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piety 라는 윤리덕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 1444_piety [_성령칠은] [_공경] [_효경] [_받듦][번역오류]

인쇄

제일먼저읽으십시오 [218.55.90.*]

2013-09-27 ㅣ No.1449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성경 근거가 이사야서 11,1-3성령칠은(聖神七恩, donum septenarium), 즉 성령의 일곱 가지 선물(gifts)들 중에는, 지금까지 우리말로 "효경(孝敬)"[가톨릭 대사전], 혹은 "공경(恭敬)(받듦)"[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831항,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 부록] 등으로 차용(借用) 번역이 되어 온, "piety(pietas)" 가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우리말로의 번역 이전의 이 용어 "piety(pietas)"자구적 어의(語義)/의미(literal sense)그리고 이 어의(語義)를 잘 나타내는 좀 더 정확한 우리말 번역 용어에 대하여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2.
이번 항에서는 이 단어의 자구적 어의(語義)/의미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2-1. 다음은, 예를 들어, 네이버 영어 사전에 주어진 "piety"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endic2009.naver.com/endic.nhn?docid=864260&rd=s

(발췌 시작)
pi·e·ty〔〕 n. (pl. -ties)
1a  경건, 경신(敬神), 신앙심
b 경건한 행위
2  효심(=filial piety)
3  애국심

 

게시자 주:
(1) "piety(pietas)" 는 사추덕들 중의 한 윤리덕인 "정의(justice, 정의로움)" 에 부속되는 윤리덕(moral virtue) 입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져 있습니다. 우리말 번역은 필자가 한 것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72.htm <----- 필독 권고

 

(2)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 주어진 이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 용어 "piety" 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50.htm <----- 필독 권유

 

(3) 바로 위의 제(1)항제(2)항에 제시된 자료들에 주어진 설명들과 위의 제2-1항에 주어진 영어 사전에서의 "piety" 의 어의(語義)/의미 사이에, 그 내용에 있어서의 등가의(equivalent) 1 대 1 대응 관계가 잘 성립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2-2. 다음은 "piety" 라는 단어의 어원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etymonline.com/index.php?term=piety

(발췌 시작)
piety (n.)

early 14c. (late 12c. as a surname), "mercy, tenderness, pity," from Old French piete "piety, faith; pity, compassion" (12c.), from Latin pietatem (nominative pietas) "dutiful conduct, sense of duty; religiousness, piety; loyalty, patriotism; faithfulness to natural ties," in Late Latin "gentleness, kindness, pity;" from pius "kind" (see pious). Meaning "piousness" attested in English from c.1600. Also see pity (n.).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2-1: 위의 어원을 들여다 보면, 이 단어의 어의(語義)/의미에, "dutiful conduct(의무를 다하는 처신), sense of duty(의무감); religiousness, piety(경신덕적임, 경건); loyalty(충성, 충실), patriotism(애국심); faithfulness to natural ties(자연적 인연들에 충실함),"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3. 다음은, 필자가 35년 이상을 소장 중인, Cassel's Latin English / English Latin Dictionary 에 주어진 "pietas" 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설명 전문을, 라틴어 용례들을 제외하고,  아래에 발췌하였으며, 사용되고 있는 약자들의 의미는


Lit. = literal(자구적),


그리고


Transf. = transferred (이전된) (i.e. used in an altered or metaphorcal sense, 즉, 어떤 변경된 혹은 은유적 의미로 사용된)
입니다:

 

(발췌 시작)
pietas -atis, f. (pius), dutifulness [의무를 다함, 충실], dutiful conduct [의무를 다하는 처신]
     Lit. (자구적), (1) towards the gods, piety [신들을 향하여, piety] (2) due compassion from the gods, respect for human qualities [신들로부터  정당한 동정심, 인간의 자질들에 대한 존중] (3) dutifulness toward one's native country, patriotism [자신의 본국을 향하여 의무를 다함, 애국심] (4) toward relatives, devotion [친적들을 향하여, 헌신]
     Transf. (이전된). in gen., kindness [친절]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2-2: 위의 제2-3항에 제시되어 있는 "pietas" 의 자구적 어의(語義)/의미(literal sense)와 위의 제2-2항에 주어진 설명과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서 들여다 보시기 바랍니다.

 

2-4. 다음은 Charlton T. Lewis, Charles Short, A Latin Dictionary 에 주어진 "pietas" 에 대한 설명에서, 용례를 제외하고, 자구적 어의(語義)/의미 부분만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p??tas , ?tis, f. pius,

I.dutiful conduct towards the gods, one's parents, relatives, benefactors, country, etc., [신들, 자신의 부모들, 친척들, 은인들, 조국 등을 향하여 의무를 다하는 처신sense of duty[의무감].
I. Lit.
A. With respect to the gods, piety [신들에 관하여, piety]:
B. With respect to one's parents, children, relatives, country, benefactors, etc., duty, dutifulness, affection, love, loyalty, patriotism, gratitude, etc. [자신의 부모들, 자녀들, 친척들, 조국, 은인들 등에 관하여 의무, 의무를 다함, 애정, 사랑, 충성, 애국심, 감사 ].

 

게시자 주 2-4: (중간 결론 1) 위의 제2-3항제2-4항에 주어진 설명들로부터 우리는 "pietas" "의무를 다함", "의무를 다하는 처신", "의무감" 등의 자구적 어의(語義)/의미(literal sense)를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2-5. 다음은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piety"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piety

(발췌 시작)
Main Entry: pi·e·ty
Function: noun
Etymology: French pieté piety, pity, from Old French, from Latin pietat-, pietas, from pius dutiful, pious
Inflected Forms: plural pi·e·ties
Date: 1579
1
: the quality or state of being pious [충실함의 질 혹은 상태]: as
a : fidelity to natural obligations (as to parents) [(부모들에 대하여)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b : dutifulness in religion : devoutness [경신에 있어 의무를 다함 : devoutness]
2
: an act inspired by piety
3
: a conventional belief or standard : orthodoxy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5: (이 글의 결론 1) 바로 위의 제2-5항에 주어진 Merriam-Webster Dictionary의 "piety" 라는 단어에 대한 사전적 설명으로부터, 특히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이, 위의 제2-4항에 주어진 "pietas" 의 자구적 어의(語義)/의미뿐만이 아니라, 위의 제2항 전체에서 고찰한 "pietas" 자구적 어의(語義)/의미(literal sense) 를 또한 대단히 잘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이번 항에서는, 위의 게시자 주 2-5에서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piety" 단어에 대한 설명에 근거하여  이 글의 결론 1로서 도출된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이라는 "pietas" 단어의 자구적 어의(語義)/의미(literal sense)가 참(true)임을 입증하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설명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1. 다음음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iety"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culture.org/culture/library/dictionary/index.cfm?id=35585

(발췌 시작)
PIETY

 

Honor and reverence given to someone in any way responsible for our existence or well-being. Thus God as our Creator and constant Provider, parents, near relatives, country, tribe, or people.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

 

어느 방식으로 우리의 존재(existence) 혹은 안녕(well-being)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누군가(someone)를 향하여 표해지는 존경(honor)과 공손한 태도/경의(敬意)(reverence)를 말합니다.(*) 따라서, 우리의 창조주(Creator)로서 그리고 지속적인 제공주(Provider)로서 하느님, 부모들, 가까운 친척들, 조국(country), [자신이 속하는] 부족(tribe), 혹은 [자신이 속하는] 백성(people)을 향하여/쪽으로 표해지는 존경(honor)과 공손한 태도/경의(敬意)(reverence)를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3-1: "이러한" 존경과 경의(敬意)/공손한 태도는, 아래의 제3-2항에 발췌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 에 주어진 "piety" 라는 신학젹 용어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듯이,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이라는 "piety" 의 자구적 어의(語義)/의미(literal sense)당연히(naturally) 포함됨에 주목하십시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성경 본문의 특정 단어에 대하여 있을 수 있는 세 개의 영성적 어의(語義)/의미(spiritual senses)들이 반드시 해당 단어의 자구적 어의(語義)/의미(literal sense)에 근거하고 있어야 함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ae, q10, a1 을 그대로 수용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16항의 가르침입니다.

 

3-2.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 에 주어진 "piety" 에 대한 설명입니다. 괄호 안의 번호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해당 항들의 번호들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catechism/text/glossary.shtml#p

(발췌 시작)
PIETY:


One of the seven gifts of the Holy Spirit which leads one to devotion to God (1831). Filial piety connotes an attitude of reverence and respect by children toward their parents (2215). Piety also refers to the religious sense of a people, and its expression in popular devotions (1674).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


하느님에 대한 공경(devotion) 쪽으로 당사자를 인도하는 성령의 일곱 선물(성령칠은)들 중의 한 개를 말합니다(CCC 1831). 자식으로서의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filial piety)은 자녀들에 의하여 자신들의 부모들 쪽으로 표해지는 공손한 태도/경의(敬意)(reverence)와 존중(respect)시사(示唆)합니다(connotes)(CCC 2215).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은 또한 한 백성의 경신덕적 감각(religious sense)에 대한, 그리고 민간의 건성(경건한 정성) 예의(禮儀)(popular devotions)들 안에서 이 경신덕적 감각의 표출(expression)에 대한 언급입니다(CCC 1674).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3-2:
(1) 위의 설명에서 파란 색칠을 한 바 모두가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당연히(naturally) 포함됨에 주목하십시오.

 

(2) 그리고, 예를 들어, 구약 성경 시대의 유다인들의 "의로운 일들", 즉, 윤리적 선행들인 토빗기 12,8"기도(prayer), 단식(fasting), 그리고 자선 제공(almsgiving)"대형(antitype)그리스도교의 "기도 생활, 성사 생활, 그리고 실천 생활" 이라는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이,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의로운 일(righteous deeds)들", 즉, "그리스도교의 윤리적으로 선한 행위(morally good acts)들, 즉 선행(good works)들"(*)당연히(naturally) 포함됨을 알 수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0월 26일]

-----
(*) 번역자 주: "인간의 행위(human act)" 라는 대단히 중요한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 중의 게시자 주 1-1에 있으니 필독하라:
[이상, 2014년 10월 26일자 내용 추가 끝]

 

(3) (번역 용어 제안)  (이 글의 결론 2) 바로 위의 제3-2항의 발췌문에서 언급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831항의 각주에 명기되어 있듯이, 성령칠은들 중의 한 개의 윤리덕(moral virtue)인 "piety" 라는 단어의 성경 근거가 이사야서 11,1-3이고, 그리고 이 한 개의 단어가, 위의 제3-2항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세 개의 서로 다른 신학적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가 결코 아니므로,  "pietas" 의 우리말 번역 용어로, 지금까지의 차용된 번역 용어들인  "공경(받듦)" 혹은 "효심" 대신에, 이들 세 개의 개념들을 당연히(naturally) 포함하는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을 채택할 것을 제안합니다.  사족이지만,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필력의 한계로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fidelity to natural duties/obligations)"을 그대로 나타내는 한자단어를 필자가 아직까지 찾아내거나 혹은 제시하지 못하는 것이 상당히 안타깝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4월 2일 목요일]

사추덕(the four cardinal virtues)들 중의 하나인 정의(justice)에 부속되는 한 개의 윤리덕(a moral virtue)을 나타내는 원 라틴어 용어 "pieatas" 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에 더 충실하기 위하여, 오늘 날짜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한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이라는 우리말 번역 표현에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라는 표현을 추가합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3-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신학대전여행", IIa IIae, q101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Ia IIae, q101 을 읽을 수 있는데, "piety" 라는 단어를, "공경(받듦)" 혹은 "효심" 대신에"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로, 혹은 이 표현과 등가의 표현으로, 번역할 때에 비로소 "piety" 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 문장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대단히 쉽게 이해 할 수 있음을 독자들 또한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50.htm  <----- 필독 권고

 

3-4. (번역 미숙/오류 지적) 다음은 Paul J. Glenn 몬시뇰(1893-1957)의 저서: "A Tour of the Summa(신학대전여행)" IIa IIae, q121, Piety as a gift 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51.htm

(발췌 시작)
Piety thus venerates God, parents, kinsfolk, and country.

 

따라서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은 하느님, 부모들, 친척(kinsfolk), 그리고 조국을 공경합니다/존경합니다(venerates).(*)

 

-----
(*) 번역자 주: 바로 이 문장이 "piety" 로 번역되는 표현을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 예를 들어, 이 글에서처럼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대신에, 지금까지처럼, "공경(받듦)" 혹은 "효심/효경"으로 번역하여서는 아니 됨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한 개의 반례(a counter-example)이다.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0월 21일]

3-5.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중국인들이 사용하는 한자 사전인 漢典 에 주어진 "孝" 글자에 대응하는 영어 표현에 "filial piety" 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http://www.zdic.net/z/18/js/5B5D.htm

 

그리고 위의 게시자 주 2-5에서 제안한 "piety" 의 우리말 번역 용어를 사용하여 "filial piety" 을 우리말로 번역을 하면 "자식으로서의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입니다. 따라서, "piety" 를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로 번역하는 것은 대단히 정확하게 원 단어 "piety" 의 의미를 전달하는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임을 또한 확인하였다는 생각입니다.

[이상, 2013년 10월 21일자 내용 추가 끝]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4월 2일 성 목요일]

사추덕(the four cardinal virtues)들 중의 하나인 정의(justice)에 부속되는 한 개의 윤리덕(a moral virtue)을 나타내는 원 라틴어 용어 "pieatas"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에 더 충실하기 위하여, 오늘 날짜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한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이라는 우리말 번역 표현에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를 추가합니다.

[이상, 2015년 4월 2일자 내용 추가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0월 22일]

3-6. "piety" 즉 라틴어 "pietas"의 자구적 어의(語義)/의미(literal sense)에 대한 다음의 언급을 또한 참고하십시오. 아래의 출처를 클릭한 후에 이 논문의 제5쪽을 읽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www.ims.or.kr/BBS/down.php?F=13130514113820.PDF 
(지중해지역연구,제14권 제2호 [2012. 5], 퀸틸리아누스의 교육사상의 역사적 의의 -"연설가교육론"(Institutio Oratoria ) 1권 1~3장을 중심으로-, 김덕수)

(발췌 시작)
초기부터 로마인들 사이에서 추구된 가치로는 pietas가 있는데, 그것은 신에 대한 경건, 국가에 대한 충성, 부모에 대한 효, 친구에 대한 신의를 포함하는 괄적인 덕성이었다.
(이상, 발췌 끝).

 

바로 위의 논문의 발체문에서, 신(god)은 다신교 국가였던 로마 제국에 있어서의 여러 잡신(gods)들을 말하며, 특히 이 논문은 한문 문화권의 유학(儒學)에서 말하는 "부모에 대한 효(filial piety)" "pietas/piety[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라고 불리는 바로 이 포괄적인 윤리덕(moral virtue)포함됨을 분명하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위의 제3-2항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에 의하여 이 글의 결론 1로서 도출된 게시자 주 2-5 및 이 결론의 근거로서 제시되고 있는 게시자 주 3-2를 필독하시기 바랍니다.

 

3-7. 특히 위의 제3-6항의 논문의 제5쪽에서 각주로 다음을 또한 언급하고 있습니다:

 

(발췌 시작)
로빈 바로우는 초기 로마교육의 특징을 조상의 관습(mos maiorum), 피에타스(pietas), 그라비타스(gravitas), 가부장(paterfamilias)의 권위, 실례에 의한 교육(education by example)으로 정리한다. Robin Barrow. 1976. Greek and Roman Education. pp. 57-62.
(이상, 발췌 끝).

 

바로 위의 발췌문에 나열된 다섯 가지가 초기 로마교육의 특징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pietas/piety[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 가 포함되어 있음에 또한 주목하십시오.

 

게시자 주: 위의 제3-6항제3-7항에서 말하는 "초기"기원전 250년까지의 시기를 말함은 다음의 자료들을 참고하면 알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1: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참고 자료 2: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pdf 파일. 제125쪽 참조].
(이상, 게시자 주 끝).

[이상, 2013년 10월 22일자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20시간



1,894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