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질투하는 하느님 혹은 시기하는 하느님??? - 탈출 20:5; 34,14 [번역오류] 1035_시기vs질투 1032_heart

인쇄

시기vs질투 -10 [218.55.90.*]

2014-01-23 ㅣ No.1510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질문:

 

질문 1:

> 탈출 20,5과 탈출 34,14에 하느님은 질투하는 하느님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 여기서 하느님께서 질투하시는 대상이 누구인지요?
> 이방신과 불륜을 저지르는 이스라엘 백성인지요?
> 아니면 이스라엘과 불륜을 저지르는 이방신인가요?
>
질문 2:
> 그리고 히브리어에도 우리 나라와 같이 질투와 시기라는 단어가
> 분리되어 사용되고 있는지요?
> 저는 하느님께서 질투하시는 대상이 이스라엘 백성이 이방신을 섬기는
> 것에 대해 당신께서 가장 사랑하는 백성이 다른 신을 섬기는 것을 질투하는
> 것으로 이해가 되고 있습니다.
>
> 이때 시기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어떤 면이 있다고 느껴지는데
> 시기와 질투 차이가 조금 애매한 부분이 있어서 하느님을 시기하시는
> 하느님으로 이해해도 좋은지도 궁금합니다.
>
> 아니면 질투, 시기 둘다 좋은 표현인지도 궁금합니다.
> 히브리어에서는 어떤 의미로 쓰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고맙습니다.
>

--------------------

 

1. 위의 질문 2에 대한 "한님성서연구소" 측의 답변:

 

게시자 주 1: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아래의 발췌문 중의 일부 문장을 굵게 표시하고 또 색깔을 넣은 것은 이 글의 필자가 한 것있니다:

 

출처: http://biblicum.or.kr/bbs/board.php?bo_table=QnA&wr_id=1114&page=0&sca=&sfl
=&stx=&spt=0&page=0&cwin=#c_1116

 

(발췌 시작)

질문하신 것처럼, ‘질투하시는 하느님’은 성경에 자주 나타나는 표현입니다. 그리고 성경에서 “질투”란 기본적으로 남편이 아내의 불륜을 의심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뜻하지요(민수 5,14: “남편이 질투심에 사로잡혀 실제로 몸을 더럽힌 아내를 의심하게 되거나…….” 등).

기원전 8세기경 활동한 예언자 호세아부터 하느님과 이스라엘의 계약 관계는 혼인으로 비유되어왔기 때문에(호세 2,21: “나는 너를 영원히 아내로 삼으리라. 정의와 공정으로써 신의와 자비로써 너를 아내로 삼으리라”), 이스라엘이 계약을 파기하고 다른 우상들을 섬기는 것은 남편이신 하느님을 배신하는 행위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부정한 신부 이스라엘에 대해 하느님이 느끼시는 분노는 남편의 “질투”로 표현될 수 있었고요. 그 때문에 '질투하시는 하느님'이라는 표현도 생겨날 수 있었지요.

그래서 성경은 우상 숭배를 이스라엘의 “불륜”처럼 묘사하기도 합니다(에제 16,16-17: “…….울긋불긋한 산당들을 꾸미고 그 위에서 불륜을 저질렀다…….”; 호세 2,4: “…….너희 어미는 내 아내가 아니고 나는 그의 남편이 아니다. 그 얼굴에서 불륜을, 그 젖가슴 사이에서 간음을 치워 버리라고 하여라”).

더불어 같은 이유로 ‘질투하시는 하느님’이라는 표현에는 “시기”라는 단어가 적당하지 않습니다.
현대 히브리어에서는 “질투”를 ‘킨아’()라고 하고요, 고대 히브리어에서도 동일합니다.(*1) 그러나 “시기”라는 것은 질투 때문에 미워하는 마음’까지 표현하는 것이므로, ‘짜롯 아인()으로  표현됩니다. 직역하면, ‘눈의 거슬림’지요.  

 

----- 

[내용 추가 일자: 2021년 3월 22일]
(*1) 게시자 주: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탈출기 20,5에서 영어 단어 "jealous"에 대응하는 히브리어 단어가 ""임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biblehub.com/text/exodus/20-5.htm <----- 여기를 클릭하여 필히 확인하라

 

(2) 다른 한편으로, "한님성서연구소" 측의 답변자가 영어 단어 "jealousy"에 대응하는 한자 번역 용어가 "질투"이라고 알고 있음이 명백한 오류임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글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89.htm <----- 또한 필독 권고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아무리 바쁘더라도, 제2-11항, 제2-12항, 그리고 제2-13항을 꼭 학습하도록 하라.

[이상, 2021년 3월 22일자 내용 추가 끝]

-----

 

2. 위의 제1항에 발췌한 위의 질문 2에 대한 "한님성서연구소" 측의 답변에 대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지적: 

 

게시자 주 2:
(1) 위의 제1항에 발췌한 "한님성서연구소" 측의 답변에는 질문 1에 대한 답변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는데, 아래의 질문 4에 대한 답변이 선행되어야만 질문 1에 대한 답변을 제시할 수 있음에 주목하십시오. 그리고 질문 1에 대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답변은 이 글의 제일 마지막에 있습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에 발췌한 "한님성서연구소" 측의 답변에서, "새 번역 성경"의 민수기 5,14 “남편이 질투에 사로잡혀 실제로 몸을 더럽힌 아내를 의심하게 되거나…….”를 첫 번째 예로 들었는데, 바로 이 우리말 번역문에서 "질투"로 번역된 표현은 "NAB" 민수기 5,14에서 "jealousy"로 번역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소위 말하는 칠죄종들 중의 하나로서 성경 본문 및 천주교 교리서 등에서 영어로 "envy" 로 번역되는 표현을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한문 문화권에서 嫉妬(질투)로 번역해 온 것이, 중국 명나라 말기에 , 예수회 소속의 마테오 리치 신부와 판토하 신부 등에 의하여, 한문 문화권으로 천주교가 처음 전파될 때까지 거슬러 올라가므로(아래의 제3-2-2-3항 필독 권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는, "jealousy"를, 위의 제1항에 발췌한 발췌문의 작성자처럼 "질투"로 번역하여서는 아니 되고, "시기"로 번역하여야 한다고 그동안 말씀드려왔던 것입니다.

 

(3) 더 나아가, 유구한 가톨릭 교회의 역사 안에서 마련되었고 또 가톨릭 보편 교회의 교도권에 의하여 받아들여진/수용된 교부들과 주석자들의 전통적 가르침들, 특히,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 주어진 가르침들 중에서, 예를 들어, "천학초함"에 실려있는 "천주실의" "칠극" 등과 같은, 이미 우리말 혹은 한문으로 번역이 되어 중국과 우리나라라는 지역 교회들 안에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잘 보존되어 전달되어 내려오고 있는 다수의 천주교 문헌들/자료들까지 별다른 개념적 혼동/혼란 없이 손쉽게 활용하여 신앙과 윤리에 있어 사고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면, 중국과 우리나라라는 지역 교회 안에서 이미 번역 용어들로 채택되어 수용이 된,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초자연적 개념들을 나타내는, "우리말 혹은 한자 단어인 신학적 용어"들을 앞으로도 계속하여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데, 바로 이러한 관점의 중요성을 인지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는, "jealousy""시기"로 번역하고 그리고 "envy""질투"로 번역하여야 함을 지금까지 말씀드려 왔던 것입니다. "jealousy""시기"로 번역하고 그리고 "envy""질투"로 번역함으로써, 예를 들어, 위의 질문 1에 대한 우리말 답변을, 일관성있게 연역적 추론(deductive reasoning)에 의하여, 그리 어렵지 않게 도출할 수 있게 됨에 주목하십시오.
(이상, 게시자 주 2 끝).

 

2-1. 우선적으로, 위의 제1항에 발췌한 발췌문에서

 

 " ‘질투하시는 하느님’이라는 표현에는 “시기”라는 단어가 적당하지 않습니다."

 

라는 언급은 있으나, 그러나, 이어지는 문장에서 답변자가, ‘킨아’() 를, "시기" 로 번역하지 않고, "질투" 로 번역한 것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이 눈에 들어옵니다.

 

2-2. 두 번째로, 위의 제1항에 발췌한 발췌문에서, "시기" 라는 번역 표현을 모두 "envy" 로 바꾸고, 그리고 "질투" 라는 번역 표현을 모두 "jealousy" 로 바꾸면, 위의 제1항에 발췌한 발췌문은 그동안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말씀드린 바와 "대부분" 동일한 내용을 말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즉, 무슨 말씀인고 하면, 위의 제1항의 발췌문을 작성한 분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이글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하여, 우리말 대신에, 예를 들어, 영어(English)로 대화를 한다면, 별로 이견이 있을 수 없다는 생각입니다.

  

다만 에외적으로, 제1항에 발췌한 발췌문에서, 

 

-  “시기”라는 것은 질투 때문에 미워하는 마음’까지 표현하는 것 -

 

이라는 언급과 관련하여, 아래의 제3항에서 살펴볼 것입니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에 의하면 "시기"라는 단어의 의미에는 "미워함"이 이미 포함되어 있기에, 바로 위의 문장에서 "‘질투 때문에 미워하는 마음’까지 표현하는 것" 이 무슨 의미인지 제대로 이해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며, 따라서, 바로 위의 문장의 의미가 바로 아래의, 필자가 이미 말씀드린, 문장의 의미와 동일한 의미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  "질투(envy)하는 자들은 오로지 시기(jealousy)하는 자들 중에서만 있을 수 있다." -

 

게시자 주 2-1: 바로 위의 문장은 다음의 문장과 논리적 등가/동치입니다:,

 

- "시기(jealousy)하지 않는 자들은 질투(envy)하지 않는다." -

 

 

- "질투(envy)시기(jealousy)에 포함된다. -

 

그러므로, 우리의 심장(heart)을 우리에 대한 하느님의 시기하는(jealous) 사랑으로 더욱 더 채움으로써 시기하지 않는 사랑인(1 코린토 13,4) 하느님에 대한 우리의 사랑(애덕, caritas)이 더욱 더 증가되는 만큼 시기(jealousy)는 더욱 더 감소되어, 드디어 칠죄종들 중의 하나인 질투(envy)가 우리의 심장에서 더욱 더 소멸되는 것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2-3. 따라서, 남은 문제는,

 

질문 3: 탈출기 20,5탈출기 34,14의 본문들에 있어, 영어로 "jealous" 로 번역되는 표현을, 우리말로 번역을 할 때에 도대체 무슨 이유로, "질투하다"아닌, "시기하다"로 번역하여야 하는가? 하는 문제와

 

질문 4: "jealousy" "envy"의 차이점이 무엇인가?

 

하는 것뿐입니다.

 

3.

3-1. (질문 3에 대한 첫 번째 답변)

3-1-1. 다음은, 네이버국어사전과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질투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1: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6217800
출처 2: http://124.137.201.223/search/View.jsp

(발췌 시작)
질투(嫉妬/嫉?)
명사
(1) 부부 사이나 사랑하는 이성(異性) 사이에서 상대되는 이성이 다른 이성을 좋아할 경우에 지나치게 시기함. [비슷한 말] 강샘ㆍ모질3ㆍ투기6.
(2) 다른 사람이 잘되거나 좋은 처지에 있는 것 따위를 공연히 미워하고 깎아내리려 함.
(3) <가톨릭> 칠죄종(七罪宗)의 하나. 우월한 사람을 시기하는 일을 이른다.
(이상, 발췌 끝)

 

3-1-2. 그리고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시기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발췌 시작)

시기(猜忌)
명사

남이 잘되는 것을 샘하여 미워함. 

(이상, 발췌 끝)

 

3-1-3: 그런데 위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질투"에 대한 설명과 "시기"에 대한 설명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서 잘 읽어 보면 다음의 사실을 그리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습니다:  

 

(i) 바로 위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시기(猜忌)" 라는 단어에 대한 한 개뿐인 설명은,
(i-1) "너와 나" 이렇게 두 사람 사이에서 "시기(猜忌)"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그리고
(i-2) 위의 제2-3-1-1항에 주어진 "질투(嫉妬)" 라는 단어에 대한 표준국어대사전의 두 번째 설명 (2)대동소이(大同小異)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즉, 위의 제2-3-1-1항에 주어진 "질투(嫉妬)" 라는 단어에 대한 표준국어대사전의 두 번째 설명 (2)의 경우에, 질투(嫉妬) = 시기(猜忌) (논리적 등가/동치)이고 그리고 "너와 나" 이렇게 두 사람 사이에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들 두 단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제대로 구분되지 않습니다.

 

(ii) 다른 한편으로, 위의 제2-3-1-1항에 주어진 표준국어대사전의 "질투(嫉妬)" 라는 단어에 대한 첫 번째 설명 (1)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즉, 삼각 관계에서, 즉 세 사람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 문장 (1)의 끝부분에서 "지나치게 시기함" 이라는 표현에 있어서의 "시기"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시기(猜忌)"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이 단 한 개뿐이기 때문에바로 위의 (i)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질투(嫉妬)"의 의미를 이미 지니고 있습니다.


(iii) 그러므로, 위의 제2-3-1-1항에 주어진 표준국어대사전의 "질투(嫉妬)" 라는 단에에 대한 첫 번째 설명 (1)은,  소위 말하는논리적 악순환(vicious circle/cycle)에 빠져 있습니다. 왜냐하면, 바로 위의 (i)에서 알게 된 바 때문에, 그 의미를 정의하고자(to define) 하는 주어(subject) "질투(嫉妬)"를, 정의하는 문장인 서술문(predicate)에서 또한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바로 제2-3-1-1항에 주어진 표준국어대사전의 "질투(嫉妬)" 라는 단어에 대한 첫 번째 설명 (1)이기 때문입니다

 

지금 바로 위의 (i), (ii), 그리고 (iii)에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구체적으로 지적한 이 문제와 관련하여, 즉, 우리말 혹은 한자 단어로서, "질투"와 "시기"의 차이점이 제대로 구분되지 않는 점에 대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문예창작학, 중문학, 영문학 등의 분야의 인문학 전공 교수들로부터  획득한 소견(所見)들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49.htm <----- 필독 권고

 

결론은, 인문학 분야의 전공 교수들임에도 불구하고, 차용된 번역 용어들이 아닌, 우리말 혹은 한자 단어로서의 이들 두 개의 한자 단어들의 구체적인 차이점을 모른다고 합니다.
 

(iv) 다른 한 편으로, 제2-3-1-1항에 주어진 표준국어대사전의 "질투(嫉妬)" 라는 단어에 대한 세 번째 설명 (3)은, 중국과 우리나라 가톨릭 교회에서 전통적으로 설명해차용된 번역 용어로서의 "질투(嫉妬)"의 의미를 그대로 따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질투(嫉妬)"에 대한 세 번째 설명(3) 에 의하여번역서인 성경 본문의 용어 및 교리 용어로 사용되는 질투(嫉妬)라는 차용된 번역 용어일곱 개의 차용된 번역 용어들을 말하는 칠죄종(七罪宗) 중의 하나이므로, 하느님(God)께 결코 사용될 수 없습니.

 

즉, 차용된 번역 표현으로서 "질투하는 하느님" 이라는 표현 자체가, 한 마디로, 어불성설입니다.

 

심각한 번역 오류에 대한 더 자세한 글들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envy_vs_jealousy_concept_error.htm <----- 필독 권고

 

3-2. (질문 3에 대한 두 번째 답변 시작)

3-2-1. 다음은 위의 제1항에 있는 발췌문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발췌 시작)
“시기”라는 것은 질투 때문에 미워하는 마음’까지 표현하는 것이므로, ‘짜롯 아인()으로  표현됩니다. 직역하면, ‘눈의 거슬림’지요.  
(이상, 발췌 끝)

바로 위의 문장에서, "시기" "envy" 로 대체하고, "질투""jealousy" 로 대체하면 다음의 문장이 됩니다:

“envy”라는 것은 jealousy 때문에 미워하는 마음’까지 표현하는 것이므로, ‘짜롯 아인()으로  표현됩니다. 직역하면, ‘눈의 거슬림’지요.  -- (**) 

즉, 위의 제1항에 발췌된 발췌문은,  영어로 "envy" 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  ‘짜롯 아인()을 우리말로 직역하면 '눈의 거슬림' 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3-2-2.

3-2-2-1. 대단히 다행스럽게도,  그 뜻이 ‘곁눈질로 보다’ 또는 ‘의심쩍은 눈으로 보다’ 인 번역 용어가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 "envy" (라틴어: invidia) 를 설명하면서 이미 주어져 있으며, 그리고 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다음의 발췌문에 주어진 설명은, 위의 (**) 와에 주어진 설명과 대동소이(大同小異)하다는 것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아래의 제3-3-1항에서 신뢰할 수 있는 문헌의 설명과 함께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겠지만, 영어로 "jealousy"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 '킨아()는, 혹시라도 발생한다면 두 명의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눈의 거슬림' 혹은 '곁눈질로 보다' 혹은 '의심쩍은 눈으로 보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또한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의 제3-3-2항에 발췌한 영어 설명을 꼭 읽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또한, 다음의 중국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한자자전인 漢典에 주어진 "嫉?(질투)"의 설명에는 다음의 영어 설명이 주어져 있습니다:

출처: http://www.zdic.net/c/9/145/318495.htm

(발췌 시작)

嫉? 

[envious; be green with envy [질투로 새파랗게/초록색이 되다]; be lost in envy; jealous] 因人??自己而?生的忌恨心理

(이상, 발췌 끝]

 

이미 말씀드렸지만, 질투(envy)시기(jealousy)에 포함되며, 그리고 바로 위의 설명에 의하면, "질투"에 관련된 색깔이 초록(green)이라고 중국 문화권에 이미 알려져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독자들께서는 위의 (**)와 바로 다음의 발췌문들에 주어진 설명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3358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질투

한자: 嫉妬 

라틴어: invidia

영어: envy

 

... 의 어원은 라틴어 ‘invidia’ 또는 ‘invidere’이며, 그 뜻은 ‘곁눈질로 보다’ 또는 ‘의심쩍은 눈으로 보다’이다.

(이상, 발췌 끝).

 

     다음은 중국 문화권에서 사용하는 天主敎英漢袖珍辭典에 주어진 "envy"에 대한 설명입니다. 바로 위의 발췌문에서와 동일하게,  "envy""질투" 로 번역하고 있으며, 칠죄종들의 하나라고 또한 설명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www.peterpoon.idv.hk/Resource/Dictionary/E.htm


(발췌 시작)

envy :嫉?:七罪宗之一。參閱 sins, capital

(이상, 발췌 끝)

 

     그리고 "envy" 로 번역되는 표현의 의미가, 그리스 시대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정의(definition)를 따르고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음을 또한 언급하고 있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을 반드시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8.htm <----- 필독 권고

 

3-2-2-2. 교황청 홉페이지 제공의 중국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59항에서 영어로 "envy" 로 번역되는 표현을 嫉妬 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중국어본 성경의 탈출기 20,5 및 탈출기 34,14에서 영어로 "jealous"로 번역되는 표현을, 嫉妬 , 忌邪(기사)의 형용사형으로 번역하였습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의 마지막 부분을 반드시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6.htm <----- 꼭 클릭하여 확인하십시오

 

3-2-2-3. 더구나, 영어로 "envy" 로 번역되는 표현을 嫉妬(질투) 로 번역해 온 것이, 중국 명나라 말기에 천주교가, 예수회 소속의 마테오 리치 신부와 판토하 신부 등에 의하여, 한문 문화권으로 전파될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는 알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에 있는, 예를 들어, 판토하 신부가 원 저자인 "칠극(七克)""평투(平妬: 질투를 다스린다)" 편이 구체적으로 입증합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29.htm <----- 또한 꼭 클릭하여 확인하십시오

 

3-3. (질문 3에 대한 두 번째 답변 계속)

3-3-1. 다음은, 필자가 소장 중인, St. Joseph 판 NAB의 부록인 Bible Dictionary에 주어진 "jealous (God)"에 대한 설명입니다:

 

게시자 주 3-3-1: 바로 아래의 발췌문의 우리말 번역에서, 위의 제3-1-3항 (iv)제3-2항에서 이미 말씀드린 바에 따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는 "jealousy" 를, "嫉妬(질투)" 가 아닌"시기(猜忌)" 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발췌 시작)

jealous (God)

 

This is the translation used for a Hebrew verb which contains the concept of ardor, zealous, and prompt to chastise sinners (Ex 20, 5). God is also termed jealous because since he is unique he cannot allow man not to render single-minded worship to him (Ex 34, 14).

 

시기하는(jealous) [하느님(God)]

 

이것은, 열정(ardor), 열광적인(zealous), 그리고 죄인들을  벌하는 것을 촉구하는(탈출 20,5) 개념을 포함하는, 한 개의 히브리어 동사에 대하여 사용되는 번역입니다.(*) 하느님께서는 또한 시기하신다(jealous)고 불리는데 왜냐하면 당신께서는 유일하시기에 사람이 한결같은 경배를 당신께 드리지 않는 것을 당신께서 묵인할 수 없으시기(cannot allow) 때문입니다(탈출 34,14).(**)


-----

(*) 번역자 주: 이러한 설명 근거는, 예를 들어, 그리스어본 칠십인역 구약 성경의 탈출기 20,5에서 번역 용어로 선택되었던 그리스어 단어 ζηλωτης 때문이다. 다음의 자료들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라:

 

그리스어본 칠십인역 성경 및 대중 라틴말 성경 탈출기 20,5: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exo020.htm
(발췌 시작)
ο? προσκυν?σεις α?το?ς ο?δ? μ? λατρε?σ?ς α?το?ς ?γ? γ?ρ ε?μι κ?ριος ? θε?ς σου θε?ς ζηλωτ?ς ?ποδιδο?ς ?μαρτ?ας πατ?ρων ?π? τ?κνα ?ως τρ?της κα? τετ?ρτης γενε?ς το?ς μισο?σ?ν με

Non adorabis ea, neque coles: ego sum Dominus Deus tuus fortis, zelotes, visitans iniquitatem patrum in filios, in tertiam et quartam generationem eorum qui oderunt me: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biblehub.com/multi/exodus/20-5.htm
(발췌 시작)
Exodus 20:5 Greek OT: Septuagint
ου προσκυνησεις αυτοις ουδε μη λατρευσης αυτοις εγω γαρ ειμι κυριος ο θεος σου θεος ζηλωτης(***) αποδιδους αμαρτιας πατερων επι τεκνα εως τριτης και τεταρτης γενεας τοις μισουσιν με

 

-----
(***) 번역자 주: 이 그리스어의 어원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있다:
http://biblehub.com/thayers/2207.htm

 

또한 다음의 설명들도 함께 들여다 보도록 하라:

http://biblehub.com/thayers/2208.htm

http://biblehub.com/thayers/2206.htm 
http://biblehub.com/thayers/2205b.htm

http://biblehub.com/thayers/2205a.htm

http://biblehub.com/thayers/2205.htm

-----
이상, 발췌 끝)


(발췌 시작)
Exodus 20:5 Greek OT: Septuagint Transliterated
ou proskun?seis autois oude m? latreus?s autois eg? gar eimi kurios o theos sou theos z?l?t?s apodidous amartias pater?n epi tekna e?s trit?s kai tetart?s geneas tois misousin me
(이상, 발췌 끝)


그리스어 - 영어 사전:
출처: http://www.wordreference.com/gren/%20ζηλωτ?ς

ζηλωτ?ς = zealot


(**) 번역자 주: 위의 설명 어디에도, 혹시라도 발생한다면 두 명의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눈의 거슬림' 혹은 '곁눈질로 보다' 혹은 '의심쩍은 눈으로 보다' 등의 의미가 있다는 언급이 없음에 주목하라.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3-2. 다음은 "jealousy"에 대한 영문 설명입니다. 이 설명은  "jealousy"가 히브리어  '킨아() 에 대응하는 영어 번역 용어임을 말하고 있으며, 그리고 "jealousy"에 대한 설명의 앞부분에서, 그동안 필자가 전달해드린, 혹시라도 발생한다면, 삼각 관계, 즉 세 명의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jealousy(시기)"의 의미와 대동소이(大同小異)한 의미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츌처: http://www.doitinhebrew.com/Translate/Default.aspx?kb=US%20US&l1=en&l2=iw&s=1&txt=jealousy

(발췌 시작)

Translation: English to Hebrew  
 jealousy   |      
 

Morfix.co.il Dictionary  view results 

jealousy  noun       
--------------------------------------------------------------------------------
 
doitinHebrew.com Phonetic Translation

 jealousy  noun      kin'ah (주: 킨아)
--------------------------------------------------------------------------------
 
LingvoZone Dictionary  view results  
N.      

doitinHebrew.com Phonetic Translation 
N.     kin'ah,  tzarut ayin,  tz'hiyvah  

--------------------------------------------------------------------------------

Milon.co.il Dictionary  view results 
jealousy

--------------------------------------------------------------------------------

English-Hebrew 

jealousy

          

Wikipedia English - The Free Encyclopedia 

Jealousy
Jealousy typically refers to the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that occur when a person believes a valued relationship is being threatened by a rival. This rival may or may not know that he or she is perceived as a threat. The opposite of jealousy is compersion. The word stems from the French jalousie, formed from jaloux (jealous), and further from Low Latin zelosus (full of zeal), and from the Greek word for "ardour, zeal" (ζ?λος) (with a root connoting "to boil, ferment"; or "yeast").(*)

 

jealousy는 전형적으로, 힌 인격(a person)이 [자신과의] 어떤 가치를 지닌 관계(a valued relationship)(*) 한 명의 경쟁자(a rival)에 의하여 위협을 받고 있다고 믿을(believes) 때에 발생하는 생각(thoughts)들, 느낌(feelings)들, 그리고 처신(behaviors)들에 대하여 언급합니다. 해당 경쟁자(this rival)는 자신이 한 개의 위협으로서 인지되고 있음을 알 수도 있거나 혹은 모를 수도 있습니다. jealousy의 반대어는 compersion 입니다. 이 단어는, jaloux (jealous) 로부터 유래하는, 프랑스어 jalousie 에서 유래하며, 그리고 더 나아가 라틴어 단어 zelosus (full of zeal)로 부터 유래하고, 그리고 ("to boil, ferment"; or "yeast" 를 암시하는 한 개의 어근을 가진) "ardour, zeal" (ζ?λος) 를 나타내는 그리스어 단어로부터 유래합니다.(**)

 

Jealousy is a familiar experience in human relationships. It has been reported in every culture and in many forms where researchers have looked. It has been observed in infants as young as 5-6 months old and in adults over 65 years old. It has been an enduring topic of interest for scientists, artists, and theologians. Psychologists have proposed several models of the processes underlying jealousy and have identified individual differences that influence the expression of jealousy. Sociologists have demonstrated that cultural beliefs and valu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what triggers jealousy and what constitutes socially acceptable expressions of jealousy. Biologists have identified factors that may unconsciously influence the expression of jealousy. Artists have explored the theme of jealousy in photographs, paintings, movies, songs, plays, poems, and books. Theologians have offered religious views of jealousy based on the scriptures of their respective faiths. Despite its familiarity, however, people define jealousy in different ways. Some even mislabel it as being protective of something or someone, when the fact is, it's really simply possessive jealousy itself; and many feel they don't possess effective strategies for coping with this form of jealousy.

 See more at Wikipedia.org...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Wikipedia® and is licensed under the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

(*) 번역자 주: "관계(relation)"는 "나와 너" 이렇게 두 명의 사람들 사이에 설정됨을 꼭 상기하라.
(**) 번역자 주: 위의 설명 어디에도, 혹시라도 발생한다면 두 명의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눈의 거슬림' 혹은 '곁눈질로 보다' 혹은 '의심쩍은 눈으로 보다' 등의 의미가 있다는 언급이 없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

(이상, 발췌 및 일무 분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3-3-3. 따라서,

3-3-3-1. 탈출기 20,5탈출기 34,14에서 "jealous"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는,


(i) 혹시라도 발생한다면 두 명의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제1항에 발췌된 "한님성서연구소" 측의 답변에 의하면 '눈의 거슬림' 이라는 의미를, 혹은 위의 제3-2-2-1항에서 고찰하였듯이 '곁눈질로 보다' 혹은 '의심쩍은 눈으로 보다' 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언급이 위의 제3-3-1항제3-3-2항에서 고찰한 바에 의하면 전혀 없기 때문에, 그리고

(ii) "그러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envy"의 차용된 번역 용어로서 "질투"중국과 우리나라 가톨릭계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전통적으로 사용해 왔기 때문에(제3-2-2-2항 및 제3-2-2-3항),

 

"그러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질투하다"로 번역될 수가 없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3-3-3-2. 따라서, 영어로 "envy" 로 번역되는 히브리어 단어는,

 

(i) 위의 제1항에 발췌된 "한님성서연구소" 측의 답변에서   직역하면, ‘눈의 거슬림’ 라는 의미를 지녔다고 하고, 그리고
(ii) 위의 제3-2-2-1항에서 고찰하였듯이  ‘곁눈질로 보다’ 또는 ‘의심쩍은 눈으로 보다’ 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하는,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에서처럼, "질투"로 번역되어야 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상, 질문 3에 대한 두 번째 답변 끝).

 

4. (질문 4에 대한 답변)

2011년 4월에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마련된, 다음의 주소들에 있는 두 편의 글들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5.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6.htm <----- 또한 필독 권고

 

5. (질문 1에 대한 답변)
이글의 마지막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마련된, 위의 질문 1에 대한 답변을 읽을 수 있습니다. 비록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마련되었기는 하나, 대단히 좋은 내용이라는 생각에 되도록 많은 분들께서 읽으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09.htm <----- 필독 권고

 

작성 중입니다.

 

---------------------------

참고 자료들:

 

jealousy/jealous


http://lovewins.us/bible/IHOT/Exodus%2020:5

http://lovewins.us/bible/IHOT/Exodus%2034:14

http://lovewins.us/bible/strongs/H7067
-----

http://lovewins.us/bible/compare/Proverbs%206:34

http://lovewins.us/bible/strongs/H7068
-----

http://lovewins.us/bible/strongs/H7065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11시간.

 



1,771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