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필요한 것은 한가지 뿐이다??? - 루카 10,42 #<다연중16주일복음>#<연중27주화복음> [번역오류][교리용어_관상적삶][_실천적삶]

인쇄

. [218.55.90.*]

2013-07-08 ㅣ No.1410


질문:

루카 복음서 10,42
에서 예수님께서 

"필요한 것은 한 가지뿐이다. 마리아는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 "

라고 말씀하셨는데요.
 
(질문 1) 여기서 말하는 좋은 몫이란...예수님 말씀을 뜻하는건가요??

전 시중 드는 마르타가 더 좋은 몫일 수도 있다는 생각은 드는데... 궁금합니다...

(질문 2) 그리고, 필요한 건 한 가지이라는게...제가 느끼기엔 예수님 말씀을 두고 한 말인 것 같은데...

좋은 답변들 있음 올려주심 감사 하겠습니다.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 가면서

1-1.
인용한 구절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해 연중 제16주일 복음 말씀(루카 10,38-42)에 포함됩니다.

그러므로 주신 질문들은, 최소한도로 루카 복음서 10,38-42의 문맥 안에서 주신 질문들이고 또 바로 이 문맥 안에서, 답변들이 주어져야 할 것입니다.

1-2. 다음은 루카 복음서 10,38-42 전문입니다:

출처: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missaid=5584&gomonth=2013-07-21

(발췌 시작)
38 예수님께서 어떤 마을에 들어가셨다. 그러자 마르타라는 여자가 예수님을 자기 집으로 모셔 들였다. 39 마르타에게는 마리아라는 동생이 있었는데, 마리아는 주님의 발치에 앉아 그분의 말씀을 듣고 있었다. 40 그러나 마르타는 갖가지 시중드는 일로 분주하였다. 그래서 예수님께 다가가, “주님, 제 동생이 저 혼자 시중들게 내버려 두는데도 보고만 계십니까? 저를 도우라고 동생에게 일러 주십시오.” 하고 말하였다.

41 주님께서 마르타에게 대답하셨다. “마르타야, 마르타야! 너는 많은 일을 염려하고 걱정하는구나. 42 그러나 필요한 것은 한 가지이다. 마리아는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빼앗기지 않을 것이다.”
(이상 발췌 끝)

질문 1에 대한 간략한 답변: 루카 복음서 10,38-42의 문맥 안에서, 맞습니다.

그리고

[전 시중 드는 마르타가 더 좋은 몫일 수도 있다는 생각은 드는데...]

<----- 이 말씀도 잘못된 견해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사도 행전 6,1-7을 꼭 참고하십시오. 

질문 2에 대한 간락한 답변: 루카 복음서 10,38-42의 문맥 안에서, 또한 맞습니다.

게시자 주: 지금부터는, 루카 복음서 10,41-42에 대하여 자세하게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2.
다음은 루카 복음서 10,38-42의 특정 표현들에 대한 "주석 성경" 의 주석들입니다:

2-1. 다음은 "마르타와 마리아를 방문하시다" 라는 소제목이 붙여진 루카 복음서 10,38-42 전체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입니다:

(발췌 시작)
이 일화는 그것을 마무리 짓는 41-42절의 말씀에 모든 것이 집중되어 있다. 루카 복음서의 이 두 자매는 요한 11,1-40과 12,1-3의 자매와 똑같은 특징을 드러내는 것으로 보아, 같은 인물일 것이다. 곧 시중을 드는 데에 열심인 마르타(요한 11,20; 12,2), 그리고 예수님 곁에서 그분의 말씀을 듣는 마리아(요한 11,32; 12,3).
(이상, 발췌 끝)

2-2. 다음은 루카 복음서 8,35"발치에 앉아 있는 것"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입니다:

(발췌 시작)
예수님의 발치에 앉는 것은 루카 복음서에서 제자의 자세를 가리킨다(20,39; 사토 22,3 참조).
(이상, 발췌 끝)

2-3. 다음은 루카 복음서 10,42"그러나 필요한 것은 한 가지이다"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입니다:

(발췌 시작)
예수님의 말씀은 현세의 모든 일보다 더 중요하다(12,31과 루카의 작품 중에서 이와 비교할 수 있는 본문인 사도 6,2 참조). 후대의 성경 주석에서는 더러, 믿음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행동보다 원의미의 수도 생활 곧 관상(觀想)이 더 우월하다는 사실이 여기에서 선포되는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관상이 아니라, 신앙과 투신으로 부르는 말씀을 듣는 '경청' 이다.(**)
(이상, 발췌 끝).

-----
(*) 게시자 주: 비록 주석의 일부이기는 하나, 그 출처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이렇게 언급하는 것은 독자들에게 그리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생각이다. 이 주석이 가리키고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a182 는,  이 글의 제6항에서, 신학 대전의 입문서인 "신학대전여행," IIa IIae, a182와 함께, 들여다 볼 것이다. 

(**) 게시자 주: 더 나아가, 아래의 제5항에서 안내해드리고 있듯이,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대단히 오랜 기간에 걸쳐 1950년까지루카 복음서 10,38-42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몽소 승천 축일의 복음 말씀으로 발췌되어 왔기에, "주석 성경"에 주어진 이 정도의 주석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는 생각이다.
-----

게시자 주: 지금부터는, "새 번역 성경"루카 복음서 10,42의 첫 문장인 "필요한 것은 한 가지이다"이라는 우리말 번역문이, 전후의 문맥 안에서 그 내용 전달에 있어 상당한 문제가 있음에 대하여 바로 아래의 제3항에서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3. 

다음은 루카 복음서 10,38-42의 특정 표현들에 대한 NAB(New American Bible) 주석들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luke/luke10.htm

(발췌 시작)
[38-42] The story of Martha and Mary further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hearing the words of the teacher and the concern with women in Luke.

[38-42] 마르타와 마리아에 대한 이야기는 이 스승의 말들을 듣는 것의 중요성을 그리고 루카 [복음서](Luke)에 있어 여인들과 함께 하는 관심사(concern with women)를 한층 더 예시합니다(illustrats).

[39] Sat beside the Lord at his feet: it is remarkable for first-century Palestinian Judaism that a woman would assume the posture of a disciple at the master's feet (see also Luke 8:35; Acts 22:3), and it reveals a characteristic attitude of Jesus toward women in this gospel (see Luke 8:2-3).

[39] 주님의 발치에 앉아: 한 여인이 스승의 발치에서 한 제자의 자세를 취한다는 것은 1세기 팔레스티나 유다주의의 경우에 있어 주목할 만하며 (루카 8,35; 사도행전 22,3을 또한 보라), 그리고 이것은 이 복음서에 있어 여인들을 향하는 예수님의 특징적인 태도를 드러냅니다.

[42] There is need of only one thing: some ancient versions read, "there is need of few things"; another important, although probably inferior, reading found in some manuscripts is, "there is need of few things, or of one."

[42] 거기에는 다만 한 가지 일에 대한 결핍/부족(need)이 있다: 일부 오래된 판(versions)들은 "몇 개의 일들에 대한 결핍/부족(need)이 있다" 라고 읽히며, 그리고 일부 사본들에서 발견되는, 비록 아마도 덜 중요하기는 하나, 다른 중요한 독본(reading)은 "몇 개의 일들, 혹은 한 개의 일에 대한 결핍/부족(need)이 있다" 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우리말 번역 오류/미숙 한 개)
(1)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루카 복음서 10,41-42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bible/nova_vulgata/documents/
nova-vulgata_nt_evang-lucam_lt.html#10


(발췌 시작)
41 Et respondens dixit illi Dominus: “ Martha, Martha, sollicita es et turbaris erga plurima,

42 porro unum est necessarium; Maria enim optimam partem elegit, quae non auferetur ab ea ”.
(이상, 발췌 끝).

바로 위의 파란 색칠을 한 라틴어 표현NAB에서 "There is need of only one thing." 으로 번역하였는데, 이것을 우리말로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을 하면, "그러나 필요한 것은 한 가지뿐이다" 가 아니라, "거기에는 다만 한 가지 일에 대한 결핍/부족(need)이 있다" 입니다.

즉, 바로 앞 절에서 언급되고 있는 마르타의 많은 일들에 있어 다만 한 가지 일에 대한 결핍/부족(need)이 있다는 것이지,

결코 다른 일은 아무런 필요가 없다는 의미를 독자들에게 또한 전달하는,

"그러나 필요한 것은 한 가지이다" 가 아닙니다.

"새 번역 성경"루카 복음서 10,42의 첫 문장은, 예를 들어, "거기에 다만 부족한 것이 한 가지 있다" 로 번역되지 않고, 대신에 부사 "다만"이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엉뚱한 자리로 이동을 당하여 조사 "뿐"으로 번역되어, 그 결과,

"그러나 필요한 것은 [오직] 한 가지이다(But what is necessary is only one thing)."

로 독자들에게 전달되기에, 번역 오류/미숙 이라는 생각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7월 17일]

그리고 바로 위의 게시자 주에서 지금 말씀드린 바는, 다음에 발췌한, 루카 복음서 10,42에 대한 그리스어 어원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선상에 있습니다:

출처: http://biblesuite.com/greek/5532.htm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Luke 10:42 ((but not WH marginal reading)); ?χω χρε?αν τ?νος, to have need of (be in want of) something (often in the Greek writings from Aeschylus down, cf. Passow, under the word, 1; (Liddell and Scott, under the word, II. 1)),

루카 복음서 10,42 ((but not WH marginal reading)); ?χω χρε?αν τ?νος, 그 무엇의 부족(need)을 가지고 있다[그 무엇을 가질 필요가 있다(be in want of)] (often in the Greek writings from Aeschylus down, cf. Passow, under the word, 1; (Liddell and Scott, under the word, II. 1)),
(이상, 발췌 및 일부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2) 바로 위의 게시자 주에서 말씀드린 지적과 관련하여, 다음의 항에 있는 영문본 성경들에 있어서의 루카 복음서 10,41-42를 또한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서 들여다 보십시오. 출판 연대순으로 나열하였습니다:

(2-1) 다음은 Douay-Rheims Bible 루카 복음서 10,41-42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intratext.com/IXT/ENG0011/__PVI.HTM

(발췌 시작)
41 And the Lord answering, said to her: Martha, Martha, thou art careful, and art troubled about many things:

42 But one thing is necessary. Mary hath chosen the best part, which shall not be taken away from her.

(2-2) 다음은 1611년에 초판 발행된 KJV(King James Version) 루카 복음서 10,41-42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41 And Jesus answered and said unto her, Martha, Martha, thou art careful and troubled about many things:

42 But one thing is needful; and Mary hath chosen that good part, which shall not be taken away from her.

42. 그러나 한 가지 일이 궁핍(부족)하구나, 그런데 마리아는, 그녀로부터 결코 제거되지 않을바로 그러한(that) 선한 부분을 이미 선택하였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바로 위의 KJV 루가 복음서 제42절에서, 지시대명사인 "that"  가 가리키는 것이 "그녀로부터 결코 제거되지 않을" 임에 주목하십시오.

(2-3) 다음은, 가톨릭측과 개신교측이 공동으로 작업하여, 바로 위의 1611년판 KJV를 현대 어법에 맞도록 마련하여 1960년경에 초판 발행한 RSV(Revised Standard Version)루카 복음서 10,41-42 전문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ot_16.htm

(발췌 시작)
[41] But the Lord answered her, "Martha, Martha, you are anxious and troubled about many things;

[42] one thing is needful. Mary has chosen the good position, which
shall not be taken away from her."
(이상, 발췌 끝)
(이상, 게시자 주 끝)

게시자 주:
(1) 아래의 제4항과 그 이후의 글들은, 위의 제3항에서 지적한 바를 염두에 두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루카 복음서 10,41-42가 한 개의 문장을 이루므로, 이와는 달리, 위의 제1-2항에 이미 제시해 드린 "새 번역 성경"루가 복음서 10,41-42에서처럼, 바로 이 한 개의 문장을 여러 개의 문장들로 나누어 번역하는 것도, 정확한 내용 전달과 관련하여, 사실은 문제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4.
4-1.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해 연중 제16주일 복음 말씀(루카 10,38-42)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은 다음에 있습니다. 대단히 좋은 내용이므로, 필독하실 것을 강력하게 권고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ot_16.htm <----- 필독 권고

게시자 주: 시간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다음의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가르침들도 또한 참고하십시오:

4-2. 다음은, 2012년 4월 25일자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입니다. 시간이 있으신 분들의 필독을 권고드립니다:

처: http://www.vatican.va/holy_father/benedict_xvi/audiences/2012/
documents/hf_ben-xvi_aud_20120425_en.html
 

4-3. 다음은, 2013년 사순(Lent)을 위한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2012년 10월 15일자 메시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holy_father/benedict_xvi/messages/lent/
documents/hf_ben-xvi_mes_20121015_lent-2013_en.html


(발췌 시작)
In the Church, contemplation and action, symbolized in some way by the Gospel figures of Mary and Martha, have to coexist and complement each other (cf. Lk 10:38-42). The relationship with God must always be the priority, and any true sharing of goods, in the spirit of the Gospel, must be rooted in faith (cf. General Audience, 25 April 2012).

교회 안에서, 마리아(Mary)와 마르타(Martha)라는 복음서 인물들에 의하여 어떤 방식으로 상징되고 있는, 관상(contemplation)과 행동(action)은 상호존재하여야(coexist) 하며 그리고 서로를 보완하여야(complement) 합니다(루카 복음서 10,38-42 참조). 하느님과의 관계(the relationship with God)는 항상 우선하는 일(the priority)이어야 하며, 그리고, 이 복음서의 정신 안에서, 재화(goods)들의 임의의 참된 나눔은 신덕(faith, 믿음)에 뿌리박혀져 있어야(is rooted) 합니다 (일반 알현(General Audience), 25 April 2012 참조)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따라서, 교황 베네딕토 16세께서는 마르타에게 "부족한/필요한 것""하느님과의 관계"라고 말씀하십니다.

4-4. 더 구체적으로, 이어지는 제5항부터는, 예수님께서 마르타에게 말씀하셨던 "부족한/필요한 것""관상적 삶(the contemplative live)"이라는 가톨릭 그리스도교의 전통적 해석에 대하여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5. 다음은 The Great Biblical Commentary of Cornelius a Lapide(1567-1637년) 에 주어진 루카 복음서 10,41-42에 대한 해설 전문은 다음에 있습니다. 영어 가능한 분들의 필독을 권고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11.htm

특히 제42절에 대한 교부들과 저술가들의 주석들이 대단히 많음에 주목하십시오. 그 이유는 아마도 루카 복음서 10,38-42가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대단히 오랜 기간 동안에 그리고 1950년까지, 동정 마리아의 몽소 승천 축일의 복음 말씀으로 발췌되어 읽혔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리고 다음은 이 해설의 마지막 단락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And so the Church has rightly appointed this portion of scripture to be read on the Feast of the Assumption of the Blessed Virgin because she rendered to Christ the service both of Martha and of Mary, and chose that good part, of which she will never be deprived.

     그리하여 그 결과 교회는 성경 본문의 바로 이 부분이 복되신 동정녀의 몽소승천 축일에 읽히도록 올바르게 이미 지정하였는데(*) 왜냐하면 그녀가 그리스도께 마르타의 그리고 마리아의 봉사 둘 다를 바쳤으며(rendered), 그리고, 그녀가 장차 결코 빼앗기지 않을, 바로 그 선한 부분(good part)을 선택하였기(chosen) 때문입니다.  

-----
(*) 번역자 주: 여기서 말하는 전례력은 16세기 중반의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에 도입되었던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the Traditional Latin Liturgy)을 말하는 것이지, 1960년대 중반에 개최되었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인 1969년에 개정되어 마련되었으며 그리고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자료들을 참고하라.

이 해설과 관련하여, 특히 다음의 자료 1의 마지막에 발췌되어 있는, 루카 복음서 10,38-42에 대한 우의적/풍유적 해설(allegorical interpretation)을 또한 필독하도록 하라:

자료 1: http://www.newliturgicalmovement.org/2012/08/the-gospel-of-
assumption-medieval_15.html


자료 2: http://www.liturgies.net/saints/mary/assumption/eucharist.htm

자료 3: http://liturgialatina.blogspot.kr/2011/08/15th-august-
assumption-of-our-blessed.html


자료 4: http://www.catholic-forum.com/saints/gdi229.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
6-1.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도권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교황 우르바노 4세의 명령에 의하여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편집하여 마련한 "Golden Chain(Catena Aurea)"에 주어진 루카 복음서 10,38-42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교부들과 저술가들의 주석들입니다:

출처: http://dhspriory.org/thomas/CALuke.htm#10

(발췌 시작)

BEDE; The love of God and our neighbor, which was contained above in words and parables, is here set forth in very deed and reality; for it is said, Now it came to pass, as they went, that he entered into a certain village.

ORIGEN. The name of which village Luke indeed here omits, but John mentions, calling it Bethany. AUG. But the Lord, who came to his own, and his own received him not, was received as a guest, for it follows, And a certain woman named Martha received him into her house, &c. as strangers are accustomed to be received. But still a servant received her Lord, the sick her Savior, the creature her Creator. But if any should say, “O blessed are they who have been thought worthy to receive Christ into their houses,” grieve not you, for He says, For inasmuch as you have done it to the least of my brethren, you have done it to me. But taking the form of a servant, He wished therein to be fed by servants, by reason of His condescension, not His condition. He had a body in which He was hungry and thirsty, but when He was hungry in the desert, Angels ministered to Him. In wishing therefore to be led, He came Himself to the feeder. Martha then, setting about and preparing to feed our Lord, was occupied in serving, but Mary her sister chose rather to be fed by the Lord, for it follows, And she had a sister called Mary, which also sat at Jesus’ feet, and heard his word.

CHRYS. It is not said of Mary simply that she sat near Jesus, but at His feet, to show her diligence, steadfastness, and zeal, in hearing, and the great reverence which she had for our Lord. AUG. Now as was her humility in sitting at His feet, so much the more did she receive from him. For the waters pour down to the lowest part of the valley, but flow away from the rising of the hill.

BASIL; Now every work and word of our Savior is a rule of piety and virtue For to this end did He put on our body, that as much as we can we might imitate His conversation. CYRIL; By His own example then He teaches His disciples how they ought to behave in the houses of those who receive them, namely, when they come to a house, they should not remain idle, but rather fill the minds of those who receive them with sacred and divine teaching. But let those who make ready the house, go to meet their guests gladly and earnestly, for two reasons. First, indeed, they will be edified by the teaching of those whom they receive; nest also they will receive the reward of charity. And hence it follows here, But Martha was cumbered about much serving, &c. AUG. Martha was as well engaged in ministering to the bodily wants or wishes of our Lord, as of one who was mortal, but He who was clothed in mortal flesh,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Behold then what Mary heard, The Word was made flesh. Behold then Him to whom Martha ministered. The one was laboring, the other at rest. But yet Martha, when much troubled in her occupation and business of serving, interrupted our Lord, and complained of her sister. For it follows, And said, Lord, do you not care that my sister has left me to serve alone? For Mary was absorbed in the sweetness of our Lord’s words; Martha was as preparing a feast for our Lord, in whose feast Mary was now rejoicing. While then she was listening with delight to those sweet words, and was feeding on them with the deepest affection, our Lord was interrupted by her sister. What must we suppose was her alarm, lest the Lord should say to her, “Rise, and help your sister?” Our Lord therefore, who was not at a loss, for He had shown He was the Lord, answered as follows, And Jesus answered and said to her, Martha, Martha. The repetition of the name is a mark of love, or perhaps of drawing the attention, that she should listen more earnestly. When twice called, she hears, You are troubled about many things. that is, you art busied about many things. For man wishes to meet with something when he is serving, and can not; and thus between seeking what is wanting and preparing what is at hand, the mind is distracted. For if Martha had been sufficient of herself, she would not have required the aid of her sister. There are many, there are diverse things, which are carnal, temporal, but one is preferred to many. For one is not from many, but many from one. Hence it follows, But one thing is needful. Mary wished to be occupied about one, according to that, It is good for me to cling close to the Lord. The Father, the Son, the Holy Spirit, are one. To this one he does not bring us, unless we being many have one heart. CYRIL; Or else, when certain brethren have received God, they will not be anxious about much service, nor ask for those things which are not in their hands, and are beyond their needs. For every where and in every thing that which is superfluous is burdensome. For it begets weariness in those who are wishing to bestow it, while the guests feel that they are the cause of trouble.

BASIL; It is foolish also to take food for the support of the body, and thereby in return to hurt the body, and to hinder it in the performance of the divine command. If then a poor man come, let him receive a model and example of moderation in food, and let us not prepare our own tables for their sakes, who wish to live luxuriously. For the life of the Christian is uniform, ever tending to one object, namely, the glory of God. But the life of those who are without is manifold and vacillating, changed about at will. And how in truth can you, when you set your table before your brother with profusion of meats, and for the pleasure of feasting sake, accuse him of luxury, and revile him as a glutton, censuring his indulgence in that which you yourself afford him? Our Lord did not commend Martha when busied about much serving.

AUG. What then? Must we think that blame was cast upon the service of Martha, who was engaged in the cares of hospitality, and rejoiced in having so great a guest? If this be true, let men give up ministering to the needy; in a word, let them be at leisure, intent only upon getting wholesome knowledge, taking no care what stranger is in the village in want of bread; let works of mercy be unheeded, knowledge only be cultivated. THEOPHYL. Our Lord does not then forbid hospitality, but the troubling about many things, that is to say, hurry and anxiety. And mark the wisdom of our Lord, in that at first He said nothing to Martha, but when she sought to tear away her sister from hearing, then the Lord took occasion to reprove her. For hospitality is ever honored as long as it keeps us to necessary things. But when it begins to hinder us from attending to what is of more importance, then it is plain that the hearing of the divine word is the more honorable.

AUG. Our Lord then does not blame the actions, but distinguishes between the duties. For it follows, Mary has chosen that good part, &c. Not yours a bad one, but hers a better. Why a better? because it shall not be taken away from her. From you the necessary burden of business shall one time be taken away. For when you come into that country, you will find no stranger to receive with hospitality. But for your good it shall be taken away, that what is better may be given you. Trouble shall be taken away, that rest may be given. You are yet at sea; she is in port. For the sweetness of truth is eternal, yet in this life it is increased, and in the next it will be made perfect, never to be taken away. AMBROSE; May you then like Mary be influenced by the desire of wisdom. For this is the greater, this the more perfect work. Nor let the care of ministering to others turn your mind from the knowledge of the heavenly word, nor reprove or think indolent those whom you see seeking after wisdom. AUG. Now mystically, by Martha’s receiving our Lord into her house is represented the Church which now receives the Lord into her heart. Mary her sister, who sat at Jesus’ feet and heard His word, signifies the same Church, but in a future life, where ceasing from labor, and the ministering to her wants, she shall delight in Wisdom alone. But by her complaining that her sister did not help her, occasion is given for that sentence of our Lord, in which he shows that Church to be anxious and troubled about much service, when there is but one thing needful, which is yet attained through the merits of her service; but He says that Mary has chosen the good part, for through the one the other is reached, which shall not be taken away.

GREG. Or by Mary who sat and heard our Lord’s words, is signified the contemplative life; by Martha engaged in more outward services, the active life. Now Martha’s care is not blamed, but Mary is praised, for great are the rewards of an active life, but those of a contemplative are far better. Hence Mary’s part it is said will never be taken away from her, for the works of an active life pass away with the body, but the joys of the contemplative life the rather begin to increase from the end.

교황 그레고리오 대. 혹은 앉아서 그리고 주님의 말씀을 들었던 마리아에 의하여 관상적 삶(the contemplative life)이 나타내어지고 있으며, 그리고 더 외향적인 봉사들에 종사하였던 마르타에 의하여 활동적 삶(the active life)이 나타내어지고 있습니다. 이제 마르타의 돌봄은 비난을 받지 않지만, 그러나 마리아는 칭찬을 받는데, 이는 어떤 활동적 삶의 보상들은 커다랗지먄, 그러나 어떤 관상적 삶의 보상들이 훨씬 더 나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리아의 부분은 그녀로부터 결코 제거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지고 있는데, 이는 어떤 활동적 삶의 일(works)들은 몸과 함께 사라지지만,
그러나 관상적 삶의 기쁨(joy)은 몸의 끝(the end, 즉 죽음)에서부터 더 빨리(the rather) 증가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따라서 성 그레고리오 대 교황님(540-604년)께서는, 예수님께서 마르타에게 말씀하셨던 "부족한/필요한 것""관상적 삶(the contemplative live)"이라고 가르치고 계십니다.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도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mogica)"에서, 당연히, 성 그레고리오 대 교황님의 바로 이 가르침에 동의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셔ㅑ는, 이어지는 글들을 읽도록 하십시오.

6-2. 바로 위의 제6-1항의 주석들 중에서 제일 마지막에 있는 교황 그레고리오 1세 대의 주석에서 "contemplative life(관상적 삶)"라는 표현과 "the active life(활동적 삶)"라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이들 표현에 특히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이들 표현들의 정의(definitions)들이 주어지고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과 이 저서의 입문서인 "신학 대전 여행"에 주어진, [IIa IIae, q179], "삶의 유형(類型)들(the Types of Life)" 제목의 글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12.htm <----- 필독 권고

6-3.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과 이 저서의 입문서인 "신학 대전 여행"에 주어진, [IIa IIae, q182], "활동적 및 관상적 삶 비교됨(Active and Contemptative Life Compared)" 제목의 글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13.htm <----- 또한 필독 권고

6-4. 다음의 "신학 대전 여행" 클럽의 가입자일 경우에, 

http://club.catholic.or.kr/tourofsumma [신학 대전 여행]

6-4-1.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과 이 저서의 입문서인 "신학 대전 여행"에 주어진, [IIa IIae, q180], "관상적 삶(Contemptative Life)" 제목의 글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습니다.

6-4-2.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과 이 저서의 입문서인 "신학 대전 여행"에 주어진, [IIa IIae q181], "활동적 삶(Active Life)" 제목의 글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습니다.

7. 
이미 말씀드렸지만, 루카 복음서 10,38-42는, 1969년부터,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해 연중 제16주일의 복음 말씀으로 읽히고 있습니다.

다음은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다-II" (<----- 클릭하십시오)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에 주어진 연중 제16주일 복음 말씀(루카 10,38-42)에 대한 해설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특히 마르타의 요구(루카 복음서 10,40)가 대단히 자기 중심적이었음 지적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발췌 시작)
이 독서는 우리에게 기도에 대한 교훈을 또다시 준다. 마르타는 한 개의 문제 및 이 문제에 대하여 그녀가 원하는 해답과 함께 주님께 다가가나, 그러나 그녀가 받은 대답은 그녀가 원하던 바로 그 대답이 아니다. 예수님의 어머니이신 마리아께서는, 다른 한편으로, 카나에서의 혼인 잔치에서(요한 복음서 2,1-11) 포도주가 떨어진 문제를 예수님께 지적하셨으며 그리고 그 해답을 찾아내는 것을 당신께 맡기셨다.
(이상, 발췌 끝)

8. 지금부터는, 필자가, 이 글의 작성 초반부 이후에 들어와, 루카 복음서 10,38-42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8-1. 다음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C)에서 발췌한 항들을 읽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69.htm

 
CCCC 149. 교회의 기원과 실현은 어떠하였습니까?

CCC 758-766, 778
교회는 하느님의 영원한 계획 안에서 교회의 기원과 실현을 발견합니다. 교회는 모든 민족들을 향후에 불러 모을 것에 대한 표징인, 하느님에 의한 이스라엘의 선정(election)이라는 옛 계약 안에서 준비되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들과 행위들에 의하여 설립되었으며(established), 당신의 구속(救贖)하는(redeeming) 죽음과 부활에 의하여 실현된 교회는 오순절(Pentecost, 성령강림절)에 성령의 흘러나옴에 의하여 구원의 신비(mystery of salvation)로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교회는 하늘의 영광(glory of heaven) 안에서 지상의 구속받은 자(the redeemed)들 모두의 모임으로 완성될 것입니다.
 
CCCC 193. What can the consecrated life give to the mission of the Church?
 
CCC 931-933, 945
The consecrated life participates in the mission of the Church by means of a complete dedication to Christ and to one’s brothers and sisters witnessing to the hope of the heavenly Kingdom.
 
 
CCCC 197. 동정 마리아는 어떻게 교회를 도웁니까?

CCC 965-970, 974-975
당신 아드님의 승천(Ascension of her Son) 후에, 동정 마리아는 당신의 기도로써 교회의 초기 시절(beginnings)을 도왔습니다. 심지어 마리아는, 부르심을 받아 하늘로 들어 올려진[Assumption, 성모승천, 몽소승천(蒙召昇天)]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신의 자녀들을 위하여 전구하시고(intercede), 모든 사람을 위한 믿음과 사랑(charity)의 귀감(model)이 되시고, 그리고 엄청나게 넉넉한 그리스도의 공로(merits)들로부터 비롯되는 유익한 영향력을 그들에게 행사하고 계십니다. 열심 신자들은 자신들이 맞이하게 될 부활의 모습(image)과 부활에 대한 희망(anticipation)을 마리아 안에서 보게 되며 그리고 그들은 변호자(advocate), 원조녀(Auxiliatrix), 협조녀(Adjutrix) 및 중개녀(mediatrix)라는 호칭으로 기도 중에 그녀를 부릅니다(invoke)(엮은이 번역).
 
주: 기도 중에 사용되는 성모님의 호칭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은 2001년도 교황청 경신성사성 지침인 Fifth Instruction “For the Right Implementation of the 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Liturgiam authenticam On the Use of Vernacular Languages in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of the Roman Liturgy 제57항b에 의거하여 번역하였다:
   57 b) In the translation of terms contained in the original text, the same
   person, number, and gender is to be maintained insofar as possible.
   57 b) 원문에 포함된 용어들의 번역에 있어, 가능한 한, 같은 사람, 같은 숫자,
   같은 성(性)이 유지가 되어야만 한다(엮은이 번역).

교회 문헌들의 자국어 번역과 관련한 교황청 유관 부서의 지침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를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va2001trans_guide.htm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assumpv_c965.htm 
 
 
CCCC 199. 어떠한 방식으로 복되신 동정 마리아는 교회의 종말론적 상(icon, 像)입니까?

CCC 972
완전하게 거룩하시고 또 이미 몸과 영혼에 있어 영광스럽게 되신 마리아를 바라봄으로써, 지상에서 교회 그 자체가 어떠한 부름을 받고 있는지와 천당(heaven, 하늘)(*)이라는 본향(homeland)에서 교회가 어떠한 존재일 것인지에 대하여 교회는 마리아 안에서 관상합니다(contemplate)(엮은이 번역).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assump_c972.htm

 

[내용 추가 일자: 2016년 5월 9일]

-----
(*) 게시자 주: [번역 오류] [영어로 "heaven(s)" 로 번역되는 성경 용어의] 차용(借用) 번역 용어인, 아무리 빠르더라도, 1584년경에 한문 문화권 내의 천주교회 안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천당"이, [영어로 "the kingdom of heaven" 으로 번역되는 성경 용어의] 차용(借用) 번역 용어인, 1635년경에 한문 문화권 내의 천주교회 안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천국(즉, 하늘나라, 즉, 하늘 나라)" 의 옛말이라는 주장은 크게 잘못된 주장이다. 
 
왜냐하면 이들 두 차용 번역 용어들은 16-17세기에 중국에 파견되었던 예수회 소속 선교사 신부님들에 의하여, 예수 재림의 날까지 결코 동일하지 않은 두 개의 개념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처음으로 차용(借用)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차용(借用) 번역 용어들이기 때문이다.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이 사실을 처음으로 구체적으로 확인한 시점은 지난 2015년 8월 중순이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보고의 글은 다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
[이상, 내용 추가 끝]

(이상, 발췌 끝)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972항의 요약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C) 제199항"교회가 ... 을 관상한다"는 언급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필자가 평소에 이미 알고 있었던 내용이었습니다. 

8-2. 다른 한편으로, 최근에 들어와, 히브리서 13,14-16과 관련하여, 다음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 [제목: 천상 예루살렘에 있는 성삼위의 영광(Glory of the Trinity in the heavenly Jerusalem)]을 이미 들여다 보았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00.htm 

"영광의 빛(the light of glory)" 이라는 대단히 독특한 표현을 언급하고 있는 교황님께서는 이 강론 말씀 중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 "거룩한 공의회(Sacrosanctum Concilium), 제6항 및 8항을 발췌 인용하고 계시는데, 소위 말하는, 천상에서만 허락되는 완미한 관상(perfect contemplation)에 대한 언급을 하고 계십니다. 

8-3. 그런데, 또 다른 한편으로, 루카 복음서 19,38-42에 대한 17세기경까지의 가톨릭 교회측의 전통적 주석들을 찾아보는 과정에서 다음의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다음의 출처의 제일 마지막 문장을 아래에 발췌하였습니다. 우리말 번역은 필자가 한 것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11.htm

(발췌 시작)
     And so the Church has rightly appointed this portion of scripture to be read on the Feast of the Assumption of the Blessed Virgin because she rendered to Christ the service both of Martha and of Mary, and chose that good part, of which she will never be deprived.

     그리하여 그 결과 교회는 성경 본문의 바로 이 부분이 복되신 동정녀의 몽소승천 축일에 읽히도록 올바르게 이미 지정하였는데(*) 왜냐하면 그녀가 그리스도께 마르타의 그리고 마리아의 봉사 둘 다를 바쳤으며(rendered), 그리고, 그녀가 장차 결코 빼앗기지 않을, 바로 그 선한 부분(good part)을 선택하였기(chosen) 때문입니다. 

-----
(*) 번역자 주: 여기서 말하는 전례력은 16세기 중반의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에 도입되었던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the Traditional Latin Liturgy)을 말하는 것이지, 1960년대 중반에 개최되었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인 1969년에 개정되어 마련되었으며 그리고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자료들을 참고하라. 

바로 위의 해설과 관련하여, 특히 다음의 자료 1의 마지막에 발췌되어 있는, 루카 복음서 10,38-42에 대한 우의적/풍유적 해설(allegorical interpretation)을 또한 필독하도록 하라:

자료 1: http://www.newliturgicalmovement.org/2012/08/the-gospel-of-
assumption-medieval_15.html


자료 2: http://www.liturgies.net/saints/mary/assumption/eucharist.htm

자료 3: http://liturgialatina.blogspot.kr/2011/08/15th-august-
assumption-of-our-blessed.html


자료 4: http://www.catholic-forum.com/saints/gdi229.htm
-----
(이상, 발췌 끝)

위의 자료들은 필자가 추가로 확인하기 위하여 찾아본 자료들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위의 제5항이고, 더 거슬러 올라가서 찾아 본 것이 바로 위의 제6항 이었습니다. 
----------

     아무쪼록 이 글이,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대단히 오랜 기간에 걸쳐 1950년까지,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몽소 승천 축일의 복음 말씀으로 발췌되어 왔던 루카 복음서 10,38-42를 깊이 있게 묵상하는 데에 약간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합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12시간 (자료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1,909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