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사울 임금의 통치 초기에 대한 언급 - 1사무엘 13,1 [성경공부] [_사울] [_암몬족] [_하느님의아들들] [_기름부음] 843_ 하느님의 아들 843_

인쇄

. [218.55.90.*]

2014-01-01 ㅣ No.1496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질문:
사무엘기 상권 13,1: 사울이 임금이 된 것은 서른 살 때였다. 그는 이스라엘을 해 동안 다스렸다.

사무엘기 하권 2,10: 사울의 아들 이스 보셋이 이스라엘의 임금이 된 것은 마흔 살 때였다. 그는 두 해 동안 다스렸다.

 

질문 1: 중간에 요나탄 나와서 할약할 때, 젊은 나이에 장성한 아들이 있었구나, 대체 몇 살에 낳았단 말인가? 잠깐 생각했고

이후 다윗과 갈등하던시기에는 내내, 이 년 사이에 참 많은 일도 있었구나 생각도 했는데

 

이스 보셋이 마흔 살에 사울의 뒤를 이었다니 이게 뭔가 싶습니다.

 

질문 2: 덧붙여, 사울의 아들 이스 보셋이 죽는 내용이 나오는데, 왕위를 이은 이스 보셋은 이름이 같은 다른 아들이겠죠?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우선적으로,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1사무엘 31,1은 주일 혹은 주간 제1독서로 발췌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틀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1사무엘 13,1을 인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1-1. "새 번역 성경" 1사무엘 31,1에서의 커다란 어려움은, 사울이 나이 서른에 임금이 되었다고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이 된 부분보다는, 사울이 해 동안 다스렸다는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위의 질문에서처럼 상식의 선에서 생각하더라도, 단지 해 동안에, 1사무엘 16장부터 31장 끝까지 그리고 2사무엘 1장부터 5장까지에 기록된, 사울(Saul)과 다윗(David) 사이에 그 많은 일들이 벌어졌다는 것은 대단히 납득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1-2. 다른 한편으로, 질문 2의 답변은 다음과 같이 대단히 간단하므로, 이 글에서는, 지금 말씀드린 바에 대하여, 즉 질문 1에 대하여 주로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2에 대한 답변: 아닙니다. 사울에게 네 명의 아들들이 있었는데(1역대 8,33; 9,39), 이들 중의 셋은 필리스티아인들과의 전투에서 죽음을 맞이합니다(1역대 10,2).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 구약 성경 본문 전체에 걸쳐 이스 보셋(Ishbosheth)[즉, 에스바알(Eshbaal)]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자는 단 한 명뿐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출처: Who's who in the Old Testament, Ishbosheth, p. 168).

 

그리고 지금 말씀드린 질문 2에 대한 답변은 또한, 1역대기 10,22사무엘 4,1, 다음의 유다 백과사전의 설명, 그리고 "새 번역 성경" 구약 본문에 대한 검색 결과들로서도 직접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8250-ish-bosheth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old2&prindex=0&Keyword=이스 보셋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old2&prindex=0&Keyword=에스바알

 

1-3. 다음은 위의 질문 1에 대한 첫 답변들입니다. [] 안은 질문자의 답변과 재답변들입니다:

 

(첫 번째 답변 시작)
[이스 보셋이 마흔 살에 사울의 뒤를 이었다니 이게 뭔가 싶습니다.]

<----- 예를 들어, 사울과 다윗이 각각 몇 년을 다스렸는지 확인하십시오.

 

[확인하지 않아도 두 해보단 엄청 길게 느껴지는 세월이었습니다. 사십 년도 넘을지 모르죠.]

<----- 성경 본문의 특정 부분을 말씀하실 때에는 구체적으로 어느 경전의 제 몇 절인지를 밝히셔야지요. 예를 들어, "이 년 (두 해)"를 자꾸 말씀하시는데, 1사무엘 13,1에서의 이스라엘의 임금이 된 사울의 전체 통치 기간으로서의 그러한 언급은 정확할 수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에 있는 NAB 1사무엘 13,1에 대한 주석을 참고하십시오:
http://old.usccb.org/nab/bible/1samuel/1samuel13.htm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하여 1사무엘 13,1을 살펴보면 이 절 전체가 () 안에 있는데, 그 이유는, 기원후 9세기경에 갈릴래아 호수의 서쪽 해변에 위치한 티베리아스 항구도시에서 유다교 학자들에 의하여 유다교 용도로 편집된, 그리고 "새 번역 성경" 구약 본문의 번역 대본인, 소위 말하는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1사무엘13,1과는 달리, 다음의 주소에 있는 그리스어본 칠십인역에는 1사무엘 13,1에서 () 안과 같은 언급이 아예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http://www.ellopos.net/elpenor/greek-texts/septuagint/chapter.asp?book=9&page=13

 

[덧붙여, 사울의 아들 이스 보셋이 죽는 내용이 나오는데, 왕위를 이은 이스 보셋은 이름이 같은 다른 아들이겠죠?]
<----- 무슨 말씀이신지요??? 피조물인 인간들 중에 죽지 않는 자가 어디 있는지요???
사울의 네 명의 아들들 중에서 세 명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 성경 본문을 찾아 읽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제가 알기로, 구약 성경 본문 전체에 걸쳐 이스 보셋(즉, 에스바알)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자는 단 한 명뿐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각설하고, 결국에, 자매님의 이번 질문 덕택으로, "새 번역 성경" 1사무엘 13,1이, 기원전 3-2세기에 마련되었다고 알려져 있는, 그리스어본 칠십인역 구약 성경에 아예 없음을 다들 알게 되었다는 생각입니다.
(이상, 첫 번째 답변들 끝)

 

2.

지금부터는 위의 질문 1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하게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적으로, 1사무엘 31,1의 여러 지역 언어본들과 이들에 대한 주석들이 제공되고 있을 경우에, 이들 주석들을 또한 함께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대순으로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2-1. (기원전 3-2세기경에 유다교 학자들에 의하여 마련된, 그리스어본 칠십인역 1사무엘 31,1의 영어본) 
 

출처: http://www.ellopos.net/elpenor/greek-texts/septuagint/chapter.asp?book=9&page=13

(발췌 시작)
1 And Saul chooses for himself three thousand men of the men of Israel: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1
:
그런데 위에 발췌한 절은, 기원후 9세기경에 갈릴래아 호수의 서쪽 해변에 위치한 티베리아스 항구 도시에서 유다교 학자들(마소라 학파)에 의하여 오로지  유다교 용도로 편집된, 그러나 "새 번역 성경" 구약 본문의 번역 대본인, 소위 말하는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1사무엘13,2의 첫 부분에 대응하며, 따라서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1사무엘13,1 자체가, 기원전 3-2세기에 마련된, 그리스어본 칠십인역 구약 성경 본문에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2-2. (기원후 4세기에 성 예로니모에 의하여 마련된 대중 라틴말 성경 사무엘 13,1)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1sa013.htm

(발췌 시작)

Filius unius anni erat Saul cum regnare cœpisset: duobus autem annis regnavit super Israël.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2
:
위의 라틴어 문장의 영어본은 바로 아래의 제2-3항에 있습니다:

 

2-3. (Douay-Rheims Bible 사무엘 13,1)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623.html

(발췌 시작)
1 Saul *was a child of one year when he began to reign, and he reigned two years over Israel.

 

Ver. 1. Of one year. That is, he was good, and like an innocent child, and for two years continued in that innocency. (Challoner) (St. Gregory) (Worthington)

--- Israel. This verse is omitted in some copies of the Septuagin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explain. Some translate Hebrew, "Saul was a son of one year old," &c. (Symmachus) Others, "Saul begot a son the first year of his reign, (Raban) Isboseth, who was 40 years old when his father died, after governing all that while. (Serarius)

--- Syriac and Arabic, "In the first or second year of the reign of Saul....he chose," &c. [시리아본 과 아랍어본, "사울의 통치의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해에 ... 그는 ... 를 선택하였다." 등등] Hardouin supposes that the people dated their years by his reign only so long. Some think that the Hebrew is imperfect; and an ancient interpreter has, "Saul was 30 years old, when he began," &c. (Calmet)

--- The Rabbins and many commentators assert, that the reign of Saul lasted only two years. (Tirinus)

--- But some of them explain this, as if he reigned alone only that term before he was rejected, when he could only be regarded as an usurper. Others, that he obtained the whole power for two years, after the death of Samuel. Usher concludes that, during the incursions of the Philistines, he could hardly be said to reign, and these commenced after he had been king two years. We might also translate, "Saul was the son of the year of his reign, (when he was confirmed at Galgal) and in the second year....he chose," &c. (Calmet)

--- Perhaps the first translation, though somewhat mystical, may be the most literal, shewing that for one year Saul continued to act with the most engaging affability and moderation. But in the second he threw off the yoke, and was, in his turn, rejected by the Lord, as we shall soon behold. [한 해 동안 사울이 가장 매력 있는 붙임성 있음 밑 절제와 함께 행동하는 것을 계속하였음을 보여주는, 아마도 첫 번째 번역이, 비록  다소 신비적이기는 하나, 가장 글자 그대로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두 번째 해에 그는  멍에를 벗어 던젔으며, 그리하여 그는, 그 결과로서,  우리가 마땅히 조만간 볼 것이듯이, 주님에 의하여 거부되었습니다] (Haydock)

--- Scaliger seems to prefer allowing that the numeral letters have been omitted by some transcriber, and that we should read, Saul was 30 years old. This, and similar variations, he attributes to the compendious method of using numeral letters; (Kennicott) an inconvenience very frequently attending all manuscripts, both sacred and profane. (Taylor)

(이상, 발뤠 끝).

 

2-4. (1611년에 초판 발행된 KJV(King James Version) 사무엘 13,1)

(발췌 시작)

1 Saul reigned one year; and when he had reigned two years over Israel,

(이상, 발췌 끝).

 

2-5. (1960년대, RSV(Revised Standard Version) 1사무엘 31,1)
출처: http://quod.lib.umich.edu/cgi/r/rsv/rsv-idx?type=DIV1&byte=1105727

(발췌 시작)
[1] Saul was . . . years old when he began to reign; and he reigned . . . and two years over Israel.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5
:
위의 RSV 1611KJV 를 현대 어법에 맞게 개정한 버젼인데, 바로 이 KJV와는 달리, 특히 두 곳에 빈칸, . . . 이 편집하는 과정에서 편집자들에 의하여, 삽입되었음을 꼭 주목하십시오. 그리고 지역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던 이러한 삽입은 17세기까지는 전혀 없었으나, 20세기 중반에 들어와 처음 등장하였던 것 같습니다.

 

2-6. (1970년에 초판 발행된 NAB(New American Bible) 1사무엘 13,1)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1samuel/1samuel13.htm
(발췌 시작)
1 (Saul was . . . years old when he became king and he reigned . . . (two) years over Israel.)

 

[1] A formula like that of 2 Sam 5:4 was introduced here at some time; but the age of Saul when he became king remains a blank, and the two years assigned for his reign in the received text cannot be correct. Tradition (Acts 13:21) offers the round number, "forty years."
(이상, 발췌 끝).

 

[1] 2사무엘 5,4의 바로 그것과 같은 정식이 어느 시기에 여기에서 도입되었으나, 그러나 사울이 왕이 되었던 때의 그의 나이는 공백(a blank)으로 남아있으며, 그리고 전해진 본문에 있어 그의 통치 기간으로 할당된 2년은 정확할 수가 없습니다. 전승(Tradition)(사도행전 13,21)은 근사 숫자인 "40년" 을 제시합니다.
(이상, 발췌 및 주석의 우리말 번역 끝).

 

2-7. (1973년에 초판 발행된 NIV(New International Version) 1사무엘 31,1)
출처 1: 필자가 소장 중임.
출처 2: http://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1%20Samuel%2013&version=NIV

(발췌 시작)
Saul was thirty, a years old when he became king, and he reigned over Israel, forth- b two years.

 

a1 A few late manuscripts of the Septuagint; Hebrew does not have thirty.
b1 See the round number in Acts 13,21; Hebrew does not have forty-.

 

a1 칠십인역의 몇 개의 후기 사본들; 히브리어 성경(즉, 마소라본 히브리어 구약 성경 1사무엘 13,1)은 30 을 가지고 있지 않다.
b1  사도 행전 13,21에 있는 근사 숫자를 보라, 그리고 히브리어 성경(즉, 마소라본 히브리어 구약 성경 1사무엘 13,1)은 40- 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상, 발췌 및 주석들의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7: 이어지는 글에서 구체적으로 지적할 것이지만, 지역 언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지역 언어로의 번역자들이 1사무엘 13,1의 한 개의 문장 중의 두 곳에서 임의적으로 판단하여, thirty 와 forty- 를 추가한 것은, 특히 forty- 를 성경 본문 중에 추가한 것은, 비록 각주들로서 자신들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밝히고 있기는 하나, 그러나 상당히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2-8. (1976, GNB(Good News Bible) 1사무엘 13,1은 없음)

출처: http://www.biblegateway.com/passage/?search=1%20Samuel%2013&version=GNT

(발췌 시작)
13 e 2 Saul oicked three ...

 

e One acient translation does not have verse 1; Hebrew has as verse 1 Saul was ... years old when he became king, and he was king of Israel for two years. The Hebrew text is defective at two points in this verse.


e
한 개의 고대 번역본(즉, 칠십인역 성경 1사무엘 13)은 1절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리고 히브리어 성경(즉, 마소라본 히브리어 구약 성경 1사무엘 13)은 1절을 다음과 같이 가지고 있습니다: 사울은 그가 왕이 되었을 때에 ... 살이었으며, 그리고 그는 2년 동안 이스라엘의 임금이었다. 이 히브리어 본문은 바로 이 절에서 두 가지 점들에서 결합이 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주서의 우리말 번역 끝).

 

2-9. (1979년, 새 대중 라틴말 성경 1사무엘 13,1)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교황청 홈페이지)

(발췌 시작)
1 Filius annorum Saul, cum regnare coepisset; duobus au tem annis regnavit super Israel.

 

1 Saul was a son of a year old, when he began to reign, and he reigned two years over Israel. 


1 사울은, 그가 통치를 시작하였을 때에, 한 살의 [하느님의] 아들이었으며, 그리고 그는 이스라엘을 두 해 통치하였다.
(이상, 발췌 및 영어 및 우리말 졸번역 끝)

 

게시자 주 2-9:
(1)
1979년에 개정되어 출판된 새 대중 라틴말 성경의 1사무엘 13,1, 위의 제2-5항부터 제2-8항에 발췌된 20세기 중반부터 1979년까지의, 성 예로니모가 결코 아닌 최근의 일부 역자들에 의하여 단어(들)이 추가된, 지역 언어본들과는 달리, 위의 제2-2항에 발췌된 4세기성 예로니모에 의하여 마련된 대중 라틴말 성경의 1사무엘 13,1과 그 내용에 있어 동일에 주목하십시오. 그런데 이것은, 가톨릭 교회 교도권에서 1사무엘 13,1의 본문 자체가 20세기 중반에 들어와 엉뚱한 방향으로 바뀌어지는 것에 분명하게 제동을 건 조치로 생각되기에, 새 대중 라틴말 성경 1사무엘 13,1 본문은, 16세기 이후부터는 통상적으로 Clementine Vulgate 라고 불려왔던 위의 제2-2항에 발췌된 기존의 대중 라틴말 성경 본문과 함께,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크게 존중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지역 언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지금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위의 제2-9항에서 말씀드린 "새 대중 라틴말 성경"의 해당 본문을 따라야 할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마지막 부분에 있는, 교황청 경신성사성 문헌 [제목: Liturgiam authenticam, 2001년 5월 7일] 제41항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0.htm <----- 필독 권고


(2)
사실 사무엘기 1서와 2서 전체에 걸쳐 1사무엘13,1의 위치는, 사울이 이스라엘의 임금이 된 후에 총 몇 년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는지/통치하였는지를 밝히는 자리가 아니고 (왜냐하면, 이어지는 1사무엘기의 나머지 기록과 2사무엘기 첫 부분이 사울의 통치기간 전체에 대한 정보를 독자들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의 통치의 초기에 발생하였던 필리스티아인들과 사울과의 첫 번째 전쟁이 언제 발생하였는지를 밝히고 있는 자리입니다. 지금 지적한 바는 1사무엘 3장부터 15장까지를 여러 번 읽으면 전후의 문맥 안에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3) 다른 한편으로, 사울은 사무엘에 의하여 기름부음을 받고(1사무엘 10,1) , 이스라엘의 자손들의 임금으로 이들에 의하여 뽑혔으나(1사무엘 10,24),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울이 이스라엘의 자손들을 다스리는 왕위에 등극하여 임금의 권한을 실제로 행사하게 되는 시점은 그가,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는 칠십인역 1사무엘11,1에 의하면 왕으로 뽑힌 후 한 달쯤 지난 시점먼저 야베스 길앗을 포위 공격을 해 몬족을 지도력을 발휘하여(1사무엘 11,7) 물리쳐(1사무엘 11,11) 실제로 임금으로서의 실력/능력을 인정받은 이후(1사무엘 11,1-14절)였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따라서, 사울이 사무엘로부터 기름부음을 받은 시점에서부터 실제로 그가 이스라엘의 임금으로서 다스리기/통치하기까지시간적으로 일정 기간 이상이 흘렀을 것임을 우리는 추론할 수 있습니다.


(4) 
 또 다른 한편으로, 위의 필자의 우리말 번역에 [하느님의] 라는 표현을 필자가 추가하여, "한 살의 [하느님의] 아들"로 번역한 근거/이유는 다음의 제3항에 주어져 있습니다.


(5)
그런데, 아래의 제3항을 읽기 전에, 우선적으로, 1사무엘 13,1에, 위에서처럼, [하느님의] 라는 표현의 추가는, 4세기의 성 예로니모의 애초의 라틴어로의 번역이 글자 그대로의 직역 번역임을 인정하면서도, 또한 전후 문맥 안에서 아무런 무리없이 1사무엘 3장-15장까지의 내용을 쉼게 이해할 수 있게 함에 또한 주목하십시오.

 

2-10. 이번 항의 끝으로, 다음은 1사무엘 13,1에서 "서른" 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 입니다. 위의 제2항에서 이 지점까지 살펴본 바들과 정밀하게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발췌 시작)
히브리 말 본문에는 나이를 밝히는 숫자가 없으나, 몇몇 칠십인역 수사본에 따라 사울의 나이를 서른 살로 밝힌다. 이는 후대의 계산일 것이다(2사무 5,4 참조). 2절에 보면 요나탄이 천 명의 군사를 거느린 장수로 등장하고, 2사무 4,4에 따르면 사울이 죽기 전에 손자를 두었다고 하는데 이런 기록들을 사실로 받아들인다면 사울의 나이는 적어도 마흔 살 이상은 되었을 것이다. 대중 라틴말 성경은 사울이 임금이 된 것은 "한 살 먹었을 때" 였다고 하고, 타르굼(즉, 히브리어 구약 성경의 아람어 구두 번역서 및 주석서)"한 살 난 아이"였다고 한다. 시리아 말 역본에는 1절이 "사울이 일 년 또는 이 년 다스렸을 때" 로 되어 있다. 칠십인역에는 1절 전체의 내용이 없다.
(이상, 발췌 끝).

 

3.

위의 제1항제2항에 제시해 드린 여러 지역 언어로의 번역본들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서 읽어 보면, 다음을 그리 어렵지 않게 추론할 수 있습니다:

 

3-1. 4세기에 성 예로니모(St. Jerome)에 의하여, 그 당시의 히브리어 구약 성경을 주된 번역 대본으로 삼아 라틴어로 번역된 대중 라틴말 성경이 마련된 이후 상당한 기간 동안 1사무엘 13,1에 대하여 아무런 문제 제기가 없었으나,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부터특히 개신교측에서(위의 제2-5항과 제2-7항을 보라), 세월이 가면서 엉뚱한 그러나 일정한 방향으로 주석들이 1사무엘 13,1에 추가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톨릭측의 주석들도 이 방향으로 끌려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3-2. 그러나, 이러한 엉뚱한 그러나 일정한 방향으로의 주석들은, 1사무엘기에 기록된 중요한 사실 한 개를 간과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무슨 말씀인고 하면, 사울은 사무엘로부터 영도자(commander)로 기름부음을 받았는데(1사무엘 10,1), 구약 성경 본문에서, 이렇게 왕(king)/영도자(commander, prince)로 기름부음 받은 자는 또한 하느님의 아들(the son of God)로 불렸다는 사실입니다.

 

3-2-1. 예를 들어,

 

여기를 클릭하면 [유다 백과 사전(Jewish Encyclopedia)에 주어진 "son of God" 에 대한 설명].

 

이에 대한 더 자세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발췌 시작)

son of God


Term applied to an angel or demigod, one of the mythological beings whose exploits are described in Gen. vi. 2-4, and whose ill conduct was among the causes of the Flood; to a judge or ruler (Ps. lxxxii. 6, "children of the Most High"; in many passages "gods" and "judges" seem to be equations; comp. Ex. xxi. 6 [R. V., margin] and xxii. 8, 9); and to the real or ideal king over Israel (II Sam. vii. 14, with reference to David and his dynasty; comp. Ps. lxxxix. 27, 28).

 

이 용어는 ..., 그리고 이스라엘을 지배하는 실재의(real) 혹은 이상적인(ideal) 왕(king)에게 적용되었습니다(다윗과 그의 왕조에 대한 언급과 함께, 2사무엘 7,14; 시편 89, 27.28과 비교하라).
(이상, 발췌 및 일부분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그리고 다음은 "주석 성경"에 주어진 2사무엘 7,14에 대한 주석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주님께서는 임금을 당신의 양아들로 삼으신다(시편 2,7, 그리고 시편 89,27 참조). 주님의 양자 채택은 예수님을 메시아로 고백하는 신약 성경의 사상에 이어진다(루카 3,22; 사도 13,33; 히브리 1,5; 5,5 참조).
(이상, 발췌 끝).

 

3-2-2. 또한, 예를 들어,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Son of God" 에 대한 설명에는 다음과 같은 언급이 있습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14142b.htm

(발췌 시작)
The leaders of the people, kings, princes, judges, as holding authority from God, were called sons of God. The theocratic king as lieutenant of God, and especially when he was providentially selected to be a type of the Messias, was honoured with the title "Son of God".

 

백성의 지도자들인 왕(kings)들, 영도자(princes, commanders)들, 판관(judges)들은, 하느님으로부터 유래하는 권위를 보유하기 때문에, 하느님의 아들(sons of God)로 불렸습니다. 하느님의 부관(lieutanant)으로서 신정 왕(the theocratic king)은, 그리고 특별히 그가 장차 메시아의 한 전형(a type)이 될 것이라고 하느님의 섭리의 개입으로(providentially) 선택될 때에, 그 임금은 "하느님의 아드님(Son of God)" 이라는 칭호와 함께 존중되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2-3. 그리고 제3-2-1항제3-2-2항에서 말씀드린 바는 또한 다음의 또다른 유다 백과사전(Encyclopedia Judaica)에 주어진 "king, kingship(왕, 왕권)"에 대한 설명에서, 사울의 이름까지 거명되면서 더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출처: http://www.jewishvirtuallibrary.org/jsource/judaica/ejud_0002_0012_0_11140.html
(발췌 시작)

coronation of the king


... The sacral character of the anointment is seen in the stories of the secret anointing of the future kings Saul (I Sam. 9:1ff.) and David (I Sam. 16:13). They were, according to these stories, secretly anointed by Samuel and were immediately inspired by the spirit of God. Something of that nature is also related in the story about Jehu (II Kings 9:1ff.). The anointment bestowed upon the king the status "YHWH's anointed," the ruler chosen by YHWH. ...

 

왕의 대관식(coronation of the king)

 

... 기름부음이라는 성례(聖禮)의 특성(sacral character)은 미래의 왕들인 사울(1사무엘 9,1 및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과 다윗(1사무엘 16,13)에 대한 비밀의 기름부음에 대한 이야기들에서도 보게 됩니다. 그들은, 이러한 이야기들에 따르면, 사무엘(Samuel)에 의하여 비밀로 기름부음 받게 되었으며 그리고 하느님의 영에 의하여 즉시 영감을 받게 되었습니다. 바로 이러한 본성의 그 무엇은 또한 예후(Jehu)(2열왕 9,1 및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에 관한 이야기에서도 설명되고 있습니다. 이 기름부음 바름은, 야훼(YHWH)에 의하여 선택된 통치자인 해당 왕에게 "야훼에 의하여 기름부으졌다(YHWH's anointed)" 라는 지위를 부여하였습니다.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3. 그리고 위의 제2-4항의, 한 문장인, 1611년에 초판 발행된 KJV 1사무엘 13,1-2는 한 개의 문장으로 읽히고 있습니다:

 

(1611년에 초판 발행된 KJV(King James Version) 사무엘 13,1)

(발췌 시작)

1 Saul reigned one year; and when he had reigned two years over Israel, 2 Saul chose him three thousand men of Israel; whereof two thousand were with Saul in Michmash and in mount Bethel, and a thousand were with Jonathan in Gibeal of Benjamin; and the rest of the people he sent every man to his tent.

(이상, 발췌 끝).

 

3-4. (이 글의 결론 1) 
따라서, 위의 제3-2항에 전달해 드린 내용과 위의 제2-2항, 제2-3항, 제2-4항, 그리고 제2-9항을 함께 고려하여 살펴보면, 1사무엘 13,1-2의 첫 부분은
다음을 말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특히  1사무엘 13장의 제1절과 제2절을 한 개의 문장 안에서 들여다 보아야 하지제2-3항, 그리고 2-5항에서 처럼, 두 개의 문장으로 분리시키면, 자칫 "사울의 전체 통치 기간이 고작 2년에 불과하다"잘못된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을 하게 된다는 생각입니다:

 

1 사울은 사무엘로부터 [하느님의 아들로] 기름부음 받은 시점에서  한 해 이후부터 통치를 시작하였으며, 그리고 그가 사무엘로부터 [하느님의 아들로, 즉 임금으로] 기름부음 받은 후 이스라엘을 두 해 동안 통치하였을 때에, 2 사울은 ... (이하 생략).

 

게시자 주 3-4:

(1) 위의 이 글의 결론 1에서 말씀드린 바는, 또한 "Who's who in the Old Testament" 에 주어진 다음의 "Saul"에 대한 설명의 일부와도 또한 잘 부합합니다:
(발췌 시작)

When Saul had been king two years, he felt ready to challenge the power of the Philistines. They were a formidable enemy - an alliance of five wealthy tribes, possessing an effective army equipped with chariots. The istaelites at this time were relativel poor and backward, and did not know how to smelt iron. 'Now there was no smith to be found throughtout all the land of Israel; for the Philistines said, "Lest the Hebrews make themselves swords or spears"' (1 Sam 13,19). In fact only Saul and his son Jonathan possessed these weapons; their men were a people's militia armed with pitchforks and other farm fools.

 

사울(Saul)은 왕이 된지 이미 두 해가 되었을 때에, 그는 필리스티아인들의 힘에 도전할 준비가 되었다고 느꼈습니다. 그들은, 병거(chariots)들로 무장된 효과적인 군대를 소유한 다섯 개의 부유한 부족들의 연합인[NAB 판관 3,3 각주 참조(<--- 클릭하십시오)], 강적이었습니다. 바로 그 시점에 이스라엘의 자손들은 상대적으로 가난하였고 그리고  뒤떨어져 있었으며, 그리하여  철(iron)을 어떻게 용해하여 제련하는지(smelt) 알지 못하였습니다. '그 당시 이스라엘 온 땅에는 대장장이가 한 명도 없었는데, 이는 필리스티아인들이 "히브리인들에게 칼이나 창을 만들면 아니 되니까"' (1사무엘 13,19) 라고 말하였기 때문입니다. 사실 오로지 사울(Saul)과 그의 아들인 요나탄(Jonathan)이 이들을 소유하였으며(1사무엘 13,22), 그리고 그들의 용사들은 건초용 포크들과 다른 농작용 연장들로 무장된 백성으로 이루어진 민병대(militia)였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 유다 역사가 요세푸스는 사울의 통치 기간을 이십 년(유다 고대사, X, 143)(*) 또는 사십 년으로(유다 고대사, VI, 378)(**), 사도 13,21는 사십 년으로 제시하고 있는데("주석 성경" 1사무엘 13,1ㄴ에 대한 주석), 그리고 비록 19-20세기의 고고학적 유물들의 발견에 의하여 다윗 임금의 이스라엘과 유다의 통치가 기원전 1000년경에 시작되었음을 정확하게 알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울 임금이 사무엘로부터 기름부음을 언제 받았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므로, 구약 성경의 본문에 근거하여 사울 임금의 통치 기간을 추정할 때에 20-40년 정도보다 더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하더라도,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요세푸스(Flavius Josephus, 기원후 37-100년경)의 영어본 유다 고대사(Antiquities of the Jews), X, Chapter 8, 제4항의 마지막 문장을 읽도록 하라:
출처: http://www.sacred-texts.com/jud/josephus/ant-10.htm
(발췌 시작)

; of whom Saul, who was their first king, retained the government twenty years, though he was not of the same tribe with the rest.

(이상, 발췌 끝)


(**)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요세푸스(Flavius Josephus, 기원후 37-100년경)의 영어본 유다 고대사(Antiquities of the Jews), VI, Chapter 14, 제9항의 마지막 문장을 읽도록 하라. 여기서, [] 안의 이십 년을 또한 포함하여야 사울 임금의 총 통치 기간이 사십 년이 됨에 주목하라. 따라서 만약에 [] 안의 내용이 과거의 필경자 혹은 영어로의 번역자에 의하여 추가된 것이라면, 요세푸스가 말하는 사울 임금의 총 통치 기간은 이십 년이다.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요세푸스 자신이 굳이 [] 안에 이십 년을 추가로 표기하였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출처: http://www.sacred-texts.com/jud/josephus/ant-6.htm

(발췌 시작)
Now Saul, when he had reigned eighteen years while Samuel was alive, and after his death two [and twenty], ended his life in this manner.
(이상, 발췌 끝).

 

(***) 게시자 주: 예를 들어, 다음의 논문 [제목:  THE CHRONOLOGY OF SAUL AND DAVID] 제477쪽의 첫 부분을 읽도록 하라. 여기에는 요세푸스의 유다 고대사 라틴어본에는 [] 안의 언급이 없으며, 어떤 그리스도교 필경자가, 사도 행전  13,21과의 일치를 위하여, [] 안의 내용을 추가하였다는 언급이 있다:

http://www.etsjets.org/files/JETS-PDFs/53/53-3/McFall_JETS_53-3_pp_475-533.pdf

(이상, 게시자 주 3-4 끝)


4.

게시자 주 4:

위의 제3-4항의 결론과 관련하여, 히브리어 구약 성경 1사무엘 13,1의 여러 사본들의 출처들을 아래에 추가로 제시해 드리니, 이들 제시된 출처들을 꼭 클릭한 후에, 제4-1항의 경우에는 필요하다면 확대하여, 서로 정밀하게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의 결론 2)
이들로부터 우리는 또한, 4세기에 성 예로니모(St. Jerome)에 의하여 마련된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1979년에 개정 출판된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tata) 둘 다에서,  4세기 당시의 히브리어 구약 성경 1사무엘 13,1-2 라틴어로의 번역이, 특히,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임음을 확실하게 확인합니다. 꼭 클릭하여, 위의 제1항과 제2항에 제시해 드린 여러 지역 언어본들과 직접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십시오:


4-1.
http://www.scripture4all.org/OnlineInterlinear/OTpdf/1sa13.pdf

4-2.
4-2-1. http://biblehub.com/interlinear/1_samuel/13-1.htm

4-2-2. http://biblehub.com/text/1_samuel/13-1.htm
4-2-3. http://biblehub.com/texts/1_samuel/13-1.htm 

 

따라서, 지역 언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번역자들에 의하여, 20세기 중반 이후에, 예를 들어, 위의 제2-5항에서 살펴보았듯이, 1960년대, RSV(Revised Standard Version) 1사무엘 31,1 등과 같은 개신교측의 영어본 성경 본문의 변조 행위의 숨은 의도/저의를 정말 납득할 수 없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작: 약8시간

 



1,893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