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어린아이와 아이의 차이는??? - 1코린토 14,20 [성경번역오류] [교리용어_자연적] [교리용어_초자연적] [psyche] [_영혼] [1250_마지막 아담] 1181_새아담

인쇄

. [39.118.118.*]

2013-01-09 ㅣ No.1320


질문:

1코린토 14,20에서

"악에는 아기가 되고" 설명부탁드려요.

몇년전 악한 사람 안에는 미성숙한 아기가 있다고 심리학하는 친구랑 얘기하며 큰 통찰을 가져왔었어요.

우연히 며칠전 코린토서 읽다가 깜짝놀랐네요.


--------------------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1-1.
다음은 "새 번역 성경"의 1코린토 14,20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형제 여러분, 생각하는 데에는 어린아이가 되지 마십시오. 악에는 아이가 되고 생각하는 데에는 어른이 되십시오.
(이상, 발췌 끝)

그런데 질문자께서 "악에는 아기가 되고" 를 설명해 달라고 하였는데, 그리고  "아이""아기"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지 않기에, 좀 더 자세히 이 절을 들여다 보게 되었습니다.

1-2. 우선, 나이가 증가하는 순으로 이들 네 개의 단어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갓난)아기 < 어린아이 < 아이 < 어른

1-3. 그리고, 상식(common sense)의 선에서 생각하여도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사람은 자신의 나이가 어리면 어릴수록, 

(i) 자신의 부모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것이며, 

(ii) 선(good)과 악(evil)의 분명한 구분과 판단을 제대로 잘 하지 못할 것이고, 그리고

(iii) 신체와 자유 의지가 충분하게 발달하지 못하여, 악(evil)을 저지를래야 저지를 수가 없을 것입니다.

1-4. 악(evil)을 악인줄 알아차리는 것은, 그러한 행위가 "인지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1코린토 14,20에서 말하는, "생각하는 데"에 속할 것입니다.

1-5. 그리고 악이 악인줄 우선적으로 먼저 알아차려야,

알아차린 해당 악에 대하여,

(i) (갓난)아기가 되든지,
(ii) 어린아이가 되든지,
(iii) 아이가 되든지, 혹은
(iv) 어른이 되든지,

이들 넷 중의 하나가 될 것입니다.

질문 2: 여러분들의 생각에, 이들 넷 중의 누구가 되어야, 악을 저지를래야 도저히 저지를 수가 없을 것 같은지요?

질문 2에 대한 답변: 나이가 가장 어린, (갓난)아기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1-6. 그리고

질문 3: 어린아이아이 이들 두 단어들 중에서 누구가 더 나이가 어릴까요?

질문 3에 대한 답변: 어린아이입니다.

게시자 주: 여기까지 읽고서,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하면서, 정몽주를 살해한 이방원의 시조 구절 같은 논리를 내미는 분들은,
 
혹은,

"당장에 죽느냐 사느냐가 달린 무슨 중요한 일이라고..."

하는 분들은, 이 글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런 분들에게야 이 글을 읽는 것은 분명히 시간 낭비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혹시라도, 위의 질문들을 읽고서 뭔가 좀 이상하다는 느낌이 드는 분들께서는 계속하여 읽으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2. 이제 다시 1코린토 14,20을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합시다.

"형제 여러분" 이라고 시작함으로써, 성 바오로는 일단 주의를 환기시킵니다.

그런 다음에 곧바로

"생각하는 데에는 어린아이가 되지 마십시오(A)"

라는 금지의 권고를 제시하는데, 이 권고를 긍정적 문장(positive sentence)으로 표현하면, "생각하는 데에 있어서는 어린아이보다 더 성숙한 자가 되십시오" 가 될 것입니다. 

그런 다음에 성 바오로는 곧바로 이어서,

"악에는 아이가 되고(B)

라고 말하는데, 여러분들 생각에, 이 권고(B)가,

(i) "악에 있어서는 어린아이보다, 이런 저런 사욕(慾, concupiscence, 사욕편정)을 이미 알고 있기에 어린아이보다 "죄로 더 기울어지는" 생각을 할 수 있는, 어린아이보다 나이가 더 많은 자가 되라"는 권고로 들리는지요, 아니면,

(ii) 악에 있어서는, 사욕(慾, concupiscence, 사욕편정)이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지 생각조차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어린아이 정도가 아니라, 나이가 더 어린 어린아이, 즉, 아기가 되라"는 권고로 들리는지요? 

제가 볼 때에, "악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B)"도 바로 앞에서 말하는 "생각하는 데(A)"에 속하기 때문에, "악에 대하여 생각하는 데에는 어린아이조차 되지 말라"는 권고를 성 바오로는 "악에는 아이가 되고(B)" 라고 수사학적으로 강조하여 말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이 권고를 더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성 바오로는 (B)에 이어서 곧바로

"생각하는 데에는 어른이 되십시오(C)"

라는 권고합니다. 아닐까요?

문제점(번역 오류): 그런데 이들 (A), (B), (C) 우리말 번역 표현들만을 읽고서는, (A)에 있는 "어린아이"라는 번역 단어가 나타내는 마음의 성숙의 정도가, "어린아이"보다 나이가 더 많은, (B)에 있는 "아이"라는 번역 단어가 나타내는 마음의 성숙의 정도보다 못하기 때문에, 바로 위의 (i)-(iii)에서 말씀드린 바를 우리말로 번역된 1코린토 14,20 전문을 읽고서 국내의 교우님들께서 성 바오로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생각입니다.

게시자 주: 여기까지 읽고서, 이러한 지적을 드리는 필자가, 이유를 막론하고 무조건, 싫은 분께서는, 더 이상 이 글을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분의 경우에는, 이미 자신의 마음 속에 품고있는, 필자를 싫어하는 마음이 아래의 글을 읽음으로써, 증오하는 마음으로 바뀌고, 더 나아가, 필자를, 칠죄종들 중의 하나인, 질투(envy)까지 하는 마음으로 바뀔 것이기 때문이라고 감히 말씀 드립니다. 즉, 저는 그러한 분들 앞에 쓸데없이 "한 개의 걸림돌(a stumbling block)"을 던지는 자가 되고 싶지 않습니다.

3.
가장 쉽게 이 문제를 파악하는 것은,

(i) 우선적으로, 우리말이 아닌, 대중 라틴말 성경에서 및 다른 나라의 지역 언어 성경들에서 1코린토 14,20이 도대체 어떻게 번역이 되어 왔는지를 구체적으로 비교/검토하는 것일 것입니다.

(ii) 두 번째로, 국내의 개신교측 성경들에서 1코린토 14,20을 어떻게 번역하였는지를 또한 비교/검토하는 것일 것입니다.

(iii) 그런 다음에 최종적으로, 1코린토 14,20에 사용된 단어들의 그리스어 어원들을 또한 들여다 보는 것일 것입니다.

3-1. 1코린토 14,20

게시자 주: "새 번역 성경" 1코린토 14,20
에서는 다음과 같은데, 아래의 항들에 있는 (A), (B), (C) 각각과 차분히 비교/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A) 어린아이, (B) 아이, (C) 어른.

3-1-1. Clementine Vulgate (1979년 이전의 가톨릭 교회의 공인 성경)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1co014.htm

(발췌 시작)
20 Fratres, nolite pueri effici sensibus, sed malitia parvuli estote : sensibus autem perfecti estote.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pueri(아이, male child), (B) parvuli(어린아이, 아기, infancy, childhood; small child, infant), (C) perfecti(완미한, perfect, complete; excellent)

3-1-2. Douay-Rheims Bible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1co014.htm

(발췌 시작)
20 Brethren, do not become children in sense. But in malice be children: and in sense be perfect.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children (아이들), (B) children(아이들, [주: 번역 오류로 생각됨]), (C) perfect (완미한)

3-1-3. 1611년 초판 King James Version (KJV1611)

(발췌 시작)
Brethren, be not children in understanding: howbeit in malice be ye children, but in understanding be men.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childen (아이들), (B) childen(아이들, [주: 번역 오류로 생각됨]), (C) men (어른들) 

3-1-4. Good News Bible (신약: 1966년 초판)

(발췌 시작)
Do not be like children in your thinking, my brothers; be children so far as evil is concerned, but be grown up in your thinking.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children(아이들), (B) children(아이들, [주: 번역 오류로 생각됨]), (C) grown up (성숙된)

3-1-5. Revised Standard Version (RSV)

출처: http://quod.lib.umich.edu/cgi/r/rsv/rsv-idx?type=DIV1&byte=5230210

(발췌 시작)
[20] Brethren, do not be children in your thinking; be babes in evil, but in thinking be mature.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 (A) childen (아이들), (B) babes(아기들, 즉, 어린아이들, [주: KJV1611에서의 오류를 바로 잡음]), (C) mature (성숙한) 

게시자 주 2: Revised Standard Version(RSV)은 1611년에 초판 발행된 King James Version을 현대 어법에 맞게 바로잡은 성경이며, 개신교측과 가톨릭측에서 공동 작업한 1950-60년대의 결과물입니다.

3-1-6. New American Bible(NAB, 1970년에 초판 발행된, 미사를 포함하여, 전례 중의 독서로 발췌되는 것이 허락된 공인 영어 성경)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1corinthians/1corinthians14.htm

(발췌 시작)
20 Brothers, stop being childish in your thinking. In respect to evil be like infants, but in your thinking be mature.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children(아이들), (B) infants(아기들, 즉 어린아이들), (C) mature(성숙한).

3-1-7. New International Version(NIV) (1973년 초판 발행)

(발췌 시작)
Brothers, stop thinking like children. In regard to evil be infants, but in your thinking be adults.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children(아이들), (B) infants(아기들, 즉 어린아이들), (C) adults(어른들).


3-1-8. 여기를 클릭하면 (또한 클릭하여 꼭 확인하십시오), 더 많은 영어본 성경들에 있어서의 1코린토 14,20을 비교/검토할 수 있습니다.


3-1-9. 공동번역성서(1977년 초판 발행, 대한성서공회)

(발췌 시작)
형제 여러분, 생각하는 데는 어린아이가 되지 마십시오. 악한 일에는 어린아이가 되고 생각하는 데는 어른이 되십시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어린아이, (B) 어린아이, (C) 어른.

3-1-10.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대중 라틴말 성경 (Nova Vulgata, 1979년부터 가톨릭 교회의 공인 라틴어본 성경)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20 Fratres, nolite pueri effici sensibus, sed malitia parvuli estote; sensibus autem perfecti estote.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 (A) pueri(아이, male child), (B) parvuli(어린아이, 아기, infancy, childhood; small child, infant), (C) perfecti(완미한, perfect, complete; excellent)

게시자 주 2: 위의 제3-1-1항에 있는 Clementine Latin Bible (1979년 이전의 가톨릭 교회의 공인 성경)1코린토 14,20과 동일함.

3-1-11. "새 번역 성경" (2005년 12월 25일 초판 발행)

(발췌 시작)
형제 여러분, 생각하는 데에는 어린아이가 되지 마십시오. 악에는 아이가 되고 생각하는 데에는 어른이 되십시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어린아이 [주: 번역 오류. "아이"로 번역하여야 함], (B) 아이 [주: 번역 오류. "어린아이"로 번역하여야 함], (C) 어른.

3-1-12.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중국어본 성경

출처: http://www.vatican.va/chinese/bibbia/nuovo-testamento/I-Corinzi_zh-t.pdf

(발췌 시작)
弟兄們!?們在見識上不應做孩子,但應在邪惡上做?孩,在見識上應做成年人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孩子(<-- 클릭)(아이), (B) ?孩(<-- 클릭)(간난아이), (C) 成年人(어른).


     이상, 위의 제3항 (i)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지금부터는, 위의 제3항 (ii)에 대하여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2. 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제공의 개신교측 여러 성경들의 1코린토 14,20.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3-2-1. 개역한글판

(발췌 시작)
20 형제들아 지혜에는 아이가 되지 말고 악에는 어린 아이가 되라 지혜에 장성한 사람이 되라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아이, (B) 어린아이, (C) 장성한 사람.

3-2-2. 개역개정판

(발췌 시작)
20 형제들아 지혜에는 아이가 되지 말고 악에는 어린 아이가 되라 지혜에는 장성한 사람이 되라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아이, (B) 어린아이, (C) 장성한 사람.

3-2-3. 표준새번역

(발췌 시작)
20 형제자매 여러분, 생각하는 데는 아이가 되지 마십시오. 악에는 아이가 되고, 생각하는 데는 어른이 되십시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아이, (B) 아이, (C) 장성한 사람.

3-3-4. 새번역

(발췌 시작)
20 형제자매 여러분, 생각하는 데는 아이가 되지 마십시오. 악에는 아이가 되고, 생각하는 데는 어른이 되십시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아이, (B) 아이, (C) 어른.

3-3-5. 공동번역개정판

(발췌 시작)
20 형제 여러분, 생각하는 데는 어린아이가 되지 마십시오. 악한 일에는 어린아이가 되고, 생각하는 데는 어른이 되십시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A) 어린아이, (B) 어린아이, (C) 장성한 사람.


     이상, 위의 제3항 (ii)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지금부터는, 위의 제3항 (iii)에 대하여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4.
여기를 클릭하면, 1코린토 14,20 본문에 사용중인 단어들의 그리스어 어원들의 의미를 알 수 있으며, 다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A) a young child(아이, 소년), (B) infant(간난아이, 어린 아이, 아기), (C) perfect (완미한).

이상, 위의 제3항 (ii)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4.
4-1.
지금까지 함께 살펴 본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Case 1: (A) child(ren)[아이(들)], (B) child(ren)[아이(들)], (C) men (perfect, adults, etc) [어른들, 등]

Case 2: (A) child(ren)[아이(들)], (B) infant(s)(babes)[아기들, 즉, 어린아이들], (C) men (perfect, adults, etc) [어른들 등]

특히, 지역 언어로의 성경 본문의 번역시에 표준인, 위의 제3-1-1항과 제3-1-10항에서 언급된 대중 라틴말 성경들1코린토 14,20Case 2를 따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 번역 성경"1코린토 14,20은, Case 1도 아니고, 그리고 Case 2도 아니고, 영 엉뚱하게,

(A) 어린아이, (B) 아이, (C) 어른

으로 번역하였는데, 위의 Case 2가 전혀 아닌, (A) 어린아이, (B) 아이 로 번역한 것은, 명백한 번역 오류입니다.

     이들을 바로잡으면서, 또한 1코린토 14,20에 대한 다음의 "주석 성경" 의 주석에서,

(발췌 시작)
"아이"는 아직 제대로 판단을 내리지도 못하고 악을 저지르지도 못한다. 바오로는 전자가 아니라 후자의 측면에서 아이들을 본받으라고 권면하는 것이다(마르 10,14와 병행구 참조).
(이상, 발췌 끝)

두 번 등장하고 있는, "아이" 둘 다를 "어린아이" 로 바로잡아 주실 것을 또한 요청드립니다. 이 요청은 다음에 있는 1코린토 3,1에 대한 NAB의 주석에 근거한 요청입니다. 즉,

"infant" = "어린아이" 

바오로의 서간들에서
일관성이 있게 번역되어야 합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1corinthians/1corinthians3.htm

(발췌 시작)
[3:1] Spiritual people . . . fleshly people: Paul employs two clusters of concepts and terms to distinguish what later theology will call the "natural" and the "supernatural." (1) The natural person (1 Cor 2:14) is one whose existence, perceptions, and behavior are determined by purely natural principles, the psyche (1 Cor 2,14) and the sarx (flesh, a biblical term that connotes creatureliness, 1 Cor 3:1, 3). Such persons are only infants (1 Cor 3:1); they remain on a purely human level (anthropoi, 1 Cor 3:4). (2) On the other hand, they are called to be animated by a higher principle, the pneuma, God's spirit. They are to become spiritual (pneumatikoi, 1 Cor 3:1) and mature (1 Cor 2:6) in their perceptions and behavior (cf Gal 5:16-26). The culmination of existence in the Spirit is described in 1 Cor 15:44-49.

[3:1] 영적이 아니라 육적인 사람: 바오로(Paul)는 이후의 신학이 "자연적(natural)" 그리고 "초자연적(supernatural)" 이라고 장차 부를 바를 구분하기 위한 개념들과 용어들로 이루어진 두 개의 송이/다발(clusters)들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1) 자연적 인격(the natural person, 1코린토 2,14)이란 그의 존재(existence), 지각(perceptions)들, 그리고 처신(behavior)들이 순전히 자연적/본성적 원리(natural principles)들, 즉 본성적 영혼(the psyche, 1코린토 2,14)(*) 그리고 육(肉)[the sarx, 특히 동물들과 유사함을 공유함 안에서 어떤 피조물의 상태/특성(creatureliness)을 암시하는(connotes) 어떤 성경적 용어인, 육(flesh), 1코린토 3,1.3]에 의하여 정해지는(are determined) 자를 말합니다. 그러한 인격(persons)들은 오로지 어린아이(아기, infants, 1코린토 3,1)일뿐이며, 그리고 그들은 순전히 인간의 수준(human level)(anthropoi, 1 Cor 3:4)으로 남아있습니다. (2) 다른 한편으로, 그들은 어떤 더 높은 원리인, (the pneuma), 즉 하느님의 영(God's spirit)에 의하여 살아있게 된다(animated)고 불리게 됩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지각들과 처신들에 있어 영적(pneumatikoi, 1코린토 3,1)이 될 것이며(갈라티아 5,16-26 참조) 그리고 성숙하게(mature) 될 것입니다(1코린토 2,6). 이 거룩한 영(성령, the Spirit) 안에 있는 존재(existence)의 정점(culmination)1코린토 15,55-49에 서술되어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psyche""본성적 영혼(natural soul)"으로 번역한 것은 다음에 있는 1코린토 15,45에 대한 NAB 주석을 따른 것이다. 그리고 더 나은 이해를 위하여 1코린토 15,42-44에 대한 NAB 주석도 또한 발췌하였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1corinthians/1corinthians15.htm

(발췌 시작)
[15:42-44] The principles of qualitativ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death (1 Cor 15:36-38) and of diversity on different levels of creation (1 Cor 15:39-41) are now applied to the human body. Before: a body animated by a lower, natural life-principle (psyche) and endowed with the properties of natural existence (corruptibility, lack of glory, weakness). After: a body animated by a higher life-principle (pneuma; cf 1 Cor 15:45) and endowed with other qualities (incorruptibility, glory, power, spirituality), which are properties of God himself.

[15:42-44] 죽음 이전과 이후 정성적 차이점(1코린토 15,36-38)의 그리고 창조의 서로 다른 수준들에 대한 다양성(1코린토 15,39-41)의 원리들이 이제 인간의 몸(the human body)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전: 한 개의 저급의, 본성적 생명-원리(psyche)에 의하여 생명을 가지게 되는 그리고  본성적 존재(natural existence)의 성질들[부패성(corruptibility), 영광(glory)의 결여, 나약함(weakness)]이 부여된 한 개의 몸(a body). 이후: 한 개의 더 높은 생명-원리[영(pneuma); 1코린토 15,45]에 의하여 살아있게 되는 그리고, 하느님 당신 자신의 특성들인, 다른 특징들[(비부패성(incorruptibility), 영광(glory), 힘(power), 영성(靈性, spirituality)]이 부여된 한 개의 몸.

[15:45] The analogy of the first man, Adam, is introduced by a citation from Genesis 2:7. Paul alters the text slightly, adding the adjective first, and translating the Hebrew adam twice, so as to give it its value both as a common noun (man) and as a proper name (Adam). 1 Cor 15:45b then specifi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dams. The last Adam, Christ (cf 1 Cor 15:21-22) has become a . . . spirit (pneuma), a life-principle transcendent with respect to the natural soul (psyche) of the first Adam (on the terminology here, cf the note on 1 Cor 3:1). Further, he is not just alive, but life-giving, a source of life for others.

[15:45] 첫 번째 사람인 아담(Adam)에 대한 유비(analogy)는 창세기 2,7로부터 한 개의 인용에 의하여 도입되고 있습니다. 바오로는, 첫 번째라는 형용사를 추가함으로써 그리고 히브리어 adam 을, 이것에 한 개의 보통 명사[사람(man)] 그리고 한 개의 고유 명사[아담(Adam)] 둘 다로서 그 가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두 번씩 번역함으로써, 본문을 약간 바꿉니다. 그런 다음에 1코린토 15,45ㄴ은 이 두 아담들 사이에 있는 유사성(similarities)들과 차이점(differences)들을 구체화합니다. 마지막 아담(the last Adam, 즉, 두 번째 아담, 즉, 아담)인 그리스도께서는(1코린토 15,21-22 참조)(*) 한 개의 . . . 영[spirit(pneuma)]인, 첫 번째 아담의 본성적 영혼[the natural soul (psyche)]에 대하여 초월하는(transcendent), 한 개의 생명-원리(a life-principle)가 이미 되셨습니다 (여기서 용어에 대하여, 1코린토 3,1에 대한 주석 참조]. 더 나아가, 그분께서는 단지 살아계시는 것만이 아니라, 생명을 주시는(life-giving) 분이신, 다른 이들을 위한 생명의 한 원천(a source)이십니다.


-----

(*)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하면 읽을 수 있는 글의 말미에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59항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50.htm

-----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4-3. 그나마 한 가지 다행스러운 점이 한 가지 있다면,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1코린토 14,20은 미사 중의 독서로 전혀 발췌되지 않고 있기에, 미사 중에 "새 번역 성경"의 1코린토 14,20이 읽히지 않아 왔는 데에 있을 것입니다.

4-4. 그러나, "새 번역 성경" 혹은 "주석 성경"의 1코린토 14,20을 읽고서, 이 절에 대한 교부들과 천사적 교회 박사인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등의 저술가들의 주석들을 읽는 경우에는, 이 글에서 지적하고 있는 용어 번역 오류 때문에, 이러한 오류가 있을 수도 있음을 모르고 있을 처음에는, 또한 사고의 혼란을 경험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7시간



1,860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