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일흔일곱 번 - 마태오 18,22 숫자에 대하여 [성경용어_일흔일곱] [마소라본]

인쇄

. [122.128.43.*]

2010-06-23 ㅣ No.932

 
 
주신 질문:
 
지난 주일(2010년 6월 20일), 즉 남북통일 기원미사 복음말씀(마태 18: 21-22)중에 '일곱번이 아니라 일흔일곱번 까지라도' 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제가 교리를 받을 때는 ' 일곱번씩 일흔번 이라도 '  라고 성서에 기록됬습니다.
바뀐 이유와 배경 그리고 원전에는 어떤 의미인지를 알고 싶습니다.
자세한 가르침을 고대 합니다.
 
--------------------
 
답글:
 
+ 찬미 예수님
 
 
당부의 말씀: 성경 말씀에 대하여 가르치는 권한은 사제들께만 있기에, 평신자가 올려드리는 이 글은, 다른 분들을 가르치고자 마련된 것이 아니라, 함께 살펴 보고자 마련된 것입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께 약간의 도움이 되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1. 우선 마태오 복음서 18,22는, 가해 연중 제24주일 복음 말씀(마태오 복음서 18,21-35) 및 매년 사순 제3주간 화요일의 동일한 복음 말씀(마태오 복음서 18,21-35)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마태오 복음서 18,22에서, 형제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이 여러 성경들(주로 우리말 및 영어 성경들)에서 어떻게 번역이 되고 있는지를 먼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그런 다음에, 
(i) NAB 주석 및 
(ii) NAB 주석을 바탕으로 하여 성서 전공자들로 이루어진 국내의 가톨릭 사제 및 교우들께서 주석을 마련한 것으로 알고 있는, 성요셉출판사의 주석 성서(구약 상,하 및 신약)에 있는 주석을 또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또한 
(iii) 해당 표현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1. 공동번역 성서의 표현: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도
 
1-2. "성경"의 표현: 일흔일곱 번이라도
 
참고: 그리고 이 표현에 대한 "성경", 즉 "새 번역 성경"의 각주는 다음과 같습니다: 또는 '일흔 번씩 일곱 번이라도'             
 
 
1-3. 다음은 (가톨릭 및 개신교측) 영어 성경들 및 라틴어 불가테 성경에서의 해당 구절입니다.
 
참고: 단,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그리고 (발행된 1970년 이후로) 미사 중에 독서로 발췌하는 것이 교황청에 의하여 허락된 가톨릭용 영어 성경인, NAB(New American Bible) 성경의 해당 구절은, 내용 연결 관계로, 이어지는 2-1항에 그 주석과 함께 올려드립니다.
 
Mat 18:22
 
(CEV)  Jesus answered: Not just seven times, but seventy-seven times!
 
(DRB)  Jesus saith to him: I say not to thee, till seven times; but till seventy times seven times.
 
(ESV)  Jesus said to him, "I do not say to you seven times, but seventy times seven.
 
(GNB)  "No, not seven times," answered Jesus, "but seventy times seven,
 
(KJV-1611)  Iesus saith vnto him, I say not vnto thee, Untill seuen times: but, Untill seuentie times seuen.
 
(KJVA)  Jesus saith unto him, I say not unto thee, Until seven times: but, Until seventy times seven.
 
(KKJV)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내가 네게 이르노니, 일곱 번까지만 아니라 일흔 번씩 일곱 번까지라도 할지니라.
 
(Vulgate)  dicit illi Iesus non dico tibi usque septies sed usque septuagies septies
 
(WEB)  Jesus said to him, "I don't tell you until seven times, but, until seventy times seven.
 
 
(NIV) Jesus answered, "I tell you, not seven times, but seventy-seven times.a)
 
-----
a) Or seventy times seven.
-----

(RSV) Jesus said to him, "I do not say to you seven times, but seventy times seven.
 
참고: RSV(Revised Standard Version)은, "공동번역 성서" 처럼, NAB 성경이 마련되기 이전에, 개신교 및 가톨릭 성서 학자들이 함께 작업하여, 1611년에 출판된 King James Version 영어 성경의 고어 및 표현들을 현대어로 Update한 성경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RSV의 가톨릭 버전은 미사 중 독서로 발췌하여 사용하는 것은, NAB 성경이 1970년에 초판 출판되기 이전에. 허락되었습니다.
 
 
2.
 
2-1. 다음은 NAB의 해당 구절 및 그 주석입니다:
 
(NAB) Jesus answered, "I say to you, not seven times but seventy-seven times.
 
Seventy-seven times: the Greek corresponds exactly to the LXX of Genesis 4:24. There is probably an allusion, by contrast, to the limitless vengeance of Lamech in the Genesis text. In any case, what is demanded of the disciples is limitless forgiveness.
 
일곱 번씩 일흔 번(Seventy-seven times):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는 창세기 4,24의 칠십인 역 그리스어 성경(LXX)에 정확하게 일치한다(corresponds exactly). 아마도 이 창세기 본문에 있는 라멕(Lamech)의 제한이 없는 앙갚음(limitless vengence)으로의, 대조에 의한, 암시가 있을 것이다(엮은이 졸번역).
 
 
2-1-1. 다음은 NAB 창세기 4,24입니다:
 
(NAB 창세기 4,24) If Cain is avenged sevenfold, then Lamech seventy-sevenfold.
 
2-1-2. 그리고 다음은 "성경"의 창세기 4,24입니다:
 
(성경 창세기 4,24) 카인을 해친 자가 일곱 갑절로 앙갚음을 받는다면 라멕을 해친 자는 일흔일곱 갑절로 앙갚음을 받는다.
 
참고: 이 문장의 구조로 볼 때에, seventy-sevenfold는, 일흔일곱 갑절 혹은 일흔 번씩 일곱 번이 아니라, 일곱 갑절을 단위로 하여 일흔 번 앙갚음을 받는다, 즉, 공동번역 성서에서처럼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생각입니다.
 
 
2-2.
 
2-2-1. 다음은 NAB 주석을 바탕으로 하여 성서 전공자들로 이루어진 국내의 가톨릭 사제 및 교우들께서 주석을 마련한 것으로 알고 있는, 마태오 복음서 18,22에 대한 성요셉출판사의 주석 성서(구약 상,하 및 신약)의 주석입니다:
 
일곱 번씩 일흔 번: 그리스어 표현인 이 말은 70인역본의 창세기 4장 24절과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다. 창세기 본문에는 라멕의 끝없는 앙갚음에 대한 대조적인 암시가 있는 것 같다. 하여튼 제자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횟수에 제한없이 용서해 주는 것이다. "일흔 일곱 번까지도"라고 번역할 수도 있다.
 
2-2-2. 다음은 NAB 주석을 바탕으로 하여 성서 전공자들로 이루어진 국내의 가톨릭 사제 및 교우들께서 주석을 마련한 것으로 알고 있는, 창세기 4,24에 대한 성요셉출판사의 주석 성서(구약 상,하 및 신약)의 주석입니다:
 
창세기 4,23-24: <라멕의 노래> 이 부분에 삽입된 '라맥의 노래'는 원래 부족장들이 자기 부족들 앞에서 전투나 재난을 이겨낸 용맹을 자랑했던 노래였으리라고 생각된다. 이 노래는 적들에게는 두려운 마음을, 자기 부족에게는 새로운 용기와 일치를 촉진시키는 노래였을 것이다. 이러한 노래를 야훼계 전승 저자는 변화시켜 라멕이 부른 노래로 기록하고 있다. 이 노래는 에덴에서의 타락과 카인의 살인 이래로 점차 심각해지는 죄의 양상과 무질서한 삶의 모습을 부각시켜 주었다. 일흔일곱번 용서하라는 예수의 말씀인 마태 18장 22절과 대조된다.
 
 
3. 다음은 마태오 복음서 18,22에 대한 나바르 주석 성경의 해설입니다:
 
히브리어에 있어 일흔 곱하기 일곱(seventy times seven)이라는 숫자는 다음과 같이 '항상(always)'과 꼭 같은 의미를 가진다(창세기 4,24를 참조하라): "그러므로, 우리의 주님께서는 용서를 어떤 고정된 숫자로 제한하셨던 것이 아니고, 그것이 계속적이어야 하며 그리고 영원하여야 한다고 선포하셨다." [크리소스토모(Chrysostom), "Hom. 
on St Matthes", 6]. (엮은이 번역).
 
 
 
4. (결론) 이상 살펴 본 바로부터, 우리는 '일흔 일곱번'로 번역된 "성경"의 번역보다는 "일곱 번씩 일흔 번"으로 번역되었던 "공동번역 성서"의 번역이 더 나은 번역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5. 이제 남은 것은, 현재 살펴보고 있는, 창세기 4,24에 등장하는 숫자에 대한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표현 및 마태오 복음서 18,22에 등장하는 숫자에 대한 그리스어 표현을 살펴 보는 것인데, 이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5-1.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창세기 2,24에서:
seventy-sevenfold." ?????????? shiv·'im 7657 seventy (a card. number) from sheba
 
 
 5-2. 그리스어 성경의 마태오 복음서 18,22에서:
?βδομηκοντ?κις ebdom?kontakis 1441 ADV seventy times
?πτ? epta 2033 A-GPN seven
 
 
일흔 배의 일곱, 즉 일곱 번씩 일흔 번.
 
 
5-3. 비교/검토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들 숫자가 다름을 알 수 있는데, 여기로부터 우리는, 

(i) 기원후 9세기 혹은 10세기경에

(ii) 갈릴래아 호수 서쪽 해변에 위치한 티베리아스(Tiberias)에서

(iii) 유다교의 용도로, 마소라 학파로 불리는 유다인 학자들에 의하여, 

(iv) 그 때까지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히브리어 성경의 본문 아래 위에 모음 방점을 추가하고 또 편집하여 마련된,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창세기 2,24에서의 숫자가 변조되었을 수 있음을 쉽게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변조한 이유는, 마태오 복음서 18,22에서의 예수님의 말씀이, 유다인들의 성경의 일부분인, 구약 성경의 창세기 2,24의 기록과 의도적으로 무관하게 하고자 하기 위함이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실, 20세기 중반에 기원전 150년 - 기원후 68년 사이에 기록된 사해 문서의 발견 이후에, 기원 후 9-10세기에 유다교 용도로 편집된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본문 중에서 신약 성경 중의 예수님과 관련이 되어 있는 구절들 중의 상당 부분이, 기원전 3-2 세기에 히브리 성경으로부터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던 칠십인 역 그리스어 구약 성경 중의 해당 본문과 다름이 구체적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지적은, 구체적인 다른 예와 함께 또한 여기에 있으니, 클릭하여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글쓴이: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4시간
 


1,783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