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Josquin des Prez 모테트 Ave Maria 가사 영어 번역문 외 [sacred_music] 822_새하와 974_

인쇄

. [119.194.105.*]

2015-10-24 ㅣ No.1662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11월 12일]

지금 듣고 있는 곡이 바로 이 글의 주제인, 작곡가 Josquin des Prez(1450-1521년)의 모테트 작품 "Ave Maria virgo serena" 의 연주회 실황 녹음입니다.

 

연주 단체: 무지카 사크라 합창단(Musica Sacra Choir of Seoul)

연주 날짜 및 장소: 2015년 10월 26일, 서울대교구 방배동 성당 대성당

[이상, 내용 추가 끝] 

 

질문: 작곡가 Josquin des Prez의 모테트 "Ave Maria" 의 가사로 사용된 성모송 라틴어 기도문은 왜 우리가 요즈음 사용하고 있는 "성모송(Ave Maria)" 기도문과 크게 다른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질문: 작곡가 Josquin des Prez의 모테트 "Ave Maria" 의 가사로 사용된 성모송 라틴어 기도문은 왜 우리가 요즈음 사용하고 있는 "성모송(Ave Maria)" 기도문과 크게 다른지요?

 

질문에 대한 답변 시작

 

1. 들어가면서

1-1. 간략하게 말씀드려, 전반부(즉, 첫 번째 문장과 두 번째 문장)와 후반부(즉, 전구의 기도 문장)로 이루어진 현재 우리가 성모님께 바치는 전구의 기도문인 "성모송(Ave Maria)"의 라틴어 정본은, 16세기 중반에 개최되었던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년) 시기에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 의하여 후반부(즉, 전구의 기도 문장)가 처음으로 마련되어, 이 후반부가 "기존에 이미 존재하고 있던 성경 본문에 근거한 성모송 기도문"에 추가되어 공포된, 기도문입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글[제목: 성모송의 유래와 이 기도문 중의 일부 표현들의 의미, 작성일자: 2012년 11월 25일]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02.htm <----- 필독 권고

 

1-2. 그런데, 작곡가 Josquin des Prez1450년 경에 태어나 1521년에 세상을 떠났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그가 자신의 곡인 "Ave Maria" 를 작곡할 때에 그 가사로 사용된 성모송 기도문은, 바로 위의 제1-1항에 안내된 글에서 자세하게 서술하고 있듯이, 당연히, 현재 우리가 성모님께 바치는 성모송 기도문일 수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제1-1항에 안내된 "성모송(Ave Maria)" 의 역사를 우리말을 사용하는 천주교 신자들이 통 모르고 있다 보니, 예를 들어, 다음의 검색에서 오류(error)의 내용이 담긴 글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Josquin des prez" "성모송" "가사"

 

1-3. 다른 한편으로, 그리스도교 교회의 성모 공경의 역사는 늦더라도 기원후 2세기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므로,(*1) 그리고 또한 위의 제1-1항에 안내된 글에서 말씀드리고 있듯이, "Ave Maria" 로 시작하는, "전반부의 두 개의 기도문들이 성경 구절들의 결합으로 구성된 성모송 기도문" 은 기원후 5세기 혹은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므로, 성모송 기도문의 역사는 대단히 오래 되었다고 아니할 수 없을 것입니다.

 

-----

(*1)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들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new_Eve.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recapitulation_of_St_Irenaeus.htm <----- 필독 권고
-----

 

1-4. 더 나아가, 작곡가 Josquin des Prez(1450-1521년)의 작품인 모테트 "성모송(Ave Maria)" 의 가사로서 사용되고 있는 이 특정한 성모송은, 현재의 성모송 기도문의 첫 번째 문장만이 첫 시작 부분에서 오로지 사용되고 있기에, 이 모테트 곡의 가사로 사용되고 있는 바로 이 성모송 기도문이 마련된 시기와 작자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상당히 힘들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실제로 인터넷 검색을 하여 확인을 하더라도, 다음의 소수의 글들이 붙잡힙니다:

"Ave maria" "josquin" "virgo serena" "version A" "version B"

 

2.

2-1. 다음은, 우리가 노래하는 Josquin des Prez(1450-1521년)의 작품인 모테트 "성모송(Ave Maria)"의 라틴어 본문의 영어 번역문(출처: Mercury Music Corp.)인데, 그러나 상당히 유감스럽게도,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라틴어 본문과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더라도, 전통적인 가톨릭의 기도 정서에 부합되는 바람직한 영어 번역문이 결코 아닌 것 같습니다.

 

독자들께서는 바로 아래에 발췌된 영어 번역문을 아래의 제2-2항에 발췌된 바의 첫 부분에 있는 라틴어 본문과 또한 정밀하게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또한 독자들께서는, 바로 아래에 있는 영어 번역문을, 아래의 제2-2항에 있는 파란 글자의 영어 번역문과도,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우리말 번역문을 참고하면서, 정밀하게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발췌 시작)

Hail Mary, Full of Grace, The Lord is with Thee, Virgin fair.

Hail, Mistress of the Heavens, Mary, full of grace, With heavenly and earthly joy Thou fill's the world.

Hail Thou, whose birth Became our feast, As the morningstar, a rising light, Thou precedest the true sun.

Hail, blessed humility, Inviolate fecundity, Whose Annunciation Became our salvation.

Hail, true virginity, Unspotted chastity, Whose purification Became our expiation.

Hail Thou, who shinest With all angelic virtues, Whose Assumption Became our glorification.

O Mother of God, Be mindful of me. Amen.

(이상, 발췌 끝)

 

2-2.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다음의 영어 번역문[출처: 영국 Brighton Consot]이, 특히 가톨릭 신앙 생활을 하는 청중들에게 전달될 그 내용을 고려할 때에, 바로 위의 제2-1항의 영어 번역문보다 전통적인 가톨릭 정서에 부합하는 훨씬 더 나은 번역문이라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www.brightonconsort.org.uk/concerts/translations/maximilian.htm

(발췌 시작)

Ave Maria virgo serena Josquin

 

Ave Maria gratia plena dominus tecum, virgo serena. 
Ave, coelorum Domina, Maria plena gratia, coelestia, terrestria, mundum replens laetitia.

Ave, cuius nativitas nostra fuit solemnitas, ut lucifer lux oriens verum solem  praeveniens.   
Ave, pia humilitas,  sine viro fecunditas, cuius annuntiatio nostra fuit salvatio.
Ave, vera virginitas, immaculata castitas, cuius purificatio nostra fuit purgatio.
Ave, praeclara omnibus angelicis virtutibus, cuius fuit assumptio nostra glorificatio.
O mater Dei, memento mei. Amen

 

Hail Mary, full of grace the Lord is with thee, O serene Virgin.
Hail, Queen of heaven, Mary full of grace, filling the world with heavenly and earthly joy.
Hail, whose birth brought us joy, as Lucifer, the morning star, went before the true sun.
Hail, pious humility, fruitful without a man, whose annuciation brought us salvation.
Hail, true virginity, immaculate chastity, whose purification brought our cleansing.
Hail, glorious one in all angelic virtues, whose Assumption was our glorification.
O Mother of God, remember me. Amen.

 

(졸번역 시작) 

환호하라, 주님께서 함께 계시는 그분, 오 고귀하신 동정녀, 은총(grace)(*2)이 가득하신 마리아를.

환호하라, 이 세상을 하늘과 땅의 기쁨(joy)(*3)으로 채우시는, 은총이 가득하신 하늘의 여왕(*4)을.

환호하라, 참 태양 직전에 오셨던 샛별 루치페르/루시퍼(Lucifer)로서(*5) 우리에게 기쁨을 가져다 주셨던 당신의 출산을.

환호하라, 그 수태 고지(*6)가 우리에게 구원을 가져다 주었던, 무배(無配)로 열매를 맺은,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충실한(pious)(*7), 겸손을.

환호하라, 그 정화가 우리의 씻음을 가져왔던, 참 동정, 무염(immaculate)(*8) 순결을.

환호하라, 당신의 거룩한 들어올림 받으심(*9)이 우리의 영광이었던, 모든 천사적 덕(virtues)들(*10)에 있어 영광의, 바로 그분을.

오 하느님의 어머니시여, 저를 기억하소서. 아멘.

 

-----

(*2)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주어진 "하느님의 은총(grace)"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55.htm <----- 필독 권고

 

(*3)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교리 용어로서 "기쁨(joy)""즐거움(pleasure, 일락, 逸樂)" 의 차이점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05.htm

 

(*4) 번역자 주: 이 표현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에서 확인된, 약 320개의 성모님에 대한 칭호들 중의 한 개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81.htm

 

(*5) 번역자 주:

(1) 샛별(즉, 금성)을 말하는 "루치페르/루시퍼" 라는 용어의 유래와 사용에 있어서의 변천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에 있다. 클릭한 후에 제4-4-3항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09.htm

 

(2) (중간 결론 1) 그리고 바로 여기서 이 "루치페르/루시퍼" 라는 명칭의 초기의 의미로서의 사용 때문에, Josquin des Prez(1450-1521년)의 작품인 모테트 "성모송(Ave Maria)"의 라틴어 본문이 중세 이전에, 더 나아가 어쩌면 기원후 4세기 이전에, 처음 작성되었을 것이라는 것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이다.

 

(*6) 번역자 주: 여기서 "수태 고지(annunciation)" 는 동정녀 마리아가 예수님을 잉태하게 될 것이라는 대천사 가브리엘의 고지(루카 복음서 1,26-38)를 말한다.

 

(*7) 번역자 주: "pious (pio)" 라는 형용사의 명사형인 "piety (pietas)" 라는 단어의 자구적 의미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들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piety.htm <----- 필독 권고

 

(*8) 번역자 주: 여기서 말하는 "무염(immaculate)" 의 의미는 다음의 글에서 사용 중인 "무염시태(Immaculate Conception)" 에서의 그 의미와 동일하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05.htm <----- 필독 권고

 

(*9) 번역자 주: 여기서 말하는 "거룩한 들어올림 받으심(Assumption)" 은 성모님의 "몽소승천(蒙召昇天)"을 말한다.

 

(*10) 번역자 주: 그리스도교 교회가 전통적으로 가르쳐 온 "덕(virtue)"정의(definition)와 구분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들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70.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2.htm <----- 필독 권고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다음은, 위의 제2항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들여다 본 자료들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Josquin_des_Prez

"Ave maria" "josquin" "gratia plena" "Virgo serena" "ave coelorum" "coelestia" [google 겸색 key words]

http://www.brightonconsort.org.uk/concerts/translations/maximilian.htm
http://www.ntuachorus.org/download.htm
http://www.ntuachorus.org/subpage/lyrics/AveMaria-Prez.doc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3시간

 



1,938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