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초자연적(초성), 과성(과자연적) 용어들의 정의 외 792_ 972_ [교리용어_사욕편정][은총][카리스마][조력은총][성화은총][과자연적선물] loss of integrity

인쇄

. [175.115.220.*]

2011-08-02 ㅣ No.1090

 
 
+ 찬미 예수님!

게시자 주:

[제안 한 개] 영어로 "supernatural gift"로 번역되는 표현을 "초자연적 선물"로 이미 국내 천주교측에서 번역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9항)

"초(超性)" "초자연(超自然)" 으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동등하게(equally),


"preternatural gift"
를, 비록 요즈음의 중국 천주교측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용어로 파악되고 있기는 하지만, "과자연적 선물"로 번역할 것을 제안합니다.

즉, "성(過性)" "자연(過自然)" 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상, 제안 끝).
-----
 
이 글에서는, 교황청 발 가톨릭 교회의 문헌들을 읽다 보면 자주 사용되고 있는 다음의 여러 신학적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을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i) "초자연적[超自然, supernatural, 초성적(超性)]", 이라는 형용사,
 
(ii) 또한 "과자연적[過自然, preternatural, 과성적(過自然的)]"이라는 형용사,

(iii) "초자연적/초성적 선물들(超自然的/超性的 선물들, supernatural gifts)",

(iv) "과자연적/과성적 선물들(過自然的/過性的 선물들, preternatural gifts)" 이라는 용어,

(v) "은총(grace)" 이라는 용어,

(vi) "성화 은총(santifying grace)" 이라는 용어,

(vii) "조력 은총(actual grace, 도움의 은총)" 이라는 용어, 그리고

(viii) "카리스마(charisma)" 라는 용어.

게시자 주: 이처럼, 가톨릭 보편 교회의 교도권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 신학적 용어일 경우에는, 엄격하게 그 용어의 정의(definition)가 이미 주어져 있다고 생각하면 무난할 것입니다.

1.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용어집"에 주어진 "supernatural[초자연적(超自然的), 초성적(超性)]"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며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catechism/text/glossary.shtml#s

(발췌 시작)
SUPERNATURAL: Surpassing the power of created beings; a result of God's gracious initiative. Our vocation to eternal life is supernatural (1998; cf. 1722).

초자연적/초성적(超自然的/超性的, SUPERNATURAL): '피조물(created beings)들의 힘을 능가하는' 을 말하며, 그리고 [이것은] 하느님의 자애로우신 주도(gracious initiative)의 결과입니다. 영원한 생명(eternal life)으로의 우리의 소명(vocation, 부름을 받음)은 초자연적입니다(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98항; 제1722항 참조).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피조물들, 즉 "창조된 있음(created beings)들" 중에는, 특히 하느님의 아들(sons of God)들로 불리는 천사(angels)들 등의, "영적 있음(spiritual beings)들"도 포함됨을 잊지 마십시오.

2.
2-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reternatural" 이라는 신학적 용어에 대한 설명이며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5762

PRETERNATURAL

That which is beyond the natural but is not strictly supernatural. It is preternatural either because natural forces are used by God to produce effects beyond their native capacity, or because above-human forces, angelic or demonic, are active in the world of space and time. (Etym. Latin praeter, beyond + natural, nature.)

과자연적/과성적(過自然的/過性的, PRETERNATURAL)

자연적인 것들을 넘어서 이나 그러나 엄밀하게 초자연적(supernatural)이 아닌 것을 말합니다.
그것은, 자연적 힘(natural forces)들이, 하느님에 의하여, 그들의 태생적 능력(native capacity)을 넘어서는 결과들을 산출하고자 사용됨, 혹은 천사적 혹은 악마적, 인간 위의, 힘들이 시공간으로 구성된 이 세상 안에서 활동하고 있음, 이들 둘 중의 하나 때문에, 과성적(과자연적)입니다. [어원. Latin praeter, beyond + natural, nature.]

게시자 주: 바로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reternatural"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제3항에 주어진 설명 중의 일부를 요약한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2-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reternatural gifts"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며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5763

PRETERNATURAL GIFTS

Favors granted by God above and beyond the powers or capacities of the nature that receives them but not beyond those of all created nature. Such gifts perfect nature but do not carry it beyond the limits of created nature. They include three great privileges to which human beings have no title--infused knowledge, absence of concupiscence, and bodily immortality. Adam and Eve possessed these gifts before the Fall.

과자연적 선물들/과성적 선물들(過自然的/過性的 선물들, PRETERNATURAL GIFTS)

자연(nature)의 힘들 혹은 능력들 위의 그리고 넘어서는 하느님에 의하여 허락되는 우의적 도움(favors)들을 말하는데, 자연은 창조된 자연 모두의 힘들 혹은 능력들을 넘어서지 않으면서 그들을 받아들입니다. 그러한 선물들은 자연을 완미하게 하나(perfect) 그러나 그것을 창조된 자연의 한계들을 넘어서까지 자연을 운반하지(carry) 못합니다. 이 선물들은, 그들에 대하여 인간이 아무런 권리(title)도 가지지 못하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커다란 특권들을 포함합니다: 주입된 지식(infused knowledge), 사욕편정(偏情)(*)의 부재(不在)[absence of concupiscence, 즉 사욕부재(慾不在, integrity)], 그리고 몸의 불사(不死) 상태(bodily immortality). 아담과 하와는 타락 이전에 이들 선물들을 소유하였습니다.

-----
[내용 추가 일자: 2012.12.17]
(*) 번역자 주: 현재까지 국내의 가톨릭계에서 사용중인, 영어로 "concupiscence" 로 번역되는 라틴어 단어 "concupiscentia" 의 번역 용어인 "慾偏情" 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이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제2-2-4항제2-2-5항반드시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5.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내용 추가 일자: 2023-01-26]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의 저자인 Hardon 신부님의 저술로부터 발췌한 바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archives/God/God_015.htm 
(발췌 시작)

St. Thomas distinguishes four injuries that were inflicted on human nature through the fall of Adam:(#)

 

성 토마스[즉,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담의 타락을 통하여 인성(human nature)에 가해진 네 개의 상해(傷害)들을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 The wound of ignorance [무지 라는 상처], in as much as reason has lost its facility for the knowledge of truth, especially in the religious and moral order. Hence revelation becomes a moral necessity to enable all men to know, with ease, firmness of certitude and without error, those moral and spiritual verities which are proportionate to the human mind.

  • The wound of malice,[악의 라는 상처], through which the will is deprived of its ready, inclination to good. Hence the need for fallen man to receive grace in order to keep the moral law for any great length of time.

  • The wound of weakness,[나약함 이라는 상처] which makes man weak in overcoming all the trials and difficulties incident to his pursuit of virtue. As a result he lacks the constancy and effectiveness demanded by the moral law.

  • The wound of concupiscence or loss of integrity in the control of the appetitive faculties [사욕/사욕편정 혹은 욕구 기능들의 통제에 있어 integrity의 상실이라는 상처], so that pleasant things are spontaneously desired (antecedent to the dictate of reason) and the unpleasant are instinctively shunned.

-----
(#) 출처: Summa Theologiae, Ia, IIae, q85, a3: 
https://isidore.co/aquinas/summa/FS/FS085.html#FSQ85A3THEP1 
-----

(이상, 발췌 끝)

 

따라서, "integrity"의 의미가 사욕편정(偏情)의 부재(不在)[absence of concupiscence, 즉, 사욕부재(慾不在)]로 정의됨(defined)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바로 아래의 제3항번역자 주를 또한 필독하라.

[이상, 2023년 1월 26일자 내용 추가 끝]

-----

게시자 주: 바로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reternatural gifts"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제3항에 주어진 영어본 가톨릭 대사전의 설명 중의 일부를 요약한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3. 다음은 영어본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supernatural gift(초자연적 선물)" 이라는 제목의 글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6553a.htm

(발췌 시작)
A supernatural gift may be defined as something conferred on nature that is above all the powers (vires) of created nature. When God created man, He was not content with bestowing upon him the essential endowments required by man's nature. He raised him to a higher state, adding certain gifts to which his nature had no claim. They comprise qualities and perfections, forces and energies, dignities and rights, destination to final objects, of which the essential constitution of man is not the principle; which are not required for the attainment of the final perfection of the natural order of man; and which can only be communicated by the free operation of God's goodness and power. Some of these are absolutely supernatural, i.e. beyond the reach of all created nature (even of the angels), and elevate the creature to a dignity and perfection natural to God alone; others are only relatively supernatural (preternatural), i.e. above human nature only and elevate human nature to that state of higher perfection which is natural to the angels. The original state of man comprised both of these, and when he fell he lost both. Christ has restored to us the absolutely supernatural gifts, but the preternatural gifts He has not restored.

초자연적 선물(a supernatural gift)은, 창조된 자연의 모든 힘(powers, vires)들 위에 있는, 자연에 수여되는 어떤 것으로 정의될(defined)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셨을 때에, 당신께서는 사람의 본성에 의하여 요구되는 본질적인 자연적 능력(essential endowments)들을 그 위에 부여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으셨습니다. 당신께서는, 그것들에 대하여 그의 본성이 어떠한 권리도 결코 가지지 못하는, 특정한 선물(certain gifts)들을 추가하심으로써, 그를 더 높은 지위에까지 들어올리셨습니다. 이 선물들은 특성(qualities)들과 완미(perfections)들, 힘(forces)들과 에너지(energies)들, 존엄(dignities)들과 권리(rights)들, 최종 대상들을 향하는 목적(destination to final objects)을 포함하는데comprises), 사람의 본질적 구성은 이들의 원리(principle)가 아니며, 그리고 이들은 사람의 자연적 질서에 대한 최종적 완미의 획득을 위하여 요구되지 않으며, 그리고 그리고 이들은 하느님의 선함과 힘의 자유로운 작동에 의하여 오로지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들 중의 일부는 절대적으로 초자연적(absolutely supernatural)[초자연적(超自然的), 초성적(超性的)]이며, 즉, 모든 창조된 (심지어 천사들의) 자연(본성)의 도달을 넘어서며, 그리고 하느님께만 자연적인 존엄과 완미로 피조물을 들어올리며(elevate), 그리고 다른 것들은 오로지 상대적으로 초자연적(relatively supernatural)[과자연적(過自然),과성적(過性)]입니다, 즉 오로지 인성(human nature)의 위에 있으며 그리고 천사들에 대하여 자연적인 더 높은 완미의 바로 그 상태에까지 인성을 들어올립니다. 사람의 원 상태(original state)는 이들 둘 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그리고 사람이 타락하였을 때에 그는 이들 둘 다를 잃었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절대적으로 초자연적인 선물[초성은혜(超性恩惠)]들을 우리에게 이미 회복시키셨으나, 그러나 당신께서는 과자연적인 선물[과성은혜(過性恩惠)]들을 회복시키지 않으셨습니다.

The absolutely supernatural gifts, which alone are the supernatural properly so called, are summed up in the divine adoption of man to be the son and heir of God. This expression, and the explanations given of it by the sacred writers, make it evident that the sonship is something far more than a relation founded upon the absence of sin; it is of a thoroughly intimate character, raising the creature from its naturally humble estate, and making it the object of a peculiar benevolence and complaisance on God's part, admitting it to filial love, and enabling it to become God's heir, i.e. a partaker of God's own beatitude. "God sent his Son . . . that he might redeem them who were under the law: that we might receive the adoption of sons (ten ouiothesian). And because you are sons, God hath sent the spirit of his son into your hearts, crying: Abba, Father. Therefore now he is (Gr. text: thou art) not a servant, but a son. And if a son, an heir also through God" (Galatians 4:4-7) "Who hath blessed us with [all] spiritual blessings in heavenly places, in Christ . . . Who hath predestinated unto the adoption of children (ouiothesian) through Jesus Christ unto himself" (Ephesians i, 3-5). "Behold what manner of charity the Father hath bestowed upon us, that we should be called, and should be the sons of God" (1 John 3:1). Further, this exalted estate is described as a communication or partnership with the only-begotten Son of God, a participation in the privileges which are peculiar to Him in opposition to mere creatures. "That they all may be one, as thou, Father in me, and I in thee, that they also may be one in us. . . . And the glory which thou hast given me, I have given to them; that they may be one, as we also are one: l in thee; and thou in me; that they may be made perfect in one" (John 17:21-23). It is also styled fellowship (koinonia) "with the Father, and with his Son" (1 John 1:3), and "the communication (he koinonia) of the Holy Ghost" (2 Corinthians 13:13). Divine adoption is a new birth of the soul (John 1:12-13 and 3:5; 1 John 3:9; 5:1; 1 Peter 1:3 and 1:23; James 1:18; Titus 3:5, Ephesians 2:5). This regeneration implies the foundation of a higher state of being and life, resulting from a special Divine influence, and admitting us to the dignity of sons of God. "For whom he foreknew, he also predestinated to be made conformable to the image of his Son; that he might be the firstborn amongst many brethren" (Romans 8:29). cf. also 2 Corinthians 3:18; Galatians 3:26-27 and 4:19; Romans 13:14. As a consequence of this Divine adoption and new birth we are made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theias koinonoi physeos, 2 Peter 1:4). The whole context of this passage and the passages already quoted show that this expression is to be taken as literally as possible not, indeed, as a generation from the substance of God, but as a communication of Divine life by the power of God, and a most intimate indwelling of His substance in the creature. Hence, too, the inheritance is not confined to natural goods. It embraces the possession and fruition of the good which is the natural inheritance of the Son of God, viz., the beatific vision. "We are now the sons of God; and it hath not yet appeared what we shall be. We know that, when he shall appear, we shall be like to him because we shall see him as he is" (1 John 3:2). "We see now through a glass in a dark manner; but then [in the beatific vision] face to face" (1 Corinthians 13:12). The Fathers have not hesitated to call supernatural union of the creature with God the deification of the creature. This is a favorite expression of St. Irenæus ("Adv. Haer.", III, xvii, xix; IV, xx, etc.), and is frequently used by St. Athanasius (see Newman, "St. Athanasius", II, 88). See also St. Augustine (? Serm. cxci, "In Nat. Dom."), quoted by St. Thomas (III:1:3).

그들만이 고유하게 그렇게 불리는 초자연적인 것들인, 절대적인 초자연적 선물(the absolutely supernatural gifts)들은 하느님의 아들(son) 및 상속자(heir)가 되도록 하는 사람의 신성적 입양(the divine adoption of man) 안에서 요약됩니다(are summed up). 바로 이 표현, 그리고 [성경의] 성스러운 저자들에 의하여 이 선물에 대하여 주어진 설명들은, 아들됨(sonship)이 죄의 부재(absence of sin)에 접하여(upon) 발견되는 어떤 관계보다 훨씬 더한 어떤 그 무엇임을 분명하게 하며, 그리고 이것은, 이 피조물을 그 자연스러운 겸손의 지위로부터 들어올려, 그리하여 하느님쪽에서는 어떤, 특이한, 선을 행하고자 하는 성향(benevolence) 및 응낙(compliance)의 대상으로 삼는, 그를 친자의 사랑으로 받아들여, 그리하여 그가 하느님의 상속자가 되는 것, 즉, 하느님 고유의 참행복에 참여하는 자가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enabling), 어떤, 전적으로 친밀한, 특성에 대한 것입니다. "그러나 때가 차자 하느님께서 당신의 아드님을 보내시어 ... 율법 아래 있는 이들을 속량하시어 우리가 하느님의 자녀 되는 자격을 얻게 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 (ten ouiothesian). 진정 여러분이 자녀이기 때문에 하느님께서 당신 아드님의 영을 우리 마음 안에 보내 주셨습니다. 그 영께서 “아빠! 아버지!” 하고 외치고 계십니다. 그러므로 그대는 더 이상 종이 아니라 자녀입니다. 그리고 자녀라면 하느님께서 세워 주신 상속자이기도 합니다." (갈라티아 4,4-7). "하느님께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의 온갖 영적인 복을 우리에게 내리셨습니다. ...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를 당신의 자녀(ouiothesian)로 삼으시기로 미리 정하셨습니다." (에페소 1,3-5).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얼마나 큰 사랑을 주시어 우리가 하느님의 자녀라 불리게 되었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과연 우리는 그분의 자녀입니다. 세상이 우리를 알지 못하는 까닭은 세상이 그분을 알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1요한 3,1). 더 나아가, 바로 이러한 고양된 정황(the exalted estate)은, 단순한 피조물들과 대비하여(in opposition to) 당신께만 특이하게 있는 특권들에의 어떤 참여인, 하느님의 독생자와의 어떤 친교(communication) 혹은 협력(partnership)으로서 묘사되고 있습니다.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아버지, 아버지께서 제 안에 계시고 제가 아버지 안에 있듯이, 그들도 우리 안에 있게 해 주십시오. ...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영광을 저도 그들에게 주었습니다. 우리가 하나인 것처럼 그들도 하나가 되게 하려는 것입니다. 저는 그들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는 제 안에 계십니다. 이는 그들이 완전히 하나가 되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버지께서 저를 보내시고, 또 저를 사랑하셨듯이 그들도 사랑하셨다는 것을 세상이 알게 하려는 것입니다." (요한 복음서 17,21-23). 이것은 또한 "아버지와 또 그 아드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와"(1요한 1,3)의 친교(fellowship), 그리고 "성령의 친교(he koinonia)"(2코린토 13,13)로 일컬어지고 있습니다. 신성적 입양(divine adoption)은 영혼의 새 탄생입니다 (요한 복음서 1,12-13 및 3,5; 1요한 3,9; 5,1; 1베드로 1,3 및 1,23; 야고보 1,18; 티토 3,5; 에페소 2,5). 바로 이 재생(regeneration)은, 어떤 특별한 신성적 영향(divine influence)에서 초래함으로써, 그리고 하느님의 아들(sons of God)들의 존엄(dignity)에까지 우리를 허락함으로써(admitting), 있음(being)과 생명(life)에 있어서의 더 높은 상태의 근거(foundation)를 뜻합니다. "하느님께서는 미리 뽑으신 이들을 당신의 아드님과 같은 모상이 되도록 미리 정하셨습니다. 그리하여 그 아드님께서 많은 형제 가운데 맏이가 되게 하셨습니다." (로마 8,29). 또한 2코린토 3,18; 갈라티아 3,26-27 그리고 4,19; 로마 13,14를 참조하십시오. 바로 이 신성저 입양(divine adoption)과 새 탄생의 결과로서 우리는 "신성적 본성에의 참여자들"(theias koinonoi physeos, 2베드로 1,4)로 만들어집니다. 바로 이 구절과 이미 인용된 구절들 전체의 문맥은 이러한 표현이, 정말로, 하느님의 본체(substance)로부터의 어떤 생성(generation)으로서가 아니라, 하느님의 힘에 의한 신성적 생명(divine life)의 어떤 나누어 줌(a communication)으로서, 그리하여 피조물 안에 당신의 본체의 어떤 최상의 친밀한 거주(indwelling)로서, 가능한 한 자구적으로(글자 그대로, literally)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또한, 이 상속은 자연적 재화(natural goods)들에 한정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하느님의 아드님(성자, the Son of God)의 자연적 상속(the natural inheritance), 즉 지복직관(the beatific vision)인, 바로 그 선(the good)의 소유 및 결실을 포함합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이제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우리가 어떻게 될지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분께서 나타나시면 우리도 그분처럼 되리라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분을 있는 그대로 뵙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1요한 3,2). "우리가 지금은 거울에 비친 모습처럼 어렴풋이 보지만 그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마주 볼 것입니다. 내가 지금은 부분적으로 알지만 그때에는 하느님께서 나를 온전히 아시듯 나도 온전히 알게 될 것입니다." (1코린토 13,12). 교부들은 하느님과 피조물의 초자연적 결합을 피조물의 신화(神化, deification)라고 부르는 것을 이미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성 이레네오(St. Ireaneus)가 선호하는 표현 한 개이며 ["Adv. Haer.", III, xvii, xix; IV, xx, etc.], 그리고 성 아타나시오(St. Athanasius)에 의하여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Newman, "St. Athanasius", II, 88을 보라]. 또한 성 토마스(St. Thomas)에 의하여 (신학 대전 III, 1, 3에서) 인용되고 있는,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Serm. cxci, "In Nat. Dom.")]를 또한 보십시오.
 

In order to live worthy of our Divine dignity and to attain our Divine end, we stand in need of supernatural aid. This supernatural aid to a supernatural end is called grace. For our present purpose it will be sufficient to note that grace is either habitual (i.e. sanctifying, making us pleasing to God) or actual (i.e. enabling us to produce works deserving of salvation). There are other aids sometimes bestowed less for our own benefit than for the benefit of others. These are called gratiae gratis datae (charismata). They do not directly and immediately help to the attainment of our end, but assist as it were from without. The theological virtues and the moral virtues are graces properly so called. So. too, are the gifts of the Holy Ghost (see HOLY GHOST).

우리의 신성적 존엄(our Divine dignity)에 대하여 충분한 가치를 가지는 삶을 살기 위하여 그리하여 우리의 신성적 최종 목표(Divine end)를 획득하기 위하여, 우리는 초자연적 도움이 필요한 상태에 있습니다. 어떤 초자연적 목표를 위한 이러한 초자연적 도움(supernatural aid)은 은총(grace)이라고 불립니다. 우리의 현재의 목적을 위하여 은총이 상존적(habitual) [즉, 하느님께 우리를 즐겁게 만드는, 성화적(santifying)])이거나 혹은 조력적(actual)[즉, 우리가 구함을 받을 만한 일(works)들을 산출하는 것을 허락하는] 둘 중의 하나임을 주목하는 것은 충분할 것입니다. 다른 이들의 혜택을 위함에 비교하여 때로는 우리 고유의 혜택을 위하여 덜 수여되는, 다른 도움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도움들은 gratiae gratis datae [카리스마(charismata)들] 이라고 볼립니다. 그들은 우리의 목표의 획득을 위한 직접적이고 그리고 즉시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말하자면 외부로부터 도웁니다. 신학적 덕(대신덕, the theological virtues)들과 윤리적 덕(대인덕, the moral virtues)들고유하게 그렇게 불리는 은총들입니다. 성령의 선물(the gifts of Holy Ghost)들도 또한 그러합니다 (Holy Ghost를 보라).

-----
번역자 주: 위의 문장 중에서 "은총(grace)" 이라는 신학적 용어의 정의(definition)"카리스마(charismata)" 라는 신학적 용어의 정의(definition)가 주어지고 있다.
-----

It may be well here to say a few words on the preternatural (relatively supernatural) gifts bestowed on our first parents, which are sometimes confused with the supernatural gifts properly so called. In the beginning God exempted man from the inherent weakness of his nature, i.e. the infirmities of the flesh and the consequent infirmities of the spirit. He made man immortal, impassible, free from concupiscence and ignorance, sinless, and lord of the earth. These privileges are beyond man's nature, but not beyond that of some higher creature (e.g. the angels); hence they are preternatural (praeter naturam). The Fathers look upon them as a glorification of nature, applying the words of Psalm 8:5-9. In point of fact these gifts were not conferred apart from the supernatural gifts; a preternatural state is, however, conceivable, and the separability of the two sets of gifts is clear from our now possessing the supernatural without the preternatural gifts. "Although distinct and separable, unite into one harmonious and organic whole. The Fathers look upon this union in the original state of man as an anticipation of his state of final beatitude in the vision of God, so that grace bears to integrity the same relation which the future glory of the soul bears to the future glory of the body. Integrity and grace, when combined, elevate man to the most perfect likeness with God attainable in this life; they dispose and prepare him for the still more complete likeness of eternal life".

우리의 첫 부모들에게 수여되었던, 때로는 고유하게 그렇게 불리는 초자연적 선물들과 때로는 혼돈되는 선물들인, 과자연적(過自然的)[과성적(過性), 상대적으로 초자연적인(relatively supernatural] 선물(gifts)들에 대하여 여기서 몇 마디를 말하는 것은 적절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한처음에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자신의 본성의 타고난 나약함(inherent weakness)으로부터, 즉, 몸(the flesh)의 허약함(infirmities)들과 영(spirit)에 있어서의 결과적인 허약함으로부터, 면제해 주셨습니다(exempted). 당신께서는 사람을 불사(不死, immortal)이게, 고통을 느끼지 않도록(impassible), 사욕편정(偏情, concupiscence)과 무지(ignorance)로부터 자유롭게, 죄없게(sinless), 그리고 이 땅의 주인(lord of the earth)으로 삼으셨습니다(made). 이들 특권들은 사람의 본성 넘어에 있으나, 그러나 일부 더 나은 피조물 (예를 들어, 천사들)의 본성 넘어에 있지 않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그들은 과자연적[過自然, 과성적(過性), preternatural, praeter naturam]입니다. 교부들은, 시편 8,5-9를 적용하여, 그들을 자연의 어떤 영광을 받음(a glorification of nature)으로서 어떤 특별한 방식으로 생각합니다(look upon). 실제로는 이들 선물들은 초자연적 선물들로부터 떨어져서 수여되지 않았으며, 그러나 과자연적(과성적) 상태는,그럼에도 불구하고, 생각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선물들의 집합들 두 개의 분리성(separability)은 과자연적(과성적) 선물(과성은혜)들 없이 우리가 지금 초자연적 선물들을 소유하고 있음으로부터 분명합니다. "비록 구분되고(distinct) 그리고 분리가능하지만(separable), 한 개의 조화로운 그리고 유기적인 전체로 일체가 되게 하십시오. 하느님에 대한 직관 안에 있는 최종적 지복(참행복)이라는 사람의 상태에 어떤 미리 참여함(an anticipation)으로서, 그리하여 그 결과 영혼의 미래의 영광(the future glory of the soul)몸의 미래의 영광(the future glory of the body)에 대하여 가지는 바로 이 동일한 관계를 은총손상되지 않은 혹은 훼손되지 않은 상태[integrity, 즉 사욕부재(慾不在)](*)에 대하여 가지도록 하는, 바로 그러한 결합을 교부들은 사람의 원 상태(the original state)에 있는 어떤 특별한 방식으로 생각합니다(look upon). 사욕편정(偏情)의 부재(不在)[absence of concupiscence, 즉 사욕부재(慾不在, integrity)]은총(grace)은, 결합될 때에, 이 세상의 삶에 있어 획득할 수 있는 하느님과의 가장 완미한 비슷함(perfect likenwss)을 향하여 사람을 들어올리며, 그리하여 이들은 해당자(him)로하여금 영원한 생명(eternal life)이라는 여전히 더 완전한 비슷함(complete likeness)을 위하여 기울어지게 하고 그리고 준비하게 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번역자 주: 영어로 "integrity" [사욕편정(私慾偏情)의 부재(不在), 즉, 사욕부재(私慾不在)]"로 번역되는 라틴어 용어 "integritas"가 "사람의 있음(being) 모두에 있어 손상되지 않은 그리고 잘 정렬되어 있는(well-ordered) 상태" 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은, Merriam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integrity" 단어의 설명과 다음에 발췌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 교리 교육 가르침에서의 "integrity"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따른 것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mw/u_d.htm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vatican/aud19860903en.htm 
(발췌 시작)
In this self-dominion and equilibrium he had the "integrity" (integritas) of existence, in the sense that man was intact and well-ordered in all his being.

이러한 자아-통제(self-dominion) 및 균형 안에서 그는, 사람이 자신의 있음(being) 모두에 있어 손상되지 않았으며(intact) 그리고 잘 정렬되어있었다(well-ordered)는 의미로, 존재에 있어서의 "integrity[사욕편정(偏情)의 부재(不在), absence of concupiscence, 즉 사욕부재(慾不在, integrity)]" (integritas)를 가졌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발 번역 끝).
-----

4. 
4-1.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용어집"에 주어진 "grace(은총)"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며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old.usccb.org/catechism/text/glossary.shtml#g
(발췌 시작)

GRACE: The free and undeserved gift that God gives us to respond to our vocation to become his adopted children. As sanctifying grace, God shares his divine life and friendship with us in a habitual gift, a stable and supernatural disposition that enables the soul to live with God, to act by his love. As actual grace, God gives us the help to conform our lives to his will. Sacramental grace and special graces (charisms, the grace of one's state of life) are gifts of the Holy Spirit to help us live out our Christian vocation (1996, 2000; cf. 654).

은총(GRACE): 당신의 입양된 자녀들이 되라는 우리의 소명(vocation 부름을 받음)에 [우리가] 화답하도록 하고자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제공하시는 무상의 그리고 마땅히 받을 만 하지 않은 선물(the free and undeserved gift)을 말합니다.(*) 성화 은총(sanctifying grace)으로서, 영혼이 하느님과 함께 살아가는 것을, 당신의 사랑(love)에 의하여 활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안정적이며 그리고 초자연적 성향(supernatural disposition)인, 당신의 신성한 생명과 우의(友誼)(divine life and friendship)를, 한 개의 상존적 선물(a habitual gift)로,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나누어 주십니다(shares). 조력 은총(actual grace, 도움의 은총)으로서, 우리의 삶들을 당신의 의지에 순응하도록(conform) 하는 도움을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제공하십니다(gives). 성사적 은총(sacramental graces)들특별한 은총들(자신의 신분에 기인하는 은총인, 카리스마들)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소명(vocation)을 실천하는 것을 도와주는, 성령의 선물(the gifts of the Holy Spirit)들입니다(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96, 2000항들; 제654항을 참조하라).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7월 5일]

-----

(*) 번역자 주: 이 첫 문장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96항의 두 번째 문장에 따라, "은총(grace)"의 정의(definition)로서 여기에 제시되어 있는데, 그러나 이 문장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96항의 두 번째 문장이 의미하는 바와 정확하게 동일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의 제2-3항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grace(은총)의_정의_1555.htm  <----- 꼭 필독 권고

-----

[이상, 내용 추가 끝]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4-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grace(은총)"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며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3791

GRACE

은총

In biblical language the condescension or benevolence (Greek charis) shown by God toward the human race; it is also the unmerited gift proceeding from this benevolent disposition. Grace, therefore, is a totally gratuitous gift on which man has absolutely no claim. Where on occasion the Scriptures speak of grace as pleasing charm or thanks for favors received, this is a derived and not primary use of the term.

성경 언어에 있어 인류를 향하여 하느님에 의하여 나타내어진 겸손(condescesion) 혹은 선을 행하고자 하는 성향(benevolence, 선의)(그리스어 charis)을 말하는데, 이것은 또한 바로 이 선을 행하고자 하는 성향(benevolent disposition)으로부터 나오는 무상의 선물(gift)을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은총(grace)은 사람이 그것에 대하여 전적으로 아무런 권리를 가지지 못하는 어떤, 전적으로 무상의, 선물(a totally gratuitous gift)입니다. 즐거움을 주는 매력(pleasing charm) 혹은 받게 된 우의적(友誼的) 도움(favors)들에 대한 감사(thanks)들로서 이따금(on occasion) 성경 본문이 은총을 말하는 장소에서, 이것은 어떤 파생된 사용이며 이 용어의 주된 사용이 아닙니다.

As the Church has come to explain the meaning of grace, it refers to something more than the gifts of nature, such as creation or the blessings of bodily health. Grace is the supernatural gift that God, of his free benevolence, bestows on rational creatures for their eternal salvation. The gifts of grace are essentially supernatural. They surpass the being, powers, and claims of created nature, namely sanctifying grace, the infused virtues,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and actual grace. They are the indispensable means necessary to reach the beatific vision. In a secondary sense, grace also includes such blessings as the miraculous gifts of prophecy or healing, or the preternatural gifts of freedom from concupiscence.

교회가 은총의 의미를 이미 설명해 왔듯이, 이것은, 창조물 혹은 신체적 건강에 대한 축복 등과 같은 자연의 선물(the gifts of nature)들보다 더한 어떤 것에 대한 언급입니다. 은총은 하느님께서, 당신의, 자유로운, 선을 행하고자 하는 성향(benevolence)에 기인하여, [사람들 및 천사들로 이루어진] 이성적 피조물(rational creatures)들에게 그들의 영원한 구원(eternal salvation)을 위하여 수여하는 바로 그 초자연적 선물(supernatural gift)을 말합니다.(*) 은총인 선물들(the gifts of grace)은 본질적으로 초자연적(supernatural) 입니다. 그들, 즉(namely) 성화 은총(sanctifying grace), 주부덕(하느님에 의하여 주입되는 덕들, the infused virtues)들, 성령의 선물들, 그리고 조력 은총(actual grace, 도움의 은총)은, 창조된 본성(created nature)의 있음(being), 힘들, 그리고 요구(claims)들을 능가합니다(surpass). 이 선물들은 지복직관(the beatific vision)에 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필수적인 수단(in dispensable means)들입니다. 두 번째 의미에 있어, 은총 예언 혹은 치유라는 기적적인 선물들과 같은 축복들, 혹은 사욕편정(偏情, concupiscence)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freedom)라는
과자연적/과성적(過自然的/過性的) 선물(preternatural gifts, 과성 은혜)들을 또한 포함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7월 14일]
-----
(*) 번역자 주: 바로 이 문장이 "은총(grace)"의 정의(definition)이다. 이 정의(definition)를 더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96항에 주어진 "은총(grace)"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의 제2-3항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
[이상, 내용 추가 끝]
 
The essence of grace, properly so called, is its gratuity, since no creature has a right to the beatific vision, and its finality or purpose is to lead one to eternal life. (Etym. Latin gratia, favor; a gift freely given.)

고유하게 그렇게 불리는, 은총의 본질은, 그 관대함(gratuity)에 있는데, 이는 어느 피조물도 지복직관에 대한 권리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며, 그리고 그 궁극성 혹은 목적은 우리를 영원한 생명으로 이끄는 데에 있습니다. [어원. Latin gratia, favor; a gift freely given.] 

게시자 주: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grace(은총)"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5. 
5-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anctifying grace(성화 은총)"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며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272
 
SANCTIFYING GRACE

The supernatural state of being infused by God, which permanently inheres in the soul. It is a vital principle of the supernatural life, as the rational soul is the vital principle of a human being's natural life. It is not a substance but a real quality that becomes part of the soul substance. Although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possession of the virtue of charity, sanctifying grace is yet distinct from this virtue. Charity, rather, belongs to the will, whereas sanctifying grace belongs to the whole soul, mind, will, and affections. It is called sanctifying grace because it makes holy those who possess the gift by giving them a participation in the divine life. It is zo? (life), which Christ taught that he has in common with the Father and which those who are in the state of grace share.

성화 은총(SANCTIFYING GRACE)

하느님에 의하여 주입된(infused), 영혼 안에 항구적으로 부여되어 있는, 있음(being)의 초자연적 상태/지위(supernatural state)를 말합니다. 이 은총은, 이성적 영혼(rational soul)이 인간의 자연적 생명의 절대 필요한 원리이듯이, 초자연적 생명(supernatural life)의 절대 필요한 원리입니다. 이것은 어떤 본체(substance)가 아니라 영혼 본체(the soul substance)의 한 부분이 되는 한 개의 실재하는 특성(a real quality)입니다. 비록 애덕(the virtue of charity)의 소유와 통상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나, 성화 은총은 여전히 이 덕과 구분됩니다. 오히려, 애덕은 의지에 속하나, 이와는 달리 성화 은총은 전체의 영혼, 마음(mind), 의지, 그리고 애착(affections)에 속합니다. 이 은총은 이것이 이 선물을 소유한 자들을, 신성적 생명(divine life)에의 참여를 그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거룩하게 하기 때문에 성화 은총이라고 불립니다. 이것은 그리스도께서, 당신께서 성부와 함께 공통으로 가지고 계시며 그리고 은총의 상태/지위에 있는 자들이 함께 공유한다고 가르치셨던, 바로 그 zo? [생명, life]을 말합니다.

게시자 주: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sanctifying grace(성화 은총)"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5-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ctual grace(조력 은총, 도움의 은총)"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며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1646

ACTUAL GRACE

Temporary supernatural intervention by God to enlighten the mind or strengthen the will to perform supernatural actions that lead to heaven. Actual grace is therefore a transient divine assistance to enable man to obtain, retain, or grow in supernatural grace and the life of God.

조력 은총(ACTUAL GRACE, 도움의 은총)

마음(the mind)을 교화하기 위하여 혹은 하늘에 이르게 하는 초자연적 행동(supernatural actions)들을 실행하는 의지(the will)를 강화하기 위하여 하느님에 의한 일시적인 초자연적 개입(temporary supernatural intervention)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조력 은총은 사람이 초자연적 은총과 하느님의 생명을 획득하거나, 계속 유지하거나, 혹은 이 은총과 이 생명 안에서 성장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어떤 일시적인 신성적 도움입니다.  

게시자 주:
(1) 굿뉴스 서버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조력 은총(도움의 은총)" 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2) 영어본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actual grace(조력 은총, 도움의 은총)" 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www.newadvent.org/cathen/06689x.htm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12시간.


1,80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