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사야는 이새지파 아닌가? _781가톨릭성가98

인쇄

. [218.236.113.*]

2007-12-21 ㅣ No.780

 
 
질문:
 
가톨릭성가 제98번 1절 가사에서,
 
이  새 의 지 파 에
 
가 무슨 뜻인지요?
 
--------------------
 
오늘(2007.12.20) 성가대 연습할 때에, 옆자리 않으신 성가대 봉사를 매우 오래 모범적으로 해 오신 분께서, 가톨릭성가 제98번을 펼치고는 대뜸 저에게,
 
"이사야가 누구더라?"
 
"이사야는 이새지파 아닌가?"
 
하는 질문을 저에게 주셨습니다.
 
 
질문 주신 분께서는 "지파" 단어를 보고는, 언뜻 "이스라엘 백성의 12 부족"을 연상하는 듯 한데, 전혀 아닙니다. 
 
 
그래서, "이사야는 구약의 대 예언자"이라는 말씀을 드리고는,
 
위의 질문이 재미있는 질문이다 싶어 다른 성가대원들께도 여쭈었더니,
 
다들 멀뚱 멀뚱 하면서, 답이 없었읍니다.
 
한 분께서, "전에도 같은 질문이 나왔고 다들 모르던데..."하면서, "혹시 잇빨 사이.. 아닙니까?" 하는 농담을 합니다.
 
대단히 실례되는 질문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 글을 읽으시는 형제, 자매님들께서는 위 질문에 대한 답을 알고 계시는지요?
 
 
 
가사 내용도 모르고 그냥 열과 성을 다하여 불러 대는 성가..
 
"주님만 알아들으시면 괜찮다.." 뭐 이 말씀도 틀린 것은 아니지만,
 
우선 가사 내용을 알아야만 그 내용을 노래의 선율에 얹어 배달 사고 없이 잘 전달할 수 있는데..
 
하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어,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
 
 
우선 이 질문의 정답을 말씀드리기 전에, 위와 같은 질문을 받았을 때에 통상적으로 즉시 생각하게 될 것 같은 연상 한 두가지를 살펴 보기로 합니다.
 
가. 우선 띄어쓰기를 살펴 보면, 다음 중 어느 것이 맞는지요?
 
(1) 이 새의 지파에
 
(2) 이 새 의지파에
 
(3) 이새 의지 파에
 
(4) 이새의 지 파에
 
(5) 이새의 지파에
 
나. 두번째로 자구해석을 해보면, 다음 중 어느 것이 맞는지요?
 
(1) 이 새 = this bird
 
(2) 이 새 = 이 사이
 
(3) 이새 = 이사이
 
(4) 의지 = will
 
(5) 지파 = branch
 
(6) 이 새 = 잇빨 사이
 
 
이런 종류의 연상 끝에 위의 질문에 대한 정답을 찾아 내신 분이 계시다면 그분은 정말 대단하신 분이십니다..^^
 
.
.
.
.
.
.
.
. 
1. 이제 정답에 접근하기 위하여, 우선 가톨릭성가 제98번 (제목: 이사야 말씀하신 그 나무등걸)의 가사 모두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너무 너무 좋은 내용의 가사인 것을 단번에 알 수 있습니다:
 
성가가사

   1) 이사야 말씀하신 그 나무 등걸에 새 가지 돋아 났네 이새의 지파에 꽃송이 피었네 엄동의 한밤 중에 눈 속에 피었네

   2) 예언자 말씀같이 장미의 고운 순 티없이 순결하신 동정마리아께 천주의 뜻대로 거룩한 예수 아기 탄생하셨도다

   3) 비천한 외양간에 탄생한 구세주 어머니 품에 안겨 평안히 쉬도다 우리 형제들아 탄생한 천상 아기 어서 경배하세

   4) 천사가 알린 말씀 목동이 듣고서 베들레헴 구유 위에 구세주 뵈었네 목동의 믿음을 우리도 본을 받아 주님을 뵈옵자

 
 
 2. 이 성가의 가사 1절은 이사야서 11,1를 원용하고 있습니다.
 
(이사야 11,1) 이사이의 그루터기에서 햇순이 돋아나고 그 뿌리에서 새싹이 움트리라.
 
이들 98번 성가 가사들이 하나같이 성탄을 기다리고 있는 내용이므로,
 
아! 대림 시기와 관련된 내용이겠구나.. 하는 짐작이 되실 것입니다..^^
 
3. 1969년2월14일자로 바오로 6세 교황님에 의하여 공포되었고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에 의하여 개편된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에 의하면, 이사야서 11,1-10은, 가해 대림 제2주일의 제1독서입니다.
 
4. 이 정도에 이르면, "이새가 나무 이름인가?" 하는 질문을 하게 될 것입니다.
 
"성탄을 기다리면서 웬 나무?" 하는 생각이 드시는 분께서는, 아! 사람 이름일 수도 있겠다.. 하는 추측을 하게 될 것입니다. 성경 말씀에는 비유가 많으니까요..
 
5. 그러면 " '이새'는 누구이며 '이사이'는 누구인가?" 하는 질문을 하게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으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겠습니다.
 
5-1. 이사야는 구약의 대 예언자이다.
 
5-2. 이사야와 이새는 다른 사람이다.
 
왜냐하면 대 예언자 이사야가 자신에 대한 예언을 할 리가 없으므로..
 
여기에 이르면, "이새는 누구며 이사이는 또 누구지?" 하는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겠는데...
 
6. (정답) "이새와 "이사이"는 동일 인물인, 구약 성경의 다윗 왕(King David)의 아버지 "제시(Jesse)"의 우리말 표현입니다. 
 
영어로 Jesse라는 이름의 우리말 표현이,
 
"예세"도 아닌 "이새",
 
더 나아가, 어떤 이유 때문인지 모르지만, "이사이", 뭐 이렇게 표기되었으니..
[히브리어로 Yíšay(이사이) 라고 발음하는 것을, 이 글을 올린 후에, 추가로 알게 되었습니다.]
 
가톨릭성가 제98번 1절 가사의 내용을, 성가 연습할 때에, 누군들 그자리에서 즉각 쉽게 알아 볼 수가 있겠는지요?
 
이 말씀을 들은 성가대원 자매님 분께서 저에게, 신기해 하는 눈빛과 함께, "어떻게 이런 것을 알고 있느냐?"는 질문을 주시더군요. 이 질문에 대하여서, 저로서는 어떻게 드릴 적절한 답이 없어, 그냥 웃고 말았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2월 26일]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해 대림 제2주일 제1독서(이사야 11,1-10)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대단히 좋은 내용이므로, 되도록 많은 분들을 필독을 권고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adv_2.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7. 성탄을 준비하면서 가정이나 본당에 크리스마스 나무를 준비하는데, 사실은 크리스몬 나무(Chrismon Tree)나 이새 나무(Jesee tree)를 준비하여야 합니다. 이들 나무들의 차이점에 대하여서는, 다음을 클릭하여, 몇 년 전에 올려드린 글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국내 가톨릭계 및 개신교 측도 잘 모르고 있는, 그러나 유럽과 미국에서는 너무나 다들 잘 알고 있는, Chrismon tree(크리스몬 나무) 및 Jesse tree(이새 나무)에 대하여 알게 되면, 다윗 왕의 아버지인 이사이(이새, Jesse)에 대하여 저절로 알게 될 것입니다.
 
 
...
 크리스몬 나무(Chrismon Tree)에 대한 관습은 너무나 유명한데, 이 나무는 그리스도의 가계(家系) 및 그의 삶과 죽음 그리고 부활의 다양한 삶을 상징한다. 이 나무는 대림절 기간에 장식되고 세워지게 되는데 이를 통해 그리스도의 전 삶을 회상하게 한다. 크리스몬 나무와 같이 이새의 나무도 이 땅에 오신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갖가지 상징으로 장식된다.
 
또 하나 이새의 나무(Jesse Tree)가 있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가계(家系)를 나타내는 나무이다. 이사야 11:1의 말씀인 “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 구절은 이 나무의 기원을 짐작하게 한다.
...
 
 
...
 
In Church art a design developed showing the relationship of Jesus with Jesse and other biblical personages. This design showed a branched tree growing from a reclining figure of Jesse. The various branches had pictures of other Old and New Testament figures who were ancestors of Jesus. At the top of the tree were figures of Mary and Jesus. This design was used mostly in stained glass windows in some of the great medieval cathedrals of Europe. The Cathedral of Chartres (which was dedicated in 1260) has a particularly beautiful Jesse Tree window.
 
...
 
 
The oldest complete Jesse Tree window is in Chartres Cathedral, 1145. 
 가장 오래된 이새 나무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은 프랑스 노틀댐 Chartres 대성당에 있다(1145년).
 
8. 그런데 크리스몬 트리이건 크리스마스 트리이건, 빨간 사과(Apple)가 꼭 등장하는데,  이것 또한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라틴어 사전 들여다 보면 확인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중세의 예술에서는 무화과 대신 사과(Apple)가 금단의 열매로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는 동음이의어에 근거한 재담(말 재치)에 착안한 것이다. (사과와 악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가 모두 'malum'이다).
 
...
 
출처: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엮은이: 소순태,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904 6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