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정치화(政治化)란? [교리용어_정치화] [_윤리] [_해방신학] _831사회교리] 869_KH [하늘나라] _1484

인쇄

. [39.118.118.*]

2013-02-27 ㅣ No.1341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이번 글에서는 "정치화(政治化, politicization)"라는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에 대하여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런 다음에, 이 용어가 사용되었던,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특정 문헌에 있어서의 내용을 한 개의 구체적인 예(example)로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시자 주: 따라서, 이 글을 읽고나면, 어떠한 유형의 글들이 "정치화(政治化)를 시도하는 글들"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8월 15일]

우선적으로, 다음은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politicize"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politicize

(발췌 시작)
Main Entry: po·lit·i·cize
Pronunciation: \p?-?li-t?-?s?z\
Function: transitive verb
Inflected Forms: po·lit·i·cizedpo·lit·i·ciz·ing
Date: 1846
: to give a political tone or character to [... 에 어떤 정치적 색조 혹은 특성을 부여하다] politicize the civil service>
po·lit·i·ci·za·tion \-?li-t?-s?-?z?-sh?n\ noun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4월 15일]

이 글은, 여태까지 "정치화(政治化)" 로 번역이 되어 온, 그러나 상당히 실망스럽게도, 그 의미는 제대로 전달이 되지 못하였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politicization" 이라는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를 전달해드리는 글인데, 무슨 이유 때문인지는 아직까지 모르고 있지만, 번역되기 전의 원 용어의 의미가 여태까지 국내의 가톨릭계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였던 것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문헌들에서도 사용되어 온 용어이므로, 상당히 늦은 지금부터라도, 그 의미를 잘 알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1) 여기를 클릭하면,

굿뉴스 서버 제공의 DB, "info.catholic.or.kr"에서, "정치화" 라는 번역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찾을 수가 없음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그러나,
여기를 클릭하면,

"종교의 정치화 현상"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홈페이지 제공의 논문(제목: 그리스도교 신앙과 게르만 문화의 만남, 출처: 사목지 2002년 7월 282호)을 읽을 수 있습니다.

(3)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고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이 가르치는, "정치화(政治化)"가 결코 아닌, "정치화(政治化)"를 배격(排擊)하는(주: 아래의 제3항), "가톨릭 사회 교리(Catholic Social Doctrine)"에 대한 안내/전달의 글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현대 가톨릭 사전)에 주어진 "politicization" 이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첫 번째 문장이 이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 혹은 의미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therealpresence.org/dictionary/p/p276.htm

(발췌 시작)
POLITICIZATION

The act or method of changing a religious issue or institution to a political one. Essential to the process is the shift of the focus from faith commitment to self-interest, and the introduction of mechanisms of political contract into a covenant relationship with God.

정치적 색조 혹은 특성 부여/정치화(政治化, politicization)

어떤 종교적 사안(issue) 혹은 제도(institution)를 어떤 정치적인 것으로 바꾸는 행위 혹은 방법을 말합니다. 이 진행에 본질적인 요소(essential)는 믿음 헌신(faith commitment)으로부터 사욕(私慾, self-interest)으로 초점의 이동이며, 그리고 하느님과의 어떤 계약 관계(a covenant relationship) 안쪽으로 정치적 계약(political contract)의 방법들의 도입입니다.(*)
 
-----
(*) 번역자 주:
(1) "계약(covenant)""계약(contract)"의 커다란 차이점은 다음의 글의 제3항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93.htm <----- 필독 권유

(2)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용어 사전인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 및 이 용어 사전의 저자인 Hardon 신부님에 대한 안내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16.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3-1.
우선, 

여기를 클릭하면,

"politicization(정치화, 政治化)" 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문헌들의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2. 바로 위의 제3-1항의 검색에서 총 10개의 문헌들이 검색되며, 이들 중에서 "해방 신학(liberation theology)"에 대한 교황청 신앙 교리성의 최종 입장을 담은 훈령을, 구체적인 예(example)로서, 더 자세히 들여다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INSTRUCTION ON CERTAIN ASPECTS OF THE
"THEOLOGY OF LIBERATION"

"해방 신학"의 일부 측면에 대한 훈령
[게시자 주: 이후에 "자유의 전갈(LIBERTATIS NUNTIUS)"이라고 불림]
 
 

...

IX.
THE THEOLOGICAL APPLICATION OF THIS CORE

IX.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핵심의“신학적”수용

1. The positions here in question are often brought out explicitly in certain of the writings of "theologians of liberation." In others, they follow logically from their premises. In addition, they are presupposed in certain liturgical practices, as for example a "Eucharist" transformed into a celebration of the people in struggle, even though the persons who participate in these practices may not be fully conscious of it. We are facing, therefore, a real system, even if some hesitate to follow the logic to its conclusion. As such, this system is a perversion of the Christian message as God entrusted it to His Church. This message in its entirety finds itself then called into question by the "theologies of liberation."

1. 여기서 검토 중인 입장들은 자주 "해방의 신학자들(the theologians of liberation)"의 저술들 중의 어떤 것들에서 명백하게 나타내어져 있습니다. 다른 이들에게 있어, 그들은 그들의 전술한 말(premises)들로부터 논리적으로 뒤따릅니다. 그에 더하여, 예를 들어, 한 개의 "성체성사"(a "Eucharist")가, 비록 이러한 예배들에 참석하는 이들이 그것을 충분하게 의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하더라도, 투쟁 중에 있는 백성에 대한 한 개의 경축으로 변환되듯이, 이 입장들은 어떤 전례적 예배(certain liturgical practices)들에 있어  미리 추정됩니다(are presupposed). 그러므로 우리는 한 개의 실제 체계(a real system)에, 비록 어떤 이들이 이 체계의 결론을 향하는 논리를 뒤따르는 것을 망설인다고 하더라도, 직면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러한 것으로서, 이러한 체계는, 하느님께서 당신의 교회에 그것을 맡기셨던 것으로서, 그리스도의 메시지에 대한 어떤 왜곡(a perversion)입니다. 그래서 바로 이 메시지는 온전히 그대로 그 자체가 "해방의 신학들" (the "theologies of liberation")에 의하여 이의를 제기받게 됨을 발견합니다.


2. It is not the 'fact' of social stratification with all its inequity and injustice, but the 'theory' of class struggle as the fundamental law of history which has been accepted by these "theologies of liberation" as a principle. The conclusion is drawn that the class struggle thus understood divides the Church herself, and that in light of this struggle even ecclesial realities must be judged. The claim is even made that it would be maintaining an illusion with bad faith to propose that love in its universality can conquer what is the primary structural law of capitalism.

2. 역사의 근본 법칙으로서 이들 "해방의 신학들(theologies of liberation)"에 의하여 한 개의 원리로서(as a principle) 이미 받아들여진 것은, 그 불평등(inequity)과 불의(injustice) 모두를 가지고 있는 사회의 계층화(social stratification)라는 '사실(fact)'아니라계급 투쟁(class struggle)이라는 '주장(theory)'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해되는 계급 투쟁은, 교회 그 자체를 분열시킨다는, 그리하여 이러한 투쟁에 비추어 심지어 교회의 실재(ecclesial realities)들도 판단되어야만 한다는, 결론이 도출됩니다. 사랑(love)이 그 보편성에 있어 자본주의의 주된 구조적 법칙인 바를 극복할(conquer) 수 있다고 제안하는 것이 나쁜 믿음과 함께 있는 어떤 착각(an illusion)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 심지어 만들어집니다.


3. According to this conception, the class struggle is the driving force of history. History thus becomes a central notion. It will be affirmed that God Himself makes history. It will be added that there is only one history, one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the history of salvation and profane history is no longer necessary. To maintain the distinction would be to fall into "dualism". Affirmations such as this reflect historicist immanentism. Thus there is a tendency to identify the kingdom of God and its growth with the human liberation movement, and to make history itself the subject of its own development, as a process of the self-redemption of man by means of the class struggle. This identification is in opposition to the faith of the Church as it has been reaffirm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23]

3. 바로 이러한 개념화(conception)에 따르면, 계급 투쟁은 역사의 구동력(driving force)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역사는 한 개의 중심 개념(a central notion)이 됩니다. 하느님 몸소 역사를 만드심이 장차 확언될 것입니다. 그 안에 구원의 역사와 세속의 역사 사이에 구분이 더 이상 필요가 없는 역사인, 오로지 한 개의 역사(one history)만이 있음이 장차 추가될 것입니다. 이 구분을 유지하는 것은 "이원론(dualism)"으로 떨어지는 것일 것입니다. 이러한 것과 같은 확언들은 역사주의적 내재주의(historicist immanentism)을 반향합니다(reflect). 따라서, 계급 투쟁이라는 수단에 의하여 사람의 자기-속량(self-redemption)의 한 과정으로서, 역사 그 자체를 그 고유한 발전의 주체(the subject)로 삼고자 하는,  그리하여 하느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와 그 성장인간 해방 운동동일시하고자 하는, 어떤 경향(a tendency)이 거기에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동일시는, 그것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의하여 이미 재확언되었던 듯이, 교회의 믿음(faith)상반됩니다. [23]


4. Along these lines, some go so far as to identify God Himself with history and to define faith as "fidelity to history", which means adhering to a political policy which is suited to the growth of humanity, conceived as a purely temporal messianism.

4. 이들 방침을 따라서, 어떤 이들은 하느님 당신 자신을 역사와 동일시하고 그리고 믿음(faith, 신덕)을, 어떤 순전히 일시적인 메시아주의(messianism)로서 생각되는(conceived) 인간애의 성장(the growth of humanity)에 적합한 어떤 정치적 정책(a political policy)을 신봉하는 것을 의미하는,  "역사에 대한 충실(fidelity to history)"로서 정의하기(define)까지, 멀리 갑니다.


5. As a consequence, faith, hope, and charity are given a new content: they become "fidelity to history", "confidence in the future", and "option for the poor." This is tantamount to saying they have been emptied of their theological reality.

5. 그 결과, [향주 삼덕들인] 신덕(faith, 믿음), 망덕(hope, 희망), 그리고 애덕(charity, 사랑)에 다음과 같은 어떤 새로운 내용이 주어집니다: 그들은 "역사에 대한 충실(fidelity to history)", "미래에 대한 확신(confidence in the future)", 그리고 "가난한 이들을 위한 선택(option for the poor)." 이것은 그들이 이 덕들의 신학적 실체(theological reality)를 이미 비워버렸다고 말하는 것에 동등합니다(tantamount to).


6. A radical politicization of faith's affirmations and of theological judgments follows inevitably from this new conception. The question no longer has to do with simply drawing attention to the consequences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truths of faith, which are respected beforehand for their transcendent value. In this new system, every affirmation of faith or of theology is subordinated to a political criterion, which in turn depends on the class struggle, the driving force of history.

6. 믿음(faith)의 확언들의 그리고 신학적 판단들의 어떤 근본적 정치화(政治化)(a radical politicization)는 바로 이러한 새로운 개념화로부터 필연적으로 뒤따릅니다. 이 문제는, 그들의 초월적 가치들 때문에 사전에 존중받는, 믿음(faith)의 진리들의 결과들과 정치적 암시(political implications)들로 단순히 주의를 끄는 것과 이미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바로 이러한 새로운 체계(sytem) 안에서, 믿음에 대한, 혹은 신학에 대한 모든 확언은 어떤 정치적 기준(a political criterion)에 종속하게 되는데(is subordinated to), 이 기준은 교환으로(in return) 역사의 구동력인 계급 투쟁에 의존합니다(depends on).


7. As a result, participation in the class struggle is presented as a requirement of charity itself. The desire to love everyone here and now, despite his class, and to go out to meet him with the non-violent means of dialogue and persuasion, is denounced as counterproductive and opposed to love. If one holds that a person should not be the object of hate, it is claimed nevertheless that, if he belongs to the objective class of the rich, he is primarily a class enemy to be fought. Thus the universality of love of neighbor and brotherhood become an eschatological principle, which will only have meaning for the "new man", who arises out of the victorious revolution.

7. 그 결과, 계급 투쟁에의 참여는 애덕(charity, 사랑) 그 자체의 한 개의 요구(a requirement)로서 제시됩니다. 자신의 계급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그리고 지금 모든 이를 사랑하고자 하는, 그리하여 대화(dialogue)와 설득(persuation)이라는 비폭력적 수단들과 함께 그를 만나고자 하는, 욕망(desire)은 역효과적이고(counterproductive) 그리고 사랑(love)에 반대되는 것으로서 비난받습니다. 만약에 어떤 자가 한 인격(a person)이 증오의 대상이 되어서는 않된다고 주장한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에 한 인격이 주관적인, 부자들의 계급에 속한다면, 그는, 우선적으로, 투쟁하게 될 한 명의 계급적 원수(a class enemy)입니다. 따라서 이웃에 대한 사랑의 보편성(universality)과 형제됨(brotherhood)은 어떤 종말론적 원리(an eschatological principle)가 되는데, 이 원리는 오로지, 승리의 혁명(the victorious revolution)으로부터 일어나는(arises) 자인, "새 사람(new man)"을 나타내는 의미만을 가질 것입니다.


8. As far as the Church is concerned, this system would see her 'only' as a reality interior to history, herself subject to those laws which are supposed to govern the development of history in its immanence. The Church, the gift of God and mystery of faith, is emptied of any specific reality by this reductionism. At the same time, it is dispu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Christians who belong to opposing classes at the same Eucharistic Table still makes any sense.

8. 교회에 관한 한, 이러한 체계는 교회를 '오로지' 역사를 향하는 내면적(interior) 어떤 실체로서, 교회 자체가, 그 내재성(immanence) 안에서 역사의 발전을 지배하도록(govern) 기대되는 바로 그러한 법들에 종속되는 것으로서, 볼(see) 것입니다. 하느님의 선물이고 신앙의 신비(mystery of faith)인 교회는 바로 이러한 환원주의(reductionism)에 의하여 모든 구체적인 실체를 비움 당하게 될(be emptied) 것입니다. 동시에, 대립되는 계급(opposing classes)들에 속하는 그리스도인들의 동일한 성찬 식탁(the Eucharistic Table)에의 참여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이의가 제기됩니다


9. In its positive meaning the 'Church of the poor' signifies the preference given to the poor, without exclusion, whatever the form of their poverty, because they are preferred by God. The expression also refers to the Church of our time, as communion and institution and on the part of her members, becoming more fully conscious of the requirement of evangelical poverty.

9. 그 허락되는 의미(positive meaning) 안에서 '가난한 자들의 교회(Church of the poor)'는, 그들의 가난(poverty)의 형태가 무엇이든지간에, 배제 없이, 가난한 자들에게 주어지는 선호(preference)를 나타내는데, 왜냐하면 그들이 하느님에 의하여 선호되기 때문입니다. 이 표현은 또한, 하나 됨(communion, 통공, 친교)와 제도(institution)로서 그리고 교회의 구성원들의 일부에 대한, 복음적 가난/청빈(evangelical poverty)의 요구에 대하여 더 충만하게 의식하고 있는, 우리들의 시대의 교회에 대한 언급이기도 합니다.


10. But the "theologies of liberation", which reserve credit for restoring to a place of honor the great texts of the prophets and of the Gospel in defense of the poor, go on to a disastrous confusion between the 'poor' of the Scripture and the 'proletariat' of Marx. In this way they pervert the Christian meaning of the poor, and they transform the fight for the rights of the poor into a class fight within the ideological perspective of the class struggle. For them the 'Church of the poor' signifies the Church of the class which has become aware of the requirements of the revolutionary struggle as a step toward liberation and which celebrates this liberation in its liturgy.

10. 그러나, 가난한 자들의 옹호에 있어 예언들의 그리고 복음의 위대한 본문들을 영예의 어떤 자리로 회복시킴에 대한 인정(credit)을 유보하는, "해방의 신학들"은 성경 본문의 '가난한 자' 와 마르크스(Marx)의 '프롤레타리아(proletariat)' 사이에서 어떤 재앙적 혼동(a disastrous confusion)을 계속하여 말합니다(go on to).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그들은 가난한 자들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의미를 곡해하며(pervert), 그리고 그들은 가난한 자들의 권리들을 위한 싸음(fight)을, 계급 투쟁(class struggle)이라는 이념적 전망 (ideological perspective) 안쪽에 있는, 어떤 계급적 싸움(a class fight)으로 변형시킵니다(transform). 그들에게 있어 '가난한 자들의 교회'는, 해방을 향하는 한 단계로서 그리고 교회의 전례 안에서 바로 이러한 해방을 경축하는, 혁명적 투쟁의 요구들에 대하여 이미 알아차려버린, 계급의 교회(Church of the class)를 나타냅니다.


11. A further remark regarding the expression, 'Church of the People', will not be out of place here. From the pastoral point of view, this expression might mean the favored recipients of evangelization to whom, because of their condition, the Church extends her pastoral love first of all. One might also refer to the Church as people of God, that is, people of the New Covenant established in Christ. [24]

11. '백성의 교회(Church of the People, 즉 민중 교회)'라는 표현에 관한 한층 더한 비평(remark)은 여기서 부적당한 것이 아닐 것입니다. 사목적 관점에서, 이러한 표현은, 그들의 상태 때문에, 그들에게 교회가 무엇보다도 먼저 그녀의 사목적 사랑을 뻗치는(extends), 편애를 받고있는 복음화의 수혜자들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교회를 하느님의 백성으로서, 즉, 그리스도 안에서 제정된 새 계약의 백성으로서, 또한 언급할 수도 있습니다. [24]

12. But the "theologies of liberation" of which we are speaking, mean by 'Church of the People' a Church of the class, a Church of the oppressed people whom it is necessary to "conscientize" in the light of the organized struggle for freedom. For some, the people, thus understood, even become the object of faith.

12. 그러나 그들에 대하여 우리가 말하고 있는 "해방 신학들"은, '백성의 교회(민중 교회, Church of the People)' 라는 것이, 자유를 위한 유기적인 투쟁의 빛으로 "의식화하는(conscientize)" 것이 필요한 억압받는 백성의 교회인, 어떤 계급의 교회를 의미합니다, 일부들에 있어 그러한 방식으로 이해되는 이 백성은 심지어 신앙의 대상(the object of faith)이 됩니다.


13. Building on such a conception of the Church of the People, a critique of the very structures of the Church is developed. It is not simply the case of fraternal correction of pastors of the Church whose behavior does not reflect the evangelical spirit of service and is linked to old-fashioned signs of authority which scandalize the poor. It has to do with a challenge to the 'sacramental and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Church, which was willed by the Lord Himself. There is a denunciation of members of the hierarchy and the magisterium as objective representatives of the ruling class which has to be opposed. Theologically, this position means that ministers take their origin from the people who therefore designate ministers of their own choice in accord with the needs of their historic revolutionary mission.

13. 백성의 교회(민중 교회, Church of the People)라는 그러한 한 개의 개념화(a conception)에 의지하여(building on), 교회의 바로 그 구조들에 대한 어떤 비난이 전개됩니다. 그것은, 그들의 처신이 봉사(service)의 복음적 정신을 반향하지 못하는, 교회의 사목자들에 대한 형제애적 교정의 경우가 아니며 그리고, 가난한 자들을 걸려 넘어지게 하는(scandalize), 구식의 권위에 대한 표시(signs)들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주님 당신 자신에 의하여 의도되었던, 교회의 '성사적 그리고 교계 구조'에 대한 어떤 도전(a challenge)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교회 구조의 구성원들과 교도권을, 반대되어야만 하는, 지배 계급의 주관적인 대표자들로서 비난하는 것이 거기에 있습니다. 신학적으로, 바로 이러한 태도(position)는 사역자들이 자신들의 원천을 백성으로부터 취함음을 의미하는데, 그러므로 이 사역자들은, 그들의 역사적 혁명 사명의 필요들과 일치에 있는, 그들 고유의 선택의 사역자들을 나타냅니다.

...


XI
ORIENTATIONS


1. The warning against the serious deviations of some "theologies of liberation" must not be taken as some kind of approval, even indirect, of those who keep the poor in misery, who profit from that misery, who notice it while doing nothing about it, or who remain indifferent to it. The Church, guided by the Gospel of mercy and by the love for mankind, hears the cry for justice [28] and intends to respond to it with all her might.


2. Thus a great call goes out to all the Church: with boldness and courage, with far-sightedness and prudence, with zeal and strength of spirit, with a love for the poor which demands sacrifice, pastors will consider the response to this call a matter of the highest priority, as many already do.


3. All priests, religious, and lay people who hear this call for justice and who want to work for evangelization and the advancement of mankind, will do so in communion with their bishop and with the Church, each in accord with his or her own specific ecclesial vocation.


4. Aware of the ecclesial character of their vocation, theologians will collaborate loyally and with a spirit of dialogue with the Magisterium of the Church. They will be able to recognize in the Magisterium a gift of Christ to His Church [29] and will welcome its word and its directives with filial respect.


5. It is only when one begins with the task of evangelization understood in its entirety that the authentic requirements of human progress and liberation are appreciated. This liberation has as its indispensable pillars: 'the truth about Jesus the Savior'; 'the truth about the Church'; and 'the truth about man and his dignity'. [30] It is in light of the Beatitudes, and especially the Beatitude of the poor of heart, that the Church, which wants to be the Church of the poor throughout the world, intends to come to the aid of the noble struggle for truth and justice. She addresses each person, and for that reason, every person. She is the "universal Church. The Church of the Incarnation. She is not the Church of one class or another. And she speaks of the name of truth itself. This truth is realistic". It leads to a recognition "of every human reality, every injustice, every tension and every struggle." [31]


6. An effective defense of justice needs to be based on the truth of mankind,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called to the grace of divine sonship. The recognition of the true relationship of human beings to God constitutes the foundation of justice to the extent that it rul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That is why the fight for the rights of man, which the Church does not cease to affirm, constitutes the authentic fight for justice.


7. The truth of mankind requires that this battle be fought in ways consistent with human dignity. That is why the systematic and deliberate recourse to blind violence, no matter from which side it comes, must be condemned. [32] To put one's trust in violent means in the hope of restoring more justice is to become the victim of a fatal illusion: violence begets violence and degrades man. It mocks the dignity of man in the person of the victims and it debases that same dignity among those who practice it.


8. The acute need for radical reforms of the structures which conceal poverty and which are themselves forms of violence, should not let us lose sight of the fact that the source of injustice is in the hearts of men. Therefore it is only by making an appeal to the 'moral potential' of the person and to the constant need for interior conversion, that social change will be brought about which will be truly in the service of man. [33] For it will only be in the measure that they collaborate freely in these necessary changes through their own initiative and in solidarity, that people, awakened to a sense of their responsibility, will grow in humanity. The inversion of morality and structures is steeped in a materialist anthropology which is incompatible with the dignity of mankind.


9. It is therefore an equally fatal illusion to believe that these structures will of themselves give birth to a "new man" in the sense of the truth of man. The Christian cannot forget that it is only the Holy Spirit who has been given to us Who is the source of every true renewal and that God is the Lord of History.


10. By the same token, the overthrow by means of revolutionary violence of structures which generate violence is not ipso facto the beginning of a just regime. A major fact of our time ought to evoke the reflection of all those who would sincerely work for the true liberation of their brothers: millions of our own contemporaries legitimately yearn to recover those basic freedoms of which they were deprived by totalitarian and atheistic regimes which came to power by violent and revolutionary means, precisely in the name of the liberation of the people. This shame of our time cannot be ignored: while claiming to bring them freedom, these regimes keep whole nations in conditions of servitude which are unworthy of mankind. Those who, perhaps inadvertently, make themselves accomplices of similar enslavements betray the very poor they mean to help.


11. The class struggle as a road toward a classless society is a myth which slows reform and aggravates poverty and injustice. Those who allow themselves to be caught up in fascination with this myth should reflect on the bitter examples history has to offer about where it leads. They would then understand that we are not talking here about abandoning an effective means of struggle on behalf of the poor for an ideal which has no practical effects. On the contrary, we are talking about freeing oneself from a delusion in order to base oneself squarely on the Gospel and its power of realization.


12. One of the conditions for necessary theological correction is giving proper value to the 'social meaning of the Church'. This teaching is by no means closed. It is, on the contrary, open to all the new questions which are so numerous today. In this perspective, the contribution of theologians and other thinkers in all parts of the world to the reflection of the Church is indispensable today.


13. Likewise the experience of those who work directly for evangelization and for the advancement of the poor and the oppressed is necessary for the doctrinal and pastoral reflection of the Church.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affirm that one becomes more aware of certain aspects of truth by starting with 'praxis', if by that one means pastoral 'praxis' and social work which keeps its evangelical inspiration.


14. The teaching of the Church on social issues indicates the main lines of ethical orientation. But in order that it be able to guide action directly, the Church needs competent people from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viewpoint, as well as in the human and political sciences. Pastors should be attentive to the formation of persons of such capability who live the Gospel deeply. Lay persons, whose proper mission is to build society, are involved here to the highest degree.

 

14. 사회적 이슈들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은 윤리적 예비 교육(ethical orientation)의 주된 운곽(lines)들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이 가르침이 행위(action)를 직접적으로 인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회는, 인문 및 정치 과학에 있어 뿐만이 아니라, 어떤 과학적 및 기술적 관점에서 유능한 사람들을 필요로 합니다. 사목자들은, 복음을 깊히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그러한 능력을 지닌 인격(persons)들의 형성에 반드시 주의를 기울여야만 합니다.


15. The theses of the "theologies of liberation" are widely popularized under a simplified form, in formation sessions or in what are called "base groups" which lack the necessary catechetical and theological preparation as well as the capacity for discernment. Thus theses are accepted by generous men and women without any critical judgment being made.

 

15. "해방의 신학들"이라는 주제들은, 식별의 능력뿐만이 아니라 교리적 및 신학적 준비가 결여된, 형성 과정(formation sessions)들에서 혹은  "기초 집단들(base groups)"이라고 불리는 바에서, 어떤 단순화된 형식 아래에서, 널리 대중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관대한 사람들과 여자들에 의하여, 아무런 비판적 판단(critical judgment)이 내려짐 없이받아들여집니다.


16. That is why pastors must look after the quality and the content of catechesis and formation which should always present the 'whole message of salvation' and the imperatives of true liber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this whole message.

16. 바로 이것이 왜 사목자들이, '구원의 전체 메세지'를 그리고 바로 이 전체 메세지의 틀 안쪽에서 참된 해방의 필수적인 것들을 항상 제시하여야만 하는, 교리 교육(catechesis) 및 형성(formation)의 질(the quality)과 내용(the content)에 유의하여야만 하는 이유입니다.


17. In this full presentation of Christianity, it is proper to emphasize those essential aspects which the "theologies of liberation" especially tend to misunderstand or to eliminate, namely: God and true man; the sovereignty of grace; and the true nature of the means of salvation, especially of the Church and the sacraments. One should also keep in mind the true meaning of ethics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is not relativized, the real meaning of sin, the necessity for conversion, and the universality of the law of fraternal love. One needs to be on guard against the politicization of existence which, misunderstanding the entire meaning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transcendence of the person, begins to sacralize politics and betray the religion of the people in favor of the projects of the revolution.

17. 그리스도교에 대한 바로 이러한 충분한 제시 안에서, "해방의 신학들"이 특히 오해하는(misunderstand) 혹은 제거하는(eliminate) 경향이 있는 바로 그 본질적인 양상들을, 달리 말하여, 다음과 같은 것들을, 강조하는 것은 적절합니다(proper): 하느님과 참된 사람, 은총의 탁월성, 그리고 구원의 수단들의, 특히 교회와 성사들의, 참된 본성. 우리는, 그 안에서 선(good)과 악(evil) 사이에 있는 구분이 상대적으로 쥐급되지 않는 윤리(ethics)의 참된 의미를(*), 죄(sin)의 실제 의미를(**), 회심(conversion)(***)의 필요성을, 그리고 형제적 사랑(fratarnal love)의 법의 보편성을, 또한 마음 안에 간직하여야만 합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의 전체 의미와 위격(the person)의 초월성을 오해함으로써,  이 혁명(the revolution)의 과제들을 선호하여 정치신성하게/거룩하게 다루기(sacralize) 시작하는 그리하여 이 백성의 경신덕(the religion of the people)을 배반하는, 존재의 정치화(the politicization of existence)에 대하여 경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윤리"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의 제3-1항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84.htm

(**) 번역자 주: "죄"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41.htm

(***) 번역자 주: "회심"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의 제3-3항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4.htm
-----

18. The defenders of orthodoxy are sometimes accused of passivity, indulgence, or culpable complicity regarding the intolerable situations of injustice and the political regimes which prolong them. Spiritual conversion, the intensity of the love of God and neighbor, zeal for justice and peace, the Gospel meaning of the poor and of poverty, are required of everyone, and especially of pastors and those in positions of responsibility. The concern for the purity of the faith demands giving the answer of effective witness in the service of one's neighbor, the poor and the oppressed in particular, in an integral theological fashion. By the witness of their dynamic and constructive power to love, Christians will thus lay the foundations of this "civilization of love" of which the Conference of Puebla spoke, following Paul VI. [34] Moreover there are already many priests, religious, and lay people who are consecrated in a truly evangelical way for the creation of a just society.


CONCLUSION
결론


The words of Paul VI in his "Profession of Faith", express with full clarity the faith of the Church, from which one cannot deviate without provoking, besides spiritual disaser, new miseries and new types of slavery. "We profess our faith that the Kingdom of God, begun here below in the Church of Christ, is not of this world, whose form is passing away, and that its own growth cannot be confused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of science, and of human technology, but that it consists in knowing ever more deeply the unfathomable riches of Christ, to hope ever more strongly in things eternal, to respond ever more ardently to the love of God, to spread ever more widely grace and holiness among men. But it is this very same love which makes the Church constantly concerned for the true temporal good of mankind as well. Never ceasing to recall to her children that they have no lasting dwelling here on earth, she urges them also to contribute, each according to his own vocation and means, to the welfare of their earthly city, to promote justice, peace and brotherhood among men, to lavish their assistance on their brothers, especially on the poor and the most dispirited. The intense concern of the Church, the bride of Christ, for the needs of mankind, their joys and their hopes, their pains and their struggles, is nothing other than the graet desire to be present to them in order to enlighten them with the light of Christ, and join them all to Him, their only Savior. It can never mean that the Church is conforming to the things of this world, nor that she is lessening the earnestness with which she awaits her Lord and the eternal Kingdom." [35]

비오 6세 교황님의, 당신의 "신앙 고백 [제27항]"(*)에 있는, 말씀들은 충분한 명쾌함과 함께 교회의 믿음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는데, 이 고백으로부터, 영적인 재앙 외에도, 새로운 불행들과 노예 상태의 새로운 형태들을 야기함 없이, 누구도 벗어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여기 아래에서(즉, 지상에서) 그리스도의 교회 안에 시작된, 하느님의 나라가, 그 형태가 사라지고 있는 중인, 이 세상에 대한 것이 아님이라는 우리의 믿음을, 그리고 이 나라 고유의 성장이, 문화의, 과학의, 그리고 인간 기술의, 진보와 혼동될 수 없다는 우리의 믿음을, 오로지(but) 이 나라가, 영원한 것들에 대하여 이전보다 더 강렬하게 희망하기 위하여, 하느님의 사랑에 이전보다 더 열렬하게 응답하기 위하여, 사람들 사이에 은총과 거룩함을 이전보다 더 광범위하게 퍼뜨리기 위하여, 깊이를 헤아릴 수 없는, 그리스도의 풍부함(the unfathomable riches of Christ)들을 이전보다 더 깊이있게 알게 됨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다는 우리의 믿음을, 우리는 고백합니다. 그러나 교회로 하여금 인류의 참된 일시적 선들에 대하여 더구나(as well) 지속적으로 염려하게 하는 것은 바로 이 참으로 동일한 [하느님의] 사랑(love)입니다. 그녀(즉, 교회)의 자녀들에게 그들이 여기 지상에 지속하는 거처를 가지지 않음을 상기시킴을 결코 멈추지 않으면서, 그녀(즉, 교회)는 그들에게 또한, 각자 고유의 소명과 수단에 따라, 그들의 땅에 있는 도성의 복지에 기여할 것을, 사람들 사이에서 정의, 평화 그리고 형제애를 증진할 것을, 자신들의 형제들에 대하여, 특별히 가난한 자들과 가장 낙심한 자들에 대하여, 자신들의 보조(assistance)를 아끼지 말 것을 촉구합니다. 인류의 필요들, 그들의 기쁨들과 그들의 희망들, 그들의 고통들과 그들의 몸부림들에 대한 그리스도의 신부인 교회의 강렬한 관심은, 그들을 그리스도의 빛으로써 교화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유일한 구원자이신 당신에게 그들 모두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그들에게 현존하고자 하는 커다란 욕망과 다름이 전혀 없습니다. 이것은 교회가 이 세상의 사물들에 순응하고 있음을 결코 뜻할 수 없으며, 그리고 그녀(즉, 교회)가, 그것과 함께 그녀가 자신의 주님과 영원한 나라(the eternal Kingdom)를 기다리고 있는, 진지함의 상태를 줄이고 있음을 결코 뜻할 수 없습니다." [35]

-----
(*) 번역자 주: 비오 6세 교황님의 "신앙 고백"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있는,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성탄 대축일 낮 미사 복음 말씀(요한 1,1-18)의 제1절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에 대한, "번역자 주"에 주어져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xmasday.htm
-----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1984년 8월 6일자 교황청 신앙교리성 발 "해방신학의 일부 측면에 관한 훈령"인, "자유의 전갈(LIBERTATIS NUNTIUS)" 의 우리말 번역문 전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cbck.or.kr/book/book_search.asp?p_code=k5110&seq=401423&page=32&Cat=A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12시간 (우리말 번역 포함). 

 



1,789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