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꼭필독] 사랑(love) [Ia IIae q26 신학대전여행] [교리용어_사랑] 773_love [영어본 신학대전 번역 오류]

인쇄

신학대전여행 [39.118.145.*]

2013-05-06 ㅣ No.1374


번역자 주: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의 약 600여 개에 달하는 각 문항(Questions)들에 대한 "압축된 바꾸어 말하기"인 Paul J. Glenn 몬시뇰(1893-1957)의 저서: "A Tour of the Summa(신학대전여행)"의 Ia IIae q26, 사랑(love) 전문이며, 그리고 하반부의 글은, 상반부의 글에 대응하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IIae q26, 사랑(love) 전문이다.

초벌 번역 일자: 2011년 10월 22일
아래의 신학 대전 본문 초벌 번역 일자: 2015년 7월 30일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2월 3일]

그리고, "시기(jealousy)"에 대한 정밀한 정의(definition)가 또한 주어지고 있는, "A Tour of the Summa(신학대전여행)"의 Ia IIae q28, 사랑의 결과들(the effects of love)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9-1항, (4-iii)에 있다. 그리고 "시기(jealousy)"에 대한 통상적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4항에 또한 주어져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5.htm <----- 또한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
 
 

26. Love

 

26. 사랑(love)

 

1. Love is the simple appetite or appetency for good. There are three types of appetite and therefore there are three kinds of love, (a) First, there is the natural appetite implanted in all creatures by their Creator. This is the tendency of things to maintain their existence, their being, their connatural activities. By this appetite or tendency, things are said to have a natural love of themselves. Natural appetite and natural love involve no knowledge, no awareness, in the beings that have it. (b) In sentient creatures (men and animals) there is, in addition to natural appetency, an appetite for things which sense knowledge presents as desirable; that is, as good, as things to be gone after. By sentient appetency, for example, a dog tends to come at his master's call, to go after food which is known pleasingly by the sense of smell, and so on. Now, the quest of good is the expression of love of good; sentient appetency means sentient love. (c) In man alone among earthly creatures there is a spiritual, an intellectual appetency. It is the tendency to follow and obtain what the intellect - the mind, the understanding - presents as good, as desirable. And this intellectual appetency is called the will. Man, to be sure, has natural appetency and sentient appetency; he has, in consequence, natural love of himself, and he is stirred by the sentient love which is a concupiscible passion. But man's spiritual and intellectual appetency is, as we have seen, in control of the sentient appetency; yet this is no despotic control, and the sentient appetites with their resultant passions are always trying, so to speak, to swing the will their way. The sentient passions are frequently permitted by the will to enter and influence the intellective soul-faculties; when so permitted, they become truly passions of the soul. The fundamental passion of the soul is sentient love which is permitted to rise into the intellective order and influence mind and will. To sum up: the three types of love are: natural love, sentient love, intellectual or rational love. Love is a simple appetency and passion; it involves in itself no element of difficulty or of freedom from difficulty in attaining its end; it is a concupiscible appetite in the sentient order; in the will, as we have seen, there is no distinction of concupiscible and irascible tendencies.

 

1. 사랑(love, amor)은 선(good)에 대한 단체(單體)적 욕구(simple appetite) 혹은 몸에 밴 강한 욕구(appetency)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됩니다(pertains to, 적절합니다).(*1) 세 가지 유형(types)들의 욕구가 있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세 가지 유형들의 사랑(amor)이 있습니다. (a) 첫 번째, 모든 피조물들 안에 그들의 창조주에 의하여 심어진 자연적/본성적 욕구(natural appetite)가 있습니다. 이 욕구는 사물들이 자신들의 존재(existence)를, 자신들의 있음(有, being)을, 자신들의 선천적 활동(connatural activities)들을 지속하고자 하는 경향(the tendency, 기울어짐)을 말합니다. 이러한 욕구 혹은 몸에 밴 강한 욕구에 의하여, 사물들은 자기 자신들에 대한 어떤 본성적/자연적 사랑(amor)을 가지고 있다고 말해집니다. 본성적/자연적 욕구와 본성적/자연적 사랑은 그것을 가지고 있는 있음(beings)들에 대한 아무런 지식, 아무런 자각(awareness)을 수반하지(involve) 않습니다. (b)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피조물들(sentient creatures)(사람들과 동물들)에게 있어, 자연적 욕구에 추가로, 감각 지식(sense knowledge)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즉 선(good)으로서, 추구되어야 할 사물들로서, 제시하는 사물들에 대한 어떤 욕구가 있습니다.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욕구에 의하여, 예를 들어, 개(a dog)는 자신의 주인의 부름을 이해하는, 냄새 감각에 의하여 만족스럽게 알려진 음식을 추구하는 등의, 경향이 있습니다. 그런데, 선(good)에 대한 추구(quest)는 선에 대한 사랑(amor)의 표현이며, 그리고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몸에 밴 강한 욕구(sentient appetency)은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사랑(sentient love)을 뜻합니다. (c) 지상의 피조물들 중에서 사람에게만 어떤 영적(a spiritual), 어떤 지성적(an intellectual) 몸에 밴 강한 욕구(appetency)가 있습니다. 그것은 지성(the intellect)이 - 마음(the mind), 이해(the understanding)가 - 선으로서, 바람직한 것으로서 제시하는 바를 따르고 그리고 획득하고자 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지성적 몸에 밴 강한 욕구는 의지(the will)로 불립니다.(*2) 사람은, 틀림없이, 자연적 강한 몸에 밴 욕망(natural appetency)과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몸에 밴 강한 욕구(sentient appetency)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하여 그는, 그 결과로, 자기 자신에 대한 자연적 사랑(amor)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하여 그는, 어떤 사욕편정(私慾偏情, concupiscence, 즉, 私慾)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정(情)(a concupiscible passion)인,(*3)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사랑(amor)에 의하여 자극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사람의 영적 및 지성적 몸에 밴 강한 욕구는, 우리가 이미 보았듯이,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몸에 밴 강한 욕구를 통제하고 있으나, 그러나 이 통제는 전제적 통제(despotic control)가 결코 아니며, 그리고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욕구들은 이들 욕구들의 결과로서 생기는(resultant) 정(情, passions)들과 함께, 말하자면, 자신들의 방식으로 의지의 방향을 바꾸려고 항상 시도하고 있습니다.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정(情, passions)들은, 지성을 수행하는(intellective) 영혼-능력(soul-faculties)들에 들어가 그리하여 이 능력들에 영향을 주려고 하는, 의지에 의하여 자주 허락되며, 그리고 그렇게 허락될 때에, 그들은 진실로 영혼의 정(情, passions)들이 됩니다. 영혼의 근본적 정(情, passion)은지성을 수행하는 순서(intellective order) 안쪽에서 일어나(rise into) 그리하여 마음과 의지에 영향을 주는 것을 허락하는,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사랑(amor)(sentient love)입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세 가지 유형들의 사랑(amor)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연적 사랑,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사랑, 지성적 혹은 이성적 사랑. 사랑(amor)은 어떤 단체(單體)적 몸에 밴 강한 욕구(a simple appetency)이고 그리고 정(情, passion)이며, 그리고 사랑(amor)은 그 자체로, 그것의 목표를 획득함에 있어, 어려움의 요소 혹은 어려움으로부터의 해방(freedom)의 요소도 전혀 수반하지 않으며, 그리고 사랑은 감각 인상(sense impressions)에 반응하는 순서 안에 있는 어떤 사욕편정(私慾偏情, concupiscence, 즉, 私慾)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욕구(a concupiscible appetite)이며, 그리고, 우리가 이미 보았듯이, 의지 안에 있는(in the will) 사욕편정(私慾偏情, concupiscence, 즉, 私慾)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concupiscible) 및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irascible) 경향(tendencies, 기울어짐)들 사이에는 어떠한 구별(distinction)도 있지 않습니다.  

 

-----
(*1) 번역자 주: 이 우리말 번역문은, 영어 문장에 하자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라틴어본 신학 대전의 해당 조항을 읽고서, "petain to" 의 자구적 의미에 따라, 바로잡은 문장이다. 일반적으로, 사랑(love, amor)은 욕구(appetite)이나,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음에 주목하라.


(*2) 번역자 주: 여기서 "의지(will)"라는 용어의 의미가 정의되고 있다.

(*3) 번역자 주:
(1) 여기서 "정(情)"으로 번역된 "passion" 이라는 용어는 다음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서 "어떤 인간적 욕구의 격렬한 동요(動搖, motion, 움직임)(intense motion of a human appetite)"라고 설명되고 있다: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5430

(2) "情(정)" 이라는 한자의 의미는 "밖으로부터 자극()을 받아 일어나는 마음의 움직임. 욕심()에 연결되는 감정()" 이다:
출처: http://hanja.naver.com/hanja?q=%E6%83%85

(발췌 시작)
: 음()을 나타내는 (청→정)과 마음속의() 따뜻한 감정이라는 뜻이 합()하여 '정'을 뜻함. (정)은 순수한 타고난 성질대로의 사람의 마음, (청)은 (생)에서 생겨났음. 情(정)도 본디는 (성)과 같은 글자였으나, 나중에 타고난 성질쪽을 (성), 밖으로부터 자극()을 받아 일어나는 마음의 움직임, 욕심()에 연결되는 감정()쪽을 (정)이라 하여 구별()하게 되었음
(이상, 발췌 끝) 


(3) (i) "신학대전여행" Ia q59 a4의 설명, 그리고 (ii) 다음의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이들 스콜라 철학 용어들에 대한 설명을 따르면, "concupiscible" 이라는 단어는 '동의할 수 있는, 특히 감각적으로 동의할 수 있는, 것들로 이루어진 국면 아래에서 선(good)으로 기울어지는 어떤 욕망(a desir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을 뜻하며, 그리고 이 단어의 의미에 반대되는 단어인 "irascible" 라는 단어는 '어려움 혹은 위험과 함께 오로지 획득되는 바로 그러한 것으로 기울어지는 욕망(desire)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을 뜻한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mw/u_d.htm

 

concupiscible : 1 : motivated by a desire for good under the aspect of the agreeable especially the sensuously agreeable -- used chiefly by Scholastic philosophers of the appetite and the passions; opposed to irascible

iracible : 2 a : moved by desire for that which is attained only with difficulty or danger b : stirred by combative emotions (as anger, pride, courage, fear) -- opposed to concupiscible 

 

(4) 그러나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번역 용어들로서 이들 두 단어들의 글자 그대로의 의미를 나타내는 한자 단어들을 찾을 수 없어, 그리고 이들 두 단어들의 철학적 의미가 설명되고 있지 않은 다음의 자료들을 또한 참고하여, "concupiscible" 는 "사욕편정(私慾偏情, concupiscence, 즉, 私慾)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으로 번역하였고, "irascible" 는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으로 번역하였다. 그러나 이들 번역 용어들의 정확한 의미가, 바로 위의 (1) 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각각 '동의할 수 있는, 특히 감각적으로 동의할 수 있는, 것들로 이루어진 국면 아래에서 선(good)으로 기울어지는 어떤 욕망에 의하여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concupiscible)' 및 '어려움 혹은 위험과 함께 오로지 획득되는 바로 그러한 것으로 기울어지는 욕망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iracible)' 임을 숙지하도록 하라:


http://www.aquinasonline.com/Topics/sensappt.html 
http://rockywa.hubweb.net/technote/read.cgi?board=robib10&y_number=23&nnew=2
(이재룡, 이동익, 조규만 번역, 신학대전 요약 제2부 제23문)
http://114.108.140.109/~bumhan/s_data/54-7.hwp
(이진남, 지성과의 화해,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의 욕구 개념, 범한철학회논문집 제54집 2009년 가을)
-----

 

2. Love as a passion is the undergoing, the kick-back, of the movement of appetite to good.

2. 어떤 정(情, a passion)으로서 사랑(love, amor)은 선(good)을 향하는 욕구의 움직임이라는 경험(the undergoing), 반응(the kick-back)입니다.

 

3. The words love (amor), dilection (dilectio), charity (caritas), and friendship (amicitia) are not completely synonymous, but they have a common core of meaning; dilection, charity, and friendship, are types or phases oflove.

 

3. 사랑(love, amor), 애모(愛慕)[즉, '사랑의 대상에 대한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dilection, dilectio)'],(*4) 애덕(charity, caritas), 그리고 우의(友誼, friendship, amicitia) 라는 단어들이 완전하게 동의어인 것은 아니나, 그러나 그들은 의미에 있어의 어떤 공통의 핵심(a common core of meaning)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애모(愛慕)[즉, '사랑의 대상에 대한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beforehand) 선호'], 애덕, 그리고 우의(友誼)들은 사랑(amor)의 유형(types)들 혹은 단계(phases)들입니다.
 

-----
(*4) 번역자 주:

(1) "dilection (dilectio)" 이라는 단어의 우리말 번역, '사랑의 대상에 대한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적(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 는, 아래에 주어진,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IIae, q26, a3 을 따랐으며, 또한 다음의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St. Francis de Sales, 1567-1622년)의 저술,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논문(Treatise on the Love of God)"의 제13장 (제목: 사랑들의 차이점에 대하여)에 주어진 설명을 참고하였다:
http://www.catholictreasury.info/books/on_love_of_God/lg16.php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52.htm [우리말 번역문 포함,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7월 28일]

 

(2) 다른 한편으로, 다음에 있는 중국어본 신학 대전에서는 영어 단어 "dilection" 에 대응하는 라틴어 단어 "dilectio" 가 "愛慕(애모)" 로 번역되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ch/18_Index.pdf
-----

 

4. Love (amor) as a tendency to have or possess good is called love of desire (the ancient name is love of concupiscence); love as a tendency to do good is love of benevolence or love of well-wishing, and sometimes this is love of friendship.

 

4. 선(good)을 가지거나 혹은 소유하고자 하는 어떤 경향(a tendency, 기울어짐)으로서의 사랑(amor)은 "욕망에 기인하는 사랑(love of desire) [고대의 이름은, 사욕편정(私慾偏情, concupiscence)에 기인하는 사랑, 즉, 사욕편정(私慾偏情,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사랑(love of concupiscence)임]이고, 그리고 선을 행하고자 하는 어떤 경향으로서의 사랑은 선의(善意)에 기인하는 사랑(love of benevolence) 혹은 호의에 기인하는 사랑(love of well-wishing)이며, 그리고 때로는 바로 이 사랑이 우의(友誼)에 기인하는 사랑(love of friendship) 입니다.

 

----------
우리말 번역문 출처: http://club.catholic.or.kr/tourofsumma
영어본 원문 출처: http://www.catholictheology.info/summa-theologica/summa-part2A.php?q=224

 

====================

출처 1: http://www.newadvent.org/summa/2026.htm
출처 2: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__P56.HTM
출처 3: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
Summa-IIa-26-29.htm#q26pr

 

[아래의 본문에 대한 우리말 번역문 추가 일자: 2016 2월 5일]

 

신학 대전 Ia IIae

 

 Question 26. The passions of the soul in particular: and first, of love


질문 26. 특히 영혼의 정(情, passions)들, 그리고 첫 번째, 사랑이라는 정들

 

We have now to consider the soul's passions in particular, and (1) the passions of the concupiscible faculty; (2) the passions of the irascible faculty.

 

우리는 이제 특히 영혼의 정(情, passions)들을 고찰하여야만 하며, 그리고 (1) '동의할 수 있는, 특히 감각적으로 동의할 수 있는, 것들로 이루어진 국면 아래에서 선(good)에 대한 욕구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능력(the concupiscible faculty,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능력)에 기인하는 정(情, passion)들, 그리고 (2) '어려움 혹은 위험과 함께 오로지 획득되는 바로 그러한 것에 대한 욕구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irascible faculty,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에 기인하는 정(情, passion)들을 고찰하여야 합니다. 

 

The first of these considerations will be threefold: since we shall consider (1) Love and hatred; (2) Desire and aversion; (3) Pleasure and sadness.

이들 고찰들 중의 첫 번째는 다음과 같이 3겹일(threefold) 것인데, 이는 우리가 (1) 사랑(love)과 증오(hatred), (2) 욕망(desire)과 혐오(aversion), 그리고 (3) 즐거움(pleasure)과 슬픔(sadness)를 고찰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Concerning love, three points must be considered: (1) Love itself; (2) The cause of love; (3) The effects of love. Under the first head there are four points of inquiry:

사랑(love, amor)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요지들이 고찰되어야 합니다: (1) 사랑 그 자체, (2) 사랑의 원인, 그리고 (3) 사랑의 결과들. 첫 번째 표제(head) 하에서 질문에 있어서의 네 개의 요지들이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1. Is love (amor) in the concupiscible power?
2. Is love (amor) a passion?
3. Is love (amor) the same as dilection (dilectio)?
4. Is love (amor) properly divided into love of friendship, and love of concupiscence?

 

번역자 주: 아래의 영문본에서뿐만이 아니라, 영문본 신학 대전, IIa IIae q27 에서, 라틴어 명사들 "amor", "directio", 그리고 "caritas" 들 모두가 하나의 영어 명사 "love" 로 번역되어, 그 결과, 영어본만을 읽었을 경우에 라틴어 원문의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가 야기된다는 판단에 따라, 번역자가 출처 3에 근거하여 소괄호 안에 라틴어 명사들을 병기하였다.

Article 1. Whether love is in the concupiscible power?

 

제1조. 사랑(amor)이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 안에 있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love (amor) is not in the concupiscible power. For it is written (Wisdom 8:2): "Her," namely wisdom, "have I loved, and have sought her out from my youth." But the concupiscible power, being a part of the sensitive appetite, cannot tend to wisdom, which is not apprehended by the senses. Therefore love (amor) is not in the concupiscible power.

반대 1. 사랑(amor)이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concupiscible power) 안에 있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적혀있기 때문입니다: "그녀를" 즉 지혜를 "내가 이미 사랑하였고 그리하여 나의 청춘기부터 그녀를 찾아 나섰다." (지혜 8,2). 그러나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concupiscible power)은,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흥분하게 될 수 있는 욕구(sensitive appetite)의 한 부분이기에, 감각들에 의하여 인지될 수 없는 지혜 쪽으로 향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랑(amor)은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concupiscible power) 안에 있지 않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love (amor) seems to be identified with every passion: for Augustine says (De Civ. Dei xiv, 7): "Love (amor), yearning for the object beloved, is desire; having and enjoying it, is joy; fleeing what is contrary to it, is fear; and feeling what is contrary to it, is sadness." But not every passion is in the concupiscible power; indeed, fear, which is mentioned in this passage, is in the irascible power. Therefore we must not say absolutely that love (amor) is in the concupiscible power.

 

반대 2. 게다가, 사랑(amor)은 각각의 정(情, passion)과 동일시 될 수 있는 것 같은데, 이는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다음과 같이 말하기 때문입니다: "사랑받게 되는 대상을 갈망하는 사랑(amor)은 욕망(desire)이고, 그리고 그것을 가지고 그리고 향유하는 것은 기쁨(joy)이며, 그리고 그것에 상반되는 바로부터 도망치는 것이 두려움(fear)이고, 그리고 그것에 상반되는 바를 느끼는 것이 슬픔(sadness)이다" (De Civ. Dei xiv, 7). 그러나 각각의 정(情, passion)이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concupiscible power) 안에 있지 않는데, 정말로, 바로 이 단락에서 언급되고 있는 두려움(fear)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힘(irascible power) 안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랑(amor)이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concupiscible power) 안에 있다고 절대적으로 말하지 말아야 합니다.

 

Objection 3. Further, Dionysius (Div. Nom. iv) mentions a "natural love (amorem naturalem)." But natural love (amor) seems to pertain rather to the natural powers, which belong to the vegetal soul. Therefore love (amor) is not simply in the concupiscible power.

 

반대 3. 게다가, 디오니시오(Dionysius)는 어떤 "본성적/자연적 사랑(amorem naturalem)"을 언급합니다(Div. Nom. iv). 그러나 본성적/자연적 사랑(amor)은 오히려, 생혼(生魂, vegetal soul)에 속하는, 본성적/자연적 힘들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적절한(pertains to)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사랑(amor)은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concupiscible power) 안에 단체(單體)적으로(simply) 있지 않습니다.

 

On the contrary, The Philosopher says (Topic. ii, 7) that "love (amor) is in the concupiscible power."

 

이와는 달리, 철학자(*)는 "사랑(amor)은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 안에 있다" (Topic. ii, 7)라고 말합니다.

 

-----
(*) 번역자 주: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를 말한다.
-----

 

I answer that, Love (amor) is something pertaining to the appetite; since good is the object of both. Wherefore love (amor) diffe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appetites. For there is an appetite which arises from an apprehension existing, not in the subject of the appetite, but in some other: and this is called the "natural appetite." Because natural things seek what is suitable to them according to their nature, by reason of an apprehension which is not in them, but in the Author of their nature, as stated in the I, 6, 1, ad 2; I, 103, 1, ad 1,3. And there is another appetite arising from an apprehension in the subject of the appetite, but from necessity and not from free-will. Such is, in irrational animals, the "sensitive appetite," which, however, in man, has a certain share of liberty, in so far as it obeys reason. Again, there is another appetite following freely from an apprehension in the subject of the appetite. And this is the rational or intellectual appetite, which is called the "will."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사랑(amor)은 욕구(the appetite)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적절한(pertains to) 그 무엇인데, 왜냐하면 선(good)이 둘 다의 대상(object)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이유로 사랑(amor)은 욕구들의 차이점에 따라 다릅니다. 이는 욕구의 주체(subject) 안에 있지 않고, 어떠한 다른 것 안에 있는, 존재하는 어떤 알아차림(an apprehension existing)으로부터 일어나는 어떤 욕구가 있기 때문이며, 그리고 바로 이 요구는 "본성적/자연적 욕구(natural appetite)" 라고 불립니다. 왜냐하면 자연적 사물들은, 그들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I, 6, 1, ad 2; I, 103, 1, ad 1,3 에서 서술되고 있듯이, 그들의 본성의 창조자(Author) 안에 있는, 어떤 알아차림(an apprehension)이라는 이유에 의하여, 자신들의 본성/자연에 따라 자신들에게 적합한 바를 추구합니다. 그리고, 오로지 필요성으로부터이지 자유 의지(free-will)로부터가 아닌, 욕구의 주체 안에 있는 어떤 알아차림(an apprehension)으로부터 일어나는 또다른 욕구가 있습니다. 그러한 욕구는, 비이성적 동물(irrational animals)들에 있어,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흥분하게 될 수 있는 욕구(sensitive appetite)" 이나, 그러나 이 욕구는, 사람에게 있어, 이 욕구가 이성(reason)에 복종하는 한, 자유(liberty)의 어떤 나누어 가짐(a share)을 가집니다. 또다시, 욕구의 주체 안에 있는 어떤 알아차림(an apprehension)으로부터 자유롭게 뒤따르는 또다른 욕구가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 욕구는, "의지(will)" 라고 불리는, 이성적(rational) 혹은 지성적(intellectual) 욕구입니다. 
 

Now in each of these appetites, the name "love (amor)" is given to the principle movement towards the end loved. In the natural appetite the principle of this movement is the appetitive subject's connaturalness with the thing to which it tends, and may be called "natural love": thus the connaturalness of a heavy body for the centre, is by reason of its weight and may be called "natural love." In like manner the aptitude of the sensitive appetite or of the will to some good, that is to say, its very complacency in good is called "sensitive love," or "intellectual" or "rational love." So that sensitive love is in the sensitive appetite, just as intellectual love is in the intellectual appetite. And it belongs to the concupiscible power, because it regards good absolutely, and not under the aspect of difficulty, which is the object of the irascible faculty.

 

이제 이들 욕구들 각각에, "사랑(amor)" 라는 이름이 사랑받는 끝을 향하는 움직임의 원리(principium motus)에 주어집니다. 본석적/자연적 욕구에 있어 바로 이 움직임의 원리는, 그쪽으로 이 움직임이 향하는, 사물과 '욕구들에 의하여 흥분하게 될 수 있는(appetitive)' 주체의 본성에 의하여 연결됨(connaturalness)이며, 그리하여 "본성적/자연적 사랑(natural love)" 이라고 불릴 수도 있으며,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중심을 향하여(for the centre) 어떤 무거운 물체의 본성에 의하여 연결됨(connaturalness)은 그 무게(weight)라는 이유 때문이며 그리하여 "본성적/자연적 사랑" 이라고 불릴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어떠한 선(good) 쪽으로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흥분하게 될 수 있는 욕구(sensitive appetite)"의 혹은 의지(the will)의 경향(aptitude), 말하자면, 선에 쪽으로 바로 그 자기 만족(complacency)은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흥분하게 될 수 있는 사랑(sensitive love, 감각적 사랑)," 혹은  "지성적(intellectual)" 혹은 이성적 사랑(rational love)" 이라고 불립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지성적 사랑이 지성적 욕구[즉, 의지] 안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흥분하게 될 수 있는 사랑(sensitive love, 감각적 사랑)" 은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흥분하게 될 수 있는 욕구(sensitive appetite, 감각적 욕구)" 안에 있습니다. 그리하여 그것은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에 속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절대적으로 선에 관계한 것이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irascible faculty)의 대상인 어려움의 양상 아래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1. The words quoted refer to intellectual or rational love (amore).

 

반대 1에 대한 답변. 인용된 단어들은 지성적 혹은 이성적 사랑(amor)에 대한 언급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Love (amor) is spoken of as being fear, joy, desire and sadness, not essentially but causally.

 

반대 2에 대한 답변. 사랑(amor)은, 본질적으로(essentially)가 아니라 원인이 되어(casually), 두려움(fear), 기쁨(joy), 욕망(desire) 그리고 슬픔(sadness)인 것으로서 말해집니다.

 

Reply to Objection 3. Natural love (amor) is not only in the powers of the vegetal soul, but in all the soul's powers, and also in all the parts of the body, and universally in all things: because, as Dionysius says (Div. Nom. iv), "Beauty and goodness are beloved by all things"; since each single thing has a connaturalness with that which is naturally suitable to it.

 

반대 3에 대한 답변. 본성적/자연적 사랑(amor)은 오로지 생혼(生魂, vegetal soul)의 힘들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영혼의 힘들 모두 안에 있으며, 그리고 또한 몸의 모든 부분들 안에 있고, 그리고 보편적으로 모든 사물들 안에 있는데, 왜냐하면, 디오니시오(Dionysius)가 말하듯이, "아름다움과 선함은 모든 사물들에 의하여 사랑받기" (Div. Nom. iv) 때문인데, 이는 각 단일의 사물은 자신에게 본성적으로/자연적으로 적합한 바로 그것과 어떤 본성에 의하여 연결됨(a connaturalness)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Article 2. Whether love (amor) is a passion?

 

제2조. 사랑(amor)은 한 개의 정(情)(a passion)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love (amor) is not a passion. For no power is a passion. But every love (amor) is a power, as Dionysius says (Div. Nom. iv). Therefore love (amor) is not a passion.

 

반대 1. 사랑(amor)은 한 개의 정(情)(a passion)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어떠한 힘(power)도 한 개의 정(情)(a passion)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랑(amor)은, 디오니시오(Dionysius)가 말하듯이(Div. Nom. iv), 어떤 힘입니다. 그러므로 사랑(amor)는 한 개의 정(情)(a passion)이 아닙니다.

 

Objection 2. Further, love (amor) is a kind of union or bond, as Augustine says (De Trin. viii, 10). But a union or bond is not a passion, but rather a relation. Therefore love (amor) is not a passion.

 

반대 2. 게다가, 사랑(amor)은,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말하듯이(De Trin. viii, 10), 결합(union) 혹은 묶는 것(bond)의 한 종류입니다. 그러나 어떤 결합(union) 혹은 묶는 것(bond)은 한 개의 정(情)(a passion)이 아니라, 오히려 한 개의 관계(a relation)입니다. 그러므로 사랑(amor)은 한 개의 정(情)(a passion)이 아닙니다.

 

Objection 3. Further, Damascene says (De Fide Orth. ii, 22) that passion is a movement. But love (amor) does not imply the movement of the appetite; for this is desire, of which movement love is the principle. Therefore love (amor) is not a passion.

 

반대 3. 게다가, 다마스쿠스의 사람(Damascene)(*)이 정(情, passion)은 한 개의 움직임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사랑(amor)은 욕구의 움직임을 의미하지 않는데, 이는 바로 그것이 욕망이고, 사랑(amor)은 그것의 움직임의 원리(princile)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사랑(amor)은 한 개의 정(情)(a passion)이 아닙니다.

 

-----
(*) 번역자 주: "Damascene(다마스쿠스의 사람)" 은 다마스쿠스의 성 요한(St. John of Damascus, 675-749년)을 말한다.
-----

 

On the contrary, The Philosopher says (Ethic. viii, 5) that "love (amor) is a passion."

 

이와는 달리, 철학자는 "사랑(amor)은 한 개의 정(情)(a passion)이다" (Ethic. viii, 5)라고 말합니다.

 

I answer that, Passion is the effect of the agent on the patient. Now a natural agent produces a twofold effect on the patient: for in the first place it gives it the form; and secondly it gives it the movement that results from the form. Thus the generator gives the generated body both weight and the movement resulting from weight: so that weight, from being the principle of movement to the place, which is connatural to that body by reason of its weight, can, in a way, be called "natural love." In the same way the appetible object gives the appetite, first, a certain adaptation to itself, which consists in complacency in that object; and from this follows movement towards the appetible object. For "the appetitive movement is circular," as stated in De Anima iii, 10; because the appetible object moves the appetite, introducing itself, as it were, into its intention; while the appetite moves towards the realization of the appetible object, so that the movement ends where it began. Accordingly, the first change wrought in the appetite by the appetible object is called "love (amor)," and is nothing else than complacency in that object; and from this complacency results a movement towards that same object, and this movement is "desire"; and lastly, there is rest which is "joy." Since, therefore, love (amor) consists in a change wrought in the appetite by the appetible object, it is evident that love (amor) is a passion: properly so called, according as it is in the concupiscible faculty; in a wider and extended sense, according as it is in the will.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정(情, passion)은 수동자(受動者, patient)에 대한 작인(作因)/동인(動因)/행위자(agent)의 결과입니다. 그런데 어떤 자연적 작인(作因)/동인(動因)/행위자는 수동자(受動者, patient)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어떤 2 겹(twofold)의 결과를 산출합니다: 이는 첫 번째로 그것은 수동자(受動者, patient)에게 그 형상(the form)을 제공하며, 그리고 두 번째로 그것은 수동자(受動者, patient)에게 그 형상으로부터 유래하는 그 움직임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자는 생성되는 몸체(body)에 무게(weight)와 무게로부터 유래하는 움직임(movement)을 제공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무게는, 바로 그 무게라는 이유 때문에, 바로 그 몸체 쪽으로 본성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장소 쪽으로 움직임의 원리인 것으로부터, 어떤 방식으로, "자연적/본성적 사랑(natural love)" 이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동일한 방식으로, 욕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appetible) 대상은, 첫 번째, 자기 자신 쪽으로, 바로 이 대상에 대한 자기 만족(complacency)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는 어떤 구체적인 적응(adaptation)을 제공하며, 그리하여 바로 이것으로부터 욕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appetible) 대상을 향하는 움직임이 뒤따릅니다. 이는 De Anima iii, 10 에 서술되어 있듯이 "욕구들에 의하여 흥분할 수 있는(appetitive) 움직임은 원형인데(circular)", 왜냐하면 욕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appetible) 대상이, 말하자면, 욕구의 의도(intention) 안쪽으로 자기 자신을 소개함으로써, 욕구를 움직이며, 그러는 동안에 욕구는 욕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appetible) 대상에 대한 사실로 깨달음(realization)을 향하여 움직여, 그리하여 그 결과 이 움직임은 자신이 시작하였던 곳에서 끝나기 때문입니다. 그에 따라서(accordingly), 욕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appetible) 대상에 의하여 욕구 안에서 작동된 첫 번째 변화는 "사랑(amor)" 이라고 불리고, 그리고 바로 이 대상에 대한 자기 만족(complacency) 바로 그것이며, 그리고 바로 이 자기 만족으로부터 동일한 대상을 향하는 어떤 움직임이 결과로서 생기고(results), 그리고 바로 이 움직임이 "욕망(desire)" 이며,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쁨(joy)" 인 정지(rest)가 거기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왜냐하면 사랑(amor)이 욕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appetible) 대상에 의하여 욕구 안에서 작동하게 된 어떤 변화를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랑(amor)이 한 개의 정(情, passion)임은 분명하며, 그리고 그것이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능력(faculty) 안에 있음에 따라서, 고유하게 그렇게 불리고, 그리고 그것이 의지(the will) 안에 있음에 따라서, 어떤 더 넓고 그리고 확장된 의미로, 고유하게 그렇게 불립니다. 

 

Reply to Objection 1. Since power denotes a principle of movement or action, Dionysius calls love (amor) a power, in so far as it is a principle of movement in the appetite.

 

반대 1에 대한 답변: 힘(power)이 움직임(movement) 혹은 행동(action)의 한 원리(a principle)를 나타내기 때문에, 디오니시오(Dionysius)는 사랑(amor)을, 그것이 욕구 안에 있는 움직임의 한 원리인 한, 한 개의 힘이라고 부릅니다.

 

Reply to Objection 2. Union belongs to love (amorem) in so far as by reason of the complacency of the appetite, the lover stands in relation to that which he loves, as though it were himself or part of himself. Hence it is clear that love (amor) is not the very relation of union, but that union is a result of love (amorem). Hence, too, Dionysius says that "love (amor) is a unitive force" (Div. Nom. iv), and the Philosopher says (Polit. ii, 1) that union is the work of love (amoris).

 

반대 2에 대한 답변. 결합(union)은, 욕구에 대한 자기 만족이라는 이유에 의하여서인 한, 사랑(amor)에 속하며, 사랑하는 자는 자신이 사랑하는 바로 그것 쪽으로, 마치 그것이 자기 자신 혹은 자기 자신의 일부인 것처럼, 관계 안에 서 있습니다. 따라서 사랑(amor)은 결합이라는 바로 그 관계가 아니고, 결합이 사랑(amorem)의 한 결과임은 분명합니다. 따라서, 또한, 디오니시오(Dionysius)도 "사랑(amor)은 어떤 결합력 있는(unitive) 힘이다" (Div. Nom. iv)라고 말하고, 그리고 철학자는 결합이 사랑(amoris)의 일(work)이라고 말합니다(Polit. ii, 1).

 

Reply to Objection 3. Although love (amor) does not denote the movement of the appetite in tending towards the appetible object, yet it denotes that movement whereby the appetite is changed by the appetible object, so as to have complacency therein.

 

반대 3에 대한 답변. 비록 사랑(amor)이 욕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appetible) 대상을 향하여 기울어짐 상태에 있는 욕구의 움직임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은 욕구가 욕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appetible) 대상에 의하여 변화하게 되는, 그리하여 거기에서 자기 만족을 가지도록 하는, 바로 그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Article 3. Whether love (amor) is the same as dilection (dilectio)?

 

제3조. 사랑(amor)이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와 동일한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love (amor) is the same as dilection (dilectio). For Dionysius says (Div. Nom. iv) that love (amor) is to dilection (dilectio), "as four is to twice two, and as a rectilinear figure is to one composed of straight lines." But these have the same meaning. Therefore love (amor) and dilection (dilectio) denote the same thing.

 

반대 1. 사랑(amor)이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와 동일한 것 같습니다. 이는 디오니시오(Dionysisu)가 "4가 두번 2에 대한 것이듯이, 그리고 한 개의 직사각형이 직선들로 구성된 도형에 대한 것이듯이" 사랑(amor)은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에 대한 것이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동일한 의미를 가집니다. 그러므로 사랑(amor)과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은 동일한 사물을 나타냅니다.

Objection 2. Further, the movements of the appetite differ by reason of their objects. But the objects of dilection (dilectionis) and love (amoris) are the same. Therefore these are the same.

 

반대 2. 게다가, 욕구의 움직임들은 그들의 대상들이라는 이유에 의하여 다릅니다. 그러나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nis)의 및 사랑(amoris)의 대상들은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이들은 동일합니다.

 

Objection 3. Further, if dilection (dilectio) and love (amor) differ, it seems that it is chiefly in the fact that "dilection (dilectio) refers to good things, love (amor) to evil things, as some have maintained," according to Augustine (De Civ. Dei xiv, 7). But they do not differ thus; because as Augustine says (De Civ. Dei xiv, 7) the holy Scripture uses both words in reference to either good or bad things. Therefore love (amor) and dilection (dilectio) do not differ: thus indeed Augustine concludes (De Civ. Dei xiv, 7) that "it is not one thing to speak of love (amorem), and another to speak of dilection (dilectionem)."

 

반대 3. 게다가, 만약에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와 사랑(amor)가 다르다면, 그것은 아우구스티노(Augustine) (De Civ. Dei xiv, 7)에 따라 "어떤 이들이 이미 주장하였듯이,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는 선한 사물들에 대하여 언급하고, 사랑(amor)은 악한 사물들에 대하여 언급한다" 라는 사실에 주로(chiefly)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것이 아닌데, 왜냐하면 아우구스티노(Augustine)이 말하듯이 (De Civ. Dei xiv, 7) 성경 본문은 이들 단어들 둘 다를 선하거나(good) 혹은 나쁜(bad) 사물들 둘 중의 하나에 대한 언급에 있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사랑(amor)과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은 다르지 않으며, 그리하여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아우구스티노(Augustine)는 "사랑(amor)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 하나의 사물이고, 그리고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 다른 사물인 것이 아니다" (De Civ. Dei xiv, 7)라고 결론을 내립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7월 28일]
-----
(*) 번역자 주: (필독 권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에 의하여 또한 아래에 제시된 이 반대 3에 대한 답변에 의하면, 그는 여기서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의 가르침을 발췌 인용하면서 주장하는 반대 3에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이 14세기 후반부에 영국에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저술인 라틴어 원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을 어쩌면 제대로 그리고 올바르게 학습하지 않았을 수도 있는, 요한 위크리프(John Wyclif, 1331-1384년)에 의하여 영어로 번역될 때에, 라틴어 단어 "dilectio" 가 또한 획일적으로, 그러나 교회의 교도권에 의하여 그 신학적 의미가 이미 정의되어 있는 라틴어 단어들인 "amor", "dilectio", 혹은 "caritas" 와 그 어원이 결코 동일하지 않은, 영어 단어 "love" 로 번역되었다고 하는데(#), 그러나 이러한 행위는 참으로 잘못된, 작위적/자의적/의도적 번역 오류라 아니할 수 없다. 왜냐하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경험한 바에 비추어 볼 때에, 영어권에서의 요한 위크리프(John Wyclif, 1331-1384년)에 의한 바로 이러한 잘못된 번역 때문에, (i) 우선적으로, 세속의 프랑스어 사전들과는 달리,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Merriam-Webster Dictionary, Oxford Dictionary 등의 신뢰할 수 있는 세속의 영어 사전들에, 라틴어 단어 "dilectio" 의 영어 명사형으로서, "dilection" 이라는 단어 자체가 실리지 않게 되었다는 생각이며, 그리고 (ii) (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들) 두 번째로, 예를 들어, 영어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27에서는, 영어 단어 "love" 로 번역되는, 라틴어 단어 "amor" 와 결코 동일한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를 가지고 있지 않은, 라틴어 단어 "dilectio" 가 또한 "love" 혹은 "to love" 로 번역되고 있는데, 요한 위크리프(John Wyclif, 1331-1384년)에 의한 영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 작위적/자의적/의도적 개념 전달 장애/개념 훼손에 의한 바로 이 변별력(辨別力) 상실(喪失)/망실(亡失)의 문제 때문에, 오로지 영어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27 을 읽고서 그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대단히 힘들게 되었기 때문이다.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영어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26 의 번역자와 영어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27의 번역자는 결코 동일 인물이 아니었다는 생각이다. (iii) 그리고 심지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829항에서의 발췌문과 제2785항에서의 발췌문에서도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의 대응하는 항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라틴어 단어 "dilectio" 및 그 파생어 가 "love" 로 번역되었는데, 이들도 또한 명백한 번역 오류들이다. (iv)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라틴어 본문에서 "amor", "dilectio" 둘 다가, 예를 들어, 프랑스어본 신학 대전의 해당 본문에서와는 달리, 영어본 신학 대전의 해당 본문에서 "love" 로 번역된 경우들은 다음의 검색 결과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amor" "dilectio" "love" "summa" site:logicmuseum.com/authors/aquinas

 

-----
(#) 게시자 주: 다음의 글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47_John_Wyclif.htm
-----
-----

[이상, 2015년 7월 28일자 내용 추가 끝]

 

On the contrary, Dionysius says (Div. Nom. iv) that "some holy men have held that love (amoris) means something more Godlike than dilection (dilectionis) does."

 

이와는 달리, 디오니시오(Dionysius)는 "일부 거룩한 사람들이 사랑(amoris)이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nis)보다 더 하느님께 합당한(Godlike) 그 무엇을 의미한다고 이미 견지하였다" (Div. Nom. iv) 라고 말합니다.

 

I answer that, We find four words referring in a way, to the same thing: viz. love (amor), dilection (dilectio), charity(caritas) and friendship(amicitia). They differ, however, in this, that "friendship(amicitia)," according to the Philosopher (Ethic. viii, 5), "is like a habit," whereas "love (amor)" and "dilection (dilectio)" are expressed by way of act or passion; and "charity(caritas)" can be taken either way.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우리는, 동일한 사물에 대하여, 어떤 방식으로(in a way) 언급하는 네 개의 단어들을 다음과 같이 발견합니다: 즉, 사랑(love, amor),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 애덕(charity, caritas) 그리고 우의(友誼, friendship, amicitia). 그러나 다음의 점에 있어 그들은 다릅니다: 철학자에 따르면 "우의(友誼, friendship, amicitia)는 어떤 습관 비슷하고(is like)"(Ethic. viii, 5), 이와는 달리 "사랑(love, amor)" 과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 들은 행위(act) 혹은 정(情, passion)이라는 방식에 의하여 표현되며, 그리고 "애덕(charity, caritas)"은 둘 중의 어느 방식으로 취하여질(be taken) 수 있습니다.

 

Moreover these three express act in different ways. For love (amor) has a wider signification than the others, since every dilection (dilectio) or charity(caritas) is love (amor), but not vice versa. Because dilection (dilectio) implies, in addition to love (amorem), a choice [electionem] made beforehand, as the very word denotes: and therefore dilection (dilectio) is not in the concupiscible power, but only in the will, and only in the rational nature. Charity(caritas) denotes, in addition to love (amorem), a certain perfection of love (amoris), in so far as that which is loved (amatur) is held to be of great price, as the word itself implies [Referring to the Latin "carus" (dear)].

 

게다가 이들 세 개는 행위를 서로 다른 방식들로 표현합니다. 이는 사랑(amor)이 다른 것들보다 어떤 더 넓은 어의(語義, signification)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왜냐하면 각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 혹은 애덕(charity, caritas)은 사랑(amor)이나,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기(not vice versa)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은, 바로 이 단어가 나타내듯이, 사랑(amorem)에 추가하여, 사전에 마련된 어떤 선택(choice)[electionem]을 의미하여, 그리하여 그 결과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는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 안에 있는 것이 아니고, 오로지 의지(the will) 안에만, 그리고 오로지 이성적 본성(the rational nature) 안에만 있기 때문입니다. 애덕(charity, caritas)은, 이 단어 자체가 의미하듯이 [라틴어 "carus" (소중한, dear)에 대한 언급임], 사랑받는 바로 그것이 커다란 가치가 있음을 견지하게 되는 한, 사랑(amorem)에 추가하여, 사랑(amor)의 어떤 구체적인 완미(perfection, 완전하고 흠/걸여/결함이 없음)를 나타냅니다.

 

Reply to Objection 1. Dionysius is speaking of love (amore) and dilection (dilectione), in so far as they are in the intellectual appetite; for thus love (amor) is the same as dilection.

 

반대 1에 대한 답변. 디오니시오(Dionysius)는 사랑(amore)과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e)에 대하여, 그들이 지성적 욕구 안에 있는 한, 말하고 있는 중이며, 이는,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사랑(amor)은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과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The object of love (amoris) is more general than the object of dilection: because love (amor) extends to more than dilection (dilectio) does, as stated above.

 

반대 2에 대한 답변. 사랑(amoris)의 대상은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e)의 대상보다 더 일반적인데, 왜냐하면 사랑(amor)은, 위에서 서술되었듯이,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e)가 확장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들 쪽으로 확장하기(extend)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Love (amor) and dilection (dilectio) differ, not in respect of good and evil, but as stated. Yet in the intellectual faculty love (amor) is the same as dilection (dilectio). And it is in this sense that Augustine speaks of love (amore) in the passage quoted: hence a little further on he adds that "a right will is well-directed love (amor), and a wrong will is ill-directed love (amor)." However, the fact that love (amor), which is concupiscible passion, inclines many to evil, is the reason why some assigned the difference spoken of.

 

반대 3에 대한 답변. 사랑(amor)과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e)는, 선(good)과 악(evil)의 점에 있어서가 아니라, 서술되었듯이 다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성적 능력(intellectual faculty) 안에서 사랑(amor)은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e)과 동일합니다. 그리고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사랑(amore)에 대하여 발췌된 단락에서 말한 것은 바로 이러한 의미(sense)에서이며, 따라서 약간 더 계속하여 그는 "어떤 올바른(right) 의지는 잘 방향 지워진(well-directed) 사랑(amor)이고, 그리고 어떤 잘못된(wrong) 의지는 나쁘게 방향 지워진(ill-directed) 사랑(amor)이다" 를 추가합니다. 그러나,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정(情, passion)인 사랑(amor)이 많은 이들을 악(evil) 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사실은 어떤 이들이, 말해졌던, 그 차이점을 지정하였던(assigned) 이유입니다.

 

Reply to Objection 4. The reason why some held that, even when applied to the will itself, the word "love (amoris)" signifies something more Godlike than "dilection (dilectionis)," was because love (amor) denotes a passion, especially in so far as it is in the sensitive appetite; whereas dilection (dilectio) presupposes the judgment of reason. But it is possible for man to tend to God by love (amorem), being as it were passively drawn by Him, more than he can possibly be drawn thereto by his reason, which pertains to the nature of dilection (dilectio), as stated above. And consequently love (amor) is more Godlike than dilection (dilectio).

 

반대 4에 대한 답변. 어떤 이들이, 심지어 의지 자체에 적용될 때에도, "사랑(amor)" 이라는 단어가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e)" 보다 더 하느님께 합당함(Godlike)을 견지하였던 이유는, 왜냐하면 사랑(amor)이, 특히 그것이 외부의 작인(作因)/동인(動因)(external agents)들에 의하여 흥분하게 될 수 있는 욕구(sensitive appetite) 안에 있고 그리고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e)가 이성의 판단을 사전 전제 하는(presupposes) 한, 한 개의 정(情, passion)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사람이 사랑(amor)에 의하여 하느님 쪽으로, 위에서 서술되었듯이,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e)의 본성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pertains to, 적절한), 자신의 이성에 의하여 그가 그분 쪽으로 어떻게든지 잡아 당겨질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이, 말하자면 그분에 의하여 정(情)적으로/수동적으로(passively) 잡아당겨지듯이, 기울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로, 사랑(amor)은 '[특정 대상 쪽으로] 사전(事前, beforehand) 선호(選好), 편애(偏愛)'/애모(愛慕)(dilection, dilectioe)보다 더 하느님께 합당합니다(Godlike).

 

Article 4. Whether love (amor) is properly divided into love of friendship (amorem amicitiae) and love of concupiscence (amorem concupiscentiae)?

 

제4조. 사랑(amor)이 우의(友誼)에 기인하는 사랑(amorem amicitiae)과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에 기인하는 사랑(amorem concupiscence)으로 적절하게 구분되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love (amor) is not properly divided into love of friendship and love of concupiscence. For "love (amor) is a passion, while friendship(amicitia) is a habit," according to the Philosopher (Ethic. viii, 5). But habit cannot be the member of a division of passions. Therefore love (amor) is not properly divided into love of concupiscence and love of friendship.

 

반대 1. 사랑(amor)이 우의(友誼)에 기인하는 사랑(amorem amicitiae)과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에 기인하는 사랑(amorem concupiscence)으로 적절하게(properly) 나누어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는, 철학자에 따르면(Ethic. viii, 5), "사랑(amor)은 어떤 정(情, passion)이나, 그렇지민 우의(友誼, friendship, amicitia)는 어떤 습관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습관은 정(情, passion)의 한 부분(a division)의 구성원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랑(amor)은 우의(友誼)에 기인하는 사랑(amorem amicitiae)과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에 기인하는 사랑(amorem concupiscence)으로 적절하게 나누어지지 않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a thing cannot be divided by another member of the same division; for man is not a member of the same division as "animal." But concupiscence is a member of the same division as love (amori), as a passion distinct from love (amore). Therefore concupiscence is not a division of love (amor).

 

반대 2. 게다가, 어떤 사물은 동일한 부분의 또다른 구성원에 의하여 구분될 수 없는데, 이는 사람(man)이 "동물(animal)"과 동일한 부분의 한 구성원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concupiscence)은, 사랑(amor)과 구분되는 한 개의 정(情, passion)으로서, 사랑(amor)과 동일한 부분의 한 구성원입니다. 그러므로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concupiscence)은 사랑(amor)의 한 부분이 아닙니다.

 

Objection 3. Further, according to the Philosopher (Ethic. viii, 3) friendship(amicitia) is threefold, that which is founded on "usefulness," that which is founded on "pleasure," and that which is founded on "goodness." But useful and pleasant friendship are not without concupiscence. Therefore concupiscence should not be contrasted with friendship.

 

반대 3. 게다가, 철학자에 따르면(Ethic. viii, 3) 우의(友誼, friendship, amicitia)는 다음과 같이 3겹입니다(threefold): "유용성(usefulness)"에 기초가 세워진 바로 그것, "즐거움(pleasure)"에 기초가 세워진 바로 그것, 그리고 "선함(goodness)"에 기초가 세워진 바로 그것. 그러나 유용하고(useful) 그리고 즐거운(pleasant) 우의(友誼)들은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concupiscence) 없이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concupiscence)은 우의(友誼)와 마땅히 대조되지 말아야 합니다.

 

On the contrary, We are said to love certain things, because we desire them: thus "a man is said to love wine, on account of its sweetness which he desires"; as stated in Topic. ii, 3. But we have no friendship for wine and suchlike things, as stated in Ethic. viii, 2. Therefore love of concupiscence (amor concupiscentiae) is distinct from love of friendship (amor amicitiae).

 

이와는 달리, 우리는 특정한 사물들을 사랑한다고 말해지는데, 왜냐하면 우리가 그들을 다음과 같이 욕망하기(desire) 때문입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Topic. ii, 3에서 서술되었듯이, "한 사람은 포도주를, 자신이 욕망하는 그 달콤함의 이유 때문에, 사랑한다" 고 말해집니다. 그러나 우리는, Ethic. viii, 2에서 서술되어 있듯이, 포도주 그리고 그러한 종류의 사물들을 위한 우의(友誼, friendship)를 전혀 가지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concupiscence)에 기인하는 사랑(amor concupiscentiae)은 우의(友誼)에 기인하는 사랑(amor amicitiae)과 다릅니다.

 

I answer that, As the Philosopher says (Rhet. ii, 4), "to love (amare) is to wish good to someone." Hence the movement of love (amoris) has a twofold tendency: towards the good which a man wishes to someone (to himself (sibi) or to another (alii)) and towards that to which he wishes some good. Accordingly, man has love of concupiscence (amor concupiscentiae) towards the good that he wishes to another, and love of friendship (amor amicitiae) towards him to whom he wishes good.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철학자가 말하듯이(Rhet. ii, 4), "사랑하는 것(to love, amare)은 어떤 이(someone) 쪽으로 선을 의도하는 것입니다(velle, will)."(*) 따라서 사랑의(amaris) 움직임은 다음과 같이 어떤 2겹(twofold)의 경향(tendency)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 사람이 어떤 이(someone) 쪽으로 (자기 자신(himself, sibi) 쪽으로 혹은 다른 이(another, alii) 쪽으로) 의도하는(velle, will) 선(good)을 향하여 그리고 그 쪽으로 자신이 어떠한 선을 의도하는(velle, will) 바로 그것을 향하여. 그에 따라서, 사람은 자신이 다른 이에게 의도하는(velle, will) 선(good)을 향하여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concupiscence)에 기인하는 사랑(amor concupiscentiae)을 가지고, 그리고, 그자 쪽으로 자신이 선(good)을 의도하는(velle, will), 그자를 향하여 우의(友誼)에 기인하는 사랑(amor amicitiae)을 가집니다.

 

-----
(*) 번역자 주: 이 문장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 따라서,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에서 "사랑하다(to love)" 라는 동사의 정의(definition)로 수용되었다. 그리고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66항에 대단히 중대한 번역 오류가 있다는 지적의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36.htm
-----

 

Now the members of this division are related as primary and secondary: since that which is loved with the love of friendship is loved simply and for itself; whereas that which is loved with the love of concupiscence, is loved, not simply and for itself, but for something else. For just as that which has existence, is a being simply, while that which exists in another is a relative being; so, because good is convertible with being, the good, which itself has goodness, is good simply; but that which is another's good, is a relative good. Consequently the love (amor) with which a thing is loved (amatur), that it may have some good, is love (amor) simply; while the love (amor), with which a thing is loved (amatur), that it may be another's good, is relative love (amor).

 

그런데 바로 이 부분의 구성원들은 주된 것 그리고 부차적인 것으로서 관련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우의(友誼)에 기인하는 사랑(amor amicitiae)과 함께 사랑받게 되는 바로 그것은 단체(單體)적으로 그리고 단독으로(for itself) 사랑받게 되는 것이나, 이와는 달리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concupiscence)에 기인하는 사랑(amor concupiscentiae)과 함께 사랑받게 되는 바로 그것은 단체(單體)적으로 그리고 단독으로가 아니라 이외의 그 무엇을 위하여서 입니다. 이는 존재를 가지고 있는 바로 그것이 한 개의 단체(單體)적 있음(a simple being)인 것과 꼭 마찬가지로, 이와는 달리 다른 사물 안에 존재하는 바로 그것은 한 개의 상대적 있음(a relative being)이어서, 그래서, 왜냐하면 선(good)은 있음(being)과 바꾸어 말할 수 있기(convertible with) 때문에, 그 스스로 선함을 가지고 있는, 선한 것은 단체(單體)적으로 선이나, 그러나 다른 사물의 선인 바로 그것은 한 개의 상대적인 선이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로 그것으로써, 어떠한 선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한 사물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amor)은 단체(單體)적 사랑이나, 이와는 달리 그것으로써, 다른 사물의 선일 수도 있는, 한 사물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amor)은 상대적인 사랑(amor)입니다.

 

Reply to Objection 1. Love (amor) is not divided into friendship and concupiscence, but into love of friendship, and love of concupiscence. For a friend is, properly speaking, one to whom we wish good: while we are said to desire, what we wish for ourselves.

 

반대 1에 대한 답변. 사랑이 우의(友誼, friendship)와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concupiscence)으로 나누어지는 것이 아니고, 우의(友誼)에 기인하는 사랑과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concupiscence)에 기인하는 사랑으로 나누어집니다. 이는 어떤 벗(a friend)란, 고유하게 말하여, 그자 쪽으로 우리가 선을 의도하는(velle, will) 자를 말하고, 이와는 달리 우리는 우리들 자신들을 위하여 우리가 의도하는(velle, will) 바를 욕망한다고 말해지기 때문입니다.

 

Hence the Reply to the Second Objection.

 

이 사실로부터 반대 2에 대한 답변이 유래합니다.

 

Reply to Objection 3. When friendship is based on usefulness or pleasure, a man does indeed wish his friend some good: and in this respect the character of friendship is preserved. But since he refers this good further to his own pleasure or use, the result is that friendship of the useful or pleasant, in so far as it is connected with love of concupiscence (amorem concupiscentiae), loses the character to true friendship.

 

반대 3에 대한 답변. 우의(友誼, friendship)가 유용성(usefulness) 혹은 즐거움(pleasure)에 근거하고 있을 때에, 한 사람은 자신의 벗에게 어떠한 선(some good)을 정말로 의도하며(velle, will), 그리고 바로 이러한 점에 있어 우의(友誼, friendship)의 특성은 보존됩니다. 그러나 그가 바로 이 선을 더 나아가 자신의 고유한 즐거움 혹은 유용(use) 쪽으로 언급하기에, 그 결과는, 유용한 것 혹은 즐거운 것으로 이루어진 우의(友誼, friendship)는, 그것이 사욕편정(私慾偏情)/사욕(私慾)(concupiscence)에 기인하는 사랑과 관련된 한, 참된 우의(友誼)(true friendship) 쪽으로 특성을 상실합니다.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752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