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루카 13,6; 마르코 11,12-14 - 열매 맺지 못하는 무화과 나무의 의미 [성경해석] [무화과나무] [돌무화과나무] 947_ 782_

인쇄

. [175.115.208.*]

2011-12-24 ㅣ No.1146



질문:

루가 복음 13장 6절
3년째 앨매를 맺지 못하는 무화과나무를 보고 그 주인이 베어 버리라 하니 종이 한 해만 더 두고보며 그동안 종이 거름을 주고 가꾸어 보고 그래도 가을에 맺지 못하면 그때 베어 버리는 것이 어떠냐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질문:

다음은 "새 번역 성경"의 마르코 복음서 11,12-14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시다(마태 21,18-19)

12 이튿날 그들이 베타니아에서 나올 때에 예수님께서는 시장하셨다. 

13 마침 잎이 무성한 무화과나무를 멀리서 보시고, 혹시 그 나무에 무엇이 달렸을까 하여 가까이 가 보셨지만, 잎사귀밖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무화과 철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14 예수님께서는 그 나무를 향하여 이르셨다. “이제부터 영원히 어느 누구도 너에게서 열매를 따 먹는 일이 없을 것이다.” 제자들도 이 말씀을 들었다.
(이상, 발췌 끝).

질문 1: 이 "무화과나무" (마르코 11,12-14) 비유에서 말하는, "잎사귀만 무성한 무화과나무"는 누구를 말하는 것인지요?

질문 2: 무화과 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제13절), 제14절에서 예수님께서 이 나무를 저주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1. 사실 루카 복음서 13,6은,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해 사순 제3주일 복음 말씀(루카 13,1-9)에 포함되므로, 루카 복음서 13,1-9의 문맥 안에서 이해하는 것이 훨씬 유의미할 것이며,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접속하면 이 복음 말씀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영문 해설 및 이 해설의 우리말 번역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lent_3.htm <----- 필독 권유

혹은,

2.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다해-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에 주어진 사순 제3주일 복음 말씀(루카 13,1-9)에 대한 해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입니다만, 위의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은, 위에 말씀드린, "... 성경공부 해설서"의 인터넷 각주로서 제공되고 있습니다.

3.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유

이 글을 포함하여, 무화과나무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는 졸글들의 모음을 접할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여기서, 제1146번 글은 지금 읽고 계신 글이며, 그리고, 마르코 복음서 13,28에 대한 해설은 제947번 글, 그리고 이 제947번 글에 이어지는 글인 제957번 글의 후반부에 있습니다. 특히 지금 읽고 계시는 글 전문(여기에는, 오로지 지면 관계상 링크 설정된 글들을 포함합니다) 및 제957번 글을 꼭 필독하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


4. 추가 읽을꺼리/묵상꺼리 몇 개: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5월 18일]

추가 1-1: 다음은, 무화과나무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 마르코 복음서 11,12-14에 대한 NAB(New American Bible) 주석 전문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mark/mark11.htm 

(발췌 시작)
[12-14] Jesus' search for fruit on the fig tree recalls the prophets' earlier use of this image to designate Israel; cf Jeremiah 8:13; 29:14; Joel 1:7; Hosea 9:10, 16. Cursing the fig tree is a parable in action representing Jesus' judgment (Mark 11:20) on barren Israel and the fate of Jerusalem for failing to receive his teaching; cf Isaiah 34:4; Hosea 2:12; Luke 13:6-9.

[12-14] 예수님께서 무화과나무에 달린 열매를 찾으심은 이스라엘을 나타내기 위하여 예언자들이 바로 이 표상(figure)의 사용하였던 것을 상기시키는데, 예레미야서 8,13; 29,14; 요엘서 1,7; 호세아서 9,10.16을 참조하십시오. [제14절에서]  무화과나무를 저주함열매를 맺지 못하는 이스라엘과 당신의 가르침을 받아들이는 데에 실패함에 기인하는(for) 예루살렘의 운명에 대한 예수님의 심판(마르코 11,20)을 나타내는, 통상적 기능을 수행 중인(in action),(*) 한 개의 비유(a parable)인데(**), 이사야서 34,4; 호세아서 2,12; 루카 13,6-9를 참조하십시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5월 19일]

-----

(*) 번역자 주: "in action""통상적 기능을 수행 중인" 으로 번역한 것은 다음의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을 따른 것이다:

http://www.learnersdictionary.com/definition/action


(*) 번역자 주:
(1)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miracle" 에 대한 설명에서도 예수님께서 행하신 기적이라고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는, 마르코 복음서 11,12-14에 기록된 바가 그리스도께서 식물들에 대하여 행하셨던 한 개의 기적(a miracle)이라는 것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Ia q 44에 주어진 가르침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가르침은, 위의 질문 2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또한 제시하는데,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추가 3을 필히 읽도록 하라.

(2) 마르코 복음서 11,12-14에 기록된 바가 한 개의 기적(a miracle)이라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러한 가르침은, 사실은,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성경 해석을 따르고 있는 것인데 [주: 또한 바로 아래의 (3) 참조], 이러한 해석에 첨언하여 이것이 또한 한 개의 비유(a parable)라는 것이 바로 이 NAB의 주석이다.

여기서, 한 개의 풍유(an allegory)한 개의 비유(a parable)이나,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음을 또한 상기하라.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졸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81.htm <----- 필독 권고

클릭한 후에 맨 아랫 부분에 있는, 부록을 읽도록 하라.

(3) 마르코 복음서 11,12-14에 기록된 바가 어떤 풍유적 목적(an allegorgical purpose)을 지니고 있는 한 개의 기적(a miracle)이라는 가톨릭 교회의 교부들의 전통적 해석은, 아래의 추가 1-2에서 필독을 권고하고 있는, 마르코 복음서 11,11-26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에서 또한 언급되고 있다.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무화과 철이 아니라 아직 열매는 달리지 않고 오로지 잎만 무성한" 바로  무화과나무(제13절, 즉 이스라엘)를 예수님께서 저주하신(제14절) 이유가 위의 주석의 두 번째 문장에 잘 제시되어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추가 1-2: 매년 연중 제8주간 금요일 매일미사 복음 말씀(마르코 복음서 11,11-26)에 포함된 무화과나무에 대한 예수님의 또다른 가르침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영문) 및 우리말 번역문은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고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이와 같이, 가톨릭 보편 교회전례력을 통하여 가르치고자 설정한 최소한도의 단위 문맥마르코 복음서 11,11-26 안에서 전후 내용을 이해하려고 습관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더 깊이 있는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추가 2: 매년 연중 제34주간 금요일 매일미사 복음 말씀(루카 복음서 21,29-33)에 포함된 무화과나무에 대한 예수님의 또다른 가르침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영문) 및 우리말 번역문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5월 19일]

추가 3:
다른 한편으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서는, 가톨릭 교회의 교부들의 해석에 따라마르코 복음서 11,12-14에 기록된 바를 예수님께서 식물들에 대하여 행하셨던 한 개의 기적(a miracle)이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있으니 필독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86.htm <----- 필독 권고

클릭한 후에, 상당히 아랫 부분에 있는, 제4조로 이동하십시오.

[이상, 내용 끝].

[내용 추가 일자: 2011년 12월 27일]

다음은 소장 중인 "Food at the time of the Bible from Adam's Apple to the Last Supper" 제목의 책 (출판사: Miriam Feinberg Vamosh) 에서 발췌한 내용들입니다. 아래의 발췌문에 대한 우리말 번역은 시간을 별도로 내어 진행할 계획입니다:

p. 7: The growing list of produce of the land of Israel, known as the "Seven Species" (Deut. 8:8), includedd wheat, barley, grapes, figs, olives, pomegranates, and dates.

pp.44-45:

Figs

The English word "fig" probably comes from the Hebrew word paga, which means an unripe fig. Though scientists tell us that figs may have their botanical origins in the Arabian Peninsular, no one can doubt their biblical origins: in the Garden of Eden, Adam and Eve covered their nakedness with fig trees.

Outside of the Bible, the fig is first mentioned in Egyptian documents from about 2700 BCE, and later, in the third century BCE, as a fruit imported from the Holy Land to Egypt together with olives, nuts, honey, and pomegranates. Roman naturalist and historian Pliny tells of a tiny fig, cottama (perhaps from the Hebrew word katan - small) that was imported from Syria - a geographical designation that in Rome times also included Israel.

The fig, a member of the mulberry family, was available year-round, fresh in mid-summer around harvest time, dried to be eaten on journeys, or pressed and squeezed into a case (1 Chr. 12:40). It was therefore considered inexpensive nourishment. The sugar in it was a quick source of energy, and noted in 1 Samuel 30:12: the Amalekite who reported the death of King Saul to David ate part of a cake of pressed figs and two cakes of raisins, "and was revived." In the kitchen, stringed figs or single dried ones were put into cooking just like a spice. The fig also had medicinal uses. In Isaiah 38:21 it appears as a poultice given to King Hezekiah who was at death's door, apparently, due to an infected boil. Modern research has shown that fig sap is an effective elements in treating skin cancer.

The fig tree lent its name to two villages on the Mount of Olives, where the fruit was apparently particularly plentiful. Bethphage, or Beit Pagi (House of Unripe Figs) and Bethany - Beit Te'enah, the house of the fig. It was near Bethany that Jesus cursed the fig tree that had produced leaves but no fruit. This was not the usual situation; normally, the fig tree's leaves and its first fruit appear at the same time. The fig tree needed tending, as Proverbs 27:18 indicates: "He who tends a fig tree will eats its fruit, and he who looks after his master will be honored." We can understand this when we look more closely at the cultivation of the fig. In the wild, the fig tree remains a small bush, but when cultivated can grow to a height of anywhere from 15-40 feet, especially near water. The well cared-for fig tree could therefore turn into a shade tree (John 1:48; Micha 4:4; Zech. 3:10). The fruit needs careful attention. Like the sycomore (see below), to ensure a good harvest, the farmer would pierce each young fig the way the fig wasp does (the piercing allows the fig to be fertilized). He would then cover it with oil, which apparently protected it from insect infestation.

Unlike other fruit trees, generally planted within fences, the fig was also planted outside of gardens. Passing strangers had access to it, so if the farmer did not guard it, he could lose his entire harvest (Isaiah 28:4 mentions a person who swallowed a fig, "ripe before the harvest," i.e., took it before its owner could reach it). Because ripe figs spoil quickly, the farmer had to be at the ready to harvest any figs that were ripe, even rising at dawn. It is interesting that the special Hebrew word for harvesting figs is oreh, which refers to the light of dawn.

The fig tree was known not only for its fruit, "good and sweet," (Judg. 9:11) but also for its sap. As mentioned in the chapter on milk products, cheese could be curdled by adding fig sap. This was of interest to the ancient sages because of the prohibition against consuming fruit from trees less than three years of age (Lev. 19:23), with the fourth year's fruit a thanksgiving offering to God. The sages concluded that using the sap of the fruit would indeed be forbidden during this time, but use of the sap from the leaves and branches would be permitted.

The Fig as a Symbol

한 개의 상징으로서 무화과(無花果)

Jeremiah and Hosea both had visions of baskets of figs (Jer. 24:2-8): the "good figs" - the elite of the nation, would be deported to Babylon, while the "bad figs", King Zedekiah and his officials, and the commoners, remained in Jerusalem. Hosea 9:10 saw the young nation of Israel as resembling the "early fruit on the fig tree." Destruction of the country's fig trees was a prophetic symbol of destruction of the land (Jer. 5,17; 8:13; Hos. 2:12).

Teaching the disciples to read the signs of the times, Jesus used the fig tree as an example: "Now learn this lession from the fig tree: as soon as its twigs get tender and its leaves come out, you know that summer is near (Matt. 24:32-33).

The farmer at rest after a long season of work might have been the inspiration for the image of tranquility represented by the fig tree and the grapevine in Solomon' day as described in 1 Kings 4:24-25: "During Solomon's lifetime Judah and Israel, from Dan to Beersheba, lived in safely, each man under his own vine and fig tree."

-----

The "Sycomore-Fig"

"돌무화과"(*)

The sycomore fig is a relative of the domesticated fig (It is unconnected with the sycamore, the name by which the American plane tree and the English maple are sometimes called). In Amos 7:14 the prophet says he was a shepherd and also "took care of sycomore figs." The cultivation of this fruit involved climbing the tree to pierce it with an awl-like took, while still unripe, to allow it to be fertilized and produce a better fruit. It was not unusual to see people occupied with this task up in the sycomore trees in the late summer. This is probably where verticall-challenged Zaccheus got the inspiration to climb this particular tree to get a better view of Jesus in Jericho (Luke 19:1-15).

Modern commentators have come across an interesting symbolic connection to Zaccheus' selection of the sycomore as a perch. The Hebrew name for the sycomore-fig is shikma, which comes from the same Hebrew word as "rehabilitate," because the sycomore can be restored from even the puniest remains of its trunk. This information can invest with new meaning Jesus' call to the tax collector to come down from the tree: it shows that even the life of a person so disparaged in those days can be renewed like the sycomore.

-----
번역자 주: "돌무화과"로 불리는 열매가 열리는 나무인 "돌무화과나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출처들은,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다해-I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 연중 제27주일 복음 말씀(루카 17,5-10)의 각주를 또한 참고하라.
-----

-----

p. 51:

The "Forbidden Fruit" of the Garden of Eden

에덴 동산의 "금단의 열매"

There is no hint in the text of Genesis 2:17, which mentions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as to what the fruit of that tree might have been. The origin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fruit as an apple are ancient, but shrouded in mystery. Nearly two thousand years ago, Jewish sages discussed the mysterious identity of the forbidden truit in symbolic terms. Perhaps, they offered among other suggestions, it might have been the carob, for carob comes from a Hebrew root word meaning destruction.

The Babylonian Talmud and various legends indicate that the tree of knowledge was the fig tree. Rashi says it has to do with the fact that they used fig leaves to cover themselves: "... which they had eaten, and by the very thing by which they were corrupted they were rectified." In Latin, the word peccare, "to sin", is associated with the Hebrew word "pag" (unripe fig). Some commentators have deduced that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Gen 2:9) was the fig tree, because it was obiously nearest them when they discovered they were naked.

(이상, 발췌 끝).

---------------

안내 1:  매일(주일 및 대축일 포함) 미사 독서들에 대한 강론 혹은 묵상 원고를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에 의하여 그 집필이 시작되어, 교황청립 스페인 나바르 대학교 신학과 교수진에 의하여, 2000년 대희년에 즈음하여 영어본 초판이 발행된,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성경해석을 매우 충실하게 따르는 나바르 성경 주석서로부터 발췌된 매일미사용 영어본 독서(RSV 발췌)들 및 이들에 대한 해설들을, 총 6권으로 한 질을 이루는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해설서" (출판사: 가톨릭 출판사, 엮은이: 소순태)의 각 과의 마지막 페이지의 각주로 제공하고 있는 인터넷 주소인

http://ch.catholic.or.kr/pundang/4/update/....htm

에서, 사용하기 쉽도록 일목요연하게 편집하여 제공해 드리고 있으니,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안내 2: 여기를 클릭하면, 지난 달인 11월 27일에 시작된, 2012년 나해 대림 첫 주일부터 약 6개월간, 주일 미사 및 대축일의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들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는,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나해-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에 대한 구입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안내 3:
여기를 클릭하면, 이 책들이 교회의 출판 허가를 득한 후에 출판된 배경 설명 등을 읽을 수 있습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982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