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Ia IIae q114 공로 - 은총 [신학대전본문] merits, good_works

인쇄

신학대전본문 [175.115.222.*]

2011-09-26 ㅣ No.1112

 
출처 1: http://www.newadvent.org/summa/2114.htm
출처 2: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__P7M.HTM

신학 대전 Ia IIae

Question 114. Merit

질문 114. 공로(Merit)

 

We must now consider merit, which is the effect of cooperating grace;
and under this head there are ten points of inquiry:

 

우리는 이제 협조 은총(cooperative grace)의 결과인 공로를 고찰해야 하며, 그리고 이 제목(head) 하에 질문에 대한 열 개의 요지(points)들이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1. Can a man merit anything from God?
2. Without grace, can anyone merit eternal life?
3. May anyone with grace merit eternal life condignly?
4. Is it chiefly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charity that grace is the principle of merit?
5. May a man merit the first grace for himself?
6. May he merit it for someone else?
7. Can anyone merit restoration after sin?
8. Can he merit for himself an increase of grace or charity?
9. Can he merit final perseverance?
10. Do temporal goods fall under merit?

 

Article 1. Whether a man may merit anything from God? 

제1조. 어떤 사람이 하느님으로부터 무엇인가를 상으로 받을 만할 것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a man can merit nothing from God. For no one, it would seem, merits by giving another his due. But by all the good we do, we cannot make sufficient return to God, since yet more is His due, as also the Philosopher says (Ethic. viii, 14). Hence it is written (Luke 17:10): "When you have done all these things that are commanded you, say: We are unprofitable servants; we have done that which we ought to do." Therefore a man can merit nothing from God.

 

반론 1. 사람(a man)은 하느님으로부터 어떠한 것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이는 어느 누구도 다른 이에게 자신의 몫(his due)을 줌에 의하여 상으로 받을 만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행하는 모든 선한 것(all the good)들에 의하여, 우리는 하느님께 충분하게 돌려드릴 수 없는데, 이는, 이 철학자(the Philosopher)가 또한 말하듯이 [윤리학(Ethic, viii, 14)], 더 많은 것이 당신의 몫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습니다: "이와 같이 너희도 분부를 받은대로 다 하고 나서, '저희는 쓸모없는 종입니다. 해야 할 일을 하였을 뿐입니다.' 하고 말하여라." (루카 17,10). 그러므로 사람은 하느님으로부터 어떠한 것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습니다.

 

-----
번역자 주: 여기서  "이 철학자"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를 말한다. 
-----

 

Objection 2. Further, it would seem that a man merits nothing from God, by what profits himself only, and profits God nothing. Now by acting well, a man profits himself or another man, but not God, for it is written (Job 35:7): "If thou do justly, what shalt thou give Him, or what shall He receive of thy hand." Hence a man can merit nothing from God.

 

반론 2. 더구나, 사람은, 하느님께 아무런 득을 주지 않으나, 자기 자신에게만 득을 주는(profits) 바에 의하여, 하느님으로부터 어떠한 것도 상으로 받을 만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now) 잘 행동함으로써, 사람은, 하느님께는 그렇지 않으나, 자기 자신 혹은 다른 사람에게 득을 주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의롭다 한들 그분께 무엇을 드리며 그분께서는 당신 손에서 무엇을 얻으시겠습니까?" (욥 35,7). 따라서 사람이 하느님으로부터 어떠한 것도 상으로 받을만 할 수 없습니다.

 

Objection 3. Further, whoever merits anything from another makes him his debtor; for a man's wage is a debt due to him. Now God is no one's debtor; hence it is written (Romans 11:35): "Who hath first given to Him, and recompense shall be made to him?" Hence no one can merit anything from God.

 

반론 3. 더구나, 다른 이로부터 어떤 것을 상으로 받을 만한 자 누구든지 상대방(him)을 자신에게 빚이 있는 자(debtor)로 만드는데, 이는 어떤 사람의 품삯이 상대방(him)에게 기인하는 어떤 빚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하느님께서는 어떤 자에게도 결코 빚이 있는 분이 아니며, 그리하여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습니다: "아니면 누가 그분께 무엇을 드린 적이 있어 그분의 보답을 받을 일이 있겠습니까?" (로마 11,35). 따라서 어느 누구도 하느님으로부터 어떤 것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습니다.

 

On the contrary, It is written (Jeremiah 31:16): "There is a reward for thy work." Now a reward means something bestowed by reason of merit. Hence it would seem that a man may merit from God.

 

이와는 달리,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습니다: "네 노고가 보상을 받아 ..." (예레미야 31,16). 그런데 어떤 보상은 공로의 이유 때문에 수여된 그 무엇(something)을 뜻합니다. 따라서 사람은 하느님으로부터 상으로 받을 만할 것 같습니다.

 

I answer that, Merit and reward refer to the same, for a reward means something given anyone in return for work or toil, as a price for it. Hence, as it is an act of justice to give a just price for anything received from another, so also is it an act of justice to make a return for work or toil. Now justice is a kind of equality, as is clear from the Philosopher (Ethic. v, 3), and hence justice is simply between those that are simply equal; but where there is no absolute equality between them, neither is there absolute justice, but there may be a certain manner of justice, as when we speak of a father's or a master's right (Ethic. v, 6), as the Philosopher says. And hence where there is justice simply, there is the character of merit and reward simply. But where there is no simple right, but only relative, there is no character of merit simply, but only relatively, in so far as the character of justice is found there, since the child merits something from his father and the slave from his lord.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공로(merit)와 보상(reward)은 동일한 것에 대한 언급인데, 이는 어떤 보상이, 일(work) 혹은 노고(toil)에 대한 교환으로(in return), 그것에 대한 어떤 대가(a price)로서, 어떤 이에게 주어지는 어떤 것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이로부터 받은 어떤 것에 대한 어떤 정당한 대가로 제공하는 것이 정의(justice, 의로움)의 한 행위이듯이, 마찬가지로 일 혹은 노고에 대한 어떤 답례를 하는 것은 또한 정의의 한 행위입니다. 그런데, 이 철학자(the Philosopher)로부터 분명하듯이 [윤리학(Ethic), v, 3], 정의는 평등(equality)의 한 종류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정의는 글자 그대로(simply) 동등한 자들 사이에 글자 그대로(simply) 존재하는데, 그러나 이 철학자가 말하듯이, 우리가 아버지의 혹은 주인의 권리에 대하여 말할 때처럼 [윤리학(Ethics), v, 6], 그들 사이에 절대적 평등(absolute equality)이 전혀 없는 곳에, 절대적 정의(absolute justice) 뿐만이 아니라, 또한 정의의 어떤 구체적인 방식도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정의가 글자 그대로(simply) 있는 곳에, 공로와 보상의 성격(character)이 글자 그대로(simply) 있습니다. 그러나 글자 그대로가 아니라, 오로지 상대적인(relative) 권리가 있는 곳에, 정의의 성격이 거기에서 발견되는 한, 공로의 성격이 글자 그대로(simply)가 아니라, 오로지 상대적으로 있는데, 이는 아이가 자신의 아버지로부터 어떤 것을 상으로 받을 만하며 그리고 노예가 자신의 주인으로부터 어떤 것을 상으로 받을 만하기 때문입니다.

 

Now it is clear that between God and man there is the greatest inequality: for they are infinitely apart, and all man's good is from God. Hence there can be no justice of absolute equality between man and God, but only of a certain proportion, inasmuch as both operate after their own manner. Now the manner and measure of human virtue is in man from God. Hence man's merit with God only exists on the presupposition of the Divine ordination, so that man obtains from God, as a reward of his operation, what God gave him the power of operation for, even as natural things by their proper movements and operations obtain that to which they were ordained by God; differently, indeed, since the rational creature moves itself to act by its free-will, hence its action has the character of merit, which is not so in other creatures.

 

이제 하느님과 사람 사이에 가장 커다란 동등하지 않음(inequality)이 있음은 분명한데, 이는 그들이 무한히 떨어져 있기 때문이며, 그리고 사람의 선함 모두가 하느님으로부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람과 하느님 사이에 절대적 평등의 정의는 전혀 있을 수 없으나, 그러나, 둘 다가 자신들 고유의 방식으로 작용하는 한, 어떤 특정한 규모(proportion)의 정의는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의 덕의 방식(manner)과 척도(measure)는 하느님으로부터 사람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하느님께 있어서(with God) 사람의 공로는 하느님의 명령(Divine ordination)이라는 전제(presupposition) 위에 오로지 존재하며, 그 결과(so that) 사람은 하느님으로부터, 심지어 그들 고유의 움직임들 및 작용들에 의한 자연적 사물들이 그것을 향하여 하느님에 의하여 그들이 명해졌던 바로 그것을 획득하듯이, 자신의 작용에 대한 어떤 보상으로서, 하느님께서 그에게 제공하셨던 바를 위한 작용의 힘(the power of operation)을 획득하며, 그리고 그렇지 않다면(differently), 정말로, 이성적 피조물은 자신의 자유 의지(free-will)에 의하여 행동하도록 자기 자신을 움직이기에, 따라서 이 의지에 의한 행동은, 다른 피조물들에게 있어 그렇지 않은, 공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Reply to Objection 1. Man merits, inasmuch as he does what he ought, by his free-will; otherwise the act of justice whereby anyone discharges a debt would not be meritorious.

 

반론 1에 대한 답변. 사람은, 자신이 하여야 할 바를 행하는 한, 자신의 자유의지에 의하여 상으로 받을 만하며, 그렇지 않다면(otherwise), 그것에 의하여 누구든지 어떤 빚을 방출하는(discharge) 정의의 행위(the act of justice)는 가치있지(meritorious) 않을 것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God seeks from our goods not profit, but glory, i.e. the manifestation of His goodness; even as He seeks it also in His own works. Now nothing accrues to Him, but only to ourselves, by our worship of Him. Hence we merit from God, not that by our works anything accrues to Him, but inasmuch as we work for His glory.

 

반론 2에 대한 답변.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선(goods)들로부터 득(profit)이 아니라, 영광(glory)을, 즉 당신의 선하심(His goodness)의 분명한 드러내심(manifestation)을, 심지어 당신께서 당신 고유의 위업들에서 또한 그것을 추구하시듯이, 추구하십니다. 그런데 어떠한 것도 당신께 추가로 증가하지(accrues to) 않으며, 그러나 오로지, 당신에 대한 우리의 경배에 의하여, 우리 자신들에게만 추가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일들에 의하여 당신께 추가로 증가하는 어떤 것에 의하여서가 아니라, 우리가 당신의 영광을 위하여 일하는 한, 하느님으로부터 상으로 받을 만합니다.

 

Reply to Objection 3. Since our action has the character of merit, only on the presupposition of the Divine ordination, it does not follow that God is made our debtor simply, but His own, inasmuch as it is right that His will should be carried out.

 

반론 3에 대한 답변. 우리의 행동(action)이 공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에, 오로지 하느님의 명령(Divine ordination)이라는 전제 위에, 당신의 의지가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이 올바른 한, 하느님께서는 당신 자신에게가 아닌, 글자 그대로(simply) 우리에게 빚이 있으신 분(our debtor)이 되십니다. 

 

Article 2. Whether anyone without grace can merit eternal life?

 

제2조. 누구든지 은총 없이 영원한 생명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있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without grace anyone can merit eternal life. For man merits from God what he is divinely ordained to, as stated above (Article 1). Now man by his nature is ordained to beatitude as his end; hence, too, he naturally wishes to be blessed. Hence man by his natural endowments and without grace can merit beatitude which is eternal life.

 

반론 1. 은총 없이 누구든지 영원한 생명을 상으로 받을 만한 것 같습니다. 이는, 위에서 (제1조) 서술되었듯이, 사람이 하느님으로부터 그가 하느님에 의하여 명해진 바를 상으로 받을 만하기 때문입니다. r그런데 사람은 자신의 끝(end)으로서 그 본성적으로 참행복(beatitude)으로 명해져 있으며(is ordained to), 그리하여 그 결과, 또한 그는 복받게 되기(to be blessed)를 자연적으로 원합니다. 따라서 사람은 자신의 본성적 자질(natural endowments)들에 의하여 그리고 은총 없이, 영원한 행복인 참 행복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있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the less a work is due, the more meritorious it is. Now, less due is that work which is done by one who has received fewer benefits. Hence, since he who has only natural endowments has received fewer gifts from God, than he who has gratuitous gifts as well as nature, it would seem that his works are more meritorious with God. And thus if he who has grace can merit eternal life to some extent, much more may he who has no grace.

 

반론 2. 더구나, 어떤 일이 더 적게 마땅히 지급되어야(due) 할수록, 그것은 더 많이 가치있습니다. 그런데 더 적게 마땅히 지급되어야 하는 것은(less due) 더 적은 혜택(fewer benefits)들을 이미 받았던 자에 의하여 행하여진 바로 그 일입니다. 따라서, 오로지 본성적 자질들만을 가진 자가 본성뿐 만이 아니라 무상의 선물들을 받은 자보다 하느님으로부터 더 적은 선물들을 이미 받았던 자이므로, 그의 일들은 하느님께 있어서(with God) 더 많이 가치있습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만약에 은총을 소유한 자가 어떤 정도에까지 영원한 생명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있다면, 은총을 전혀 소유하지 않은 자는 훨씬 더 많이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Objection 3. Further, God's mercy and liberality infinitely surpass human mercy and liberality. Now a man may merit from another, even though he has not hitherto had his grace. Much more, therefore, would it seem that a man without grace may merit eternal life.

 

반론 3. 더구나, 하느님의 자비와 관대(mercy and liberlity)는 인간의 자비와 관대를 무한히 능가합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심지어 그가 지금까지 자신의 은총을 소유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이로부터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이 은총 없이 영원한 생명을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임은 훨씬 더 그러한 것 같습니다.

 

On the contrary, The Apostle says (Romans 6:23): "The grace of God, life everlasting."

 

이와는 달리, 이 사도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하느님의 은사는 ... 영원한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로마 6,23).

 

I answer that, Man without grace may be looked at in two states, as was said above (Question 109, Article 2): the first, a state of perfect nature, in which Adam was before his sin; the second, a state of corrupt nature, in which we are before being restored by grace. Therefore, if we speak of man in the first state, there is only one reason why man cannot merit eternal life without grace, by his purely natural endowments, viz. because man's merit depends on the Divine pre-ordination. Now no act of anything whatsoever is divinely ordained to anything exceeding the proportion of the powers which are the principles of its act; for it is a law of Divine providence that nothing shall act beyond its powers. Now everlasting life is a good exceeding the proportion of created nature; since it exceeds its knowledge and desire, according to 1 Corinthians 2:9: "Eye hath not seen, nor ear heard, neither hath it entered into the heart of man." And hence it is that no created nature is a sufficient principle of an act meritorious of eternal life, unless there is added a supernatural gift, which we call grace. But if we speak of man as existing in sin, a second reason is added to this, viz. the impediment of sin. For since sin is an offense against God, excluding us from eternal life, as is clear from what has been said above (71, 6; 113, 2), no one existing in a state of mortal sin can merit eternal life unless first he be reconciled to God, through his sin being forgiven, which is brought about by grace. For the sinner deserves not life, but death, according to Romans 6:23: "The wages of sin is death."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은총 없이 사람은, 위에서 (질문 109, 제2조) 말해졌듯이, 다음과 같은 두 상태(states)들 안에서 생각될 것입니다: 첫 번째, 그 안에 아담(Adam)이 자신의 죄 이전에 있었던, 완미한 본성(perfect nature)의 어떤 상태, 그리고 두 번째, 그 안에 우리가 은총에 의하여 회복되기 이전에 있는, 타락한 본성의 어떤 상태. 그러므로, 우리가 최초 상태(the first state)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말한다면, 사람이, 자신의 순전하게 본성적인 자질에 의하여, 은총 없이 영원한 삶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는 이유는 오로지 한 가지뿐, 즉 사람의 공로가 하느님의 사전 명령(pre-ordination)에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어떤 것의 행위가 무엇이든지간에 그 행위(act)의 원리들인 힘들의 규모(proportion)를 넘어서는 어떤 것도 하느님에 의하여 결코 명해지지(is ordained) 않는데, 이는 어떠한 것도 자신의 힘들을 넘어서서 활동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것이 바로 하느님 섭리의 한 법(a law of Divine providence)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영원한 생명은 창조된 본성의 규모를 넘어서는 어떤 선(a good)인데, 이는 그것이, 다음과 같은 1코린토 2,9에 따라, "어떠한 눈도 본 적이 없고 어떠한 귀도 들은 적이 없으며 사람의 마음에도 떠오른 적이 없어," 자신의 지식과 욕망(desire)을 넘어서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창조된 본성은, 우리가 은총(grace)이라고 부르는 어떤 초자연적 선물이 거기에 추가되지 않는다면, 영원한 생명에 대하여 가치 있는(meritorious of) 어떤 행위에 대한 한 개의 충분한 원리가 결코 아닌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죄 안에 있는 자로서의 사람에 대하여 말한다면, 이것에 어떤 두 번째 이유, 즉 죄에 의한 장애가 추가됩니다. 이는, 위에서 (71, 6; 113, 2) 이미 말해졌던 바로부터 분명하듯이, 죄가, 영원한 생명으로부터 우리를 배제하는, 하느님에 반하는 어떤 위반(an offense)이기에, 대죄의 어떤 상태에 있는 자 누구든지, 그의 죄가 은총에 의하여 야기되는 용서받음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그가 하느님과 화해하지 않는다면, 영원한 생명을 결코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습니다. 이는 죄인은, 다음과 같은 로마서 6,23에 따르면, 생명이 아니라, 죽음을 당연히 받을 만하기(deserve) 때문입니다: "죄가 주는 품삯은 죽음입니다."

 

Reply to Objection 1. God ordained human nature to attain the end of eternal life, not by its own strength, but by the help of grace; and in this way its act can be meritorious of eternal life.

 

반론 1에 대한 답변.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본성에게, 자신 고유의 굳셈이 아니라, 은총의 도움에 의하여, 영원한 생명이라는 목표를 획득하도록 명하셨으며, 그리하여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본성의 행위는 영원한 생명에 대하여 가치있을 수 있습니다.

 

Reply to Objection 2. Without grace a man cannot have a work equal to a work proceeding from grace, since the more perfect the principle, the more perfect the action. But the objection would hold good, if we supposed the operations equal in both cases.

 

반론 2에 대한 답변. 은총 없이 어떤 사람이 은총으로부터 유래하는 어떤 일에 동등한 어떤 일을 가질 수 없는데, 이는 그 원리가 더욱 더 완미할(perfect)수록, 그 행동(the action)이 더욱 더 완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만약에 우리가 둘 다의 경우들에 있어 그 작용(the operations)들이 동등하다고 가정한다면, 이 반대는 유효할 것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With regard to the first reason adduced, the case is different in God and in man. For a man receives all his power of well-doing from God, and not from man. Hence a man can merit nothing from God except by His gift, which the Apostle expresses aptly saying (Romans 11:35): "Who hath first given to Him, and recompense shall be made to him?" But man may merit from man, before he has received anything from him, by what he has received from God.

 

반론 3에 대한 답변. 논거로서 제시된(adduced) 첫 번째 이유에 관하여, 이 경우는 하느님께 있어 그리고 사람에게 있어 다릅니다(different). 이는 어떤 사람은 잘 함에 대한 자신의 힘 모두를, 사람으로부터가 아닌, 하느님으로부터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떤 사람은 당신의 선물을 제외하고, 하느님으로부터 아무 것도 상으로 받을 만할 수가 없는데, 이것을 이 사도는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적절하게 표현합니다: "누가 그분께 무엇을 드린 적이 있어 그분의 보답을 받을 일이 있겠습니까?" (로마 11,35). 그러나 사람은, 자신이 하느님으로부터 이미 받은 바에 의하여, 그가 사람으로부터 어떤 것을 이미 받았기 전에, 사람으로부터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But as regards the second proof taken from the impediment of sin, the case is similar with man and God, since one man cannot merit from another whom he has offended, unless he makes satisfaction to him and is reconciled.

 

그러나 죄에 의한 장애로부터 거론된 두 번째 논증(proof)에 관하여서(as regards), 이 경우는 사람에게 있어서 및 하느님께 있어서 유사한데(similar), 이는 한 사람이, 만약에 그가 다른 사람에게 보속(속죄 행위)을 하지(make satisfaction to) 않고 그리하여 화해하지 않는다면, 그가 이미 해를 끼쳤던 다른 사람으로부터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Article 3. Whether a man in grace can merit eternal life condignly?

 

제3조. 은총 안에 있는 어떤 사람이 영원한 생명을 [은총의 품격(dignity)에] 적정하게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있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a man in grace cannot merit eternal life condignly, for the Apostle says (Romans 8:18): "The sufferings of this time are not worthy [condignae] to be compared with the glory to come, that shall be revealed in us." But of all meritorious works, the sufferings of the saints would seem the most meritorious. Therefore no works of men are meritorious of eternal life condignly.

 

반론 1. 은총 안에 있는 어떤 사람(a man in grace)이 영원한 생명을 [은총의 품격(dignity)에] 적정하게(condignly)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는 것 같은데, 이는 이 사도가 다음과 같이 말하기 때문입니다: "장차 우리에게 계시될 영광에 견주면, 지금 이 시대에 우리가 겪는 고난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로마 8,18). 그러나 모든 가치 있는 일들 중에서, 성도들의 고통들은 가장 가치 있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의 일들 어떠한 것도 [은총의 품격(dignity)에] 적정하게(condignly) 영원한 생명에 대하여 가치 있지 못합니다.

 

Objection 2. Further, on Romans 6:23, "The grace of God, life everlasting," a gloss says: "He might have truly said: 'The wages of justice, life everlasting'; but He preferred to say 'The grace of God, life everlasting,' that we may know that God leads us to life everlasting of His own mercy and not by our merits." Now when anyone merits something condignly he receives it not from mercy, but from merit. Hence it would seem that a man with grace cannot merit life everlasting condignly.

 

반론 2. 더구나, "하느님의 은사는 ... 영원한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라는 로마서 6,23에 대한 어떤 주석(a gloss)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당신께서는 '정의가 주는 품삯은 영원한 생명입니다' 라고 진실로 말씀하셨을 것이나, 그러나 당신께서는, 하느님께서 우리의 공로들에 의하여서가 아니라 당신 고유의 자비에 의하여 우리를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life everlasting)으로 이끄심을 우리가 알도록 하시고자, '하느님의 은사는 ... 영원한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더 선호하셨습니다." 그런데 어떤 자가 어떤 것을 [은총의 품격(dignity)에] 적정하게 상으로 받을 만할 때에 그는 그것을 자비로부터가 아니라, 공로로부터 받습니다. 따라서 은총과 함께 어떤 사람은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을 [은총의 품격(dignity)에] 적정하게(condignly)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Objection 3. Further, merit that equals the reward, would seem to be condign. Now no act of the present life can equal everlasting life, which surpasses our knowledge and our desire, and moreover, surpasses the charity or love of the wayfarer, even as it exceeds nature. Therefore with grace a man cannot merit eternal life condignly.

 

반론 3. 더구나, 상(보상, reward)과 동등한(equals) 공로는 [은총의 품격(dignity)에] 적정한(condign) 것 같습니다. 그런데, 현재의 삶에 있어서의 어떠한 행위도, 우리의 지식과 우리의 욕구를 능가하는 영원한 생명과 동등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나그네(the wayfarer)의 애덕(charity) 혹은 사랑(love)을, 심지어 그것이 본성(nature)을 넘어서듯이, 능가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은총과 함께 어떤 사람은 영원한 생명을 [은총의 품격(dignity)에] 적정하게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습니다. 

 

On the contrary, What is granted in accordance with a fair judgment, would seem a condign reward. But life everlasting is granted by God, in accordance with the judgment of justice, according to 2 Timothy 4:8: "As to the rest, there is laid up for me a crown of justice, which the Lord, the just judge, will render to me in that day." Therefore man merits everlasting life condignly.

 

이와는 달리, 어떤 공정한 판단에 따라서 허락된 바는 어떤 [은총의 품위에] 적정한 보상(a condign reward)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life everlasting)은, 다음과 같은 2티모테오 4,8에 따르면, 정의(의로움)의 판단(the judgment of justice)에 따라서, 하느님에 의하여 허락됩니다: "이제는 의로움의 화관이 나를 위하여 마련되어 있습니다. 의로운 심판관이신 주님께서 그날에 그것을 나에게 주실 것입니다. 나만이 아니라, 그분께서 나타나시기를 애타게 기다린 모든 사람에게도 주실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람은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을 적정하게(condignly) 상으로 받을 만합니다.

 

I answer that, Man's meritorious work may be considered in two ways: first, as it proceeds from free-will; secondly, as it proceeds from the grace of the Holy Ghost. If it is considered as regards the substance of the work, and inasmuch as it springs from the free-will, there can be no condignity because of the very great inequality. But there is congruity, on account of an equality of proportion: for it would seem congruous that, if a man does what he can, God should reward him according to the excellence of his power.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사람의 가치 있는 일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들로 생각될 수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 그것이 자유 의지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서, 그리고 두 번째, 성령의 은총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서. 만약에 그것이 일의 본체(substance)에 관해서로 생각된다면, 그리고 그것이 자유 의지로부터 솟아나는 한, 대단히 커다란 동등하지 않음(inequality) 때문에 거기에는 어떠한 [은총의 품격(dignity)에 적정한] 적정 공로(condignity)도 전혀 있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규모에 있어서의 어떤 동등(an equality of proportion) 때문에 적절함(congruity)은 있는데, 이는 만약에 어떤 사람이 그가 할 수 있는 바를 행한다면, 하느님께서 그의 힘의 탁월성에 따라 그를 보상하여야함은 적절한(congruous) 것 같기 때문입니다.

 

If, however, we speak of a meritorious work, inasmuch as it proceeds from the grace of the Holy Ghost moving us to life everlasting, it is meritorious of life everlasting condignly. For thus the value of its merit depends upon the power of the Holy Ghost moving us to life everlasting according to John 4:14: "Shall become in him a fount of water springing up into life everlasting." And the worth of the work depends on the dignity of grace, whereby a man, being made a partaker of the Divine Nature, is adopted as a son of God, to whom the inheritance is due by right of adoption, according to Romans 8:17: "If sons, heirs also."

 

그러나, 만약에 우리가 어떤 가치 있는 일(a meritorious work)에 대하여 말한다면, 그것이 우리를 영구히 계속되는 삶으로 움직이는 성령의 은총으로부터 유래하는 한, 그것은 영구히 계속되는 삶에 대하여 가치 있습니다(meritorious of). 이는 이와 같이 그것의 공로의 가치(the value)가, 다음과 같은 요한 4,14에 따라 우리를 영구히 계속되는 삶으로 움직이는, 성령의 힘에 달려있기(depends on) 때문입니다: "그러나 내가 주는 물을 마시는 사람은 영원히 목마르지 않을 것이다. 내가 주는 물은 그 사람 안에서 물이 솟는 샘이 되어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일의 가치(the worth)는 은총의 품격(the dignity of grace)에 달려 있으며, 그로써 어떤 사람이, 하느님의 본성(Divine Nature)의 한 동반자로 만들어졌기에, 하느님의 아들로서 입양되며, 그에게, 다음과 같은 로마서 8,17에 따라, 상속은 양자의 권리에 의하여 예정되어(due) 있습니다: "자녀이면 상속자이기도 합니다"

 

Reply to Objection 1. The Apostle is speaking of the substance of these sufferings.

 

반론 1에 대한 답변. 이 사도는 이들 고통들의 본체(substance)에 대하여 말하고 있습니다.

 

Reply to Objection 2. This saying is to be understood of the first cause of our reaching everlasting life, viz. God's mercy. But our merit is a subsequent cause.

 

반론 2에 대한 답변. 이 말은 우리가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 즉 하느님의 자비에 도달함의 첫 번째 원인(the first cause)에 대한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공로는 어떤 뒤따르는 원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The grace of the Holy Ghost which we have at present, although unequal to glory in act, is equal to it virtually as the seed of a tree, wherein the whole tree is virtually. So likewise by grace of the Holy Ghost dwells in man; and He is a sufficient cause of life everlasting; hence, 2 Corinthians 1:22, He is called the "pledge" of our inheritance.

 

반론 3에 대한 답변.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성령의 은총은, 비록 행위 안에 있는 영광(glory in act)에 동등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 전체 나무가 거의 전적으로(virtually) 있는, 어떤 나무의 씨앗으로서 거의 전적으로 그것에 동등합니다. 그와 같이(so) 마찬가지로 은총 때문에(by grace of) 성령께서는 사람 안에 거주하시며, 그리고 당신께서는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의 어떤 충분한 원인이시며, 그리하여 그 결과, 2코린토 1,22, 즉 당신께서는 우리의 상속에 대한 "보증(pledge)" 이라고 불리십니다.

 

Article 4. Whether grace is the principle of merit through charity rather than the other virtues?

 

제4조. 은총이 다른 덕들 보다는 애덕을 통한 공로의 원리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grace is not the principle of merit through charity rather than the other virtues. For wages are due to work, according to Matthew 20:8: "Call the laborers and pay them their hire." Now every virtue is a principle of some operation, since virtue is an operative habit, as stated above (Question 55, Article 2). Hence every virtue is equally a principle of merit.

 

반론 1. 은총이 다른 덕들 보다는 애덕(charity)을 통한 공로의 원리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마태오 20,8에 따르면, 품삯들이 일에 기인하기 때문입니다: "저녁때가 되자 포도밭 주인은 자기 관리인에게 말하였다. ‘일꾼들을 불러 맨 나중에 온 이들부터 시작하여 맨 먼저 온 이들에게까지 품삯을 내주시오.’" 그런데 각각의(every) 덕은 어떤 작용에 대한 어떤 원리(a principle)인데, 이는 덕이 위에서 (질문 58 조항 2) 서술되었듯이, 어떤 작용하는 습관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각의 덕은 동등하게 공로에 대한 어떤 원리입니다.

 

Objection 2. Further, the Apostle says (1 Corinthians 3:8): "Every man shall receive his own reward according to his labor." Now charity lessens rather than increases the labor, because as Augustine says (De Verbis Dom., Serm. lxx), "love makes all hard and repulsive tasks easy and next to nothing." Hence charity is no greater principle of merit than any other virtue.

 

반론 2. 더구나, 이 사도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심는 이나 물을 주는 이나 같은 일을 하여, 저마다 수고한 만큼 자기 삯을 받을 뿐입니다." (1코린토 3,8). 그런데 애덕은 노동(the labor)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감소시키는데, 왜냐하면 아우구스티노가 말하듯이 (De Verbis Dom., Serm. lxx), "사랑은 모든 힘든 그리고 반발하는 임무들을 쉽게 그리고 없는 것과 다름없이 만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애덕은 어떤 다른 덕보다 공로에 대한 더 커다란 원리가 전혀 아닙니다. 

 

Objection 3. Further, the greatest principle of merit would seem to be the one whose acts are most meritorious. But the acts of faith and patience or fortitude would seem to be the most meritorious, as appears in the martyrs, who strove for the faith patiently and bravely even till death. Hence other virtues are a greater principle of merit than charity.

 

반론 3. 더구나, 공로에 대한 가장 커다란 원리는 그의 행위들이 가장 가치 있는(meritorious) 바로 그 자(the one)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심지어 죽음에까지 인내하면서(patiently) 그리고 용감하게 이 믿음을 위하여 노력하는, 순교자들에 있어 나타나듯이, 믿음 그리고 인내(patience) 혹은 굳셈(fortitude)의 행위들이, 가장 가치 있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다른 더들이 애덕보다 공로에 대한 어떤 더 큰 원리입니다.

 

On the contrary, Our Lord said (John 14:21): "He that loveth Me, shall be loved of My Father; and I will love him and will manifest Myself to him." Now everlasting life consists in the manifest knowledge of God, according to John 17:3: "This is eternal life: that they may know Thee, the only true" and living "God." Hence the merit of eternal life rests chiefly with charity.

 

이와는 달리, 우리의 주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내 계명을 받아 지키는 이야말로 나를 사랑하는 사람이다. 나를 사랑하는 사람은 내 아버지께 사랑을 받을 것이다. 그리고 나도 그를 사랑하고 그에게 나 자신을 드러내 보일 것이다." (요한 14,21). 이제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은, 다음과 같은 요한 17,3에 따르면, 하느님 및 살아계신 "하느님"에 대한 분명한 지식을 그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consists in): "영원한 생명이란 홀로 참하느님이신 아버지를 알고 아버지께서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입니다." 따라서 영원한 생명에 대한 공로는 주로 애덕에 달려 있습니다. 

 

I answer that, As we may gather from what has been stated above (Article 1), human acts have the nature of merit from two causes: first and chiefly from the Divine ordination, inasmuch as acts are said to merit that good to which man is divinely ordained. Secondly, on the part of free-will, inasmuch as man, more than other creatures, has the power of voluntary acts by acting by himself. And in both these ways does merit chiefly rest with charity. For we must bear in mind that everlasting life consists in the enjoyment of God. Now the human mind's movement to the fruition of the Divine good is the proper act of charity, whereby all the acts of the other virtues are ordained to this end, since all the other virtues are commanded by charity. Hence the merit of life everlasting pertains first to charity, and secondly, to the other virtues, inasmuch as their acts are commanded by charity. So, likewise, is it manifest that what we do out of love we do most willingly. Hence, even inasmuch as merit depends on voluntariness, merit is chiefly attributed to charity.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우리가 이미 위에서 (제1조) 서술하였던 바로부터 추측하듯이, 사람의 행위들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원인들로부터 공로의 본성을 가집니다: 첫 번째 그리고 주되게, 행위들이, 그것으로 사람이 하느님에 의하여 명해진, 바로 그 선(good)을 상으로 받을 만하다고 말해지는 한, 하느님의 명(the Divine ordination)으로부터. 두 번째로, 사람이 혼자서 행함에 의한 자발적 행위들에 대한 힘을, 다른 피조물들 보다 더, 가지고 있는 한, 자유 의지의 측에서. 그리고 이들 둘 다의 방식들에 있어 공로는 정말 애덕(charity)에 주로 달려 있습니다. 이는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이 하느님의 기쁨을 그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음(consists in)을 마음에 새겨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이제 하느님의 선의 달성(fruition)을 향한 인간의 마음의 움직임은 사랑의 고유한 행위이며, 그러한 행위에 의하여 다른 덕들의 행위들 모두가 이러한 목표를 향하여 명해져 있는데(are ordained), 이는 다른 덕들 모두가 애덕에 의하여 통솔되기(is commanded)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이라는 공로는 우선적으로 애덕(charity)에, 그리고 두 번째로, 다른 덕들에, 그들의 행위들이 애덕에 의하여 통솔되는 한, 적합합니다(pertains to). 그래서, 마찬가지로, 사랑(love)으로부터 우리가 행하는 바를 우리가 가장 기꺼이(willingly) 행하여야 함은 명백합니다. 따라서, 심지어 공로가 자발성(voluntariness)에 달려 있는 한이라고 하더라도, 공로는 애덕의 덕분으로 주로 돌려집니다.

 

Reply to Objection 1. Charity, inasmuch as it has the last end for object, moves the other virtues to act. For the habit to which the end pertains always commands the habits to which the means pertain, as was said above (Question 9, Article 1).

 

반론 1에 대한 답변. 애덕(charity)은, 그것이 대상을 위한 마지막 목표를 가지고 있는 한, 다른 덕들을 행동하도록 움직입니다. 이는 거기에 이 목표가 적합한(pertains) 바로 그 습관이, 위에서 (질문 9, 제1조) 말해졌듯이, 그것에 이 수단들이 적합한(pertain) 바로 그 습관들을 항상 통솔하기(commands)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A work can be toilsome and difficult in two ways: first, from the greatness of the work, and thus the greatness of the work pertains to the increase of merit; and thus charity does not lessen the toil--rather, it makes us undertake the greatest toils, "for it does great things, if it exists," as Gregory says (Hom. in Evang. xxx). Secondly, from the defect of the operator; for what is not done with a ready will is hard and difficult to all of us, and this toil lessens merit and is removed by charity.

 

반론 2에 대한 답변. 어떤 일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들로 고생스럽고 그리고 힘들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그 일의 커다람에서부터, 그리하여 그 결과 일의 커다람은 공로의 증가에 적합하며(pertains to), 그리하여 그 결과 애덕은 그 노고를 줄이지 않습니다 - 오히려, 이 덕은, 그레고리오(Gregory)가 "이는, 그것이, 만약에 그것이 존재한다면, 커다란 일들을 하기 때문이다" 라고 말하듯이, 우리로 하여금 가장 커다란 일들을 떠맡게 합니다. 두 번째로, 작용자의 결함으로부터, 이는 어떤 준비된 의지와 함께 행해지지 않는 바는 우리 모두에게 힘들고 어려우며, 그리하여 이러한 노고(toil)는 공로를 줄이며 그리고 애덕에 의하여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The act of faith is not meritorious unless "faith . . . worketh by charity" (Galatians 5:6). So, too, the acts of patience and fortitude are not meritorious unless a man does them out of charity, according to 1 Corinthians 13:3: "If I should deliver my body to be burned, and have not charity, it profiteth me nothing."

 

반론 3에 대한 답변. 믿음의 행위(the act of faith)는 "사랑으로 행동하는 믿음" (갈라티아 5,6)이 아니라면 가치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또한, 인내(patience)와 굳셈(fortitude)의 행위들도 어떤 사람이, 다음과 같은 1코린토 13,3에 따라, 애덕으로부터 그들을 행하지 않는다면 가치있지 않습니다: "내 몸까지 자랑스레 넘겨준다 하여도 나에게 사랑이 없으면 나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
(*) 번역자 주: 위의 1코린토 13,3의 영어본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Douay-Rheims Bible 의 본문 및 프랑스어 공동번역 성경(TOB)의 본문을 따르고 있는데,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TOB의 해당 본문 및 주석을 참고하라. 그러나, 이 영어 번역문이,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NAB(New American Bible)에서의 해당 영어 번역문 및 새 번역 성경에서의 우리말 번역문과는 다르다. 이 차이점에 대하여 또한 1코린토 13,3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을 참고하라.
-----

 

Article 5. Whether a man may merit for himself the first grace?

 

제5조. 어떤 사람이 자기 자신을 위하여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할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a man may merit for himself the first grace, because, as Augustine says (Ep. clxxxvi), "faith merits justification." Now a man is justified by the first grace. Therefore a man may merit the first grace.

 

반론 1. 어떤 사람이 자기 자신을 위하여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할 것 같은데, 왜냐하면,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믿음이 의화(justification)를 상으로 받을 만하다." (Ep. clxxxvi) 라고 말하듯이 때문입니다. 이제 어떤 사람이 최초 은총(gratia prima)에 의하여 의화(의롭게)됩니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이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받을 만할 것입니다.

 

Objection 2. Further, God gives grace only to the worthy. Now, no one is said to be worthy of some good, unless he has merited it condignly. Therefore we may merit the first grace condignly.

 

반론 2. 더구나, 하느님께서는 오로지 가치 있는 자(the worthy)들에게만 은총을 베푸십니다. 어떠한 자도, 만약에 그가 어떤 선을 적정하게(codignly) 이미 상으로 받을 만하지 않았다면, 어떤 선을 받을 만하다(be worthy of some good)고 말해지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적정하게(codignly)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Objection 3. Further, with men we may merit a gift already received. Thus if a man receives a horse from his master, he merits it by a good use of it in his master's service. Now God is much more bountiful than man. Much more, therefore, may a man, by subsequent works, merit the first grace already received from God.

 

반론 3. 더구나, 사람들과 함께 우리는 이미 받은 어떤 선물을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따라서 만약에 어떤 사람이 자신의 주인으로부터 한 마리의 말(a horse)을 받는다면, 그는 자신의 주인에 대한 봉사에 있어 이것의 어떤 선한 사용(a good use)에 의하여 이것을 상으로 받을 만합니다. 그런데 하느님께서는 사람보다 훨씬 더 관대하십니다. 그러므로 어떤 사람이, 그 이후의 일들에 의하여, 하느님으로부터 이미 받았던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훨씬 더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On the contrary, The nature of grace is repugnant to reward of works, according to Romans 4:4: "Now to him that worketh, the reward is not reckoned according to grace but according to debt." Now a man merits what is reckoned to him according to debt, as the reward of his works. Hence a man may not merit the first grace.

 

이와는 달리, 은총의 본성은, 다음과 같은 로마서 4,4에 따르면, 일들의 보상에 모순됩니다(repugnant to):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품삯이 선물이 아니라 당연한 보수로 여겨집니다." 그런데 한 사람(a man)은, 자신의 일들에 대한 보상으로서, 빚에 따라서 그에게 세어지는 바를 상으로 받을 만합니다. 따라서 한 사람은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하지 않을 것입니다.

  

-----
(*) 번역자 주:
(1) 다음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첫 번째 은총(the first grace)" 에 대한 설명에 의하면, 이 은총은 세례성사, 고백성사, 그리고 병자 도유 시에 하느님에 의하여 주입되는(infused) "성화 은총(sanctifying grace)" 을 말한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r_first_grace.htm

첫 번째 은총(FIRST GRACE)
은총의 지위에 있지 아니한 어떤 인격(a person)에게 특정한 성사(sacraments)들에 의하여 수여되는, 성화 은총(sanctifying grace)을 말한다. 따라서, 세례성사, 고백성사, 그리고 (필요시에) 병자 도유들은, 최소의 조건들이 충족된다면, 성화 은총을 수여한다(confer).

(2) 그러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그 설명이 주어진 이 "첫 번째 은총(the first grace)"은, 예를 들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010항에서 말하고 있는 "최초 은총(the initial grace, la grâce premièreprima gratia vocans, 최초의 부르는 은총)"과 결코 동일하지 않다.

 
(3) 문제가 어디에 있는가 하면, 다음과 같다: (i) 1997년에 발행된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010항의 첫 번째 문장에서 사용 중인 "prima gratia" 의 공식적으로 번역된 영어 표현은 "the initial grace" 이나, (ii) 한편으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이 영어로 번역될 때에, 위에서 보듯이, "prima gratia" 는 "the first grace" 로 번역되었고, 그리고 라틴어본 Denzinger 제2427(1377)항과 제2428(1378)항에서(1713년) 사용 중인 표현인 "prima gratia" 가 영어본 Denzinger의 해당 항들로 번역될 때에 "the first grace" 로 번역되었으며, (iii)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1980년대에 초판 발행된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irst grace" 에 대한 설명에서는 이 은총이 세례에서 주입되는 "성화 은총(sanctifying grace)"을 말한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Modern Catholic Dictionary 에서 말하는 "first grace"가 교회의 전통적인 신학 용어인 라틴어 "prima gratia"에 대응하는 영어 표현인지를 필자가 알지 못하며, 그리고 지금까지 이에 대한 구체적인 확인을 하지 못하고 있다. (iv) 또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자료들에서는 "initial grace" 와 "sanctifying grace" 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I answer that, The gift of grace may be considered in two ways: first in the nature of a gratuitous gift, and thus it is manifest that all merit is repugnant to grace, since as the Apostle says (Romans 11:6), "if by grace, it is not now by works." Secondly, it may be considered as regards the nature of the thing given, and thus, also, it cannot come under the merit of him who has not grace, both because it exceeds the proportion of nature, and because previous to grace a man in the state of sin has an obstacle to his meriting grace, viz. sin. But when anyone has grace, the grace already possessed cannot come under merit, since reward is the term of the work, but grace is the principle of all our good works, as stated above (109). But if anyone merits a further gratuitous gift by virtue of the preceding grace, it would not be the first grace. Hence it is manifest that no one can merit for himself the first grace.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은총인 선물(the gift of grace)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들로 생각될 것입니다: 첫 번째 어떤 무상의 선물의 본성 안에서, 그리하여 그 결과 모든 공로가 은총에 모순됨은 명백한데, 이는 이 사도가 "이렇게 은총으로 되는 것이라면 더 이상 사람의 행위로 되는 것이 아닙니다." (로마 11,6) 라고 말하듯이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주어진 사물의 본성에 관한 것으로서 생각될 것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또한, 그것이 은총을 가지지 못한 자의 공로 하에서 올 수 없는데, 그것이 본성의 규모를 넘어서기 때문이며, 그리고 은총 이전에 죄의 상태에 있는 어떤 사람이 그가 은총을 상으로 받을 만함에 어떤 장애물, 즉 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둘 다의 이유 때문입니다. 그러나 누구든지 은총을 가지고 있을 때에, 이미 소유하게 된 은총은 공로 하에서 올 수 없는데, 이는 보상이 일에 대한 용어이나, 그러나, 위에서 (109) 서술되었듯이, 은총은 우리의 선행(good works)들 모두의 원리(principle)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만약에 어떤 이가 앞서는 은총(the preceding grace)의 덕택으로 어떤 더 많은 무상의 선물을 상으로 받을 만하다면, 그것은 최초 은총(gratia prima)이 아닐 것입니다. 따라서 어느 누구도 자기 자신을 위하여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습니다.

 

Reply to Objection 1. As Augustine says (Retract. i, 23), he was deceived on this point for a time, believing the beginning of faith to be from us, and its consummation to be granted us by God; and this he here retracts. And seemingly it is in this sense that he speaks of faith as meriting justification. But if we suppose, as indeed it is a truth of faith, that the beginning of faith is in us from God, the first act must flow from grace; and thus it cannot be meritorious of the first grace. Therefore man is justified by faith, not as though man, by believing, were to merit justification, but that, he believes, whilst he is being justified; inasmuch as a movement of faith is required for the justification of the ungodly, as stated above (Question 113, Article 4).

 

반론 1에 대한 답변. 아우구스티노가 말하듯이 (Retract. i, 23), 그가, 믿음의 시작(the beginning of faith)이 우리로부터임을 확신하고, 그리고 그것의 궁극적 목표(consummation)가 하느님에 의하여 우리에게 허락됨을 확신하여(believing),  잠시 이러한 점에 대하여 기만당하였으며, 그리하여 이것을 그가 여기서 철회합니다(retracts). 그리고 언뜻 보기에 그가, 의로움을 상으로 받을 만함으로서(as meriting justification), 믿음(faith)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의미에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만약에 우리가, 믿음(faith)의 시작이 하느님에게서 유래하는 우리들 안에(in us from God) 있음을, 실로 믿음(faith)에 대한 어떤 진리로서, 가정하면, 첫 번째 행위(the first act)가 은총으로부터 흘러나와야만 하므로, 그리하여 그 결과 이것은 최초 은총(gratia prima)에 대하여 가치있을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람은, 위에서 (질문 113, 제4조) 서술되었듯이, 믿음(faith)의 어떤 움직임이 죄 많은 자(the ungodly)들의 의화(justification)를 위하여 요청되는 한, 그가 의롭게 되고 있는 동안에, 마치 사람이, 확신에 의하여(by believing), 의화(justification)를 상으로 받을 만한 것처럼이 아니라, 그가 믿는(believe) 바로 그것인, 믿음(faith)에 의하여 의롭게 됩니다.

 

Reply to Objection 2. God gives grace to none but to the worthy, not that they were previously worthy, but that by His grace He makes them worthy, Who alone "can make him clean that is conceived of unclean seed" (Job 14:4).

 

반론 2에 대한 답변. 하느님께서는 오로지 가치 있는 자(the worthy)들 외에는, 그들이 이전에 가치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홀로 "부정한 것을 정결하게 할 수 있으신" (욥 14,4) 분이신, 당신의 은총에 의하여 당신께서 그들을 가치있게 만드시기 때문에, 아무에게도 은총을 베풀지 않으십니다. 

 

Reply to Objection 3. Man's every good work proceeds from the first grace as from its principle; but not from any gift of man. Consequently, there is no comparison between gifts of grace and gifts of men.

 

반론 3에 대한 답변. 사람의 모든 선행(every good work)은, 그것의 원리로부터로서, 최초 은총(gratia prima)으로부터 나아가는(proceeds from) 것이지, 사람의 어떤 선물로부터 나아가는 것이 아닙니다. 그 결과로서, 은총인 선물(gifts of grace)들과 사람들의 선물(gifts of men)들 사이에 어떠한 비교(comparison)의 여지도 없습니다.

 

Article 6. Whether a man can merit the first grace for another?

 

제6조. 어떤 사람이 다른 이를 위하여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있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a man can merit the first grace for another. Because on Matthew 9:2: "Jesus seeing their faith," etc. a gloss says: "How much is our personal faith worth with God, Who set such a price on another's faith, as to heal the man both inwardly and outwardly!" Now inward healing is brought about by grace. Hence a man can merit the first grace for another.

 

반론 1. 어떤 사람이 다른 이를 위하여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등의 마태오 9,2에 대한 어떤 주석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기 때문입니다: "내면적 그리고 외면적 둘 다로 그 사람을 치유하실 정도로 다른 이의 믿음에 그러한 상을 설정하시는 분이신 하느님께 있어서(with God) 우리의 개인적 믿음이 얼마나 큰지!" 그런데 내면적 치유는 은총에 의하여 야기됩니다. 따라서 어떤 사람이 다른 이를 위하여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있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the prayers of the just are not void, but efficacious, according to James 5:16: "The continued prayer of a just man availeth much." Now he had previously said: "Pray one for another, that you may be saved." Hence, since man's salvation can only be brought about by grace, it seems that one man may merit for another his first grace.

 

반론 2. 더구나, 다음과 같은 야고보 5,16에 따르면, 의로운 자들의 기도들은 공허한 것이 아니고, 효능이 있습니다(efficacious): "의인의 간절한 기도는 큰 힘을 냅니다." 그런데 그는 이전에 이미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서로 남을 위하여 기도하십시오. 그러면 여러분의 병이 낫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사람의 구원이 은총에 의하여서만 오로지 야기될 수 있으므로, 한 사람이 다른 이를 위하여 그의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Objection 3. Further, it is written (Luke 16:9): "Make unto you friends of the mammon of iniquity, that when you shall fail they may receive you into everlasting dwellings." Now it is through grace alone that anyone is received into everlasting dwellings, for by it alone does anyone merit everlasting life as stated above (2; 109, 5). Hence one man may by merit obtain for another his first grace.

 

반론 3. 더구나, 다음과 같이 쓰여있습니다: "불의한 재물로 친구들을 만들어라. 그래서 재물이 없어질 때에 그들이 너희를 영원한 거처로 맞아들이게 하여라." (루카 16,9). 그런데 누구든지 영구히 계속되는 거처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바로 은총을 통하여서 인데, 이는 위에서 (2; 109, 5) 서술되었듯이 오로지 그것만에 의하여 누구든지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을 정말 상으로 받을 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 사람이 다른 이를 위하여 그의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On the contrary, It is written (Jeremiah 15:1): "If Moses and Samuel shall stand before Me, My soul is not towards this people" -- yet they had great merit with God. Hence it seems that no one can merit the first grace for another.

 

이와는 달리, 다음과 같이 쓰여있습니다: "모세와 사무엘이 내 앞에 서서 간청하더라도, 내 마음을 이 백성에게 돌리지 않겠다" (예레미야 15,1) -- 그러나 그들은 하느님께 있어서(with God) 커다란 공로를 과거에 가졌습니다. 따라서 누구도 다른 이를 위하여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I answer that, As shown above (1,3,4), our works are meritorious from two causes: first, by virtue of the Divine motion; and thus we merit condignly; secondly, according as they proceed from free-will in so far as we do them willingly, and thus they have congruous merit, since it is congruous that when a man makes good use of his power God should by His super-excellent power work still higher things. And therefore it is clear that no one can merit condignly for another his first grace, save Christ alone; since each one of us is moved by God to reach life everlasting through the gift of grace; hence condign merit does not reach beyond this motion. But Christ's soul is moved by God through grace, not only so as to reach the glory of life everlasting, but so as to lead others to it, inasmuch as He is the Head of the Church, and the Author of human salvation, according to Hebrews 2:10: "Who hath brought many children into glory [to perfect] the Author of their salvation."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위에서 (1,3,4) 보였듯이, 우리의 일들은 두 가지 원인들로부터 가치있습니다: 첫 번째, 하느님의 의향(the Divine motion) 덕택에, 그리하여 그 결과 우리가 적정하게 상으로 받을 만 하며, 그리고 두 번재로, 우리가 그들을 기꺼이 행하는 한 그들이 자유 의지로부터 나옴에 따라서, 그리하여 그 결과 그들은 재량 공로(congruous merit)를 가지는데, 이는 어떤 사람이 자신의 힘의 선한 사용을 할 때에 하느님께서 당신의 지고의 탁월한 힘에 의하여 여전히 더 고귀한 사물들을 일하게 하셔야 하는(work) 것은 알맞기(congruous)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 홀로만을 제외하고, 누구도 다른 이를 위하여 그의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적정하게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는 것은 분명한데, 이는 우리들 각자가 은총의 선물을 통하여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에 도달하도록 하느님에 의하여 움직여쳐, 그리하여 그 결과 적정 공로(condign merit)가 이러한 운동을 넘어서까지 미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But one may merit the first grace for another congruously; because a man in grace fulfils God's will, and it is congruous and in harmony with friendship that God should fulfil man's desire for the salvation of another, although sometimes there may be an impediment on the part of him whose salvation the just man desires. And it is in this sense that the passage from Jeremias speaks.

 

그러나 어떤 자가 다른 이를 위하여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재량적으로 상으로 받을 만 할 것인데, 이는 은총 안에 있는 어떤 사람이 하느님의 뜻(God's will)을 구현하며, 그리하여,  비록 의로운 사람이 구원을 바라는 그의 측에 어떤 장애가 때로는 있을 것이지만, 하느님께서 다른 이의 구원을 위한 사람의 바람을 구현하셔야 함은 재량적이며(congruous) 그리고 우정(friendship)과 조화의 상태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예레미야가 말한 그 구절은 이러한 의미에서 입니다.

 

Reply to Objection 1. A man's faith avails for another's salvation by congruous and not by condign merit. 

 

반론 1에 대한 답변. 다른 이의 구원을 위한 어떤 사람의 믿음이 도움이 되는 것은 재량 공로(congruous merit)에 의하여서이지 적정 공로(condign merit)에 의하여서가 아닙니다.

 

Reply to Objection 2. The impetration of prayer rests on mercy, whereas condign merit rests on justice; hence a man may impetrate many things from the Divine mercy in prayer, which he does not merit in justice, according to Daniel 9:18: "For it is not for our justifications that we present our prayers before Thy face, but for the multitude of Thy tender mercies."

 

반론 2에 대한 답변. 기도에 있어서의 간청(impetration)은 자비(mercy)에 의존하고, 이에 반하여 적정 공로(condign merit)는 의로움(정의, justice)에 의존하며, 따라서 어떤 사람은, 다음과 같은 다니엘 9,18에 따라, 기도 안에서 하느님의 자비로부터 그가 의로움 안에서 상으로 받을 만하지 않은 많은 사물들을 간청할 것입니다: "저희가 당신 앞에 간청을 올리는 것은 저희의 어떤 의로운 업적이 아니라, 당신의 크신 자비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The poor who receive alms are said to receive others into everlasting dwellings, either by impetrating their forgiveness in prayer, or by meriting congruously by other good works, or materially speaking, inasmuch as by these good works of mercy, exercised towards the poor, we merit to be received into everlasting dwellings.

 

반론 3에 대한 답변. 자선(alms)을 받아들이는 가난한 이들은, 가난한 이들을 향하여 수행되는, 이러한 자비의 선행들에 의하여, 우리가 영구히 계속되는 거처로 받아들여짐을 상으로 받을 만하는 한, 기도 안에서 그들에 대한 용서를 간청함으로써, 혹은 다른 선행들에 의하여 재량적으로(congruously) 상을 받을 만함 혹은 질료적으로 말함(materially speaking)으로써, 영구히 계속되는 거처로 다른 이들을 가입시킨다(receive)고 말해집니다.

 

Article 7. Whether a man may merit restoration after a fall?

 

제7조. 어떤 사람이 어떤 타락 이후에 회복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있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anyone may merit for himself restoration after a fall. For what a man may justly ask of God, he may justly merit. Now nothing may more justly be be sought of God than to be restored after a fall, as Augustine says [Cf. Ennar. i super Ps. lxx.], according to Psalm 70:9: "When my strength shall fail, do not Thou forsake me." Hence a man may merit to be restored after a fall.

 

반론 1. 누구든지 어떤 타락 이후에 회복을 자기 자신을 위한 상으로 받을 만 할 것 같습니다. 이는 어떤 사람이 하느님께 정당하게(justly) 요청할 바를, 그가 정당하게 상으로 받을 만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다음과 같은 시편 70,7에 따라,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말하듯이 [Cf. Ennar. i super Ps. lxx.], 어떠한 것도 어떤 타락 이후에 회복되는 것보다 더 정당하게 하느님으로부터 찾아내어지지 못할 것입니다: "저를 내던지지 마소서, 다 늙어 버린 이 때에, 저의 온 기운 다한 지금 저를 버리지 마소서." 따라서 어떤 사람이 어떤 타락 이후에 회복되는 것을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Objection 2. Further, a man's works benefit himself more than another. Now a man may, to some extent, merit for another his restoration after a fall, even as his first grace. Much more, therefore, may he merit for himself restoration after a fall.

 

반론 2. 더구나, 어떤 사람의 일들은 다른 이보다 더 자기 자신에게 도움이 됩니다. 이제 어떤 사람은, 어느 정도에까지, 어떤 타락 이후에 자신의 회복을, 심지어 자신의 최초 은총(gratia prima)으로서, 다른 이를 위한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는 어떤 타락 이후에 회복을 훨씬 더 자기 자신을 위한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Objection 3. Further, when a man is once in grace he merits life everlasting by the good works he does, as was shown above (2; 109, 5). Now no one can attain life everlasting unless he is restored by grace. Hence it would seem that he merits for himself restoration.

 

반론 3. 더구나, 어떤 사람이 한때 은총 안에 있을 때에, 위에서 (2, 109, 5) 보였듯이, 자신이 행한 선행들에 의하여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을 상으로 받을 만합니다. 그런데 아무도, 그가 은총에 의하여 회복되지 않는다면,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을 쵝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그가 회복을 자기 자신을 위한 상으로 받을 만할 것 같습니다.

 

On the contrary, It is written (Ezekiel 18:24): "If the just man turn himself away from his justice and do iniquity . . . all his justices which he hath done shall not be remembered." Therefore his previous merits will nowise help him to rise again. Hence no one can merit for himself restoration after a fall.

 

이와는 달리,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습니다: "의인이 자기 정의를 버리고 불의를 저지르고 ... 그가 실천한 모든 정의는 기억되지 않은 채, ..." (에제키엘 18,24). 그러므로 그의 이전의 공로들은 그가 다시 일어나는 것을 결코 도우지 못할 것입니다. 따라서 어떤 타락 이후에 회복을 자기 자신을 위한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습니다.

 

I answer that, No one can merit for himself restoration after a future fall, either condignly or congruously. He cannot merit for himself condignly, since the reason of this merit depends on the motion of Divine grace, and this motion is interrupted by the subsequent sin; hence all benefits which he afterwards obtains from God, whereby he is restored, do not fall under merit --the motion of the preceding grace not extending to them. Again, congruous merit, whereby one merits the first grace for another, is prevented from having its effect on account of the impediment of sin in the one for whom it is merited. Much more, therefore, is the efficacy of such merit impeded by the obstacle which is in him who merits, and in him for whom it is merited; for both these are in the same person. And therefore a man can nowise merit for himself restoration after a fall.

 

저는 다음과 같이 답합니다. 누구도 어떤 미래의 타락(a future fall) 이후의 회복을 자기 자신을 위한, 적정하게(condignly) 혹은 재량적(congruously) 둘 다로,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습니다. 그는 적정하게 자기 자신을 위한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는데. 이는 이러한 공로의 이유가 하느님의 은총의 운동(motion)에 달려있으며, 그리고 바로 이 운동이 그 이후의 죄(the subsequent sin)에 의하여 차단되어, 그리하여 그 결과, 그것에 의하여 그가 회복되는, 그가 그 이후에 하느님으로부터 획득하는, 모든 혜택(benefits)들이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지(fall under) 못하기 때문입니다 -- 이전의 은총의 운동이 그들에게까지 뻗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again), 그것에 의하여 어떤 자가 다른 이를 위한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상으로 받을 만한, 재량 공로는, 그를 위하여 그것이 상으로 받을 만하게 된, 바로 그 자 안에 있는 죄에 의한 장애 때문에 그 효과를 가지는 것이 허락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그러한 공로의 효능(efficacy)은 상으로 받을 만한 자에게 있는 장애, 그리고 그를 위하여 그것이 상으로 받을 만하게 된 자에게 있는 장애, 바로 그 장애에 의하여 훨씬 더 방해를 받는데, 이는 이들 둘 다가 동일한 인격체(person)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 어떤 타락 이후에 회복을 자기 자신을 위한 상으로 결코 받을 만할 수 없습니다.

 

Reply to Objection 1. The desire whereby we seek for restoration after a fall is called just, and likewise the prayer whereby this restoration is besought is called just, because it tends to justice; and not that it depends on justice by way of merit, but only on mercy.

 

반론 1에 대한 답변. 그것에 의하여 어떤 타락 이후에 회복을 추구하는 바로 그 욕구는 의롭다(just)고 불리며, 그리고 마찬가지로 그것에 의하여 이러한 회복을 간청하게 되는 바로 그 기도도 의롭다고 불리는데, 이는 그것이 의로움(justice, 정의)로 향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며, 그리고 그것이 공로를 거쳐서(by way of merit) 의로움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자비(mercy)에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Anyone may congruously merit for another his first grace, because there is no impediment (at least, on the part of him who merits), such as is found when anyone recedes from justice after the merit of grace.

 

반론 2에 대한 답변. 누구든지 다른 이를 위한 자신의 최초 은총(gratia prima)을 재량적으로(congruously) 상으로 받을 만할 것인데, 이는 거기에 (적어도, 상으로 받을 만한 자의 측에 있어) 누구든지 은총에 기인하는 공로 이후에 의로움으로부터 물러날(recedes from) 때에 발견되는 그러한 것으로서, 아무런 장애도 없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Some have said that no one "absolutely" merits life everlasting except by the act of final grace, but only "conditionally," i.e. if he perseveres. But it is unreasonable to say this, for sometimes the act of the last grace is not more, but less meritorious than preceding acts, on account of the prostration of illness. Hence it must be said that every act of charity merits eternal life absolutely; but by subsequent sin, there arises an impediment to the preceding merit, so that it does not obtain its effect; just as natural causes fail of their effects on account of a supervening impediment.

 

반론 3에 대한 답변. 어떤 이들이 어느 누구도 최후의 은총(final grace)의 행위에 의함을 제외하고 "절대적으로(absolutely)"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을 상으로 받을 만하지 않으며, 오로지 "조건부로(conditionally)", 즉, 만약에 그가 버틴다면(persevere),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을 상으로 받을 만하다고 이미 말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말하는 것은 비 이성적인데(unreasonable), 이는 때로는 이 마지막 은총(the last grace)의 행위가, 질병에 의한 쇠약(prostration) 때문에, 이전의 행위들보다 더 가치 있는(meritorious) 것이 아니라 덜 가치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애덕(charity)의 행위 모두는 영원한 생명을 절대적으로 상으로 받을 만하나, 그러나 그 뒤의 죄에 의하여, 이 이전의 공로에 어떤 장애가 발생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그것이, 마치 어떤 잇따라 일어나는 장애 때문에 자연적 원인들이 그 결과들을 달성할 수 없는(fail of) 것과 마찬가지로, 그 결과를 획득하지 못한다고 말해져야만 합니다.

 

Article 8. Whether a man may merit the increase of grace or charity?

 

제8조. 어떤 사람이 은총 혹은 애덕의 증가를 상으로 받을 만할 것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a man cannot merit an increase of grace or charity. For when anyone receives the reward he merited no other reward is due to him; thus it was said of some (Matthew 6:2): "They have received their reward." Hence, if anyone were to merit the increase of charity or grace, it would follow that, when his grace has been increased, he could not expect any further reward, which is unfitting.

 

반론 1. 어떤 사람이 은총 혹은 애덕의 증가를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이는 누구든지 그가 상으로 받을 만한 보상을 받을 때에 결코 다른 보상이 그에게 기인하지 않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어떤 자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해졌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이 받을 상을 이미 받았다." (마태오 6,2). 따라서, 만약에 누구든지 애덕 혹은 은총의 증가를 상으로 받을 만하였더라면, 그의 은총이 이미 증가되었을 때에, 그가, 적절하지 않은, 어떤 한층 더한 보상을 예상할 수없었을 것임이 결론으로 뒤따랐을 것입니다.  

 

Objection 2. Further, nothing acts beyond its species. But the principle of merit is grace or charity, as was shown above (Question 2, Article 4). Therefore no one can merit greater grace or charity than he has.

 

반론 2. 더구나, 어떠한 것도 그 종류(its species)를 넘어서(beyond) 작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공로의 원리는, 위에서 (질문 2, 제4조) 보였듯이, 은총 혹은 애덕입니다. 그러므로 누구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보다 더 큰 은총 혹은 애덕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습니다.

 

Objection 3. Further, what falls under merit a man merits by every act flowing from grace or charity, as by every such act a man merits life everlasting. If, therefore, the increase of grace or charity falls under merit, it would seem that by every act quickened by charity a man would merit an increase of charity. But what a man merits, he infallibly receives from God, unless hindered by subsequent sin; for it is written (2 Timothy 1:12): "I know Whom I have believed, and I am certain that He is able to keep that which I have committed unto Him." Hence it would follow that grace or charity is increased by every meritorious act; and this would seem impossible since at times meritorious acts are not very fervent, and would not suffice for the increase of charity. Therefore the increase of charity does not come under merit.

 

반론 3. 더구나,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는(falls under) 바를 어떤 사람이 은총 혹은 애덕으로부터 뒤따르는 모든 행위에 의하여, 모든 그러한 행위에 의하여 어떤 사람이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을 상으로 받을 만하듯이, 상으로 받을 만합니다. 그러므로 은총 혹은 애덕의 증가가 공로의 범위에 들어간다면, 애덕에 의하여 활기차게 된(quickened) 모든 행위에 의하여 어떤 사람이 애덕의 증가를 상으로 받을 만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이 상으로 받을 만한 바를, 만약에 그 이후의 죄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는다면, 그는 하느님으로부터 무류적으로(infallibly) 받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내가 누구를 믿는지 잘 알고 있으며, 또 내가 맡은 것을 그분께서 그날까지 지켜 주실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2티모테오 1,12). 따라서 은총 혹은 애덕이 모든 가치 있는 행위에 의하여 증가됨이 결론으로 뒤따를 것인데, 그러나 이것은 불가능할 것 같은데 이는 때로는 가치 있는 행위들이 대단히 열렬하지(fervent) 못하여, 그리하여 애덕의 증가를 위하여 충분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애덕의 증가가 공로의 범주에 들어가지(come under) 않습니다.

 

On the contrary, Augustine says (super Ep. Joan.; cf. Ep. clxxxvi) that "charity merits increase, and being increased merits to be perfected." Hence the increase of grace or charity falls under merit.

 

이와는 달리, 아우구스티노(Augustine)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애덕은 증가를 상으로 받을 만하며, 그리고 증가됨은 완미하게 될 것임(to be perfected)을 상으로 받을 만하다(charity merits increase, and being increased merits to be perfected)." (super Ep. Joan.; cf. Ep. clxxxvi). 따라서 은총 혹은 애덕의 증가는 공로의 범위에 들어갑니다.

 

I answer that, As stated above (6,7), whatever the motion of grace reaches to, falls under condign merit. Now the motion of a mover extends not merely to the last term of the movement, but to the whole progress of the movement. But the term of the movement of grace is eternal life; and progress in this movement is by the increase of charity or grace according to Proverbs 4:18: "But the path of the just as a shining light, goeth forward and increaseth even to perfect day," which is the day of glory. And thus the increase of grace falls under condign merit.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위에서 (6,7) 서술되었듯이, 은총의 운동이 무엇이든지간에 적정 공로에, 적정 공로의 범위에 들어갑니다. 그런데 어떤 움직이는 것의 운동은 단지 그 움직임의 마지막 용어만이 아니라, 이 움직임의 전체 과정에까지 뻗칩니다. 그러나 은총의 움직임이라는 용어는 영원한 생명을 말하며, 그리하여 이 움직임에 있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잠언서 4,18에 따라 애덕 혹은 은총의 증가에 의하여서입니다: "의인들의 길은 동틀 녘의 빛과 같아 한낮이 될 때까지 점점 밝아지지만", 여기서 한낮이란 영광의 날(the day of glory)을 말합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은총의 증가는 적정 공로의 범위에 들어갑니다.

 

-----
(*) 번역자 주: "새 번역 성경"에서 "한낮"으로 번역된 표현이 Douay-Rheim Bible, RSV, NAB 등에서 "perfect day(완미한 날)"로 번역되었으며, 다음은 "till perfect day"에 대한 NAB 주석의 우리말 번역이다:


출처: http://www.usccb.org/bible/scripture.cfm?bk=Proverbs&ch=4 

Till perfect day: 글자 그대로, "낮이 확립될 때까지", 그리고 이것은 충만한 일광(daylight) 혹은 한낮(noonday, 정오)에 대한 언급일 것이다.
-----

 

Reply to Objection 1. Reward is the term of merit. But there is a double term of movement, viz. the last, and the intermediate, which is both beginning and term; and this term is the reward of increase. Now the reward of human favor is as the last end to those who place their end in it; hence such as these receive no other reward.

 

반론 1에 대한 답변. 보상(reward)은 공로를 나타내는 용어(the term of merit)입니다. 그러나 거기에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어떤 이중의 용어(a double term), 즉 마지막(the last), 그리고, 처음(beginning)과 종말(term) 둘 다인, 중간(the intermediate)이 있으며, 그리고 이 용어는 증가에 대한 보상입니다. 그런데 인간의 우의적(友誼的) 도움이라는 보상(the reward of human favor)이 그 안에 자신들의 목표를 앉히는 자들에 대한 마지막 목표이듯이, 그리하여 그 결과 그러한 것들은 어떤 다른 보상을 받지 못합니다.  

 

Reply to Objection 2. The increase of grace is not above the virtuality of the pre-existing grace, although it is above its quantity, even as a tree is not above the virtuality of the seed, although above its quantity.

 

반론 2에 대한 답변. 은총의 증가는, 심지어 어떤 나무가, 비록 자신의 본래의 성질(quality) 위에 있기는 하나, 씨앗의 실제 위에 있지 않듯이, 비록 그것이 그 본래의 성질 위에 있으나, 선재 은총(pre-existing grace)의 실제(virtuality) 위에 있지 않습니다.

 

Reply to Objection 3. By every meritorious act a man merits the increase of grace, equally with the consummation of grace which is eternal life. But just as eternal life is not given at once, but in its own time, so neither is grace increased at once, but in its own time, viz. when a man is sufficiently disposed for the increase of grace.

 

반론 3에 대한 답변. 모든 가치 있는 행위에 의하여 어떤 사람은 은총의 증가를 상으로 받을 만하며, 영원한 생명인 은총의 궁극적 목표(consummation)에 대하여서도 동일합니다. 그러나 영원한 생명이 한번에 주어지지 않고, 그 고유의 시기에 주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또한 은총은 한번에 증가되지 않고, 그 고유의 시기에, 즉 어떤 사람이 은총의 증가를 위한 성향이 있을 때에, 증가됩니다.

 

Article 9. Whether a man may merit perseverance?

 

제9조. 어떤 사람이 끈기(perseverance)를 상으로 받을 만할 것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anyone may merit perseverance. For what a man obtains by asking, can come under the merit of anyone that is in grace. Now men obtain perseverance by asking it of God; otherwise it would be useless to ask it of God in the petitions of the Lord's Prayer, as Augustine says (De Dono Persev. ii). Therefore perseverance may come under the merit of whoever has grace. 

 

반론 1. 누구든지 끈기(perseverance)(*)를 상으로 받을 만할 것 같습니다. 이는 어떤 사람이 청원함에 의하여 획득하는 바가, 은총 안에 있는 누구든지의 공로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끈기를 하느님께 그것을 요청함에 의하여 획득하는데, 그렇지 않다면(otherwise),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말하듯이 (De Dono Persev. ii), 주님의 기도에 있어서의 청원들에서 하느님께 그것을 청원하는 것이 쓸모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끈기는 은총을 가지고 있는 누구든지의 공로의 범주에 들어갈 것입니다.

 

-----
(*) 번역자 주:

(1) 여기서 말하는 "perseverance(끈기)" 라는 용어에 대한 Modern Catholic Dictionay에 주어진 설명은 "삶의 마지막에 이르기까지 은총의 지위에 머물러 있음" 이다. 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에 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r_perseverance.htm


(2) "최후의 끈기(final perseverance)"는 다음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의 설명에 의하면 "임종 시점에 있어서의 끈기"를 말한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r_final_perseverance.htm

최후의 끈기(FINAL PERSEVERANCE)
죽음의 순간에게 이르기까지 선(good) 안에서의 사람의 굿꿋함(steadfastness)을 말한다. 이것은 조력 은총(助力恩寵, actual grace)의 일(work)이다. 비록 사람 스스로가 최후의 끈기라는 선물을 상으로 받을 만할 수 없으나, 그는, 진지한 기도와 생애 동안 자신에게 주어진 다중의 은총들과의 열심한 협조에 의하여, 영원한 행복이 달려있는 바로 이 가장 중요한 은총을 하느님의 자비로부터 확보할 수 있다.

-----

 

Objection 2. Further, it is more not to be able to sin than not to sin. But not to be able to sin comes under merit, for we merit eternal life, of which impeccability is an essential part. Much more, therefore, may we merit not to sin, i.e. to persevere.

 

반론 2. 더구나, 죄를 짓지 않는 것보다 죄를 지을 수 없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러나 죄를 지을 수 없는 것은 공로의 범주에 들어갈 것인데, 이는 우리가, 그것의 결점 없음(impeccability)이 어떤 본질적 부분인, 영원한 생명을 상으로 받을 만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죄를 짓지 않는 것, 즉, 버티는 것(persevere)을 훨씬 더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Objection 3. Further, increase of grace is greater than perseverance in the grace we already possess. But a man may merit an increase of grace, as was stated above (Article 8). Much more, therefore, may he merit perseverance in the grace he has already.

 

반론 3. 더구나, 은총의 증가는 우리가 이미 소유한 은총 안에 있는 끈기(perseverance)보다 더 중요합니다. 그러나, 위에서 (제8조) 서술하듯이, 어떤 사람은 은총의 증가를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는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은총 안에서 끈기(perseverance)를 훨씬 더 상으로 받을 만할 것입니다.

 

On the contrary, What we merit, we obtain from God, unless it is hindered by sin. Now many have meritorious works, who do not obtain perseverance; nor can it be urged that this takes place because of the impediment of sin, since sin itself is opposed to perseverance; and thus if anyone were to merit perseverance, God would not permit him to fall into sin. Hence perseverance does not come under merit.

 

이와는 달리, 우리가 상으로 받을 만한 바를, 만약에 그것이 죄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는다면, 우리는 하느님으로부터 획득합니다. 그런데 많은 이들이 가치 있는 일들을 가지고 있는데, 그들은 끈기(perseverance)를 획득하지 못하거나, 혹은 죄의 장애 때문에 이것이 발생하는 것은 재촉될 수 없는데, 이는 죄 자체가 끈기(perseverance)에 반대하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만약에 누구든지 끈기(perseverance)를 상으로 받을 만하였더라면, 하느님께서 그가 죄로 떨어지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셨을 것입니다. 따라서 끈기(perseverance)는 공로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I answer that, Since man's free-will is naturally flexible towards good and evil, there are two ways of obtaining from God perseverance in good: first, inasmuch as free-will is determined to good by consummate grace, which will be in glory; secondly, on the part of the Divine motion, which inclines man to good unto the end. Now as explained above (6,7,8), that which is related as a term to the free-will's movement directed to God the mover, falls under human merit; and not what is related to the aforesaid movement as principle. Hence it is clear that the perseverance of glory which is the term of the aforesaid movement falls under merit; but perseverance of the wayfarer does not fall under merit, since it depends solely on the Divine motion, which is the principle of all merit. Now God freely bestows the good of perseverance, on whomsoever He bestows it.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사람의 자유 의지가 선과 악을 향하여 본성적으로 잘 구부러지므로(flexible), 선(good)안에서 끈기(perseverance)를 하느님으로부터 획득함에 있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들이 있습니다: 첫 번째, 자유 의지가, 영광 안에 있을, 마무리하는 은총(consummate grace)(*)에 의하여 선(good)으로 결정되어 있는 한, 그리고 두 번째로, 마지막까지 사람을 선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하느님의 운동 측에서. 그런데 위에서 (7,7,8) 설명되었듯이, 어떤 용어로서(as a term) 운동자이신(the mover) 하느님께로 향해진 자유 의지의 움직임에 관련된 바로 그것은 인간적 공로(human merit)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지, 원리로서 이미 언급된 운동에 관련된 바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미 언급된 움직임을 나타내는 용어인 영광의 끈기(perseverance)는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나, 그러나 나그네(the wayfarer)의 끈기(perseverance)는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데, 이는 그것이 오직, 모든 공로의 원리인, 하느님의 운동(the Divine motion)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느님께서는 끈기(perseverance)라는 선(good)을, 당신께서 그것을 수여하는(bestows) 누구나(whomsoever)에게, 자유롭게(freely) 수여하십니다.

 

------
(*) 번역자 주: "consummate grace" 라는 표현은 "신학 대전" 본문 전체에 걸쳐 총 여섯 번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용어 색인 결과를 참고하라: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4/4A.HTM

 

이 용어 색인 결과의 비교/검토 및 다음의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사전의 설명에 따라, 영어로 "consummate grace"로 번역된 표현을, 우리말로 "마무하는(finished) 은총"으로 번역한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mw/u_d.htm

 

이 "consummate" 단어의 용례로서, 예를 들어, 교황 비오 12세가 "마무리된 완미(consummate perfection)" 와 "성성(聖性, sanctity)" 을 동일시 하였음을 언급하고 있는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vatican/rc_ic_inf_doc_20011025_b9p9_en.htm
-----

 

Reply to Objection 1. We impetrate in prayer things that we do not merit, since God hears sinners who beseech the pardon of their sins, which they do not merit, as appears from Augustine [Tract. xliv in Joan.] on John 11:31, "Now we know that God doth not hear sinners," otherwise it would have been useless for the publican to say: "O God, be merciful to me a sinner," Luke 18:13. So too may we impetrate of God in prayer the grace of perseverance either for ourselves or for others, although it does not fall under merit.

 

반론 1에 대한 답변. 우리는 우리가 상으로 받을 만하지 않은 사물들을 기도 안에서 간청하는데, 이는 하느님께서, "이제 우리는 하느님께서 죄인들을 듣지 않으심을 안다" 라는 요한 11,31에 대한 아우구스티노의 [Tract. xliv in Joan.]에 나타나듯이, 그들이 상으로 받을 만하지 않은, 자신들의 죄들의 용서를 애원하는 죄인들을 들으시기 때문인데, 만약에 그렇지 않다면(otherwise) 세리가 "오, 하느님! 이 죄인을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루카 18,13) 라고 말하는 것이 헛되었을(useless)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또한 우리는 끈기라는 은총(the grace of perseverance)을, 비록 그것이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더라도, 우리 자신들 혹은 다른 이들 둘 중의 하나를 위하여 기도 안에서 하느님께 간청할 것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The perseverance which is in heaven is compared as term to the free-will's movement; not so, the perseverance of the wayfarer, for the reason given in the body of the article.

 

반대 2에 대한 답변. 하늘에 있는 끈기(perseverance)는, 용어로서(as term), 자유 의지의 움직임에 비교되며, 그리고 그렇지 않다면, 이 조항의 본문에 주어진 이유 때문에, 나그네(the wayfarer)의 끈기(perseverance)에 비교됩니다.

 

In the same way may we answer the third objection which concerns the increase of grace, as was explained above.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동일한 방식으로 우리는 은총의 증가에 관한 세 번째 반대에 대하여 답변할 것입니다.

 

Article 10. Whether temporal goods fall under merit?

 

제10조. 일시적 재화들이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temporal goods fall under merit. For what is promised to some as a reward of justice, falls under merit. Now, temporal goods were promised in the Old Law as the reward of justice, as appears from Deuteronomy 28. Hence it seems that temporal goods fall under merit.

 

반론 1. 일시적 재화(temporal goods)들이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이는 어떤 자들에게 의로움에 대한 보상으로서 약속된 바가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이제, 신명기 28에서 나타나듯이, 일시적 재화들은 옛 율법 안에서 의로움에 대한 보상으로서 약속되었습니다. 따라서 일시적 재화들이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that would seem to fall under merit, which God bestows on anyone for a service done. But God sometimes bestows temporal goods on men for services done for Him. For it is written (Exodus 1:21): "And because the midwives feared God, He built them houses"; on which a gloss of Gregory (Moral. xviii, 4) says that "life everlasting might have been awarded them as the fruit of their goodwill, but on account of their sin of falsehood they received an earthly reward." And it is written (Ezekiel 29:18): "The King of Babylon hath made his army to undergo hard service against Tyre . . . and there hath been no reward given him," and further on: "And it shall be wages for his army . . . I have given him the land of Egypt because he hath labored for me." Therefore temporal goods fall under merit.

 

반론 2. 더구나, 행해진 어떤 봉사에 대하여 하느님께서 누구든지에게 수여하신 것은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때로는 당신을 위하여 행해진 봉사들에 대하여 사람들에게 일시적 재화들을 때로는 수여하십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쓰여져 있기 때문인데: "산파들이 하느님의 경외하였기 때문에, 하느님께서는 그들의 집안을 일으켜 주셨다." (탈출 1,21), 이에 대하여 그레고리오(Gregory)의 주석은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이 그들에게 그들의 선의의 열매로서 수여되었을 것이나, 그러나 그릇된 생각(falsehood)에 기인하는 자신들의 죄 때문에 그들은 어떤 이 세상의 보상을 받았다." (Moral. xviii, 4) 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쓰여있으며: "바빌론의 임금이 티로를 치려고 자기 군대에게 힘겨운 일을 시켰다. ... 애쓴 일에 대한 보상을 ... 받지 못하였다." (에제키엘 29,18), 그리고 다음과 같이 계속합니다: "... 그것이 그의 군대에게 줄 보상이다. 그들이 나를 위하여 수고한 것이니, 그 일의 대가로 나는 이집트 땅을 그에게 넘겨준다." 그러므로 일시적 재화들은 공로의 범위에 들어갑니다. 

 

Objection 3. Further, as good is to merit so is evil to demerit. But on account of the demerit of sin some are punished by God with temporal punishments, as appears from the Sodomites, Genesis 19. Hence temporal goods fall under merit.

 

반론 3. 더구나, 선(good)이 공로(merit)에 대한 것이듯이 마찬가지로 악(evil)은 결점(demerit)에 대한 것입니다. 그러나 죄에 기인하는 결점 때문에, 창세기 19, 소돔인(Sodomites)들로부터 나타나듯이, 어떤 이들은 하느님에 의하여 일시적 벌(잠벌, temporal punishments)들과 함께 처벌됩니다. 따라서 일시적 재화들은 공로의 범위에 들어갑니다.

 

Objection 4. On the contrary, What falls under merit does not come up all alike. But temporal goods regard the good and the wicked alike; according to Ecclesiastes 9:2: "All things equally happen to the just and the wicked, to the good and to the evil, to the clean and to the unclean, to him that offereth victims and to him that despiseth sacrifices." Therefore temporal goods do not fall under merit.

 

반론 4. 이와는 달리,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는 바는 모두 똑같이(all alike) 다가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코헬렛 9,2 에 따르면, 일시적 재화들은 선한 자(the good, 착한 이)들과 사악한 자(the wicked, 악인)들을 똑같이 간주합니다: "모두 같은 운명이다. 의인도 악인도 착한 이도 [나쁜 이도] 깨끗한 이도 더러운 이도 제물을 바치는 이도 제물을 바치지 않는 이도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일시적 재화들은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I answer that, What falls under merit is the reward or wage, which is a kind of good. Now man's good is twofold: the first, simply; the second, relatively. Now man's good simply is his last end (according to Psalm 72:27: "But it is good for men to adhere to my God") and consequently what is ordained and leads to this end; and these fall simply under merit. But the relative, not the simple, good of man is what is good to him now, or what is a good to him relatively; and this does not fall under merit simply, but relatively.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공로의 범위에 들어가는 바는, 선(good)의 한 종류인, 보상(reward) 혹은 품삯(wage)입니다. 그런데 사람의 선은 다음과 같이 이중적입니다: 첫 번째, 글자 그대로(simply), 그리고 두 번째, 상대적으로(relatively). 그런데 (다음과 같은 시편 73,28에 따르면: "그러나 저는, 하느님께 가까이 있음이 저에게는 좋습니다.") 사람의 글자 그대로 선(good simply)은 자신의 마지막 목표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획득된 바이며 그리고 이러한 목표로 이르게 하며, 그리하여 이들은 공로의 범위에 글자 그대로 들어갑니다. 그러나 사람의, 글자 그대로가 아닌, 상대적인, 선은 지금 그에게 선한 바이거나, 혹은 상대적으로 그에게 어떤 선한 것인 바이며, 그리하여 이것은 공로의 범위에 글자 그대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들어갑니다.

 

Hence we must say that if temporal goods are considered as they are useful for virtuous works, whereby we are led to heaven, they fall directly and simply under merit, even as increase of grace, and everything whereby a man is helped to attain beatitude after the first grace. For God gives men, both just and wicked, enough temporal goods to enable them to attain to everlasting life; and thus these temporal goods are simply good. Hence it is written (Psalm 33:10): "For there is no want to them that fear Him," and again, Psalm 36:25: "I have not seen the just forsaken," etc.

 

따라서 일시적 재화들이, 그것에 의하여 우리가 하늘로 인도되는, 고결한 일들에 유용한 것으로서 생각된다면, 그들은, 심지어 은총의 증가, 그리고 그것에 의하여 어떤 사람이 최초 은총(gratia prima) 이후에 참행복(beatitude)에 도달하는 데에 도움을 받게 되는 모든 것으로서, 공로의 범위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글자 그대로 들어간다라고 우리는 말하여야만 합니다. 이는 하느님께서, 의로운 사람들 그리고 사악한 사람들 둘 다에게 그들이 영원한 생명에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충분한 일시적 재화들을 제공하시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이들 일시적 재화들은 글자 그대로 선(good) 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쓰여있으며: "그분을 경외하는 이들에게는 아쉬움이 없어라." (시편 34,10), 그리고 또다시: "의인이 버림을 받음도 ... 보지 못하였다." (시편 37,25) 등.

 

But if these temporal goods are considered in themselves, they are not man's good simply, but relatively, and thus they do not fall under merit simply, but relatively, inasmuch as men are moved by God to do temporal works, in which with God's help they reach their purpose. And thus as life everlasting is simply the reward of the works of justice in relation to the Divine motion, as stated above (3,6), so have temporal goods, considered in themselves, the nature of reward, with respect to the Divine motion, whereby men's wills are moved to undertake these works, even though, sometimes, men have not a right intention in them.

 

그러나 이들 일시적 재화들이 그 자체들 안에서 생각된다면, 그들은 사람의, 글자 그대로(simple)가 아닌, 상대적(relative) 선(good)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사람들이, 그 안에서 하느님의 도움과 함께 그들이 자신들의 목적에 도달하는, 일시적 일(temporal works)들을 하도록 하느님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한, 그들은 공로의 범위에, 글자 그대로가 아닌, 상대적으로, 들어갑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위에서 (3,6) 서술되었듯이,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이 하느님의 운동에 관련한 의로움의 일들에 대한 글자 그대로 보상이듯이, 마찬가지로 일시적 재화들은, 그 자체들 안에서 생각될 때에, 비록, 때로는, 사람들이 그들 안에서 어떤 올바른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것에 의하여 사람들의 의지가 이러한 일들을 수행하고자 움직이게 되는, 하느님의 운동에 대한, 보상의 본성(the nature of reward)을 가지고 있습니다.

 

Reply to Objection 1. As Augustine says (Contra Faust. iv, 2), "in these temporal promises were figures of spiritual things to come. For the carnal people were adhering to the promises of the present life; and not merely their speech but even their life was prophetic."

 

반론 1에 대한 답변.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말하듯이 (Contra Faust. iv, 2), "이들 일시적 약속(temporal promises)들에는 일어날 영적 사물들에 대한 표상(figures)들이 있습니다. 이는 세속의 사람(carnal people)들은 현재의 삶에 있어서의 약속들에 집착하였으며, 그리고 단순히 그들의 연설뿐만이 아니라 심지어 그들의 삶까지도 예언자적(prophetic)이었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These rewards are said to have been divinely brought about in relation to the Divine motion, and not in relation to the malice of their wills, especially as regards the King of Babylon, since he did not besiege Tyre as if wishing to serve God, but rather in order to usurp dominion. So, too, although the midwives had a good will with regard to saving the children, yet their will was not right, inasmuch as they framed falsehoods.

 

반론 2에 대한 답변. 이들 보상들은, 특히 바빌론의 임금과 관련하여, 그들의 의지들의 악의(malice)에 관련하여서가 아니라 하느님의 운동(Divine motion)에 관련하여 하느님에 의하여 야기되어져 왔다고 말해지는데, 이는 그가 마치 하느님을 섬기는 것을 원하여서가 아니라, 그보다는 오히려 지배권(dominion)을 빼앗기 위하여 티로(Tyre)를 포위하였던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또한, 비록 산파들이 자녀들을 구함과 관련하여 어떤 선의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그릇된 생각들을 마음에 상상하였던(framed) 한, 여전히 그들의 의지는 올바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Temporal evils are imposed as a punishment on the wicked, inasmuch as they are not thereby helped to reach life everlasting. But to the just who are aided by these evils they are not punishments but medicines as stated above (Question 87, Article 8).

 

반론 3에 대한 답변. 일시적 악(temporal evils)들은 사악한 자들 위에, 그들이 그것에 의하여 영구히 계속되는 생명에 도달하도록 도움을 받지 못하는 한, 어떤 벌로서 지워집니다. 그러나 이러한 악들에 의하여 도움을 받게 되는 의로운 자들에게 그들은 위에서 (질문 87, 제8조) 서술되었듯이 벌들이 아니라 약(medicines)들입니다.

 

Reply to Objection 4. All things happen equally to the good and the wicked, as regards the substance of temporal good or evil; but not as regards the end, since the good and not the wicked are led to beatitude by them.

 

반론 4에 대한 답변. 모든 일들은, 일시적 재화 혹은 악의 본체(substance)와 관련하여, 선한 자(the good)들과 사악한 자(the wicked)들에게 똑같이(equally) 발생하나, 그러나 종말(end)에 관련하여서는 그렇지 않은데, 이는, 사악한 자들이 아니라, 선한 자들이 그들에 의하여 참행복으로 인도되기 때문입니다.

 

And now enough has been said regarding morals in general.

 

그리고 이제 일반적인 윤리(morals)들에 관하여 충분히 이미 말해졌습니다.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100시간
초벌 번역 완료일자: 2011년 9월 25일



1,706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