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필독] 하늘 나라는 가톨릭 교회를 말합니다. 869_KH_errors [하늘나라_개념오류] [칼라너] [보프] [불트만]

인쇄

. [211.58.38.*]

2009-10-23 ㅣ No.870

 
게시자 주: 이 글은 다음의 제목의 글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다음의 빨간색칠을 클릭하여 꼭 읽으실 것을 권합니다:
 
 
 
7.
이상, "하늘 나라"와 "여러분들이 생각하고 있는 천국"[즉, 천당]이 어떻게 다른 개념인지에 대하여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의 자료들은, "하늘 나라"가 사실은 "가톨릭 교회"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게시자 주: 특히 이 글은, 국내의 성직자 및 수도자들을 위하여 마련한 글입니다. 
 

7-0.
다음은 영문본 가톨릭 대사전의 설명입니다:
 
Kingdom of God
 
(In Matthew, generally, Kingdom of Heaven).
 
In this expression the innermost teaching of the Old Testament is summed up,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word kingdom means ruling as well; thus it signifies not so much the actual kingdom as the sway of the king — cf. Daniel 4:28-29. The Greek basileia of the New Testament also has these two meanings — cf. Aristotle, "Pol.", II, xi, 10; II, xiv; IV, xiii, 10. We find the theocracy sketched in Exodus 19:6; in th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1 Samuel 8:7: "They have not rejected thee, but me, that I should not reign over them." Still more clearly is it indicated in the promise of the theocratic kingdom, 2 Samuel 7:14-16. It is God Who rules in the theocratic king and Who will avenge any neglect on his part. All through the Psalter this same thought is found (cf. Psalm 10:5); it is constantly insisted that God's throne is in heaven and that there is His kingdom; this may explain St. Matthew's preference for the expression "kingdom of heaven", as being more familiar to the Hebrews for whom he wrote. The Prophets dwell on the thought that God is the Supreme King and that by Him alone all kings rule; cf. Isaiah 37:16-20. And when the temporal monarchy has failed, this same thought of God's ultimate rule over His people is brought into clearer relief till it culminates in the grand prophecy of Daniel 7:13 sq., to which the thoughts of Christ's hearers must have turned when they heard Him speak of His kingdom. In that vision the power of ruling over all the forces of evil as symbolized by the four beasts which are the four kingdoms is given to "one like the son of man". At the same time we catch a glimpse in the apocryphal Psalms of Solomon of the way in which, side by side with the truth, there grew up among the carnal-minded the idea of a temporal sovereignty of the Messias, an idea, which was (Luke 19:11; Matthew 18:1; Acts 1:6) to exercise so baneful an influence on subsequent generations; cf. especially Ps. Sol., xvii, 23-28, where God is besought to raise up the King, the Son of David, to crush the nations and purify Jerusalem, etc. In the Greek Book of Wisdom, however, we find the most perfect realization of what was truly implied by this "rule" of God — "She [Wisdom] led the just man through direct paths and shewed him the kingdom of God", i.e. in what that kingdom consisted.
 
In the New Testament the speedy advent of this kingdom is the one theme: "Do penance: for the kingdom of heaven is at hand", said the Baptist, and Christ's opening words to the people do but repeat that message. At every stage in His teaching the advent of this kingdom, its various aspects, its precise meaning, the way in which it is to be attained, form the staple of His discourses, so much so that His discourse is called "the gospel of the kingdom". And the various shades of meaning which the expression bears have to be studied. In the mouth of Christ the "kingdom" means not so much a goal to be attained or a place — though those meanings are by no means excluded; cf. Matthew 5:3; 11:2, etc. — it is rather a tone of mind (Luke 17:20-21), it stands for an influence which must permeate men's minds if they would be one with Him and attain to His ideals; cf. Luke 9:55. It is only by realizing these shades of meaning that we can do justice to the parables of the kingdom with their endless variety. At one time the "kingdom" means the sway of grace in men's hearts, e.g. in the parable of the seed growing secretly (Mark 4:26 sq.; cf. Matthew 21:43); and thus, too, it is opposed to and explained by the opposite kingdom of the devil (Matthew 4:8; 12:25-26). At another time it is the goal at which we have to aim, e.g. Matthew 3:3. Again it is a place where God is pictured as reigning (Mark 14:25). In the second petition of the "Our Father" — "Thy kingdom come" — we are taught to pray as well for grace as for glory. As men grew to understand the Divinity of Christ they grew to see that the kingdom of God was also that of Christ — it was here that the faith of the good thief excelled: "Lord, remember me when thou shalt come into thy kingdom." So, too, as men realized that this kingdom stood for a certain tone of mind, and saw that this peculiar spirit was enshrined in the Church, they began to speak of the Church as "the kingdom of God"; cf. Colossians 1:13; 1 Thessalonians 2:12; Apocalypse 1:6-9 and 5:10, etc. The kingdom was regarded as Christ's and He presents it to the Father; cf. 1 Corinthians 15:23-28; 2 Timothy 4:1. The kingdom of God means, then, the ruling of God in our hearts; it means those principles which separate us off from the kingdom of the world and the devil; it means the benign sway of grace; it means the Church as that Divine institution whereby we may make sure of attaining the spirit of Christ and so win that ultimate kingdom of God Where He reigns without end in "the holy city, the New Jerusalem, coming down out of heaven from God" (Revelation 21:2).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8646a.htm
(영문 가톨릭 대사전)
 
7-0-1.
위의 인용문의 끝부분에서 언급하고 있는, 하느님으로부터 하늘(heaven)에서 내려오는, 새 예루살렘(New Jerusalem)에 대하여,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CCC 765 주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공동체에 하느님 나라가 완전히 이룩될 때까지 지속될 조직을 만들어 주셨다. 우선 베드로를 으뜸으로 하는 열두 제자를 선택하셨다.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를 대표하는 그들은 새 예루살렘의 초석이다. 열두 제자와 다른 제자들은 그리스도의 사명과 권능, 그리고 그분의 운명에도 참여한다. 그리스도께서는 그 모든 활동을 통하여 당신 교회를 준비하고 세우신다.
 
 
7-1.
다음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인 "교회에 대한 교의 헌장(교회 헌장, LG)" 제5조 전문입니다:
 
하느님의 나라
 
5. 거룩한 교회의 신비는 그 창립에서 드러난다. 주 예수님께서는“때가 다 되어 하느님의 나라가 다가왔다.” (마르 1,15; 마태 4,17 참조) 하시며 오래 전부터 성서에서 약속된 하느님의 나라가 다가왔다는 기쁜 소식을 선포하심으로써 당신 교회를 시작하셨던것이다. 이 나라는 그리스도의 말씀과 활동과 현존 안에서 사람들에게 빛나기 시작한다. 곧 주님의 말씀은 밭에 심은 씨앗과 비슷하여(마르 4,14 참조), 그 말씀을 믿음으로 듣고 그리스도의 작은 양 떼에(루가 12,32 참조) 들게 된 사람들이 하느님의 나라를 받아들인 것이며, 그런 다음에 씨앗은 저절로 싹이 터 수확 때까지 자라난다(마르 4,26-29 참조). 예수님의 기적들 또한 그 나라가 이미 지상에 와 있음을 증명하여 준다. “나는 하느님의 능력으로 마귀를 쫓아 내고 있다. 그렇다면 하느님의 나라는 이미 너희에게 와 있는 것이다” (루가 11,20; 마태 12,28 참조) . 그러나 모든 것에 앞서, 하느님의 나라는 바로 그리스도 자신에게서 드러난다.하느님의 아들이시며 사람의 아들이신 그리스도께서는“사람들을 섬기러 오셨고 또 목숨을 바쳐 많은 사람을 구원하러 오셨다” (마르 10,45 참조) . 예수님께서는 사람들을 위하여 십자가에서 돌아가셨다가 부활하셨을 때에 주님으로서 또 그리스도로서 그리고 영원한 사제로서 나타나셨으며(사도 2,36; 히브 5,6; 7,17-21 참조), 성부께서 약속하신 성령을 당신 제자들에게 부어 주셨다(사도 2,33 참조). 그러므로 교회는 그 창립자의 은혜를 받아 사랑과 겸손과 극기의계명을 충실히 지키며, 하느님과 그리스도의 나라를 선포하고 모든 민족 가운데에 이 나라를 세울 사명을 받았으며 또 지상에서 이 나라의 싹과 시작이 된 것이다. 교회는 조금씩 자라나는 동안 하느님 나라의 완성을 위하여 분투하며, 온 힘을 다하여 자기 임금님과 영광스럽게 결합되기를 바라고 갈망한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1964lg.htm 
 
 
7-2.
다음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인 "교회 헌장(LG)"에 대한 해설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5. 지상의 천국인 교회 ( 5 조 )
 
교회헌장은 제204조에서 교회의 신비를 삼위일체의 신비 안에서 보았다.
 
제5조에서는 먼저 세 복음사가에 의해 그리스도에 의한 교회의 설립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 교회의 설립에 관한 설명은 다만 교회를 단순히 역사적으로만 고찰하는 것이 아니다. "거룩한 교회의 신비는 이미 그 교회 창립에서 드러난다." 즉 교회의 설립 안에 이미 교회란 하느님 나라의 도래임을 나타내고 있다. 제5조의 후반에서 공의회는 교회의 신비, 즉 교회와 하느님 나라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하고 있다.
 
교회란 지상에 도래한 하느님 나라이지만, 그것은 완성된 하느님 나라가 아니고 또 하느님 나라와 동일시 할 수는 없다. 그러나 교회는 지상에서 시작된 하느님 나라이고, 이를 만인에게 선언하며 영향을 미치면서 하느님 나라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제5조를 하느님 나라의 도래인 교회와 하느님 나라를 완성하는 교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생략.)
 
출처:
http://www.ocatholic.com/data/word-02-01-f-06.htm 
(오요한 신부님 홈페이지 제공)
 
더 자세한 내용은, 위의 출처를 클릭하신 후에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7-2-1.
다음은 하느님의 나라, 즉 하늘 나라가 가톨릭 교회임을 가르치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영문) 강론 말씀들로서, 제공처는 교황청 홈페이지입니다. 

게시자 주: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4개의 핵심 문헌들 중의 하나인 교회 헌장(LG)의 가르침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초판이 발행된 1992년 직전에 주신 강론 말씀들, 그리고 1988년도에 주신 강론 말씀들입니다.
 
The Kingdom of God, the Kingdom of Christ (우리말 번역문 포함, 클릭하십시오)
(1991년 9월 4일 General Audience)
 
The Church Is Revealed in Parables (우리말 번역문 포함, 클릭하십시오)
(1991년 9월 18일 General Audience)
 
Parables Reveal the Church's Growth (우리말 번역문 포함, 클릭하십시오)
(1991년 9월 25일 General Audience)
 
 
Jesus, Founder of His Church (우리말 번역문 포함, 클릭하십시오)
(1988년 6월 15일 General Audience)
 
Jesus, Founder of the Ministerial Structure of the Church (우리말 번역문 포함, 클릭하십시오)
(1988년 6월 22일 General Audience)
 
 
 
7-3.
다음은, 1970년에 초판 발행된 그리고 교황청에서 미사 중에 사용하는 독서를 발췌할 것을 허락하는 공인 영어 성경인, [St. Joseph 판] New American Bible(NAB)에서 제공하는, BIBLE DICTIONARY에 실린 이들 두 개념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하늘 나라의 구성원들은 하느님의 자녀들 (즉, 세례를 받은자)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7-3-1.
HEAVEN: This word has several meanings: (1) the firmament in which the stars are perceived (Gn 1,14-17); (2) the region of the atmosphere where the birds fly (Dt 4,17); (3) the place of God's residence, the throne-room where the Everlasting One is seated surrounded by the angels (Mt 5,12; 24; 36). Jewish tradition had imagined several heavens or firmanents superimposed on one another, populated with various kinds of angels. It is in this sense that they spoke of the "heavenly host" and that St. Paul spoke of having been caught up in ecstasy "to the third heaven" (2 Cor 12,2).
 
하늘(heaven, 천당): 이 단어는 여러 의미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별들이 인지되는 궁창(창세기 1,14-17); (2) 새들이 날라다니는 대기권(신명기 4,17); (3) 하느님께서 거주하시는 장소, 영원하신 분께서 천사들에 둘러쌓여 계신 (옥좌가 있는) 공식 알현실(마태오 복음서 5,12.24.36). 유다인 전통은, 서로 중첩이 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천사들로 채워진, 여러 개의 하늘들 혹은 궁창들이 있다고 상상하였다. 그들이 "하늘의 군대(heavenly host)"에 대하여 말하였고(루카 복음서 2,13) 또 성 바오로가 황홀경(ecstasy) 안에서 "셋째 하늘"까지 들어올려졌음에 대하여 말하였던(2코린토 12,2) 것은 바로 이 의미에서 입니다.
 
KINGDOM (REIGN) OF GOD: The Kingdom will be established by the Messiah, over Israel first (Zep 3,14-15), and then over all the nations of the earth (Zec 14,9). "Kingdom" signifies a state of things in which God is recognized as King to whom everything must be submitted: Kingdom of God, and Kingdom of heaven are equivalent. The Kingdom is proclaimed by John the Baptist (Mt 3,2), inagurated by Jesus (Mt 12, 25-28), continued in the church (Mt 10,7; 16,19), and will be definitively accomplished in the glory of Christ's return (Mt 24,26-31). The members of the Kingdom are children of God and even in this life enjoy that eternal life which will be completely expanded in the future world (Jn 3,15-16; Rv 22,2).
 
하느님의 나라(통치): 이 나라는 메시아에 의하여 이스라엘 위에 우선 제정될 것이며(스바니야 3,14-15), 그러고 나서 지상의 모든 나라들 위에 제정될 것입니다(즈카르야 14,9). "나라"는, 그 안에서 하느님이, 그분께 모든 것들이 종속되어야만 하는, 왕으로서 인식되는, 사물(things)들의 어떤 상태를 뜻합니다: 하느님의 나라, 그리고 하늘 나라는 동치(equivalent)입니다. 이 나라는 세례자 요한에 의하여 선포되며(마태오 복음서 3,2), 예수님에 의하여 개시되고(inaugurated)(마태오 복음서 12,25-28), 교회 안에서 지속되고 있으며(마태오 복음서 10,7; 16,19), 그리고 최종적으로 그리스도의 재림의 영광 안에서 완성될 것입니다. 이 나라의 구성원들은 하느님의 자녀들이며 이들은 심지어 이 세상의 삶 안에서, 내세에서 완전하게 전개될, 바로 그 영원한 생명(that eternal life)을 향유합니다(enjoy)(요한 복음서 3,15-16; 요한 묵시록 22,2).
 
 
7-3-2.
예수님께서 유다인 최고 의회 위원이었던 니코데모와 이야기하실 때에 하신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요한 복음서 3,5) "... 누구든지 물과 성령으로 태어나지 않으면,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 ..."
 
즉, 세례를 받지 않은 자는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가 없다. 즉, 하느님 나라의 구성원들은 세례를 받은 자들이라는 말씀입니다.  즉, 세례를 받은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하느님 나라의 구성원들이 될 수 있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는 말씀입니다.
 
 
7-4.
위의 "교회 헌장" 해설과 마찬가지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으로 세우신 그러나 예수 재림 시에 비로소 완성될, 하느님 나라"가 바로 가톨릭 교회임을 언급하고 있는 영문 자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7-4-1.
다음은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수석 편집자인 Antonio Fuentes이 마련한 다니엘서 입문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구약 성경 중의 한 경전인 다니엘서가 "하느님 나라"의 도래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는 해설입니다. 다음의 발췌 부분은 또한,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하느님 나라"교회임을 말하였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archive.catholic.com/thisrock/1992/9208otg.asp [주: 옛 주소]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intro_Daniel_AF.htm [주: 새 주소]

(발췌 시작)
The aim of the book is to show that the God of Israel, the one true God, is greater than the pagan gods. This is proved by Daniel's personal experiences and by the prophecy, which runs through the book,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of God, a universal, eternal kingdom, a kingdom of peace and justice for all who prove faithful to him.

이 책의 목적은 한 분이신 참된 하느님이신 이스라엘의 하느님이 다신교의 잡신(gods)들 보다 더 위대하심을 보여주는 데에 있습니다. 이 위대하심은 다니엘의 개인적 경험들에 의하여 그리고, 이 책 전체를 꿰뚫어 흐르는, 한 개의 보편적이고, 영원한 나라이며, 당신께 충실하다고 판명되는 모든 이를 위한 평화와 정의의 나라인, 하느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의 제정에 대한 예언에 의하여 증명됩니다.

Daniel recognizes that human wisdom can never penetrate the mystery communicated to the king in his dreams. It can be explained only by the God of Israel, the lord of heaven and earth. The mystery has to do with the future messianic kingdom, the kingdom of heaven which the Messiah, Jesus Christ, will inaugurate through his incarnation.

다니엘(Daniel)은 자신의 꿈들에서 [바빌론 제국의] 네부카드네자르 임금에게 전달된 신비를 인간의 지혜(human wisdom)가 결코 꿰뚫을 수 없음을 알아차립니다. 이 신비는, 하늘과 땅의 주님이신, 이스라엘의 하느님에 의하여 오로지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 신비는, 메시아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강생을 통하여 장차 개시하실(inaugurate) 하늘 나라(the kingdom of heaven)인, 미래의 메시아의 나라(the future messianic kingdom)와 관계가 있습니다.

There are two quite distinguishable parts in the book: In the first (1-6) Daniel tells of his personal experiences at the royal court, to show that the God of Israel is almighty and is the only God that lives. To do this he interprets the king's dreams, with the help of a special revelation from God. In his vision of the image or statue (chap. 2) he predicts the four successive kingdoms which will precede the coming of the Messiah.

이 책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개의 확실히 구분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첫 번째 (1-6)에서 다니엘은, 이스라엘의 하느님께서 전능하시며(almighty) 그리고 살아계시는 유일한 하느님이심을 보여주기 위하여, [바빌론의 임금인 네부카드네자르의] 왕궁에서 자신의 개인적 경험에 대하여 말합니다. 이것을 행하기 위하여 그는, 하느님으로부터의 한 개의 특별한 계시의 도움과 함께, 이 임금의 꿈을 해석합니다. 상 혹은 조각상에 대한 그의 환시에서(제2장) 그는 메시아의 도래를 앞설 네 개의 연속하는 나라들을 예언합니다.

These four are: the Babylonian kingdom (gold), that of the Medes and the Persians (silver), the Greek (bronze), and that of iron (the Ptolemy kingdom). The main meaning of all this is that the kingdom of God inaugurated by Jesus Christ (cf. Matt. 4:17) will oppose the various pagan kingdoms, which are the personification of the kingdom of Satan. This kingdom of God, which is the Church, is, Augustine thinks, symbolized by the stone "which was cut out by no human hand... and smote the image" (2:34-35). Beginning in a small, insignificant way, the Church will spread all over the world, thanks to the power of God who sustains it. This, in summary, is the content of Daniel's interpretation. 
 
이들 네 개의 나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바빌론 왕국[순금(gold)], 메데스(Medes) 및 페르시아 왕국[은(silver)], 그리스 제국[청동(bronze)], 그리고 쇠(iron)의 제국(프톨레미 왕국). 이것 모두의 주된 의미는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개시되는 하느님의 나라(마태오 4,17 참조)가, 사탄의 나라(the kingdom of Satan)의 화신(化身, personification)인, 다양한 다신교 나라들에 장차 대항할(oppose) 것이라는 것입니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노(Augustine), 교회(Church)를 말하는 바로 이 하느님의 나라(kingdom of God) "인간의 손에 의하여 잘라내어지지 않은... 그리고 이 상을 세게 때렸던" (2,34-35) 바로 그 돌(the stone)에 의하여 상징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 개의 작은, 중요하지 않은 방식으로 시작하여, 교회는, 교회를 유지하시는(sustains) 하느님의 힘 덕택으로, 세상 전체에 걸쳐 퍼질 것입니다. 요약하면, 바로 이것이 다니엘의 해석의 내용입니다.
(우리말 번역 및 이하 생략)

[내용 추가 일자: 2023년 8월 5일]
게시자 주 7-4-1: 바로 위에 발췌된 바의 후반부의 주된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홀수해 연중 제34주간 화요일 제1독서(다니엘 2,31-45)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학습할 수 있다:   
[이상, 2023년 8월 5일자 내용 추가 끝]
 
7-4-2.
다음은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수석 편집자인 Antonio Fuentes에 의한 
Mystery of the Kingdom: On the Gospel of Matthew
제목의 저서에 대한 서평의 글입니다:

Church as Kingdom
 
In the forward to Edward Sri’s Mystery of the Kingdom, Scott Hahn remarks that "to drain the Jewishness from Matthew is to drain the life from its pages. These opening pages of the New Testament concern themselves with the fulfillment of Israel’s messianic hopes, that a Son of David would come to establish a kingdom that would last forever. We cannot understand the first Gospel if we do not understand precisely what its author meant by the kingdom of heaven." It is a vital point, Hahn notes, because there are many faulty ideas of what the Kingdom is, each leading to flawed beliefs about the true nature of the Church. And how could they not, since the Church, in the words of Lumen Gentium, is "the kingdom of Christ already present in mystery" (LG 3)?
 
In Mystery of the Kingdom, a slender but excellent study of the Gospel of Matthew, Sri has a goal and does not waver from it: He seeks to deepen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s the Kingdom. "At the center of [Jesus’] plan," he writes in the introduction, "is Jesus’ mission to build the kingdom of heaven on earth."
 
While this statement should not be cause for controversy or puzzlement among Catholics, the reaction of many within the Church to Dominus Iesus demonstrates that this key truth is not being taught or understood. Most Catholics do not hear about the Church being the Kingdom "already present in mystery" or in any other form. It is considered too triumphalistic, too arrogant, and not properly ecumenical. All the more reason to dive into Scripture and study Matthew, the Gospel that John Paul II has called "the catechist’s Gospel." As Sri remarks, "Indeed, Catholic readers will find this Gospel particularly helpful for training in Catholic doctrine and in understanding the Church as the kingdom of God."
 
While the biblical studies found within the ivory towers of academia often descend into esoteric romps through Greek participles and woolly discussions of "communities, " Mystery of the Kingdom is meant for those who possess a modest knowledge of Scripture or are even new to it. It is ideal for a small, informal Bible study, being broken into eleven accessible chapters, each ending with a series of helpful question pointing back to key Old Testament texts and requiring direct interaction with the text.
 
Sri’s "less is more" approach works. While he passes over many details—largely ignoring the second chapter of the Gospel, for example—he does a commendable job of tracing the theme of the Kingdom and showing how it is at the heart of all that Jesus said and did while on earth. This is, I think, an excellent approach, since people really should have a sense of the big picture before getting into the details. How helpful is it to be able to parse Greek verbs or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rod the Great and Herod Agrippa II if you have no real idea what Jesus meant when he kept proclaiming the "Kingdom of heaven"?
 
Yet not all is broad-brushed strokes and panoramic vistas. Sri delves into key passages and emerges with fascinating, relevant details, such as the reason behind the three sets of fourteen generations in Jesus’ genealogy, the background to Jesus’ famous remarks to Peter in Matthew 16, and the deeper motivation for the cleansing of the Temple.
 
Like Hahn, Sri understands that the reality of covenant informs all of Scripture and the entirety of Jesus’ mission. This can be seen in the temptation of Jesus in the desert for forty days. The three temptations that Jesus resists represent sins that the wandering Israelites succumbed to in the desert, violating the Covenant and setting into motion a pattern of failure that would last for centuries. Jesus is shown to be the new Moses, the new Lawgiver, and the New Covenant personified in the Eucharist, demonstrating Augustine’s famous axiom: "The New Testament lies hidden in the Old, and the Old Testament is unveiled in the New."
 
I have been using Mystery of the Kingdom in leading a small Bible study (occasionally supplementing it with the Navarre Bible for extra details), and I have been pleased with the results and response. The only annoyance is the occasional awkward stretch for puns in the subheads (e.g., "Don’t Make Essene!"), perhaps part of an ongoing contest Sri has with his friend Hahn. Otherwise, this book is an illuminating guide to the Gospel of Matthew.
-- Carl E. Olson
 
Mystery of the Kingdom: On the Gospel of Matthew
By Edward P. Sri
Emmaus Road Publishing, 1999
160 pages
$10.95
ISBN: 0-9663223-5-5
 
 
7-4-3.
다음은 2000년 대희년에 즈음하여 출판된, 교도권의 성경 해석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마태오 복음서 3,2에 대한 해설입니다.
 
 
 
"Kingdom of heaven": this expression is identical to "Kingdom of God". The former is the one most used by St Matthew, and is more in line with the Jewish turn of phrase. Out of reverence, the Jews avoided pronouncing the name God and substituted other words for it, as in this case. "Kingdom of God" or "Kingdom of heaven" was a concept used already in the Old Testament and in religious circles at the time of Christ. But it occurs particularly frequently in Jesus' preaching.
 
"하늘 나라": 이 표현은 "하느님 나라"와 동일합니다. 전자는 성 마태오에 의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리고 유다인들의 말투 표현과 더 일치합니다. 경외하는 마음에서, 유다인들은 하느님이라는 이름을 발음하는 것을 회피하였기에, 이 경우에 있어서 처럼, 이 이름 대신에 다른 표현들을 대입하였습니다. "하느님 나라" 즉 "하늘 나라"는 구약 성경에서 그리고 그리스도의 시기에 종교 집단들에서 이미 사용되었던 개념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설교에 특히 자주 나타납니다.

The phrase "Kingdom of God" can refer in a general way to God's dominion over creatures; but normally, as in this text, it refers to God's sovereign and merciful involvement in the life of his people. Man's rebellion and sin broke the order originally established in creation. To re-establish it, God's intervention was needed again; this consisted in the redeeming work of Christ, Messiah and Son of God. It was preceded by a series of preliminary stages in salvation history throughout the Old Testament.
 
"하느님 나라"라는 어구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피조물들에 대한 하느님의 통치를 언급할 수 있습니다만,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 본문에서 처럼, 이것은 당신 백성의 삶에 있어 하느님의 탁월한 그리고 자비로운 개입을 말합니다. 사람의 반란과 죄는 애초에 창조 안에 설정되었던 질서를 깨드렸습니다. 이것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하느님의 개입이 한 번 더 필요하였으며, 그리고 이 개입은 메시아이시며 하느님의 아드님이신, 그리스도의 속량 위업으로 존재합니다. 

Consequently, the Kingdom of God, announced as imminent by John the Baptist, is brought into being by Jesus. However, this is an entirely spiritual one and does not have the nationalistic dimension expected by Jesus' contemporaries. He comes to save his people and all mankind from the slavery of sin, from death and from the devil, thereby opening up the way of salvation.
 
그 결과로서, 세례자 요한에 의하여 곧 있을 것이라고 선포되었던, 하느님 나라예수님에 의하여 태어나게 됩니다. 그러나 이 나라는 전적으로 영적인 것이기에 예수님의 동시대인들에 의하여 예상되었던 민족주의적 차원을 가지지 않습니다. 당신께서는 당신의 백성과 모든 인류를 죄의 노예 상태로부터, 죽음으로부터 그리고 악마로부터, 구하기 위하여 오시는데, 그 결과로 구원의 길을 열어주십니다.

In the perio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ings of Christ, this Kingdom of God (or Kingdom of heaven) is, in fact, the Church. The Church makes Christ (and therefore also God) present among all peoples and calls them to eternal salvation. The Kingdom of God will be brought to completion only at the end of this world, that is, when our Lord comes to judge the living and the dead at the end of time. Then God will reign over the blessed in a perfect way.
 
그리스도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오심 사이의 시기에 있어, 이 하느님의 나라(즉 하늘 나라)는, 사실은, 교회를 말합니다. 교회는 모든 백성들 사이에 그리스도께서 (그리고 따라서 또한 하느님께서) 현존하게 하시며 그리고 이들을 영원한 구원으로 초대합니다. 하느님 나라는 이 세상의 끝에, 즉 우리의 주님께서 산 자들과 죽은 자들을 심판하러 오실 때인 시간의 끝에 오로지 완전에 도달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고 나서 하느님께서는 완전한 방식으로 복자들(the blessed)을 통치하실 것입니다.

In the passage we are considering, John the Baptist, the last of the Old
Testament prophets, preaches the imminence of the Kingdom of God, ushered
in by the coming of the Messiah.
 
우리가 고찰하고 있는 이 구절에서, 구약 성경 예언자들 중의 마지막 예언자인 세례자 요한은, 메시아의 오심에 의하여 예고되는, 하느님 나라의 급박함을 설교합니다.
 
 
7-5.
다음은 가톨릭 보편 교회가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년) 직후에 최초로 마련하여 공포하였던, 로마 교리서, 즉, 트리엔트 교리서(1566년)에 실린 것을 발췌한 것입니다(영문본). 전투 교회, 즉 투쟁 교회, 즉 예수 그리스도께서 베드로 위에 직접 말씀으로써 세우신 지상 교회가 바로 하늘 나라(the kingdom of heaven)이라고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설명이, 지상 교회의 구성원들이, 비록 같은 신앙을 고백하고 같은 성사들에 참여하지만 자신들의 삶과 윤리의 방식에 있어 다른착한 자(the good)들과 착하지 않은 자(the bad)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리고 [교회 내에서] 이들 두 집단들 사이에 계속적인 투쟁이 있음을 언급하고 있음에 주목하여야 할 것입니다:
 
 
 
The Members Of The Church Militant
The Church militant is composed of two classes of persons, the good and the bad, both professing the same faith and partaking of the same Sacraments, yet differing in their manner of life and morality.
 
전투 교회의 구성원들
전투 교회는, 착한 자(the good)들과 착하지 않은 자(the bad)들, 두 부류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둘 다는 꼭 같은 믿음을 고백하고 그리고 꼭 같은 성사들에 참여하나, 그러나 삶과 윤리에 대한 그들의 태도(manner)에 있어 다르다.
 
The good are those who are linked together not only by the profession of the same faith,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same Sacraments, but also by the spirit of grace and the bond of charity. Of these St. Paul says: The Lord knoweth who are his. Who they are that compose this class we also may remotely conjecture, but we can by no means pronounce with certainty. Hence Christ the Saviour does not speak of this portion of His Church when He refers us to the Church and commands us to hear and to obey her. As this part of the Church is unknown, how could we ascertain with certainty whose decision to recur to, whose authority to obey?
 
착한 자들은 꼭 같은 믿음의 고백으로써, 그리고 꼭 같은 성사들에 참여함으로써, 함께 열결되어져 있을 뿐만이 아니라, 또한 은총에 기인하는 정신으로써 그리고 사랑에 기인하는 유대로써 함께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을 말한다. 성 바오로는 이들에 대하여 "주님께서는 당신의 사람들을 아신다"(2티모테오 2,19) 라고 말한다. 이 부류를 구성하는 자들이 누구인가를 우리는 또한 멀리 떨어져 어림대고 말할 수는 있을 것이나, 그러나 확신과 함께 결코 선언할 수는 없다. 따라서 구세주이신 그리스도께서는, 당신께서 교회에 대하여 우리에게 말씀하실 때에 그리고 우리로 하여금 교회에 귀를 기울이고 또 순명하라고 명하실 때에, 당신 교회의 이런 부분에 대하여 말씀하시지 않으신다. 교회의 이 부분이 알려져 있지 않기에, 누구의 결정에 호소하여야 하며, 누구의 권한에 순명하여야 할 지를 어떻게 우리가 확신과 함께 확정할 수가 있을까?

The Church, therefore, as the Scriptures and the writings of the Saints testify, includes within her fold the good and the bad; and it was in this sense that St. Paul spoke of one body and one spirit. Thus understood, the Church is known and is compared to a city built on a mountain, and visible from every side. As all must yield obedience to her authority, it is necessary that she may-be known by all.
 
그러므로 교회는, 성경과 성인들의 저술들이 증언하고 있듯이, 자신의 무리 안에 착한 자들과 착하지 않은 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성 바오로가 한 몸 그리고 한 성령에 대하여 말하였던(1코린토 12,13) 것은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였다. 이와 같이 이해되어, 교회는 어떤 산 위에 지어진 그리하여 각 방면으로부터 가시적인, 한 개의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그리고 그러한 도시로 비교된다. 모두가 교회의 권위에 순명하여야만 하므로, 교회가 모두에 의하여 알게 되어야 함은 필요하다.
 
That the Church is composed of the good and the bad we learn from many parables contained in the Gospel. Thus, the kingdom of heaven, that is, the Church militant, is compared to a net cast into the sea, to a field in which tares were sown with the good grain, to a threshing floor on which the grain is mixed up with the chaff, and also to ten virgins, some of whom were wise, and some foolish. And long before, we trace a figure and resemblance of this Church in the ark of Noah, which contained not only clean, but also unclean animals.
 
교회가 착한 자들과 착하지 않은 자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우리는 복음서에 포함되어 있는 많은 비유들로부터 배운다. 따라서, 하늘 나라, 즉, 전투 교회는 바다에 던져진 그물에(마태오 복음서 13,47-50), 좋은 씨들과 함께 가라지들이 씨뿌려진 밭에(마태오 복음서 13,24-30), 알곡이 쭉정이와 함께 섞여 있는 타작 마당에(마태오 복음서 3,12), 그리고 또한, 그들 중 어떤 이들은 슬기로우나 다른 이들은 어리석은, 열 처녀들에(마태오 복음서 25,1-13), 비교된다. 그리고 오래 전에, 정결한 짐승들뿐만이 아니라, 또한 부정한 짐승들을 포함하였던, 노아의 방주에서 이러한 교회에 대한 표상과 닮음을 찾아낸다.
 
But although the Catholic faith uniformly and truly teaches that the good and the bad belong to the Church, yet the same faith declares that the condition of both is very different. The wicked are contained in the Church, as
the chaff is mingled with the grain on the threshing floor, or as dead members sometimes remain attached to a living body.
 
그러나 비록 가톨릭 믿음이 착한 자들과 착하지 않은 자들이 교회에 속한다고 한결같이 그리고 진실로 가르치기는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꼭 같은 믿음은 이들 둘의 상태가 매우 다름을 선언한다. 타작 마당에 알곡이 쭉정이와 함께 섞여 있듯이, 혹은  죽은 지체들이 때로는 살아 있는 몸에 붙어 머물러 있듯이, 사악한 자(the wicked)들이 교회에 포함되어 있다.
 
 
7-6.
신학 전문 학술지, "Letter & Spirit" Vol. II, 2006: The Authority of Mystery: The Word of God and the People of God, 제 217쪽에 실린 논문 
(제목명: The Kingdom of God and the Heavenly-Earthly Church,
저자: Christoph Cardinal Schönborn, O.P.)은 다음의 출처를 클릭하신 후에 제217쪽을 찾아 읽으시면 됩니다. LG에 주어진 설명이, "하느님 나라"가 바로 "가톨릭 교회"임을 논증하고 있는 논문이라는 생각입니다.
 
 
참고 사항 1: 이 논문의 저자인 Christoph Cardinal Schönborn, O.P.는 비엔나의 대주교님(Archbishop of Vienna), 추기경님이십니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이 대주교님의 약력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글이 이 분의 약력란에 있습니다:
 
1987-1992 Secretary of the commission responsible for drafting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987-1992 가톨릭 교회 교리서 기안을 책임진 위원회의 장(Secretary)  
 
참고 사항 2: 바쁘지 않으신 분들께서는 2008년도에 출판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and the Craft of Catechesis 제목의 책의 제19쪽으로 링크 설정된
 
여기를 클릭하신 후에, 이 페이지의 전후를 또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이 책의 입문(Introduction)을 Schönborn 추기경님께서 쓰셨으며, 그리 어렵지 않은 영어로 저술된 좋은 책이라는 생각입니다.
 
참고 사항 3: Schönborn 추기경님께서 집필하신 책들을 소개하고 있는 여기를 클릭하시면,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가톨릭 보편 교회를 위한 Schönborn 추기경님의 선물이었다는 언급과 함께, 또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집(CCCC)"의 집필을 현재의 교황님(베네딕토 16세)과 함께 하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 사이트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Cardinal Schönborn's magnum opus is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often abbreviated "CCC"), a work that does not even bear his name because it was his gift to the universal Church.

 

   He has also co-authored with Pope Benedict XVI a shorter version of the Catechism entitled The Introduction to the CCC, as well as a four volume set of books (Living the CCC) that contains enlightening commentary and a meditation for each week of the year.

 

   Most recently, beginning in 2003, Cardinal Schönborn assisted then Cardinal Ratzinger (now Benedict XVI) in the composition of the 200-page Compendium of the CCC(게시자 주: 가톨릭 교회 교리서), which employs a  question-and-answer format and is intended more specifically for use within catechetical, pastoral and teaching environments.

 

참고 사항 4: 다음의 자료 1을 클릭하시면, 위의 제7-6항의 논문에서 그 잘못을 지적하고 있는, 교황청 신앙교리성에 의하여 퇴출된 남미의 해방신학자인 Leonard Boff(레오나르도 보프)이 독일 개신교 신학자인 Rudolf Bultmann(루돌프 불트만)하느님 나라에 대한 잘못된 주장을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자료 2는 Time지에 실린 Leonard Boff에 대한 제재 과정 전반에 대한 기사 모음입니다:

 

자료 1: http://ch.catholic.or.kr/pundang/4/cc/Boff_LT.htm

A characteristic of Boff's work is that he often uses conventional theological language but empties it of its doctrinal content. He recommends Freire's pedagogical method as the most apt educational instrument for the diffusion of his own liberationist ideas. Also, he develops a model of the Church which he says is based on a "Communitarian Christianity" and places it in opposition to the hierarchically structured Church founded by Christ. He claims the ecclesiastical structure of the Catholic Church cannot be traced back any further than the third century. Finally, in terms of the theory of class struggle, Boff casts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the role of an oppressor.


보프(Boff)의 저술의 특성은 그가 전통적인 신학적 용어를 자주 사용함에 있으나 그러나 그 내용으로부터 교리적 내용을 없어지게 하는 데에 있다. 그는 Freire의 교육학적 방법을 자신 고유의 해방주의자 이념들의 확산을 위한 가장 적절한 교육적 도구로서 추천한다. 또한 그는 교회의 모델을 발전시키는데, 그는 이 모델이 "공산사회주의적 그리스도교"에 근거하고 있다고 말하며 그리고 이것을 그리스도께서 설립하신 교계 제도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 교회에 반대하는 위치에 자리를 잡아 준다고 말한다. 그는 가톨릭 교회의 교회 조직의 구조는 3세기보다 이전으로 더 거슬러 올라가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계급투쟁 이론이라는 용어로, 보프로마 가톨릭 교회를 억압자의 역할로 내던져버린다. 

Boff's theology is a mishmash of Marxist theory and a defective Christology which was influenced by the ideas of Rudolf Bultmann and Karl Rahner under whom he studied in Munich. In describing Boff's Christology, Hans Urs von Balthasar said:

Boff seems to develop a Christology strongly influenced by Bultmann, with whom he suggests that we know very little about the historical Jesus. However, he believes that we can interpret the primary intention of Jesus as that of someone who understood himself in his role as liberator of the poor and oppressed ... The liberation—the `Kingdom of God'—which Jesus expected to result from it—had failed to come about, as expressed by the authentic cry on the Cross: `Why hast thou forsaken me?' The doctrine of substitution is rejected by Boff as well as by Rahner. It is up to us present-day Christians to adopt and execute what Jesus had wished and begun.

 

보프의 신학마르크주의 이론의 뒤범벅이며 그리고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칼 라너(Karl Rahner)의 이념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던 결함이 있는 그리스도론인데, 그는 (독일의) 뮤니히(Munich)에서 이 두 사람 아래에서 학습하였다. 보프의 그리스도론을 설명하면서, 한스 우르 폰 발타살(Hans Urs von Balthasar)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보프불트만에 의하여 강하게 영향을 받은 어떤 그리스도론을 발전시킨

     것 같은데, 불트만과 함께 그는 우리가 역사적 예수에 대하여 거의 알지
     못한
고 넌지시 비칩니다. 그러나 그는 우리가 예수님의 주요 의도를, 자
     기 자신
을 가난한 자들과 억압받는 자들의 해방주의자로서 자신의 역할로
     이해하였
던, 어떤 사람의 다음과 같은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
     다 ... 해방
은 - 예수님께서 거기로부터 유래할 것이라고 예상하셨던 '
     느님 나라
'는 - 
십자가 위에서의 진정한 외침에 의하여 '어찌하여 저를 
     버리셨습니까?'
라고 
표현되었듯이, 발생하는 데에 이미 실패하였다. 대속
     교리(the 
doctrine of substitution)(*)는 라너뿐만이 아니라 보프
     의하여 거부됩
다. 예수님께서 원하셨으며 그리고 시작하셨던 바를 적용
     하고 실행하는 것
은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인 우리에게 달려있습니다.

 

-----
[내용 추가 일자: 2011년 11월 5일]

(*)
번역자 주: 위에서 "the doctrine of substitution" "대속 교리" 로 직역 번역하였는데, 이 용어는 프로테스탄트 측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이다. 따라서 위의 본문 중에서 "대속 교리(the doctrine of substitution)" 이라는 표현을 가톨릭 측의 용어인 "구속 교리(the doctrine of redemption)" 혹은 "속량 교리" 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구속/속량 교리"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으니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29.htm 

[이상, 내용 추가 끝]
-----


In his book From Death To Life, Cardinal Christoph Schonborn, O.P places Boff in the company of scholars such as Reimarus, Reuss, Schweitzer and Loisy—all of whom propagated the error that Jesus' disciples, and even Jesus himself, lived in an eschatological "high tension," expecting the imminent erupt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overthrowing of this world. This error reached its high point in the writings of Rudolf Bultmann, who equated the Kingdom of God with the end of the world. Cardinal Schonborn points out that Boff assumed the correctness of Bultmann's theory.

 

자신의 책인 From Death To Life 에서, Christoph Schonborn, O.P 추기경께서는 보프Reimarus, Reuss, Schweitzer and Loisy 등과 같은 학자들의 일행에 배치하는데, 이들 모두는 예수님의 제자들이, 그리고 심지어 예수님 스스로도, 하느님 나라의 즉각적인 발생 및 이 세상의 전복을 예상하면서, 종말론적 "높은 긴장 상태"에서 살았다는 오류를 퍼뜨렸다. 이러한 오류는 루돌프 불트만의 저술들에서 그 최고점에 도달하였는데, 그는 하느님 나라가 이 세상의 종말과 동등하다고 생각하였다. Schonborn 추기경께서는 보프불트만의 이론의 정확함을 가정하였다고 지적한다.

 

자료 2: http://ch.catholic.or.kr/pundang/4/fiatlux2000/search4Boff_LT.htm

(Time지에 실린 Leonard Boff에 대한 제재 과정 전반에 대한 기사 모음) 

 

 
작성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15시간 
 
 


1,836 1

추천

Sun_T_SOH,하늘나라,천국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