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영지주의(gnosticism) [교리용어_영지주의] [_이원론]

인쇄

. [218.55.90.*]

2013-07-16 ㅣ No.1418


질문 1: 초기 그리스도교 시절의 이단인 "영지주의"는 어떠한 주장을 하였는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원 출처: http://trinitas.mju.ac.kr/frames/fiatlux2000.jpg 

 

답변:

 

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gnosticism(영지주의)"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3756

(발췌 시작)
GNOSTICISM

The theory of salvation by knowledge. Already in the first century of the Christian era there were Gnostics who claimed to know the mysteries of the universe. They were disciples of the various pantheistic sects that existed before Christ. The Gnostics borrowed what suited their purpose from the Gospels, wrote new gospels of their own, and in general proposed a dualistic system of belief. Matter was said to be hostile to spirit, and the universe was held to be a depravation of the Deity. Although extinct as an organized religion, Gnosticism is the invariable element in every major Christian heresy, by its denial of an objective revelation that was completed in the apostolic age and its disclaimer that Christ established in the Church a teaching authority to interpret decisively the meaning of the revealed word of God.

영지주의(靈智主義, gnosticism)

지식에 의한 구원 주장(the theory of salvation by knowledge)을 말합니다. 이미 그리스도교 시대의 첫 번째 세기에 우주의 신비들을 안다고 주장하였던 영지주의자(Gnostics)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 이전에 존재하였던 다양한 범신론(汎神論) 분파(pantheistic sects)들의 제자들이었습니다. 영지주의자들은 복음서(the Gospels)들로부터 자신들의 목적에 적합한 바를 빌려갔고, 그들 고유의 새 복음서들을 저술하였으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어떤 이원론적 믿음 체계(a dualistic system of belief)(*)를 제안하였습니다. 질료(matter)는 영(spirit)에 적대적이라고 말해졌으며, 그리고 우주(the universe)는 신성(Deity)의 박탈 상태에 있다고 견지되어졌습니다. 어떤 조직을 갖춘 종교로서 비록 소멸되기는 하였으나, 영지주의는, 사도들의 시대에 완료된 하나의 객관적 계시(an objective revelation)에 대한 이 주의의 거부(denial)에 의하여 그리고 그리스도께서 교회 안에 계시된 하느님의 말씀의 의미를 결정적으로 해석하는 하나의 가르치는 권위(a teaching authority)제정하셨음에 대한 이 주의의 포기(disclaimer)에 의하여각 주된 그리스도교 이단(major Christian heresy)에 있어 불변(invariable)의 요소입니다.

-----
(*) 번역자 주: "이원론(dualism)"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5.htm <----- 또한 필독 권고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gnostism" 에 대한 설명에서 첫 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6592a.htm

(발췌 시작)
Gnosticism

영지주의(靈智主義, gnosticism)

The doctrine of salvation by knowledge. This definition, based on the etymology of the word (gnosis "knowledge", gnostikos, "good at knowing"), is correct as far as it goes, but it gives only one, though perhaps the predominant, characteristic of Gnostic systems of thought. Whereas Judaism and Christianity, and almost all pagan systems, hold that the soul attains its proper end by obedience of mind and will to the Supreme Power, i.e. by faith and works, it is markedly peculiar to Gnosticism that it places the salvation of the soul merely in the possession of a quasi-intuitive knowledge of the mysteries of the universe and of magic formulae indicative of that knowledge. Gnostics were "people who knew", and their knowledge at once constituted them a superior class of beings, whose present and future status was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ose who, for whatever reason, did not know. A more complete and historical definition of Gnosticism would be:

지식에 의한 구원 교리를 말합니다. 이 단어의 어원 (gnosis "knowledge", gnostikos, "good at knowing") 에 근거한 이 정의(definition)는 어느 정도까지는 정확하나, 그러나 이 정의는 사고(thought)에 있어서의 영지주의 체계들의 오로지 한 개의, 비록 아마도 지배적이기는 하나, 특징일 뿐입니다. 영혼이 최고의 권능에 대한 마음과 의지의 복종에 의하여, 즉 믿음(faith)과 일(works)들에 의하여, 그 고유한 끝(end)을 획득한다고 유다교와 그리스도교,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다신교 체계들이 견지하는 데에 반하여, 영지주의가 영혼의 구원을 단지 우주의 신비들에 대한 어떤 준 직관적인 지식(a quasi-intuitive knowledge) 및 바로 그러한 지식을 암시하는 요술 정식(magic formulae)들의 소유에 두는 것이 바로 이 주의에 현저하게 기묘한(markedly peculair to) 점입니다. 영지주의자는 "알았던 사람들" 이며, 그리고 그들의 지식은, 그들의 현재와 미래의 지위가, 무슨 이유에서든, 알지 못하는 자들의 지위와 본질적으로 다른, 어떤 우수한 있음(beings)들의 부류(class)로서 그들을 한 때 설정하였습니다(constituted).
영지주의에 대한 더 완전하고 역사적인 정의(definition)는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A collective name for a large number of greatly-varying and
     pantheistic-idealistic sects, which flourished from some time
     before the Christian Era down to the fifth century, and which,
     while borrowing the phraseology and some of the tenets of the 
     chief religions of the day, and especially of Christianity,
     held matter to be a deterioration of spirit, and the whole
     universe a depravation of the Deity, and taught the ultimate
     end of all being to be the overcoming of the grossness of 
     matter and the return to the Parent-Spirit, which return they
     held to be inaugurated and facilitated by the appearance of
     some God-sent Saviour.

     대단히 가지각색의 그리고 범신론적-이념적 분파(pantheistic-idealistic
     sects)들로 이루어진 어떤 커다란 다수를 나타내는 집합적인 이름을
     말하는데, 이 분파들은 그리스도교 시대 이전의 어떤 시기로부터 5세기에
     내려오기까지 번성하였으며, 그리고, 그 시대의 주 종교들의, 특히 
    그리스도교의, 전문어(phraseology)와 주의(tenets)들의 일부를 
    빌려옴과 동시에, 
질료(matter)가 영(spirit)의 어떤 부패(a 
     deterioration)이라고, 그리고 전체 우주가 신성(the Deity)의 어떤 
     박탈(a depravation)이라고 견지(堅持)하였으며(held), 그리고 
     모든 있음(being)의 궁극적 끝(end)은 질료의 천함(grossness)의 
     극복과 부모-영(the Parent-Spirit)으로 되돌아감이라고 가르쳤는데,
      바로 이 되돌아감이 어떤(some), 하느님께서 파견하신, 구세주
     (Saviour)의 출현에 의하여 개시될 것이고 그리고 촉진될 것이라고 
     그들은 견지하였습니다.

However unsatisfactory this definition may be, the obscurity, multiplicity, and wild confusion of Gnostic systems will hardly allow of another. Many scholars, moreover, would hold that every attempt to give a generic description of Gnostic sects is labour lost.

 

바로 이 정의(definition)가 아무리 충분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영지주의 쳬계들의 모호함, 다양함, 그리고 얼토당토 않은 혼동(wild confusion)은 다른 정의를 거의 허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더욱이, 영지주의 분파들에 대한 하나의 총칭적 서술(a generic description)을 제시하고자 하는 각 시도가 헛된 노고임을 많은 학자들이 견지할 것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미 위의 제2항의 설명에서 언급되었듯이, 굿뉴스 서버 제공의 "그노시스"에 대한 상당히 복잡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403

클릭한 후에, 제2항부터 읽도록 하십시오.

4. 끝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위의 제2항의 설명에 이어지는, "gnosticism(영지주의)" 에 대한 나머지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www.newadvent.org/cathen/06592a.htm

     특히, 그리스도교 초기의 교부들이 격파하기 위하여 많는 노고를 아끼지 않았던, 이단인, 다양한 영지주의 학파들 중의 한 분파에서 "뱀""지혜의 상징(the symbol of wisdom)" 으로서 숭배하였던 것에 대한 언급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17.htm <----- 필독 권고

클릭한 후에 제3-1항을 읽도록 하십시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864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