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정의(正義, justice)란 무엇인가? -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799_justice [교리학습_정의] [교리학습_의로움]

인쇄

<- 제일 먼저 읽으십시오 [122.128.44.*]

2010-12-13 ㅣ No.988

 
 
+ 찬미 예수님
 
1.
이 글을 작성하기 며칠 전에, 다음의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청취할 수 있는,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Michael Sandel 교수의 justice(정의, 正義)에 대한 강의 동영상들 일부를 청취하였습니다.
 
 
초대형 강의실에서 강의 시간 중에 대학생들과 진지하게 대화를 하는 강의 방식을 따르고 있는데, 아마도, 되도록 많은 사례들에 대하여 윤리적인 면들합리주의적 인문 철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누구나가 동의하기에 충분한 justice(정의, 正義)의 정의(definition)를 도출하고자 하는 궁극적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고자 마련되고 있는 강의인 듯 합니다. 
 
그런데 매우 유감/실망스럽게도, 아래의 제2항과는 너무도 달리, 위의 홈페이지 어디에도 이러한 강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justice(정의)의 정의(definition)에 대한 분명한 언급은 없는 것 같습니다.
 
2.
이러한 방식과는 달리, 아래의 파란색을 클릭하신 후에 작성된 날짜 순서대로 읽으시면, 즉 아래에서부터 위로 읽으시면, 지난 2008년 6월 8일 이후로 제가 전달해 왔던, 가톨릭 교회가 이미 오래 전부터 확립하여 전통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그리스도교 신자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보편적인, 즉 시공간을 초월하는, justice(정의, 正義)의 정의(definition)가 무엇인지를 그리 어렵지 않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가톨릭 교회가 전통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형이상학적 정의(justice)의 개념의 하위 개념들로서, 분배 정의(distributive justice), 상호 정의(commutative justice)등의 하급의, 즉 상당히 형이하학적인, 여러 정의(justice)들이 있음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필독을 권유합니다.
 
 
위의 글들을 읽어 보시면, 비그리스도교인들이라도 모두가, 시공간을 초월하여, 그 정의(definition)로서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가톨릭 교회가 얼마나 뛰어나게 "정의(justice, 正義)"를 하나의 윤리덕(human virtue)으로서 명확하게 정의하고(define) 있는지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위의 글들 중에서 교황님의 역할 IV 이라는 제목의 글에, 정의(justice)와 공동선(common good)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그리고 사랑(charity)와 정의(justice)의 관계를 대단히 명쾌하게 가르치고 있는,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세 번째 회칙 (제목: 진리 안의 사랑) 중의 제6항 및 제7항을, 모두가 손쉽게 영어본/우리말본을 비교/검토하면서 읽으실 수 있도록, 참고 자료 3으로 추가하였습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735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