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꼭필독] 성교요지 본문에 필사 과정에서 추가된 한문 주해들 중의 개신교회 성경 용어들의 출처와 기원에 대하여 1242_

인쇄

. [119.194.105.*]

2017-10-26 ㅣ No.1874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74.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1. 들어가면서


1-1.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필사본(이하, "만천유고본 성교요지"라고 불림)에는, 필사 과정에서 필사자(들)에 의하여 추가된, 작은 글씨로 쓰인, 한문 각주들이 붙어 있는데, "성교요지"의 본문을 구성하는 4자성구들에 대한 각주들인, 이들 한문 각주들 중에는, 아무리 빠르더라도, 1814년 이후에 중국에서 출판된 개신교회 측의 한문본 성경들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중국에서 선교사로 활동한 개신교회 측의 선교사들에 의하여 도입된, 개신교회 성경 용어들[즉, 나아(挪亞)(성교요지 제2장의 한문 각주), 피득후서(彼得後書)(성교요지 4,1의 한문 각주), 희률(希律)(성교요지 제6장의 한문 각주), 약단하(約但河)(성교요지 7,3의 한문 각주), 이색열(以色列)(성교요지 9,10의 한문 각주), 이새아(以賽亞)(성교요지 12,1의 한문 각주), 야화화지약궤(耶和華之約匱)(성교요지 14,4의 한문 각주), 우상(偶像)(성교요지 제14장과 제43장의 한문 각주들), 성령(聖靈)(성교요지 제48장의 한문 각주)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2015년 8월 초부터 작성되기 시작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졸글들에서 이들 용어들 중의 일부의 출처들을 찾아서 말씀을 드려왔습니다. 

 

게시자 주 1-1: (1)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제2장의 한문 각주에 등장하는 "方舟(방주)"라는 성경 번역 용어가 "한문 문화권" 천주교회의 고유한 성경 용어임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졸글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69.htm <----- 필독 권고

 

그리고, 이 "한문 문화권" 천주교회의 용어 "方舟(방주)"가 또한 개신교회 측 한문본 성경들에서, 예를 들어, 1863년에 이르면, 舊約 裨治文[브리지만]、克陛存[컬버트슨], 창세기 6,14 에서 사용되고 있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version=&page=17 <----- 클릭하여 필히 확인하라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2&version=&page=17 [(202-01-15) 새 출처]

 

(2) 수원교구 시복시성추진위원회에서 주관한 "성교요지 연구자들의 연구 모임"의 2016년 8월 말경 첫 모임부터 1년 6개월의 기간 동안, 여름방학과 겨울방학 기간이 아닐 경우, 한 달에 한 번씩이었던 정기 모임에 2017년 5월 13일(토)까지 참석한 것으로 기억하는(내용 추가 일자: 2024년 1월 17일), 한시(漢詩)를 전공한 유영봉 교수가 지적한 바에 의하면, 한시(漢詩)의 원 작문자가 자신의 한시(漢詩)의 장/절/단락들의 끝부분에 스스로 각주들을 다는 경우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고 하는데, 그러나,

 

(i) "성교요지"의 본문 어디에도 각주가 전혀 달리지 않은"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아닌, 그리고 그 필사대본이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필사대본보다 더 오래 된 것으로 판단되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그 본문을 읽을 수 있는, 별도의 "성교요지" 필사본(이하, "좌수본 성교요지"라고 부름)이 또한 전해 내려오고 있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754-1785_이벽/성교요지_좌수본vs만천유고본.htm <----- 필독 권고 

 

(ii)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경우에는 총 49개의 장/단락들 각각의 말미에, 심지어 해설/부연 설명까지 하고 있는, 총 49개의 한문 각주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iii) 예를 들어, 또한 참으로 납득하기 힘들게도,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2,15 본문 중의 "方蓋(방개)"에 대한 해당 한문 각주에서 "方蓋(방개)"가 "方舟(방주)"를 말한다는 설명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iv) 그런데 본문에서 애초에, "方蓋(방개)" 대신에, "方舟(방주)"를 사용하면 될텐데, 혹시 운율 때문에 그러지 못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치(倒置)하거나 혹은 다른 단어를 사용하거나 하면 될 일인데, 운율을 대단히 소중하게 생각하는 한시(漢詩)의 작문에 있어, 운율 때문에 부득불 본문에서 "方蓋(방개)"를 사용한 후에 해당 한문 각주에서 "方蓋(방개)"가 "方舟(방주)"를 말한다는 설명을 제시하는 한시(漢詩)가 과연 한시(漢詩)입니까???  

 

[내용 추가 및 내용 보강 일자: 2024-01-17]

(v) 한편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성교요지 2,15의 방개方蓋 라는 단어의 출처는 중국이 아니고 우리나라 조선의 악학궤범樂學軌範(1493년)이며 그 의미는 이 문헌 중의 그림(건고建鼓)이 나타내는 바이다" 제목의 졸고[게시일자: 2019-05-30]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90.htm <----- 꼭 필독 권고

 

그리고 이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성교요지"가 우리나라 조선의 고유한 한문 문화권 바깥에서 결코 작문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vi) 다른 한편으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최근에 들어와 찾아낸 "성요요지"의 내용 출처 및 자구 줄처인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 모두는, 중국에서 청나라 군대가 명나라의 수도인 북경에 진입한 해 1644년 이전인, 명나라 시대에 출판된 문헌들인데, 특히 이들 문헌들은, 아래의 제1-2항에서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는 1791년의 진산 사건 시점부터 그리고 1801년과 그 이후로 지속적으로 약 100년의 기간 동안에 우리나라 조선에서 발생하였던 네 번의 참혹한 천주교 박해들 등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불태워져 사라져버린 문헌들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1807년에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서 최초로 파견된 개신교회 측의 목회자 로버트 모리슨과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파견된 개신교회 측 선교사들에 의하여 성경 본문 전문이 중국어로 처음 번역되기 시작한 1813년 이후의 어느 시점에 들어와, 국내에서 학덕이 높은 양반 출신의  천주교 신자 한 명이, 1790년에 조선에 전달된 북경 구베아 주교의 조상제사 금령 때문에 발생한 1791년 진산사건 이후에, 특히 1801년 신유박해 이후에, 본격적으로 천주교로부터 멀어진 대다수의 조선의 유학자들에게 선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 이미 불태워져 사라진 다수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이 전달하는 내용에 근거하여/의존하여, 매우 격조 높은 고급의 한시인 "성교요지" 본문을 작문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 즉, 불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조상제사를 대단히 존중하는 조선의 유학자들을 천주교 신앙에 입교시키고자 하는 선교 방식/정책 자체가, 1791년 진산사건의 발생과 함께, 이미 무의미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유학자들을 천주교 신앙에 입교시키고자 하는 선교 방식/정책 자체가 유의미한 시절에 작문되었을 고급 한시인 "성교요지"가 우리나라 조선의 고유한 한문 문화권안에서 작문되었을 시기는, 아무리 늦더라도, 1791년 진산사건 이전이었을 것임은 매우 분명하다는 생각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한문 각주/주해들에는 1807년에 처름으로 그리고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진입한 개신교회 측 선교사들에 의하여 1813년과 그 이후에 처음으로 중국어로 번역이 되어 출판된 중국의 개신교회용 중국어본 성경들의 고유한 번역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음은 이미 널리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게시자 주: 다음은 2024-01-17일자 내용 보강 이전의 해당 본문인데, 바로 위에 내용 추가 및 보강된 해당 본문과 비교 검토를 해 보는 것이 독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 싶어, 한 개의 기록으로서 남깁니다:

 

(2024-01-17일자 내용 추가 및 보강 이전의 해당 본문)

(v) 더 나아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최근에 들어와 찾아낸 "성요요지"의 내용 출처 및 자구 줄처인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 모두는, 중국에 청나라가 들어서기 이전인 명나라 시대에 출판된 문헌들로서, 아래의 제1-2항에서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는 1791년의 진산 사건 시점부터 그리고 1801년과 그 이후로 지속적으로 약 100년의 기간 동안에 우리나라 조선에서 발생하였던 네 번의 참혹한 천주교 박해들 등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불태워져 사라져버린 문헌들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1807년에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서 최초로 파견된 개신교회 측의 목회자 로버트 모리슨과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파견된 개신교회 측 선교사들에 의하여 성경 본문 전문이 중국어로 처음 번역되기 시작한 1813년 이후의 어느 시점에 들어와, 국내에서 어떤 이가 이들 이미 불태워져 사라진 다수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이 전달하는 내용에 근거하여/의존하여 "성교요지" 본문을 작문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이상, 2024-01-17일자 내용 추차 및 보강 이전의 해당 본문 보존 끝)

(이상, 게시자 주 끝)

[이상, 2024-01-17 내용 추가 및 보강 끝]

 

(이 글의 결론 1) 그러므로,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한문 각주/주해들의 저자(들)가 결코 "성교요지" 본문의 작문자[이벽 성조]일 수가 없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1-2. 다른 한편으로, "성교요지" 본문의 내용 출처들 및 자구 출처들에 포함되는1583년과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에 의하여 중국에서 출판된, 일곱 권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1)을 필자가 2015년 8월 초부터 처음으로/최초로 찾아내어,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글들을 작성하여, 국내의 그리스도교 신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인터넷 게시글의 양식을 통하여, 보고드려왔는데, 다들 잘 알고 계시겠지만, 이들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은이들이 충국에서 출판되어 조선으로 수입된 한문본 천주교 문헌(한역서학서)들이었기 때문에, 1790년에 북경의 구베아 주교의 조상제사 금령이 윤유일을 통하여 조선의 천주교 신자들에게 전달되어 발생한, 1791년진산 사건이 계기(契機)가 되어 발생한 1791년 신해박해(辛亥迫害) 때부터 대다수의 조선의 유학자들은 천주교를 멀리하게 되엇으며 그리고 이들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을 구하여 읽거나 학습하는 것이 조선 왕조에 의하여 금지되었고, 특히 1801년부터 약 100년 사이에 발생하였던 참혹한 네 번의 천주교 박해(迫害) 사건들 등으로 인하여 모조리 불태워지거나 파괴되어, 심지어 지금까지도 국내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된, 조선 왕조의 금서(禁書)들이었습니다. 특히, 1801년 신유박해 때부터 조선의 임금 순조는 소위 말하는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2)을 적용하여 국내의 천주교를 뿌리째 뽑아 "씨를 남기지 말라"고 하였던 것입니다.

 

-----

[내용 추가 일자: 2017년 12월 11일]

(*1) 게시자 주: 여기서 말하는 "성교요지"의 출처인 일곱 권의 책들(#)에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더 자세한 글을 읽을 수 있는, 이 글을 작성한 후인 최근에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성교요지"의 출처임을 찾아 낸, 아담 샬 신부님에 의하여 저술되어 1643년에 초간된, "주교연기"는 포함되지 않는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76.htm 

 

-----

(#) 게시자 주: "인류원시""방자유전"에 제일 마지막 책으로서 또한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일곱 권의 책들이란 "방자유전""인류원시"를 두 권이 아니고 한 권으로 간주한 경우임.

-----

[이상, 2017년 12월 11일자 내용 추가 끝]

 

(*2)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굿뉴스 서버 제공의 가톨릭대사전에 수록된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다:

 

출처: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2533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

 

   조선시대에 주민 사찰을 위해 제정된 주민조직법의 하나로 5가(家)를 1통(統)으로 하여 통주(統主)를 두고, 5통을 1리(里)로 주민을 조직한 법이다. 만약 부역이나 납세, 징용 등의 의무를 소홀히 할 경우는 통 · 리 단위로 연대책임을 물었다. 이 법은 흉년에 기근을 방지하기 위해 동리에서 음식물을 공동관리 하던 공동체적인 상호부조의 전통에 기원을 둔 듯하나 1458년 한명회(韓明澮)는 저수관개(貯水灌漑)를 원활히 감독, 관리하기 위해 이러한 조직을 채택하였고, 그 뒤 연산군은 1503년 변방지방의 세금징수와 탈주자 방지를 위해 이 조직을 원용하였다. 이것이 국법으로 제정된 것은 1675년(숙종 1년) 때의 일이다. 윤휴(尹-)의 건의를 받아들인 조정은 전국적으로 오가작통법을 적용시키라고 명하였다. 그러나 그 뒤에도 국경지방에 강제 이주된 마을의 주민들만을 상대로 실시되었던 것으로, 이것이 천주교인의 박해를 위해 적용된 것은 1801년(순조 원년) 이후의 일이다. 순조는 1월 10일(음) 전국에 교서를 내려 사학(邪學) 엄금을 명하면서, 오가작통법을 적용하며 만약 통내에 천주교인이 있으면 통주들까지 처벌하여 천주교를 뿌리째 뽑아 씨를 남기지 말라고 하였다. 이로써 신유박해 이후 많은 교우들이 오가작통법의 피해를 받아 잡혀가 순교하였으며, 이 오가작통법천주교의 전교를 막는 데 주된 역할을 하였다. 

(이상, 발췌 끝)

-----

 

1-3. 또다른 한편으로, "조선왕조실록""일성록"에는 다음의 기록들이 남아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8년 7월 13일]

1-3-1. 다음은 1799년(청나라 가경 4년) 11월 17일정조실록에 기록된 서장관(書狀官) 한치응(韓致應)의 별단(別單)에서 발췌한 바입니다:

 

출처: http://sillok.history.go.kr/id/kva_12311017_008

(발췌 시작)

所謂西洋邪敎事, 或與朝紳間酬酢, 則以爲: ‘堂獄之說, 初不過愚惑匹庶之事, 而未始至於浸染蔓熾之境, 近因邦禁之截嚴, 委巷之間, 幾乎止熄’ 云云。

 

이른바 서양(西洋)의 사교(邪敎)[즉, 천주교]에 대한 일을 가지고 더러 [중국 청나라] 조정 관원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는데, 그들이 말하기를 ‘천당(天堂)과 지옥(地獄)에 대한 설은 당초 일반 서민들을 바보스럽게 미혹시키는 데 불과했던 것으로서 처음에는 점점 만연되어 치성해지는 결과에까지는 이르지 않았는데, 요즘 들어서는 국가[주: 중국 청나라를 말함]에서 법으로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민간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하였습니다.

(이상, 발췌 끝)

[이상, 2018년 7월 13일자 내용 추가 끝]

 

1-3-2. 심지어 1806년에 이르면, 중국 청나라 황제 가경제 치세 10년과 11년 시기에 대박해/대교난의 한 결과로서, 중국에서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에 의하여 출판된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이 금서(禁書)들이 되었음은,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우리나라 역관이 조선의 임금에게 보고한 바로서, 순조 6년(1806년) 2월 7일자, 일성록 기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21.htm <----- 필독 권고

 

다음은,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글에서 발췌한 바입니다:

 

(발췌 시작)

게시자 주: 위의 내용과 함께, 중국의 청나라 가경제 치세 10년(1805년) 대박해/대교난 및 가경제 치세 11년(1806년) 당시의 상황에 대하여, 중국천주교순교사, 서양자 수녀, 제200-204쪽, 제204-207쪽을 읽도록 하라.

 

[내용 추가 일자: 2017년 10월 26일]

예를 들어, 다음은 바로 위에 안내된 책의 제200-201쪽에서 발췌한 바이다:

 

(발췌 시작)

가경 10년(1805) 어사 채유옥이 서양 선교사들의 책 출판을 엄금해아 한다고 황제에게 상소하였다. 군기처에서 구베아 주교와 리베리오 신부, 펠레이라 신부 등에게 중국인과 왕래하지 못하게 하고 한문과 만문(만주문자)으로 된 책을 출판하지 못하게 통보하였다. 한문으로 쓴 교회 서적 목록을 적어 내무부 관리당무대신에게 제출하게 하였으며 판목(板木) 일체는 소각하게 하였다.(*)

 

-----

(*) 게시자 주: 이러한 내용들이 위의 제1-3-2항에 안내된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일성록에 수록된, 書狀官(서장관) 尹尙圭 首譯 洪宅福 進聞見別單(별단) 을 통하여, 조선의 임금에게 즉시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이상, 발췌 끝)

[이상, 2017년 10월 26일자 내용 추가 끝]

(이상, 발췌 끝)

 

그러니까 무슨 말씀인고 하면, 1791년 진산 사건으로 시작된 조선의 천주교 박해는, "한문 문화권" 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천주교 박해가 아니라, 사실은 중국 청나라 조정이 천주교 박해를 시작한 지 한참 지난 시점에 와서 우리나라에서 발행한, 따라서 중국 청나라 황제들의 천주교 박해의 한 결과였던 셈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22년 1월 31일]

1791년에 우리나라 조선에서 발생한, 소위 말하는, 진산 사건 후에, 설상가상으로, 중국 청나라에서는 1793-1804년 동안, 소위 말하는, 백련교도(白蓮敎徒)들이 야기한, 대단히 심각한 수준의, 반란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당시의 중국 청나라 조정과 우리나라 조선의 조정, 이들 둘 다는, 천주교를 한 개의 사교 집단인 백련교(白蓮敎)의 한 분파인 것으로 크게 의심을 하였다는 생각입니다. 이 부분은, (i) 우리나라 조선의 조정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1794년 겨울(음력)에 우리나라 조선에 입국하여 조선 반도 안에서 7년간 사목 활동을 하다가 1801년 신유박해가 시작된 후 우리나라 조정에 자수하셨던 중국인 방인 사제이신 주문모 신부님에 대한 문초 기록, 추안 급 국안 73, 제222-223쪽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ii) 중국 청나라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서양자 수녀님의 "중국천주교순교사", 제144쪽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 2022년 1월 31일자 내용 추가 끝]

 

그리고 또한 이 지적과 관련한 바는,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글에서, 더 자세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85.htm <----- 필독 권고

 

중국 청나라 황제들이 출판하거나 학습하는 것을 이미 금지하기 시작한 금서(禁書)인 이들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을, 청나라 왕조에 해마다 조공을 바치는 처지에 있는 조선의 임금들이, 장차 빌미로 삼아 청나라 조정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는 후환(後患) 때문에라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입수하여 학습하는 것을 결코 허락할 수 없었다는 생각입니다.

 

1-4. 따라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 1801년 신유박해를 거치면서, 국내의 천주교 신자들을 극단적으로 탄압하고 죽음으로 내몰기 위하여 바로 이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성교요지" 본문의 내용 출처 및 자구 출처들에 포함되는중국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에 의하여 중국에서 출판된, 필자가 2015년 8월 초부터 처음으로/최초로 찾아낸, 일곱 권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은, 1801년을 기점으로 하여 상당히 짧은 기간이 경과한 후부터, 심지어 국내의 천주교 신자들 사이에서도 더 이상 찾아 볼 수가 없게 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1-5. 그리고 그동안 필자가 유심히 확인한 바에 의하면,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한문 각주들에 있어, 2015년 8월 초부터 필자가 처음으로/최초로 찾아낸 일곱 권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에 의존하여 마련되었다는 흔적은, 이들 한문 각주들의 내용들로부터 찾아 볼 수가 없었습니다.

 

1-6. 그러므로, 바로 위의 제1-2항에서 말씀드린 이들 일곱 권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을 입수하지 못하여 이들 문헌들의 본문을 전혀 실제로 직접 학습하지 못한/않은 국내의 교회사 연구자들 중의 일부가, 중국에서 출판되어 조선으로 수입된 한문본 천주교 문헌(한역서학서)아닌, 우리나라, 즉, 조선에서 저술된, 그러나 또한 우리나라 안에서 책으로 간행된 적이 없었던, 시경(詩經)에 수록된 한시(漢詩) 형식의 한 개의 한시(漢詩)인, "성교요지"의 본문에 서술된 구약 성경 창세기신약 성경 4복음서들의 내용들을 접하고 나서, 이들 유관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을 찾아내어 이들 문헌들에 대한 최소한도의 사료 분석조차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않은 상태에 머물러 있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왜냐하면 1807년에 중국에 최초로 파견된 개신교회 측의 선교사 로버트 모리슨(1782-1834년)에 의하여 성경 본문이 한문으로 번역된 최초 시점이 1814년 - 1823년 경인 것이 분명한 한 개의 역사적 사실이기 때문에, 그러나 오로지 바로 이 사실 한 개에 전적으로 의존하면서, "성교요지"가 최초로 작문된 시점은, 어떠한 경우에도, 바로 이 시기보다 결코 더 이전일 수가 없다는, 따라서, 특히 판단자 자신의 고유한 자유 의지(free will)가 틀림없이 개입된, 한 개의 오류(error)의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을 하여, 그 결과로, (i) "성교요지"이벽 성조(1754-1785년)의 작품일 수가 없다는 오류(error)의 결론을 도출하여, 이에 근거하여, 최근의 수십 년간이라는 상당한 기간에 걸쳐, 이벽 성조의 시복과 시성을 무작정 저지 혹은 방해하였고, 그리고 또한 (ii) 작금에 이르기까지 그러한 잘못된 주장/결론을, 1960년대 초에 처음 시작되어 지금에 이르기까지 유지되고 있는 한글 전용 정책의 시행 결과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상실한 국내의 대부분의 그리스도교 신자들에게 마치 한 개의 진실(즉, 진리인 사실, a true fact)인 양 퍼뜨려 왔던 행위(acts)들은, 참으로 유감이라 아니 말할 수 없습니다.

 

2. 사료 분석


여기에 이르기까지, 이 글의 입문인 제1항이 작성 과정에서 예상 밖으로 길어졌는데, 이번 항에서는, 위의 제1-1항에서 말씀드린,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한문 각주/주해들에서 발견되는, 개신교회 측 중국어본 성경 용어들의 출처들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들여다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8년 5월 4일]

2-1.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제2장의 한문 각주에 등장하는 번역 용어 "挪亞"(창세기 6,9: 노아)의 출처들:

 

출처: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1&chap=6&sec=9&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1&chap=6&sec=9 [2023-07-30]

새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fhl/all_genesis6_9.htm [2023-07-30]

 

1822年聖經新舊約全書,馬殊曼、撒拉爾譯 創世記 5 章 30 節到 7 章 2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10
"나아(挪阿)"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4&version=&page=10 "나아(挪阿)"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3&version=&page=10 "나아(挪阿)" [(2024-01-15) 새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fhl/34_genesis6_9.htm [2023-07-30

http://ch.catholic.or.kr/pundang/4/cb/fhl/33_genesis6_9.htm [(2024-01-15) 새 출처] 

 

1823年神天聖書,馬禮遜[로버트 모리슨]譯 創世記 6 章 5 節到 6 章 12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79&version=&page=21
"뇌아(挼亞)"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version=&page=21 "뇌아(挼亞)"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6&version=&page=21 "뇌아(挼亞)" [(2024-01-15) 새 출처]

 

1855年委辦譯本[대표역본]新舊約全書 創世記 4 章 5 節到 6 章 12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4&version=&page=4
"나아(挪亞)"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4&version=&page=4 "나아(挪亞)"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3&version=&page=4 "나아(挪亞)" [(2024-01-15) 새 출처]

 

1863舊約 裨治文[브리지만]克陛存[컬버트슨] 創世記 5 章 到 7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version=&page=17
"나아(挪亞)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3&version=&page=17 "나아(挪亞)"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2&version=&page=17 "나아(挪亞)" [(2024-01-15) 새 출처]

 

1874年天主版舊約全書施約瑟譯 創世記 5 章 30 節到 8 章 9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0&version=&page=10
"나아(挪亞)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4&version=&page=10 "나아(挪亞)"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3&version=&page=10 "나아(挪亞)" [(2024-01-15) 새 출처]

 

1908年委辦譯本[대표역본] 創世記 4 章 11 節到 6 章 21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5&version=&page=7
"나아(挪亞)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8&version=&page=7 "나아(挪亞)"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7&version=&page=7 "나아(挪亞)" [(2024-01-15) 새 출처]

 

文理和合譯本聖經 1934年 創世記 5 章 到 6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67&version=&page=12
"나아(挪亞)"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6&version=&page=12 "나아(挪亞)"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5&version=&page=12 "나아(挪亞)" [(2024-01-15) 새 출처]

 

2-2.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4,1의 한문 각주에 등장하는 개신교회 측 번역 용어 "彼得後書"(베드로 2서 책 이름)의 출처들:

 

출처: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61&chap=2&sec=1&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61&chap=2&sec=1 [2023-07-30]

 

1822年聖經新舊約全書,馬殊曼、撒拉爾譯 彼得後書 1 章 1 節到 1 章 18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1560
"사도피다라지제2공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4&version=&page=1560 "사도피다라지제2공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3version=&page=1560 "사도피다라지제2공서" [(2024-01-15) 새 출처]

 

1823年神天聖書,馬禮遜[로버트 모리슨]譯 彼得後書 1 章 1 節到 1 章 5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79&version=&page=5222
"성피다라지제2공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version=&page=5223 "성피다라지제2공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6&version=&page=5223 "성피다라지제2공서" [(2024-01-15) 새 출처]

 

1839年救世主耶穌新遺詔書,郭實臘[귀츨라프]譯 彼得後書 1 章 1 節到 1 章 11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3&version=&page=329
"피득라하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1&version=&page=329 "피득라하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0&version=&page=329 "피득라하서" [(2024-01-15) 새 출처]

 

1853年欽定前遺詔聖書,太平天國 彼得後書 1 章 1 節到 1 章 10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408&version=&page=370
"피득라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3&version=&page=370 "피득라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2&version=&page=370 "피득라후서" [(2024-01-15) 새 출처]

 

1853新約全書—上海墨海書館

http://nla.gov.au/nla.obj-49367608/view?partId=nla.obj-49373117#page/n55/mode/1up 

 

1855年委辦譯本[대표역본]新舊約全書 彼得後書 1 章 1 節到 2 章 5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4&version=&page=627
"사도피득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4&version=&page=627 "사도피득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3&version=&page=627 "사도피득후서" [(2024-01-15) 새 출처]

 

1863新約裨治文[브리지만]/ 克陛存[컬버트슨]版 彼得後書 1 章 到 1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5&version=&page=239
"사도피득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239 "사도피득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3&version=&page=239 "사도피득후서" [(2024-01-15) 새 출처]

 

1869年新約全書新鑄銅版,裨治文克陛存譯 彼得後書 1 章 1 節到 2 章 2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00&version=&page=262
"사도피득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41&version=&page=262 "사도피득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40&version=&page=262 "사도피득후서" [(2024-01-15) 새 출처]

 

1872年官話新約全書,大美國聖經會託印 彼得後書 1 章 1 節到 1 章 10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8&version=&page=554
"사도피득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2&version=&page=554 "사도피득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1&version=&page=554 "사도피득후서" [(2024-01-15) 새 출처]

 

1908年委辦譯本[대표역본] 彼得後書 1 章  1 節 到 2 章 5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5version=&version=&page=627
"사도피득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8version=&version=&page=627 "사도피득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7version=&version=&page=627 "사도피득후서" [(2024-01-15) 새 출처] 

 

文理和合譯本聖經 1934年 彼得後書 1 章 到 2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67&version=&page=985
"사도피득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6&version=&page=985 "사도피득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5&version=&page=985 "사도피득후서" [(2024-01-15) 새 출처]

 

2-3.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제6장의 한문 각주에 등장하는 개신교회 측 번역 용어 "希律"(마태오 복음서 2,1: 헤로데)의 출처들:

 

출처: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40&chap=2&sec=1&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40&chap=2&sec=1 [2023-07-30]

 

1823年神天聖書,馬禮遜[로버트 모리슨]譯 馬太福音 2 章 1 節到 2 章 6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79&version=&page=4268
"희라득"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version=&page=4269 "희라득"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6&version=&page=4269 "희라득" [(2024-01-15) 새 출처]

 

1839年救世主耶穌新遺詔書,郭實臘[귀츨라프]譯 馬太福音 1 章 11 節到 2 章 5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3&version=&page=3
"희라득"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1&version=&page=3 "희라득"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0&version=&page=3 "희라득" [(2024-01-15) 새 출처]

 

1853年欽定前遺詔聖書,太平天國 馬太福音 1 章 20 節到 2 章 2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408&version=&page=12
"희라득"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3&version=&page=12 "희라득"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2&version=&page=12 "희라득" [(2024-01-15) 새 출처]

 

1853新約全書—上海墨海書館

http://nla.gov.au/nla.obj-49367608/view?partId=nla.obj-49367916#page/n3/mode/1up "희률"

 

1855年委辦譯本[대표역본]新舊約全書 馬太福音 2 章 1 節到 4 章 18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4&version=&page=492
"희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4&version=&page=492 "희률"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3&version=&page=492 "희률" [(2024-01-15) 새 출처]

 

1863新約裨治文[브리지만]/ 克陛存[컬버트슨]版 馬太福音 2 章 到 2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5&version=&page=6
"희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6 "희률"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3&version=&page=6 "희률" [(2024-01-15) 새 출처]

1869年新約全書新鑄銅版,裨治文克陛存譯 馬太福音 1 章 25 節到 3 章 3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00&version=&page=9
"희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41&version=&page=9 "희률"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40&version=&page=9 "희률" [(2024-01-15) 새 출처]

 

1872年官話新約全書,大美國聖經會託印 馬太福音 1 章 17 節到 2 章 1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8&version=&page=7
"희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2&version=&page=7 "희률"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1&version=&page=7 "희률" [(2024-01-15) 새 출처]

 

1908年委辦譯本[대표역본] 馬太福音 2 章 1 節到 4 章 21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5&version=&page=491
"희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8&version=&page=491 "희률"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7&version=&page=491 "희률" [(2024-01-15) 새 출처]

 

文理和合譯本聖經 1934年 馬太福音 1 章 到 2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67&version=&page=775
"희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6&version=&page=775 "희률"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5&version=&page=775 "희률" [(2024-01-15) 새 출처]

 

2-4.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7,3의 각주에 등장하는 개신교회 측 번역 용어 "約但河"(마태오 복음서 3,6: 요르단 강)의 출처들:

 

출처: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40&chap=3&sec=6&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40&chap=3&sec=6 [2023-07-30]

 

1823年神天聖書,馬禮遜[로버트 모리슨]譯 馬太福音 3 章 8 節到 3 章 14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79&version=&page=4273
"약이단"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version=&page=4273 "약이단"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6&version=&page=4273 "약이단" [(2024-01-15) 새 출처]

 

1839年救世主耶穌新遺詔書,郭實臘[귀츨라프]譯 馬太福音 3 章 3 節到 4 章 7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3&version=&page=5
"약이단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1&version=&page=5 "약이단하"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0&version=&page=5 "약이단하" [(2024-01-15) 새 출처]

 

1853年欽定前遺詔聖書,太平天國 馬太福音 3 章 10 節到 3 章 17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408&version=&page=16
"약이단"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3&version=&page=16 "약이단"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2&version=&page=16 "약이단" [(2024-01-15) 새 출처]

 

1853新約全書—上海墨海書館

http://nla.gov.au/nla.obj-49367608/view?partId=nla.obj-49368114#page/n5/mode/1up "약단"

 

1855年委辦譯本[대표역본]新舊約全書 馬太福音 2 章 1 節到 4 章 18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4&version=&page=492
"약단"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4&version=&page=492 "약단"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3&version=&page=492 "약단" [(2024-01-15) 새 출처]

 

1863新約裨治文[브리지만]/ 克陛存[컬버트슨]版 馬太福音 2 章 到 4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5&version=&page=7
"약단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7 "약단하"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3&version=&page=7 "약단하" [(2024-01-15) 새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813년이후_한문본_개신교회용_성경들/약단하_in_마태오3_6_in_1863_브리지만(裨治文)&칼버트슨(克陛存)_역_중국어본_신약성경.jpg

 

1869年新約全書新鑄銅版,裨治文克陛存譯 馬太福音 3 章 4 節到 4 章 16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00version=&version=&page=10
"약단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41&version=&page=10 "약단하"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40&version=&page=10 "약단하" [(2024-01-15) 새 출처]

 

1872年官話新約全書,大美國聖經會託印 馬太福音 3 章 6 節到 3 章 17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8version=&version=&page=10
"약단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2&version=&page=10 "약단하"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1&version=&page=10 "약단하" [(2024-01-15) 새 출처]

 

1908年委辦譯本[대표역본] 馬太福音 2 章 1 節到 4 章 21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5version=&version=&page=491
"약단"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8&version=&page=491 "약단"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7&version=&page=491 "약단" [(2024-01-15) 새 출처]

 

文理和合譯本聖經 1934年 馬太福音 3 章 到 5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67&version=&page=777
"약단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6&version=&page=777 "약단하"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5&version=&page=777 "약단하"  [(2024-01-15) 새 출처]

 

2-5.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9,10의 한문 각주에 등장하는 개신교회 측 번역 용어 "以色列"(창세기 32,29: 이스라엘)의 출처들:

 

출처: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1&chap=32&sec=29&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1&chap=32&sec=29 [2023-07-30]

 

1822年聖經新舊約全書,馬殊曼、撒拉爾譯 創世記 32 章 8 節到 32 章 29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46
"이색이勒"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4&version=&page=46 "이색이勒"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3&version=&page=46 "이색이勒" [(2024-01-15) 새 출처]

 

1823年神天聖書,馬禮遜[로버트 모리슨]譯 創世記 32 章 25 節到 32 章 32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79&version=&page=154
"이색이이勒"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version=&page=154 "이색이이勒"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6&version=&page=154 "이색이이勒" [(2024-01-15) 새 출처]

 

1855年委辦譯本[대표역본]新舊約全書 創世記 32 章 8 節到 34 章 11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4&version=&page=19
"이색열"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4&version=&page=19 "이색열" [2023-07-30]

 

1863舊約 裨治文[브리지만]克陛存[컬버트슨] 創世記 32 章 到 34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version=&page=43
"이색열"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3&version=&page=43 "이색열"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2&version=&page=43 "이색열" [(2024-01-15) 새 출처]

 

1874年天主版舊約全書施約瑟譯 創世記 32 章 16 節到 34 章 7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0&version=&page=27
"이색열"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4&version=&page=27 "이색열"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3&version=&page=27 "이색열" [(2024-01-15) 새 출처]

 

1908年委辦譯本[대표역본] 創世記 32 章 5 節到 34 章 10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5version=&version=&page=21
"이색열"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8&version=&page=21 "이색열"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7&version=&page=21 "이색열" [(2024-01-15) 새 출처]

 

文理和合譯本聖經 1934年 創世記 32 章 到 34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67&version=&page=35
"이색열"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6&version=&page=35 "이색열"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5&version=&page=35 "이색열" [(2024-01-15) 새 출처]

 

2-6.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12,1의 한문 각주에 등장하는 개신교회 측 번역용어 "以賽亞"(이사야 예언자의 이름)의 출처들:

 

출처: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23&chap=1&sec=1&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23&chap=1&sec=1 [2023-07-30]

 

1822年聖經新舊約全書,馬殊曼、撒拉爾譯 以賽亞書 1 章 1 節到 1 章 17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898
"선지이새아지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4&version=&page=898 "선지이새아지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3&version=&page=898 "선지이새아지서" [(2024-01-15) 새 출처]

 

1823年神天聖書,馬禮遜[로버트 모리슨]譯 以賽亞書 1 章 1 節到 1 章 4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79&version=&page=3080
"선지이새아지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version=&page=3081 "선지이새아지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6&version=&page=3081 "선지이새아지서 [(2024-01-15) 새 출처]

 

1855年委辦譯本[대표역본]新舊約全書 以賽亞書 1 章 1 節到 1 章 22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4&version=&page=355
"이새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4&version=&page=355 "이새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3&version=&page=355 "이새아서"  [(2024-01-15) 새 출처]

 

1863舊約 裨治文[브리지만]、克陛存[컬버트슨] 以賽亞書 1 章 到 1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version=&page=708
"이새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3&version=&page=708 "이새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2&version=&page=708 "이새아서" [(2024-01-15) 새 출처]

 

1874年天主版舊約全書施約瑟譯 以賽亞書 1 章 1 節到 2 章 12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0&version=&page=397
"이새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4&version=&page=397 "이새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3&version=&page=397 "이새아서" [(2024-01-15) 새 출처]

 

1908年委辦譯本[대표역본] 以賽亞書 1 章 1 節到 1 章 23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5&version=&page=350
"이새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8&version=&page=350 "이새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7&version=&page=350 "이새아서" [(2024-01-15) 새 출처]

 

文理和合譯本聖經 1934年 以賽亞書 1 章 到 1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67&version=&page=562
"이새아서"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6&version=&page=562 "이새아서"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46&version=&page=562 "이새아서" [(2024-01-15) 새 출처]

 

2-7.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14,4의 한문 각주에 등장하는 개신교회 측 번역 용어 "耶和華之約匱"(민수기 10,33: 주님의 계약 궤)의 출처들:

 

출처: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4&chap=10&sec=33&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4&chap=10&sec=33 [2023-07-30]

 

1822年聖經新舊約全書,馬殊曼、撒拉爾譯 民數記 10 章 18 節到 10 章 36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195
"야가화지약상(야賀화之約箱)"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4&version=&page=195 "야가화지약상(야賀화之約箱)"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3&version=&page=195 "야가화지약상(야賀화之約箱)" [(2024-01-15) 새 출처]

 

1823年神天聖書,馬禮遜[로버트 모리슨]譯 民數記 10 章 32 節到 10 章 36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79&version=&page=684
"신주계증지상(神主契証之箱)"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version=&page=684 "신주계증지상(神主契証之箱)"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6&version=&page=684 "신주계증지상(神主契証之箱)" [(2024-01-15) 새 출처]

 

1853年舊遺詔聖書創世記-民數記,太平天國癸好3年 民數記 10 章 23 節到 11 章 6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32&version=&page=166
"황상제지법상"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9&version=&page=166 "황상제지법상"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8&version=&page=166 "황상제지법상" [(2024-01-15) 새 출처]

 

1855年委辦譯本[대표역본]新舊約全書 民數記 9 章 18 節到 11 章 14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4&version=&page=74
"야화화지법계"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4&version=&page=74 "야화화지법계"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3&version=&page=74 "야화화지법계" [(2024-01-15) 새 출처]

 

1863舊約 裨治文[브리지만]克陛存[컬버트슨] 民數記 10 章 到 11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version=&page=153
"야화화지약궤"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3&version=&page=153 "야화화지약궤"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2&version=&page=153 "야화화지약궤" [(2024-01-15) 새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813년이후_한문본_개신교회용_성경들/야화화지약궤_in_민수10_33_in_1863_브리지만(裨治文)&칼버트슨(克陛存)_역_중국어본_구약성경.jpg

 

1865年舊約創世記至士師記,裨治文克陛存譯 民數記 10 章 33 節到 11 章 31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1&version=&page=108
"야화화지약궤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32&version=&page=108 "야화화지약궤"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31&version=&page=108 "야화화지약궤" [(2024-01-15) 새 출처] 

 

1874年天主版舊約全書施約瑟譯 民數記 10 章 4 節到 11 章 18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0&version=&page=94
"주적법계"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4&version=&page=94 "주적법계"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3&version=&page=94 "주적법계" [(2024-01-15) 새 출처] 

 

舊約文理 1904 委辦譯本[대표역본] 民數記 10 章 到 11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version=&page=75  "야화화지법궤"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43&version=&page=75  "야화화지법궤"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3&version=&page=75  "야화화지법궤" [(2024-01-15) 새 출처] 

 

文理和合譯本聖經 1934年 民數記 10 章 到 11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67&version=&page=125
"야화화지약궤"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6&version=&page=125 "야화화지약궤"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5&version=&page=125 "야화화지약궤" [(2024-01-15) 새 출처] 

 

2-8.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제14장제43장의 한문 각주들에 등장하는 개신교회 측 번역 용어 "偶像"(탈출기 20,4: 우상)의 출처들:

 

출처: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2&chap=20&sec=4&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2&chap=20&sec=4 [2023-07-30]

 

1822年聖經新舊約全書,馬殊曼、撒拉爾譯 出埃及記 19 章 24 節到 20 章 24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105
"塑偶(소우)"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4&version=&page=105 "塑偶(소우)"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3&version=&page=105 "塑偶(소우)" [(2024-01-15) 새 출처] 

 

1823年神天聖書,馬禮遜[로버트 모리슨]譯 出埃及記 20 章 3 節到 20 章 10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79&version=&page=350
"조각적상"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version=&page=350 "조각적상"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6&version=&page=350 "조각적상" [(2024-01-15) 새 출처] 

 

1853年舊遺詔聖書創世記-民數記,太平天國癸好3年 出埃及記 19 章 11 節到 20 章 5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32&version=&page=110
"우상"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9&version=&page=110 "우상"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8&version=&page=110 "우상" [(2024-01-15) 새 출처] 

 

1855年委辦譯本[대표역본]新舊約全書 出埃及記 18 章 26 節到 21 章 6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4&version=&page=40
"우상"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4&version=&page=40 "우상"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3&version=&page=40 "우상" [(2024-01-15) 새 출처] 

 

1863舊約 裨治文[브리지만]克陛存[컬버트슨] 出埃及記 19 章 到 21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version=&page=81
"우상"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3&version=&page=81 "우상"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2&version=&page=81 "우상" [(2024-01-15) 새 출처]

 

1865年舊約創世記至士師記,裨治文[브리지만]、克陛存[컬버트슨]譯 出埃及記 18 章 24 節到 20 章 11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1&version=&page=55
"우상"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32&version=&page=55 "우상"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31&version=&page=55 "우상" [(2024-01-15) 새 출처]

 

1874年天主版舊約全書施約瑟譯 出埃及記 19 章 23 節到 21 章 27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0&version=&page=53
"우상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4&version=&page=53 "우상"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3&version=&page=53 "우상" [(2024-01-15) 새 출처]

 

舊約文理 1904 委辦譯本[대표역본] 出埃及記 19 章 到 21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version=&page=42
"우상"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43&version=&page=42 "우상"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42&version=&page=42 "우상" [(2024-01-15) 새 출처]

 

文理和合譯本聖經 1934年 出埃及記 19 章 到 20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67&version=&page=68
"우상"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6&version=&page=68 "우상"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5&version=&page=68 "우상" [(2024-01-15) 새 출처]

 

게시자 주 2-8: 신상(神像), 우상(偶像) 등의 번역 용어들의 출처와 기원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졸글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66.htm <----- 필독 권고 

 

2-9.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제48장의 한문 각주에 등장하는 개신교회 측 번역 용어 "聖靈"(마태오 복음서 28,19: 성령)의 출처들:

 

출처: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40&chap=28&sec=19&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40&chap=28&sec=19 [2023-07-30]

 

1822年聖經新舊約全書,馬殊曼、撒拉爾譯 馬太福音 28 章 7 節到 28 章 20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1265
"성풍"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4&version=&page=1265 "성풍"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3&version=&page=1265 "성풍" [(2024-01-15) 새 출처]

 

1823年神天聖書,馬禮遜[로버트 모리슨]譯 馬太福音 28 章 18 節到 28 章 20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79&version=&page=4404
"성풍"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version=&page=4405 "성풍"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6&version=&page=4405 "성풍" [(2024-01-15) 새 출처]

 

1839年救世主耶穌新遺詔書,郭實臘[귀츨라프]譯 馬太福音 28 章 17 節到 28 章 20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3&version=&page=45
"성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1&version=&page=45 "성신"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0&version=&page=45 "성신" [(2024-01-15) 새 출처]

 

1853新約全書—上海墨海書館

http://nla.gov.au/nla.obj-49367608/view?partId=nla.obj-49373117#page/n55/mode/1up "성신"

 

1855年委辦譯本[대표역본]新舊約全書 馬可福音 1 章 1 節到 1 章 34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14&version=&page=509
"성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4&version=&page=509 "성신"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3&version=&page=509 "성신" [(2024-01-15) 새 출처]

 

1863新約裨治文[브리지만]/ 克陛存[컬버트슨]版 馬太福音 27 章 到 28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5&version=&page=33
"성령"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4&version=&page=33 "성령"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23&version=&page=33 "성령" [(2024-01-15) 새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813년이후_한문본_개신교회용_성경들/성령_in_마태오28_19_in_1863_브리지만(裨治文)&칼버트슨(克陛存)_역_중국어본_신약성경.jpg

 

1869年新約全書新鑄銅版,裨治文克陛存譯 馬太福音 27 章 59 節到 28 章 20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00version=&version=&page=41
"성령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41&version=&page=41 "성령"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40&version=&page=41 "성령" [(2024-01-15) 새 출처]

 

1872年官話新約全書,大美國聖經會託印 馬太福音 28 章 11 節到 28 章 20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78version=&version=&page=78
"성령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2&version=&page=78 "성령"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51&version=&page=78 "성령" [(2024-01-15) 새 출처]

 

1908年委辦譯本[대표역본] 馬太福音 27 章 41 節到 28 章 20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5&version=&page=506
"성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8&version=&page=506 "성신"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267&version=&page=506 "성신" [(2024-01-15) 새 출처]

 

文理和合譯本聖經 1934年 馬太福音 27 章 到 28 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67&version=&page=801
"성신"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6&version=&page=801 "성신"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355&version=&page=801 "성신" [(2024-01-15) 새 출처]

 

게시자 주 2-9: (i) "한문 문화권" 천주교회의 고유한 용어인 "성신"의 출처 및 기원과, (ii) 바로 위에서 고찰하였듯이, 개신교회 측의 일부 한문본 성경들에서 "성신" 용어가 "성령" 용어로 교체된 이유 등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졸글들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50.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51.htm <----- 필독 권고  

 

[내용 추가 일자: 2018년 8월 8일]

2-10.

2-10-1. 우선적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제1, 2, 3, 31, 33, 35, 36, 39, 42, 44, 48장들한문 각주들에 등장하는 "上主"(상주)라는 용어가, 영어로 "Lord"로 번역되고 우리말로 "주님"으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Adonai", 그리스어 "Kyrios"에 대응하는, 특히, "강생하신 주님"(즉, 성자 하느님)이신 예수님이 아니고,  "높은 하늘에 계신 주님"(즉, 성부 하느님)을 가리키는, "한문 문화권"의 천주교회의 고유한 차용(借用) 번역 용어임에 대한 졸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42.htm <----- 필독 권고

 

2-10-2.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제1, 2, 3, 31, 33, 35, 36, 39, 42, 44, 48장들한문 각주들에 등장하는 "上主"(상주)라는 천주교회의 고유한 용어가 언제부터 개신교용 한문본 성경들에서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지에 대한 확인:

 

출처 1: [마태오 복음서 1,22]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40&chap=1&sec=22&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40&chap=1&sec=22 [2023-07-30]

출처 2: [루카 복음서 1,46] https://bible.fhl.net/ob/sob.php?book=all&chineses=42&chap=1&sec=46&submit=%E6%9F%A5%C2%A0%E8%A9%A2 

새출처: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42&chap=1&sec=46 [2023-07-30]

 

1839年救世主耶穌新遺詔書,郭實臘[귀츨라프]譯 馬太福音 1 章 11 節到 2 章 5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3&version=&page=3 (마태오 복음서 1,22)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1&version=&page=3 (마태오 복음서 1,22)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0&version=&page=3 (마태오 복음서 1,22) [(2024-01-15) 새 출처]

 

1839年救世主耶穌新遺詔書,郭實臘[귀츨라프]譯 路加福音 1 章 41 節到 1 章 79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93&version=&page=75 (루카 복음서 1,46)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1&version=&page=75 (루카 복음서 1,46)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70&version=&page=75 (루카 복음서 1,46) [(2024-01-15) 새 출처]

 

1853年欽定前遺詔聖書,太平天國 馬太福音 1 章 20 節到 2 章 2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408&version=&page=12 (마태오 복음서 1,22)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3&version=&page=12 (마태오 복음서 1,22)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2&version=&page=12 (마태오 복음서 1,22) [(2024-01-15) 새 출처]

 

1853年欽定前遺詔聖書,太平天國 路加福音 1 章 37 節到 1 章 69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408&version=&page=136 (루카 복음서 1,46)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3&version=&page=136 (루카 복음서 1,46)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2&version=&page=136 (루카 복음서 1,46) [(2024-01-15) 새 출처]

 

1853年新遺詔聖書,馬太傳福音,太平天國癸好3年 馬太福音 1 章 20 節到 2 章 13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13&version=&page=4 (마태오 복음서 1,22)
https://bible.fhl.net/new/ob.php?book=89&version=&page=4 (마태오 복음서 1,22)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88&version=&page=4 (마태오 복음서 1,22) [(2024-01-15) 새 출처]

 

1856年新約全書四福音使徒行傳,南京官話譯本,麥都思、施敦力合譯 馬太福音 1 章 1 節到 2 章 9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14&version=&page=2 (마태오 복음서 1,22)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5&version=&page=2 (마태오 복음서 1,22)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4&version=&page=2 (마태오 복음서 1,22) [(2024-01-15) 새 출처]

 

1857年南京官話譯本初版 馬太福音 1 章 19 節到 2 章 23 節
https://bible.fhl.net/new/ob.php?book=90&version=&&page=4 (마태오 복음서 1,22)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10&version=&&page=4 (마태오 복음서 1,22) [2023-07-30]  

https://bible.fhl.net/new/ob.php?book=109&version=&&page=4 (마태오 복음서 1,22) [(2024-01-15) 새 출처]

[이상, 2018년 8월 8일자 내용 추가 끝]

 

3. 사료 분석의 결과들

 

바로 위의 제2항에서 수행한 사료 분석으로부터 다음의 결론들을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3-1. 다음과 같은 (이 글의 결론 1) 은 위의 게시자 주 1-1에 있습니다:

 

(발췌 시작)

(2) "성교요지" 연구자들의 모임에 참석한 한시(漢詩)를 전공한 교수가 지적한 바에 의하면, 한시(漢詩)의 원 작문자가 자신의 한시(漢詩)의 장/절/단락들의 끝부분에 스스로 각주들을 다는 경우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고 하는데, 그러나,

 

(i) "성교요지"의 본문 어디에도 각주가 전혀 달리지 않은"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아닌, 그리고 그 필사대본이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필사대본보다 더 오래 된 것으로 판단되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그 본문을 읽을 수 있는, 별도의 "성교요지" 필사본(이하, "좌수본 성교요지"라고 부름)이 또한 전해 내려오고 있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754-1785_이벽/성교요지_좌수본vs만천유고본.htm <----- 필독 권고  

 

(ii)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경우에는 총 49개의 장/단락들 각각의 말미에, 심지어 해설/부연 설명까지 하고 있는, 총 49개의 한문 각주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iii) 또한 참으로 납득하기 힘들게도,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 2,15 본문 중의 "方蓋(방개)"에 대한 해당 한문 각주에서 "方蓋(방개)"가 "方舟(방주)"를 말한다는 설명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iv) 그런데 본문에서 애초에, "方蓋(방개)" 대신에, "方舟(방주)"를 사용하면 될텐데, 혹시 운율 때문에 그러지 못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치(시키거나 혹은 다른 단어를 사용하거나 하면 될 일인데, 운율을 대단히 소중하게 생각하는 한시(漢詩)의 작문에 있어, 운율 때문에 부득불 본문에서 "方蓋(방개)"를 사용한 후에 해당 한문 각주에서 "方蓋(방개)"가 "方舟(방주)"를 말한다는 설명을 제시하는 한시(漢詩)가 과연 한시(漢詩)입니까???  

 

[내용 추가 및 내용 보강 일자: 2024-01-17]

(v) 한편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성교요지 2,15의 방개方蓋 라는 단어의 출처는 중국이 아니고 우리나라 조선의 악학궤범樂學軌範(1493년)이며 그 의미는 이 문헌 중의 그림(건고建鼓)이 나타내는 바이다" 제목의 졸고[게시일자: 2019-05-30]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90.htm <----- 꼭 필독 권고

 

그리고 이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성교요지"가 우리나라 조선의 고유한 한문 문화권 바깥에서 결코 작문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vi) 다른 한편으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최근에 들어와 찾아낸 "성요요지"의 내용 출처 및 자구 줄처인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 모두는, 중국에서 청나라 군대가 명나라의 수도인 북경에 진입한 해 1644년 이전인, 명나라 시대에 출판된 문헌들인데, 특히 이들 문헌들은, 아래의 제1-2항에서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는 1791년의 진산 사건 시점부터 그리고 1801년과 그 이후로 지속적으로 약 100년의 기간 동안에 우리나라 조선에서 발생하였던 네 번의 참혹한 천주교 박해들 등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불태워져 사라져버린 문헌들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1807년에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서 최초로 파견된 개신교회 측의 목회자 로버트 모리슨과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파견된 개신교회 측 선교사들에 의하여 성경 본문 전문이 중국어로 처음 번역되기 시작한 1813년 이후의 어느 시점에 들어와, 국내에서 학덕이 높은 양반 출신의  천주교 신자 한 명이, 1790년에 조선에 전달된 북경 구베아 주교의 조상제사 금령 때문에 발생한 1791년 진산사건 이후에, 특히 1801년 신유박해 이후에, 본격적으로 천주교로부터 멀어진 대다수의 조선의 유학자들에게 선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 이미 불태워져 사라진 다수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이 전달하는 내용에 근거하여/의존하여, 매우 격조 높은 고급의 한시인 "성교요지" 본문을 작문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 즉, 불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조상제사를 대단히 존중하는 조선의 유학자들을 천주교 신앙에 입교시키고자 하는 선교 방식/정책 자체가, 1791년 진산사건의 발생과 함께, 이미 무의미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유학자들을 천주교 신앙에 입교시키고자 하는 선교 방식/정책 자체가 유의미한 시절에 작문되었을 고급 한시인 "성교요지"가 우리나라 조선의 고유한 한문 문화권안에서 작문되었을 시기는, 아무리 늦더라도, 1791년 진산사건 이전이었을 것임은 매우 분명하다는 생각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한문 각주/주해들에는 1807년에 처름으로 그리고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진입한 개신교회 측 선교사들에 의하여 1813년과 그 이후에 처음으로 중국어로 번역이 되어 출판된 중국의 개신교회용 중국어본 성경들의 고유한 번역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음은 이미 널리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게시자 주: 다음은 2024-01-17일자 내용 보강 이전의 해당 본문인데, 바로 위에 내용 추가 및 보강된 해당 본문과 비교 검토를 해 보는 것이 독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 싶어, 한 개의 기록으로서 남깁니다:

 

(2024-01-17일자 내용 추가 및 보강 이전의 해당 본문)

(v) 더 나아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최근에 들어와 찾아낸 "성요요지"의 내용 출처 및 자구 줄처인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 모두는, 중국에 청나라가 들어서기 이전인 명나라 시대에 출판된 문헌들로서, 아래의 제1-2항에서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는 1791년의 진산 사건 시점부터 그리고 1801년과 그 이후로 지속적으로 약 100년의 기간 동안에 우리나라 조선에서 발생하였던 네 번의 참혹한 천주교 박해들 등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불태워져 사라져버린 문헌들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1807년에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서 최초로 파견된 개신교회 측의 목회자 로버트 모리슨과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파견된 개신교회 측 선교사들에 의하여 성경 본문 전문이 중국어로 처음 번역되기 시작한 1813년 이후의 어느 시점에 들어와, 국내에서 어떤 이가 이들 이미 불태워져 사라진 다수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이 전달하는 내용에 근거하여/의존하여 "성교요지" 본문을 작문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이상, 2024-01-17일자 내용 추차 및 보강 이전의 해당 본문 보존 끝)

(이상, 게시자 주 끝)

[이상, 2024-01-17 내용 추가 및 보강 끝]

 

(이 글의 결론 1) 그러므로, 지금 고찰한 바로부터,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한문 각주들의 저자(들)가 결코 "성교요지" 본문의 작문자[이벽 성조]일 수가 없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이상, 발췌 끝)

 

3-2. (이 글의 결론 2) 바로 위의 제2항에 제시된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는 한문 각주들에서 "성교요지" 본문의 내용 출처 및 자구 출처인 한문본 천주교 교리서/호교서 문헌들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음으로부터, "성교요지"의 작문자[이벽 성조]가 이미 학습한 한문본 성경들 및 유관 성경 내용들을 서술하고 있는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의 존재 자체를, 이들 한문 각주들을 마련한 필사자(들)가 전혀 알지 못하였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왜냐하면, (i) 위의 제1항에 제시된 이유들 뿐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ii)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총 49개의 장/단락들 중에서 바로 위의 제2항에 제시된 장/단락들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한문 각주들 중의 이들 한문본 성경 번역 용어들은, 최근에 들어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처음으로/최초로 발견된, "성교요지" 본문의 내용 출처들 및 자구 출처들인 한문본 천주교 교리서/호교서 문헌들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는, 개신교회 측의 한문본 성경 번역 용어들이기 때문입니다.

 

3-3. 위의 제2항에서 수행된 실증적인(positively) 사료 분석에 의하여 바로 위의 제3-2항에서 도출된 (이 글의 결론 2)한 개의 따름 정리(a corollary)로서, 다음의 결론을 도출합니다:

 

(이 글의 결론 3) 따라서, "1863년 혹은 그 이후의 어느 시점에 '성교요지'가 최초로/처음으로 작문되었다"는 일체의 주장은 명백한 오류(error)인, 거짓인(false) 주장이며, 따라서 어불성설임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왜냐하면,

 

(이 글의 결론 4)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졸글에 구체적으로 나열된, 총 아홉 권(#)"성교요지"의 내용 출처 및 자구 출처 문헌들의 유관 단락들을 사전에 학습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들이 근거로서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되고 있는 "성교요지"의 본문 중의 무려 약 20개의 4자성구들 중의 일부는, "성교요지" 본문의 전후 문맥 안에서, 작문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 게시자 주: "인류원시""방자유전"에 제일 마지막 책으로서 또한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아홉 권의 책들이란 "방자유전""인류원시"를 구분하여 두 권 책들로 간주한 경우임.

-----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70.htm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다음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필자에 의하여 독자적으로, 처음으로/최초로, 발견되고 또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된 "성교요지"내용 출처 자구 출처들의 목록입니다:

 

성교요지 2,1 아벨 출처: 천주강생성경직해천주강생인의, 2016년 1월 9일자 1669번 글 

성교요지 2,17 거78[혹은 거87] 출처: 인류원시, 2016년 7월 25일자 1709번 글

성교요지 14,4 납재기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시경, 2016년 7월 25일자 1710번 글

성교요지 2,2 양제신심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6년 8월 1일자 1711번 글

성교요지 3,7-8 화 회수서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6년 8월 2일자 1713번 글

성교요지 4,1 친영피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6년 8월 2일자 1714번 글

성교요지 12,1-4 산편새설 - 예계말기 출처: 천주강생인의, 2016년 8월 5일자 1715번 글

성교요지 29,15 감람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내용 출처) 및 직방외기, 2016년 8월 9일자 1716번 글

성교요지 9,10 사주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내용 출처), 2016년 8월 11일자 1717번 글

성교요지 9,11 적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천주강생인의, 2016년 8월 11일자 1718번 글

 

성교요지 제1장 출처: 인류원시천주성교실록, 2016년 8월 31일자 1720번 글 및 2017년 9월 8일자 1857번 글

성교요지 3,16 서내산 출처: 직방외기, 2016년 9월 11일자 1722번 글

성교요지 5,5 회연감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6 12월 25일자 1739번 글

성교요지 14,13 우 출처: 천주성교실록, 2017년 1월 29일자 1766번 글

만천유고에 수록된 십계명가 출처: 천주성교실록(내용 출처 및 형식 출처) 2017년 1월 31일자 1767번 글

성교요지 17,7-8 합조목 출처: 교요해략 및 천주강생인의, 2017년 3월 7일자 1784번 글

성교요지 22,7-8 전만려양 주고궁창 출처: 천주강행언행기략 혹은 천주강생성경직해 (둘 다 내용 출처), 그리고 시경, 2017년 4월 11일자 1801번 글

성교요지 29,14 엽비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7년 4월 14일자 1802번 글 (자구 첫 발견자: 김학렬 신부)

성교요지 29,3 극관두대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7년 4월 18일자 1803번 글

성교요지 29,4 편요 출처: 천주강생성경직해, 2017년 4월 18일자 1804번 글

성교요지 29,9 엄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7년 4월 27일자 1805번 글

성교요지 28,16 앙모관부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7년 4월 27일자 1806번 글

성교요지 29,6 의염 출처: 천주강생성경직해(시편 69,22 한유)("갈"의 내용 출처 및 자구 출처; "의염"의 내용 출처), 2017년 4월 28일자 1807번 글

성교요지 5,1 모씨 출처: 방자유전(자구 출처), 2017년 7월 25일자 1845번 글

 

[내용 추가 일자: 2018년 4월 30일]

성교요지 3,5-6 등간우3 윤출어5 출처: 주교연기, 2017년 11월 5일자 1876번 글

성교요지 3,7-8 출처: 주교연기(내용 출처), 2018년 2월 25일자 1902번 글 

성교요지 5,1-6 출처: 주교연기, 2018년 3월 28일자 1913번 글 

성교요지 1,19-2,14 출처: 주교연기, 2018년 3월 28일자 1912번 글

[이상, 2018년 4월 30일자 내용 추가 끝]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3-3: (1)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밑줄이 그어진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이 그 내용 출처들 및 자구 출처들로 제시된 "성교요지"의 해당 4자성구들 중에는, 위에 제시된 밑줄이 그어진 문헌들을 사전에 학습하지 않고서는, 사용된 한자 낱글자들만을 읽고서는 해당 4자성구를 전후 문맥 안에서 유의미하게 해석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뿐만이 아니라, 그러한 4자성구 자체의 작문이 도저히 불가능한 4자성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4자성구들과 전후 유관 문맥들이 지금 지적한 바에 해당할 것입니다:

 

성교요지 2,1 아벨 출처: 천주강생성경직해천주강생인의, 2016년 1월 9일자 1669번 글 

성교요지 2,17 거78[혹은 거87] 출처: 인류원시, 2016년 7월 25일자 1709번 글

성교요지 3,7-8 화 회수서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6년 8월 2일자 1713번 글

성교요지 12,1-4 산편새설 - 예계말기 출처: 천주강생인의, 2016년 8월 5일자 1715번 글

성교요지 9,11 적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천주강생인의, 2016년 8월 11일자 1718번 글

성교요지 제1장 출처: 인류원시천주성교실록, 2016년 8월 31일자 1720번 글 및 2017년 9월 8일자 1857번 글

성교요지 5,5 회연감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6 12월 25일자 1739번 글

성교요지 17,7-8 합조목 출처: 교요해략 및 천주강생인의, 2017년 3월 7일자 1784번 글

성교요지 29,14 엽비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7년 4월 14일자 1802번 글 (자구 첫 발견자: 김학렬 신부)

성교요지 29,3 극관두대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7년 4월 18일자 1803번 글

성교요지 29,4 편요 출처: 천주강생성경직해, 2017년 4월 18일자 1804번 글

성교요지 29,6 의염 출처: 천주강생성경직해(시편 69,22 한유)("갈"의 내용 출처 및 자구 출처; "의염"의 내용 출처), 2017년 4월 28일자 1807번 글

성교요지 3,5-6 등간우3 윤출어5 출처: 주교연기, 2017년 11월 5일자 1876번 글

성교요지 5,1-6 출처: 주교연기, 2018년 3월 28일자 1913번 글

 

(2) 특히, 다음의 경우들은, 성경 내용 및 윤리와 관련하여, 바로 위에 나열된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되는 경우들 중에서 가히 절대적입니다(absolute):

 

성교요지 2,1 아벨 출처: 천주강생성경직해천주강생인의, 2016년 1월 9일자 1669번 글 

성교요지 2,17 거78[혹은 거87] 출처: 인류원시, 2016년 7월 25일자 1709번 글

성교요지 3,7-8 화 회수서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6년 8월 2일자 1713번 글

성교요지 9,11 적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천주강생인의, 2016년 8월 11일자 1718번 글

성교요지 제1장 출처: 인류원시천주성교실록, 2016년 8월 31일자 1720번 글 및 2017년 9월 8일자 1857번 글

성교요지 5,5 회연감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6 12월 25일자 1739번 글

성교요지 17,7-8 합조목 출처: 교요해략 및 천주강생인의, 2017년 3월 7일자 1784번 글

성교요지 29,14 엽비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7년 4월 14일자 1802번 글 (자구 첫 발견자: 김학렬 신부)

성교요지 29,3 극관두대 출처: 천주강생언행기략, 2017년 4월 18일자 1803번 글

성교요지 29,4 편요 출처: 천주강생성경직해, 2017년 4월 18일자 1804번 글

성교요지 29,6 의염 출처: 천주강생성경직해(시편 69,22 한유)("갈"의 내용 출처 및 자구 출처; "의염"의 내용 출처), 2017년 4월 28일자 1807번 글

성교요지 3,5-6 등간우3 윤출어5 출처: 주교연기, 2017년 11월 5일자 1876번 글

성교요지 5,1-6 출처: 주교연기, 2018년 3월 28일자 1913번 글

(이상, 게시자 주 3-2 끝)

(이상, 이 글의 결론 4 끝)

 

3-4. (이 글의 결론 5) (i) 바로 위의 제2항에서 실증적으로 고찰한 바와, (ii) "만천유고"에 수록되지 않은, 단독으로 전해지고 있는, 좌수본 "성교요지"(*)의 본문 어디에도 한문 각주가 전혀 없다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되는 사실에 의하여, "만천유고"에 수록된 한시(漢詩)인 "성교요지"의 총 49개의 장/단락들 중에서 바로 위의 제2항에 제시된 장/단락들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한문 각주들은, (i) 아무리 빠르더라도 1863년 혹은 그 이후의 어느 시점에, (ii) 결코 "성교요지"의 작문자[이벽 성조]일 수가 없는 필사자(들)에 의하여, 마련되었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

(*)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필사본인 좌수본 "성교요지" 전문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754-1785_이벽/성교요지_좌수본vs만천유고본.htm

-----

 

3-5. (이 글의 결론 6) 만약에, 바로 위의 제2항에 제시된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는 한문 각주들을 저술한 동일한 필사자(들)에 의하여,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나머지 한문 각주들이 또한 저술되었다면, "만천유고"에 수록되지 않은, 단독으로 전해지고 있는, 좌수본 "성교요지"의 본문 어디에도 한문 각주가 전혀 없다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되는 사실 때문에, (i) "만천유고"에 수록된 "성교요지"의 한문 각주들은, 아무리 빠르더라도 1863년 혹은 그 이후의 어느 시점에, (ii) 결코 "성교요지"의 작문자[이벽 성조]일 수가 없는 필사자(들)에 의하여, 마련되었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게시자 주 3-5: (1)  바로 위에서 도출된 (이 글의 결론 6)과 관련하여, 위의 제3-1항에 발췌된, (이 글의 결론 1)을 또한 반드시 읽도록 하라.

 

[내용 추가 일자: 2019년 8월 19일]

(2) 본글에 이어지는 글들로서, (i) "성교요지"의 본문이 중국에서 작문될 수 없음, (ii) 만천유고본 "성교요지"의 한문 주해/주석들은 중국에서 작문되었음, 등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필자의 졸글들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으니,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라도, 여러 번 꼭 정독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90.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91.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96.htm <----- 필독 권고

[이상, 2019년 8월 19일자 내용 추가 끝]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667 2

추천

Sun_T_SOH,1863_비치문裨治文,방주,방개,조선의방개,조선의건고,악학궤범,성령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