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여호수아의 아버지의 이름 눈(Nun)의 자구적 의미 [성경용어_눈] [_Nun]

인쇄

. [218.55.90.*]

2013-10-03 ㅣ No.1452

 

질문:

여호수아의 아버지의 이름인 "눈(Nun)" 의 의미가 무엇인지요?

인터넷 검색을 해 보면,

눈은 이집트의 신인데 신들의 아버지란 의미를 갖고 있다

고 하는데, 이것은 유다교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1. 여호수가가 "눈(Nun)"의 아들임은, 예를 들어, 다음의 민수기 13,16을 읽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발췌 시작)
(민수기 13,16) ... 모세의 아들 호세아에게 여호수아라는 이름을 주었다.
(이상, 발췌 끝)

2. 그런데, 주신 질문과 관련하여서는 결국에, 어쩔 수 없이, 유다교측에서 신뢰할 만한 자료들을 들여다 보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2-1. 다음의 유다 백과사전에 주어진 설명에 의하면, "눈(Nun)"이라는 이름은 물고기(fish)를 나타내는 히브리어 알파벳의 14번째 자음을 말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족입니다만, 히브리어 알파벳에는 모음이 없음을 또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1622-nun

(발췌 시작)
NUN:

Fourteenth letter of the Hebrew alphabet. The name signifies "fish," and perhaps indicates the original shape of the letter (see Alphabet). The "nun" has two forms, one (?) for the beginning or middle of a word and one (?) for the end. It is a liquid lingual letter, but its pronunciation is greatly helped by the nose, and therefore in certain cases it is now pronounced with the nasal sound of the French "n." It interchanges with the other liquids ? and ?. It is one of the servile letters, being used as a prefix to form the first person plural of the imperfect in all conjugations, and to form the "nif'al." When followed by "shewa" it is, if initial and radical, regularly dropped (so in the imperative and infinitive of many verbs); if at the end of a syllable, it is generally assimilated to the following consonant. Its numerical value is fifty. On the "inverted" nuns see Jew. Encyc. viii. 368.

히브리어 알파벳의 열네 번째 글자를 말합니다. 이 이름은 "물고기(fish)"를 나타내며, 그리고 아마도 이 글자의 애초의 모양(shape)을 나타낼 것입니다 (알파벳을 보라). (이하, 우리말 번역 생략).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2-2. 다음에 발췌한 설명이 주어져 있는, 다음의 WikipediA 에 주어진 "Nun" 의 설명을 또한 참고하십시오: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Nun_(Bible)

(발췌 시작)
In Aramaic, "nun" means "fish". Thus the Midrash tells: "[T]he son of him whose name was as the name of a fish would lead them [the Israelites] into the land." (Genesis Rabba 97:3.)

아람어로, "눈(nun)""물고기(fish)"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미드라쉬(Midrash)(*)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그 이름이 물고기의 이름같았던 그자의 아들이 그들[이스라엘의 자손들]을  [약속된] 땅으로 인도하였을 것입니다(would)." (Genesis Rabba 97:3.).

-----
(*)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유다교측의 문헌인 "미드라쉬(Midrash)"에 대한 설명의 글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1.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그리고 개신교측의 일부 성경 백과사전들에도 여호수아의 아버지를 언급하면서, "눈(Nun)"이라는 이름이 물고기(fish)를 의미한다는 설명이 주어져 있습니다. 또한 참고하십시오.

4. 따라서,

[눈은 이집트의 신인데 신들의 아버지란 의미를 갖고 있다]

<-----
이 주장과 관련하여 위의 유다 백과사전에 아무런 설명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주장은 유다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아왔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리스도교에서도 받아들여지지 않아왔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5.
5-1.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15항부터 제119항에서 구체적으로 가르치고 있듯이, 성경 본문의 특정 구절을 이해함에 있어, 해당 단어의 바로 이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 에 소위 말하는 세 개의 영성적 의미(spiritual senses)들이 의존하고 있으므로, 자구적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의 참고 사항 3참고 사항 4를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64.htm [참고 사항 3참고 사항 4 필독 권고]

5-2. 눈(Nun)과 관련된 추가적인 읽을꺼리 한 개
예를 들어,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Josue (Joshua)에 대한 설명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이 경우에 있어 비록 그 자구적 의미를 잘못 이해한 바로 부터 도출된 결과 그 자체는 문제가 없을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Nun)" 이라는 단어의 자구적 의미를 잘못 이해하였던 한 개의 경우에 해당할 것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8524a.htm

(발췌 시작)
In the Fathers, the book is often called "Jesus Nave". The name dates from the time of Origen, who translated the Hebrew "son of Nun" by uìòs Nauê and insisted upon the Nave as a type of a ship; hence in the name Jesus Nave many of the Fathers see the type of Jesus, the Ship wherein the world is saved.

교부(Fathers)들에 있어, 이 책은 자주 "Jesus Nave" 로 불립니다. 이 이름은 오리제네스(Origen, 185-232년)의 시기로부터 시작되는데(dates from), 그는 히브리어 "눈의 아들"을 uìòs Nauê 로 번역하였으며(*) 그리고 "the Nave" 에 대하여 한 척의 배(a ship)의 한 형식(a type)이라고 주장하였는데(insisted upon), 그리하여 그 결과 Jesus Nave 라는 이름 안에서 교부들 중의 많은 이들이, 그 안에서 세상이 구함을 받는 거룩한 배(the Ship)인, 예수님의 예형(type)(**)을 봅니다.

-----
(*) 번역자 주: 이 흔적은 심지어, 4세기말쯤에 성 예로니모(St. Jerome)가 옮긴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 집회서 46,1에도 남아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이어지는 제5-3항을 읽도록 하라.
(**) 번역자 주: "예형(type)" "대형(antitype)" 이라는 신학적 용어들에 대한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70.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5-3.
5-3-1. 다음은 1979년까지 가톨릭 교회의 공인 라틴어 성경이었던,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 집회서 46,1 전문인데, 여기서 "Jesus Nave" 라는 표현은 "눈의 아들 여호수아"를 말합니다. 아래의 제5-3-3항의 집회서 46,1와 비교/검토하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sir046.htm

(발췌 시작)
Fortis in bello Jesus Nave, successor Moysi in prophetis,
qui fuit magnus secundum nomen suum,
(이상, 발췌 끝)

5-3-2. 다음은, 16세기에,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 을 영어로 번역한 가톨릭용 성경인 Douay-Rheims Version 집회서 46,1 전문 및 "Nave"에 대한 주석입니다: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1214.html

(발췌 시작)
Valiant in war was Jesus, the son of Nave, who was successor of Moses among the prophets, who was great according to his name,

-----
and Nave is the Greek pronunciation of Nun; (Haydock) or this is an old fault of transcribers. (Calmet)

그리고 NaveNun 의 그리스어 발음이거나 (Haydock), 혹은 이것은 필경자(transcribers)들한 개의 오래된 잘못(fault)입니다 (Calmet).
-----
(이상, 발췌 및 주석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5-3-3. 다음은 1979년에 공포된,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 집회서 46,1 전문입니다. 위의 제5-3-2항에서의 Nave"filius Nun" 으로 바로잡아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Fortis in bello Iesus filius Nun,
successor Moysi in prophetis,
qui fuit secundum nomen suum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끝으로, 위의 답글을 작성하기 위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들여다보고 그리고 발췌 인용한 자료들 모두는, 다음의 주소로부터, 누구든지 직접 찾아서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bs.htm 

혹은

http://org.catholic.or.kr/conservatory/frames/mp34todayreading.shtml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1시간 (자료 찾기 포함)

 



1,867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