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나의 권리? - 이사야 40,27; 이사야서 입문 #<대림2주수1독> [번역오류] 위로의 책

인쇄

. [218.55.90.*]

2014-01-09 ㅣ No.1503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질문:

이사야서 (40,27)

"나의 길은 주님께 숨겨져 있고 나의 권리는 나의 하느님께서 못 보신 채 없어져 버린다."

 

질문 1: 하느님께서 못보신채 없어져 버린다는 나의 권리란 어떤 권리를 말하는 것입니까?

질문 2: 그리고 그 '나' 는 이사야 예언자를 지칭하는 것이 맞습니까? 그 '나'를 다르게 해석 할수도 있습니까?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게시자 주:
질문자의 질문들을 읽고서 나름대로 인터넷 검색을 해 보았더니, 예상 밖으로, 위의 질문들에 대한 답변글이 별로 없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이번 글은, 매년 주님 세례 축일에 그 첫 번째 노래가 미사 중의 말씀 전례에서 제1독서로 발췌되고 있는, 이사야서의 네 개의 "고통받는 종의 노래들" 의 입문에 해당하는 이사야서 40,25-31 중의 한 표현인 "나의 권리"에서, "나"는 누구를 말하고 그리하여 "나의 권리"는 무엇을 말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는 글입니다.
 

 

그리고 본문뿐만이 아니라, 가톨릭 보편 교회의 교도권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겅 주석서의 수석 편집자에 의하여 마련된, 이 글의 << 부록 >> 인, 이사야서 입문을 또한 꼭 읽도록 하십시오.
(이상, 게시자 주 끝).

 

1. 들어가면서

우선적으로, 이사야서 40,27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대림 제2주간 수요일 제1독서(이사야 40,25-31)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주신 질문과 관련하여, 필요시에 들여아 보아야 하는 최소한도의 전후 문맥은, "새 번역 성경"의 경우에 "신뢰를 가져라" 라는 소제목이 붙어있는, 이사야서 40,25-31일 것입니다.

 

2.

2-0. 다음은 "새 번역 성경" 의 이사야서 40,27-28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27 야곱아, 네가 어찌 이런 말을 하느냐? 이스라엘아, 네가 어지 이렇게 이야기 하느냐? "나의 길은 주님께 숨겨져 있고 나의 권리는 나의 하느님께서 못 보신 채 없어져 버린다."

28 너는 알지 않느냐? 너는 듣지 않았느냐? 주님은 영원하신 하느님 땅끝까지 창조하신 분이시다. 그분께서는 피곤한 줄도 지칠 줄도 모르시고 그분의 슬기(NAB: knowledge)는 헤아릴 길이 없다.

(이상, 발췌 끝).

 

2-1. 질문 2에 대한 답변
"새 번역 성경" 의 이사야서 40,27 본문 전체를 잘 읽어보면, 이 절의 첫 부분에 있는 두 개의 질문들의 내용이 바로 이어지는 " " 안에 있는 바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나"는 "야곱(즉, 이스라엘)" 의 후손들, 즉 "하느님의 백성"을 말한다는 생각입니다. 따라서, 여기서의 "나"를 이와 달리 해석하는 것은 상당히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지금 답변드린 바는, 다음의 NAB 이사야40,27 본문 및 각주를 읽어보면 또한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isaiah/isaiah40.htm

(발췌 시작)
27 Why, O Jacob, do you say, and declare, O Israel, "My way is hidden from the LORD, and my right is disregarded by my God"?

28 Do you not know or have you not heard? The LORD is the eternal God, creator of the ends of the earth. He does not faint nor grow weary, and his knowledge(지식) is beyond scrutiny.

 

[27-28] God's people, here called Jacob and Israel, must not give way to discouragement: their Lord is the eternal God.

 

[27-28] 여기서 야곱과 이스라엘이라고 불리고 있는, 하느님의 백성은 낙담(discouragement)으로 떨어지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그들의 주님이 영원한 하느님이기 때문이다.
(이상, 발췌 및 각주의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1: 사족입니다만, 이사야서 40,28에서, NAB 에서 "knowledge" 로 번역된 표현을 "새 번역 성경"에서 "슬기"로 번역하였는데, "슬기"라는 이 우리말 번역 용어는 상당히 잘못 선정되었다는 생각입니다[번역 오류]. "새 번역 성경" 이사야 40,28에서 "슬기"로 번역된 표현에 대응하는 히브리어는 영어 단어 "understanding" 에 대응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음의 히브리어 어원을 들여댜 보십시오:
http://biblehub.com/lexicon/isaiah/40-28.htm

 

그리고 이 지적과 관련하여 또한,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6항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17.htm <----- 필독 권고

(이상, 게시자 주 2-1 끝).

 

2-2. 질문 1에 대한 답변

2-2-1. 바로 위의 제2-1항에 있는 질문 2에 대한 답변에 의하여, 고찰하여야 하는 "나의 권리" 로 번역된 표현이 의미하는 바의 범위가 개념적으로 광범위하고 막연함으로부터 이제, "하느님 백성의 권리" 로 상당히 제한되어졌다(restricted), 즉, 구체화되었다(specified)는 생각이며, 따라서 남은 것은 여기서 언급되고 있는 "이 백성의 권리"가, 전후 문맥 안에서 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고찰하는 것일 것입니다.

 

2-2-2. "새 번역 성경"의 이사야서 본문 중에서 "권리" 라는 번역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절들은, 이사야서 1,17; 1,23; 5,23; 10,2; 29,21; 40,27; 49,4 , 이렇게 총 일곱 개의 절들임은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직접 확인 할 수 있으며: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old2&prindex=29&Keyword=권리 <----- 클릭하여 필히 이들을 읽도록 하십시오

 

전후 문맥을 고려할 때에, 이들 일곱 개의 절들 중에서, 이사야서의 네 개의 "고통받는 종의 노래들"  중의 두 번째 노래로서,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세례자 요한 탄생 대축일의 제1독서(이사야 49,1-6)에 포함되는, 이사야서 49,4에서 언급되고 있는 번역 용어인 "권리"가 의미하는 바가, 이사야서 40,27에서 언급되고 있는 번역 용어인 "권리"가 의미하는 바와 어떤 관련이 있을 것임을 그리 어렵지 않게 추론(reasoning)할 수 있습니다.

 

2-2-3. 그리고 바로 위의 제2-2-2항에서의 추론은, 예를 들어, "새 번역 성경" 이사야 40,27의 제일 마지막 문장의 오른쪽 여백에 표시된, 동일한 어원의 표현이 사용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는, "49,4" 에 의하여 또한 올바른 추론임을 알 수 있습니다.

 

2-2-4. 더 나아가, 바로 위의 제2-2-3항에서 말씀드린 바는,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한 후에, 히브리어 이사야서 40,27히브리어 이사야서 49,4을 정밀하게 비교/검토를 하면, "새 번역 성경" 이사야서 40,27과 49,4에서 "권리"로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가, justice, judgment, right 등의 의미를 지닌, 동일한 단어 

임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biblehub.com/lexicon/isaiah/40-27.htm

http://biblehub.com/text/isaiah/49-4.htm

 

2-3. 그런데, 구약 성경 본문에 있어 "하느님의 백성의 권리"옛 계약(Old Covanent)에 의하여 하느님에 의하여 약속된 바, 즉, 하느님과 아브람(Abram) 사이의 계약에 의하여 이스라엘의 후손들에게 하느님에 의하여 약속된 바의 결과들를 말하므로, 구약의 시대에 있어 이사야서 40,27에서 말하는 이 권리란, 이 절의 전후 문맥 안에서,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는 다음의 약속들 중에서, 첫 두 약속들, 즉 (약속 i) 및 (약속 ii)의 실현에 의하여, 바빌론 유배 이전의 시점까지 이스라엘의 후손들이 향유하였던(had enjoyed) 권리들을 말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이 권리들은, 이민족들의 지배/억압들 아래에 있지 않는, "나라와 땅 둘 다를 갖춘 독립된 다윗 왕조의 주권((主權, sovereignty)" 에 모두 포함될 것입니다.

 

(약속 i) '큰 나라(great nation).' 이 약속은 창세기 제15장에서 계약으로 발전하고(upgrade) 모세에 의하여 실현된다.

(약속 ii) '큰 이름(name great).' 이 약속은 창세기 17,1-19에서 계약으로 발전하고 다윗에 의하여 실현된다.

(약속 iii) '세상의 모든 종족들(all the communities of the earth).' 이 전 세계적 축복은 창세기 제22장에서 계약으로 발전하고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실현된다.

-----

출처 1: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헤-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 사순 제2주일 제1독서(창세 12,1-4ㄱ) 입문.

출처2: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나헤-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 사순 제2주일 제1독서(창세 22,1ㄴ-2.9ㄱ.10-13.15-18) 입문 

-----

 

이상, 여기까지가 질문 1에 대한 답변입니다.

 

3.

3-0.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 대단히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수석 편집자인 Antonio Fuentes 에 의하여 마련된 이사야서 입문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intro_Isaiah_AF.htm 

 

다음은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글 중에서, 이 글과 관련이 있는 부분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발췌 시작)
In the second part of the book (chap.40-55) the scene changes. In his prophetic vision Isaiah now sees Babylon, almost two centuries in the future, at a point when the exiled Jews are in need of consolation. The king, Cyrus the Great (555-528 B.C.), governor of Anzan, proclaimed himself king of Persia and Media around the year 549. His campaigns led him into Lydia, whose capital Sardis he took in 546, hence the panic referred to in Isaiah 41:5; he continued northward and eastward, conquering as he went, and reaching Babylon in 539.

 

이 책의 두 번째 부분(제40-55장)에서 장면은 바뀝니다. 자신의 예언적 시야로 이사야는 이제, 유배를 당한 유다인들이 위로의 필요에 있는 때인 한 시점에 있는, 거의 두 세기 미래에 있는, 바빌론(Babylon)을 봅니다. 안잔(Anzan)의 통치자인 키루스 대왕 (Cyrus the Great, 기원전 555-528년)은 기원전 549년경에 자기 자신을 페르시아(Persia)와 메디아(Media)의 임금으로 선포하였습니다. 그의 군사 행동들은 그를, 기원전 546년에 그 수도인 사르디스(Sardis)를 그가 차지하였던, 그 결과 그 공포가 이사야서 41,5에 언급되고 있는, 리디아(Lidia)로 내 보냈으며, 그리고, 그가 나아감에 따라 정복하면서, 그는 북쪽으로 및 동쪽으로 계속 나아갔으며, 그리하여 기원전 539년에 바빌론에까지 도달하였습니다. 

The following year Cyrus issued a proclamation authorizing Jews in exile to return to Palestine; he restored to them the sacred vessels which Nebuchadnezzar had taken and permitted them to rebuild the Temple.

 

그 다음 해에 키루스는 유배 상태에 있는 유다인들이 팔레스티나(Palestine)로 되돌아가는 것을 허락하는 한 개의 칙령을 내렸으며, 그리고 그는 [바빌론의 임금이었던] 네부카드네자르(Nebuchadnezzar)가 과거에 이미 탈취하였던 성스러운 그릇(the sacred vessels)들을 그들에게 되돌려주었으며 그리고 그들이 [예루살렘] 성전(Temple)을 재건하는 것을 허락하였습니다(2역대 36,22-23).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1. 이스라엘의 후손들의 역사에 있어, 나라(약속 i)와 왕조(약속 ii) 둘 다를 잃었던 시기는 남쪽 유다 왕국마저 파괴되었던 시기에 역사 안에서 기원전 586년에 실제로 발생하였는데, 설사 이런 일이 일어나더라도, 낙담하여, 나라의 회복과 왕조의 재건에 대한 희망(hope)을 버리지 말라는 하느님의 위로(consolation)가 바로 이사야서 40장-48장에서 예언자 이사야를 통한 하느님의 신탁(oracles)들로서 주어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나해 대림 제2주일 제1독서(이사야 40,1-5.9-11)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에 주어진 이사야서 40,1-55,13에 대한 입문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b_adv_2.htm <----- 필독 권고

 

[내용 추가 일자: 2021년 11월 30일]

특히,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해설에서, 이사야서에서, 이사야서 40,1-48,22이 "위로의 책"(Book of Consolation)이라고 통상적으로 불림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해설에서, 예레미야서에서, 예레미야서 30,1-33,26이 또한 "위로의 책"(Book of Consolation)이라고 통상적으로 불림을 알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18_tue.htm <----- 필독 권고
[이상, 2021년 11월 30일자 내용 추가 끝]

 

그리고, 아래의 << 부록 >> 에 발췌 된 "이사아서 입문" 중의 유관 부분 및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도 또한 참고하도록 하십시오:

참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50.htm [제목: 제1,2,3 이사야라고 하는데 대하여]

 

그런 후에, 이어지는 제3-2항에 안내해 드린 이사야서 40,25-31에 대한 해설을 읽도록 하십시오.

 

3-2. 매년 대림 제2주간 수요일 제1독서(이사야 40,25-31)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dv_2_wed.htm <----- 필독 권고

 

3-3. 그리고 매년 세례자 요한 탄생 대축일의 제1독서(이사야 49,1-6)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johnbap.htm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월 10일]

게시자 주 3-3: (번역 누락 한 개) 
다음은 이번 글의 작성을 위한 자료 조사 초기 단계에서 바로 알게 된 내용이며, 애초 이 글의 작성 과정에서 내용 안배 과정에서 우선 순위에 밀려 빠졌던 것인데, 일단 한 숨 돌리고 나서, 추가로 말씀드립니다:

 

그런데, "새 번역 성경" 이사야서 49,4ㄷ의 우리말 번역 표현에, 영어로 "with"에 대응하는 히브리어 단어

 

의 우리말 번역이 누락된, 번역 누락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발췌 시작)
그러나 내 권리는 나의 주님께 있고 내 보상은 나의 하느님께 있다.
(이상, 발췌 끝)

 

이사야서 49,4의 히브리어 어원들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biblehub.com/text/isaiah/49-4.htm <----- 꼭 클릭하여 확인하십시오

 

그리고 위에 발췌해 드린 "새 번역 성경" 이사야서 49,4ㄷ의 우리말 번역문과 다음의 주소에 있는 여러 영어 번역문들과 정밀하게 비교/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biblehub.com/isaiah/49-4.htm

 

이상, 살펴 본 바로부터, 이사야서 49,4ㄷ 은, 우리말로의 번역시에 또한 문장 구조의 보존까지 고려할 때에, 다음과 같이 번역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졸번역)
그러나 내 권리는 주님과 있고 내 보상은 나의 하느님과 있다.
(이상, 졸번역 끝).

 

예를 들어, 위의 졸번역문과 다음의 NAB 이사야 49,4 중의 대응하는 영어 번역문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old.usccb.org/nab/bible/isaiah/isaiah49.htm

(발췌 시작)
4 Though I thought I had toiled in vain, and for nothing, uselessly, spent my strength, Yet my reward is with the LORD, my recompense is with my God.
(이상, 게시자 주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3-4. 끝으로, 이사야서에 있는, 네 개의 "고통받는 종의 노래들"로 불리는 바들에 대한 안내는,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성 금요일 제1독서(이사야 52,13-53,12)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우리말 번역문 제공) 중의 번역자 주에 주어져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goodfri.htm <----- 꼭 필독 권고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현재까지 약7시간 (자료 조사 및 아래의 부록의 우리말 번역 포함)

 

====================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월 10일]

 

<< 부 록 >>

게시자 주: 우리말 번역은 필자가 한 것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intro_Isaiah_AF.htm 

 

O  l  d    T  e  s  t  a  m  e  n  t    G  u  i  d  e


 

Isaiah

이사야

 

By Antonio Fuentes 

 

Isaiah (Yesa yahu = Yahweh is salvation) i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and most important of the prophets. He was born around the year 700 B.C. and lived in Jerusalem. There is a good basis for thinking that he belonged to a distinguished priestly and perhaps noble family, judging from his education and culture and from his contacts with the court and nobility of the kingdom of Judah. He was married, with two children.

In the year 740, on the death of King Uzziah, he received his calling as a prophet in a vision in the Temple of Jerusalem as he himself describes:

"I saw the Lord sitting upon a throne, high and lifted up, and his train filled the temple. Above him stood the seraphim. . . . And one called to another and said: 'Holy, holy, holy is the Lord of hosts; the whole earth is full of his glory.' . . . And I said: 'Woe to me! For I am lost; for I am a man of unclean lips, and I dwell in the midst of a people of unclean lips; for my eyes have seen the King, the Lord of hosts!' Then flew one of the seraphim to me, having in his hand a burning coal which he had taken with tongs from the altar. And he touched my mouth, and said: 'Behold, this has touched your lips; your guilt is taken away, and your sin forgiven.' And I heard the voice of the Lord saying, 'Whom shall I send, and who will go for us?' Then I said, 'Here am I! Send me'" (Is. 6:1-8).

[Isaiah] was charged with proclaiming the downfall of Israel and of Judah in punishment for the unfaithfulness of the people and their failure to repent. In the second part of his book he goes on to announce the consecration of Israel which he describes in a prophetic vision of enormous importance.

The prophecies contained in the first part of the book refer to the period in which Isaiah himself lived. In the year 738 the political horizon of the Near East was overshadowed by the growing threat of the military strength of Assyria, which was ruled at the time by Tiglath- Pileser III (724727). The northern kingdom (Israel) had fallen to the Assyrians in 721, and Judah, in the south, had become a vassal of Assyria and was about to succumb politically and spiritually in the reign of Ahaz.

At this point the prophecy of the Emmanuel is recorded (Is. 7ff), the first announcement in this book of the coming of the Messiah, which will guarantee the continuity of the Davidic dynasty in line with the promise announced by Nathan (cf. 2 Sam. 7ff).

On the death of Ahaz, King Hezekiah fostered a religious revival in Judah, albeit a rather external and superficial one which did not deeply affect the lifestyle of his subjects. Influenced by the aristocratic party, Hezekiah sought an alliance with Egypt against Syria and soon had to pay the price of his overlord's revenge; but just when everything seemed lost and exactly in the way that Isaiah had foretold, Yahweh's miraculous intervention in favor of his people destroyed the army of the arrogant Sennacherib.

In the second part of the book (chap.40-55) the scene changes. In his prophetic vision Isaiah now sees Babylon, almost two centuries in the future, at a point when the exiled Jews are in need of consolation. The king, Cyrus the Great (555-528 B.C.), governor of Anzan, proclaimed himself king of Persia and Media around the year 549. His campaigns led him into Lydia, whose capital Sardis he took in 546, hence the panic referred to in Isaiah 41:5; he continued northward and eastward, conquering as he went, and reaching Babylon in 539. 

 

이 책의 두 번째 부분(제40-55장)에서 이 장면이 바뀝니다. 이사야는, 자신의 예언적 시야로, 이제, 유배를 당한 유다인들이 위로(consolation)의 필요에 있는 때인 한 시점에 있는, 거의 두 세기 미래에 있는, 바빌론(Babylon)을 봅니다. 안잔(Anzan)의 통치자인 키루스 대왕 (Cyrus the Great, 기원전 555-528년)은 기원전 549년경에 자기 자신을 페르시아(Persia)와 메디아(Media)의 임금으로 선포하였습니다. 그의 군사 행동들은 그를, 기원전 546년에 그 수도인 사르디스(Sardis)를 그가 차지하였던, 그 결과 그 공포가 이사야서 41,5에 언급되고 있는, 리디아(Lidia)로 내 보냈으며, 그리고, 그가 나아감에 따라 정복하면서, 그는 북쪽으로 및 동쪽으로 계속 나아갔으며, 그리하여 기원전 539년에 바빌론에까지 도달하였습니다. 

The following year Cyrus issued a proclamation authorizing Jews in exile to return to Palestine; he restored to them the sacred vessels which Nebuchadnezzar had taken and permitted them to rebuild the Temple.

뒤따르는 해에 키루스는 유배 상태에 있는 유다인들이 팔레스티나(Palestine)로 되돌아가는 것을 허락하는 한 개의 칙령을 내렸으며, 그리고 그는 [바빌론의 임금이었던] 네부카드네자르(Nebuchadnezzar)가 과거에 이미 탈취하였던 성스러운 그릇(the sacred vessels)들을 그들에게 되돌려주었으며 그리고 그들이 [예루살렘] 성전(Temple)을 재건하는 것을 허락하였습니다(2역대 36,22-23).

The third part (chap. 56-66) looks at the return of the Jews just at the point when they are taking steps to reform their lifestyle in keeping with the Covenant even though they are very exposed to foreign and idolatrous influences. By this stage the Jews apparently have an altar, although they have not yet begun to rebuild the Temple or the city walls.

 

세 번째 부분 (56-66장)은, 비록 유다인들이 이질적인 그리고 우상 숭배의 영향들에 몹시 노출되고 있기는 하나, 옛 계약과 일치하게 자신들의 생활 양식을 개혁하기 위하여 그들이 조치들을 취하고 있는 바로 그 시점에서, 유다인들의 귀환을 바라봅니다. 바로 이 국면(stage)에 이르면 유다인들은 외관상으로는, 비록 그들이 [예루살렘] 성전 혹은 이 도성의 성벽들을 재건하는 것을 아직 시작하지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 개의 제단(an altar)을 가지고 있습니다.

A book like this is not the kind of thing written all at one go: Different parts were written at different times over the fifty odd years of Isaiah's prophetic ministry.

 

이것과 같은 한 권의 책은 단숨에 모든 것이 저술되는 일의 종류가 아니며, 서로 다른 부분들은 이사야의 예언직무 오십 수년들에 걸쳐 서로 다른 시기들에 저술되었습니다.

When were those different parts brought together to make the book as we now know it? Is it possible to say that Isaiah was the human author of the entire book?

 

언제 이들 서로 다른 부분들이 지금 우리가 그것을 알고 있는 것과 같은 책을 만들기 위하여 합쳐졌는지요? 이사야가 전체 책의 인간 저자였다고 말하는 것이 가능합니까?

As far as the first question is concerned, three documents testify to the book having its present form between the third and second centuries B.C. These are the complete (Hebrew) text of Isaiah discovered in Qumran in 1947 (which scholars say goes back as early as the second century B.C.), which is endorsed by the Greek translations of the Septuagint and the praise of Isaiah made in the book of Sirach (48:24-25), referring to Isaiah 40:1; 51:3,12-19; 66:10-13.

 

첫 번째 질문이 관련된 한, 세 개의 문헌들이 이 책이 기원전 3세기와 2세기 사이에 그 현재의 형식을 가지게 되었음을 증명합니다.  이들은, 칠십인들의 그리스어 번역본들에 의하여, 그리고, 이사야서 40,1; 51,3.12-19; 66,10-13을 언급하는, 집회서 (48,24-25)에 마련되어 있는 이사야에 대한 칭찬에 의하여 뒷받침되는, 1947년에 쿰란(Qumran)에서 발견된 이사야서의 완전한 (히브리어) 본문을 말합니다.(*1)

 

-----
(*1) 번역자 주: 이에 대한 동영상 증언은 다음의 글의 참고 자료 2, (28:53 - 30:29 요약)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60.htm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28:53 - 30:29 요약) 자유주의자들이 이사야서의 저자를 이사야인 제1이사야와 바빌론 유배 이후의 제2이사야로 나누는데, 현재의 이사야서와 95%가 동일한 것으로 밝혀진 발견된 사해 문서들 속에 있던, 예수님보다 300년 이전의, 그리고 바빌론 유배 이전의 이사야서의 복사본인, 이사야서는, 요즈음의 신학원들에서 가르치고 있듯이 두 개의 두루마리가 아닌, 바빌론 유배 이전에 사용하였던 문자인 고대 히브리어로 기록된, 25피트 길이의, 한 개의 두루마리로 발견되었다고 함. 그리고 바로 이 이사야서의 여백들에 메시아에 대한 구절들에 붉은 점들로 표시가 되어 있기에, 예수님 오시기 300년 전에 이미 꿈란 공동체 구성원들이 메시아의 개념을 알고 있었다고 함.
(이상, 발췌 끝)
-----

As far as authorship is concerned, Jewish-Christian tradition has always recognized Isaiah as the human author of this entire book. However, some modern critics attribute chapters 40-66 to a prophet whose name is unknown and who lived in Babylon after the time of the exile, about a century and a half after Isaiah; but this theory is based on historical and sociological arguments - on the fact that the book refers to events occurring after Isaiah's lifetime, which in effect means questioning his prophetic abilities; and besides how could a prophet of this stature pass unnoticed in his own time?

 

저작권이 관련된 한, [1세기의 초기 교회 시절에] 유다인-그리스도인들의 전통( Jewish-Christian tradition)은 바로 이 전체 책의 인간 저자로서 이사야(Isaiah)를 항상 인정해 왔습니다.(*2) 그러나, 일부 현대 비판가들은 40-46장들을 그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그리고, 이사야보다 약 한 세기 반 이후인, 유배 이후의 시기에 바빌론(Babylon)에서 살았던, 어떤 예언자의 것이라고 생각하나, 그러나 이러한 이론은 역사적 및 사회학적 주장들에, 즉, 이 책이 이사야의 생애(lifetime) 후에 발생하는 사건들에 대하여 언급한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는데, 이것은 결과적으로 그의 예언자로서의 능력들을, 게다가 바로 이러한 수준의 한 개의 예언이 자신 고유의 시대에 어떻게 간과될 수 있었겠는지? 하면서, 의심함을 의미합니다.

 

-----

(*2) ‘유다인-그리스도인들’이란, ‘이방인-그리스도인들’과 대비되는 용어로서 1세기의 초기 교회 시절에 유다인들로 구성된 그리스도인들을 말한다.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e_Jewish-Christians_in_1st_century.htm

-----

The Pontifical Biblical Commission, in a reply of 28 June 1908 to a query on this subject, said that the arguments of the critics referred to were not strong enough to sustain the theory of there being a number of authors. However, some difficulties remain unresolved: for example, the fact that Cyrus is mentioned by name two centuries before he lived (this may be a matter of a later addition).

 

교황청 성경 위원회는, 바로 이러한 주제에 대한 1908년 6월 28일자 답변에서, 언급되고 있는 비판자들의 주장들은 몇 명의 저자들이 있다는 이론(theory)을 떠받칠(sustain) 만큼 강력하지 못하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일부 어려움들은 해결되지 못하고 남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키루스(Cyrus)가, 그가 살았기 두 세기들 전에, 이름에 의하여 말해지고 있다는 사실(이것은 한 개의, 이후의, 추가의 건일 수도 있습니다).


After the Psalms, Isaiah is the Old Testament book most quoted in the New Testament: 22 quotations and 13 references (six to the first part part of the book and seven to the second) and all referring to Isaiah by name. There are 66 chapters in all, and these are usually divided up in three sections.

1. The Book of the Judgments of God (chap. 1-37). This consists of oracular statements about Judah and Jerusalem (1-12), not in any apparent chronological order; within this part falls the "Book of Emmanuel" (chap. 7-12). Then come oracles against the nations (chap. 13-23), a series of apocalyptic prophecies; followed by the eschatological oracles (chap. 24-27), called the The Book of the Revelation of Israel, and the inauguration of the Kingdom of God, with the Six Woes (chap. 28- 33), and a series of warnings to those who oppose God's plans.

Finally there is the destruction of God's enemies (chap. 34-35) and a description of Sennacherib's invasion, his defeat, and the edict expelling the Jews.

2. The second part, called The Book of the Consolation of Israel (chap. 40-55), consists of oracles on liberation from Babylon (chap. 40-48) and others on messianic liberation (49-55). Of particular importance are the four poems of the Servant of Yahweh (42:1-7, 49:1-9, 50:4-11,52:13-53:12).

3. The third part (56-66) contains a series of prophecies which extend the Book of Consolation, although they also include a series of instructions to the returned exiles: This is the point at which they have to rebuild the Temple and restore its liturgy, all of this prefiguring the New Jerusalem, God's final calling of all the nations. The book closes with a hymn of thanksgiving for God's mercy, accepted readily by believers and rejected by unbelievers.

Chosen by God to be the spiritual guide of his people, Isaiah, like other prophets, receives as his main mission that of trying to get people to keep the Covenant made at Sinai, where they had committed themselves to adore Yahweh as the only true God and to keep his law.

Given Israel's proneness to unfaithfulness, Isaiah's assignment was by no means an easy one. But God continues to watch over his people, as he tells Isaiah when he gives him his vocation as a prophet. The vision Isaiah receives in the Temple will exercise a profound influence on his ministry.

Isaiah has an acute perception of the transcendence of God and a parallel sense of his own insignificance and unworthiness. Compared with the Holy One of Israel, as Isaiah likes to call God, man is stained by sin and unworthy to look upon God's infinite majesty.

The image of the Seraphim (described in chapter six when he gives the account of his vocation) who purifies his lips with a burning coal is meant to indicate on the one hand the infinite mercy of God, who comes to man's aid out of pure love offering him the hand of friendship, but it also expresses fallen man's absolute need for hope of salvation: Only through God's grace can man regain lost happiness. As the image of the burning coal shows, man's salvation is conditional on his recognizing his sins and shortcomings in all humility; only if he does this does the grace of forgiveness become effective.

It is interesting to note Isaiah's insistence that repentance is not merely an external, purely cultic or ritual exercise. He asks for more than that - purity of soul, sincerity of heart, strict fidelity to God's law;

without this even the greatest sacrifices count for nothing.

Isaiah is a man of faith. All his forcefulness comes from his complete and unconditional faith in Yahweh. He asks the people to have the same kind of faith: They need it, because their relationship with God is tired and superficial. Isaiah tries to convert people by example, and he warns them to listen to what he says because he is speaking God's word, which never lies - and not to listen to human arguments, even if they come from powerful people, because salvation can come from God alone.

Isaiah knows that this time the testing which Israel will undergo because of its infidelity will be long and difficult. Soon they will be uprooted and sent to Babylon, with all the pain and anguish it involves, but they must not lose faith, they must keep hoping for deliverance. He prophesies that a "remnant" will survive and from it the Messiah will emerge to be universal King and Lord: the announcement of Emmanuel (Is 7:14).

This prophecy of Emmanue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phecies in Isaiah and in the entire Old Testament. The sign which the prophet announces is first the imminent birth of a son to Ahaz, the future King Hezekiah; this guarantees the continuity of the Davidic dynasty which has held the key to Israel's hope ever since the prophecy of Nathan.

But because of the solemnity of the prophecy and the symbolism of the name (Emmanuel = God-withus) obviously here is something which goes beyond being a purely historical reference: It is a prediction of the birth of the future messianic king, Jesus Christ, the pinnacle of the Davidic dynasty and of Israel's hope.

The text expressly says that the Emmanuel will be born of a virgin; in this unique kind of birth the Church sees a prophetic reference to Mary's perpetual virginity, which was later to be the subject of a solemn definition. The Anointed (= the Christ) who will be born of the virgin is the "Wonderful counselor, mighty God, everlasting Father, Prince of Peace" (Is. 9:6).

These names applied to the child mean that the Anointed will possess to an eminent degree the outstanding virtues of those who went before him - the wisdom of Solomon ("Wonderful counselor"), the fortitude and valor of David ("mighty God"), the humility of Moses and all the virtues of the patriarchs, because he is "everlasting Father, Prince of Peace." But additionally the Messiah is the "Servant of Yahweh" (Is. 49) who gives his life to atone for the sins of men.

The final teaching in the second part of Isaiah is a dramatic account of how the very people whom the Servant of Yahweh comes to save are those who will rise up against him and heap opprobrium upon him:

"He was despised and rejected by men, a man of sorrows, and acquainted with grief, and as one from whom men hide their faces he was despised, and we esteemed him not.

Surely he has borne our griefs and carried our sorrows, yet we esteemed him stricken, smitten by God, and afflicted. But he was wounded for our transgressions, he was bruised for our' iniquities; upon him was the chastisement that made us whole, and with his stripes we are healed" (Is. 53:3-5).

It is impossible to argue against this prophecy referring to our Lord Jesus Christ. Even the most skeptical of exegetes is deeply moved by this passage, which forms the climax of Isaiah's prophecies about the Servant of Yahweh and which is very reminiscent of Psalm 22.

Paul says that this is "a secret and hidden wisdom of God, which God decreed before the ages for our glorification. None of the rulers of this age understood this, for if they had, they would not have crucified the Lord of glory" (1 Cor. 2:7-8).
 


Antonio Fuentes teaches Scripture at the University of Navarre in Spain. This continuing series is excerpted with permission from his Guide to the Bible, which is available from This Rock postpaid for $14.95. (California residents add $1.00 sales tax.)

 

[이상, 내용 추가 끝]. 

 



1,822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