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루치페르/루시퍼라는 이름의 유래와 헷갈림 [성경용어_루시퍼] [성경용어_사탄] [교리용어_루시퍼] 974_

인쇄

. [39.118.118.*]

2012-12-13 ㅣ No.1309



1. 여기를 클릭하면 가톨릭 교회가 전통적으로 가르치는 악(evil)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정의(definition)는, 당연히, 성경 본문에서 사용 중인 악(evil)이라는 신학적 용어에 대한 가톨릭 그리스도교의 정의(definition)를 말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성경 본문에서 언급되는 어떤 신학적 용어에 대한 정의(definition)는,

비록 동일한 성경을 읽더라도, 

(i) 가톨릭 그리스도교측의 정의(definition),

(ii) [구약 성경의 경우] 유다교측의 정의(definition), 그리고

(iii) 개신교측의 정의(definition)가 

서로 다를 수가 있습니다.

2. 악들 중에서, 인격체(persons)들인 천사들과 사람들의 자유 의지(the free will)가 개입되는(involved) 악, "윤리적 악(moral evil)"으로도 불리는 죄(sin)입니다.

3. 성경 말씀들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의 공인 해설이 포함된 핵심 문헌이 또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이기도 하므로,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학습의 해인 이번 "신앙의 해" 동안에라도, 성경 공부를 하면서, 되도록 많은 분들께서 또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자주 병행하여 학습하는 것이, 참 좋을 것 같습니다.

4. 다음은 위의 주제와 관련하여,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의 가르침들을 손쉽게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입니다: 

우선적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본문에서 인용하고 있는 성경 구절들을 손쉽게 파악합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references2ccc.htm

위의 본글에서 인용 중인 성경 구절들 몇 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습니다:

4-1. (Example 4-1) 2베드로 2,4의 경우에는, 바로 위의 파란색 주소를 클릭한 후에, 제392항을 찾아서 전후 문맥 안에서 읽도록 하십시오.

4-2. (Example 4-2) 마태오 복음서 25,41의 경우에는, 바로 위의 파란색 주소를 클릭한 후에, 제544, 1033, 1373, 2447, 2813항들 및 제1034항을 찾아서 전후 문맥 안에서 읽도록 하십시오.

4-3. (Example 4-3) 이사야서 14,12-15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서 인용하지 않으며, 그리고 더 나아가, 가톨릭 교회 전례력에 있어, 주일 혹은 주간 독서들로서도 발췌되지 않고 있으므로, 이 절에 대하여 해설하고 있는, 신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문헌을 찾아 학습하여야 할 것입니다.

즉, 이 본문의 이해, 그리고, 더 나아가, 이 본문을 자신이 제시하는 어떤 생각/고찰의 근거로 제시할 때에는 상당히 조심하여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굿뉴스 서버 제공의 용어 사전에서 발췌한

"신학자들은 그 두목 루치펠(Lucifer)은 ‘빛을 지니고 있는 자’(이사 14,12)로서, 원래는 천사 중에 뛰어난 존재였으나 교만하여 하느님과 같아지려고 하였다고 한다."

라는 설명은, "이사야서 14,12"를 그 성경적 근거라고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에, 이 용어 사전에 주어진 설명을 읽은 독자들을 많이 헷갈리게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에 대하여서는, 이어지는 글을 차분히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4-4.
"주석 성경"에 주어진 이사야서 14,12에서 언급되고 있는 "빛나는 별"에 대한 주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췌 시작)
여기서 말하는 주인공("빛나는 별")의 히브리 말 명칭은 헬렐인데, 이는 '빛나는' 을 뜻하는 동사 어근에서 나온다. 아랍 말에서 이와 비슷한 힐랄은 '새달' 을 뜻한다. 이 시의 저자는 명백하게 어떤 신화의 전통을 이용하고 있다. 우가리트 문서에 따르면, 바알 신의 경쟁자 아타르 신(비너스를 가리킬 수 있다.)이 여기서 말하는 비슷한 몰락을 겪는다. 그러나 12-15절이 단순히 가나안의 신화를 표절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에제키엘은 티로의 임금에 대한 풍자에서(에제 28,2-12) 유사한 신화를 시사한다. 그리스 세계에도 헬리오스(여명)의 아들 파에톤(빛나는 자)에 대한 신화가 있다. 이렇게 땅에 떨어진 신적 존재들에 대한 신화는 고대 지중해변의 세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 신화는 이후 유다-헬레니즘 문학에서 다시 발전하게 된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예를 들어, Merrai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신화(myth)"라는 단어의 설명에 따르면, "신화"는 어떤 진리에 대한 분명하지 않은 설명(a veiled explanation)으로서 (상상력으로) 고안된/꾸며낸(invented) 어떤 이야기를 말합니다.

     그리고, 이사야서 14,12을 인용할 때에 조심하여야 하는 이유는, 다음의 신뢰할 수 있는 NAB 주석 및 사전들의 설명을 읽어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위에 발췌 한 용어 사전의 본글에서 이사야서 14,12-15 그 성경적 근거 구절들로서 인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4-4-1. 다음은 이사야 14,12에 대한 NAB(New American Bible)의 주석 전문입니다:
[12] Morning star: the king of Babylon. The Vulgate has "Lucifer," a name applied by the Church Fathers to Satan.
 
(졸번역)
[12] 여명의 별(Morning Star): 바빌론의 왕을 말한다. 라틴어 대중 성경(the Vulgate)은, 교부들에 의하여 사탄(Satan)에게 적용된 이름인, "루치페르/루시퍼(Lucifer)"를 가진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위의 NAB의 주석만으로는 이해가 잘 되지 않을 수가 있는데, 다음의 설명들을 계속하여 읽도록 하십시오:


4-4-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Lucifer"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4662

(발췌 시작)
LUCIFER

The name is sometimes applied to a king of Babylon (Isaiah 14:12), but the Fathers of the Church commonly identify Lucifer with Satan, leader of the fallen angels. In the Church's writings it is a synonym for the devil, the Prince of Darkness, who before he fell was an angel of light. In the Scriptures, Christ is also called Phosphoros -- Light-Bearer (II Peter 1:19). (Etym. Latin lucifer, light-bearer.)

루치페르/루시퍼(Lucifer)

이 이름은 때로는 바빌론의 어떤 임금에게 적용되나(이사야 14,12), 그러나 교회의 교부들은 통상적으로 루치페르/루시퍼를, 타락한 전사들의 두목인, 사탄(Satan)과 동일시합니다. 교회의 저술들에 있어 이 이름은, 타락하기 전에 빛의 천사(an angel of light)였던, 어둠의 통치자(the Prince of Darkness)인, 마왕(the devil)을 나타내는 한 개의 동의어입니다. 성경 본문들에 있어, 그리스도는 또한, 빛을 지닌 자(Light-Bearer)인, 샛별(Phosphoros)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2베드로 1,19) [어원. Latin lucifer, 빛을 지닌 자(light-bearer).]  
(이상, 발췌 끝)

4-4-3. 다음은 영어본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Lucifer"에 대한 설명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설명들보다 훨씬 더 나은 설명을 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9410a.htm

(발췌 시작)

Lucifer


(Hebrew helel; Septuagint heosphoros, Vulgate lucifer)


The name Lucifer originally denotes the planet Venus, emphasizing its brilliance. The Vulgate employs the word also for "the light of the morning" (Job 11:17), "the signs of the zodiac" (Job 38:32), and "the aurora" (Psalm 109:3). Metaphorically, the word is applied to the King of Babylon (Isaiah 14:12) as preeminent among the princes of his time; to the high priest Simon son of Onias (Ecclesiasticus 50:6), for his surpassing virtue, to the glory of heaven (Apocalypse 2:28), by reason of its excellency; finally to Jesus Christ himself (2 Peter 1:19; Apocalypse 22:16; the "Exultet" of Holy Saturday) the true light of our spiritual life.

The Syriac version and the version of Aquila derive the Hebrew noun helel from the verb yalal, "to lament"; St. Jerome agrees with them (In Isaiah 1.14), and makes Lucifer the name of the principal fallen angel who must lament the loss of his original glory bright as the morning star. In Christian tradition this meaning of Lucifer has prevailed; the Fathers maintain that Lucifer is not the proper name of the devil, but denotes only the state from which he has fallen (Petavius, De Angelis, III, iii, 4).

루시퍼(Lucifer)


[히브리어 성경(Hebrew) 헬렐(helel); 질심인역 그리스어 성경(Septuagint) heosphoros,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 루치페르/루시퍼(lucifer)]


루치페르/루시퍼라는 이름는 원래(originally), 그 빛남(brilliance)을 강조하는, 행성인 금성(金星, Venus)을 나타냅니다. 라틴어 대중 성경(the Vulgate)은 "여명의 빛(the light of the morning)"(욥 11,17), "(천문, 점성에 있어서) 12궁(宮)(the signs of the zodiac)(욥 38,32), 그리고 "여명(the aurora)"(시편 109[110],3)을 또한 나타내기 위하여 이 단어를 씁니다. 은유적으로(metaphorically), 이 단어는 바빌론의 임금에게, 그의 시기에 있어서의 지배자들 사이에서 뛰어난 자로서, 적용되고 있고(이사야 14,12), 그리고 오니아스(Onias)의 아들인 대사제 시몬(Simon)에게(집회서 50,6), 그의 뛰어난 덕(virtue) 때문에, 적용되고 있으며, 하늘의 영광(요한 묵시록 2,28)에, 그 탁월성의 이유 때문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리고 우리의 영적 생명(spiritual life)의 참 빛이신 예수 그리스도 당신 자신께 최종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2베드로 1,19(*); 요한 묵시록 22,16(**); 성 토요일(Holy Saturday)(즉, 부활 성야)의 "부활 찬송(용약하라)(the "Exultet")(***)]

-----
(*)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 전례력에 있어, 매년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의 제2독서(2베드로 1,16-19)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 해설은 다음의 주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transfig.htm

(**)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 전례력에 있어, 다해 부활 제7주일 제2독서(요한 묵시록 22,12-14.16-17.20)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 해설은 다음의 주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east_7.htm

(***) 번역자 주: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부활 성야의 "부활 찬송(용약하라)"에 대한 글들은 다음의 주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Exsultet.htm
-----


시리아 본(the Syriac version)과 아퀼라 본(the version of Aquila)은 히브리어 명사인 헬렐(helel)를, "깊이 후회하다(to lament)"를 뜻하는, 히브리어 동사인 얄랄(yalal)로부터 도출하며, 그리고 성 예로니모(St. Jerome)는 그들과 동의하며(이사야 1,14), 그리고 루치페르/루시퍼를, 여명의 별로서 빛나는 자신의 애초의 영광의 상실을 깊이 후회하여야만 하는 자인, 주된 타락한 천사의 이름으로 삼습니다. 그리스도교 전통에 있어 루치페르/루시퍼에 대한 이 의미는 이미 널리 보급되었으며, 그리고 교부들은 루치페르/루시퍼마왕(the Devil)의 고유한 이름이 아니고, 오로지 거기로부터 그가 이미 떨어진(타락한) 바로 그 지위(상태)를 나타낼뿐임을 지지합니다(maintain)(Petavius, De Angelis, III, iii, 4).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5.
이 글은 다음의 글들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5-1.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고

"악마/악령/마귀/사탄 호칭 및 이름의 의미" 제목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5-2. 여기를 클릭하면, <----- 또한 필독 권고

"루치페르/루시퍼라는 이름에 대하여" 제목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5시간

 



1,926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