORTITUDE.)


절제(temperance)이 덕에 부속되는 덕들이 감각적 즐거움(sensuous pleasure)으로부터 일어나는 이성적 선(rational good)에 대한 방해(hindrances)들을 의지(the will)로부터 제거하듯이(remove), 마찬가지로 [용기/용덕의 정의(definition)] 용기(fortitude)는 이성이 요구하는 바를 행함에 있어서의 어려움들로부터 일어나는 장애(obstacles)들을 의지(the will, the rational appetite)로부터 제거합니다. 따라서 특정한 윤리적 굳셈(stength)과 격려(courage)를 의미하는 용기(fortitude)는, 바로 그것에 의하여 우리가 위험들과 어려움들을, 심지어 죽음 그 자체를, 맞이하고 견디는, 그리하여 이들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성(reason)이 명령하는 선(good)의 추구를 결코 단념하지 않게 되는, 바로 그러한 덕입니다. [용기(FORTITUDE)를 보라].

 

The virtues annexed to fortitude are:

 

용기(fortitude)에 부속되는(annexed) 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Patience, which disposes us to bear present evils with equanimity; 
       for as the brave man is one who represses those fears which make
       him shrink from meeting dangers which reason dictates he should
       encounter, 
so also the patient man is one who endures present
       evils in such a way
       as not to be inordinately cast down by them.
     - Munificence, which disposes one to incur great expenses for the 
       suitable doing of a great work. It differs from mere liberality,
       as it has reference not to ordinary expenses and donations, but to
       those that are great. Hence the munificent man is one who gives
       with royal generosity, who does things not on a cheap but
       magnificent scale, always, however, in accordance with
       right reason.
     - Magnanimity, which implies a reaching out of the soul to great 
       things, is the virtue which regulates man with regard to honours.
       The magnanimous man aims at great works in every line of virtue,
       making it his purpose to do things worthy of great honour. 
       Nor 
is magnanimity incompatible with true humility. "Magnanimity",
       says St.
Thomas, makes a man deem himself worthy of great honours
       in consideration of the Divine gifts he possesses; whilst
       humility makes him think little of himself in consideration of his
       own short-comings".
     - Perseverance, the virtue which disposes to continuance in the 
       accomplishment of good works in spite of the difficulties
       attendant upon them. As a moral virtue it is not to be taken
       precisely for what is designated as final perseverance, that 
       special gift of the predestined by which one is found in the state
       of grace at the moment of death. It is used here to designate that
       virtue which disposes one to continuance in any virtuous work 
       whatsoever.

 

     - 인내(patience), 이 덕은 우리로 하여금 당면한 악(present evils)들을(*1)
       침착과 함께(with equanimity) 견디어 내도록 하는데, 이는 용감한 사람
       이 그가 직면하여야 하는 이성이 명령하는 위험들을 맞이하는 것으로
       부터 그를 움츠러들게 만드는 두려움들을 누르는 자이듯이, 마찬가지로 
       또한 인내심 있는 자는 당면한 악들을 그들에 의하여 지나치게 의기소침
       하게 되지(cast down) 않는 방식으로 견디는 자를 말합니다.

     - 아낌없이 줌(munificence), 이 덕은 적합한 자(the suitable)들이 훌
       륭한 일을 하기 위한 커다란 비용들을 우리로 하여금 지불하도록 만듭니
       다. 이 덕은 단순히 인색하지 않음(liberality)과 다른데, 이는 일상적
       인 비용들과 기부들에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커다란 비용들과 기부
       들에 관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낌없이 주는 사람은 황실의 관
       대함과 함께(with royal generosity), 값싼 규모가 아니라 장대한 규모
       로, 그러나 올바른 이성과 일치를 이루면서, 베푸는 자입니다.
     - 도량(Magnanimity), 훌륭한 것들로 영혼이 접근함을 의미하는 이 덕은 명
       예(honours)들과 관련하여 사람을 규제하는 덕입니다. 도량 있는 사람
       은 덕의 모든 선상에 있어 훌륭한 일들을 추구하여, 그리하여 이것을 훌
       륭한 명예의 가치가 있는 일들을 하고자 하는 자신의 목표로 삼습니다. 
       도량은 참된 겸손(true humility)과 결코 상반되지(incompatible) 않습
       니다. 성 토마스(St. Thomas)는 “도량은 사람으로 하여금, 그가
       소유한 신성적 선물(Divine gifts)들을 고려하여 (in 
       consideration of), 스스로를 훌륭한 명예들의 가치가 있는 자로
       만들며, 이에 반하여 겸손(humility)은 그로 하여금, 자신 고유의
       부족한 점(shortcomings)들을 고려하여, 스스로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도록(think little of) 만듭니다”
라고 말합니다. 
     - 끈기/항심(恒心)(perseverance), 이 덕은 선한 일/선행(good works)들(*2)
       수행에 있어, 이 일들에 따르는(attendant upon) 어려움들에도
       불구하고, 계속할 마음이 내키게 하는 덕입니다.
 윤리덕으로서
       이것은, 예정된 자(the predestined) 들을 위한, 그것에 의하여
       죽음의 순간에 그가 은총의 지위에 있게 되는, 바로 그 특별한
       선물인, 최후의 끈기/항심(恒心)(final perseverance)라고 정확히 불리는
       바로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여기서 이 덕은 우리로 하여금 덕을
       가지고 있는 일(virtuous work) 무엇이든지에 있어 계속하고자 하는
       성향을 당사자에게 제공하는(dispose) 바로 그 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22년 11월 14일]

-----

(*1) 번역자 주: 여기서 말하는 악(evils)들에는 (i) 윤리적 악(moral evils)들, 즉, 죄(sin)들과, (ii) 형이하학적 악(physical evils)들이 포함된다.

 

(i)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윤리적 악(moral evil), 즉, 죄(sin)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 등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다. 필독을 권고드린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84.htm <----- 필독 권고

 

(ii)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예를 들어, 배고픔(hunger), 질병(sickness), 몸의 죽음(bodily death) 등과 같은 것들이 포함되는, 형이하학적 악(physical evil)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 등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다. 필독을 권고드린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physical_evil_2548.htm <----- 필독 권고

 

(*2)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윤리적 선"(moral good)", "[윤리적으로] 선한 일/선행"(morally good work)이라는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morality.htm <----- 꼭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morality_1284.htm  <----- 꼭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33.htm  <----- 꼭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good_works.htm <----- 한가할 때에 필독 권고

-----

[이상, 2022년 11월 14일자 내용 추가 끝]

 

(For a more detailed treatment of the four principal moral virtues, see CARDINAL VIRTUES.)

 

[네 개의 주된 윤리덕들에 대한 더 자세한 취급에 대하여서는, 추덕(CARDINAL VIRTUES)를 보라].


Theological virtues
향주덕들

 

All virtues have as their final scope to dispose man to acts conducive to his true happiness. The happiness, however, of which man is capable is twofold, namely, natural, which is attainable by man's natural powers, and supernatural, which exceeds the capacity of unaided human nature. Since, therefore, merely natural principles of human action are inadequate to a supernatural end, it is necessary that man be endowed with supernatural powers to enable him to attain his final destiny. Now these supernatural principles are nothing else than the theological virtues. They are called theological

 

     1. because they have God for their immediate and proper object;
     2. because they are Divinely infused;
     3. because they are known only through Divine Revelation.

 

The theological virtues are three, viz. faith, hope, and charity.

 

모든 덕들은, 자신들의 궁극적 범위(final scope)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참된 행복 쪽으로 인도하는(conductive to) 행위들을 할 마음을 생기게 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사람이 수용할 수 있는 행복은 이중적(twofold), 즉, 사람의 자연적 힘(natural powers)들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는 자연적(natural), 그리고 도움을 받지 않은(unaided) 인간 본성(human nature, 인성)의 수용력을 능가하는 초자연적(supernatural)입니다. 그 결과, 단순히 인간의 행위에 대한 자연 원리(natural principles)들만으로는 초자연적 목표(supernatural end)에 충분하지 않기에, 사람은, 자신으로 하여금 최후의 운명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초자연적 힘(powers)들을 부여받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초자연적 원리(supernatural principles, 향주덕)들은 전적으로(nothing else than) 신학적 덕(theological virtues, 향주덕)들입니다. 그들은 신학적(theological)이라 불리는데

     1. 이는 그들이 하느님을 자신들의 직접적인(immediate) 그리고 고유
        한 대상(proper object)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2. 이는 그들이 하느님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유래하는 방식으로 주입되
        기
        (Divinely infused) 때문이며,
     3. 이는 그들이 오로지 하느님의 계시(Divine Revelation)를 통하
        여 알게되기 때문입니다.

 

신학적 덕(향주덕)들은 세 개, 즉 믿음(faith), 희망(hope), 그리고 사랑(charity)을 말합니다.

 

Faith
믿음(신덕)


Faith is an infused virtue, by which the intellect is perfected by a supernatural light, in virtue of which, under a supernatural movement of the will, it assents firmly to the supernatural truths of Revelation, not on the motive of intrinsic evidence, but on the sole ground of the infallible authority of God revealing. For as man is guided in the attainment of natural happiness by principles of knowledge known by the natural light of reason, so also in the attainment of his supernatural destiny his intellect must be illumined by certain supernatural principles, namely, Divinely revealed truths. (See FAITH.)
 

 

믿음(faith)은 한 개의 주입되는 덕(an infused virtue, 주부덕)인데, 이 덕에 의하여 지성(the intellect)은 초자연적 빛(supernatural light)에 의하여 완미하게 되며(is perfected), 이 덕의 덕택으로 지성은, 의지(the will)의 초자연적 움직임(a supernatural movement) 아래에서, 내재하는 증거에 기인하는 동기로서(on the motive of intrinsic evidence)가 아니라, 내면적 혹은 감추어진 것을 보는 것 혹은 이해하는 것을 허락하시는(revealing) 하느님의 무류의 권위(the infallible authority)라는 유일한 근거(on the sole ground)를 이유로, 거룩한 계시(Revelation)에 기인하는 초자연적 진리들에 확고하게 동의합니다(assents to). 이는 사람이 자연적 행복의 획득에 있어 이성에 의한 자연적 빛(natural light)에 의하여 알게 된 지식에 대한 원리들에 의하여 안내되듯이, 마찬가지로 또한 자신의 초자연적 운명의 획득에 있어 그의 지성은 확실한 초자연적 원리들, 즉 하느님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나오는(proceeding, 발출하는) 방식으로 드러나게 되는(Divinely revealed) 진리들에 의하여 교화되어져야만(be illumined) 하기 때문입니다. [믿음(FAITH)을 보라].

 

Hope
희망(망덕)

But not only man's intellect must be perfected with regard to his supernatural end, his will also must tend to that end, as a good possible of attainment. Now the virtue, by which the will is so perfected, is the theological virtue of hope. It is commonly defined as a Divinely infused virtue, by which we trust, with an unshaken confidence grounded on the Divine assistance, to attain life everlasting.

 

그러나 사람의 지성만이 자신의 초자연적 목표(supernatural end)와 관련하여 완전해져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 또한, 획득에 대한 훌륭한 가능성(a good possible)으로서, 바로 이 목표로 향하는 경향이 있어야만(tend to) 합니다. 그런데 그것에 의하여 의지가 그와 같이 완전하게 되는 덕이 바로 희망이라는 신학적 덕(향주덕)입니다. 이 덕은 통상적으로 하느님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나오는(proceeding, 발출하는) 방식으로 주입되는 덕(a Divinely infused virtue)으로서 정의되는데, 이 덕에 의하여 우리는, 하느님의 도우심에 기초를 둔(grounded) 흔들리지 않는 확신과 함께, 영원한 삶을 획득할 것을 기대합니다(trust to).

 

Charity
사랑(애덕)

But the will must not only tend to God, its ultimate end, it must also be united to Him by a certain conformity. This spiritual union or conformity, by which the soul is united to God, the sovereign Good, is effected by charity. Charity, then, is that theological virtue, by which God, our ultimate end, known by supernatural light, is loved by reason of His own intrinsic goodness or amiability, and our neighbour loved on account of God. It differs from faith, as it regards God not under the aspect of truth but of good. It differs from hope inasmuch as it regards God not as our good precisely (nobis bonum), but as good in Himself (in se bonum). But this love of God as good in Himself does not, as the Quietists maintained, exclude the love of God as He is our good (see QUIETISM). With regard to the love of our neighbor, it falls within the theological virtue of charity in so far as its motive is the supernatural love of God, and it is thus distinguished from mere natural affection. Of the three theological virtues, charity is the most excellent. Faith and hope, involving as they do a certain imperfection, namely, obscurity of light and absence of possession, will cease with this life, but charity involving no essential defect will last forever. Moreover, while charity excludes all mortal sin, faith and hope are compatible with grievous sin; but as such they are only imperfect virtues; it is only when informed and vivified by charity that their acts are meritorious of eternal life (see THEOLOGICAL VIRTUE OF LOVE).

 

그러나 의지는 그 궁극적 목표인 하느님을 향하는 경향이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의지는 또한 확실한 순응(a certain conformity)에 의하여 당신께로 결합되어야만 합니다. 그것에 의하여 영혼이 지고선(至高善, the sovereign Good)인 하느님께 결합되는 이러한 영적인 결합 혹은 순응은 사랑(charity)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됩니다(is effected by). 그런데 사랑(charity)은, 그것에 의하여 우리의 궁극적 목표인, 초자연적 영감(supernatural light)에 의하여 알게 되는, 하느님께서 당신 고유의 본질적 선함 혹은 친절(amiability)이라는 이유에 의하여 사랑을 받으며, 그리고 우리의 이웃이 하느님 때문에(on account of God) 사랑을 받게 되는, 바로 그 신학적 덕(향주덕)입니다. 이 덕은 믿음(faith)과 다른데, 이는 이 덕이 진리의 견지 아래에서(under the aspect of truth)가 아니라 선(good)의 견지 아래에서 하느님을 응시하기(regards God) 때문입니다. 정확하게 우리의 선(nobis bonum)으로서가 아니라, 당신 자신 안에서의 선(in se bonum)으로서 이 덕이 하느님을 응시하는 한, 이 덕은 희망과 다릅니다. 그러나 당신 자신 안에서의 선으로서 이러한 하느님의 사랑(this love of God)은, 당신이 우리의 선이기에 이러한 하느님의 사랑을, 정적주의자(Quietist)들이 주장하였듯이, 배제하지 않습니다(dose not exclude). [정적주의(QUIETISM, 靜寂主義)를 보라].  이웃에 대한 우리의 사랑과 관련하여, 이 사랑은, 그 동기(its motive)가 하느님의 초자연적 사랑인 한에는(in so far as), 사랑(charity)이라는 향주덕(신학적 덕)의 범위에 들어가며(falls within), 그리하여 그 결과로 이 사랑은 단순한 자연적 정의(情意)(natural affection)와 구분됩니다. 세 개의 향주덕들 중에서, 사랑(charity)이 가장 탁월합니다(the most excellent). 믿음(faith)희망(hope)은, 그들이 행함에 있어 특정한 완미(完美)하지 않음(imperfection), 즉 영감의 미천함(obscurity of light) 그리고 침착의 결여(absence of possession)를 수반하기에, 이 삶과 함께 끝날 것이지만, 그러나 본질적인 결합을 전혀 수반하지 않는 사랑(charity)은 영원히 지속할 것입니다. 더구나, 사랑(charity)이 죽음에 이르는 죄[mortal sin, 대죄, 사죄(死罪)] 모두를 배제하는 반면에(exclude), 믿음(faith)희망(hope)은 중죄(grievous sin, 重罪)와 양립할 수 있기에(are compatible with), 그러나 그러한 것으로서 그들은 오로지 불완전한 덕(imperfect virtues)들이므로, 그들의 행위들이 영원한 삶을 위한 공적이 있는 것(meritorious)은 오로지 사랑(charity)에 의하여 통지되고(informed) 그리고 활기차게 될(vivified) 때뿐입니다. [사랑이라는 향주덕(THEOLOGICAL VIRTUE OF LOVE)을 보라].


Causes of virtue
덕의 원인들

 

To the human intellect the first principles of knowledge, both speculative and moral, are connatural; to the human will the tendency to rational good is connatural. Now these naturally knowable principles and these natural tendencies to good constitute the seeds or germs whence the intellectual and moral virtues spring. Moreover by reason of individual natural temperament, resulting from physiological conditions, particular individuals are better disposed than others to particular virtues. Thus certain persons have a natural aptitude with regard to science, others to temperance, and others to fortitude. Hence nature itself may be assigned as the radical cause of the intellectual and moral virtues, or the cause of those virtues viewed in their embryonic state. In their perfect and fully developed state, however, the aforesaid virtues are caused or acquired by frequently repeated acts. Thus by multiplied acts the moral virtues are generated in the appetitive faculties in so far as they are acted upon by reason, and the determination of first principles (see HABIT). The supernatural virtues are immediately caused or infused by God. But a virtue may be called infused in two ways: first, when by its very nature (per se) it can be effectively produced by God alone; secondly, accidentally (per accidens) when it may be acquired by our own acts, but by a Divine dispensation it is infused, as in the case of Adam and Christ. Now besides the theological virtues, according to the doctrine of St. Thomas, there are also moral and intellectual virtues of their very nature Divinely infused, as prudence, justice, fortitude, and temperance. These infused virtues differ from the acquired virtues

 

     - as to their effective principle, being immediately caused by God, 
       whilst the acquired virtues are caused by acts of a created vital 
       power;
     - by reason of their radical principle, for the infused virtues flow 
       from sanctifying grace as their source, whereas the acquired
       virtues are not essentially connected with grace;
     - by reason of the acts they elicit, those of the infused virtues
       being intrinsically supernatural, those of the acquired not
       exceeding the capacity of human nature;
     - whilst one mortal sin destroys the infused virtues, with the
       acquired virtues acts of moral sin are not necessarily 
       incompatible, as contrary acts are not directly opposed to the
       corresponding contrary habit.

 

사변적(speculative) 지식 그리고 윤리적(moral) 지식 둘 다에 대한 제1 원리(the first principles)들은 인간의 지성(the human intellect)에 선천적이며(connatural to), 그리고 이성적 선(rational good)을 향한 성향(tendency)인간의 의지(the human will)에 선천적입니다. 그런데 자연적으로 알 수 있는 이러한 원리들과 선을 향한 이러한 자연적 성향들은, 그 곳으로부터 지성덕들 및 윤리덕들이 솟아나는, 씨앗(seeds)들 혹은 싹(germs)들입니다. 더구나, 심리적인 상태들로 인한(resulting from) 개인적인 자연적 기질(natural temperament) 때문에, 특별한 개인들은 특별한 덕들을 다른 이들보다 더 잘 받아들일 성향을 가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특정한 사람들은 과학(science, 학문)에 관련하여 타고난  적성(a natural aptitude)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이들은 절제(temperance)와 관련하여 타고난 적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다른 이들은 용기(fortitude)와 관련하여 타고난 적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성 그 자체(nature itself)가 지성적 및 윤리덕들의 근원적 원인으로서, 혹은 배아 상태(embryonic state)에 있는 이러한 덕들의 원인으로서, 돌려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may be assigned as). 그러나 사람들의 완전한 그리고 충분히 성장한 상태에 있어, 전술한(前述, aforesaid) 덕들은 자주 반복되는 행위들에 의하여 야기되거나 혹은 습득됩니다. 그러므로 배가된 행위들에 의하여 윤리덕들은, 그들이 이성 및 제1 원리들의 결정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되는 한, 욕구를 수행하는 능력(the appetitive faculties)들 안에 생성됩니다. [습관(HABIT)을 보라]. 초자연적 덕들은 하느님에 의하여 즉시 야기되거나 혹은 주입됩니다(caused or infused). 그러나 하나의 덕(a virtue)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들로 주입된다(infused)라고 불릴 것입니다: 첫 번째로, 바로 그 본질에 의하여(per se, 직접적으로) 하느님 홀로에 의하여 그것이 효과적으로 산출될 수 있을(can be produced) 때, 두 번째로, 부수적으로(accidentally) (per accidens), 그러나, 아담과 그리스도의 경우에서처럼, 하느님의 섭리(a Divine dispensation)에 의하여 그것이 주입된, 우리의 고유한 행위(acts)들에 의하여 그것이 습득될(may be acquried) 때. 그런데 향주덕들 이외에, 성 토마스(St. Thomas)의 가르침(doctrine)에 따르면, 현명(prudence), 정의(justice), 용기(fortitude), 그리고 절제(temperance)로서, 그들의 바로 그 본성이 하느님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나오는(proceeding, 발출하는) 방식으로 주입되는(Divinely infused) 윤리적 그리고 지성덕들이 또한 있습니다. 이들 주입되는 덕(the infused virtues, 주부덕)들습득되는 덕(the acquired virtues, 습득덕)들과는 다음과 같이 다릅니다:

 

     - 그들의 효력 있는 원리(effective principl)에 대하여 말하면, 하
       느님에 의하여 즉시 야기되나, 이와는 달리 습득덕들은 불러일으켜
       진 활
기있는 힘(power)에 의하여 야기되며,
     - 그들의 근본적 원리 때문에, 주부덕들은 그들의 원천으로서 화 은
       총(sanctifying grace)
으로부터 흘러나오나, 이와는 달리 습득덕들
       은 은총과 본질적으로 관계가 없으며,
     - 그들이 끌어내는 행위들 때문에, 주부덕들에 의한 행위들은 본질적
       으로 초자연적(intrinsically supernatural)이나, 습득덕에 의
       한 행위들은 인간 본성(human nature, 인성)의 수용력을 넘어서지
       못하며, 
     - 한 개의 죽음에 이르는 죄[one moral sin, 대죄, 사죄(死罪)]
       부
덕들을 파괴하는(destroys) 반면에, 윤리적 죄(moral sin)에 

       인하는 행위들이 습득덕들과 반드시 양립할 수 없는
(incompatible) 
       것이 아닌데, 이는 상반되는 행위(the contrary acts)들이 대응하
       는 상반되는 습관(the corresponding contrary habits)들에 직접
       적으로 반대인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perties of virtues
덕들의 성질들

 

Mean of virtues
덕들이라는 중용

One of the properties of virtues is that they consist in the golden mean, that is to say, in what lies between excess and deficit. For as the perfection of things subject to rule consists in conformity with that rule, so also evil in those same things results from deviation from that rule either by excess or defect. Hence the perfection of the moral virtues consists in rendering the movements of the appetitive powers conformable to their proper rule, which is reason, neither going beyond nor falling short of it. Thus fortitude, which makes one brave to meet dangers, avoids on the one hand reckless daring and on the other undue timidity. This golden mean, which consists in conformity with right reason, sometimes coincides with the mean of the objective thing (medium rei), as in the case of the virtue of justice, which renders to every man his due, no more and no less. The golden mean, however, is sometimes taken in reference to ourselves, as in the case of the other moral virtues, viz. fortitude and temperance. For these virtues are concerned with the inner passions, in which the standard of right cannot be fixed invariably, as different individuals vary with regard to the passions. Thus what would be moderation in one would be excess in another. Here also it is to be observed that the mean and extremes in actions and passions must be determin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which may vary. Hence with regard to a certain virtue, what may be an extreme according to one circumstance may be a mean according to another. Thus perpetual chastity, which renounces all sexual pleasures, and voluntary poverty, which renounces all temporal possessions, are true virtues, when exercised for the motive of more surely securing life everlasting. With regard to the intellectual virtues, their golden mean is truth or conformity to reality, whilst excess consists in false affirmation, and defect in false negation. Theological virtues do not absolutely (per se) consist in a mean, as their object is something infinite. Thus we can never love God excessively. Accidentally (per accidens), however, what is extreme or mean in theological virtues may be considered relatively to ourselves. Thus although we can never love God as much as He deserves, still we can love Him according to our powers.

 

들의 성질들 중의 하나는 그들이 황금률(the golden mean)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다는(consist in) 것, 말하자면, 초과와 부족(excess and deficit) 사이에 놓여 있는 바를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다(consist in)는 것입니다. 이는 규칙(rule)의 지배를 받는 일들의 완미(完美)(perfection)가 바로 그 규칙과의 일치를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듯이, 마찬가지로 또한 이들 꼭 같은 일들에 있어 악(evil)은 초과 혹은 부족에 의하여 바로 그 규칙에서 벗어남(deviation)으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윤리덕들의 완미(完美)는 욕구를 수행하는 힘들의 이동(the movements of the appetitive powers)들을, 이성(reason)이라는 그들에 대한 고유한 규칙에 일치하여, 그리하여 이 규칙을 넘지도 않고 또 이 규칙에 부족하지도 않는,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위험들을 만남에 있어 용감하게 만드는 용기는 한편으로는 무모한 대담무쌍(reckless daring)을 회피하며(avoids)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당한 소심(undue timidity)을 회피합니다. 올바른 이성(right reason)과 일치를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는, 바로 이 황금률(golden rule)은 때로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모든 사람에게 각자의 몫을 제공하는, 정의(justice)라는 덕의 경우에 있어서처럼, 객관적 일(the objective thing)(medium rei)에 대한 중용(the mean)과 일치합니다. 그러나 황금률은, 다른 윤리덕들, 즉 용기절제의 경우에 있어서처럼, 우리 자신들에 대한 언급에 있어 때로는 받아들여집니다. 이는 이러한 덕들이, 온갖 개인들이 정(情)/수동(the passions)들과 관련하여 다양하기에(vary), 그 안에서 올바름(right)에 대한 기준이 불변적으로 정해질 수 없는, 내면적 정(情)/수동(the inner passions)들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나에 있어 온건(moderation)일 수 있는 바는 다른 것에 있어 초과(excess)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또한 행동/능동(actions)들과 정(情)/수동(passions)들에 있어 중용들과 극단들은, 다양할 수 있는 상황들에 따라 결정해져야만 함이 또한 인정되어져야 합니다(It is to be observed that). 따라서 특정한 덕과 관련하여, 한 상황에 따르면 극단일 수 있는 바가 다른 상황에 따르면 중용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성적 즐거움(sexual pleasures)들을 공식적으로 포기하는 종신 순결(perpetual chastity), 모든 세속적 소유들을 공식적으로 포기하는 자발적 청빈(voluntary poverty)은, 영원한 삶을 더 확실하게 획득하고자 하는 동기를 위하여 행사될 때에, 참된 덕들입니다. 지성덕들과 관련하여, 이들의 황금률은 진리(truth) 혹은 실체(reality)와의 일치이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초과(excess)는 잘못된 확언(false affirmation)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부족(defect)은 잘못된 부정(false negation)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향주덕들은 어떤 수단(a mean)을 주된 부분으로 절대적으로(per se) 가지지 않는데, 이는 그들의 대상(object)이 무한한 어떤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느님을 지나치게 사랑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외부의, 2차적, 혹은 추가적 원인들 혹은 힘들에 의하여 산출되거나 혹은 발생하는 방식으로(accidentally)(per accidens), 향주덕들에 있어 극단이거나 혹은 중용인 바는 상대적으로 우리 자신들에게(to ourselves) 생각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비록 우리가 당신께서 받으실 만큼 충분하게 하느님을 결코 사랑할 수 없으나 우리는 우리의 특별한 힘(powers)들에 따라 당신을 사랑할 수 있습니다.

 

Connection of virtues
덕들 사이의 관련

 

Another property of virtues is their connection with one another. This mutual connection exists between the moral virtues in their perfect state. "The virtues", says St. Gregory, "if separated, cannot be perfect in the nature of virtue; for that is no true prudence which is not just and temperate and brave". The reason of this connection is that no moral virtue can be had without prudence; because it is the function of moral virtue, being an elective habit, to make a right choice, which rectitude of choice must be directed by prudence. On the other hand prudence cannot exist without the moral virtues; because prudence, being a right method of conduct, has as principles whence it proceeds the ends of conduct, to which ends one becomes duly affected through the moral virtues. Imperfect moral virtues, however, that is to say, those inclinations to virtue resulting from natural temperament, are not necessari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Thus we see a man from natural temperament prompt to acts of liberality and not prompt to acts of chastity. Nor are the natural or acquired moral virtues necessarily connected with charity, though they may be so occasionally. But the supernatural moral virtues are infused simultaneously with charity. For charity is the principle of all good works referable to man's supernatural destiny. Hence it is necessary that there be infused at the same time with charity all the moral virtues by which one performs the different kinds of good works. Thus the infused moral virtues are not only connected on account of prudence, but also on account of charity. Hence he who loses charity by mortal sin looses all the infused but not the acquired moral virtues.

 

덕들의 또 다른 특징은 그들의 서로 서로간의 관련(connection)입니다. 이 상호 관련은 윤리덕들 사이에 그들의 완전한 상태 안에서 존재합니다. 성 토마스(St. Thomas)는 “덕들은, 만약에 분리된다면, 덕의 본성에 있어 완전할 수가 없는데, 이는 정의롭고(just) 또 절제하며(temperate) 그리고 용감하지(brave) 않은 현명(prudence)은 참된 현명(true prudence)이 아니기 때문이다” 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관련의 이유는 어떠한 윤리덕현명 없이는 가지게 될 수가 없기 때문인데, 이는, 선택의 [판단 및 절차에 있어] 수용(受容)된 올바름(rectitude of choice)(*)현명에 의하여 지시되어져야(be directed)만 하는 것이 바로, 어떤 올바른 선택(a right choice)을 하기 위한, 하나의 선택의 습관으로서, 윤리덕의 능력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현명은 윤리덕들 없이 존재할 수 없는데, 이는 처신의 올바른 방법으로서의 현명은, 거기로부터 이 덕이 나아가는 원리들로서, 처신의 목표(the ends of conduct)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 목표들을 향하여 우리가 윤리덕들을 통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게 되기(duly affected) 때문입니다. 그러나 불완전한 윤리덕들은, 말하자면, 자연적 기질(natural temperament)에 기인하는 덕으로 기울어지는 바로 그러한 성향들은, 반드시 서로 서로 관계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람이 자연적 성향으로부터 사랑에 기인하는 행위(acts of charity)들에 재빠른 것이 아니라 인색하지 않음에 기인하는 행위(acts of liberality)들에 재빠른 것을 봅니다. 자연적 혹은 습득된 윤리덕들은, 비록 그들이 때로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또한 사랑(charity)과 반드시 관련이 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초자연적 윤리덕들은 사랑과 함께 동시에 주입됩니다. 이는 사랑(charity)이 사람의 초자연적 운명(man's supernatural destiny)으로의 관계에 있어 고려될 여지가 있는(referable to) 모든 선행들의 원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랑(charity)과 함께 동시에 이것에 의하여 우리가 선행들의 갖가지 종류들을 수행하는 윤리덕들 모두가 주입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주입되는 덕들현명(prudence) 때문에만 관련이 되어 있을 뿐만이 아니라, 또한 사랑(charity) 때문에도 관련이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대죄(mortal sin, 죽음에 이르는 죄)에 의하여 사랑(charity)을 잃는 자는, 습득되는 윤리덕들을 잃는 것이 아니라, 주입되는 덕들 모두를 잃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6년 5월 8일]
-----
(*) 번역자 주: 그리스도교 전통적 윤리 신학 용어인 "rectitude"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그 주제로 다루고 있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을 또한 꼭 읽도록 하라. 특히 이 용어의 정의(definition)가 제시된 제4항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89.htm <----- 필독 권고
-----
[이상, 내용 추가 끝]

 

From the doctrine of nature and properties of virtues it is abundantly clear how important a role they play in man's true and real perfection. In the economy of Divine Providence all creatures by the exercise of their proper activity must tend to that end destined for them by the wisdom of an infinite intelligence. But as Divine Wisdom governs creatures conformably to their nature, man must tend to his destined end, not by blind instance, but by the exercise of reason and free will. But as these faculties, as well as the faculties subject to them, may be exercised for the faculties subject to them, may be exercised for good or evil, the proper functions of the virtues is to dispose these various psychical activities to acts conductive to man's true ultimate end, just as the part which vice plays in man's rational life is to make him swerve from his final destiny. If, then, the excellence of a thing is to be measured by the end for which it is destined, without doubt among man's highest principles of action which play so important a part in his rational, spiritual, supernatural life, and which in the truest sense of the word are justly called virtues.

 

자연의 가르침(the doctrine of nature)과 덕들의 성질들로부터 그들이 사람의 참된 그리고 실제의 완미(完美)(man's true and real perfection)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는 넉넉하게 분명합니다. 하느님 섭리의 경륜(the economy of Divine Providence) 안에서 모든 피조물들은 자신들 고유한 활동의 실천에 의하여 그들을 위하여 무한한 지성의 지혜(the wisdom of an unfinite intellect)에 의하여 예정된 바로 그 목표를 향하여야만 합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지혜(Divine Wisdom)가 피조물들을 그들의 본성에 일치를 이루도록 지배하기에, 사람은, 이해하지 못하는 사례(blind instance)에 의하여서가 아니라 이성과 자유 의지의 행사에 의하여, 자신의 예정된 목표를 향하여야만 합니다. 그러나 이들에게 종속되는 능력들뿐만이 아니라, 이들 능력들이, 선 혹은 악을 위하여 행사될 수 있기에, 이 덕들의 고유한 능력들은, 마치 사람의 이성적 삶에 있어 악덕(vice)이 가지고 노는(plays) 바로 그 부분이 그로 하여금 자신의 최후의 운명으로부터 빗나가게 하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이러한 다양한 심리적 활동(psychical activities)들로 하여금 사람의 참된 궁극적 목표에 도움이 되는(conductive to) 행위들을 할 마음을 생기게 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어떤 일에 대한 우수함이, 그것을 향하여 이 일이 예정된, 바로 그 목표에 의하여 측정되고자 한다면, 아무런 의심 없이 자신의 이성적, 영적, 초자연적 삶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그리고 단어의 가장 진정한 의미에 있어, 행위에 대한 사람의 최고의 원리들 중에서 덕들이 정당하게(justly) 불리게 됩니다.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130시간


 



1,947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