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신경/신조(creed) - 영어 가톨릭 대사전 [교리용어_신경] [교리용어_신앙고백] 1202_

인쇄

[175.115.221.*]

2012-06-25 ㅣ No.1218


게시자 주: 이 글은, 평소의 저의 글들에서처럼, 이 글의 게시자인 필자 개인의 개인적 견해/의견/주장을 말씀드리는 글이 아니라, 가톨릭 보편 교회가 전통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내용들을 담고 있는 대단히 신뢰할 수 있는 영문 자료들을 찾아, 여전히 그 벽이 높은 문화 장벽 혹은 언어 장벽 때문에, 오로지 국내의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그리고 내용 전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위하여, 필요시에는 게시자가 마련한 우리말로의 직역 번역문의 추가와 함께, 전달해 드리는 글입니다. 그리고 지금 말씀 드린 바는, 이 글 중에서 대단히 충실하게 제시되고 있는 출처/근거들을 확인하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이 글의 독자들께서,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신학적 특정 주제에 대하여, 자신 고유의 견해/의견/주장과 가톨릭 보편 교회의 가르침을 스스로 비교/검토하고 또 스스로 판단 할 수 있도록 제공해 드리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성 글이지, 이 글의 독자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마련된 글이 결코 아닙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

게시자 주: 혹시라도 아래의 우리말 번역문을 읽고서 처음으로 인지하게 된 바를 자신의 글 중에서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사용/인용할 경우에는, 그러한 자신의 글의 본문의 각주로서 다음과 같은 이 글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밝혀주실 것을 요구합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18.htm
-----



+ 찬미 예수님!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신경(creed)에 대한 설명 전문의 우리말 번역문입니다. 사도 신경의 유래를 이해하는 데에도 또한 도움이 될 것이기에, 우리말 번역을 하여 제공해 드리고자 마련되었습니다.

초벌 번역을 끝낸 상태에서 제공해 드리므로, 아래의 우리말 번역문들 중의 일부는 향후에 다듬어 질 수도 있습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4478a.htm

Creed

신경/신조

(Latin credo, I believe).

[라틴어 credo, 저는 믿습니다(I believe)].

In general, a form of belief. The word, however, as applied to religious belief has received a variety of meanings, two of which are specially important. (1) It signifies the entire body of beliefs held by the adherents of a given religion; and in this sense it is equivalent doctrine or to faith where the latter is used in its objective meaning. Such is its signification in expressions like "the conflict of creeds", "charitable works irrespective of creed", "the ethics of conformity of creed", etc. (2) In a somewhat narrower sense, a creed is a summary of the principal articles of faith professed by church or community of believers. Thus by the "creeds of Christendom" are understood those formulations of the Christian faith which at various times have been drawn up and accepted by one or the other of the Christian churches. The Latins designate the creed in this sense by the name symbolum which means either a sign (symbolon) or a collection (symbole). A creed, then, would be the distinctive mark of those who hold a given belief, or a formula made up of the principal articles of that belief. A "profession of faith" is enjoined by the Church on special occasions, as at the consecration of a bishop; while the phrase "confession of faith" is commonly applied to Protestant formularies, such as the "Augsburg Confession", the "Confession of Basle", etc.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role of Faith is not identical with creed, but, in its formal signification, means the norm or standard by which one ascertains what doctrines are to be believed.

일반적으로, 믿음(belief)의 한 형식을 말합니다. 그러나 이 단어는, 종교적 믿음(religious belief)에 적용됨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들을 이미 수용하였는데, 이들 중의 두 개가 특별히 중요합니다. (1) 이 단어는 어떤 주어진 종교의 신봉자들에 의하여 유지되는 믿음(belief)들로 이루어진 전체 본체(body)를 나타내며, 그리고 이러한 의미로 이것은 같은 뜻의 교리(equivalent doctrine)를 말하거나 혹은 믿음(faith)과 등가인데, 여기서 후자[즉, 믿음(faith)]는 그 객관적인 의미(its objective meaning)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1) 그러한 것이, "신경들의 충돌(the conflict of creeds)", "신경에 무관한 자선 사업들(charitable works irrespective of creed)", "신경의 준거에 있어서의 윤리성(the ethics of conformity of creed)", 등과 같은 표현들에 있어 그 어의(語義, signification))입니다. (2) 다소 더 좁은 의미에 있어, 신경은, 믿는 이들로 이루어진 교회 혹은 공동체에 의하여 고백되는, 주된, 믿음의 절(articles, 조항)들의 요약을 말합니다. 따라서 "그리스도교 사람들의 신경/신조들(creeds of Christendom)"이란, 다양한 시기들에, 그리스도교 교회(the Christian churches)들 중의 어느 한 교회(one or the other)에 의하여 이미 도출되어졌던 그리고 받아들여졌던, 바로 그러한 믿음의 정식화(formulations)들로 이해됩니다. 라틴 전례로 미사를 봉헌하는 교회의 구성원들(the Latins) 2)은 바로 이러한 의미로 이 신경/신조(the creed)신경(symbolum)이라는 이름으로 나타내는데 3), 이 이름은 어떤 표지(a sign)(symbolon) 혹은 어떤 모음(a collection) (symbole) 둘 중의 하나를 뜻합니다. 한 개의 신경/신조(a creed)는, 이러한 방식으로, 어떤 주어진 믿음을 유지하는 자들에 대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 표시(a distinctive mark)이거나, 혹은 바로 이 믿음의 주된 조항(articles, 절)들로 구성된 어떤 정식(a formula)을 말할 것입니다. "신앙 고백(a profession of faith)"은, 한 명의 주교의 서품(consecration)에서 처럼, 특별한 의식들을 맞이하여 교회에 의하여 명해지며(is enjoined), 이와는 달리, "신앙 고백(confession of faith)" 이라는 표현은, 예를 들어, "아우크스부르크 고백(Augsburg Confession)", "바젤의 고백(Confession of Basle)" 등에서 처럼, 프로테스탄트 의식서(儀式書, formularies)들에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주삼덕들 중의 하나인] 믿음의 역할(the role of Faith)은 신경/신조(creed)과 동일하지는 않으며, 그러나(but), 이 믿음의 형식적 어의(語義)(its formal signification)에 있어, 그것에 의하여 우리가 어떤 교리들이 믿어져야 하는지를 확인하는 규범 혹은 표준(the norm or standard)을 뜻함은 주목되어져야만 합니다. 

-----
(1) 번역자 주: "믿음(faith)"과 "믿음(belief)"의 차이점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다. 접속한 후에, 아래에서 위로, 게시글들의 번호순서대로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faith.htm

(2) 번역자 주: "the Latins"를 "라틴 전례로 미사를 봉헌하는 교회의 구성원들"로 번역한 것은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Latin" 이라는 단어에 대한 다음과 같은 설명을 따른 것이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mw/u_d.htm


(발췌 시작)
a member of that portion of the Christian church that employs the Latin rite in its services

자신들의 예배들에 있어 라틴 전례를 적용하는 그리스도교 교회의 바로 그러한 부분의 한 구성원을 말한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번역자 주: 예를 들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신학 대전(Summa Theologicca), II-II:1:9 에서는, "사도 신경/신조(Apostles' Creed)" 라는 용어 대신에 "사도들의 신경(the symbol of the Apostles)" 이 사용되고 있다. 이 신학 대전의 본문을 학습하고자 하는 자는,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있는 "신학 대전 여행(the tour of Summa)"의 해당 항을 먼저 학습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03.htm
-----
 

The principal creeds of the Catholic Church, The Apostles', Athanasian, and the Nicene, are treated in special articles which enter into the historical details and the content of each. The liturgical use of the Creed is also explained in a separate article. For the present purpose it is chiefly important to indicate the function of the creed in the life of religion and especially in the work of the Catholic Church. That the teachings of Christianity were to be cast in some definite form is evidently implied in the commission given the Apostles (Matthew 28:19-20). Since they were to teach all nations to observe whatsoever Christ had commanded, and since this teaching was to carry the weight of authority, not merely of opinion, it was necessary to formulate at last the essential doctrines. Such formulation was all the more needful because Christianity was destined for all men and for all ages. To preserve unity of belief itself was quite clearly stated. The creed, therefore, is fundamentally an authoritative declaration of the truths that are to be believed.

가톨릭 교회의 주된 신경들인 사도 신경/신조(the Apostles' Creed), 아타나시오 신경/신조(Athanasian Creed), 그리고 니케아 신경/신조(Nicene Creed)는, 역사적 세부 사항들과 각 신경의 내용을 다루는, [본 영어 가톨릭 대사전의] 전문 항목(special articles)들에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신경의 전례상의 사용은 또한 한 개의 전문 항목에서 설명되고 있습니다. 현재의 목적을 위하여 종교 생활에 있어 그리고 특히 가톨릭 교회의 행위 안에서 신경의 기능(function)을 지적하는 것이 주되게 중요합니다. 그리스도교의 가르침들이 어떤 구체적인 형식으로 주조되어야 하였던 것은 사도들에게 주어졌던 사명 (마태오 복음서 28,19-20) 안에 분명하게 암시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께서 이미 명령하셨던 무엇이든지간에 준수하도록 모든 나라들을 가르쳐야 하였기에, 그리고 이러한 가르침은, 단순히 견해에 기인하는 것이 아닌, 권위의 무게를 운반하여야 하였기에, 마침내 본질적인 교리들을 정식화하는 것은 필요하였습니다. 그러한 정식화는 더욱더 필요하였는데 왜냐하면 그리스도교는 모든 사람들 그리고 모든 세대들을 위하여 운명지어져 있었기 때문입니다. 믿음 그 자체의 단일성(unity)을 보존하는 것이 상당히 분명하게 언명되어졌습니다. 그러므로 신경은 믿게되어야만 하는 진리들에 대한 근본적인 한 개의 권위있는 선언입니다.

The Church, moreover, was organized as a visible society (see CHURCH). Its members were called on not only to hold fast the teaching they had received, but also to express their beliefs. As St. Paul says: "With her heart we believe unto justice; but, with the mouth, confession is made unto salvation" (Romans x, 10). Nor is the Apostle content with vague or indefinite statements; he insists that his followers shall "hold the form of sound words which thou hast heard of me in faith" (2 Timothy 1:13), "embracing that faithful word which is according to doctrine, that he (the bishop) may be able to exhort in sound doctrine and to convince the gainsayers (Titus i, 9). Hence we can understand that a profession of faith was required of those who were to be baptized, as in the case of the eunuch (Acts 8:37); in fact the baptismal formula prescribed by Christ himself is an expression of faith in the Blessed Trinity. Apart then from the question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the Apostles' Creed, it is clear that from the beginning, and even before the New Testament had been written, some doctrinal formula, however concise, would have been employed both to secure uniformity in teaching and to place beyond doubt the belief of those who were admitted into the Church.

더욱이, 교회는 한 개의 가시적인 사회(a visible society)로서 조직되었습니다 (CHURCH를 보라). 그 구성원들은 자신들이 이미 받았던 가르침을 굳게 유지되게 하여야 할 뿐만이 아니라, 또한 자신들의 믿음들을 표현하여야 한다고 요구되었습니다. 성 바오로(St Paul)가 다음과 같이 말하듯이: "곧 마음으로 믿어 의로움을 얻고, 입으로 고백하여 구원을 얻습니다" (로마 10,10). 또한 이 사도는 모호하거나 혹은 명확하지 않은 문장들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고, 그는 자신의 추종자들이 "나에게서 들은 건전한 말씀을 본보기로 삼으십시오 (hold the form of sound words which thou hast heard of me in faith)" (2티모테오 1,13), "가르침을 받은 대로 진정한 말씀을 굳게 지키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건전한 가르침으로 남을 격려할 수도 있고 반대자들을 꾸짖을 수도 있습니다 [embracing that faithful word which is according to doctrine, that he (the bishop) may be able to exhort in sound doctrine and to convince the gainsayers]" (티토 1,9) 하여야만 한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신앙 고백이, 내시의 경우에서 처럼 (사도행전 8,37)(*), 세례를 받게 될 자들에 대하여 요구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리고 사실상 그리스도 당신 자신에 의하여 규정된 세례 정식은 복되신 성삼위에 대한 믿음의 표현(an expression of faith)입니다. 그래서 사도 신경의 작성에 관련한 질문 이외에, 처음부터, 그리고 심지어 신약 성경이 이미 저술되기 이전부터, 어떤 교리적 정식(some doctrinal formula)이, 아무리 간결하다고 하더라도, 가르침에 있어서의 단일성(unity)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리고 교회로 입회가 허락되었던 자들의 믿음을 의심할 여지 없이 자리 잡아 주기 위하여(place) 이들 둘 다를 위하여, 이미 적용되어 왔을 것임은 분명합니다.

-----
(*) 번역자 주:
(i) 다음은 "성경" 본문에서 삭제된 사도행전 8,37 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이다:

(발췌 시작)
특히 2세기 이후의 서방 본문들에는('신약 성경 입문 3 참조) "'마음을 다하여 믿으시면 받을 수 있습니다' 하고 필리포스가 대답하자, '나는 예수님께서 하느님의 아드님이심을 믿습니다' 하고 그가 말하였다." 라는 37절이 있다. 이는 틀림없이 아주 오래된 세례 전례문을 반영하는 문구일 것이다 (9,20 각주 참조).
(이상, 발췌 끝).

(ii) 사도행전의 가장 오래된 그리고 최상의 사본들이 이 절, 즉 사도행전 8,37을 생략하고 있다는 설명이, 다음의 주소에 있는, NAB의 사도행전 8,37의 주석에 주어져 있다:
http://old.usccb.org/nab/bible/acts/acts8.htm
-----

Along with the diffusion of Christianity there sprang up in the course of time various heretical views regarding the doctrines of faith. It thus became necessary to define the truth of revelation more clearly. The creed, in consequence, underwent modification, not by the introduction of new doctrines, but by th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 belief in terms that left no room for error or misunderstanding. In this way the "Filioque" was added to the Nicene and the Tridentine Profession forth in full and definite statements the Catholic Faith on those points especially which the Reformers of the sixteenth century had assailed. At other times the circumstances required that special formulas should be drawn up in order to have the teaching of the Church explicitly stated and accepted; such was the profession of faith prescribed For the Greeks by Gregory XIII and that which Urban VIII and Benedict XIV prescribed for the Orientals(cf. Denzinger, Enchiridion). The creed therefore, is to be regarded not as a lifeless formula, but rather as a manifestation of the Church's vitality. As these formulas preserve intact the faith once delivered to the saints, they are also an effectual means of warding off the incessant attacks of error.

그리스도교의 확산과 함께 시간의 경과 안에서 믿음의 교리들에 관런한 다양한 이단적 견해들이 싹이 텄습니다. 따라서 계시 진리를 더 분명하게 정의할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신경은, 그 결과, 새로운 교리들을 도입함으로써 뿐만이 아니라, 또한 오류 혹은 오해의 어떠한 여지도 없는 용어들로 전통적 믿음을 표현함으로써, 수정을 겪었습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필리오퀘(Filioque)"는 니케아 신경에 추가되었으며 그리하여 삼위일체 고백(Tridentine Profession)은 충만하게 그리고 명확한 문장들로 특히 16세기의 개혁자들이 이미 맹렬히 공격하였던 바로 그러한 요지들에 대한 가톨릭 믿음을 [16세기보다 훨씬 이전인 447년에 레오 1세 대 교황에 의한 교황좌 유포(流布)(ex cathedra utterance)(성 대 레오, 교서 Quam Laudabiliter: DS 284 참조)를 거쳐 이미](*) 바깥으로 드러나게 하였습니다. 다른 시대들에서의 상황들은 교회의 가르침을 분명하게 서술되게 하고 그리고 받아들여지게 하기 위하여 특별한 정식들이 작성되어야만 하였는데, 그러한 것에는 교황 그레고리오 13세(Gregory XIII, 재위기간: 1572-1587년)에 의하여 그리스 정교회의 구성원(the Greeks)들을 위하여 규정되었던 신앙 고백이 있었으며 그리고 동방 교회의 구성원(the Orientals)들을 위하여 교황 우르바노 8세(Urban VIII, 재위 기간: 1623-1644년)와 교황 베네딕토 14세(Benedict XIV, 재위기간: 1740-1758년)에 의하여 규정되었던 신앙 고백이 있었습니다 (Denzinger, Enchiridion을 참조하라).(**) 그러므로, 신경은 어떤, 생명이 없는, 정식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교회의 생명력의 표명(manifestation)으로서 간주되어져야 합니다. 이러한 정식들이 일찍이(once) 성도(the saints)들에게 전달되었던 그 믿음을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보존하기에, 그들은 또한 오류에 의한 끊임없는 공격들을 물리치는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
(*)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47항 및 전후 항들"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c246.htm

(**) 번역 자 주: 이들 신앙 고백들은 다음의 주소들에 있다: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dl5.htm#ka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dmc.htm#k0
-----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remarked that the authoritative promulgation of a creed and its acceptance imply no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reason. The mind tends naturally to express itself and especially to utter its thought in the form of language. Such expression, again, results in greater clearness and a firmer possession of the mental content. Whoever, then, really believes in the truths of Christianity cannot consistently object to such manifestation of his belief as the use of the creed implies it is also obviously illogical to condemn this use on the ground that is makes religion simply an affair of repeating or subscribing empty formulas. The Church insists that the internal belief is the essential element, but this must find its outward expression. While the duty of believing rests on each individual, there are further obligations resulting from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Church. Not only is each member obliged to refrain from what would weaken the faith of his fellow-believers, he is also bound, so far as he is able, to uphold and quicken their belief, The profession of his faith as set forth in the creed is at once an object-lesson in loyalty and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bonds which unite the followers of Christ in "one Lord, one faith, one baptism".

다른 한편으로 한 개의 신경에 대한 권위있는 선포와 이 선포의 받아들임이 이성의 권리들에 대한 침해를 뜻하는 것은 아님이 말해져야만 합니다. 마음(the mind)은 본성적으로 스스로를 표현하고 그리고 특별히 언어의 형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발언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한 표현은, 또다시, 지성적 내용(the mental content)에 대한 더 분명함 그리고 더 확고한 소유로 귀착합니다. 그래서, 그리스도교 진리들을 실제로 믿는 자 누구든지 그러한 자신의 믿음(belief)의 표명(manifestation)에 대하여, 신경의 사용이 그 사용이 종교(religion)를 단순히 하찮은 정식(empty formulas)들을 반복하거나 혹은 서명하는 일로 만든다는 이유로 이러한 사용을 비난하는 것(to condemn)이 또한 명백하게 비논리적임을 의미하기에, 지속적으로 반대할 수 없습니다. 교회는 내면적 믿음(the internal belief)이 본질적인 요소이나, 그러나 바로 이 믿음은 그러한 믿음의, 밖으로 향하는, 표현을 찾아내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insists). 믿는 행위의 의무가 각 개인들에게 남아 있는 반면에, 교회의 사회적 조직에서 유래하는 그 이상의 의무들이 있습니다. 각 구성원은 자신의 동료 믿는 이들의 믿음(the faith)을 나약하게 할 수도 있는 바로부터 자제하도록 의무지워져 있을 뿐만이 아니라, 또한 그는, 그가 할 수 있는 한, 그들의 믿음(belief)을 고무하고(uphold) 그리고 활기 띠게 할(quicken) 의무가 주어져 있습니다(is bound to). 신경/신조(creed)에 진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자신의 신앙 고백(the profession of his faith)은 동시에(at onece) 충성에 대한 한 개의 객관적 교훈(an object-lession)이며 그리고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을 "한 분이신 주님, 하나의 믿음(one faith), 유일한 세례(one baptism)" 안으로 결합시키는 결속들을 굳세게 하는 수단입니다.

Such motives are plainly of no avail where the selection of his beliefs is left to the individual. He may, of course, adopt a series of articles or propositions and call it a creed; but it remains his private possession, and any attempt on this part to demonstrate its correctness can only result in disagreement. But the attempt itself would be inconsistent, since he must concede to every one else the same right in the matter of framing a creed. The final consequence must be, therefore, that faith is reduced to the level of views, opinions, or theories such as are entertained on purely scientific matters. Hence it is not easy to explain, on the basis of consistence, the action of the Protestant Reformers. Had the principle of private judgment been fully and strictly carried out, the formulation of creeds would have been unnecessary and, logically, impossible. The subsequent course of events has shown how little was to be accomplished by confession of faith, once the essential element of authority was rejected, From the inevitable multiplication of creeds has developed, in large measure, that demand for a "creedless Gospel" which contrasts so strongly with the claim that the Bible is the sole rule and the only source of faith. (See DOGMA, FAITH, PROTESTANTISM.)

그러한 동기(motives)들은 자신의 믿음에 대한 선택이 개인에게 남겨져 있는 곳에서는 명백하게 거의 쓸모가 없습니다. 그는, 당연히, 일련의 조항들 혹은 명제들을 채택하여 그것을 한 개의 신조(a creed)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나, 그러나 그것은 자신의 개인적 소유물로 남아 있으며, 그리하여 바로 그러한 면에 대하여 그 정확성을 입증하고자 하는 어떠한 시도도 오로지 불일치(inconsistence)를 초래할 뿐입니다. 단지 그러한 시도 차체가 일치하지 않을 것인데(inconsistent), 왜냐하면 모든 다른 이들에게도 한 개의 신경의 틀을 잡는 건에 대한 동일한 권리가 있음을 그가 인정하여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그 최종 결과는 믿음이, 순수하게 과학적 사안들에 있어 유지되고 있는 바와 같은 관점들, 견해들, 혹은 이론들의 수준으로 환원될 것임이 틀림없습니다. 따라서 일치(consistence)에 근거하여 프로테스탄트 개혁자들의 행동을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만약에 개인적 판단이라는 원칙이 충만하게 그리고 엄격하게 실천되어 왔었더라면, 신경들의 정식화는 불필요하였을 것이며 그리고, 논리적으로, 불가능하였을 것입니다. 일어난 일들에 대한 그 후의 과정은, 권위의 본질적 요소가 일단 과거에 거부되자마자, [프로테스탄트측의] 신앙 고백(confessionn of faith)에 의하여 성취될 것들이 얼마나 적었는지를 이미 보여주었습니다. 신조들의 부득이한(inevitable) 증가로부터, 성경이 믿음의 유일한 규정이며 그리고 유일한 원천이라는 주장과 대단히 강하게 대립되는, "신조를 가지지 않는 복음"(a "creedless Gospel")과 같은 바로 그러한 요구가, 커다란 크기로, 이미 전개되었습니다. [교의(DOGMA), 믿음(FAITH), 프로테스탄트주의(PROTESTANTISM)를 보라.]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11시간
 



1,75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