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신비/신비적/신비로운 등의 번역 용어들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s)들 외 [교리용어_신비] [성경용어_신비] [오적] [1250_마지막 아담] 1181_새아담

인쇄

. [175.126.101.*]

2012-08-30 ㅣ No.1250



+ 찬미 예수님

이글에서는, "신비/신비적/신비로운" 등으로 번역되고 있는 번역 용어들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s)들에 대하여 함께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2월 24일]
게시자 주: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글에서 2006년 1월에 이미 간략하게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기원후 3세기 이후부터 라틴어 단어 "sacramentum(성사)" 은 그리스어 단어 "musterion(신비)" 의 번역 용어로 서방 교회 측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지료를 참고하십시오:

출처: http://mb-soft.com/believe/text/sacramen.htm

(발췌 시작)
In the early 3rd century, Tertullian, the first Latin theologian, translated the Greek word musterion ("mystery") by the Latin sacramentum, which in pre-Christian use denoted a pledge of future performance, as in oath of loyalty taken by soldiers to their commander; emphasis fell on the thing that was given in pledge.

3세기 초기에, 첫 번째 라틴 신학자였던 테르툴리아노(Tertullian)가 그리스어 단어 musterion ("mystery", "신비") 를 라틴어 단어 sacramentum ("sacrament", "성사") 로 번역하였는데, 이 라틴어 단어는 그리스도교 이전의 시기의 사용에 있어, 군인들에 의하여 자신들의 사령관에게 행하여졌던 충성 맹세에서처럼, 미래의 일의 수행(performance)에 대한 어떤 선서(pledge)를 나타내었으며, 그리고 강조는 선서에서 제시되는 사물에 고유한 자리를 차지하였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지금 말씀드린 바에 대하여 간략한 설명이 주어진, 다음의 영어 가톨릭대사전의 설명도 또한 참고하십시오:
http://www.newadvent.org/cathen/13295a.htm 
[이상, 내용 추가 끝].

1. 성 요셉(St. Joseph) 판 NAB(New American Bible)의 부록인 Bible Dictionary에 주어진 "신비(mystery)" 라는 번역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 입니다.

우선적으로,

(i) 성경 본문에서의 이 단어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와

(ii)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의 이 단어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가

동일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

(발췌 시작)
Mystery. The origin of this word is Greek. It signified first of all the place where religious ceremonies took place which were reserved only to those who had been "initiated." In the plural, it signified the rites themselves. In a derived sense, the word is synomymous with divine secret. St. Paul uses it in the sense of divine plan (inaccessible to man, secret, but revealed by Jesus Christ), having the salvation of men as its object (Rom 16, 25-26). In Scripture it must never be taken in the sense (to which the catechism has accustomed us) of revealed truth incomprehensible to the human intelligence (for example, the mystery of the Blessed Trinity).

신비(Mystery). 이 단어의 어원은 그리스 말입니다. 이 단어는 무엇보다도 먼저, 이미 "입교한(initiated)" 자들에게만 유보되는(were reserved), 종교적 경축들이 개최되었던 장소를 나타내었습니다. 복수로, 이 단어는 의식(rites)들 자체를 나타내었습니다. 한 개의 파생된 의미로, 이 단어는 하느님의 비밀(divine secret)과 동의어입니다. 성 바오로(St. Paul)는 이 단어를, 사람들의 구원을 그 목적으로 가지는(로마 16, 25-26), [사람에게는 얻기 어려운(inaccessible), 비밀의,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드러내어진] 하느님의 계획(divine plan)이라는 의미로 사용합니다. 성경 본문에 있어 이 단어는 인간의 지성에 이해될 수 없는(incomprehensible) 계시된 진리(revealed truth)라는 (교리서가 이미 우리를 거기에 익숙하게 한) 의미로 결코 받아들여지지 말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복되신 성삼위 신비(the mystery of the Blessed Trinity)].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1-1: 다음은 마태오 복음서 13,11에 대한 NAB 주석에서 발췌한 것이다. 위에 주어진 설명과 비교/검토하면서 읽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matthew/matthew13.htm

(발췌 시작)
The mysteries: as in Luke 8:10; Mark 4:11 has "the mystery." The word is used in Daniel 2:18, 19, 27 and in the Qumran literature (1QpHab 7:8; 1QS 3:23; 1QM 3:9) to designate a divine plan or decree affecting the course of history that can be known only when revealed. Knowledge of the mysteries of the kingdom of heaven means recognition that the kingdom has become present in the ministry of Jesus.

신비들(mysteries): 루카 8,10에서 처럼이며, 그리고 마르코 4,11는 "이 신비(the mystery)"를 가지고 있다. 이 단어는 다니엘서 2,18.19.27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리고, 계시될 때만 오로지 알게 될 수 있는, 역사의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한 개의 하느님의 계획 혹은 법령(a divine plan or decree)을 나타내기 위하여 꿈란 문헌 (즉, 사해 문서들)(1QpHab 7:8; 1QS 3:23; 1QM 3:9)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늘 나라의 신비들에 대한 지식은 이 나라가 예수님의 사역 안에 이미 현존하고 있음에 대한 알아차림을 뜻한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9월 2일]

게시자 주 1-2: 다음은 에페소서 3,3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에서 발췌한 것이다:

(발췌 시작)
"계시"라는 낱말은 신약 성경에서 세 가지 주요 의미를 지닌다. 첫째,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재림이다(1코린 1,7; 2테살 1,7 참조). 둘째, [이] 사도가 받은 계시, 곧 복음과 그것을 선포하는 [이] 사도의 소명과 관련된 계시이다(갈라 1,12.16 그리고 로마 16,25 참조). 셋째, 예언자가 받는 계시, 곧 하느님 뜻의 어떤 한 면이나 그리스도인들의 순종과 관련된 계시이다(1코린 14,6; 갈라 2,2 등). 여기에서는 둘째 의미로 쓰인다.
     "신비"는 에페소서콜로새서의 근본적인 주제인데, 지금까지 감추어져 있다가 이제는 사람들에게 계시된 하느님의 영원한 계획을 뜻한다(에페 1,9-10; 3,3-10; 콜로 1,26-27. 그리고 로마 16,25-26; 1코린 2,7-9 참조). 이러한 "신비"의 의미는 헬레니즘보다는 유다교의 묵시 문학에서 유래한다(다니 2,21-23.28-30.47; 에녹서; 쿰란의 문헌 참조). 에페소서에서는 이 신비가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밝혀지고, 사도들의 직무 수행으로 그 결과들이 낱낱이 드러난다. 그 결과는 곧 이민족들도 구원을 받도록 부르심을 받은 것, 유다인들과 이민족들이 "한 몸" 안에서 일치를 이루어 화해하는 것, 그리스도와 그분의 교회가 부부와 같은 관계를 이루는 것, 그리고 우주 전체가 그리스도께 굴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신비야말로 바오로가 전하는 복음의 특수한 내용으로서, 그것은 그가 사도들 사이에서 특이한 방식으로 소명을 받은 사실과 관련된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에페소서 1,1-13절은, 바오로 사도에게 초점을 맞추면서 에페소서 2,11-22의 내용을 되풀이한다.
(이상, 발췌 끝)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9월 18일]

게시자 주: 그런데 위의 "주석 성경"의 주석의 문제는, "계시"라는 신학적 번역 용어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또한 "계시"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기에, "계시"라는 신학적 번역 용어의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 자체가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데에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설명은 근본적으로, 소위 말하는, 논리적 "악순환(惡循環, vicious circle)"에 해당하므로, 반드시 회피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게시자 주 1-3: 다음의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mystery"라는 단어의 설명 중에서 이 단어의 오래 전 의미가 위에 전달해 드린 Bible Dictionary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명과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mw/u_d.htm

(발췌 시작)
mystery

1 a
obsolete : a purely spiritual form or interpretation b : a religious truth revealed by God that man cannot know by reason alone and that once it has been revealed cannot be completely understood c usually capitalized : a Christian religious rite or sacrament: as (1) : EUCHARIST 1 (2) mysteries plural : HOLY MYSTERIES (3) : any of the 15 meditations on the events of the life of Christ forming the major part of the rosary devotion d (1) : a secret non-Christian religious rite marked by the showing of sacred objects to duly initiated worshipers, the pronouncing of formulas, and the performing of ritual acts (as washing, eating and drinking, sacrificing) with a view to bettering the worshipers in this life and assuring them of life after death through union with the god thus worshiped (2) or mystery cult or mystery religion often capitalized M : a cult chiefly among ancient Mediterranean peoples characterized by such rites -- often used in plural mysteries of the Greeks and the Mithras mysteries of Persia>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4: 성경 본문 중에서 사용되는 특정 단어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의 중요성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제5항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64.htm <----- 필독 권유

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mystery(신비)" 라는 번역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위의 제1항의 설명에 의하여, 우리는 여기에서 주어지고 있는 정의가,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사용 중인 "신비(mystery)" 라는 번역 용어의 정의임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5021

(발췌 시작)
MYSTERY

A divinely revealed truth whose very possibility cannot be rationally conceived before it is revealed and, after revelation, whose inner essence cannot be fully understood by the finite mind. The incomprehensibility of revealed mysteries derives from the fact that they are manifestations of God, who is infinite and therefore beyond the complete grasp of a created intellect. Nevertheless, though incomprehensible, mysteries are intelligible. One of the primary duties of a believer is, through prayer, study, and experience, to grow in faith, i.e.,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what God has revealed. (Etym. Greek myst_rion, something closed, a secret.)


신비(MYSTERY)

그것이 계시되기 전에는 그것의 바로 그 가능성(possibility)이 이성적으로 인지될 수 없는, 그리고 계시 이후에는, 그것의 내적 본질(inner essence)이 유한한 마음에 의하여 완전히(fully) 이해될 수 없는, 한 개의, 하느님에 의하여 드러내어진, 진리(truth)를 말합니다.
드러내어진 신비(mysteries)들에 대한 이해할 수 없음은 그들이, 무한하신 분이신 그리하여 그 결과 한 개의 창조된 지성에 의한 완전한 붙잡음을 넘어서는 분이신, 하느님의 현시(顯示)들이라는 사실에서 유래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이해할 수 없기는 하나, 신비들은 지성에 의하여 알 수 있습니다(intelligible). 믿는 자(a believer)의 주된 의무들 중의 한 개는, 기도, 학습, 그리고 경험을 통하여, 믿음(faith) 안에서 성장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즉, 하느님께서 이미 드러내신 바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켜야 하는 것입니다. [어원. Greek myst_rion, something closed, a secret.]

게시자 주 2-1: 여기를 클릭하면, 굿뉴스 서버 제공의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신비(mystery)" 라는 신학적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읽을 수 있는데, 이 정의(definition)는, 바로 위에 전달해드린,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이 단어의 정의(definition)를 우리말로 번역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게시자 주 2-2: 위의 제1항제2항으로부터 우리는, "신비(mystery)"라는 번역 용어가, 단수와 복수를 가지기에, 가산 명사(countable noun)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번역 용어가 아닌, 세속의 우리말 사전에 있어서의 "신비" 라는 한자 단어에 대한 세속의 사전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124.137.201.223/search/View.jsp

(발췌 시작)

신비(神?)

「명사」

일이나 현상 따위가 사람의 힘이나 지혜 또는 보통의 이론이나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을 만큼 신기하고 묘함. 또는 그런 일이나 비밀.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3-1: 세속의 국어 사전에 주어진, 번역 용어가 아닌, 세속의 "신비"라는 단어의 정의에 따르더라도, 이 단어는 가산 명사(countable noun)이기도 합니다.

4.
지금부터는, 신학적 의미들을 가지고 있는 "신비/신비적/신비로운" 등의 번역 용어들에 대하여 지금까지 살펴본 정의(definition)들이,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제대로 전달되어 국내의 가톨릭계에서, 왜곡/축소 혹은 변조없이, 그 의미대로 잘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더 자세히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4-1: 위의 제1항, 제2항, 그리고 제3항을 읽고서도, 성경 말씀 혹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중에서 "신비/신비적/신비로운"으로 번역되고 있는 번역 용어들의 의미를, 위의 제3항에 주어진 세속의 국어 사전에 있어서의, 번역 용어가 아닌, 한자 단어의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과연 그리스도교 신앙적으로 합당할까요?

질문 4-1에 대한 답변: 결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우선적으로 세속의 사전에 실린 "신비"는 그리스도교의 "진리(truth)"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그리스도교 신학에 있어서의 진리(truth)정의(definition)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질문 4-2: 다른 한편으로, 영어로 "mystery"로 번역되는 신학적 용어가 중국 가톨릭계에서는 어떤 한자 단어로 번역하고 있을까요? 우리말에서처럼 "신비"로 번역하고 있을까요?

질문 4-2에 대한 답변: 전혀 아닙니다. 다음의 天主敎英漢袖珍辭典에 주어진 바에 따르면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출처: http://www.peterpoon.idv.hk/Resource/Dictionary/M.htm

(발췌 시작)
mystery 奧跡(跡);奧理;奧秘;聖餐禮:從神學角度看,富有神聖特性的隱密或神秘之事蹟。乃非經天主?示,理性無從得知的?理-僅知其然而不知其所以然。譬如聖三奧跡、降生奧跡、恩寵奧跡等。天主本身和?的救恩計?以及基督事蹟,分別構成奧秘的核心意義。

Mystery, Paschal :逾越奧跡:指基督超越死亡、光榮復活,亦?由黑暗至光明、戰勝奴役、恢復自由之救世奧跡。

mystery of faith :信德的奧跡: (1) 指一般信德的奧跡,如天主降生救世,天主聖三等。 (2) 特指彌撒聖祭。

mystical :奧秘的;神秘的。

mystical body (of Christ) :奧體;基督奧體;基督妙體:根據聖保祿的訓誨,耶???會之「首」,聖神是「靈魂」,生者和死者信友皆?「肢體」(哥一 18 ;二 19 ;弗一 22 ;四 4-16 )。基督奧體說明?會由於分享基督的生命而成?團體,也宣示?會與基督,以及信徒之間的密切結合。

mystical marriage (union) :神婚;神秘之結合:指基督與?會之結合,也指基督與人靈之結合。

Mystical Rose :玄義??:聖母德?禱文之一句,指聖母。

mystical theology :神秘神學。

Mystici Corporis L. ):《奧體》通諭:?宗碧嶽十二世所頒( 29.6.1943 )。

mysticism (1) 神秘義;天人合一:指超乎尋常的與神明結合共融。又可稱神秘思想或生活。 (2) 神秘神學。 (3) 默想;默觀:與天主結合以至忘我的境界。

myth :秘思;神話:泛指一般有深度、含終極意義的故事,以暗示超越的境界,引人去正視生命中莊嚴的主題。

(이상, 발췌 끝).

4-3. 위의 발췌문을 잘 들여다 보면 다음의 사실들을 알 수 있습니다:

4-3-1. 영어로 "mystery"로 번역되는 신학적 용어를, "神秘(신비)" 대신에, "奧跡(跡)
(오적, 즉 깊은 흔적);奧理(오리, 즉 깊은 이치);奧秘(오비, 즉 깊은 비밀)


" 등으로 번역하고 있다.

4-3-2. 영어로 "mystical theology"로 번역되는 표현을, 우리말 번역 용어와 동일하게 중국 가톨릭계에서도, "신비 신학(神秘神學)"으로 번역하고 있다.

4-3-3. 영어로 "mystical"로 번역되는 표현을, 중국 가톨릭계에서는奧秘的(오비적) 혹은 神秘的(신비적)으로 번역하고 있다. 

4-3-4. 세속의 우리나라 영어 사전들에서는, 구분되는 두 개의 형용사들인, "mystery"의 형용사형인 "mysterious"와 형용사 "mystical" 둘 다를, 동일한 번역 용어인 "신비한" 혹은 "신비로운", "신비적인" 혹은 "신비(주의)적" 등으로 번역하고 있는데, 그러나 대단히 아쉽고 또 유감스럽게도, 위의 제3항에 주어진 "표준국어대사전""신비(神?)"에 대한 설명만으로는 이들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를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번역들은, 결국에, 번역 미숙/오류일 것이다. 
 
사실, 다음의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어원이 분명히 구분되는, "mysterious""mystical" 라는 단어들 각각에 대한 사전적 설명과, 위의 제3항에 주어진 "표준국어대사전""신비(神?)"에 대한 설명을 정밀하게 비교/검토를 해 보면,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이, "mystical" 이라는 단어의 의미에 부합하는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mysterious" 라는 단어의 몇 가지 의미들 중의 한 개에 부합하는, 그러나 그리스도교에서 사용하는 신학적 의미는 배제된, 세속적 설명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특히 사용 예로서 제시되고 있는 용례들에 대하여서도 서로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라. 그리고 아래의 발췌문 중에 게시자 주는 필자가 추가한 것이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mw/u_d.htm

(발췌 시작)

mysterious

Function: adjective
Etymology: Middle French mysterieux, from mystere mystery (from Latin mysterium) + -ieux -ious
1 : of or relating to mystery : containing, conveying, intimating, or implying a mystery : difficult or impossible to understand : OBSCURE, ENIGMATICAL mysterious event> mysterious changes>
2 a : proper to or characteristic of a mystery or solemn rite b : stirred by or attracted to the inexplicable
-----

mystery

Function: noun
Inflected Form(s): -es
Etymology: Middle English misterie, mysterie, from Latin mysterium, from Greek mystemacronrion, from (assumed) mystos, verbal of myein to initiate into religious rites, from myein to close (used of the eyes and lips), close the eyes; perhaps akin to Norwegian mysa to wink, Latvian musin ât to whisper, murmur, Latin mutus mute -- more at MUTE
1 [게시자 주: 이 제1항에서의 설명이 위의 제1항과 제2항에 주어진 설명들에 해당함] a obsolete : a purely spiritual form or interpretation b : a religious truth revealed by God that man cannot know by reason alone and that once it has been revealed cannot be completely understood c usually capitalized : a Christian religious rite or sacrament: as (1) : EUCHARIST 1 (2) mysteries plural : HOLY MYSTERIES (3) : any of the 15 meditations on the events of the life of Christ forming the major part of the rosary devotion d (1) : a secret non-Christian religious rite marked by the showing of sacred objects to duly initiated worshipers, the pronouncing of formulas, and the performing of ritual acts (as washing, eating and drinking, sacrificing) with a view to bettering the worshipers in this life and assuring them of life after death through union with the god thus worshiped (2) or mystery cult or mystery religion often capitalized M : a cult chiefly among ancient Mediterranean peoples characterized by such rites -- often used in plural mysteries of the Greeks and the Mithras mysteries of Persia>
2 : [게시자 주: 이 제2항에서의 설명이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신비"라는 단어의 설명에 가장 부합함]. something that has not been or cannot be explained, that is unknown to all or concealed from some and therefore exciting curiosity or wonder, or that is incomprehensible or uncomprehended  mystery of his disappearance has never been solved> mystery to me> mystery of their troubles>: as a obsolete : a private secret b (1) : the secret or specialized operations or processes peculiar to an occupation or accomplishment mysteries of his trade as an apprentice> mysteries of his wife's toilette> -- usually used in plural (2) : a ritual or the practices or doctrines peculiar to some body of people (as a fraternal order or a primitive community) that are revealed only to members or initiates of that body -- usually used in plural c archaic : a state or political secret d : something that is incomprehensible at a particular period or under particular circumstances but that is not normally so to people in general mysteries of childhood, so soon outgrown> e or mystery story : a piece of fiction in which the evidence relating to a crime or occasionally to another mysterious event is so presented that the reader has an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 the author's solution being the final phase of the piece
3 obsolete : a mystical or recondite cause or significance
4 a : profound and inexplicable quality or character : INCOMPREHENSIBILITY mysteries and beauties of nature> : the quality or state of defying solution or analysis mystery of her sly glance> b : a tendency to surround things with puzzling circumstances or to make them obscure : an affectation of needless or excessive secrecy mystery in their rulers> mystery as in a cloak>
-----

mystical

[게시자 주: 이 단어에 주어진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설명은 "신비" 라는 단어에 대한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명에 없음].

Function: adjective
Etymology: Latin mysticus + English -al
1 : having a spiritual meaning, existence, reality, or comparable value that is neither apparent to the senses nor obvious to the intelligence : relating to such a value : SYMBOLICAL, ANAGOGIC mystical body of Christ> myst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mystical style of Blake>
2 a : of, resulting from, or manifesting an individual's direct or intimate knowledge of or communion with God (as through contemplation, vision, an inner light) <mystical rapture> <mystical experience> : concerned with or relating to such experience
mystical artist> b : derived immediately rather than mediately : based upon intuition, insight, or similar subjective experience mystical character of Neoplatonism> mystical religions of the East>
3 a : remote from ordinary human knowledge or comprehension : UNINTELLIGIBLE, CRYPTIC, ENIGMATIC, OBSCURE b : FURTIVE, SECRET
4 : 1MYSTIC 2
-----

mystic

[게시자 주: 이 단어에 주어진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설명은 "신비" 라는 단어에 대한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명에 없음].

Function: adjective
Etymology: Middle English mistik, from Latin mysticus, from Greek mystikos, from (assumed) mystos (verbal of myein to initiate into religious rites) + -ikos -ic -- more at MYSTERY
1 : MYSTICAL 1
2 a : of or relating to ancient mysteries (as the Eleusinian) b : constituting or belonging to something occult or esoteric -- used of rites, observances, religions, and comparable matters c of a fraternal order : having a ritual known or practiced only by initiates
3 : of or relating to mysticism , mystics , the mystical experience <mystic state> mystic way>
4 a : baffling or incomprehensible to the understanding : MYSTERIOUS mystic gulf from God to man -- R.W.Emerson> b : ENIGMATIC, OBSCURE, MYSTIFYING, VAGUE mystic words of the stranger> c : inducing a feeling of awe, wonder, or similar response mystic beauty of the night> d : having magical properties or associations <mystic numbers>
5 obsolete : SECRET, HIDDEN, COVERT, DISGUISED
-----

4-4. 다음은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발행의 "사목" 잡지에 실린 1996년 2월 8일 (제2058호) "논단 신비 체험과 신비 현상에 대한 고찰" 제목의 논문 (게시자: 전달수 신부님)의 제2항 전문을 발췌한 글인데, 위의 영어 사전에 주어진 단어들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좋은 논문을 제공해주신 전달수 신부님께 감사드립니다: 

출처:
http://samok.cbck.or.kr/contents/sub0106.asp?idx=4096

게시자 주: 아래의 발췌문에서, mystikon 은 mystic, mystical의 그리스 말 어원이고 mysterion은 mystery의 그리스 말 어원이며, 이 논문에서는 mystikon 이라는 단어의 역사적 사용 배경에 대하여 깊이있게 다루고 있으나, 그러나 mysterion에 대하여서는, mystikon과 구분하기 위하여 단 한 번만 언급하였을 뿐이며, mysterion 이라는 단어의 역사적 사용 배경에 대하여서는 전혀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제2항 발췌 시작)

Ⅱ. 신비란 무엇인가?

신비(mysterium)는 일반적으로 인간의 힘이나 지혜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영묘(靈妙)한 비밀이 거나 인간의 인식을 초월하는 어떤 것을 말한다. 신비 또는 신비 사상에 대해서는 용어가 통일되어 있지 않아 이 체험에 관한 여러 진술을 식별하기란 쉽지 않다.

영성 신학에서 사용하는 신비란 용어는 그리스 말의 mystikonmysterion으로 분류하여 사용되는데, 우선 mystikon은 그리스인들이 종교에 입문하는 입교자들에게 적용하였다. 그들은 어느 종교에 입교하는 지원자들에게 mystikon이라고 할 수 있는 종교의식을 거행하였다. 예를 들면,고대 그리스 엘류시스(Eleusis)의 아티카(Attica) 시에서 거행된 여신 데메테르(Demeter)의 축제에는 비밀스런 종교의식이 거행되었던 것이다.

mystikon은 두 요소,즉 감추어져 있으며 비밀스러운 어떤 종교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 용어는 원래 이교인들이 종교적인 용도로만 사용하였다. 신약성서에는 이 용어가 등장하지 않으나 후대에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교회의 용어로 도입되었다.

한편 mystikon은 비밀스러운 어떤 것을 의미하는데 종교적인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았으나 다니엘서와 제2경전에 나오며,신약성서에는 사도 성 바오로가 인간의 구원에 관한 하느님의 비밀을 의미할 때 사용하였다(로마 11,25; 1고린 15,51; 골로2,2) 1) 하느님의 구원적 행위는 감추어져 있거나 상징적인 의미로 전해지며 그 능력은 감추어진 것일 수밖에 없다.

그 후 그리스도인들은 mystikon이란 말을 모든 사람들과 분별없이 나눌 수 없는 보다 깊고 완전한 신앙의 진리에 적용시키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 용어는 신약성서와 사도 교부들의 작품에는 등장하지 않으나 3세기에 이르러 교회 안에 도입되어 주로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전례적으로는 경신례 (敬信禮)에 관하여, 성서 주석에 있어서는 자의적(字意的) 해석이 아닌 상징적인 의미로 그리고 신학적으로는 모든 사람들과 함부로 나눌 수 없는 보다 심오한 신앙의 진리를 말할 때 사용되었다.

이 용어와 더불어 신비신학(神秘神學, theologia mystica)이란 새로운 용어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4세기 안치라(Ancyra)의 주교 마르첼루스 안치라누스 Marcellus Ancyranus, 280-374)의 저서에서 발견되며 5세기에는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제자였던 은수자 마르쿠스(marcus Eremita, 470)의 작품에서 그리고 6세기 초에는 신비신학의 저자인 위디오니시오(Pseudo-Dionysius)에 의하여 서방 교회에 도입되었다. 그는 신비신학을 하느님과의 일치를 통하여 얻은 하느님께 대한 매우 친숙하고 감추어진 거룩한 지식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는 여기서 얻은 지식은 오직 인간의 이성에 의해서 파악될 수 있는 지식이나 일반적으로 신앙에 대해서 가르치는 통상적인 이론보다 우월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원래 이 용어를 영지(靈智gnosis)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한 것 같다. 따라서 종교적이며 비밀스런 어떤 개념과는 다른 요소, 즉 직관적이며 경험적인 지식의 요소가 이 용어에 첨가된 것으로 보인다.

그 후 이 용어는 차차 그 의미가 변화되어 관상(contemplatio)이란 용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 이를 주제로 한 작품들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내용에 있어서는 보다 추상적이며 학문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그 후 신비신학이란 용어는 위디오니시오의 저서들과 더불어 라틴어 문화권에 유입되어 중세기 신학자들에 의해 빈번히 사용되었다. 그리하여 점차적으로 신학자들의 작품에서 기도와,특히 관상기도의 결과인 하느님께 대한 신비스러운 지식과 관련된 신학의 분야가 등장하여 실천 신비신학(Practical mysterical theology)사변 신비신학(speculative mystical theology )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2) 이 작업에 기여한 대표적인 인물은 파리대학교의 총장 제르송(Jean Gerson, 1363-1429) 이었다.

신비신학은 영성 생활에 관한 신학적인 연구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즉 회심에서 시작하여 관상을 거쳐 하느님과 일치(unio cum Deo)를 이루는 전 과정을 다루는 신학의 한 분야이다.

한편 신비 체험은 하나의 심리적인 사실로서 영혼 안에 하느님의 활동을 의식하는 것이며 오직 성령께서 당신의 선물들을 인간 안에서 일어나게 하시는 것이다. 신앙 공동체 안에는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신비 체험을 하거나 비정상적인 능력이 드러나는 경우가 종종 있어왔다. 예를 들면, 사도 성 바오로는 자신의 신비 체험을 다음과 같이 실토하였다.

"이제 나는 주님께서 보여주신 신비로운 영상과 계시에 대하여 말씀 드리겠습니다. 내가 잘 아는 그리스도교인 하나가 십사 년 전에 셋째 하늘까지 붙들려 올라간 일이 있었습니다. 몸째 올라갔는지 몸을 떠나서 올라갔는지 나는 모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알고 계십니다. 나는 이 사람을 잘 압니다. ……그는 낙원으로 붙들려 올라가서 사람의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이상한 말을 들었습니다” (2고린 12,2-5).

그는 자신의 그 체험에 대하여 자랑할 마음은 없었으나 고린토 교회 신도들을 위하여 그 체험을 조금 언급한 것이고 그것은 육체의 가시와 함께 언급되어 있어 하느님의 신비로운 계획을 알리는 수단에 불과하다("내가 교만해질세라 내 육신 안에 가시가 주어졌습니다.” 2고린 12,7). 그것은 고린토 후서 4,7 에 나오는 질그릇 같은 미약한 인간 안에 하느님의 엄청난 보화를 알리는 수단처럼 이해되기도 한다.

사도 성 바오로의 신비 체험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우리는 신비 체험에 대한 기록들을 여러 사람들의 생애에서 볼 수 있다. 3) 이 체험의 구성 요소는 신적인 것이나 초자연적인 양식에 있어서 성령의 선물들이 작용하는 것으로서 영혼 안에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이나 그분의 활동에 대한 수동적인 체험이 일어난다.

여기서는 수동적인(passive recepta) 체험이 중시된다. 왜냐하면 하느님 주시는 선물이므로 인간은 그것을 받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 인간의 의지는 온전히 무시되고 만다. 따라서 수덕적(修德的) 상태와 신비적 상태의 차이점이 분명해진다. 즉,수덕생활에 힘쓰는 사람은 순수 인간적인 방법으로 그리스도교 신앙을 따라 애덕의 삶을 살아가므로 이런 사람의 신적 의식은 성찰(reflection)과 추리(discursus)에 국한되어 있는 반면, 신비가들은 형언할 수 없는(ineffabile) 신비적 체험을 한다. 4) 그런 체험은 인간의 의지와는 무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는 신비 체험을 세 가지 관점에서 보고자 한다.
(이상, 제2항 전문 발췌 끝)

5. (이 글의 후반부에 대한 결론)
이상 살펴본 바로부터 우리는 다음을 알 수 있습니다:

5-1. 세속의 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신비"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은,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mystery"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들에 있어 두 번째 설명에만 부합됨.

5-2. "신비신학(Mystical Theology)" 등의 표현에서 사용되고 있는 "신비/신비적(mystic, mystical)" 이라는 용어들에 대한 설명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신비" 이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에 주어져 있지 않음.

5-3. 결국에, 지금까지 국내의 가톨릭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신비/신비적" 이라는 단어는 다음의 세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 위의 제1항에과 제2항에서 설명되고 있는 두 개의 의미들 (세속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이들에 대한 설명이 주어져 있지 않음)
(ii) 위의 제4항에 설명된 의미 (세속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이에 대한 설명이 주어져 있지 않음)

5-4. 따라서, 국내의 고질적인 문제인 기복 신앙으로 기울어지는 성향을 교육을 통하여 바로잡기 위하여성경과 가톨릭 교회 교리서 등에서 사용중인, 위의 제1항제2항, 그리고 제4항에서 전달해 드리고 있는 신학적 용어들의 정확한 의미를, 예를 들어, 예비신자 교리교육, 성경공부, 교리학습, 재교육 시에, 보통 수준의 평신자들에게도 또한 제대로 잘 전달해 드릴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끝으로,

(i-1) 여기를 클릭하면, "새 번역 성경"의 "구약"에 "신비" 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 절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약 17개의 절들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i-2) 여기를 클릭하면, "새 번역 성경"의 "신약"에 "신비" 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 절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약 31개의 절들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ii) 다음은,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에서 사용 중인 "mystery",  "mystical" 등의 용어 색인입니다. 앞의 숫자는 사용 횟수입니다: 

    2 mystagogy
    2 mystenum
   49 mysteries
    1 mysterion
    1 mysteriorum
   29 mysterious
    6 mysteriously
    3 mysterium
  240 mystery
   22 mystical
    2 mystically
    3 mystici
    1 mysticism

예를 들어, "mystery" 라는 명사와 그 복수 명사인 "mysteries"가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서 적어도 289번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 바쁘지 않은 분들께서는, 위의 파란색 글자들 각각을 클릭하여,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해당 항 번호를 확인 한 후에, 다음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해당 항에서 어떤 번역 용어를 사용 중인지 직접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cc_kr2011.htm

예를 들어,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왼쪽에 있는 "Search" 단추를 클릭한 후에, "신비" 라는 단어로 검색을 해 보면, 무려 총649번 이 단어가 검색됨을 알 수 있는데, 위의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있어서의 289 + 72 = 361번 보다 너무 큰 숫자입니다. 왜 이렇게 큰 차이가 나는지 아직은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않았기에, 저도 그 이유를 모르고 있으므로, 따라서 아직은 저에게 신비롭습니다(mysterious).

이처럼, 약간의 비교/검토를 해 보시면,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훨씬 더 잘 이해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 가톨릭대사전에 주어진 "mystery" 라는 단어의 훨씬 더 자세한 정의(definition)를 읽을 수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중요한 언급이 주어져 있습니다:

(발췌 시작)
The existence of theological mysteries is a doctrine of Catholic faith defined by the Vatican Council, which declares: "If any one say that in Divine Revelation there are contained no mysteries properly so called (vera et proprie dicta mysteria), but that through reason rightly developed (per rationem rite excultam) all the dogmas of faith can be understood and demonstrated from natural principles: let him be anathema" (Sess. III, Canons, 4. De fide et Ratione, 1).

신학적 신비(theological mysteries)들의 존재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 의하여 정의된, 가톨릭 믿음에 있어서의 한 개의 교리(a doctrine)이며, 이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선포합니다: "만약에 누구든지 하느님의 계시에 있어 적절하게 그렇게 불리는 신비들(vera et proprie dicta mysteria)이 거기에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오히려(but) 올바르게 계발된 이성(per rationem rite excultam)을 통하여 믿음에 있어서의 모든 교리들이 자연적 원리들로부터 이해될 수 있고 또 입증될 수 있을 뿐이라고 말한다면, 그가 파문을 받도록 하라" [First Vitican Council, Sess. III, Canons, 4. De fide et Ratione, 1].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또다른 한편으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네 개의 핵심 문헌들 중의 하나인, 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 헌장, "기쁨과 희망(Gaudium et Spes)" 제10항의 마지막 문장에는 다음의 언급이 있습니다:

출처 1: http://ch.catholic.or.kr/pundang/4/va1965gs.htm
출처 2: http://ch.catholic.or.kr/pundang/4/1965gs.htm

(발췌 시작)
Hence under the light of Christ, the image of the unseen God, the firstborn of every creature,(5) the council wishes to speak to all men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mystery of man and to cooperate in finding the solution to the outstanding problems of our time.

따라서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모상이신, 모든 피조물의 맏이이신,(5) 그리스도의 빛 아래에서, 이 공의회는, 사람의 신비(the mystery of man)에 빛을 비추기 위하여 그리고 우리의 시대에 있어서의 두드러진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발견함에 있어 상호 협조하기 위하여, 모든 사람들과 대화하기를 희망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그리고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59항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_P1B.HTM

(발췌 시작)
359 "In reality it is only in the mystery of the Word made flesh that the mystery of man truly becomes clear."224
 

St. Paul tells us that the human race takes its origin from two men: Adam and Christ. . . the first man, Adam, he says, became a living soul, the last Adam a life-giving spirit. The first Adam was made by the last Adam, from whom he also received his soul, to give him life... the second Adam stamped his image on the first Adam when he created him. That is why he took on himself the role and the name of the first Adam, in order that he might not lose what he had made in his own image. The first Adam, the last Adam: the first had a beginning, the last knows no end. The last Adam is indeed the first; as he himself says: "I am the first and the last."225

359  "실제적으로 사람의 신비가 진실로 분명하게 되는 것은 오로지 육이 되신 거룩한 말씀의 신비 안에서 뿐입니다."
 
     성 바오로는 인류가 그 기원을 다음과 같은 두 명의 사람들로부터 취한다
     고 말합니다: 아담(Adam)과 그리스도 ... 첫 번째 사람, 아담은 한 명
     의 살아 있는 영혼이 되었으며, 이 마지막 아담께서는 한 분의 생명을 주
     시는 영이 되셨습니다(1코린토 15,45). 첫 번째 아담은 이 마지막 아담에
     의하여 창조되었으며, 이 마지막 아담으로부터 그는 또한, 그에게 생명
     을 주는, 자신의 영혼을 받았으며, 이 두 번째 아담께서는, 그를 창조하실 때
     에, 이 첫 번째 아담에 자신의 모습을 각인하셨습니다. 바로 이것이, 그분
     께서 자신 고유의 모상으로 이미 만드셨던 바를 그분께서 잃지 않기 위하
     여, 그분께서 첫 번째 아담의 역할과 이름을 스스로 지셨는지에 대한 이유
     입니다. 첫 번째 아담, 마지막 아담: 이 첫 번째 분(the first)은 한 개의 처음을
     가졌으나, 이 마지막 분(the last)은 끝을 전혀 알지 못합니다. 이 마지막 아담
     께서는 정말로, 당신 스스로 "나는 처음이며 마지막이다" (요한 묵시록
     22,13 참조) 라고 말씀하시듯이, 첫 번째입니다.225)

 

-----

225 St. Peter Chrysologus, Sermo 117: PL 52, 520-521.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6시간 (추가적인 자료 조사 포함).


 



1,88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