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3월3일 성녀 쿠네군다 축일♬LA PAIX OUI LA PAIX(Francais)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3-03-04 ㅣ No.996

축일 : 3월 3일

성녀 구네군다 황후

Sta. Cunegundis, V

Cunegunda

황후, 동정,1039년

 

성녀 구네군다는 열심한 그리스도교 신자인 부친 스그프리드와 모친 헤드비그로부터 아주 어릴적부터 신심교육을 받았다. 또한 왕후의 여식으로서의 적합한 교육을 받았다. 나이가 차서 구네군다는 바바리아의 공작인 헨리코와 결혼하였다. 이때 하인리히(헨리코)는 동방의 어느 목수가 제작한 십자가를 선물했는데, 이것이 지금도 뮨헨에 보존되어 있다.

 

독실한 신자는 신분의 귀천이나 빈부 여하에 불구하고 하느님의 은총의 도움으로 영혼에 아름다운 열매를 맺게 된다. 황제나 황후로서 공경 받는 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성녀 구네군다는 특별히 세상에 알려진 성녀 중의 한 사람이다.

 

 

그녀가 전부터 동정의 서원을 발하고 있었던가는 확실치 않지만, 결혼식 후 남편인 왕에게 하느님께 정결한 마음으로 봉사하기 위하여 일생을 동정으로 지내겠다고 청했다는 것이다. 이 말에 의외에도 남편은 “실은 나도 그런 희망을 갖고 있다. 그러면 앞으로 우리는 남매와 같이 사이좋게 지내자. 그래도 세상에는 이를 끝까지 감추어 두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하고 대답했다 한다.

 

이와 같이 두 사람은 정결한 생활을 계속하며 서로 격려하며 각각 덕행의 길로 매진했다. 구네군다는 모든 상류 부인의 전형으로 공경을 받고 남편인 하인리히(Heinrich, 성 헨리코,축일:7월13일)는 오토(Otto)대제의 사후 바바리아 뿐 아니라 전 독일을 다스리는 황제로 추대되어 마인쯔에서 대주교의 손으로 왕관을 받았다.

 

그녀는 국경일에는 화려한 의상으로 사람들과 연회를 같이 했지만, 홀로 되면 검소한 의복으로 갈아입고 엄한 단식재를 지켰다. 다른편으로는 기도나 빈민, 병자의 방문등 쉴 새가 없었다. 그리고 겸손한 마음에서 선행도 할 수 있는 한 남몰래 행하려고 했지만 덕의 광채는 끝내 숨기지 못하고 그로 말미암아 한층 더 백성들의 존경을 받게 되었다.

 

 

1014년에 황제와 같이 로마를 방문하고 성 베드로 대성정에서 교황 베네딕또 8세로부터 다시 독일 황제의 관을 받았다. 하인리히는 교회에 복종하는 표시로써 그것을 또한 성 베드로 제대에 봉헌하고 아울러 종교에 충실하고 교회를 보호할 것을 맹세했다. 쿠네군다는 아주 기쁜 마음으로 이 예식에 참여하고 진심으로 자기 나라를 위해 기도했다. 그 기도가 허락되었음인지 사실 하인리히 황제가 다스리던 시기는 평화로운 나날들이었다.

 

귀국하자 황제는 밤베르크(Bamberg)에 크나 큰 성당이 붙은 한 수도원을 건립했고 틈이 있을 때마다 그 수도원을 방문하고 그곳에서 지내기를 좋아했다. 이 수도원은 지금도 남아 있으며 경건했던 황제를 사모하는 유일한 기념으로 되어 있다. 그 건축에는 쿠네군다도 자기의 재산을 희사하며 할 수 있는 데까지 원조를 했고, 황제의 도움을 얻어 카우푼겐에 한 여자 수도원을 건설하고 황금보석과 귀중품 전부를 제단의 장식품으로 바침으로써 성체 안에 계신 주님을 공경하는 정성을 표시했다.

 

이렇게 두 성인은 기쁨 속에 살아가고 있었으나 무슨 영문인지 황제의 마음에 그녀의 정결을 의심하는 마음이 일어나 지금까지 그녀를 존경하고 있었던 만큼 그의 번민도 보통 이상의 것이었다. 그리하여 당시의 습관대로 하느님께 직접 그 정결의 진부(眞否)를 결정해 줄 것을 간청하게 되었다. 그 방법은 장기 열두 개를 불에 벌겋게 달게 해 놓고 쿠네군다에게 맨발로 그 위를 건너게 하여 화상을 입으면 죄가 있는 것이고 무사하면 죄가 없는 것으로 여기는 것이었다.

 

황후도 몸의 정결함을 밝히기 위해 이를 원하고 잠시 하느님께 기도를 바친 후 맨발로 한창 달은 쇠의 장기 앞에 섰다. 황제를 위시하여 입회인들은 결과의 여하를 심각한 표정으로 바라다보고 있었다. 쿠네군다는 천천히 맨발로 뜨거운 쇠 위를 걷기 시작했다. 한 발 두 발 이렇게 벌겋게 달은 쇠 위를 걸어갔어도 기적으로 아무런 상처를 입은 데는 없었다. 끝끝내 열 두 개를 전부 걸어갔다. 사람들은 저절로 소리를 지르게 되었다. 그녀의 결백은 충분히 증명된 셈이다.

 

그것을 목격한 황제는 달려가서 그녀 앞에 머리를 숙이고 이유 없이 의심한 점에 대해 용서를 청했다. 쿠네군다도 쾌히 남편을 용서해 주고 두 성인의 마음은 전과 같이 명랑해졌다.

 

두 사람은 많은 선행을 하다가 1024년 황제가 먼저 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세상을 떠나기 전날 밤 황제는 친우, 중신, 사제들을 병석에 부르고 국정(國政)에 관해 세밀하게 유언을 한 후 비로소 쿠네군다와 같이 평생 동정을 지킨 사실을 말했다. 일동은 경탄하며 다시금 황제, 황후의 성덕에 탄복하며 또한 이전에 쿠네군다의 무죄를 밝힌 기적이 우연이 아니었음을 알았다. 황제를 여읜 쿠네군다는 기도와 자선 사업, 하느님만을 위해서 살았다.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1년이 지나서 그녀는 손수 설립한 카우푼겐의 여자 수도원에 들어가기로 정해 예수 십자가의 한 조각을 거룩한 유물로 그곳에 헌납하고 아름다운 의복은 전부 버리고 그 대신 친히 만든 누추한 옷을 입고 삭발을 하고 주교께서 축성한 수건을 썼다. 그리고 나서 즐거이 수덕에 힘쓰며 이전의 고귀한 신분도 잊어버린 듯이 아무리 천한 일도 싫어하지 않았다. 그녀는 손재주가 있었기 때문에 성당을 장식하는 여러 물품을 만드는 것을 좋아했고 예전과 같이 병자 방문 등도 기꺼이 계속했다.하느님 앞에 흠 없는 삶을 살았다고 주위 사람들이 높이 칭송할 정도였다고 한다.

 

수도 생활을 한 지 15년 후 그녀도 마침내 주님의 부르심을 받아 천국으로 떠났다. 유해는 유언에 의해 밤베르크의 성당에 운반되어 그녀가 늘 오빠라고 부르던 배우자 성 헨리코(하인리히) 옆에 매장하게 되었는데, 행렬 도중 그녀의 덕울 사모한 백성들이 사방에서 모여와 길 옆에 무릎을 꿇고 경의를 표했다고 한다.

 

1146년 헨리코와 함께 시성되었다.

 

*성녀 쿠네군다 수도자(2회)축일:7월23일.

 

 

 

♬LA PAIX OUI LA PAIX(Francais)성요한 수도회

 

 

 

 

 



345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