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욥기 15,29, 그의 재산은 일지도 = 그의 재산은 지속하지도 [성경공부_용어번역]

인쇄

2011-02-25 오전 10:23: [122.128.45.*]

2011-02-28 ㅣ No.1019

 
 
질문:
 
저는 이제 세례를 받은지 얼마안되었는데 성경공부를 하고있는 신참교우 입니다.
그런데 이해가 가지않는 부분이 상당히 많은데 이부분은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
 
 욥기 제15장29절 입니다.
 
그는 부자가 되지도 못하고 그의 재산은 일지도,
그의 소유는 땅에서 불어나지도 못한다네.
 
이부분에서 재산은 일지도 무슨뜻인지요?
고귀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 찬미 예수님
 
 
욥기 15,29
 
 
공동 번역 성서
 
29 그의 재산은 불어나지도, 오래 붙어 있지도 않아 땅에 뿌리를 전혀 뻗지 못하네.
 
-----
 
새 번역 성경
 
  29 그는 부자가 되지도 못하고 그의 재산은 일지도, 그의 소유는 땅에서 불어나지도 못한다네.
 
---------- 
 
 
따라서,
 
새 번역 성경 욥기 15,29에서 "그의 재산은 일지도" 는
 
"그의 재산은 불어나지도", 혹은 "그의 재산은 늘어나지도" 의 의미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그는 재산을 일구지도" 라는 의미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1. 그런데, 공동번역 성서에서 사용된 누구나 쉽게 이해하는 우리말인 "불어나지도" 가 다소 생소한 우리말인 "일지도" 로 교체된 이유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2. 그리고 "동사"를 사용하여 어떤 움직임(movement)/상태의 변화를 표현할 때에 수동으로 혹은 능동으로 나타내게 되는데 (따라서 능동 혹은 수동으로 표현하기 이전에 그러한 표현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꼭 같은 움직임/상태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먼저 있기에, 이것을 능동 혹은 수동으로 표현하는 것은 이차적인/부수적인 것임), 욥기 15,29의 경우에 있어,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동을 나타내는 "일구다" 라는 동사를 사용하는 대신에, 다소 생소한, 능동을 나타내는 "일다" 동사를 사용하였는지도 그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3. 다른 한 편으로, 여기를 클릭하면, 네이버 국어사전에 실린 
 
1) "일다" 가 "일구다"의 잘못,
 
2) "일구다"의 북한어
 
라는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일구다" 가 "이루다"의 함경도 방언
 
이라는 네이버 국어사전의 설명을 또한 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의 추측이지만, 욥기 15,29를 번역한 분의 고향이 북한 지역이었는지 하여튼 "일다" 라는 표현이 자신에게는 생소하게 느껴지지 않았던 것이, 더 나아가 "불어나다" 혹은 "늘어나다"라는 표현보다 더 친숙하게 느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리고, 사용할 동사의 선정 이후에, 이 동사를 능동으로 표현하거나 혹은 수동으로 표현하는 것은, 여전히 누구가 하던지간에 전달하고자 하는 같은 의미를 보존하도록 표현해 주어야 하므로, 그 다음의 이차적인/부차적인 문제라는 생각입니다.
 
4.
 
욥기 15,29에서 "일지도"가 무슨 의미로 쓰였는지에 대하여 번역자가 구체적으로 밝히기까지, 공동번역 성서에서 "불어나지도"라고 표현한대로 그 의미를 이해하여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말씀드린 글의 요지이며,
 
저의 글의 나머지 부분은, 제가 찾아 본 자료들의 제시와 함께, "일지도"가 무슨 의미인지에 대하여 그리고 왜 그러한 표현을 사용하였는지에 대하여 살펴 본 것이니, 제가 드린 그러한 설명/추측 부분들이 이해가 되지 않으시면 그냥 지나치십시오.
 
우리말 사전들 몇 개를 찾아 본 결과, "일다" 라는 동사와 "일구다" 라는 동사 둘 다가 흙을 부풀어 오르게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움직임을 유발하기에 같은 개념/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가 지금 말씀드린 이러한 설명을 하지 않고, 그날 바쁜 일정 관계로, 
 
"일다" = "일구다" 따라서 그의 재산은 일지도 = 그의 재산은 늘어나지도
 
라고 매우 간략하게 그러면서도 상당히 정확하게 결론지었던 것인데, 이것을 두고서 글꼬리를 잡아서는, "자동사" "타동사" 등의 문법을 가지고 재단을 하는 분들이 계신다는 생각입니다.
 
-----
 
이런 곡해도 하더군요:
 
[naver에서 “일구다”라는 단어를 검색했더니 “일다”와는 전혀 다른 뜻이고 서로 관련이 없음] <----- 이건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안내해 드린 네이버 사전의 설명들과 마찬가지로, 동아 새국어사전 제4판의 설명에 의하면, "일다1(3): 위로 솟아오르거나 겉으로 부풀다""일구다(2): (두더지 따위가) 땅속을 쑤셔 흙이 솟게 하다" 이며, 서로에 대하여 "수동형" 혹은 "능동형"으로 관련이 되어 있다는 생각입니다. 다시 한 번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
 
제가 "오역"이라고 말하지 않았으며, 그리고 이미 살펴 보셨지만, 영어 성경들에서 상당히 다르게 번역이 된 것으로 보아, 의역이 필요한 절인 것 같습니다.
 
일부 영어 성경들에서 endure(지속하다, continue, last)로 번역된 표현을 새 번역 성경에서 "일다"로 번역한 것인데, "일다"에 대한 우리말 사전 설명에 "지속하다"라는 설명이 주어져 있던지요??? 제가 잘못 보았는지 모르지만, 아무리 들여다 보아도 없더군요.
 
공동번역 성서에서 "불어나지도"라고 번역하였던 점과 지금 추가로 말씀드린 바로 이 점 때문에, 우리말로의 번역시에 의역을 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씀을 드렸던 것입니다.
 
이미 말씀드렸지만, 의역을 하였다고 하면, 번역 작업 시에 분명히 공동번역 성서의 해당 절에서의 우리말 표현을 참고하였을 것인데, "불어나지도"를 "일지도"로 바꾼 것에 대하여서는 저도 그 이유를, 적어도 아직까지는, 납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5.
더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위의 네이버 제곡의 국어 사전보다 더 큰 사전에 실린 다음의 두 단어들에 대한 설명들을 참고하여, 나름대로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일다" 동사에 대한 더 자세한 우리말 사전의 설명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일구다" 동사에 대한 더 자세한 우리말 사전의 설명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다른 한 편으로,
 
 
여기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일다[일구다]" 동사에 대한 영어 번역 표현(두산 백과사전/영어사전 제공)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일다1 happen; spring up; ascend
·물결이 일다 waves rise
·바람이 일다 the wind rises; a wind comes up

일다2 [일구다] bring ((land)) under cultivation; clear ((the land)); break up ((the soil))

일다3 clear out useless elements; scour; clean out; wash
·금을 일다 wash for gold; pan gold
·쌀을 일다 wash rice
 
 
--------------------
 
 
문법(grammar) 이전에 언어가 있고,
 
언어(language) 이전에 개념이 있으며,
 
개념(concept) 이전에 하느님께서 계신다.
 
 
따라서
 
 
문법만으로 언어, 개념, 혹은 하느님을 이해하려고 하거나,
 
언어만으로 개념 혹은 하느님을 이해하려고 하거나,
 
개념만으로 하느님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은,
 
아마도 교만에 근거한 어리석은 행위일 것이다.
 
 
-----
 
5. 또 다른 한 편으로, 일부 영어 성경들의 욥기 15,29 전체 문장의 번역에 있어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또한 확인하였습니다(개신교측의 영어 성경들 포함). 예를 들어, 다음의 표현들을 비교/검토하여 보십시오. 영어로의 번역시에 있어 이러한 차이점들이 있음에 대한 이유를 아직은 저도 모르고 있습니다.
 
침고: 이에 대한 것은 추가한 아래의 제6항 및 제7항의 설명을 읽도록 하십시오.
 
 
Job 15:29
 
(Nova Vulgata) Non ditabitur, nec perseverabit substantia eius;
nec mittet in terra radicem suam.
 
(DRB)  He shall not be enriched, neither shall his substance continue, neither shall he push his root in the earth.
 
(KJV-1611)  He shall not be rich, neither shall his substance continue, neither shall he prolong the perfection thereof vpon the earth.
 
(KJV)  He shall not be rich, neither shall his substance continue, neither shall he prolong the perfection thereof upon the earth.
 
(RSVCE) he will not be rich, and his wealth will not endure, nor will he strike root in the earth;
 

(NAB) with no shadow to lengthen over the ground. He shall not be rich, and his possessions shall not endure;
 

(GNB) They will not remain rich for long; nothing they own will last. Even their shadows will vanish,
 
(NIV) He will no longer be rich and his wealth will not endure, nor will his possessions spread over the land.
 
(ASV)  He shall not be rich, neither shall his substance continue, Neither shall their possessions be extended on the earth.
 
(CEV)  Their property and wealth will shrink and disappear.
 
(ESV)  he will not be rich, and his wealth will not endure, nor will his possessions spread over the earth;
 
 
[약간의 시간이 허락되어, 다음의 것들을 추가로 살펴보았습니다]
 
 
6.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대한성서공회 제공의 욥기 15,29의 우리말 번역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대한성서공회 출판의 국내 개신교측의 구약 성경 욥기 15,29에서도 "일지도" 혹은 "일다" 라는 동사는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대신에 영어로 endure로 번역된 표현에 해당하는 우리말 표현으로 번역을 하였는데, 욥기 15,29 전체 문장 중에서, 따라서 특히 "endure"에 해당하는 표현을 우리말로 번역한 것은 직역 번역이라는 생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저의 견해가, 욥기 15,29 문장 전부가 직역 번역이 되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특히, 공동번역 성서 및 새 번역 성경의 욥기 15,29에서 "불어나지도" 혹은 "일지도"로 번역한 것은 의역 번역 혹은 의역 번역에 가깝다는 생각입니다.
 
이는 다수의 전문 번역자들이 한 번역문들이 한 개 번역문과 거의 동일하다면, 이 번역문이 직역 번역에 더 가까울 것이기 때문입니다.
 
7.
다음은 욥기 15,29에 대하여, 칠십인역 그리스어 성경 본문과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 본문의 비교/검토입니다.
 
7-1. 다음은 그리스어 칠십인역 욥기 15,29의 영어본입니다:
 
15:29
 
3777     3361      4148          3777-3361   3306             1473    3588
o ¢ ute  mh        ploutisq¢h    o ¢ ute mh  me¢ inh          auto¢u  ta
Nor      shall he  be enriched,  nor         shall [3remain  1his   

5224              3766.2     906            1909    1093        4639
up¢arconta        ou mh      b¢alh          ep¢ i   ghV         ski¢an
2possessions];  in no way  shall he cast  [2upon  3the earth  1a shadow]. 
 
참고: 위에서 파란 색칠한 부분이 대괄호 [ ] 로 표시되어 있는 것이, 다른 영어본 성경들과 다릅니다. 위의 영어 번역문들과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일다"에 해당하는 동사를 "remain", 즉 "endure", 즉 "남아있다"의 의미로 번역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7-2. 다음은, 여기를 클릭하면 직접 살펴볼 수 있는, 마소라본 히브리어 성경 중의 욥기 15,29에서 "endure" 동사에 해당하는 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 

 
 NASB                                Definition                   Origin
endure; ??????? ya·kum 6965 to arise, stand up, stand a prim. root
 
 
 
"일다" 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동사의 정의가, 일어나다(arise), 일어서다(stand up), 서 있다(stand) 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설명을 욥기 15,29에서 앞뒤의 문맥에 맞게 적용하여 우리말로 번역을 하면 "불어나다" 혹은 "늘어나다" 일 것이며, 따라서 이 번역은 위의 제7-1항에서의 번역에 비하여 번역자의 생각이 개입된 것이므로, 위의 제7-1항을 직역 번역이라고 할 때에, 이 번역은 의역 번역 혹은 의역 번역에 가깝다는 생각입니다.
 
 
따라서, "일다" 즉 "불어나다" 혹은 "늘어나다"로 번역하는 것도 잘못된 번역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오역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참고: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여 잘 살펴보면, 이 히브리어 동사에 "endure(지속하다)"의 의미가 있음을 또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미 기원전 3세기경에 그리스어 칠십인역 성경에서 이 의미로 번역을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새 번역 성경에서, 다수의 영어 성경들에서처럼 "지속하다"로 번역하지 않고, 다소 생소한 "일다"로 번역한 것에 대한 그 이유는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히브리어 성경에 대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보다도 유럽과 지중해 지역 및 미국 지역에 월씬 더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7-3. 질문 3
욥기 15,29에 대하여 위의 제7-1항 및 제7-2항을 살펴 본 바에 의하면,
 
대부분의 영어 성경들은 그리스어 칠십인역 번역을 따라가고 있으나,
 
그러나 공동번역 성서 및 새 번역 성서는 히브리서 성경을 따라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질문 3: 여러분들 생각에, 어느 것을 존중하는 것이 더 원문에 충실한 번역일까요?
 
답변: 제 생각에, 제7-2의 번역보다 제7-1의 번역이 원문에 더 충실한 번역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영어로 번역한 번역자들 대다수가, 성 예로니모가 히브리어 성경으로부터 직접 번역하였다고 알려진 라틴어 불가타 성경과 그리고 이 라틴어 성경을 영어로 번역한 DRB, 그리고 이 DRB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KJV 등에서 처럼, 제7-2에 있는 설명을 모르면서 그렇게 번역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상 제6항 및 제7항에서 살펴 본 바에 의하여, 제가 개인적으로 납득하지 못하였던 부분을 이제 이해하게 되었다는 생각입니다.
 
그러니까, 제가 확인한 것을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i) 기원전 3세기 경에 그리스어 칠십인역으로 히브리어 성경이 번역될 때에, "remain(남아있다, 즉 지속하다)"의 의미로 번역이 되었으며,
 
(ii) 기원후 4세기말 경성 예로니모가 당시의 히브리어 성경에서 라틴어 불가타 성경으로 번역할 때에 "endure(지속하다)"의 의미로 번역이 되었으며, 이것은 DRB, KJV 등의 영어 성경들에 그대로 남아 있으며,
 
(iii) 기원후 9세기 경에 유다교를 위하여 편집된 마소라본 히브리어 성경을, 특히 20세기에 들어와 여러 영어 성경들로 번역할 때에, 또한 "endure(지속하다)"로 번역이 되었으나, 
 
(iv)  그러나 이 마소라본 히브리어 성경을 최근에 우리말로 번역한 "새 번역 성경"에서는, "endure(지속하다)"의 의미로 번역한 것이 아니라, "일다"로 번역하였는데,
 
(v) 상당히 유감스럽게도, "일다"라는 우리말 단어의 의미 중에는 "지속하다(endure)"는 의미는 없다는 것을 또한 확인하였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일다" 동사에 대한 더 자세한 우리말 사전의 설명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vi)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일다"로 번역한 것이 번역 오류는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이는, 이미 살펴보았듯이, 해당하는 히브리어 동사가 "일어나다" "일어서다" "서 있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의 결론) 
어찌되었든지간에, 지금까지 여러 각도들에서 살펴 본 바에 의하면새 번역 성경에서, 여러 영어 성경들 및 대한성서공회 출판의 개신교측의 우리말 번역에서처럼, "일지도" 라는 다소 생소한 단어의 사용 대신에, "지속하지도" 등의 표현으로 번역을 하였거나, 아니면 공동번역 성서에서처럼, "일지도" 라는 다소 생소한 단어의 사용 대신에 "불어나지도" 혹은 "늘어나지도" 등의 쉬운 단어를 사용하였더라면, "일지도" 가 무슨 뜻인지에 대한 질문을 할 필요도 없이, 대부분의 독자들이 훨씬 더 쉽게 욥기 15,29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인데...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참고 사항 한 개: 욥기 15,29는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따른른 주일/대축일/주간 미사 중의 제1독서로 인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
작성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5시간
 
 
===========================
 
 
욥기 제15장29절 내용 이해가 안되요?
 
작성자   ㄱㄷㅁ 번  호   4875
 
작성일   2011-02-24 오후 6:47:02 조회수   50 추천수   0
 
저는 이제 세례를 받은지 얼마안되었는데 성경공부를 하고있는 신참교우 입니다.
그런데 이해가 가지않는 부분이 상당히 많은데 이부분은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
 욥기 제15장29절 입니다.
그는 부자가 되지도 못하고 그의 재산은 일지도,
그의 소유는 땅에서 불어나지도 못한다네.
이부분에서 재산은 일지도 무슨뜻인지요?
고귀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소순태 ( (2011/02/25) : 일다 = 일구다. 따라서, 그의 재산은 일지도 = 그의 재산은 늘어나지도
 
 
----------
 
헷갈립니다
 
작성자   ㅇㅅㅇ 번  호   4882
 
작성일   2011-02-28 오후 6:36:48 조회수   17 추천수   0
 

두 형제님의 글을 읽다보면 어떤 것이 옳은지 헷갈리게 됩니다.

소 형제님께서 제시하신 “답”은 “ ‘그의 재산은 일지도’는 ‘그의 재산은 불어나지도’, 혹은 ‘그의 재산은 늘어나지도’‘의 의미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그는 재산을 일구지도“라는 의미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라고 요약을 했는데,

 

문형제님이 말씀하신대로 "일다"는 자동사, "일구다"는 타동사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naver에서 “일구다”라는 단어를 검색했더니 “일다”와는 전혀 다른 뜻이고 서로 관련이 없음("일다"가 일부 지방의 "일구다"의 방언이라는 것 이외에 뜻상으로는)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더더구나 소형제님이 말씀하신대로 "일구다"는 "일다"의 수동형이 아닌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문형제님의 댓글만 옳다고 보게되면 소형제님의 글중에는 정답 (앞부분)과 오답(뒷 부분)을 함께 내포하고 있어서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제 개인적 판단으로는 뒷부분 “그는 재산을 일구지도 라는 의미”는 잘못 이해하셔서 괜히 붙이신 것 같은데 이의 획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곳 성경묻고 답하기 코너에서는 소형제님 글이나 자료라 하면 “정답”이라는 등식이 무언중에 성립하기 때문에 저의 글(판단)이나 다른 댓글내용에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지적을 해주시고, 혹여라도 소형제님의 글 내용중에 착오가 있으셨다면 이를 바로잡아주셔야, 原질문자나 저나 이곳에 들르시는 다른 이들이 옳은 답을 갖게하는 것이 아닐까 싶어서 부탁을 드리는 것입니다.

비판에 대한 반론이 없으면 비판이 그대로 정답이 되는 것인가요 ~~~?

그래서 이곳에 담당 신부님이 계셨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평소에 해보았습니다. 저는 스스로 판단을 할만한 실력이 없는 “학생”이기 때문입니다.

어쨋거나 성경공부를 통해서 국어공부도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naver사전에서 인용

일구다1

[동사]

1.논밭을 만들기 위하여 땅을 파서 일으키다.

2.두더지 따위가 땅을 쑤시어 흙이 솟게 하다.

3.현상이나 일 따위를 일으키다.

유의어 : 개척하다, 경작하다, 갈다3

일구다2단어장 저장

[동사] [방언] ‘이루다1’의 방언(함경).

 
소순태 ( (2011/02/28) : + 찬미 예수님! 제가 참고한 자료들의 출처들과 함께 제가 이해할 수 없는 부분들을 다 말씀드렸으니, 제가 할 일은 다 한 것 같습니다. 저도 이해를 못하는 부문이, 공동번역 성서의 그 좋은 표현을 왜 바꾸었나는 것입니다. 제 글의 요지는 바로 이것입니다.
 
소순태 ( (2011/02/28) : 그리고 제 글의 마지막 부분서 발씀드린 여러 영어 성경들의 번역들 또한 동일한 표현을 하고 있지 않아, "일지도" 에 해당하는 영어 표현이 한 개가 아닙니다.
 
소순태 ( (2011/02/28) : 이렇게 영어 성경들에서 처럼, 새 번역 성경의 욥기 15,29는 "의역 번역"을 한 것 같습니다.
 
소순태 ( (2011/02/28) : 다음의 사전도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1.encyber.com/engdic/slist.php?gs=&q=&key=%C0%CF%B4%D9&searchgubun=engdic&qr=%C0%CF%B4%D9&searchBy=title
 
소순태 ( (2011/02/28) : 그리고 위의 사전 설명에 의하면, 애초에 제가 말씀드렸듯이, "일다" = "일구다" 입니다. 한 녀석은 자동사이고 또 한 녀석은 타동사가 아니라!!! 더 헷갈리게 해 드려 죄송합니다. ㅋ
 
소순태 ( (2011/03/01) : [naver에서 “일구다”라는 단어를 검색했더니 “일다”와는 전혀 다른 뜻이고 서로 관련이 없음] <----- 이건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안내해 드린 네이버 사전의 설명들과 마찬가지로, 동아 새국어사전 제4판의 설명에 의하면, "일다1(3): 위로 솟아오르거나 겉으로 부풀다""일구다(2): (두더지 따위가) 땅속을 쑤셔 흙이 솟게 하다" 이며, 서로에 대하여 "수동형" 혹은 "능동형"으로 관련이 되어 있다는 생각입니다. 다시 한 번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1,745 5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