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자연법과 계시된 법(신성적 [실정]법)의 차이점에 대하여 [교리용어_자연법] [교리용어_계시된_] Decalogue 668_

인쇄

작성중입니다 [175.126.101.*]

2012-06-02 ㅣ No.1207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이 글에서는 "자연법(본성법, natural law)""계시된 법(revealed law)"의 차이점에 대하여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1-1.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유

십계명
이 자연법을 표현하고 있다(express)는 [따라서, 십계명이 자연법이라는], 루카 복음서 10,25-28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1-2.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유

자연법의 모든 규범들이 십계명에 포함되어 있다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가르침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9월 5일]

1-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의 저자인 Hardon 신부님의 십계명에 대한 설명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essentials/commandments/acc24.htm

(발췌 시작)

From the earliest days of the Church, the Ten Commandments held a central place in Christian instruction. According to St. Thomas Aquinas and St. Bonaventure, the Ten Commandments are really the Natural Law. The precepts of the Decalogue can be known by the light of reason without revelation. But God revealed them through Moses to the human race in order that everyone would know what the Creator requires of His creatures as a condition for attaining eternal life.

 

교회의 가장 초기의 날들부터, 십계명들은 그리스도교 가르침에 있어 한 개의 중심적 자리를 차지하였습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amas Aquinas)성 보나벤투라(St. Bonaventure)에 따르면, 십계명들은 실제로(really) 자연법(the Natural Law)입니다. 십계명의 규범들은 계시 없이 이성의 빛에 의하여 알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한 한 개의 조건으로서 모든 이가 창조주께서 당신의 피조물들에 대하여 요구하시는 바를 알도록 하기 위하여, 모세를 통하여 인류에게 이들을 계시하셨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2.

아래의 제2-3항에서 사용 중이고, 그리고 제2-4항에서 정의되고 있는 "계시된 법(revealed law)"정의(definition)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계시(revelation)"라는 신학적 번역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알아야 할 것입니다.

2-1. 여기를 클릭하면, <----- 또한 필독 권고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계시(revelation)"로 번역되는 신학적 번역 용어 대한 정의(definition)를 읽을 수 있습니다.

 

이 사전에 주어진 설명에 의하면, "계시(revelation)"에는 "[한처음에 창조에서 이미 주어진] 자연적 계시(natural revelation)[주: 통상적으로, "계시"라고 불리지 않고, "자연법(natural law)"이라고 불림]"와, "[창조 이후에, 하느님에 의하여 주어지는] 초자연적 계시(supernatural revelation)[주: 통상적으로 "계시(revelation)"라고 불림]"가 있으며, 그리고 "초자연적 계시"에는, 
(i) 예수 그리스도 이전에 예언자들에 의하여 전달되었던 계시들과, 

(ii) 하느님이시며 그리고 완미한(perfect) 사람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직접 말씀으로 전달되었던 계시,

이렇게 두 종류들이 있다고 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7월 29일]

2-2. 아래의 제2-3항에 주어진 "자연법"에 대한 설명 중에서 사용 중인 "영원한 법(the eternal law)"에 대한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e/e140.htm

(발췌 시작)

ETERNAL LAW

 

The plan of divine wisdom, insofar as it directs all the actions and events of the universe. It is, therefore, the unchangeable effective decree of God binding the whole of creation to the fulfillment of its purpose, and to the use of such means for attaining this purpose as are adapted to each nature.

 

영원한 법(eternal law, lex aeterna)

 

그것이 우주의 활동들과 사건들 모두를 지시하는(directs) 한, 신성적 지혜의 예형/계획[the plan of divine wisdom, ratio divinae sapientiae]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이 법은 피조물 전체를, 그 목적의 구현 쪽으로, 그리고 각 본성에 적합하게 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획득하기 위한 그러한 수단들의 사용 쪽으로, 묶는(binding) 하느님의 변할 수 없는 효력있는, 법의 힘을 가지는, 명령(decree)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7월 30일]

-----

(*) 번역자 주:

(1) 라틴어 "ratio"를 영어로 "plan"으로 번역한,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eternal law(영원한 법)"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93, a1에 주어진 정의(definition)를 따르고 있다: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93-97.htm#q93a1co

 

(2) 이 때에, 또한 다음의 라틴어 사전들 및 어원 사전에 주어진 "ratio" 의 설명을 참고하라:
http://www.archives.nd.edu/cgi-bin/words.exe?ratio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ratio&fromdoc=Perseus%3Atext%3A1999.04.0059

http://www.etymonline.com/index.php?term=ratio&allowed_in_frame=0 [어원 사전]

 

(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ratio"에 대한 설명이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r/r019.htm

(발췌 시작)

RATIO

 

The essence or nature of something intelligible to the mind. It is therefore the intelligibility of any essence. In ecclesiastical language it is the ground or reason or rationale of a thing, especially as pertaining to an organized body of knowledge, legislation, or method of performing an activity. Thus the Code of Canon Law has a fundamental ratio or set of principles on which it is based. (Etym. Latin ratio, reason; intelligence, mind, act of reasoning, knowledge, plan, motive, argumentation, account.)

 

계획/이유/근본적 원리(ratio)

 

마음(the mind) 쪽으로 지성에 의하여서만 이해할 수 있는(intellibible) 어떠한 사물의 본질(essence) 혹은 본성(nature)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임의의 본질(any essence)에 대한 이해할 수 있음(intelligibility)을 말합니다. 교회의 언어에 있어 이 단어는, 특히 지식(knowledge), 법률(legislation)의 한 유기체(an organized body)에, 혹은 한 활동을 수행하는 방식(method)에  적절한(relevant, appropriate)/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through-hold) 것으로서한 사물의 근거(ground) 혹은 이유(reason) 혹은 근본적 원리(rationale)를 말합니다. 따라서 교회 법전은 그 위에 이 법전이 근거하게 되는 한 근본적 이유(ratio) 혹은 원리들의 집합(set of principles)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원. Latin ratio, reason; intelligence, mind, act of reasoning, knowledge, plan, motive, argumentation, account.]

 

(4) 그런데 한편으로, 널리 공인된, 다음의 영어본 신학 대전, Ia IIae, q93, a1에서는 동일한 라틴어 "ratio"를 영어 "type"로 번역하고 있음에 주목하라:

http://www.newadvent.org/summa/2093.htm#article1 [영어본]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93-97.htm#q93a1co [라틴어 원본 및 영어본]

 

(5)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널리 공인된, 다음의 영어본 신학 대전, Ia IIae, q93, a3에서는 라틴어  표현 "ratio gubernationis" 를 "plan of government" 로 번역하고 있음에 또한 주목하라: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93-97.htm#q93a3co

 

(6) 따라서, 신학 대전의 영어본 번역자가, Ia IIae, q93 전체의 전후 문맥에 따라, 동일한 라틴어 단어 "ratio"를 영어로 (i) "type(ratio)" 혹은 (ii) "plan(ratio)"으로 번역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학 대전의 영어본 번역자가 전후 문맥에 따라 이렇게 구분하여 번역한 것을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는 존중하며, 따라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는 "type(ratio)""예형"으로 번역하였다.

 

(7) 이 번역자 주에서 지적하고 있는 바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다루는 글은, 예를 들어, 다음의 저서 [제목: A Treatise of Legal Philosophy and General Jurisprudence: Volume 1: The Law and the Right]에 있다[구글 검색 key words: "ratio" "type" "plan" "aquinas"]:
http://books.google.co.kr/books?id=lMyFcPWV0OsC&pg=PA319&lpg=PA319&dq=%22ratio%22+%22type%22+%22plan%22+%22aquinas%22&source=bl&ots=0_0Ab9zren&sig=Mea_F8_qmSiVX0_1RoqpRlRBK6I&hl=ko&sa=X&ei=vF_YU7-fI8Km8AXjhoDgCw&ved=0CBgQ6AEwAA#v=onepage&q=%22ratio%22%20%22type%22%20%22plan%22%20%22aquinas%22&f=false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2-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자연법(natural law)"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5060
(발췌 시작)
NATURAL LAW

 

자연법(본성법, Natural Law, lex naturalis) 

 

As distinct from revealed law, it is "nothing else than the rational creature's participation in the eternal law" (Summa Theologica, 1a 2ae, quest. 91, art. 2). As coming from God, the natural law is what God has produced in the world of creation; as coming to human beings, it is what they know (or can know) of what God has created.

 

[초자연적으로] 계시된 법(revealed law)으로부터 구분되는 것으로서, 이 법은 "영원한 법(the eternal law)에 이성적 피조물(rational creature, 즉, 이성(reason) 혹은 이해(력)[理解(力)](understanding)를 가진 피조물)(*)의 참여/함께 함(participation) 바로 이것"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91, a.2]을 말합니다.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것으로서 자연법(the natural law)은 하느님께서 피조물(creation)들의 세상 안에 이미 산출하셨던 바를 말하며, 그리고 인간들을 향하여 오는 것으로서 자연법은 하느님께서 이미 창조하셨던 바에 대하여 그들이 아는 (혹은 알 수 있는) 바를 말합니다.

-----
(*) 번역자 주:

(1) 여기서 "rational"은 "이성적"으로 번역되기도 하는데, 그러나 여기서 차용된 번역 표현 중에 사용된 "적(的: ‘그 성격을 띠는’, ‘그에 관계된’, ‘그 상태로 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표준국어대사전])" 이라는 접미사의 의미가, 번역된 문장의 전후 문맥 안에서, 무엇인지 애매 모호하다. 다음의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rational" 에 대한 설명에 의하면, 이 단어는 "이성(reason) 혹은 이해(력)[理解(力)](understanding)를 가진"으로 번역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rational

 

(2) 그리고 "이성적 피조물", 즉, "이성(reason) 혹은 이해(력)[理解(力)](understanding)를 가진 피조물들"에는, 사람(men)들 뿐만이 아니라, 영적 있음(spiritual beings)들인 천사(angels)들도 포함된다.
-----

 

It is therefore called natural law because everyone is subject to it from birth (natio), because it contains only those duties which are derivable from human nature itself, and because, absolutely speaking, its essentials can be grasped by the unaided light of human reason.

그러므로 이 법은 자연법(본성법, natural law)이라고 불리는데 왜냐하면 모든 이가 출생(birth, natio)에서부터 이 법의 지배를 받기(is subject to) 때문인데, 왜냐하면 이 법이 오로지, 인성(인간의 본성, human nature) 그 자체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바로 그 의무(duties)들만을 포함하기 때문이며, 그리고 왜냐하면, 절대적으로 말하여, 이 법의 본질적 요소들이 [다른 이의] 도움을 받지 않은(unaided) 인성(인간의 본성)의 빛에 의하여 붙잡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7월 23일]
(*)
번역자 주: 따라서, "십계명(the Decalogue, the Ten Commandments)"한처음에 창조에서 이미 주어졌고 그리고 그 전달 매체/매개자(transmitter or intermediary)가, 여기서 언급하고 있듯이, 사람의 인성(humanity of man)이라는 자연(nature)이기 때문에, "자연법(the natural law)"이라고 불린다(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55항, 제2070항).
[이상, 내용 추가 끝]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1월 26일]

게시자 주 2-2: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62항에서 발췌 인용하고 있는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의 가르침 전문입니다. 십계명자연법임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3s1c3a1.htm

(발췌 시작) 

God wrote on the tables of the Law what men did not read in their hearts.13
 
하느님께서 사람들이 자신들의 심장(hearts)들에서 읽지 못하였던 바를 
        율법의 돌판(the tables of the Law)들 위에 새기셨다.13)

 

-----
13 St. Augustine, En. in Ps. 57,1:PL 36,673.

13. 성 아우구스티노, 「시편 상해」 , 57, 1: CCL 39, 708(PL 36, 673).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2월 18일]

(3) 더 나아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56항, 제1958항, 그리고 제2070항에는, 자연법이 각 사람(man)의 심장(heart)에 새겨져 있다는 서술들이 명기되어 있다: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3s1c3a1.htm#1956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3s1c3a1.htm#1958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3s2.htm#2070

[이상, 2015년 2월 18일자 내용 추가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St. Paul recognizes the existence of a natural law when he describes the moral responsibility of those ancients who did not have the benefit of Mosaic revelation. "Pagans," he says, "who never heard of the Law but are led by reason to do what the Law commands, may not actually 'possess' the Law, but they can be said to 'be' the Law. They can point to the substance of the Law engraved on their hearts--they can call a witness, that is, their own conscience--they have accusation and defense, that is, their own inner mental dialogue" (Romans 2:14-15).

성 바오로(St. Paul), 그가 모세의 계시(Mosaic revelation)의 혜택을 가지지 못하였던 바로 그 고대인들의 윤리적 책임(the moral responsibility)을 말로 설명할(describes) 때에, 자연법(a natural law)의 존재(existence)를 인정합니다. 그는 "다른 민족들이 율법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본성에 따라 율법에서 요구하는 것을 실천하면, 율법을 가지고 있지 않은 그들이 자신들에게는 율법이 됩니다. 그들의 양심이 증언하고 그들의 엇갈리는 생각들이 서로 고발하기도 하고 변호하기도 하면서, 그들은 율법에서 요구하는 행위가 자기들의 마음에 쓰여 있음을 보여 줍니다" (로마 2,14-15)라고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3-1)
위의 설명에서 첫 번째 문장이 "자연법(the natural law)"정의(definition)인데, 바로 이 정의에서 "자연법(the natural law)""[초자연적으로] 계시된 법(the revealed law)"과 구분됨을 분명하게 언급하고 있습니다.

(2-3-2) 위의 출처/근거에 의하여, 가톨릭 교회 교도권이 말하는 "자연법"이란,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에서 정의하였던 바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음을 또한 알 수 있습니다.

(2-3-3) 그런데, 이 지적을 추가로 드리는 이유는, 불교 등에서처럼 유일신의 영원한 존재와 절대적인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타종교들 그리고 세속의 여러 학문 분야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연법"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가, 대부분의 경우들에 있어, 위에 주어진 바와 같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의(definition)동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2-4.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h/h170.htm

(발췌 시작)

HUMAN POSITIVE LAW

 

Legislation imposed by human authority, implementing the natural law. It may take one of two forms, declarative or specifying. Declarative positive laws simply declare in so many words what the natural law prescribes or draw conclusions deducible from the natural law. Such are laws forbidding murder, theft, or perjury. They differ from natural law only in the manner of promulgation, say the State, and not only by the natural light of reason. Specifying positive laws determine or establish specific ways of acting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law but not directly concluding from it. Such are traffic laws, ways of collecting taxes, and the conditions for just contracts. No human law that contradicts the natural law is a true law, but it need not merely re-echo the natural law.

 

인간의 법/인정법(人定法, human positive law)

 

자연법을 적용함으로써, 인간의 권위에 의하여 부과되는(imposed) 법률(legislation)을 말합니다. 이 법은 선언적이거나(declarative) 혹은 상술(詳述)적인(specifying)  두 개의 형식들 중의 한 개를 취할 것입니다. 선언적 인정법(Declarative positive laws)들은 자연법이 규정하는 바를 대단히 많은 단어들로 단체적으로(simply) 선언하거나 혹은 자연법으로부터 연역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결론(deductible conclusions)들을 도출합니다. 그러한 법[즉, 선언적인 인정법]들에는 살인, 도둑질, 혹은 위증을 금지하는 법들이 있습니다. 이 법들은 자연법과, 오로지 이성의 자연적 빛(natural light)에 의하여서가 아니라, 말하자면 국가(the State)라는, 공표(promulgation)의 방식에 있어 오로지 다릅니다. 상술(詳述)적인 인정법(Specifying positive laws)들은 자연법에 따라서(in accordance with) 행동함(acting)의 구체적인 방식들을 결정하거나(determine) 혹은 제정하나(establish) 그러나 그것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결론을 내리지 않습니다. 그러한 법[즉, 상술(詳述)적인 인정법]들에는 교통법들, 세금들을 징수하는 방식들, 그리고 정당한 계약들을 위한 조건들이 있습니다. 자연법에 모순적인 어떠한 인정법도 한 개의 참된 법이 아니며, 단지 그것이 자연법을 단순히 다시 반향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5.

2-5-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divine positive law(신성적 실정법, 신정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d/d245.htm

(발췌 시작)

DIVINE POSITIVE LAW. See REVEALED LAW.

 

신성적 실정법/신정법[divine positive law, 신정법(神定法)

 

계시된 법(revealed law)을 보십시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5-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초자연적으로] 계시된 법(revealed law)"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088

(발췌 시작)

REVEALED LAW

계시된 법(Revealed Law)/신성적 법[divine law, lex divina, 신법(神法), 신정법[神定法)]

Also called divine positive law, it is the sum total of all the prescriptions that God has communicated to the human race by way of supernatural revelation. It is, therefore, revealed law as distinct from the knowledge of God's will attainable by human reason alone.

신성적 실정법(實定法)(divine positive law)(*)이라고로도 또한 불리는데, 이 법은 하느님께서 초자연적 계시(supernatural revelation)의 방식으로 인류에게 이미 나누어 주셨던(has communicated) 규정들 모두의 총화(total sum)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이 법은, 오로지 인간의 이성(human reason)만에 의하여 [즉, 자연적으로(naturally)] 획득될 수 있는 하느님의 의지에 대한 지식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계시된 법(revealed law)을 말합니다.

 

-----

(*) 번역자 주:

(1) 다음의 신학 대전 Ia IIae, q91 의 요약문에 의하면, "신성적 실정법" 은 단순히 "신성적 법(divine law)" 라고 불린다. 따라서, "계시된 법(revealed law)" = "신성적 법(divine law)" 이다. 따라서 "신성적 실정법(divine positive law)" = "신성적 법(divine law)" 이다:
http://www3.nd.edu/~afreddos/courses/406/law.htm

 

(2) 다음의 동영상들을 또한 참고하라:
http://www.youtube.com/watch?v=J40YZ49oJQg
http://www.youtube.com/watch?v=FlQLgiWs_mw
http://www.youtube.com/watch?v=bWSfi51PVNM
http://www.youtube.com/watch?v=Rh1CMXaB8xg (1:43:30)

-----


Humankind needs a revealed law in addition to the divine natural law because the secondary precepts of the natural law can be obscured by evil passion, bad custom, and the allurement of sinful example. Another and higher reason why God revealed his will supernaturally is that he has elevated human nature to a higher than natural destiny. This heavenly destiny cannot be attained without the observance of correspondingly supernatural laws, which are in the character of divine graces with which human beings must co-operate in order to reach the beatific vision.

인류는 신성적 자연법(the divine natural law)[즉, 한처음에 창조에서 하느님에 의하여 이미 주어진 법]에 추가하여 [초자연적으로(supernaturally)] 계시된 법(a revealed law)을 필요로 하는데 왜냐하면 자연법의 제2차적 규범들은 악한(evil) 정(情, passions)들, 나쁜 관습, 그리고 죄 많은 예(example)의 유혹에 의하여 모호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왜 하느님께서 초자연적으로 당신의 의지를 드러내셨는지에 대한 또다른 그리고 더 높은 이유는 당신께서 인성을 본성적 운명(natural destiny)보다 더 높은 운명으로 이미 들어올리셨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하늘에 있는 운명(heavenly destiny), 지복직관(the beatific vision)에 도달하기 위하여 인간들이 그것들과 협력하여야만 하는 신성적 은총들의 특성으로서(in the character of divine graces) 존재하는, 상응하게 초자연적인 법(correspondingly supernatural laws)들의 준수 없이는 획득될 수 없습니다.

 

Three periods may be distinguished in the history of God's revealed will: from the dawn of creation to the time of Moses; the Mosiac period, which spans the whole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in New Testament time from the coming of Christ to the end of the apostolic age.

하느님에 의하여 계시된 의지의 역사(history)에 있어 세 개의 기간들이 다음과 같이 구분될 것입니다: 창조의 새벽부터 모세(Moses)의 시기까지, 그리고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 전체에 걸치는(spans) 모세 율법의 시기(the Mosaic period), 그리고 신약 성경의 시기에 있는 그리스도의 오심부터 사도들의 시기(the apostolic age)의 끝까지.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5:

(2-5-1) 위의 설명에서 첫 번째 문장이 "[초자연적으로(supernaturally)] 계시된 법(the revealed law)", 즉, "신성적 법[divine law, 신법(神法)]"정의(definition)입니다.

(2-5-2) 번역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국내에서는, 이 법을 "[초자연적으로(supernaturally)] 계시된 법(revealed law)" 혹은 "신성적 실정법(實定法)(Divine positive law)"이라고 부르는 대신에, "신정법[神定法, 신법(神法)]"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2-5-3) 이러한 또다른 호칭은, 영어로 "positive law"로 번역되고 그리고 통상적으로 우리말로 "실정법(實定法)"으로 번역되고 있는 이 표현이 가지고 있는 개념이, 이 법의 제정자(制定者)가 누구인가에 따라 그 권위(authority)가 동일하지 않기에, 하느님일 경우에는 "신정법[神定法, divine law,신법(神法)]"으로, 그리고 피조물인 사람일 경우에는 "인정법(人定法, human law)"으로, 분명하게 구분하여야 함을 고려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7월 23일]

(2-5-4) 즉 영어로 "positive law"로 번역되고 그리고 통상적으로 우리말로 "실정법(實定法)"으로 번역되고 있는 이 표현은 "natural law(자연법)" 아닌을 말하며, 여기에는 크게,
(i)  "그 제정자가 하느님이신, 따라서 초자연적으로 제정되는, 신정법(神定法, divine law, revealed law)"
(ii) "그 제정자가 피조물 사람인, 따라서 자연법(natural law)으로부터 이성적 추론에 의하여 제정되는, 인정법(人定法, human law)",
이렇게 두 종류로 구분됩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1월 12일]

(2-5-5) (중간 결론 1) 이상 고찰한 바로부터 우리는 "법(law)"이 크게,
(i) "영원한 법(eternal law)",

(ii) "형이하학적 자연 법칙(physical natural laws/principles)들"[주: 여기에 물리학, 화학, 생물학의 기본 법칙들이 포함되며, 그러나, 예를 들어, 정밀한 관찰에 필수적인 현미경 및 망원경 등의 관찰 장치들이 아직 고안되기 이전의 시기인 13세기 중반 경에 저술된 "신학 대전" 본문 중에서 다루어지지 못함.]

(iii) "자연법(natural law)", 즉, "성교(性敎)".

(iv) "인간의 법/인정법(human law, human positive law)", 그리고
(v) "신성적 법/신법/계시법/신정법(divine law, revealed law, divine positive law)",

 

이렇게 다섯 가지 종류들로 분류됨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분류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91, 법의 종류들 에 근거하고 있음은, 다음의 제3-1항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이상, 2014년 11월 12일자 내용 추가 끝]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7월 30일]

3.

3-1. 위의 제2항에 도입된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 모두는, 다음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91, 법의 종류들, 네 가지 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64.htm <----- 필독 권고


3-2. 예를 들어, 다음의 우리말 문헌들을 읽을 때에도, 위의 제2항제3-1항에 주어진 용들의 정의(definitions)들을 먼저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3-2-1. 굿뉴스 서버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법(法, jus, law)"에 대한 설명: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1122

 

3-2-2. 굿뉴스 서버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신법(神法, lex divina, divine law)"에 대한 설명: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dic_view.asp?ctxtIdNum=2092

 

3-2-3. 굿뉴스 서버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자연법(自然法, ius naturale, natural law)"에 대한 설명: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dic_view.asp?ctxtIdNum=2962

 

3-2-4. 교회법 해설로 바로가기 (정진석 주교/추기경)

작성 중입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10시간

 



1,789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