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게시판

제8-1과 정치 공동체

인쇄

창5동성당 [chang4] 쪽지 캡슐

2012-01-21 ㅣ No.5159

제8-1과 정치 공동체

 

♥ 말씀과 함께

“하느님 당신의 공정을 임금에게, 당신의 정의를 왕자에게 베푸소서. 그가 당신의 백성을 정의로, 당신의 가련한 이들을 공정으로 통치하게 하소서. 그가 백성 가운데 가련한 이들의 권리를 보살피고, 불쌍한 이들에게 도움을 베풀며, 폭행하는 자를 쳐부수게 하소서.”

(시편 72(71),1.2.4)

♥ 기도 : 오소서, 성령님, 저희 가운데 오소서 해돋이부터 해넘이까지 저희 마음을 다스리시니 온 세상이 주님의 그늘 안에서 활동하고 주님 손길 안에서 쉼을 얻나이다. 오소서, 성령님. 저희 가운데 오소서. 성령께서는 저희를 사랑으로 묶어 주시고 그 사랑으로 세상을 변화시키시니 저희와 함께 걸으시고 저희와 함께 나누시며 저희와 함께 노래하여 주소서. 아멘.

 

♥ 사례 :

권력(權力)과 권위(權威)

권력(權力)이란 대개 부정적인 어휘로 읽히며, 평등보다는 억압을, 사회의 수평적 관계보다는 수직적 관계를, 합의나 협상보다는 명령에 대한 무조건적 순종을 떠올린다. 그러나 본래 권(權)은 양쪽의 평형을 잡아 무게를 재는 기구인 저울의 추를 뜻하는 것이다. 력(力)은 쟁기의 모습으로써 '힘' 이라는 의미론 형상화한 글자이다. 위(威)는 금문에서 녀(女) 와 술(戌)로 구성되었는데, 女 는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앉은 여인을, 戌은 날이 둥근 큰 도끼를 그렸다. 도끼는 중국에서 사람을 죽이는 도구이자 권위의 상징이다. 그래서 위(威)는 남의 생살권을 쥔(戌) 여인(女)이라는 뜻으로, 시어머니(姑․고)를 말했다. 시어머니는 원시 모계 사회에서는 한 가족과 부족의 대표자이자 우두머리의 역할을 담당했던 가장 나이 많은 여인을 상징한다.

이렇게 볼 때, 권력이란 사람들의 관계에 평형을 부여하고, 무게 중심을 잡아 주는 평등의 개념에서 출발했다. 권력이 인간관계의 균형을 잡아주는 저울의 역할에 충실한다면, 권력은 생산적이 된다. 하지만 저울이 그러한 평형을 가져다주기 위해서 가장 우선되는 것은 저울 자체에는 오류가 없어야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저울은 어떠한 신뢰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_하영삼 경성대 교수)

 

석양 대통령

스칸디나비아라든가 뭐라구 하는 고장에서는 아름다운 석양 대통령이라고 하는 직업을 가진 아저씨가 꽃 리본 단 딸아이의 손 이끌고 백화점 거리 칫솔 사러 나오신단다. 탄광 퇴근하는 광부들의 작업복 뒷주머니마다엔 기름 묻은 책 하이데거 러셀 헤밍웨이 장자, 휴가 여행 떠나는 국무총리 서울역 삼등 대합실 매표구 앞을 뙤약볕 흡쓰며 줄지어 서 있을 때, 그걸 본 서울역장 기쁘시겠소라는 인사 한마디 남길 뿐 평화스러이 자기 사무실 문 열고 들어가란다.‥‥‥‥ 반도의 달밤 무너진 성터 가의 입맞춤이며 푸짐한 타작 소리 춤 사색뿐, 하늘로 가는 길가엔 황토 빛 노을 물든 석양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가진 신사가 자전거 꽁무니에 막걸리 병을 싣고 삼 십리 시골 길 시인의 집을 놀러 가더란다. _신동엽, 월간 문학,1968.

♥ 말씀 :

주님께서 선택하시고(신명 17,15; 1사무 9,16참조) 주님께서 축성하시는(1사무16,12-13참조)왕은, 하느님의 아들로 간주되며(시편2,7참조), 하느님의 통치와 구원 계획을 드러내야 한다(시편 72(71)편 참조). 그러므로 왕은, 약한 이들의 수호자이며 백성을 위한 정의의 보증인이 되어야 한다. 예언자들의 비난은 바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 왕들에게 집중 된다(1열왕 21장; 이사10,1-14;아모 2,6-8; 8,4-8; 미카3,1-4참조). 예수님께서는 민족의 통치자들이 휘두르는 압제와 전제의 권력을 거부하시고 (마태 10,42참조), 은인으로 행세하는 그들을 거부하시지만(루카 22,25 참조), 그 시대의 권위들에게 직접 반대하시지는 않는다. 카이사르에게 바칠 세금에 대하여 말씀하시면서(마르 12,13-17;마태 22,15-22;루카20,20-26참조),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께 바쳐야 한다고 단언하신다. 이것은 세속의 권력을 하느님의 권력, 절대 권력으로 만들려는 모든 시도에 대한 암묵적인 단죄이다.

 

♥ 우리의 실천

우리나라와 우리지역의 정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고 충분히 이야기를 나눈다. 개인적으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선택한다.

□ 나부터 촌지나 사소한 뇌물이라도 주고받지 않는다.

□ 지역 문제에 관심을 갖고 참여한다.

□ 지방 자치 단체와 지방 의회의 의정 활동을 감시한다.

□ 공권력이 부당한 일을 할 때에는 언제든지 민원을 넣는다.

□ 사회의 약자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법이 개정되도록 돕는다.

□ 총선이든 주민 투표든 기꺼이 참여하여 자기 의견을 표현한다.

□ 지역 이기주의에 빠지지 않도록 노력한다. □ 인맥이나 이해관계를 떠나서 정책을 보고 정당을 지지한다.

□ 시민 사회 단체를 통하여 주민 자치 운동을 한다.

□ 어디서든 권력에 매이지 많고 섬기는 자세로 사람들을 대한다.

□ 내 가족을 넘어 세상을 향하여 일한다.

□ 교정 사목을 후원하고 때때로 교도소를 방문한다.

□ 여러 가지 정의 평화운동을 지지하고 돕는다.

□ 위정자들을 위하여 기도한다.

□ 정치 문제에 관하며 여러 사람들의 서로 다른 의견을 듣는다.

 

♥ 마무리 기도 : 하늘과 땅과 그 안에 깃들어 사는 모든 피조물의 주인이신 하느님, 저희에게 허락하신 생명과 은혜로이 채워 주신 소유와 저희가 서로 나누는 사랑을 축복하소서.

세상에 더 이상 굶주림이 없게 하시고 고통과 슬픔으로 아파하는 이웃이 없게 하시며 저희의 부질없는 욕심으로 파괴되는 자연이 없게 하소서. 사람들 사이에 정의가 강물처럼 흘러온 세상을 평화롭게 하시고 그 안에서 저희가 주님을 찬양하며 일상을 거룩하게 살게 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아멘.



32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