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예수 성심 공경의 근거는 성경 / 예수님과 마리아의 심장들 쪽으로 공경 이유는? by Dr. Taylor Marshall 1032_heart

인쇄

. [218.55.90.*]

2014-12-27 ㅣ No.1596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입문 게시자 주 1: "특정 개념들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는 연상(association)의 방향성(directionality)"을 예를 들어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자 단어 "心" 글자에 대하여 어릴 적에 우리가 "마음 심" 이라고 외웠던 것은,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순수한 우리말 단어인 "마음"이 의미하는 바를 다른 이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에 우리의 신체의 장기인 심장(心臟)을 나타내는 상형 문자인 "心" 글자를, "마음" 이라는 단어 대신에, 사용하기 위하여서였지, 그 역을 위하여서가 결코 아니었습니다.

 

즉, 한자 단어 "心" 글자에 대하여 어릴 적에 우리가 "마음 심" 이라고 외웠던 것은, 우리의 신체의 장기인 심장(心臟)을 나타내는 상형 문자인 "心" 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와 이 자구적 의미에 근거한, "한 가운데" 등의, 여러 파생 의미들을 다른 이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에, 한자 단어 "心" 글자 대신에, 순수한 우리말 단어인 "마음"을 사용하고자 함이 결코 아니었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달리 말하여, "心(심장)" 이라는 상형 문자는, 이미 우리들의 기억에 주입된 "마음 심" 이라는 방향성을 가지는 한 개의 연상(an association)의 정의(definition)에 의하여, 우리들로 하여금 "마음" 을 연상하게 하나, 그러나, 역으로, "마음" 이라는 순수한 우리말 단어는, 이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의미의 정의(definition)에 의하여, 우리들로 하여금 "心(심장)" 을 연상하게 하지 못함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지금 지적한 바에 관하여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마음" 과 "심장"에 대한 설명들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서 꼭 읽도록 하십시오.

 

다른 한편으로, 차용 번역 용어들인 "심장(heart)" 과 "마음(mind)" 사이에, 우리말로의 번역 이전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원 단어들 "heart" 와 "mind" 이 나타내는 개념들 사이의 연상(association)의 방향성(direcionality)을, 우리말로의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 과정에서 충실하게 보존하여 전달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차용 번역 용어들이 아닌 우리말 단어들인 "심장" 과 "마음"에 대하여 이미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은 "이들 우리말 단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 사이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연상(association)의 방향성(directionality)"을 우선적으로 올바르게 이해하여야 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바는, 어느 특정 언어에 종속되는 문제가 아니고, 언어 이전에 언어를 통하여 전달될 대상들인, 논리(logic)의 단계에 있는개념들 사이 존재하는 연상(association)의 방향성(directionality)에 관한 지적이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차용 번역 용어들인 "심장(心臟, heart)""마음(mind)" 의 차이점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 모두를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heart.htm <----- 필독 권고

(이상, 입문 게시자 주 1 끝)

 

출처: http://taylormarshall.com/2011/08/why-devotion-to-hearts-of-jesus-and.html 

 

Why Devotion to the Hearts of Jesus and Mary?

예수님과 마리아의 심장(Hearts)들 쪽으로 공경/경례(敬禮) 이유는? 

 

 
 
 

Why do Catholics have devotion to the Sacred Heart of Jesus and the Immaculate Heart of Mary? I call this “cordial devotion” (from the Latin cor, cordis meaning “heart”). English words such as “cordially” mean “heartfelt,” and our word “core” meaning “center” also comes from this Latin word.

 

왜 가툴릭 신자들은 예수님의 성스러운 심장(Sacred Heart)[즉, 예수 성심]과 성모님의 무염 심장(Immaculate Heart) 쪽으로 공경/경례(敬禮)하는지요? 저는 이 공경/경례(敬禮)(devotion)를 "심장(心臟) 공경/경례(敬禮)(cordial devotion)" [라틴어 cor 로부터 이며, cordis 는 "심장(heart)" 을 의미함]이라고 부릅니다. “cordially” 와 같은 영어 단어들은 "heaftfelt" 를 의미하며, 그리고 "center(중심)" 를 의미하는 우리의 단어 "core" 도 또한 바로 이 라틴어 단어로부터 유래합니다.


What Does the Heart Signify?

심장(heart)은 무엇을 나타내는지요?

 

The human heart is considered to be the symbolic center of the person and as such is signifies the will. When we are excited or scared our heartbeat rises. In times of stress or sorrow, we can feel a pain in our chest.

 

인간의 심장(the human heart)인격(the person)의 상징적 중심(symbolic center)이라고 생각되며 그리하여 그러한 것으로서 의지(the will)를 나타냅니다. 우리가 흥분하게 되거나 혹은 겁을 먹게 되면 우리의 심장 박동(heaftbeat)은 증가합니다. 스트레스 혹은 슬픔의 시간들에, 우리는 우리의 가슴(chest) 안에 있는 어떤 고통(a pain)을 느낄 수 있습니다.


In the Old Testament and in Hebrew idiom, the “heart” (Hebrew: leb) is often used as a synonym for the “soul.” For example:

 

구약 성경에 있어 그리고 히브리어 어법(idiom)에 있어, "심장(heart)" (히브리어: leb)은 자주 "영혼(soul)" 을 나타내는 한 개의 동의어로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My heart is troubled, my strength hath left me, and the light of my eyes itself is not with me.” (Psalm 37:11, D-R)

 

"저의 심장(heart)은 고생을 겪고 있고, 저의 굳셈은 저를 이미 떠났으며, 그리고 제 눈들의 빛 자체가 저와 함께 있지 아니 하나이다." (시편 37,11, Douay-Rheims Bible) (게시자 번역)(*)

 
-----
(*) 번역자 주: 다음은 "새 번역 성경" 시편 37,11 전문인데, 위의 우리말 번역과 얼마나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비교/검토하도록 하라:
 
(발췌 시작)
정녕 저의 생명은 근심으로, 저의 세월은 한숨으로 다해 가며 저의 죄로 기력은 빠지고 저의 뼈들은 쇠약해졌습니다. 
(이상, 발췌 끝)
-----
 

In fact, most languages parallel this usage. Now don’t think that ancient people were entirely ignorant of human anatomy. They knew full well that the heart was a vital organ responsible for human animation. For example:

 

사실, 대다수의 언어들은 바로 이러한 사용에 필적합니다(parallel). 그런데 고대의 사람들이 인체 해부(human anatomy)에 대하여 전적으로 무지하였다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그들은 심장(heart)인간의 활기(human animation)에 대한 책임을 지는 한 개의 매우 중요한 기관임을 충분하게 잘 알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But early in the morning, when Nabal had digested his wine, his wife told him these words, and his heart died within him, and he became as a stone.” (1 Samuel 25:37, D-R)

 

"그러나 아침에 일찍, 나발이 자신의 포도주를 이미 소화하였을 때, 그의 아내는 바로 그 말들을 그에게 말하였으며, 그리하여 그의 심장(heart)은 당사자의 안쪽에서 죽었고, 그리하여 그는 한 개의 돌처럼 되었다." (1사무엘 25,37, Douay-Rheims Bible)(게시자 번역)


In Hebrew, the heart also signifies the human conscience. For example, the heart “smites” David (2 Sam 24:5). Likewise in the New Testament, as in 1 Jn 3:20, where the Apostle speaks about “whenever our hearts condemn us.” Thus, the heart functions as the seat of the moral life. This is why the Bible is so fond of the phrase “pure of heart” (Hebrew: bar lebab). Moreover, the natural law is “written on our hearts” (Rom 2:15).

 

히브리어에 있어, 심장(heart)은 또한 인간의 양심(the human conscience)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심장(heart)이 다윗을 "쳤다(smites)." (2사무엘 24,10, RSV). 거기서 사도 요한이 "우리의 심장(heart)들이 우리를 단죄할 때마다" 에 관하여 말하는 1요한 3,20(RSV)에서 처럼, 신약 성경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심장(heart)윤리적 삶의 자리(the seat of the moral life)로서 역할을 합니다. 바로 이것이 왜 성경이 "심장(heart)으로부터 순수한(pure of heart)" (히브리어: bar lebab) 라는 어구에 대단히 관심이 많은 이유입니다. 더욱이, 자연법(the natural law)은 "우리의 심장(heart)들에 새겨져" 있습니다 (로마 2,15, RSV).

Is “Heart Devotion” Biblical?
"성심(Heart) 공경/경례(敬禮)" 는 성경에서 나온 것입니까(biblical)?

 

No doubt, Protestants sometimes take objection to “heart devotion” saying that it is odd to have devotion for a “body part” of Jesus or Mary.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개신교 신자들은 때로는 "성심 공경/경례(敬禮)"에, 예수님 혹은 마리아의 한 개의 "몸의 일부" 를 향하여 공경을 하는 것이 이상하다 라고 말하면서, 이의를 제기합니다. 

 

How do we respond?

 

우리는 어떻게 답변하는지요?

 

The Heart of God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구약 및 신약 성경에 있어 하느님의 심장

 

The theme of “God’s heart” emerges in First Temple Judaism, particularly with the advent of King David – the royal type of our Lord Jesus Christ.

 

"하느님의 심장(God's heart)" 이라는 주제는 첫 번째 성전 유다주의(First Temple Judaism)에서 나오는데, 특히, 우리의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왕다운 전형(royal type)인, 다윗 왕의 출현(advent)과 함께 입니다. 


Although the Jews did not believe that God had a human body, the Scriptures speak as if God had a heart. For example, God seeks holy ones who “seek after his own heart” (1 Sam 13:14).
Likewise, God wants priests who seek the heart of God:

 

비록 유다인들이 하느님께서 한 개의 인간의 몸을 가졌음을 믿지(believe)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성경 본문은 마치 하느님께서 한 개의 심장(a heart)을 가지신 것처럼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하느님께서는 "당신 고유의 심장(heart)을 추구하는" (1사무엘 13,14, RSV) 자들인 거룩한 자(holy ones)들을 찾으십니다. 마찬가지로, 하느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하느님의 심장(the heart of God)을 찾는 사제들을 원하십니다:


“I will raise up for myself a faithful priest, who shall do according to what is in my heart and in my mind” (1 Sam 2:35). Sin wounds the heart of God (Lam. 3:33). God’s heart is also depicted in Hosea 11:8 “my heart recoils within me.”

 

"나는 나 자신을 위하여, 나의 심장(heart)에 있는 바에 따라 그리고 나의 마음(mind)에 있는 바에 따라 마땅히 행할, 한 명의 충실한 사제를 장차 들어올릴(raise up) 것이다." (1사무엘 2,35, RSV). 죄가 하느님의 심장(the heart of God)을 해칩니다(애가 3,33 참조). 하느님의 심장(God's heart)은 또한 호세아서 11,8(RSV)에서 "나의 심장(heart)이 나 안쪽에서 뒷걸음친다" 라고 표사뙵니다.


H.W. Wolff explains, “God’s heart, his free resolve of love, turns against his decision of anger. So Hosea promised that decision in the heart of God which has been sealed for all nations in Jesus Christ.”{1}

 

H.W. Wolff 는 "하느님의 심장(God's heart)인, 사랑(love)에 기인하는 당신의 자유로운 결심(resolve)은 분노(anger)에 기인하는 당신의 결정에 거역합니다. 그래서 호세아(Hosea)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 모든 민족들을 위하여 봉인되어 있었던(has been sealed), 하느님의 심장(the heart of God) 안에 있는 바로 그 결정을 약속하였습니다" 라고 설명합니다{1}


The fact that God was made man in our Lord Jesus Christ fulfills the Old Testament expectation for that tender heart of God toward mankind. No longer is the “heart of God” an anthropomorphic analogy. In Christ, the heart of God lovingly beats for us.

 

하느님께서 우리의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사람(man)을 만드셨다는 사실은 인류를 향하는 하느님의, 바로 그 상처받기 쉬운(tender), 심장(heart)에 대한 예상(expectation)를 구현합니다. 이 "하느님의 심장(heart of God)" 은 이미 한 개의 의인화의 유비(an anthropomorphic analogy)결코 아닙니다(no longer).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의 심장(the heart of God)은 우리를 위하여 애정있게(lovingly) 뛰고 있습니다(beats).


Thus, devotion to the Sacred Heart of Jesus is truly devotion to the Divine Mercy of God. This is why images of the Divine Mercy reveal blood and water flowing from His Sacred Heart. Likewise, devotion to the Immaculate Heart reveals how Mary the Mother of God is also the Mother of Mercy and that her heart is perfectly united to the merciful mission of her Divine Son. As the New Adam and New Eve, the hearts of Jesus and Mary reveal the redemptive love of God for each of us. This is why God is intent in inspire devotion to the Holy Hearts of Jesus and Mary. This is why the message of the Immaculate Heart stands at the center of the messages of Our Lady of Fatima.

 

따라서, 예수 성심(the Sacred Heart of Jesus) 쪽으로 공경/경례(敬禮)(devotion)는 진실로 하느님의 거룩한 자비(the Divine Mercy of God) 쪽으로 공경입니다. 바로 이것이 거룩한 자비의 상(象, images)들이 당신의 성스러운 심장(heart)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피와 물을 드러내는(reveal) 이유입니다. 마찬가지로, [마리아의] 무염 심장(the immaculate Heart) 쪽으로 공경/경례(敬禮)는 어떻게 하느님의 어머니이신 마리아께서 또한 자비의 어머니이신지를 드러내고 그리하여 그녀의 심장(heart)이 거룩하신 아드님의 자비로운 사명에 완미하게(perfectly) 결합되어 있음을 드러냅니다. 새 아담(the New Adam)새 하와(the New Eve)로서(*), 예수님과 마리아의 심장(heart)들은 우리들 각자를 위한 하느님의, 속량하시는, 사랑(the redemptive love of God)을 드러냅니다. 바로 이것이 왜 하느님께서 예수님과 마리아의 거룩한 심장(heart)들 쪽으로 공경/경례(敬禮)를 격려하심에 열심이신 이유입니다. 이것잉 바로 파티마의 우리의 여인(Our Lady of Fatima)의 메시지들의 중심에 무염 심장(heart)의 메시지가 서 있는 이유입니다.

 

-----
(*) 4세기에 들어와 삼위일체 교의가 정식화되기 이전의 시기 동안에 여러 이교도 집단들로부터 그리스도교를 지켜낸 대단히 소중한 한 개의 그리스도교 교의에 근거한 이들 칭호들에 대한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들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recapitulation_of_St_Irenaeus.htm <--- 필독 권고

-----


When Christ was crucified and the spear pierced his Sacred Heart on the cross, so also a sword pierced Mary’s Immaculate Heart. This twin piercing is the hope of all Christians in the last ages. My guess is that this is why there is an increase in devotion and awareness toward the Sacred Heart of Jesus and Immaculate Heart of Mary. The greatest devotion in this regard is First Friday Mass in honor of the Sacred Heart and First Saturday Mass in honor of the Immaculate Heart.

 

그리스도께서 십가자 형을 당하시어 그리하여 그 창이 십자가 위에 계신 당신의 성스러운 심장(heart)을 찔렀을 때에(요한 복음서 19,34 참조), 또한 마찬가지로 한 자루의 칼이 마리아의 무염 심장(heart)을 찔렀습니다(루카 복음서 2,25 참조). 바로 이러한 쌍둥이 찌름(twin piercing)이 마지막 시대에 있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의 희망입니다. 저의 추측은 다음과 같습니다: 바로 이것이 왜 예수님의 성스러운 심장(heart)[즉, 예수 성심] 및 마리아의 무염 심장(heart) 쪽으로 공경/경례(敬禮)와 알아차림에 있어 어떤 증가(an increase)가 있는 이유입니다. 바로 이러한 관점에 있어 가장 커다란 공경/경례(敬禮)가 예수 성심께 경의를 표하기 위한 [매월] 첫금요일(*) 미사와 마리아의 무염 심장(heart)에 경의를 표하기 위한 [매월] 첫토요일 미사에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다음의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성시간(聖時間, Holy Hour)"에 대한 설명도 또한 읽도록 하라: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1764

-----

 

Sacred Heart of Jesus, have mercy on us.
Immaculate Heart of Mary, pity us.

 
예수 성심[예수님의 성스러운 심장(heart)]이시여,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마리아 무염 심장(heart)이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PS: Canterbury Tales blog is solemnly consecrated to the Immaculate Heart of Mary (scroll down to see it).

{1} H. W. Wolff, Anthropology of the OT (Engtr 1974), p. 58.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4시간 (자료 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1,976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