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함 대신에 함의 아들인 가나안이 저주받은 이유는? - 창세기 9,18-25 [성경공부] [확답불가능]

인쇄

[175.115.214.*]

2012-02-28 ㅣ No.1178


제목: 함 대신에 함의 아들인 가나안이 저주받은 이유는? 1)

다음은 창세기 9,18-27입니다:

(발췌 시작)
셈과 함과 야펫
18 방주에서 나온 노아의 아들은 셈과 함과 야펫이다. 함은 가나안의 조상이다. 
19 이 셋이 노아의 아들인데, 이들에게서 온 땅으로 사람들이 퍼져 나갔다.
20 농부인 노아는 포도밭을 가꾸는 첫 사람이 되었다. 
21 그가 포도주를 마시고 취하여 벌거벗은 채 자기 천막 안에 누워 있었다.
22 그때 가나안의 조상 함이 자기 아버지의 알몸을 보고, 밖에 있는 두 형제에게 알렸다. 
23 셈과 야펫은 겉옷을 집어 둘이서 그것을 어깨에 걸치고 뒷걸음으로 들어가, 아버지의 알몸을 덮어 드렸다. 그들은 얼굴을 돌린 채 아버지의 알몸을 보지 않았다. 
24 노아는 술에서 깨어나 작은아들이 한 일을 알고서, 
25 이렇게 말하였다. “가나안은 저주를 받으리라. 그는 제 형제들의 가장 천한 종이 되리라.”
26 그는 또 말하였다. “셈의 하느님이신 주님께서는 찬미받으소서. 그러나 가나안은 셈의 종이 되어라.
27 하느님께서는 야펫에게 자리를 넓게 마련해 주시고 셈의 천막들 안에서 살게 해 주소서. 그러나 가나안은 야펫의 종이 되어라.”
28 노아는 홍수가 있은 뒤에 삼백오십 년을 살았다. 
29 노아는 모두 구백오십 년을 살고 죽었다.
(이상, 발췌 끝)

     우선, 위의 성경 구절에서 "가나안의 조상"으로 번역된 표현을 NAB(New American Bible)에서는 "the father of Canaan"으로 번역하였는데, 창세기 10,6에 의하면, 가나안은 함의 네 명의 아들들 중의 한 명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조상"이란 "아버지"를 말함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위의 성경 구절은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상의 어느 요일의 제1독서로 발췌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습니다. 2)

     두 번째로,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은 "주석 성경"의 주석, NAB의 주석 3), NABRE(New American Bible Revised Edition)의 주석 4) 등에 주어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NABRE의 주석에는 가나안 사람들에 대한 결과론적인 언급은 주어져 있습니다.

     세 번째로, 심지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문헌들/자료들을 검색해 보아도 위의 질문에 대한 언급은 없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습니다. 5)

     네 번째로, 유다 백과사전에 주어진 '가나안'에 대한 설명 중의 '노아의 저주'에 대한 설명도 추정을 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9)

이상 살펴본 바로부터,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그리 쉽지 않은 것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로, 창세기 9,25에 대한 1859년판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6) 에 주어진 주석의 우리말 번역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25절. 가나안은 저주받으리라.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들의 축복뿐만이 아니라 저주는 예언적이며, 그리하여 이것은 장차 가나안 땅을 소유하게 될 자들인 이스라엘의 자녀들을 위하여 특히 모세에 의하여 여기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무슨 이유로 가나안이 자신의 아버지의 과오 때문에 저주를 받아야만 할까요? 그 당시에 소년이었던 그가 자신의 할아버지의 벌거벗은 모습을 보았던 첫 번째 사람이었으며, 그리고 이 모습에 대하여 자신의 아버지에게 말하였으며, 그리고 이 모습에 대한 조롱에 자신의 아버지와 함께 합류하였는데, 그리하여 바로 이것이, 함(Cham)의 나머지 자녀들 위에 대신에, 그의 위에 이러한 예언적 저주가 내렸다고 히브리인들은 답변합니다. (Challoner) --- Theodoret, q. 57. 셈의 자녀들은, 여호수아(Josue) 하에서 많은 수의 가나안 사람들을 처형할 때에, 바로 이 형벌을 집행하였습니다. (Worthington) --- 그들은, 하느님께서 예견하셨던, 그리고 노아(Noe)에게 드러내었던, 자신들 고유의 사악함 때문에 소멸하였습니다. 함은 자신의 자녀들의 불행에 대한 바로 이러한 비난에 의하여 심하게 벌을 받았습니다. Milton, xi. 754. xii. 27, 그리고 신명기 9,4를 보라. (Haydock).

참고: 1611년에 King James Version이 영국 성공회측에 의하여 초판 발행되기 전에, 이미 영어권에서 사용 중이었던 가톨릭용 영어 성경인 Douay-Rheims Bible에 George Leo Haydock 신부 7) 가 주석을 첨부하여 1811년에 초판 발행된 이 가톨릭 성경 주석서는, 1970년에 주석이 달린 NAB(New American Bible)이 초판 출판될 때까지 널리 사용되었던 가톨릭 주석 성경으로서 영어권에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 주석이,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잘 제공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의 입장처럼 8), 위의 질문과 같은, 특히 창세기 제12장 이전의 어떤 구절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에 주어지는 답변은 아무래도 추정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할 것입니다.

----------
번역자 주:
1. 위의 우리말 번역문에 대한 저작권은 아래의 번역자에게 있으며, 위의 요약문
   의 전문은 다음의 우리말 번역문 출처에 있습니다.
   우리말 번역문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78.htm
2. 원문 출처: http://catholic-resources.org/Lectionary/1998USL.htm
3. 원문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genesis/genesis9.htm
4. 원문 출처: http://www.usccb.org/bible/genesis/9
5. 검색 결과: 교황청 홈페이지 구글 검색 결과
6. 원문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336.html
7. 참고 자료: http://en.wikipedia.org/wiki/George_Leo_Haydock
8. 참고 자료: http://www.newadvent.org/cathen/03569b.htm
9. 원문 출처: http://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3955-canaan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


<< 본글 전문 >>

+ 찬미 예수님

이글에서는 다음의 질문에 대하여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목: 함의 아들인 가나안이 저주받은 이유는? 1)

다음은 창세기 9,18-27입니다:

(발췌 시작)
셈과 함과 야펫
18 방주에서 나온 노아의 아들은 셈과 함과 야펫이다. 함은 가나안의 조상이다. 
19 이 셋이 노아의 아들인데, 이들에게서 온 땅으로 사람들이 퍼져 나갔다.
20 농부인 노아는 포도밭을 가꾸는 첫 사람이 되었다. 
21 그가 포도주를 마시고 취하여 벌거벗은 채 자기 천막 안에 누워 있었다.
22 그때 가나안의 조상 함이 자기 아버지의 알몸을 보고, 밖에 있는 두 형제에게 알렸다. 
23 셈과 야펫은 겉옷을 집어 둘이서 그것을 어깨에 걸치고 뒷걸음으로 들어가, 아버지의 알몸을 덮어 드렸다. 그들은 얼굴을 돌린 채 아버지의 알몸을 보지 않았다. 
24 노아는 술에서 깨어나 작은아들이 한 일을 알고서, 
25 이렇게 말하였다. “가나안은 저주를 받으리라. 그는 제 형제들의 가장 천한 종이 되리라.”
26 그는 또 말하였다. “셈의 하느님이신 주님께서는 찬미받으소서. 그러나 가나안은 셈의 종이 되어라.
27 하느님께서는 야펫에게 자리를 넓게 마련해 주시고 셈의 천막들 안에서 살게 해 주소서. 그러나 가나안은 야펫의 종이 되어라.”
28 노아는 홍수가 있은 뒤에 삼백오십 년을 살았다. 
29 노아는 모두 구백오십 년을 살고 죽었다.
(이상, 발췌 끝)

1. 우선, 위의 성경 구절에서 "가나안의 조상"으로 번역된 표현을 NAB(New American Bible)에서는 "the father of Canaan"으로 번역하였는데, 창세기 10,6에 의하면, 가나안은 함의 네 명의 아들들 중의 한 명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조상"이란 "아버지"를 말함이 분명합니다[번역 미숙/오류].

그리고 위의 성경 구절은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상의 어느 요일의 제1독서로 발췌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습니다. 2)

2. 두 번째로,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은 "주석 성경"의 주석, NAB의 주석 3), NABRE(New American Bible Revised Edition)의 주석 4) 등에 주어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NABRE의 주석에는 가나안 사람들에 대한 결과론적인 언급은 주어져 있습니다. 다음은 교황청 유관부서로부터 개인 학습용으로 승인된 NABRE의 창세기 9,18-27에 대한 주석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9:18–27] The character of the three sons is sketched here. The fault is not Noah’s (for he could not be expected to know about the intoxicating effect of wine) but Ham’s, who shames his father by looking on his nakedness, and then tells the other sons. Ham’s conduct is meant to prefigure the later shameful sexual practices of the Canaanites, which are alleged in numerous biblical passages. The point of the story is revealed in Noah’s curse of Ham’s son Canaan and his blessing of Shem and Japheth.

[9,18-27] 세 명의 아들들의 특징들이 여기에 스케치되어 있습니다. 이 과오는 (노아가 포도주의 취하게 하는 효과에 관하여 알고 있을 것이 예상될 수 없기에) 노아(Noah)의 몫이 아니라, 그의 벌거벗은 상태를 바라봄으로써 자신의 아버지를 부끄러워하게 하고, 그러고 나서 다른 아들들에게 말한 자인, 함(Ham)의 몫입니다. 함의 처신은, 성경의 다수의 구절들에서 증언되고 있는, 이후의 가나안 사람들의 성에 관한 부끄러운 관습들을 예표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4-1) 이 이야기의 요점은 함의 아들인 가나안에 대한 노아의 저주와 셈과 야펫에 대한 그의 축복으로 드러내어지고 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세 번째로, 심지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문헌들/자료들을 검색해 보아도 위의 질문에 대한 언급은 없는 것으로 파악이 되고 있습니다. 5)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8월 6일]

4. 네 번째로, 아래에 발췌한, 유다 백과사전에 주어진 '가나안'에 대한 설명 중의 '노아의 저주'에 대한 설명도 추정을 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9)

(발췌 시작)
Curse of Noah.

노아의 저주
 
Concerning the curse of Noah upon Canaan, the Midrashim endeavored in different ways to give a solution to the question why Canaan had to suffer for the sins of his father. The old explanation was that Canaan, not Ham, though he had in no sense transgressed against his grandfather, had to be cursed by him because God had blessed Noah and his sons; and wherever the blessing of God rests there can be no curse (R. Judah, Gen. R. l.c.; Justin Martyr, "Dial. cum Tryph." cxxxix.). This explanation, however, was found to be defective; for it was contrary to Jewish sentiment to curse an innocent man; hence the new assertion that Canaan, like his father, transgressed against Noah.

가나안에 대한 노아의 저주와 관련하여, 미드라쉬(Midrashim)들은 10) 가나안이 자신의 아버지의 죄들 때문에 왜 고통을 겪어야 하느냐는 의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서로 다른 방식으로 노력하였습니다. 오래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함이 아니라 가나안이, 비록 그가 어떠한 의미로도 자신의 할아버지에 반하여 침범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노아에 의하여 저주를 받아야만 하였는데 이는 하느님께서 이미 노아와 그의 아들들을 이미 축복하였으며, 그리고 하느님의 축복이 어디에 내렸든지간에 거기에는 어떠한 저주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R. Judah, Gen. R. l.c.; Justin Martyr, "Dial. cum Tryph." cxxxix.).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결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가나안이, 자신의 아버지처럼, 노아에 반하여 침범하였다는 새로운 주장은  때묻지 않는 사람(an innocent man)을 저주하는 데에 대한 유다인들의 정서(sentiment)에 반하였기 때문입니다.

There are different views as to the nature of Canaan's transgression. According to one, Canaan circulated the report that he saw Noah naked; another view is that he emasculated him that he should have no more sons (Gen. R. l.c.; Origen and Ephraem Syrus on Gen. x. 24, 25; more elaborated, in Pirḳe R. El. xxiii.).

가나안의 침범의 본성에 관하여 서로 다른 견해들이 있습니다. 그 중 한 개에 의하면 노아가 벌거벗은 것을 자신이 보았다는 소문을 가나안이 퍼뜨렸다는 것이며, 그리고 또다른 견해는 노아가 더 이상의 아들들을 가지지 못하도록 가나안이 노아를 거세하였다는 것입니다 (Gen. R. l.c.; Origen and Ephraem Syrus on Gen. x. 24, 25; more elaborated, in Pirḳe R. El. xxiii.).

Canaan the Father of Slaves.

종/노예들의 아버지 가나안.
 
Through the curse which Canaan brought upon himself, the low condition of slaves (Canaan's descendants) is to be explained; for parents exercise a strong influence, for good or for evil, upon the fate of their offspring. "Wo unto the sinners," comments a Midrash, "who bring evil upon themselves, their children, their children's children; in fact, upon all the generations that follow." Many of the sons of Canaan were worthy of being ordained as rabbis; but the guilt of their father barred them from such a career (Yoma 87a). God, however, is different from man. Man seeks to deprive his enemies of the means of subsistence; but God, though He cursed Canaan, made him a slave, that he might eat and drink of that which his master possessed (ib. 75a).

가나안이 자기 자신 위에 초래하였던 바로 그 저주를 통하여, (가나안의 후손들인) 종/노예들의 저급한 상태(low condition)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것입니다: 부모들은, 선(good)에 대하여 혹은 악(evil)에 대하여, 자신들의 자녀들의 운명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이다. 어떤 미드라쉬(Midrash)는 "자기 자신들 위에, 자신들의 자녀들 위에, 자신들의 자녀들의 자녀들 위에, 그리하여 사실은, 뒤따르는 세대들 모두 위에, 악을 초래하는 죄인들에게 커다란 슬픔이!" 라고 주석합니다. 가나안의 많은 수의 아들들은 라삐(rabbi)로서 서품될 만한 충분한 자젹을 갖추고 있었으나, 그러나 그들의 아버지의 죄 있음(guilt)은 그들을 그러한 (전문적인) 직업으로부터 금하였습니다. (Yoma 87a). 그러나 하느님은 사람과는 다른 분이십니다. 사람은 자신의 원수들로부터 생존의 수단을 빼앗기 위하여 노력하지만,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그가 자신의 주인이 소유한 바로 그것을 먹고 마실 수 있도록 하고자, 당신께서 가나안을 저주함을 통하여, 그를 종/노예로 만드셨습니다 (ib. 75a).

Canaan upon his death-bed left to his children the following rules of life: (1) "Let there be mutual love between yourselves." (2) "Love robbery and unchastity." (3) "Hate your masters, and do not speak the truth" (Pes. 113b). Not only by words, but also by deeds, Canaan exemplified to his sons the life worthy of slaves. When Noah divided the earth among his three sons, Palestine fell to the lot of Shem. Canaan, however, took possession of it,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his father and his children called his attention to the wrong he had committed. They therefore said to him: "Thou art cursed, and cursed wilt thou remain before all the sons of Noah, in accordance with the oath which we took before the Holy Judge [God] and our father Noah" (Book of Jubilees, x., end). Later, when the Jews, the descendants of Shem, drove out the Canaanites from Palestine, the land fell into the hands of its lawful owners.

가나안은 자신의 임종(deathbed)에서 삶에 있어서의 다음과 같은 규칙들을 자신의 자녀들에게 남겼습니다: (1) "너희 자신들 사이에 상호 사랑이 있도록 하여라" (2) 도둑질(robbery)과 부정(不貞, unchastity)을 사랑하라." (3) "너희의 주인들을 증오하며, 그리고 진리를 말하지 말라" (Pes. 113b). 말들로써 뿐만이 아니라, 또한 행위들로써, 가나안은 자신의 아들들에게 종/노예에 마땅한 삶을 예시하였습니다(exemplified). 노아가 이 땅을 자신의 세 명의 아들들 사이에서 나누었을 때에, 팔레스티나 지역은 셈(Shem)의 몫으로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가나안은, 자신의 아버지와 자신의 자녀들이 그가 이미 범하였던 그 잘못(the wrong)에 대하여 환기를 하였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 땅을 차지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그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거룩한 판관[하느님]과 우리의 아버지인 노아 앞에서 우리가 취하였던 맹세(oath)와 일치하여, 그대는 저주를 받으며, 그리고 노아의 아들들 모두 앞에 그대는 저주받는 채로 남아 있을 것이다" (Book of Jubilees, x., end). 이후에, 셈의 후손들인 유다인들이 팔레스티나 지역에서 가나안 사람들을 쫓아내었을 때에, 그 땅은 그것의 적법한 소유주들의 손들에 떨어졌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이상 살펴본 바로부터,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그리 쉽지 않은 것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5. 다섯 번째로, 창세기 9,25에 대한 1859년판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6) 에 주어진 주석의 우리말 번역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췌 시작)
Ver. 25. Cursed be Chanaan. The curses, as well as the blessings, of the patriarchs were prophetical: and this in particular is here recorded by Moses, for the children of Israel, who were to possess the land of Chanaan. But why should Chanaan be cursed for his father's fault? The Hebrews answer, that he being then a boy was the first that saw his grandfather's nakedness, and told his father Cham of it; and joined with him in laughing at it: which drew upon him, rather than upon the rest of the children of Cham, this prophetical curse. (Challoner) --- Theodoret, q. 57. The children of Sem executed this sentence, in exterminating many of the Chanaanites under Josue. (Worthington) --- They perished for their own wickedness, which God foresaw, and revealed to Noe. Cham was severely punished by this denunciation of his children's misery. See Milton, xi. 754. xii. 27; Deuteronomy ix. 4. (Haydock).

제25절. 가나안은 저주받으리라.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들의 축복뿐만이 아니라 저주는 예언적이며, 그리하여 이것은 장차 가나안 땅을 소유하게 될 자들인 이스라엘의 자녀들을 위하여 특히 모세에 의하여 여기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무슨 이유로 가나안이 자신의 아버지의 과오 때문에 저주를 받아야만 할까요? 그 당시에 소년이었던 그가 자신의 할아버지의 벌거벗은 모습을 보았던 첫 번째 사람이었으며, 그리고 이 모습에 대하여 자신의 아버지에게 말하였으며, 그리고 이 모습에 대한 조롱에 자신의 아버지와 함께 합류하였는데, 그리하여 바로 이것이, 함(Cham)의 나머지 자녀들 위에 대신에, 그의 위에 이러한 예언적 저주가 내렸다고 히브리인(Hebrews)들은 답변합니다. (Challoner) --- Theodoret, q. 57. 셈의 자녀들은, 여호수아(Josue) 하에서 많은 수의 가나안 사람들을 처형할 때에, 바로 이 형벌을 집행하였습니다. (Worthington) --- 그들은, 하느님께서 예견하셨던, 그리고 노아(Noe)에게 드러내었던, 자신들 고유의 사악함 때문에 소멸하였습니다. 함은 자신의 자녀들의 불행에 대한 바로 이러한 비난에 의하여 심하게 벌을 받았습니다. Milton, xi. 754. xii. 27, 그리고 신명기 9,4를 보라. (Haydock).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참고 사항 한 개: 1611년에 King James Version이 영국 성공회측에 의하여 초판 발행되기 전에, 이미 영어권에서 사용 중이었던, 그리하여 이 KJV의 마련에 상당한 공헌을 하였던, 가톨릭용 영어 성경인 Douay-Rheims Bible에 George Leo Haydock 신부 7)가 주석을 첨부하여 1811년에 초판 발행된 이 가톨릭 성경 주석서는, 1970년에 주석이 달린 NAB(New American Bible)이 초판 출판될 때까지 널리 사용되었던 가톨릭 주석 성경으로서 영어권에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글의 결론)
(i) 그리고 바로 이 주석이,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잘 제공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12월 14일]

(ii)
예를 들어,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영어로 "son"으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 ben(bane)친자, 즉, 친 아들뿐만이 아니라, 손자, 자손의 의미들도 또한 가지고 있으므로, 새 번역 성경 창세기 9,24에서, "작은아들"로 번역하는 대신에, "[가장] 어린 자손"로 번역하는 것이 더 나은 번역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는, 예를 들어, 창세기 9,25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제"라는 번역 용어가, 전후 문맥 안에서, "친 형제"만을 뜻하지 않음을 성경을 읽는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다면, 마찬가지로 또한, 창세기 9,24에서 현재의 "작은아들" 이라는 번역 표현을 "[가장] 어린 자손"으로 번역하였을 때에 독자들이, 전후 문맥 안에서, 더 적게 헷갈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iii) 그리고 혹시 창세기 11,10-26에 언급된 수명들을 글자 그대로 믿으면서, 노아의 세 명의 아들들 중에서, 함(Ham)이 셈(Shem)보다 나이가 더 많다는 주장에 동의하는 분들께서는, 그러한 주장에 동의하는 것이 어떤 문제가 있는지, 다음의 NAB 주석들과 "주석 성경"의 주석을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iii-1) 다음은 창세기 5,1-32 본문에 대한 NAB(New American Bible) 주석 전문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genesis/genesis5.htm

(발췌 시작)

Genesis 5, [1-32] Although this chapter, with its highly schematic form, belongs to the relatively late "Priestly document," it is based on very ancient traditions. Together with Genesis 11:10-26, its primary purpose is to bridge the genealogical gap between Adam and Abraham. Adam's line is traced through Seth, but several names in the series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certain names in Cain's line (Genesis 4:17-19). The long lifespans attributed to these ten antediluvian patriarchs have a symbolic rather than a historical value. Babylonian tradition also recorded ten kings with fantastically high ages who reigned successively before the flood

창세기 5, [1-32] 비록 이 장이, 그 높은 도식적인 형식과 함께, 상대적으로 이후인 "사제계 문헌(Priestly document)"에 속하기는 하나, 이것은 대단히 오래된 전승들에 근거된 것입니다. 창세기 11,10-26과 함께, 이것의 주된 목적은 아담(Adam)과 아브라함(Abraham) 사이에 있는 족보에 있어서의 틈을 연결하는 데에 있습니다. 아담의 가계(line)는 셋(Seth)을 통하여 거슬러 올라가게 되나(is traced), 그러나 이 일련에 있는 여러 이름들은, 카인의 가계(창세기 4,17-19)에 있는 특정한 이름들과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합니다. 이들 열 명의 대홍수 이전의 선조들에 귀속되는 긴 수명들은 어떤 역사적 가치보다는 오히려 어떤 상징적(symbolic)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빌론인들의 전통은 대홍수 이전에 연속하여 통치하였던 어마어마하게 높은 나이를 가진 열 명의 왕들을 또한 기록하였습니다.

(iii-2) 다음은 창세기 5,5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입니다:

창세기 5,5: 노아 홍수 이전의 열 선조들에 대한 이 사제계 목록은, 유사한 목록을 가지고 있는 메소포타미아 전승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제계 목록은 선조들의 수명을 근본적으로 단축시키고 있다. 메소포타미아 임금들의 경우 수명이 삼천 년 넘는 것이 보통이지만 선조들의 경우는 천 년을 넘지 못하고 있다. 선조들의 수명은 점진적으로 줄어들지만, 어떤 일정한 규칙이 있는 것은 아니다.

(iii-3) 다음은 창세기 11,10-26에 대한 NAB 주석 전문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genesis/genesis11.htm

(발췌 시작)
Genesis 11,[10-26] This section is a continuation of the genealogical record given in Genesis 5:1-32; see note there. Although the ages of the patriarchs in this list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antediluvian patriarchs, they are still artificial and devoid of historical value. The ages given here are from the current Hebrew text; the Samaritan and Greek texts have divergent sets of numbers in most cases.

창세기 11,[10-26] 이 부분은 창세기 5,1-32에 주어져 있는 족보 기록의 어떤 연장이며, 거기에 있는 주석을 보십시오. 비록 바로 이 나열에 있는 이 선조들의 나이들이 대홍수 이전의 선조들의 나이들보다 더 적다고는 하나, 이들은 여전히 모조이며(artificial) 그리하여 역사적 가치가 없습니다. 여기에 주어져 있는 나이들은 현재의 히브리어 사본으로부터이나, 사마리아어 그리고 그리스어 본문들은 대부분의 경우들에 있어, 수렴하지 않는(divergent), 숫자들의 집합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iv) 그리고 혹시라도 위의 (iii)에서 전달해드린 바를 읽고도 납득하기 힘든 분들께서는, 예를 들어, 체2차 바티칸 공의회 직후인 1969년에 개정된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창세기 5; 10; 11,10-32 전체가 미사 중의 말씀 전례에서 전혀 발췌되고 있지 않는 사실에 주목하십시오. 바로 위의 (iii) 에서 말씀드린 이유 때문이라는 생각입니다.

(v) [지적 한 개] 그러나,

[창세기 10,6 : 함의 아들은 에티오피아, 이집트, 풋, 가나안이다.]

<----- 이 문장으로부터 가나안이 함의 네 번째 아들임을 인정한다면, 우리는 또한 마찬가지로,

(v-1) [창세기 5,32 : 노아의 나이 오백 세 되었을 때, 노아는 셈과 함과 야펫을 낳았다. ]

<----- 이 문장으로부터 셈이 노아의 첫 번째 아들임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며,

(v-2) [창세기 6,10 : 그리고 노아는 아들 셋, 곧 셈과 함과 야펫을 낳았다.]

<----- 또한 이 문장으로부터 셈이 노아의 첫 번째 아들임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며,

(v-3) [창세기 9,18 : 방주에서 나온 노아의 아들은 셈과 함과 야펫이다. 함은 가나안의 조상이다.]

<----- 또한 이 문장으로부터 셈이 노아의 첫 번째 아들임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고,

(v-4) [창세기 10,1 : 노아의 아들 셈과 함과 야펫의 족보는 이러하다.]

<----- 또한 이 문장으로부터 셈이 노아의 첫 번째 아들임을 인정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결론에 동의하는 자료들의 추가적인 제시 이전에, 이성적 추론에 있어 최소한도의 일관성을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지금 드린 지적에 동의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닐까요?

[이상, 내용 추가 끝].
----------

5-1. 다음은 위의 창세기 9,25에 대한 Haydock 주석 중에서 참조하라는 신명기 9,4을 포함하고 있는, 신명기 9,1-6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이스라엘이 다른 민족들보다 의로울 것이 없다

1 “이스라엘아, 들어라! 너희는 너희보다 더 크고 힘센 민족들에게 가서 그들을 쫓아내고, 하늘까지 닿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큰 성읍들을 차지하러, 오늘 요르단을 건너가려 하고 있다. 

2 저기에는 우람하고 키 큰 백성, 곧 너희가 아는 아낙인들이 있다. ‘누가 아낙인들과 맞설 수 있겠느냐?’ 하는 말을 너희는 들었다. 

3 그러나 너희는 오늘 주 너희 하느님은 태워 버리는 불이 되시어 너희 앞에 서서 건너가시는 분이심을 알아야 한다. 그분께서 너희 앞에서 그들을 멸망시키시고, 또 그분께서 너희 앞에서 그들을 굴복시키실 것이다. 그리하여 주님께서 너희에게 말씀하신 대로, 너희는 곧바로 그들을 쫓아내고 멸할 것이다.

4 주 너희 하느님께서 그들을 너희 앞에서 몰아내실 때, 너희는 마음속으로 ‘우리가 의롭기 때문에 주님께서 우리를 데려오시어 이 땅을 차지하게 하셨다.’ 하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주님께서 저 민족들을 너희 앞에서 쫓아내시려는 것은 그들이 악하기 때문이다. 

5 너희가 그들의 땅을 차지하러 들어가는 것은, 너희가 의롭거나 마음이 올곧아서가 아니다. 다만 저 민족들이 악하기 때문에 주 너희 하느님께서 그들을 너희 앞에서 쫓아내시려는 것이다. 그리하여 주님께서 너희 조상 아브라함과 이사악과 야곱에게 맹세하신 약속을 이루시려는 것이다. 

6 그러므로 너희는 주 너희 하느님께서 저 좋은 땅을 차지하라고 너희에게 주시는 것은, 너희가 의롭기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정녕 너희는 목이 뻣뻣한 백성이다.”
(이상, 발췌 끝)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8월 4일]

-----
게시자 주: 위의 "성경" 신명기 9,4-5 에서, 지금처럼 "악하다"고 번역하는 대신에, "사악하다"로 번역하여야만, "악한 자(the evil man)""사악한 자(the wicked man)"의 사이의 구분을 분명히 제대로 할 수 있기에, 위의 우리말 번역은 번역 미숙일 것이다. 

예를 들어, "성경" 잠언서 제11장에서는, NAB에서 "the evil man" 으로 번역된 표현은 "악한"으로 번역되었고, NAB에서 "the wicked man"으로 번역된 표현은, "악한"이 아니라, "악인"으로 번역되었다.

사실 이 문제는, "악(evil)"정의(definition) 그리고 "사악한 자(the wicked)"정의(definition)을 올바르게 이해하여야 하는 더 근본적인 문제로 논리적으로 귀착된다.

여기를 클릭하면, 악(evil)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사악한 자(the wicked)"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은 NAB의 신명기 9,4-5 전문인데, "성경" 신명기 9,4-5 에서와는 달리, "악함" 대신에, "사악함(the wickedness)"으로 번역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deuteronomy/deuteronomy9.htm

(발췌 시작)
4 After the LORD, your God, has thrust them out of your way, do not say to yourselves, 'It is because of my merits that the LORD has brought me in to possess this land'; for it is really because of the wickedness of these nations that the LORD is driving them out before you.

5 No, it is not because of your merits or the integrity of your heart that you are going in to take possession of their land; but the LORD, your God, is driving these nations out before you on account of their wickedness and in order to keep the promise which he made on oath to your fathers, Abraham, Isaac and Jacob.
(이상, 발췌 끝).

그리고 또다른 예는, "성경"의 해당 절에서 각각 "악한"과 "악인"으로 번역하고 있는, "the evil man(악한)"과 "the wicked(사악한 자들)"라는 표현이 동일한 문장 안에서 동시에 등장하는, 잠언서 24,20일 것이다.
-----

[이상, 내용 추가 끝].

5-2. 그리고, 이 글과 관련이 있는 글로서, 

여기를 클릭하면

잘 정리된, 가나안 땅의 여러 부족들의 죄악들에 대한 구약 성경 본문 중의 안내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


6.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의 입장처럼 8), 위의 질문과 같은, 특히 창세기 제12장 이전의 어떤 구절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에 주어지는 답변은 아무래도 추정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할 것입니다. 다음은 이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언급입니다:

(발췌 시작)
The curse called down on Canaan is undoubtedly connected with the sin of his father, Ham (verse 22). But it is rather hard to indicate the precise nature of this connection.

가나안에게 내리라고 빌어진 이 저주는 그의 아버지인 함의 죄(제22절)와 의심할 여지 없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의 정확한 본성을 지적하는 것은 아무래도 힘들 것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번역자 주:
1. 위의 우리말 번역문에 대한 저작권은 아래의 번역자에게 있으며, 위의 요약문
   의 전문은 다음의 우리말 번역문 출처에 있습니다.
   우리말 번역문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78.htm
2. 원문 출처:
http://catholic-resources.org/Lectionary/1998USL.htm
3. 원문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genesis/genesis9.htm
4. 원문 출처:
http://www.usccb.org/bible/genesis/9
4-1. 가나안 여러 부족들의 죄악들에 대한 언급은 다음의 글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31.htm
5. 검색 결과:
교황청 홈페이지 구글 검색 결과
6. 원문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336.html
7. 참고 자료:
http://en.wikipedia.org/wiki/George_Leo_Haydock
8. 참고 자료:
http://www.newadvent.org/cathen/03569b.htm
9. 원문 출처: http://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3955-canaan
10. 참고 자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1.htm (미드라쉬 용어 정의)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12시간 (자료찾기 및 우리말 번역 포함).
  



1,912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