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교황 프란치스코: 시기로부터 질투로, 질투로부터 험담으로의 정변(情變)에 대한 강론 말씀들 1035_질투vs시기 #<짝연중2주1독>

인쇄

시기vs질투 -16 [218.55.90.*]

2014-04-12 ㅣ No.1542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4) 아래의 사진은 제1530번 글을 공개한지 30분도 경과하지 않는 짧은 시간 동안에, 동일한 ip(인터넷 접속 주소)를 사용하면서, 한 명이 한 개 이상의 id를 사용하여, 반대적어도 두 번하였음을 보여준다는 생각입니다. 조회 2건반대 3건이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누군가 한 명이 동일한 ip(인터넷 접속 주소)로 접속하게 되는 단체 혹은 자신의 컴퓨터에서 한 개 이상의 자신의 가족들 혹은 단체 구성원들의 id을 사용하여 고의적으로 이런 행동을 하였다면, 악의적 의도를 지닌 자가 아니라고 아니할 수 없을 것입니다.

 

 

서로의 얼굴을 대면하지 않는 인터넷 게시글 대화의 환경이므로 다른 이들이 자신이 누구인지를 전혀 알 수가 없을 것이라는 대단히 잘못된 판단과 무지 때문에 여전히 어둠 속에 갇혀서 위와 같은 추한 행동을 하는,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자 때문에라도,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은 유의미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꼬리가 길면 밟힌다(표준국어 대사전: 나쁜 일을 아무리 남모르게 한다고 해도 오래 두고 여러 번 계속하면 결국에는 들키고 만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는 속담이 빈말이 아니라는 생각을 또한 하게 됩니다.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최근의 매일 미사 강론(daily Mass homilies)들 중에서 "jealousy(시기, 猜忌)", "envy(질투, 嫉妒, 嫉妬)", 그리고 "gossip(험담, 險談)" 에 대하여, 쉬운 예(examples)들과 함께, 가르치셨는데, 이번 글에서는, 이 가르침에 대하여 더 폭넓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 강론 말씀들을 함께 비교/검토하면서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게시자 주 1: 사실, "gossip(험담, 險談)"  이라는 단어가, 

(i) 비록 NAB(New American Bible)의 본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어이기는 하나, 그러나

(ii) Modern Catholic Dictionary영어 가톨릭 대사전 등에 그 설명이 주어져 있지 않고, 그리고

(iii)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세속의 자연적 단어(secular and natural word)이므로, 이 용어가 나타내는 개념의 신학적 위치를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은,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향후 말씀들을 더 잘 이해하는 데에 약간의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이 글을 마련하기도 하였습니다.

 

2.

2-1. 여기를 클릭하면, http://www.news.va 홈페이지에 올려진,"jealousy(시기, 猜忌)", "envy(질투, 嫉妒, 嫉妬)", 그리고 "gossip(험담, 險談)" 대한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매일 묵상들을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습니다:

 

2-1-1. 다음은 2014년 1월 23일자  L’Osservatore Romano 기사 전문입니다. 발췌된 본문 중의 일부 단어들을 굵게 표시하거나, 색칠을 하거나, 혹은 밑줄을 그은 것은 필자가 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news.va/en/news/hearts-free-of-envy-and-jealousy

(발췌 시작)
Hearts free of envy and jealousy

 

질투와 시기로부터 자유로운 심장들

 

2014-01-23 L’Osservatore Romano

In his homily at Holy Mass on Thursday, 23 January, Pope Francis spoke about jealously and envy and described them as the doors through which the devil entered the world. The Bishop of Rome drew upon the day's first Reading from 1 Samuel (18:6-9; 19:1-7)(1), where we read that, after the chosen people conquered the Philistines through David's courage, “the women came out of all the cities of Israel, singing and dancing, to meet King Saul”. Saul too “was happy”, the Pope remarked, “but something he heard displeased him. As the women sang David's praises, “bitterness and sadness” arose in Saul's heart. When he heard the women's songs, “he was very angry” at the words their songs contained.

 

1월 23일 거룩한 미사(Holy Mass)에서의 당신의 강론에서, 교황 프란치스코께서는 시기(猜忌, jealousy)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에 대하여 말씀하셨으며 그리고 그들을, 그것들을 통하여 악마(the devil)가 세상에 들어오는, 문들로서, 묘사하셨습니다. 이 로마의 주교님께서는 사무엘 1서(18,6-9; 19,1-7)에서 발췌된 오늘의 제1독서를 출처로 사용하셨는데(drew upon)(1), 거기서 우리는, 선택된 백성이 다윗의 용기를 통하여 필리스티아인들을 이긴 후에, "이스라엘 모든 성읍에서 여인들이 나와 손북을 치고 환성을 울리며, 악기에 맞추어 노래하고 춤추면서 사울 임금을 맞았다." (1사무엘 18,6)를 읽습니다. 이 교황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주목하셨습니다(remarked): 사울(Saul)도 또한 "행복하였으나 그러나 그가 들었던 그 무엇이 그를 불쾌하게 하였습니다." 이 여인들이 다윗에 대한 찬양들을 노래하였을 때에(as), "적의(敵意, biterness)와 슬픔(sadness)" 이 사울의 심장(heart) 안에서 일어났습니다. 그가 여인들의 노래들을 들었을 때에, 그들의 노래들이 포함하고 있었던 단어들에 대하여 "그는 대단히 화가 났습니다."

 

-----

(1) 번역자 주: 1 Samuel 18:6-9; 19:1-7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짝수 해 연중 제2주간 제1독서이다: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missaid=5779&gomonth=2014-01-23

-----

 

It was then, the Holy Father said, that “a great victory was turned into great defeat in the king's heart, the same bitterness that took hold of Cain's heart: the worm of jealously and envy began to gnaw”.

 

그런 다음에 교황 성하(聖下)께서는 "한 개의 커다란 승리가 이 임금의 심장 안에서, 카인(Cain)의 심장을 붙잡았던 바로 그 동일한 적의(敵意, bitterness)인, 커다란 패배(defeat)로 변하였습니다: 시기(猜忌, jealousy) 그리하여(and)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가 [그의 심장을] 갉기(gnaw) 시작하였습니다." 라고 말씀하셨습니다.(2)

 

-----

(2) 번역자 주: 

(i) 시기(猜忌, jealousy)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가 동일한 개념이 아니기에, 이렇게 나열을 통하여, 이들이 구분되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and" 를 "그리하여" 로 번역한 이유는 아래의 각주 (3)에 있다.

(ii) 우리나라가 포함되는 한문 문화권에서 본죄(本罪)의 일곱 개의 우두머리 악덕(capital vices)들인 칠죄종(七罪宗, seven capital sins)들 중의 한 개를 나타내는 라틴어 invidia(영어: envy)嫉妬(질투, 嫉妒)로 번역해 온 것은, 적어도 중국 명(明)나라(1368-1644년) 말기이므로, 이미 오래 되었다.

-----

 

The same thing happened to Saul that happened to Cain when the Lord asked him: “Why are you angry, and why has your countenance fallen? (Gen 4:6). In face, Pope Francis explained, “the worm of jealously leads to resentment, envy, bitterness” and also instinctive decisions, such as the one to kill. It is not by chance that Saul and Cain determined in their hearts to commit murder. Thus, Saul decided to kill David.

 

주님께서 카인(Cain)에게 "너는 어찌하여 화를 내고, 어찌하여 얼굴을 떨어뜨리느냐?" (창세기 4,6) 라고 물었을 때에 카인에게 발생하였던 바로 그 동일한 일이 사울에게 발생하였습니다. 정면으로(in face), 교황 프란치스코께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셨습니다: "시기(猜忌, jealousy)라는 벌레가 분개(憤慨, resentment),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 적의(敵意, bitterness)이르게 하며(leads to)"(3) 그리하여 또한 사람을 죽이겠다(kill)는 바로 그러한 것과 같은, 본능적인 결심(instinctive decisions)들에 이르게 합니다. 사울(Saul)과 카인(Cain)이 자신들의 심장들 안에서 살인을 범하고자 결심하였던 것은 우연적인(by chance) 것이 아닙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사울(Saul)은 다윗(David)을 죽일 것을 결심하였습니다.

 

-----

(3) 번역자 주: 여기서,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시기(猜忌, jealousy)의 한 명의 딸(a daughter of)로서 발생함을, 즉, 시기(猜忌, jealousy)로부터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로의 정변(情變, change of passion)(<--- 클릭하십시오)이 있을 수(may) 있음을, 즉, 시기(猜忌)하는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질투(嫉妒, 嫉妬)하는 자들이 있을 수(may) 있음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지 않음을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정변(情變, change of passion)에 대한 훨씬 더 더 자세한 설명의 글[제목: 사랑(love) 안에만 시기(jealousy)가 있을 수 있고, 시기 안에만 질투(envy)가 있을 수 있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15.htm

-----

 

This same reality is repeated today “in our hearts,” the Pope added. “It is an evil disquiet, which will not tolerate that a brother or sister have something that I do not have”. And thus “instead of praising God, as the women of Israel did over the victory” we prefer to withdraw into ourselves “stewing in our feelings, cooking them in the broth of bitterness”.

 

이 교황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추가로 말씀하셨습니다: 바로 이 동일한 현실(reality)이 "우리의 심장들 안에서" 오늘날 반복되고 있습니다. "내가 가지지 못한 그 무엇을 어떤 형제 혹은 자매가 가지고 있는 것을 결코 허용하지(tolerate) 않겠다는 것은 한 개의 악한 불온(不穩)(an evil disquiet) 입니다."(4) 그리하여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이스라엘의 여인들이 그 승리에 대하여 하였듯이 하느님을 찬양하는 대신에," 우리는, "우리의 감정들 안에서 끓이고(stewing), 적의(敵意, bitterness)의 묽은 수프 안에서 그들을 요리하면서(cooking)", 우리 자신들 안쪽으로 물러나는 것을 선호합니다.

 

-----

(4) 번역자 주: 바로 이 악한 불온(不穩)(evil disquiet)을 상대방을 해치면서까지 말, 글, 그리고 행동 등으로 실천함으로써, 자신의 소유물이 아닌 그 무엇을 타인으로부터 빼앗고자 하는 정(情, passion)이 바로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이다.

-----

 

Jealousy and envy are the doors through which the devil entered the world, the Pope continued, emphasizing that it is the Bible which affirms it: “through the devil's envy evil entered into the world”.(5) And “jealousy and envy open the doors to every evil thing”, causing strife even between believers. The Pope referred explicitly to the life of Christian communities, underlining that when “some members suffer jealousy and envy, they end in division”. Pope Francis called this division a “strong poison”, the same poison that is found in the first pages of the Bible, in account of Cain and Abel.

 

시기(猜忌, jealousy) 그리하여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는 그들을 통하여 악마가 세상에 들어오는 문들이라고 이 교황님께서는 계속하여 말씀하시며, 그리고 성경이 이것을 다음과 같이 확언한다고 강조하십니다: "악마의 질투(the devil's envy)로 세상에 죽음이 들어왔다" (지혜 2,24).(5) 그리하여, "시기(猜忌, jealousy) 그리하여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는 모든 악한 일들로 향하는 문들을 개방하며, 그 결과, 심지어 믿는 이(believers)들 사이에서도, 투쟁(strife)을 야기시킵니다." 이 교황님께서는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들의 삶에 대하여, "일부 구성원들이 시기(猜忌, jealousy) 그리하여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를 경험할 때에, 그들이 분열(division)로 끝남"을 강조하심으로써, 명시적으로 언급하셨습니다. 교황 프란치스코께서는 이러한 분열을, 성경의 첫 페이지들에서, 카인(Cain)과 아벨(Abel)의 이야기에서, 발견되는 바로 그 동일한 독(毒, poison)인, 한 개의 "강한 독(strong poison)" 이라고 부르셨습니다.

 

-----

(5) 번역자 주: (i)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새 대중 라틴말 성경" 지혜서 2,24에서, 칠죄종(七罪宗, seven capital sins)들 중의 한 개를 나타내는,  invidia 로 번역되고, (ii)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NAB(New American Bible)" 지혜서 2,24에서 "envy" 로 번역되고, 그리고 (iii) 또한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중국어본" 지혜서 2,24에서 "[즉, 嫉妬(질투)]" 로 번역되고 있는 단어가,  "새 번역 성경" 지혜서 2,24에서 "시기"로 번역되었는데, 그러나 이 "시기(猜忌)" 라는 한자 단어 차용(借用) 번역 용어는, 지금까지 읽은 문장들의 문맥 안에서도 또한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명백한 번역 오류이다.

-----

 

The Holy Father then described what happens in the heart of a person who is consumed by jealousy and envy. First comes bitterness: “the envious and jealous person is a bitter person, he doesn't sing, he doesn't praise, he doesn't know what joy is; he is always looking” at what others have. And unfortunately bitterness “spreads through the entire community” since all who fall prey to this poison become “sowers of bitterness”.

 

그런 다음에 교황 성하(聖下)께서는 시기(猜忌, jealousy)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에 의하여 낭비적으로 소모되는(consumed by) 한 인격(a person)의 심장 안에서 발생하는 바를 묘사하셨습니다. 첫 번째, 적의(敵意, bitterness)가 다음과 같이 옵니다: "질투하고 시기하는 자는 한 명의 적의에 찬 자(a bitter man)이고, 그는 노래 부르지 않으며, 그는 칭찬하지 않고, 그는 기쁨이 무엇인지 모르는 자이며, 그리고 그는 항상" 다른 이들이 가진 바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불행하게도 적의(敵意, bitterness)는 "전체 공동체에 걸쳐 퍼지는데" 그 이유는 바로 이 독에 피해를 입은 자들 모두가 "적의(敵意, bitterness)의 씨를 뿌리는 자들"이 되기 때문입니다.

 

The second poison fruit of jealously and envy is gossip. There are those who cannot bear for anyone else to have anything, the Pope said, and so “the solution is to put the other person down, so that I'm a bit higher. And the instrument for carrying this out is gossip: always look and you will see that jealousy and envy are always lurking behind gossip”.

 

시기(猜忌, jealousy) 그리하여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두 번째 독 있는 열매는 험담(險談, gossip) 입니다.(6) 자신 이외의 다른 자가 어떤 것을 가지는 것을 견딜 수가 없는 자들이 있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해결책이 해당 다른 자에 관하여 비난의 혹은 모욕적인 그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다(put down).(7) 그리고 이것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 항상 바라보는, 험담(險談, gossip)이며, 그리하여 시기(猜忌, jealousy) 그리고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험담(險談, gossip) 뒤에 항상 숨어 있음을 여러분들이 장차 볼 것입니다." 라고 이 교황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

(6) 번역자 주: 여기서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로부터 험담(險談, gossip)으로의 정변(情變, change of passion)이 있을 수(may) 있음을, 즉,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하는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험담(險談, gossip)하는 자들이 있을 수(may) 있음을, 말하고 있다.

 

(7) 번역자 주: 여기서 "gossip" 으로 번역된 이탈리아어 단어인 "chiacchiere" 는, 전후 문맥 안에서 볼 때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477항,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에 대한 설명,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 36, a. 4 에 주어진 설명에 의하면, "detraction(비방, 誹謗)", "자신의 동료의 불행에 대하여 즐거워 함(rejoicing)", 그리고 "속삭임(whispering)" 등을 포함한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전달의 글 및 안내는 다음에 있다. 클릭한 후에 제4항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94.htm

-----

 

Gossip divides communities, it destroys communities,” he said. “It is the weapon of the devil. How many beautiful Christian communities have we seen go well” but then “the worm of jealously and envy entered” some of its members “and sadness comes” and “they take offence”. Hence the Pope's warning to not forget the episode concerning Saul, because in his case “after a great victory, a process of defeat began. A person who is under the influence of envy and jealousy kills. John the Apostle tells us: 'whoever hates his brother is a murderer'.(6)  And someone who is envious, who is jealous, begins to hate his brother”.

 

이 교황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십니다: "험담(險談, gossip)은 공동체들을 분열시키고, 이것은 공동체들을 파괴합니다." "이것은 악마의 무기입니다. 우리가 보아 왔던 얼마나 많은 아름다운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들이 잘 되다가" 그러나 그러다가 그 구성원들 일부에게 "시기(猜忌, jealousy)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의 벌레가 들어갔으며" 그리고 "그들은 감정이 상하게 됩니다(take offend)." 따라서 이 교황님께서는 사울(Saul)에 관련된 에피소드를 잊지 말라고 경고하는 중이신데, 왜냐하면 그의 경우에 있어 "커다란 승리 후에, 패배의 한 과정이 시작하였기 때문입니다. 시기(猜忌, jealousy) 그리하여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의 영향 아래에 있는 자는 사람을 죽입니다(kills). 사도 요한(John the Apostle)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자기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모두 살인자입니다.'(8) 그리고 질투(嫉妒, 嫉妬)하는, 시기(猜忌)하는 상당한 자(someone)는 자신의 형제를 증오(憎惡)하기(hate) 시작합니다."(9)

 

-----
(8) 번역자 주: 1요한 3,15가 발췌되어 인용되고 있다. 또한 1요한 2,9를 꼭 읽도록 하라.

 

(9) 번역자 주: 증오(憎惡, hatred)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의 한 명의 딸(a daughter of)이라는, 즉, 질투(嫉妬, envy, invidia)로부터 증오(憎惡, hatred)로의 정변(情變, change of passion)이 있을 수(may) 있다는, 즉,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하는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증오(憎惡, hatred)하는 자들이 있을 수(may) 있다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 36, a. 4 에 주어진 설명은 다음에 있다:

http://www.newadvent.org/summa/3036.htm#article4

-----

 

The Pope concluded his homily expressing this hope: “Today at this Mass let us pray for our Christian communities, that the seed of jealousy not be sown among us; that envy have no place in our hearts, and in the hearts of our communities. In this way, we can go forward joyously praising the Lord. It is a great grace: the grace not to fall into sadness, resentment, into jealously and envy”.

 

이 교황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희망을 표현하시면서 당신의 강론을 끝내셨습니다: "오늘 바로 이 미사에서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를 위하여, 시기(猜忌, jealousy)라는 씨앗이 우리들 사이에 씨 뿌려지지 않도록, 그리고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가 우리의 심장(hearts)들 안에, 그리고 우리의 공동체들의 심장들 안에, 아무런 장소를 가지지 못하도록, 함께 기도합시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는 주님을 기쁘게 찬양하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슬픔, 분개로 빠지지 않는, 시기(猜忌, jealousy) 그리하여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로 빠지지 않는, 은총 한 개의 커다란 은총입니다."(10)

 

-----

(10) 번역자 주:

(i) 위의 기사와 동일한, 교황정 홈페이지 제공의 2014년 1월 23일자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매일 묵상(daily meditation) 전문은 다음에 있다:

http://w2.vatican.va/content/francesco/en/cotidie/2014/documents/
papa-francesco-cotidie_20140123_hearts-free.html

 

(ii) 험담(險談, gossip)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는 NAB 집회서 19,5-16(17)은 다음에 있다. 특히, 바로 다음의 출처에 있는 집회서 19,5-16(17)에 대한, 대단히 유익한 내용인 다음의 NAB 주석 전문을 필독하라: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839/_PML.HTM#2M

(발췌 시작)
[5-16] An excellent commentary on the eighth commandment of the Decalogue, forbidding intemperance in speech through calumny, rash judgment, and detraction (⇒ Sirach 19:5-6), and inculcating discreet silence in defense of self and of neighbor (⇒ Sirach 19:7-11). Justice requires that an accused neighbor be given a hearing, and charity urges fraternal correction; both together fulfill the law of the Most High (⇒ Sirach 19:12-16); cf ⇒ Matthew 7:1-2; ⇒ 18:15-16.

 

[5-16] 중상(中傷, clumny), 경솔한 판단(rash judgment)(*1), 그리고 비방(誹謗, detraction)(*2)에 의한(through) 말(speech)에 있어 무절제/과도함(intemperance)를 금지힘으로써(집회 19,5-6), 그리고 자신에 대한 그리고 이웃에 대한 변호(defense)에 있어 사려 있는 침묵(discreet silence)을 되풀이하여 가르침으로써(incultating)(집회 18,7-11),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언하지 말라"는] 십계명의 여덟 번째 계명에 대한 한 개의 탁월한 주석입니다. 정의(justice)는 비난 받는 이웃에게 청문회(a hearing)가 주어져야 함을 요구하고, 그리고 애덕(charity)은 형제적 바로잡음(fraternal correction)을 재촉하며, 그리하여 이들 둘 다는 지극히 높으신 분의 법을 구현하는데(집회 19,12-16), 마태오 복음서 7,1-2; 18,15-16을 참조하십시오.

 

-----

(*1) 번역자 주: Modern Catholic Dictionary와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에 주어진 "경솔한 판단(rash judgment)"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으니 제일 먼저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35.htm <----- 필독 권고

 

(*2) 번역자 주: 이들 세 개의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과, 정의(justice)에 반하는 이들 세 개의 죄들에 대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2477항; 제2478항; 제2479항; 제2480항; 제2481항; 제2487항 등에서의 가르침들은 다음에 있으니 꼭 여러 번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94.htm <----- 필독 권고

 

그리고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하면, 제5항에, 마태오 복음서 5,22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로의 안내가 주어져 있으니, 또한 꼭 읽도록 하라.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그리고, NAB 집회서 19,6에서 "gossip" 으로 번역된 단어가, "새 번역 성경" 집회서 19,6에서, "험담(險談)" 으로 번역되는 대신에, "뜬소문" 으로 번역된 것은, 집회서 19,5-16 문맥과 그리고 이 문맥에 대한 NAB 주석에 비추어 볼 때에, 번역 미숙/오류라는 생각이다.

 

(iii) NAB 집회서 28,13에서 "gossips" 으로 번역된 표현이, "새 번역 성경" 집회서 28,13에서 "중상하는 자"로 번역되었다. 그리고 다음은, 집회서 28,12-26에 대한 NAB 주석 전문이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839/_PMU.HTM#LN1Y

(발췌 시작)

[12-26] Further treatment of sins of the tongue and their havoc; cf ⇒ Sirach 5:12-⇒ 6:1; ⇒ 19:5-16; ⇒ 20:17-25; ⇒ 23:7-15. Gossips and the double-tongued destroy domestic peace (⇒ Sirach 28:12-16). The whip, the sword, chains, even the nether world, are not so cruel as the suffering inflicted by an evil tongue (⇒ Sirach 28:17-21). Not the just but those who forsake the LORD are victims of their evil tongues (⇒ Sirach 28:22, ⇒ 23). Therefore, guard your mouth and tongue as you would guard treasure against an enemy (⇒ Sirach 28:24-26).

(이상, 발췌 끝).

 

(iv) 험담(險談, gossip)이 나열되고 있는, 2코린토 12,20와 그 전후 절들도 또한 읽도록 하라. 그리고 "gossips""험담꾼"으로 번역된, 로마서 1,29도 읽도록 하라.

 

(v) 지금까지 고찰한 바로부터 우리는, 적의(敵意, bitterness)험담(險談, gossip)을 멸(滅)하고자 하면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를 멸(滅)하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 말씀하시는 이 커다란 은총이란, 곧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를 멸(滅)하는 은총"을 말한다.

 

(vi) 그런데, 애덕(charity)은, 참 진리하느님에 대한 사랑이므로, 당연히, 즉, 시기(猜忌, jealousy)정의(definition)에 의하여, 시기하지 않는 사랑(love)이며(1코린토 13,4), 우리 각자가 은총의 지위에서 애덕(charity)을 키움으로써 하느님께서 사랑받게 되는 사랑인 애덕(charity)이 아닌, 애덕(charity)의 바깥에 있는 사랑(love), 즉,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cupiditas, cupidity)이 줄어들게 되고, 그리하여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cupidity)에 포함되어 있는 나쁜(bad)/악한(evil) 시기(猜忌, jealousy)가 줄어들게 되고, 그리하여 그 결과 나쁜(bad)/악한(evil) 시기(猜忌, jealousy)에 포함되어 있는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가 또한 자동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 말씀하시는 이 커다란 은총이란, 바로 애덕(charity)을 말할 것이다.

 

그리고, 은총과 애덕(charity)을 키우는 구체적인 방법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010항의 두 번째 문장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vii) 다른 한편으로, 애덕(charity)의 구체적인 드러남인. 인애[仁愛, benevolence, 호의(好意), 즉, 선을 행하고자 하는 성향]질투(嫉妒, 嫉妬)하는 자에게 실천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타인의 질투(嫉妒, 嫉妬, envy, invidia)를 또한 멸(滅)할 수 있다는 것이 바로 다음의 주소에 있는 "칠극(七克)", "평투(平妬)" 편에서 가르치는 바일 것이다. 따라서 될 수 있는 한 많은 분들께서, 다음의 주소에 있는, "칠극(七克)", "평투(平妬)" 편을 읽을 것을 권고한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29.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1-2. 다음은 2014년 1월 23일자 Vatican Radio 기사 전문입니다. 바로 위의 제2-1-1항에 전달해드린 동일한 매일 묵상 말씀에 대한 그러나 다른 기자에 의하여 마련된 기사이므로,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2014년 1월 23일 매일 미사 중의 강론 말씀, 즉 매일 묵상을 더 잘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발췌된 본문 중의 일부 단어들을 굵게 표시하거나, 색칠을 하거나, 혹은 밑줄을 그은 것은 필자가 한 것입니다:

 

게시자 주: 다음의 시작 단추를 클릭하면, 아래의 발췌된 기사 본문을 청취하면서 읽을 수 있습니다:

 

 
(01:53)

 

출처: http://www.news.va/en/news/pope-francis-jealousy-envy-and-gossip-divide-and-d

(발췌 시작)

Pope Francis: jealousy, envy and gossip divide and destroy Christian communities

 

2014-01-23 Vatican Radio

(Vatican Radio) Christians must close the doors to the jealousies, envy and gossip that divide and destroy our communities: that’s what Pope Francis stressed in his homily at Mass in the Santa Marta guesthouse Thursday morning.  

Listen to Tracey McClure's report:
The Pope’s remarks take on added meaning because today marks the sixth day of prayer for Christian unity which culminates Saturday with the celebration of Vespers presided by Pope Francis in the Rome Basilica of St. Paul Outside the Walls.
In his homily, Pope Francis reflects on the day’s first reading(1) which recalls the victory of the Israelites over the Philistines - thanks to the courageous actions of the young David. But, King Saul’s joy over the victory soon turns to sadness and jealousy when he sees the women praising David for killing Goliath. So, "that great victory,” Pope Francis says, “begins to undergo defeat in the heart of the King" and like Cain, the "worm of jealousy and envy" begins to insinuate itself in its place. And again like [the case of] Cain and Abel, the king decides to kill David. "This is what jealousy does in our hearts,” observes the Pope. “It is a destructive anxiety (it: inquietudine cattiva)(2), which cannot tolerate that a brother or sister has something that I have not." Saul, "instead of praising God for this victory as did the women of Israel, prefers to withdraw into himself, feeling sorry for himself (it. rammaricarsi)” and “stew his feelings in the broth of bitterness."

 

-----

(1)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짝수해 연중 제2주간 제1독서인 1 Samuel 18:6-9; 19:1-7을 말한다: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missaid=5779&gomonth=2014-01-23

(2) 번역자 주: 다음의 이탈리아어 사전에 주어진 설명에 의하면, "cattiva" 은 "bad(나쁜)", "evil(악한)", "wicked(사악한)", "malicious(악의적인)" 등을 또한 의미한다:

http://www.wordreference.com/iten/cattiva

-----


"Jealousy leads to murder. Envy leads to murder,” the Pope says. “It was this door, the door of envy, through which the devil entered the world.” “Jealousy and envy open the doors,” the Pope says, to “all evil things…They also divide the community.”
When some members of a Christian community suffer from envy and jealousy, the Pope reminds us, the community “ends up divided: one against the other.” And “this is a strong poison – a poison that we find on the first page of the Bible in Cain."
Pope Francis goes on to say that in the heart of a person affected by jealousy and envy " two things are very clear." The first thing is bitterness:
"The envious person, the jealous person, is a bitter person who doesn’t know how to sing, how to praise, (or) know what joy is.” This kind of person, reflects the Pope, always looks at what someone else has that he or she does not have . “And this leads to bitterness, a bitterness that spreads throughout the whole community.” These people, he says, are the “sowers of bitterness.”
The second approach, the Pope remarks, that “brings jealousy and envy, are rumors.” When someone cannot stand to see that someone else has something he wishes for himself, Pope Francis says often, the “solution is to put the other person down” so that “I am a bit higher up.” And the tool used to do this, the Pope points out, is “gossip.” Behind every rumor, says the Pope, “there is jealousy and envy. And gossip divides the community, destroys the community. Rumors are the weapons of the devil."
"How many beautiful Christian communities," the Pope exclaimed, “were getting along well,” but then were divided and destroyed because one member allowed the “worm of jealousy and envy” to enter his heart. And with it, come “sadness, resentment and gossip." A person under the influence of envy and jealousy, the Pope insists, “kills."
In concluding, Pope Francis called for prayer for “our Christian communities so that this seed of jealousy will not be sown between us, so that envy will not take root in our heart, in the heart of our communities, and so we can move forward with praise to the Lord, praising the Lord with joy. It is a great grace, the grace of not falling into sadness, being resentful, jealous and envious."
(이상, 발췌 끝)

 

2-1-3. 다음은 2014년 4월 11일자 Vatican Radio 기사 전문입니다. 발췌된 본문 중의 일부 단어들을 굵게 표시하거나, 색칠을 하거나, 혹은 밑줄을 그은 것은 필자가 한 것입니다:

 

게시자 주: 다음의 시작 단추를 클릭하면, 아래의 발췌된 기사 본문을 청취하면서 읽을 수 있습니다:

 

 
(01:49)

 

출처: http://www.news.va/en/news/pope-francis-satan-exists-in-the-21st-century-and

(발췌 시작)
Pope Francis: Satan exists in the 21st century and how we can fight him

 

2014-04-11 Vatican Radio

(Vatican Radio) Pope Francis said Satan exists in our present century and we must learn from the Gospel how to fight against his temptations. This was the core message of his homily at the Mass celebrated on Friday in the Santa Marta residence.
Listen to this report by Susy Hodges:
Pope Francis said the life of every Christian is a constant battle against evil just as Jesus during his life had to struggle against the devil and his many temptations. And he warned that whoever wants to follow Jesus must be aware of this reality.

“We too are tempted, we too are the target of attacks by the devil because the spirit of Evil does not want our holiness, he does not want our Christian witness, he does not want us to be disciples of Christ. And what does the Spirit of Evil do, through his temptations, to distance us from the path of Jesus? The temptation of the devil has three characteristics and we need to learn about them in order not to fall into the trap. What does Satan do to distance us from the path of Jesus? Firstly, his temptation begins gradually but grows and is always growing. Secondly, it grows and infects another person, it spreads to another and seeks to be part of the community. And in the end, in order to calm the soul, it justifies itself. It grows, it spreads and it justifies itself.”

Turning to the bible, the Pope recalled how Jesus’s first temptation by Satan was almost ‘like a seduction.’ Satan told Jesus to throw himself down from the Temple so that all the people will see that he is the Messiah! And warned the Pope, when the devil is rejected, he grows and comes back stronger than before. Jesus himself noted this in the gospel when the devil went around looking for companions and with them returned to Jesus. Satan got involved with Jesus’s enemies and what seemed at first like a calm trickle of water turned into a flood of water. In this way, the temptation grows, infects others and justifies itself. As an illustration, the Pope recalled how when Jesus preached in the synagogue, his enemies belittled him by saying “but isn’t this the son of Joseph, the carpenter, the son of Mary. He never studied so with what authority can he speak?

“We have a temptation that grows: it grows and infects others. For example, let’s look at gossip: I’m a bit envious of this or that person and at first I’m just envious inside and I need to share it and go to another person and say: “But have you seen that person?’.. and this gossip tries to grow and infects another and another… This is the way gossip works and all of us have been tempted to gossip! Maybe not one of you, if you’re a saint , but I too have been tempted to gossip! It’s a daily temptation. And it begins in this way, discreetly, like a trickle of water. It grows by infecting others and in the end it justifies itself.”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성장하는 한 개의 유혹(a temptation)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성장하고 그리고 다른 이들을 타락시킵니다(infects).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험담(險談, gossip)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합니다: 내가 이 사람 혹은 저 사람에 대하여 약간 질투하여(a bit envious of) 그리하여 처음에 나는 단지 내심으로 질투하며(envious inside) 그리고 나는 이 질투(it)를 [다른 이들과] 함께 나눌 필요가 있어 그리하여 다른 사람에게 가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러나 바로 그 사람을 최근에 본 적이 있니?' ...(*) 그리고 바로 이러한 험담(險談, gossip)은 성장하려고 노력하며 그리하여 잇따라 다른 이를 타락시킵니다... 바로 이것이 험담(險談, gossip)이 일하는 방식이며 그리고 우리 모두는 험담(險談, gossip)하도록 유혹을 받아왔습니다! 만약에 여러분이 한 명의 성인(a saint)이라면 여러분들 중의 누구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만, 그러나 저 역시 험담(險談, gossip)하도록 유혹을 받아왔습니다! 이것은 한 개의 날마다의 유혹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마치 물 한방울 처럼, 신중하게,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시작합니다. 험담(險談, gossip)은 다른 이들을 타락시킴으로써 성장하고 그리하여 마지막에는 험담(險談, gossip) 그 자체를 정당화시킵니다."
 
-----
(*) 번역자 주: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험담(險談, gossip)"이 "질투(嫉妬, envy, invidia)"외면적 표출 행위임을 설명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

Pope Francis concluded by urging people to be vigilant and not to give in to that initial temptation and thus allow it to spread to others and justify itself.

“We are all tempted because the law of our spiritual life, our Christian life is a struggle: a struggle. That’s because the Prince of this world, Satan, doesn’t want our holiness, he doesn’t want us to follow Christ. Maybe some of you might say: ‘But Father, how old fashioned you are to speak about the devil in the 21st century!’ But look out because the devil is present! The devil is here… even in the 21st century! And we mustn’t be naïve, right? We must learn from the Gospel how to fight against Satan.”

2014-04-11 L’Osservatore Romano

In his homily at Holy Mass on Friday, 11 April, Pope Francis focused his reflection on the Christian's battle against Satan and the reality of the devil in the world today. “The devil also exists in the 21st century, and we need to learn from the Gospel how to battle against him”. We must not be “naive” about his ways, the Pope said. In fact, we need to be very aware of the strategies he employs to entrap us. For the devil is not a thing “of the past”.

 

In his comments, Pope Francis spoke explicitly about our “battle” with the father of lies. Even “Jesus' life was a battle: he came to conquer evil, to conquer the prince of this world, to conquer the devil”. Jesus battled against the devil who sought many times to tempt him. “During his earthly life, he experienced temptation and persecution”. Thus, “we who want to follow Jesus, and who by our baptism have taken to the Lord's path, must be well aware of this truth: we too are tempted, we too are objects of the demon's attacks”. This happens “because the spirit of evil does not want us to become holy, does not us to bear witness to Christ, does not want us to be disciples of Christ”.

 

The Pope then asked: “What does the spirit of evil do to snatch us away from Jesus' path through temptation?”. And he replied: “the devil's temptations have three main characteristics and we have to be aware of them in order to not to fall into his trap”. First “the temptation begins subtly but then it grows, it increasingly grows stronger”. Then “it infects someone else … it spreads to another and seeks to take root in the community”. Finally, “to calm the soul, it seeks to justify itself”. In short: it “grows, spreads and justifies itself”.

 

Turning to the Scriptures, Pope Francis noted that we see this reality played out in “Jesus' temptation” in the desert, which “appears almost as a seduction”. “The devil proceeds slowly” and says to Jesus: “But why not do this? Throw yourself from the temple and save thirty years, in just one day everyone will say of you: behold the Messiah!”. It is the same tactic “he used with Adam and Eve”, the Pope said. The devil said to them: “Taste the apple, it's good, it will make you wise!” The devil follows the tactics of “seduction”: he speaks “almost as though he were a spiritual master, as though he were an advisor”.

 

However, “if the temptation is rejected, it grows and returns stronger”. In the Gospel of Luke, Jesus warns that “when the devil is rejected, he turns around and goes looking for several companions and with this band returns”. This, he said, is how “temptation becomes stronger and grows. It grows by involving others”. This is precisely what happened with Jesus, as we read in the day's passage from the Gospel of John (10:31-42). The Pope said: “the devil involved Jesus' enemies, who at this point were speaking to him with stone in hand”, ready to kill him. Here we see clearly temptation's power to grow by spreading to others, he remarked.

 

The third characteristic of the devil's temptation is that “in the end it seeks to justify itself”. In the regard, Pope Francis recalled the people's reaction when Jesus returned “for the first time to his home in Nazareth” and went to the Synagogue. First, they were struck by his words, and then immediately the temptation arose: “Is this not the son of Joseph the carpenter and of Mary? By what authority does he speak if he never went to university and if he has never studied?”. They sought to justify their desire “to kill him there and then, to throw him off the mountain”.

 

In the day's passage from the Gospel of John, Jesus' interlocutors also want to kill him. So much so that “they have stone in hand as they are speaking with him”. Thus, “the temptation turned everyone against Jesus”; and everyone sought to justify himself. Pope Francis identified “the highpoint and climax of this self-justification” in the high priest's statement : “Enough, you all know nothing! Do you not know that it is better that one man die for the people? He must die to save the people!”. And everyone agreed: it was a “complete justification”.

 

“When we are tempted, go down this same road”, the Pope warned. “We are tempted and it grows and spreads to others”. Just think of gossip: if we are “a little envious of one person or another”, we don't contain it but end up sharing it with others by speaking badly about the person. This is how gossip “seeks to grow and spread to another person and yet another …”. This, “is the way gossip works, and we have all been tempted to gossip”. Then he confided: “I too have been tempted to gossip! It is a daily temptation”, that “begins slowly, like a trickle of water”.

 

This is why we have to “be careful when we feel something in our heart that would lead to destroying people, destroying reputations, destroying our lives, leading us into worldliness and sin”. We have to be “careful, because if we do not stop ourselves in time that trickle of water, when it grows and spreads will become a tidal wave that leads us to justify ourselves”, just as the people from the day's Gospel justified themselves and eventually said of Jesus: “It is better than one man die for the people”.

 

“We are all tempted,” the Pope said, “because … our spiritual life, of our Christian life, is a battle”. This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devil does not want us to become holy, he does not want us to follow Jesus”. “Of course one of you will say: but Father, you are so old fashioned, speaking about the devil in the 21st century!” Yet, to this Pope Francis replied: “Watch out, the devil exists! The devil exists even in the 21st century. And we must not be naïve. We must learn from the Gospel how to battle against him”. 



1,965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