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암동성당 게시판

나눔의 삶을 살자는 연중 제17주일

인쇄

이상훈 [michaelhun] 쪽지 캡슐

2000-07-29 ㅣ No.356

                             연중 제17주일(나해. 2000. 7. 30)

                                                 제1독서 : 2열왕 4, 42 ∼ 44

                                                 제2독서 : 에페 4, 1 ∼ 6

                                                 복   음 : 요한 6, 1 ∼ 15

 

  사랑하는 형제, 자매 여러분!  한 주간 동안 안녕하셨습니까?

  여러분 밥이나 먹을 것이 없어서 굶어보셨습니까?  배고픔을 참는다는

것은 고통 그 자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특히 배고픔을 모르고 살다가 굶

게 될 때는 더욱더 고통으로  다가옵니다.  한국 국제 기아 대책 기구에서

발표한 기아현황을 보면 ▶1분에 34명(그 중 어린이만 24명), 하루에 5만

명, 1년에 1,800만 명이 단지 먹을 것이 없어서 굶주림과 질병으로 죽어가

고 있습니다.  ▶세계인구의 3/4을 차지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많은 사람들

이 굶주림과 질병으로 고통 당하거나 죽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5년 동안

굶주림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들이 150년에 걸쳐 이 지구상에서 일어난 모

든 전쟁과 유혈혁명 등의 살상으로 인해 죽은 사람들보다 더 많습니다.  ▶

해마다 25만 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비타민 A의 결핍으로 실명하고 있습니

다.  ▶1억 8만 명이 넘는 어린이들이 만성적인 영양부족으로 치명적인 손

상을 입고 살아가야 합니다.  ▶학교에 가야할 시간에 1억 5천만 명의 어린

이가 돈을 벌기 위해 노동을 하며, 힘겨운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세계

인구 1/5이 1달러도 안 되는 돈으로 하루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세계인

구 중 10억의 사람들이 영양결핍으로 각종 장애를 겪고 있으며, 6명 중 1

명 꼴로 굶주림의 고통을 느끼며 잠자리에 든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굶주림에 지쳐 사람들이 죽어 가는데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곡물의 40%

가 선진국의 가축 사료로 쓰이고 있다고 하니 사랑이라는 말, 나눈다는 말이  

무색해 집니다.

 

  굶주림을 없애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굶주림을 조금이라

도 해소하기 위해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은 들지만 어떻게 해야할 지

엄두가 나질 않습니다.  굶주림과 가난은 나라도 어쩔 수 없다고 했는데 말

입니다.  그런데 오늘 복음을 보면 예수님께서 당신에게 큰 군중이 몰려오는

것을 보시고 필립보에게 "이 사람들을 다 먹일 만한 빵을 우리가 어디서 사

올 수 있겠느냐?"하고 말씀하십니다.  이에 필립보는 "이 사람들에게 빵을

조금씩이라도 먹이자면 이 백 데나리온어치를 사온다 해도 모자라겠습니다."

하고 대답합니다.  오늘 제1독서를 보면 엘리사 예언자는 바알살리사에서

온 사람이 내어놓은 보리떡 스무 개와 햇곡식 이삭을 가지고 백 명을 먹었

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복음에서는 아이가 보리빵 다섯 개와 작은 물고기

두 마리를 내어놓았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나누어 먹었는데 먹은 사람이 남

자만 약 오천명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필립보 사도나 보리떡 20개로 어떻

게 100명을 먹일 수 있느냐고 묻던 엘리사의 제자는 인간적인 계산과 방법

으로 해결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늘 이런 실수를 합니다.  주님과 함께 계

시는 것을 잊어버리고 자신의 힘으로만 무언가를 하려는 습관에 빠져 있습

니다.  기적은 하찮은 것, 보잘것없는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주님과 함께

할 때 일어납니다.  아이가 내어놓은 빵 5개와 물고기 2마리나 바알살리사

에서 온 사람이 내어놓은 보리떡 20개는 자신들이 먹기에서 부족한데도 자

신의 것을 내어놓음으로 나눔의 사랑을 실천하는 이들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인간적인 생각을 넘어서는 기적이며 모두의 마

음을 열고 자신들의 것을 함께 나누는 마음을 갖게 합니다.

 

  이로써 우리가 겸손과 온유와 인내를 다하여 사랑으로 서로 너그럽게 대

하며 나눈다면 주님과 하나 될 뿐 아니라 우리 공동체가 진정으로 하나의

공동체가 될 것입니다.  배고픈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고 실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은 오늘 복음의 정신을 잘 실천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또한 우리

주위에는 마음과 영혼이 배고픈 사람들이 많습니다.  정신적으로 멸시를 당

하고, 인간 대접을 받지 못하고 영혼의 배고픔에 시달리는 이들이 많습니다.  

그들과 사랑과 관심을 나눌 때, 우리는 복음의 예수님처럼 사랑의 빵의 기적

을 이루게 됩니다.  우리 공동체, 가족들 그리고 이웃들이 배고픔이 없는 공

동체와 가족이 되도록 서로 나누고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사랑은 나눌수록

더 커진다는 사랑의 신비를 몸소 실천하도록 해야 합니다.



26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