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교황 베네딕토16세: 성경주석과 신학-제12차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제14차 연설문[성경해석][_필요충분조건][_omnia et sola] 782_

인쇄

. [218.55.90.*]

2014-04-03 ㅣ No.1538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찬미 예수님!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2008년 10월 14에 개최된 제12차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제14차 전체회의(the 14th General Congregation of the Synod of Bishops)에서 주어진, 성서학자이신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연설문 의 공식적인(official) 영문본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다음의 교황청 홈페이지에 주어져 있는 아래의 연설문의 공식적인 명칭은 "Intervention of the Holy Father in the Hall after the Report before the Discussion (October 14, 2008) [논의 이전 보고 이후 전체회의장에서 교황님의 개재(介在)(2008년 10월 14일)]" 입니다:

http://www.vatican.va/roman_curia/synod/index.htm

(이상, 게시자 주 끝)

 

출처: http://www.vatican.va/holy_father/benedict_xvi/speeches/2008/october/documents/
hf_ben-xvi_spe_20081014_sinodo_en.html

(발췌 시작) 

ADDRESS OF HIS HOLINESS BENEDICT XVI
DURING THE 14th GENERAL CONGREGATION
OF THE SYNOD OF BISHOPS

Synod Hall
Tuesday, 14 October 2008

 

Dear Brothers and Sisters,

 

경애하는 형제들과 자매들에게,

 

Working on my book on Jesus has provided ample occasion to see what good can come from modern exegesis, but also for recognizing the problems and risks. Dei Verbum, n. 12 offers two 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suitable exegetical work. Firstly, it confirms the necessity of using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of which it briefly describes the essential elements. This necessity is the result of the Christian principle formulated in Jn 1: 14, "Verbum caro factum est". Historical fact is a constituent dimension of the Christian faith. The history of salvation is not mythology but rather true history, and is therefore to be studied alongside serious historical research methods.

 

예수님에 대한 저의 책(*)에 대하여 계속하여 일함은 근대 성서 주석(modern exegesis)으로부터 어떠한 선(what good)이 도출될 수 있는지 보는(see), 그러나 또한 문제들 및 위험들을 알아차림에 적합한, (남을 정도로) 충분한(ample) 기회를 이미 제공하였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인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 제12항(**)은 적합한(suitable) 성서 주석 작업을 위한 두 개의 방법론적 지침(guidelines)을 제안합니다(offers). 첫 번째로, 이 항은 역사-비평 방법(historical-critical method)을 사용함의 필요성 확인하고, 이 필요성에 대하여 이 항은 본질적인 요소들을 서술합니다. 이러한 필요성은 요한 복음서 1,14에서, "Verbum caro factum est (말씀이 사람이 되셨다)" 라고 정식화 되어 있는(formulated) 그리스도교의 원리(Christian principle)의 결과입니다. 역사적 사실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한 개의 구성하는 차원(a constituent dimension)입니다. 구원의 역사는 신화(mythology)가 아니고 오히려 참 역사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진지한 역사적 학술 조사 방법(research methods)들과 함께 연구하게 되어야 합니다.

 

-----

(*) 번역자 주: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세 권이 한 질을 이루는, 저술들인 (i)"Jesus of Nazareth(나자렛 출신 예수, 2007년)", (ii)"Jesus of Nazareth: Holy Week(나자렛 출신 예수: 성 주간, 2011년 3월 15일)", (iii)"Jesus of Nazareth: Infancy Narratives(나자렛 출신 예수: 유아기 이야기들, 2012년 11월 21일)" 중의 첫 번째 책을 말한다는 생각이다.

 

(**) 번역자 주: 아래의 <<부록 1>>을 보라.

-----

 

Nevertheless, this history has another dimension, that of divine action. Dei Verbum, consequentially, speaks of a second methodological level necessary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words that are simultaneously human words and the divine Word. The Council says, according to a fundamental rule of interpretation for literary text, that Scripture is to be interpreted in the same spirit in which it was written. There are therefore three fundamental methodological elements that contribute to taking proper account of the divine, pneumatological dimension of the Bible. One must 1) interpret the tex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unity of all of Scripture. Today this is called canonical exegesis; at the time of the Council this term did not yet exist, but the Council expressed the same thing: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unity of the entirety of Scripture; 2) one must also take into account the living tradition of the entire Church; and finally 3)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analogy of faith. Only where the two methodological levels, both historical-critical and theological, are observed can one speak of theological exegesis of an exegesis adequate to this Book. While at the first level, academic exegetical work is currently being done to an extremely high standard and provides us real help, the same cannot be said of the other level. Often this second level, the level consisting of the three theological elements mentioned in Dei Verbum, appear almost absent. And this has rather grave consequences.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 이 역사는, 신성적 작용(divine action)의 역사라는, 또다른 차원(dimension)을 가집니다.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은, 필연적으로(consequentially), 동시에 인간의 말들이며 그리고 하느님의 거룩한 말씀인, 이 말들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위하여 필요한 한 개의 두 번째 방법론적 수준(level)에 대하여 말합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문학 본문(literary text)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의 어떤 근본적인 규칙(a fundamental rule)에 따라, 성경 본문이, 그 안에서 그것이 저술되었던 그 동일한 정신(spirit) 안에서, 해석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거기에는 [즉, 이 두 번째 방법론적 수준에는], 성경(Bible)의 신성적(divine), 성령론적(pneumatological) 차원을 고유하게 고려함에 기여하는, 세 개의 근본적인 방법론적 요소(elements)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반드시 1) 성경 본문 모두의 단일성(unity)을 고려함과 함께 본문을 해석하여야 합니다. 오늘날 이것은 정경적 성서 주석(canonical exegesis)이라고 불리는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시기에 이 용어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으나, 그러나 이 공의회는 동일한 것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으며: 성경 본문 전체의 단일성을 고려하는 것은 필요하다; 그리고 2) 우리는 반드시 또한 전체 교회의 살아있는 성전(the living tradition of the entire Church)을 고려하여야 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3) 신앙의 유비(the analogy of faith)를 준수하는 이 필요합니다.(*) 오로지, 역사-비평적(historical-cirtical) 및 신학적(theological) 둘 다인, 두 개의 방법론적 수준(levels)들이 준수되는 장소에서만 비로소(where) 우리는 바로 이 거룩한 책에 적합한 한 개의 성서 주석인 신학적 성서 주석(theological exegesis)에 대하여 말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수준에서 학구적인 성서 주석 작업은 어떤 극단적으로 높은 기준에까지 현재 행해지고 있으며 그리고 우리에게  실제적 도움을 제공한다고 할지라도(while), 이 동일한 것이 다른 수준에 대하여 말해질 수 없습니다. 자주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에서 언급되고 있는 세 개의 신학적 요소들로 이루어진 수준인 이 두 번째 수준은 거의 부재인(absent)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상당히 심각한(grave) 결과들을 가집니다.

 

-----
(*) 번역자 주:
(1) 이들 세 가지는, 다음에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12-114항들에 더 자세한 설명과 함께 구체적으로 나열되어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109.htm

 

(2) "성전(Sacred Tradition, Tradition", 즉 "사도전승(Apostolic Tradition)"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54.htm <----- 필독 권고

 

(3)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용어들인 "유비(類比, analogy)" "신앙의 유비(analogy of faith)" 의 정의(definitions)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87.htm <----- 필독 권고
-----

  

The first consequence of the absence of this second methodological level is that the Bible becomes solely a history book. Moral consequences can be drawn from it, history can be learned from it, but the Book as such speaks of history alone and exegesis is no longer truly theological but instead becomes purely historiographical, literary history. This is the first consequence: the Bible remains in the past, speaks only of the past. The second consequence is even graver: where the hermeneutics of faith explained in Dei Verbum disappear, another type of hermeneutics will appear by necessity a hermeneutics that is secularist, positivist, the key fundamental of which is the conviction that the Divine does not appear in human history. According to this hermeneutics, when there seems to be a divine element, the source of that impression must be explained, thus reducing everything to the human element. As a result, it is the grounds for interpretations that deny the historicity of divine elements. Today the exegetical "mainstream" in Germany, for example, denies that the Lord instituted the Holy Eucharist and says that Jesus' corpse remained in the tomb. The Resurrection in this view would not have been a historical event but a theological view. This happens because the hermeneutics of faith is missing: profane philosophical hermeneutics is affirmed instead, which deny the possibility of the entrance and presence of the Divine in history. The result of the absence of the second methodological level is what has created a profound fissure between scientific exegesis and Lectio divina. From precisely this point there sometimes also arises a sort of perplexity in regard to the preparation of homilies. When exegesis is not theological, Scripture cannot be the soul of theology, and vice versa; when theology is not essentially Scriptural interpretation within the Church, then this theology no longer has a foundation.

 

이 두 번째 방법론적 수준의 부재(absence)의 첫 번째 결과는 성경이 단독으로(solely) 한 권의 역사책이 되는 데에 있습니다. 윤리적 결과들이 그것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고, 역사는 그것으로부터 배우게 될 수 있으나, 그러나 이 거룩한 책은 그러한 것으로서 오로지 역사에 대해서만 말하며 그리하여 성서 주석은 더 이상 진실로 신학적이지 않고 단지 그 대신에 순수하게 역사 기술(記術)적(historiographical),  문학 역사(literary history)가 됩니다. 바로 이것이 그 첫 번째 결과이며, 그리하여 성경은 과거 안에 머물러 있으면서, 오로지 과거에 대하여서만 말합니다. 그 두 번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심지어 더 심각합니다: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에 설명되어 있는 신앙에 기인하는 성서 해석학(hermeneutics of faith)(*) 사라지는 장소에, 세속주의적이고, 실증주의적이며, 그것의 기본적 근본이 하느님(the Divine)께서 인간의 역사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확신(conviction)인, 성서 해석학(hermeneutics)의 또다른 유형(type)이 필연적으로(by necessity) 장차 나타날 것입니다. 이러한 성서 해석학(hermeneutics)에 따르면, 한 개의 신성적 요소가 있는 것처럼 보일 때에, 이러한 인상(impression)의 원천은 반드시 설명되어야만 하며, 그 결과 모든 것을 인간의 요소로 환원시킵니다. 한 결과로서, 이 연구는 신성적 요소(divine elements)들의 역사성을 부인하는 해석들을 위한 근거(grounds)들이 됩니다. 오늘날 독일에 있어 성서 주석의 "주류"는, 예를 들어, 주님께서 거룩한 성찬례를 제정하셨음을 부정하고 그리고 예수님의 시신이 그 무덤 안에 남아있었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견해에 있어 거룩한 부활(the Resurrection)은 한 개의 역사적 사건이었던 것이 아니라 다만 한 개의 신학적 견해였을 것입니다. 이러한 일은, 다음과 같이, 신앙에 기인하는 성서 해석학(hermeneutics of faith)이 있어야 할 곳에 없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역사에 있어 하느님(the Divine)의 등장과 현존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세속의 철학적 성서 해석학(hermeneutics)이 그 대신에 확언됩니다. 이 두 번째 방법론적 수준의 부재의 결과는 과학적 성서 주석(scientific exegesis)과 거룩한 독서(Lectio divina) 사이의 한 개의 깊은 갈라진 틈(fissure)을 이미 야기한 바 바로 그것입니다. 정확하게 바로 이러한 점으로부터 강론들의 준비에 관하여 헷갈림(perplexity)의 한 종류가 때로는 또한 일어납니다. 성서 주석이 신학적이지 않을 때에, 성경 본문은 신학의 영혼일 수 없고, 그리고 그 역도 성립하며, 그리하여 신학이 본질적으로 교회 안쪽에 있는 성경 본문의 해석이 아닐 때에, 이러한 신학은 더 이상 어떤 기초(a foundation)를 가지지 못합니다.

 

-----

(*) 번역자 주: 여기서 "성서 해석학"으로 번역된 "hermeneutics"의 의미가 "성서 해석의 방법론적 원리들에 대한 연구" 라는 설명이 다음의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져 있다: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hermeneutics 

-----

 

Therefore for the life and mission of the Church, for the future of faith,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overcome this dualism between exegesis and theology.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are two dimensions of one reality, which we call theology. Thus it seems desirable to me that one of the propositions treats of the necessity of keeping in mind within exegesis the two methodological levels mentioned in Dei Verbum, n. 12, where it speaks of the need to develop not only a historical but also a theological exegesis. It will therefore be crucial to expand formation of future exegetes in this sense, so as to truly open the treasures of Scripture to today's world and to all of us.

 

그러므로 교회의 생명과 사명(mission)을 위하여, 신앙의 미래를 위하여, 성서 주석과 신학 사이에 있는 이러한 이원론(dualism)(*)을 극복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성서 신학(biblical theology)과 조직 신학(systematic theology)은, 우리가 신학이라고 부르는, 한 개의 실재(one reality)에 대한 두 차원(dimensions)들 입니다. 따라서 이 제안(propositions)들 중의 한 개가「하느님의 말씀」(Dei Verbum), 제12항에서 언급된, 거기에서 이 항이 어떤 역사적 뿐만이 아니라 또한 어떤 신학적 성서 주석을 발전시킬 필요에 대하여 말하고 있는, 이 두 개의 방법론적 수준들을, 성서 주석 안쪽에서,  마음에 기억할 필요성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는 것이 저에게는 바람직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므로, 오늘의 세상 및 우리들 모두를 향하여 성경 본문의 보물들을 진실로(truly) 개방하도록(so as to), 바로 이러한 의미 안에서 미래의 성서 주석자(exegetes)들의 형성(formation)을 확장하는(expand) 것은 장차 결정적일(crucial) 것입니다.

 

-----
(*) 번역자 주: "이원론(dualism)"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5.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Living Tradition에 게재된, 위의 제1항에 발췌된 2008년 10월 14에 개최된 제12차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제14차 전체회의(the 14th General Congregation of the Synod of Bishops)에서 주어진, 성서학자이신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연설문에 대한 해설인, John F. McCarthy 몬시뇰님의 논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rtforum.org/lt/lt143.html

(발췌 시작)

REGARDING POPE BENEDICT XVI’S ADDRESS ON BIBLICAL EXEGESIS AND THEOLOGY OF 14 OCTOBER 2008

2008년 10월 14일의 성서 주석과 신학에 대한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연설에 관하여 

1. In his address of October 14, 2008, to the constituents of the Fourteenth General Congregation of the Synod of Bishops, Pope Benedict XVI commented on the need that critical analysis of the biblical text be thoroughly informed by the hermeneutics of faith, as called for in Dei Verbum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text of this address, as released in an unofficial English translation on the Vatican web site, is as follows.

 

1. 베네딕토 16세 교황님께서는, 제14차 세계주교대의원회의 구성원들을 향한, 2008년 10월 14일의 자신의 연설에서, 성경 본문에 대한 비평 분석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에서 요청되고 있듯이, 신앙에 기인하는 성서 해석학(hermeneutics of faith)에 의하여 철저하게 특징지어져야(be informed) 할 필요에 대하여 논평하셨습니다. 바티칸 웹 사이트에 올려진 비공식적인(unofficial) 영어 번역본으로 공개된 그대로의, 이 연설의 본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Dear Brothers and Sisters, the work for my book on Jesus offers ample occasion to see all the good that can come from modern exegesis, but also to recognize the problems and risks in it. Dei Verbum 12 offers two methodological indications for suitable exegetic work. In the first place, it confirms the need to use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briefly describing the essential elements. This need is the consequence of the Christian principle formulated in John 1:14, Verbum caro factum est [the Word was made flesh]. The historical fact is a constitutive dimension of Christian faith. The history of salvation is not a myth, but a true story and therefore to be studied with the same methods as serious historical research.

 

However, this history has another dimension, that of divine action. Because of this Dei Verbum mentions a second methodological level necessary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words, which are at the same time human words and divine Word. The Council says, following a fundamental rule for any interpretation of a literary text, that Scripture must be interpreted in the same spirit in which it was written and thereby indicates three fundamental methodological elements to bear in mind the divine dimension, the pneumatology of the Bible: one must, that is, 1) interpret the text bearing in mind the unity of the entire Scripture; today this is called canonical exegesis; at the time of the Council this term had not been created, but the Council says the same thing: one must bear in mind the unity of all of Scripture; 2) one must then bear in mind the living tradition of the whole Church, and finally 3) observe the analogy of faith.

 

Only where the two methodological levels, the historical-critical and the theological one, are observed, can one speak about theological exegesis — of an exegesis suitable for this Book. While at the first level, today’s academic exegesis works on a very high level and truly gives us help, the same cannot be said about the other level. Often this second level, the level constituted of the three theological elements indicated by Dei Verbum seems to be almost absent. And this has rather serious consequences.

 

The first consequence of the absence of this second methodological level is that the Bible becomes a book only about the past. Moral consequences can be drawn from it, one can learn about history, but the Book only speaks about the past and its exegesis is no longer truly theological, becoming historiography, the history of literature. This is the first consequence: the Bible remains in the past, speaks only of the past.

 

There is also a second even more serious consequence: where the hermeneutics of faith, indicated by Dei Verbum, disappear, another type of hermeneutics appears of necessity, a secularized, positivistic hermeneutics, whose fundamental key is the certitude that the Divine does not appear in human history. According to this hermeneutic, when there seems to be a divine element, one must explain where it came from and bring it to the human element completely. Because of this, interpretations that deny the historicity of divine elements emerge. Today, the so-called “mainstream” of exegesis in Germany denies, for example, that the Lord instituted the Holy Eucharist and says that Jesus’ corpse stayed in the tomb. The Resurrection would not be an historical event, but a theological vision. This occurs because the hermeneutic of faith is missing: therefore a profane philosophical hermeneutic is stated, which denies the possibility both of the entrance and the real presence of the Divine in history. The consequence of the absence of the second methodological level is that a deep chasm was created between scientific exegesis and lectio divina. This, at times, gives rise to a form of perplexity even in the preparation of homilies.

 

Where exegesis is not theology, Scripture cannot be the soul of theology and, vice versa, when theology is not essentially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 in the Church, this theology has no foundation anymore.

 

Therefore for the life and the mission of the Church, for the future of faith, this dualism between exegesis and theology must be overcome. Bibl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are two dimensions of the one reality, what we call Theology.

 

Due to this, I would hope that in one of the propositions the need to bear in mind the two methodological levels indicated in Dei Verbum 12 be mentioned, where the need to develop an exegesis not only on the historical level, but also on the theological level is needed. Therefore, widening the formation of future exegetes in this sense is necessary, to truly open the treasures of the Scripture to today’s world and to all of us.

 

SOME REFLECTIONS ON THIS PAPAL ADDRESS OF 14 OCTOBER 2008

2008년 10월 14일자 바로 이 교황 연설에 대한 다소의 숙고들


2. Pope Benedict XVI begins by noting both the good that can come from modern exegesis and the problems and risks that it contains. By “modern exegesis” he is referring mainly to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of biblical interpretation, and he bases the need for this modern approach on the fact that Christi­anity is an historical religion rooted in true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real historical incarna­tion of the divine Son of God in the humanity of Jesus of Nazareth and his real historical resurrection from the dead. This observation of the Pope needs to be understood correctly. He is pointing out that, while many religious faiths present mythical and imaginary objects of belief, the objects of Christian faith, and in particular the objects of Catholic Christian faith, are real and are part of the context of historical fact.

 

2. 교황 베네딕토 16세께서는 근대 성서 주석(modern exegesis)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선한 것들과 이 해석이 포함하고 있는 문제들 및 위험들 둘 다를 주목함으로써 시작합니다. "근대 성서 주석(modern exegesis)" 이라는 표현으로써, 이 교황님께서는 성서 해석(biblical intepretation)에 있어서의 "역사-비평 방법(historical-critical method)"에 대하여 주로 언급하고 계시며, 그리고 이 교황님께서는 그리스도교가, 나자렛 출신 예수의 인성 안에 신성적, 하느님의, 아드님(the divine Son of God)의 실제인(real) 역사적 강생 그리고 죽은 이들로부터 당신의 실제인 역사적 부활 등과 같은, 참된 역사적 사건들에 뿌리를 둔 한 개의 역사적 종교라는 사실 위에 바로 이 현대적 접근의 필요성의 논거를 두십니다(bases). 그분께서는, 다수의 종교적 믿음(faiths)들이 믿음(belief)을 위한 신화의 그리고 상상의 대상(objects)들을 제시한다고 할지라도(while), 그리스도교 신앙(faith)의 대상들은, 그리고 특히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앙의 대상들은 실제이며(real) 그리고 역사적 사실로 이루어진 문맥의 일부임을 지적하고 계십니다.

 

3. Let it be noted that the expression “historical-critical method,” as used here by Pope Benedict XVI, and as generally used today in ecclesiastical parlance, is ambiguous. Pope Benedict is referring to this method as it is characterized in its essentials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document, Dei Verbum, no. 12. What are these essential elements? In the first place, according to Dei Verbum, the interpreter of Sacred Scripture “should carefully search out the meaning which the sacred writers really had in mind, that meaning which God had thought well to manifest through the medium of their words.” And so, “attention must be paid ,among other things , to ‘literary forms,’ for the fact is that truth is differently presented and expressed in the various types of historical writing, in prophetic and poetical texts, and in other forms of literary expression.” And so, the biblical interpreter "must look for that meaning which the sacred writer, in a determined situation and given the circumstances of his time and culture, intended to express and did, in fact, express, through the medium of a contemporary literary form.

 

3. 여기서 교황 베네딕토 16세에 의하여 사용되고 있는 대로의 "역사-비평 방식(historical-critical method)" 라는 표현과 교회적 어투(ecclesiastical parlance)로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로의 이 표현이 애매모호하다는(ambiguous) 것이 주목을 받게 되도록 합시다. 교환 베네딕토께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인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 제12항에 있는 그것의 본질적 요소들로 이 표현이 특징지어지는 것으로서의 바로 이 방법에 대하여 언급하고 계십니다. 무엇이 이들 본질적 요소들일까요? 첫째로,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에 따르면, 성경 본문의 해석자는 "성스러운 저자들이 마음에 실제로 가지고 있었던 의미를, 하느님께서 그들의 말들을 통하여 드러내시기 위하여 이미 잘 생각하셨던 바로 그 의미를, 마땅히 조심스럽게 밝혀내어야 합니다." 그리고 또한 "다른 것들 중에서, '문학 형식들'에 주의가 반드시 기울여져야 하는데, 이는 진리가 역사적 저술 행위의 다양한 형식들 안에서, 예언적 및 시적 본문들 안에서, 그리고 문학 표현의 다른 형식들 안에서 서로 다르게 제시되고 그리고 표현되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성서 해석자는 "성스러운 저자가, 자신의 시기와 문화 안에 있는 어떤 정해진 상황과 주어진 여건들 안에서. 어떤 동시대의 문학 형식을 통하여 표현하려고 의도하였으며 그리고, 실제로, 표현하였던, 바로 그 의미를 반드시 찾아야 합니다."

 

4. Note that the examples of literary forms mentioned in Dei Verbum are the classical categories of historical, prophetic, and poetic, with an added general reference to certain other unnamed forms of literary expression, and the reference given by the Council document to this whole sentence is Saint Augustine’s De doctrina Christiana. But the way in which the expression “historical-critical method” is commonly understood today even within ecclesiastical circles is the method characterized by the use of the “form-criticism” introduced into biblical interpretation by Hermann Gunkel, Rudolf Bultmann, and others of the liberal Protestant tradition. This method uses a framework of novel literary forms, such as “myth,” “legend,” “saga,” “prophecies after the fact,” “miracle stories,” “I-sayings of Jesus,” “midrash,” and other avenues of literary fiction in no way consonant with the teaching of Saint Augustine, of Dei Verbum, or of Catholic biblical tradition. In fact, this method was condemned as a pseudoscience by Pope Leo XIII and as a product of Modernism by Pope Pius X.1 And the truth is that, while the non-Catholic founders of this method were self-professed Modernists, whereas Catholic form-critics do not consciously subscribe to the principles of Modernism, neither have Catholic form-critics ever properly sorted out the problem of philosophy that underlies this method.

 

4.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에 연급된 문학 형식들의 예(examples)들이, 문학 표현의 특정한 다른 명명되지 않은 형식들에 대한 어떤 추가된 일반적인 언급과 함께, 역사적인, 예언적인, 그리고 시적인 것들로 이루어진 고전적 범주들임에, 그리고 바로 이 전체(whole) 문장에 대하여 이 공의회 문헌에 의하여 제시된 참조(reference)가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그리스도교 교리에 대하여(De doctrina Christiana)임에,(*) 주목하십시오. 그러나, 그 안에서 이 "역사-비평 방식" 이라는 표현이 심지어 교회의 집단(ecclesiastical circles)들 안쪽에서 오늘날 통상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그 방식(the way)은 자유주의 개신교 전통(the liberal Protestant tradition)의 헤르만 군켈(Hermann Gunkel, 1862-1932년),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1884-1976년), 그리고 다른 이들에 의하여 성서 해석(biblical interpretation) 안쪽으로 소개된 "형식 비평(form-criticism)"의 사용에 의하여 특징지어지는 방법을 말합니다. 바로 이 방법은, "신화(神話, myth)", "전설(傳說, legent)", "무용담/사화(史話, saga)", "해당 사실 이후 예언들(prophecies after the fact)" "기적 이야기들(miracle stories)", "예수의 내가 말함들(I-sayings of Jesus)", "미드라쉬(midrash)", 그리고  성 아우구스티노의,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의, 혹은 가톨릭 성서 전통의, 가르침과 결코 어떠한 방식으로도 일치하지 않는 문학 허구(虛構)(literary fiction)로 이루어진 다른 수단(avenues)들 등과 같은, 기발한(novel) 문학 형식(literary forms)들로 이루어진 한 개의 틀 구조(a framework)를 사용합니다. 사실, 바로 이 방법은, 교황 레오 13세(Pope Leo XIII, 1810-1903년)에 의하여 한 개의 의사(擬似)[사이비] 과학(a pseudoscience)으로서 그리고 교황 비오 10세(Pope Pius X, 1835-1914년)에 의하여 근대주의(Modernism)의 한 산출물로서, 단죄되었습니다(was condemned).1 그리고 사실은, 이 방법의 비가톨릭 신자인 설립자들은 스스로-공언한(self-professed) 근대주의자들이지만(while), 이에 반하여(whereas) 가톨릭 신자인 형식-비평가(Catholic form-critics)들은 근대주의의 원리들에 의식적으로 동의하지 않으며, 또한 가톨릭 신자인 형식-비평가들이 이 방법의 기초가 되는 철학의 문제점을 지금까지(ever) 적절하게 가려내어 왔던(have sorted out) 것도 아닙니다.

 

-----
(*) 번역자 주: 아래의 << 부록 1 >> 의 각주 (7)을 말한다.
-----

 

5. Pope Benedict XVI then referred to another dimension, or methodological level, of history, namely, the “divine action” which is “necessary”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inspired words of Scripture, because the sacred text “must be interpreted in the same spirit in which it was written.” And for this, he said, there are three fundamental elements: the unity of the entire Scripture, the living tradition of the whole Church, and the analogy of faith. This second level, he added, is almost entirely absent in contemporary exegetical interpre­tation. As a result, he continued, the Bible has come to be understood merely as a book of the past, as a par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lso, the “hermeneutics of faith” disappears, and there appears “a secularized, positivistic hermeneutics,” based on the conviction that divine interventions do not occur in human history, but can always be reduced to human acts. Thus, he said, for this approach, the Resurrection of Jesus from the dead was not a real historical event, but is only a theological vision. Thus also, there results a “deep chasm” between what is called “scientific exegesis” and lectio divina. And so, theology loses its foundation in historical reality.

 

5. 그러고 나서 교황 베네딕토 16세께서는 역사의 또다른 차원(dimension), 혹은 방법론적 수준(level), 즉, 성경 본문의 영감을 받은 말들에 대한 온당한 해석(correct interpretation)을 위하여, 왜냐하면 성스러운 본문이 "그 안에서 그것이 저술되었던 바로 그 동일한 정신 안에서 반드시 해석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신성적 작용(divine action)"에 대하여 언급하셨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위하여, 이 교황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근본적인 요소들이 거기에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전체 성경 본문의 단일성(the unity of the entire Scripture), 전체 교회의 살아있는 성전(the living tradition of the whole Church), 그리고 신앙의 유비(the analogy of faith).(*) 이 교황님께서는 이 두 번째 수준이 동시대의 성서 주석적 해석(contemprary exegetical interpretation)에 거의 전적으로 부재한다(absent)고 추가로 말씀하셨습니다. 한 결과로서, 이 교황님께서는 성경이 단지(merely) 과거에 대한 한 권의 책으로서, 문학 역사의 한 부분으로서 이미 이해되게 되었다고 계속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이 교황님께서는, 또한, "신앙에 기인하는 성서 해석학(hermeneutics of faith)" 은 사라지고, 그리고 거기에, 인간의 역사에 있어 하느님의 개입들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인간의 행위들로 항상 환원될 수 있다는 확신(conviction)에 근거한, "한 개의 세속화된(secularized), 실증주의적(positivistic), 성서 해석학(hermeneutics)" 이 나타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따라서, 이 교황님께서는, 이러한 접근의 경우에, 죽은 이들로부터 예수님의 거룩한 부활은 한 개의 역사적 사건이었던 것이 아니고, 오로지 한 개의 신학적 환시(a theological vision)일 뿐이라고 발씀하셨습니다. 따라서 또한 이 교황님께서는, "과학적 성서 주석(scientific exegesis)" 이라고 불리는 바와 거룩한 독서(lectio divina) 사이에 어떤 "깊은 크게 갈라진 틈(deep chasm)"이 거기에 결과로서 생긴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신학은 역사적 실재 (historical reality) 안에서 그 기초를 상실합니다.

 

-----
(*) 번역자 주:

(1) 이들 세 가지는, 다음에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12-114항들에 더 자세한 설명과 함께 구체적으로 나열되어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109.htm

 

(2) "성전(Sacred Tradition, Tradition", 즉 "사도전승(Apostolic Tradition)"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54.htm <----- 필독 권고

 

(3)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용어들인 "유비(類比, analogy)" "신앙의 유비(analogy of faith)" 의 정의(definitions)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87.htm <----- 필독 권고
-----

 

6.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properly these thoughts of Pope Benedict XVI. Form-criticism functions on the presupposition that, except for very limited exceptions, the so-called historical events recorded in Sacred Scripture are actually forms of literary fiction presenting products of religious imagination. While the expression “literary forms” as mentioned in Dei Verbum 12 and in other magisterial documents of the Church represents a larger category which includes every kind of written expression, such as real history, legal documents, prophecies, poetry, books of mathematics, maps, etc.,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rm-criticism, anything written in the Bible under the guise of history is assumed to be actually fictitious unless there is solid evidence that it is not. This assumption is clearly expressed in the writings of Gunkel, Bultmann, and other founders and mainline promoters of form-criticism, but it is often covered in the writings of Catholic form-critics.

 

6.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이러한 사고들을 정확히(properly)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형식 비평(form-criticism)은, 매우 체한된 예외들을 제외하고, 성경 본문에 기록된 소위 말하는 역사적 사건들이 사실은(actually) 종교적 상상의 산출물들을 나타내는 문학 허구(literary fiction)의 형식들이라는 전제(presupposition) 위에서 기능을 합니다(functions).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 제12항에 그리고 교회의 다른 교도권 문헌들에서 언급된 대로의 "문학 형식들(literary forms)" 이라는 표현은, 실제 역사(real history), 법적 문헌들(legal documents), 예언들, 시(poetry), 수학의 책들, 지도들 등과 같은, 저술된 표현의 모든 종류를 포함하는 어떤 더 커다란 범주를 나타내는 데에 반하여, 형식 비평(form-criticism)의 방법에 따르면, 역사의 가장(假裝) 아래에서(under the guise of history) 성경에 쓰여진 모든 것은, 만약에 그것이 아니라는 견고한 증거가 있지 않으면, 사실은(actually) 허구라고 가정됩니다. 바로 이러한 가정은(assumption) 군켈(Gunkel), 불트만(Bultmann), 그리고 형식 비평의 다른 기초자들과 주류의 장려자들의 저술들에서 분명하게 표현되나, 그러나 이 가정은 가톨릭 신자인 형식 비평자들의 저술들 안에 자주 숨겨져 있습니다.

 

7. Thus, for instance, Hermann Gunkel (1862-1932) assumes that many of the stories narrated in the final text of Genesis were taken originally from imaginary stories about pagan gods that were gradually transformed by Hebrew poets into their own imaginary stories about the Hebrew god, fictitiously acting in relation to fictitious patriarchs whom they projected as founders of their nation. Gunkel says that he doesn't understand why believing Christians should be shocked by such an idea, since for him it is only a matter of understanding the fictitious literary genres of the stories.2 Of course, the problem is that Catholic faith is based upon an affirmation of the reality of the objects of faith, not upon their being “understood” as embodied in fictitious literary forms.

 

7. 따라서, 예를 들어, 헤르만 군켈(Hermann Gunkel, 1862-1932년)은 창세기의 최종 본문에서 말해진 이야기들의 다수가 애초에, 히브리인들이 자신들의 나라의 창립자들로서 (마음 밖으로 내던져) 객관화하는(project) 가공의(fictitious)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들에 관하여 가공적으로(fictitiously) 활동하는, 히브리인의 신(Heberew god)에 관한 그들 고유의 상상의 이야기들 안쪽으로 히브리인 시인들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변형시켜진, 다신교 잡신(pagan gods)들에 관한 상상의 이야기들로부터 취하여졌다고 가정합니다(assumes). 군켈(Gunkel)은 믿음을 가진 그리스도인들이 그러한 한 개의 관념(an idea)에 의하여 왜 충격을 받아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그의 경우에 그것은 오로지 그 이야기들에 대한 가공의 문학 장르들을 이해하는 문제 한 개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당연히,2 문제는 가톨릭 신앙이, 신앙의 대상들의 실재(reality)에 대한 어떤 확증(an affrimation)에 근거를 두고 있음에 있는 것이지, 가공의 문학 형식들로 구체화된(embodied) 것으로서 그들이 "이해됨" 에 근거를 두고 있음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8. And Modernism is functional in the form criticism of Hermann Gunkel. Contrary to the viewpoint depicted in the Book of Genesis and underlying the traditional outlook of Catholic faith and Catholic exegetical tradition, Hermann Gunkel avers: "Following our modern historical world-view, truly not an imaginative construct but based on the observation of facts, we consider the other view entirely impossible." As a modern man, he feels that the extraordinary events recounted in Genesis "contradict our advanced knowledge," to the extent that it would be doing an "injustice" to the text of Genesis if we were to "incorporate it into sober reality."3 It is clear from these words that Gunkel’s judgment is based upon the Rationalist presupposition that miracles and divine interventions could not have happened. This Rationalist premise is confirmed when he says that God never appears to us as an active agent alongside others, but always as the ultimate cause of all."4

 

8. 그리고 근대주의(Modernism)헤르만 군켈(Hermann Gunkel)의 형식 비평(form-criticism)으로 통상의 기능을 수행합니다(is functional). 창세기에 묘사된 관점에 상반되게 그리고 가톨릭 신앙의 전통적 관(觀, outlook)과 가톨릭 성서 주석 전통 아래에서(underlying), 헤르만 군켈(Hermann Gunkel)은 다음과 같이 변론함에 있어 강력하게 주장합니다(avers): "진실로 어떤 상상적인 구성체가 아니라 사실들에 대한 관찰들에 근거하는 우리의 근대 역사적 세계관을 뒤따름으로써, 다른 견해가 전체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한 명의 근대 사람으로서, 그는 창세기에 열거되어 있는 비상한 사건들이, 만약에 우리가 "과장이 없는 실재(reality) 안쪽으로 그것을  편입하려고" 3 하였더라면, 그것은 창세기의 본문에 대한 어떤 "불의(injustice)"를 행하는 것이었을 정도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고등 지식에 모순된다" 고 느낍니다. 군켈의 판단이 기적(miracles)들과 하느님의 개입이 발생할 수가 없었다는 이성주의자 전제 조건(the Rationalist presupposition)에 근거하고 있음이 바로 이러한 말(words)들로 부터 분명합니다. 바로 이 이성주의자 전제(前提)(Rationalist premise)는 그가 "하느님이 다른 것들과 함께 한 개의 활동적인 작인[作因, agent, 동인(動因)](*)으로서 우리들에게 결코 나타나지 않고, 오로지 모든 것의 궁극적인 원인으로서만 항상 나타난다"4고 말할 때에 확인됩니다.

 

-----
(*) 번역자 주: "동인(動因, agent)"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63.htm

-----

 

9. Gunkel went on to say that Jesus and his Apostles thought that the accounts of Genesis were historical events of the real world, but “they shared the opinions of their time,” and so “we may not, therefore, seek information in the New Testament concerning questions of the history of the Old Testament literature.” Gunkel was convinced that he, as a modern man, had a viewpoint superior to the “primitive” viewpoint of Jesus and his contemporaries.5

 

9. 군켈(Gunkel)은 예수님과 그분의 사도들은 창세기의 이야기들이 실제 세상의 역사적 사건들이라고 생각하였으나(thought), 그러나 "그들은 그들의 시대의 견해들을 함께 소유하였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그러므로 우리는 구약 문학의 역사에 대한 질문들에 관련하여 신약에서 정보를 추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라고 계속하여 말하였습니다. 군켈(Gunkel)은 자신이, 한 명의 근대 사람으로서, 예수님과 그분의 동시대인들의 "원시적인" 관점에 비하여 어떤 더 우월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하였습니다.5

 

10. The basis of this judgment is Gunkel’s adherence to what is called the "modern historical world-view," an outlook which has its origins in the presuppositions of Deism, Naturalism, Rationalism, and Modernism, attitudes that are simply assumed without proof. According to the presupposition of the Deist, God cannot intervene in the world of created nature, and, therefore, the preternatural events described in Genesis are deemed impossible. According to the presupposition of the Naturalist in religion, nature is a closed system that does not admit of outside interference, and, therefore, many of the accounts of Genesis are incredible. According to the presupposition of the Rationalist, nothing is accepted as real that cannot be demonstrated from natural reason, and, therefore, many of the accounts of Genesis are automatically assumed to be unreal. According to the presupposition of the Modernist, the marvelous accounts of Genesis are constructs deriving from religious imagination, and, therefore, are unacceptable to the belief of modern man.

 

10. 이러한 판단의 근거는, 아무런 증명 없이 단순히 가정되고 있는 이신론(理神論, Deism), 자연주의(Naturalism), 합리주의(Rationalism), 그리고 근대주의(Modernism) 태도들로 이루어진 전제 조건들에 그 기원을 가지고 있는 한 개의 관(觀, outlook)인, "근대 역사적 세계관(modern historical world-view)" 이라고 불리는 바에 대한 군켈(Gunkel)의 집착(adherence)에 있습니다. 이신론자(理神論者, the Deist)들의 전제 조건에 따르면, 하느님은 창조된 자연의 세상에 개입하실 수 없고, 그리하여, 그 결과, 창세기에 서술되어 있는 과자연적(prenatural, 과성적)(**) 사건들은 불가능하다(impossible)고 간주하였습니다. 종교에 있어 자연주의자(the Naturalist)들의 전제 조건에 따르면, 자연은 바깥의 간섭을 수용하지 않는 한 개의 닫힌 체계(a closed system)이고, 그리하여, 그 결과, 창세기의 이야기들의 다수는 믿어지지 않습니다(incredible). 합리주의자(the Rationalist)들의 전제 조건에 따르면, 자연적 이성(natural reason)으로부터 예증될(demonstrated) 수 없는 어떠한 것도 실재적인(real) 것으로서 받아들여지 않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창세기의 이야기들의 다수는 실재하지 않다고 가정됩니다. 근대주의자(the Modernist)들의 전제 조건에 따르면, 창세기의 경이로운 이야기들은 종교적 상상(religious imagination)으로부터 도출되는 구성체(constructs)들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근대 사람의 믿음(belief, 신념)에 받아들여질 수 없습니다.

 

-----
(**) 번역자 주: "초자연적(초성적, supernatural)" 이라는 용어와 "과자연적(과성적, preternatural)" 이라는 용어의 차이점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0.htm

-----

 

11. Gunkel subscribed to all of these presuppositions, and they led him to assume without sufficient reason that the accounts of Genesis are legends, not history. For Gunkel, the one true God does not really act in history, and this view is Deism. Gunkel's method also reflects Naturalism where he tells us that "a series of myth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a natural event often or regularly occurring in the real world which provided the palette for an account of such an event in the primordium."6 This means that, for Gunkel, alleged acts of God are not located "in the real world." But Gunkel is also a Rationalist, as he tells us himself. "In many cases, we too, whose worship withstood a powerful purification in the Reformation and again in Rationalism, do not, or only partially, understand the original meaning of what we see and hear in our churches."7 How much of Christian worship did manage to survive the "purification" of Rationalism in Gunkel's mind is a big question, but it is obvious that the action of God in the reality of this world did not. And Modernism reigns also behind his "modern historical point of view." He finds that those legends of Genesis created out of a desire "to explain something" are characteristic of the childish mode of thinking and reasoning,8 while others arose as "pure products of the imagination," in a manner that he calls "novelistic," or even "fairy-tale-like."9 Yet, he explains, the originators of these legends did not deliberately intend to deceive. "Legend stems from times and circles which did not yet have the intellectual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fiction and reality."10

 

11. 군켈(Gunkel)은  이들 전제 조건들 모두에 동의하였으며, 그리하여 그들은 그가 충분한 이유 없이 창세기의 이야기들이 전설(legends)들이지, 역사가 아니라고 가정하도록 이끌었습니다. 군켈(Gunkel)의 경우에, 한 분이신 참 하느님은 역사에 실제적으로(really) 작용하지 않으시고, 그리고 이러한 견해는 이신론(理神論, Deism)입니다. 군켈(Gunkel)의 방법은 그가  "신화들의 한 일련은, 최초의 시작 단계(primordium)에 있는 그러한 한 개의 사건에 대한 어떤 이야기를 위한 조색판(調色板, palette)을 제공하였던, 실제 세상에서 자주 혹은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어떤 자연적 사건에 의하여(in terms of) 이해될 수 있다"6 라고 우리에게 말하는 장소에서 자연주의(Naturalism)를 또한 반향합니다(reflects). 이것은, 군켈(Gunkel)의 경우에, 하느님의, 원천으로서 공표되는(alleged), 행위들은 "실제의 세상에" 위치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군켈(Gunkel)은 또한, 그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자기 자신에 대하여 말할 때에, 한 명의 합리주의자(a Rationalist) 입니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 우리의 경배가 그 개혁(the Reformation)(*)에 있는 그리고 또다시 합리주의(Rationalism)에 있는 어떤 강력한 정화(a purification)에 버텼던(withstood) 자들인 우리는, 또한, 우리의 교회들 안에서 우리가 보고 그리고 듣는 바의 원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혹은 오로지 부분적으로 이해할 뿐이다."7 그리스도교 경배의 얼마 만큼이 군켈(Gunkel)의 마음에 있는 합리주의의 "정화"에 이럭저럭 살아남았는지는 한 개의 커다란 질문이나, 그러나 바로 이 세상의 실재 안에 계시는 하느님의 활동이 [군켈(Gunkel)의 마음에 있는 합리주의의 "정화"에 이럭저럭 살아남았는지는 한 개의 커다란 질문이] 아니었음은 분명합니다. 그리고 근대주의(Modernism)는 그의 "근대 역사적 관점" 뒤에서 또한 지배합니다(reigns). 그는 "그 무엇을 설명하고자 하는" 어떤 욕망에서 창조되었던 창세기의 바로 그러한 전설들은 사유 행위(thinking)와 추론 행위(reasoning)에 있어서의 어린 아이의 양식(mode)의 특징임을,8 이와는 달리(while) 다른 것들은, 그가 "소설적인(novelistic)", 혹은 심지어 "요정 이야기 같은(fairy-tale-like)" 이라고 부르는 어떤 방식(manner)으로, "상상의 순수한 산출물들" 로서 떠올랐음을, 그는 발견합니다.9 그러나(yet), 그는 이들 전설들의 창작자들이 기만하기 위하여 고의적으로 의도하였던 것이 아니라고,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전설은 허구(fiction)과 실재(reality) 사이를 구분할 지성적 능력을 아직 가지지 못하였던 시대들과 집단들로부터 유래한다."10

 

-----

(*) 번역자 주: 이 개혁은, 매우 불행하게도 그동안 국내에서 "종교 개혁" 이라는 잘못된 용어로 차용 번역해 온,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에 의하여 개시되었던, 16세기의 바로 "그 개혁(the Reformation)"을 말할 것이다. 성자 하느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창립하신 종교, 즉, 가톨릭 그리스도교 자체는, 어떠한 경우에도, "피조물인 사람들에 의한 개혁"의 대상 자체가 결코 아니기 때문에, 한문 문화권 개신교측의 용어인 "종교 개혁" 이라는 번역 용어는 대단히 잘못 번역된 것이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글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concept_error_the_Reformation.htm

-----

 

12. Somewhat later, when the form-criticism of the Gospels arose in the early 1920s, the accounts in the Gospels were also assumed to be "fiction, not history." Catholic faith, while it is primarily and per se an affirmation of the dogmas of Catholic faith, is also, secondarily and per accidens, an affirmation of the reality of what is stated in Sacred Scripture rightly understood. Central to this whole discussion is the notion of historical reality. I contend that science is science only to the extent that its medium of thought is recognized and defined, and, therefore, that historical science is historical science only to the extent that the historical medium of thought is recognized and defined in the mind of the historian. The frame of reference in the mind of the historian is his historical present. I contend that the awareness in the mind of the biblical scholar of the presence of the one true God, of the God who presents Himself in the Sacred Scriptures, is necessary for the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11

 

12. 얼마간 이후에, 복음서들에 대한 형식 비평(form-criticism)이 1020년대 초에 일어났을 때에, 창세기에 있는 이야기들은 "역사가 아닌, 허구(fiction)" 라고 또한 가정되었습니다. 가톨릭 신앙은, 동시에 그것이 첫째로 그리고 그 자체로(per se) 가톨릭 신앙의 교의들에 대한 한 개의 확언(an affirmation)인 동시에, 또한, 두 번째로 그리고 우연적으로(per accidens), 올바르게 이해되는 성경 본문에 서술된 바의 실재(reality)에 대한 한 개의 확언입니다. 이러한 전체(whole) 논의(論議, discussion)에 중심에 있는 것은 역사적 실재(historical reality)라는 개념입니다. 과학(science)은 오로지 사고(thought)에 대한 그것의 수단(its medium)이 인지되고(recognized) 그리고 정의되는(defined) 정도에까지만 과학이라고 저는 주장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역사에 대한 과학(historical science, 역사학)은 해당 역사가(the historian)의 마음 안에 있는 사고(thought)에 대한 역사적 수단(historical medium)이 인지되고 그리고 정의되는 정도에까지만 역사에 대한 과학이라고 저는 주장합니다. 역사가의 마음 안에서의 준거(準據) 기준(the frame of reference)은 그의 역사적 현재(historical present)입니다. 한 분이신 참 하느님의 현존(presence)에 대한, 즉 성경 본문 안에서 당신 자신을 나타내시는 하느님에 대한, 성서 학자의 마음 안에서의 알아차림(awareness)은 성경 본문들들의 해석을 위하여 필요합니다.11

 

13. Gunkel sees in the "primal legends" of Genesis both the presence of "weakened myths" and "a quiet aversion to mythology." By a "myth" he means "a story of the gods." Israel’s strong emphasis upon monotheism would tolerate only "myths in which God acts alone, as in the creation narrative," or myths "in which the story takes place between God and people."12 But these "myths," as so identified by Gunkel, are obviously seen to be merely fictitious stories, since (the one true) God is for Gunkel always and only "the ultimate cause of all" and never plays any role in human history or the history of the world. In this description Gunkel may be retaining a residual belief in the existence of the one true God, but as far as his interpretation of Genesis is concerned, what comes out in the "primal myths" is the fictitious god of Israel, who is depicted as acting either alone or with people. In this interpretation there is no real connection between the god of Israel and the one true God of authentic Christian belief.13

 

13. 군켈(Gunkel)는 장세기의 "원시적인 전설(primal legends)들" 안에서 "약화된 신화(weakened myths)들"과 "신화학(mythology)"에 대한 어떤 반감" 둘 다를 봅니다. 한 개의 "신화" 라는 단어로써 그는 "잡신(the gods)들에 대한 한 개의 이야기"를 의미합니다. 이스라엘의 유일신(monotheism)에 대한 강한 강조는 오로지 "창조 이야기에서 처럼, 그 안에서 하느님 홀로 작용하시는 신화들", 혹은 "그 안에서 이야기가 하느님과 백성 사이에 발생하는" 신화들만을 묵인할 것입니다.12 그러나, 군켈(Gunkel)에 의하여 그렇게 식별는 것으로서, 이러한 "신화들"은 단지 가공의 이야기들이라고 분명하게 보여지는데, 그 이유는 (한 분이신 참) 하느님께서는 군켈(Gunkel)의 경우에 항상 그리고 오로지 "모든 것의 궁극적 원인"이기 떄문에 그리하여 인간의 역사 혹은 세상의 역사 안에서 아무런 역할을 결코 하지 않으시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 기술(description)에서 군켈(Gunkel)은 이 한 분이신 참 하느님의 존재에 대한 어떤 잔여(殘餘)의 믿음(belief, 신념)을 계속 유지하고 있을 수도 있으나, 그러나 창세기에 대한 그의 해석이 관련된 한, 이 "원시적인 전설들" 안에서 도출되는 바는, 홀로 혹은 백성과 함께 작용하는 것으로서 기술되는, 이스라엘의 가공의 신(fictitious god)입니다. 이러한 해석 안에는 이스라엘의 신(god)과 진정한(authentic) 그리스도인들의 믿음(belief)에 있어서의 한 분이신 참 하느님 사이의 실제 관계가 전혀 없습니다.13

 

14. According to Hermann Gunkel, the patriarchal accounts of Genesis are legends, that is, they are poetic recastings of vague historical memories, into which later popular elements and even whole other figures have been interwoven.14 He sees these accounts as constructs fashioned from imaginary thinking, such as, for example, from the idea that every different nation was descended exclusively from a different remote ancestor, in such wise that two closely related nations would be imagined to have descended exclusively from brothers or from the same mother. He thinks that Abraham, Isaac, and Jacob probably never existed, but, even if they did, what they were like could not have been remembered, because over a period of so many centuries the personal characters of these persons could not have been preserved.15 To conclude this he had to assume that no handwriting was available to these shrewd traders and their successors, that an oral account could not be preserved intact by narrators with good memories, and that there could have been no divine inspiration or help of divine providence. But he had no external evidence to back up these assumptions.

 

14. 헤르만 군켈(Hermann Gunkel)에 따르면, 창세기의 이스라엘의 선조들 이야기는 전설들 입니다, 즉, 그들은, 그 안쪽으로 이후의 대중적 요소들 그리고 심지어 통째로 다른 인물들이 이미 섞어 짜여진, 막연한 역사적 기억들에 대한 시적 고쳐 쓰기(poetic recastings들 입니다.14 그는 이들 이야기들을, 예를 들어, 두 개의 가깝게 관련된 민족들은 형제들로부터 혹은 동일한 어머니로부터 배타적으로 내려오게 되었을 것이라고 상상하게 되는 그런 방식으로, 각 서로 다른 민족은 한 명의 서로 다른 옛날의 조상으로부터 배타적으로 내려오게 되었다는 관념(idea)으로부터와 같은, 상상의 사고 행위로부터 만들어내어진(fashioned) 구성체들로서 봅니다. 그는 아브라함(Abraham), 이사악(Isaac), 그리고 야곱(Jacob)이 아마도 전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나, 그러나, 심지어 그들이 존재하였다고 하더라도, 왜냐하면 너무 많은 세기들로 이루어진 한 기간에 걸쳐 이들 인격들의 개별적 특성들은 보존되어 오지 못하였을 것이기 때문에, 그들이 어떤 자들 같았는지는 기억되지 못하였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15 이것을 결론내리기 위하여 그는 이들 약은 상인(shrewd traders)들과 그들의 후계자들에게 어떠한 손으로 쓰기[handwriting, 육필(肉筆)]도 가능하지(available) 않았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어떤 구전의 이야기(an ortal account)가 좋은 기억들을 가진 이야기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은 채 보존될 수 없었을 것이고, 그리하여 그 결과 하느님의 영감 혹은 하느님의 섭리의 도움이 결코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가정하여야만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가정들을 뒷받침하는 외적 증거(external evidence)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15. Does Gunkel’s analysis of the separate accounts in Genesis really stand up under truly scientific criticism? I think that it does not, but it is amazing that, over more than a century of use of his book by Catholic form-critics, there has been practically no searching criticism of his method. Gunkel’s method presumes that everything miraculous narrated in the Genesis accounts and every intervention on the part of the one true God are historically unfactual and need to be given a natural explanation. Is this presumption in keeping with historical science? I would say that it is not. Natural science is limited to the observation of natural facts and occurrences, but historical science is not. A natural scientist as such cannot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miracle or of any divine intervention in the world of physical reality, but he is obliged to accept the results of those higher sciences that can observe supernatural occurrences, and historical science is one of these, because historical science observes whatever has taken place in the past and must accept these occurrences without excluding in advance what exceeds the workings of physical nature. Therefore, the evidence for a happening is what concerns the historian and not whether or not the happening is within the bounds of a natural occurrence. But Gunkel’s method, because it is governed by the false principle of Naturalism, excludes in advance, even without any evidence, the recorded reality of every happening that exceeded the workings of physical nature, and, therefore, Gunkel’s method is not historically scientific.16

 

15. 창세기에 있는 개별(separate) 이야기들에 대한 군켈(Gunkel)의 분석이 과학적 비평 아래에서 실제적으로 유효하게 남아 있을까요(stand up)? 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나, 그러나, 가톨릭 형식-비평가들에 의한 그의 책의 사용의 한 세기보다 더 긴 기간에 걸쳐, 그의 방법에 대한 어떠한 철저한 비평도 실질적으로(practically) 전혀 있어 왔지 않았습니다. 군켈(Gunkel)의 방법은 창세기 이야기들에서 말해지고 있는 기적적인 모든 것 그리고 한 분이신 참 하느님 측의 모든 개입은 역사적으로 사실에 입각한 것이 아니며 그리하여 어떤 자연적 설명이 주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전 전제합니다(presumes). 바로 이러한 사전 전제는 역사 과학과 일치하는지요? 저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자연 과학(natural science)은 자연적 사실들과 사건들의 관찰에 한정되나, 그러나 역사 과학(historical science)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러한 자로서 한 명의 자연 과학자는 형이하학적 실재(physical reality)인 이 세상 안에서 한 개의 기적의 발생 혹은 하느님에 의한 임의의 개입을 알아차릴 수 없으나, 그러나 그는 초자연적 사건들을 관할할 수 있는 더 높은 과학들의 결과들을 받아들이도록 의무지어지며, 그리고, 왜냐하면 역사 과학(historical science)이 과거에 이미 발생하였던 무엇이든지 관찰하고 그리고 형이하학적 자연의 일 행위(workings)들을 능가하는 바를 미리(in advance) 배제(排除)함 없이 이들 사건들을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역사 과학은 이들 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역사가들이 관심을 가지는 바는 한 개의 사건 발생에 대한 증거이지, 해당 사건 발생이 어떤 자연적 사건의 한계 안쪽에 있는 것인지 혹은 아닌지가 아닙니다. 그러나 군켈(Gunkel)의 방법은, 그것이 자연주의(Naturalism)의 거짓 원리에 의하여 지배를 받기 때문에, 미리, 심지어 아무런 증거 없이, 형이하학적 자연의 일 행위들을 능가하는 모든 사건 발생에 대한 기록된 실재(recorded reality)를 배제(排除)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군켈(Gunkel)의 방법은 역사적으로 과학적인 것이 아닙니다.16

 

16. Rudolf Bultmann (1884-1976) was the most celebrated of five principal founders of the form-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His History of the Synoptic Tradition (1921) was an exegetical work in which he employed form-criticism seemingly to the almost total elimination of the historicity of the Synoptic Gospels of Matthew, Mark, and Luke, leaving as a residue not much more than the man Jesus of Nazareth, who did exist, was, indeed, probably crucified, and did quite possibly enunciate a few identifiable sayings that are attributed to him in the Synoptic Gospels.

 

16.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 1884-1975년)은 신약 성경에 대한 형식 비평(form-criticism)의 다섯 명의 주된 창설자들 중의 가장 찬양받는 자였습니다. 그의 History of the Synoptic Tradition (1921)은 그 안에서 그가 마태오, 마르코, 그리고 루카의 공관 복음서들의 역사성(historicity)(*)의 거의 전적인 제거에 겉보기로는(seemingly) 형식 비평(form-criticism)을 적용하였던 한 개의 성서 주석 작업이었는데, 그 결과, 정말 존재하였던, 정말로, 아마도 십자가형에 처해졌을, 그리고 공관 복음서들에서 그에게 귀속되고 있는 몇 개의 식별 가능한 발언(sayings)들을 상당히 가능한 방식으로(quite possibly) 정말 명확하게 진술하였던 자인, 나자렛 출신의 사람 예수보다 전혀 더 나은 것이 없는 자(not much more than)를 한 잔여(a residue)로서 남겼습니다.

 

-----

(*) 번역자 주: "역사성(historicity)"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제목: 네 복음서들의 역사성(historicity)에 대한 교도권의 가르침]제3항에 주어져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43.htm

-----

 

17. Joseph Cardinal Ratzinger, in a widely circulated lecture, titled “Biblical Interpretation in Crisis,” delivered in New York City on January 27, 1988, and published soon afterwards in English and in other languages,17 observed that over the past hundred years biblical exegesis has made some great errors and these errors “have in some measure grown to the stature of academic dogmas."18 He traced this problem to the influence of Martin Dibelius and Rudolf Bultmann, whose "basic methodological approaches continue even today to determine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modern exegesis."19 Ratzinger found it imperative at this juncture of time to challenge the fundamental ideas behind the method of Dibelius and Bultmann, such as the carrying over of the evolutionist model of natural science into the history and life- processes of the spirit.20

 

17. 조셉 추기경 라칭거(Joseph Cardinal Ratzinger)께서는,(*) 1988년 1월 27일에 뉴욕 시에서 전달되었던(delivered)던, 그리고 곧바로 영어로 그리고 다른 언어들로 출판되었던,17 "위기에 있는 성서 해석(Biblical Interpretationn in Crisis)" 이라는 제목이 붙여진, 한 개의 넓게 유포된 강의에서 과거 백 년에 걸쳐 성서 주석(biblical exegesis)은 커다란 오류(errors)들을 저질러 왔으며 그리고 이들 오류들은 "학원(學園)의 교의(academic dogmas)들의 지위에까지 얼마간 이미 성장하였다"18 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분께서는 바로 이러한 문제를 마르틴 디베리오(Martin Dibelius, 1883-1947년)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의 영향에까지 거슬러 올라가 발견하셨는데(traceed), 그들의 "기본적인 방법론적 접근들은 심지어 오늘까지도 근대 성서 주석(modern exegesis)의 방법들과 절차들을 결정하는 것을 계속하고 있습니다."19  라칭거 추기경님께서는, 이 시대 정신(the spirit)의 역사 및 삶-과정들(life-processes) 안쪽으로 자연 과학의 진화론자 모델(evolutionist model)의 전달 행위(carrying over)와 같은, 디베리오(Dibelius)불트만(Bultmann)의 방법 뒤에 있는 근본 관념(fundamental ideas)들에 이의를 제기하는(challenge) 것은 시간에 있어서의 이 중대한 때(at this juncture)에 시급하다(imperative)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20

 

-----

(*) 번역자 주:
(i) 이분은 교황청 신앙교리성 장관 시절의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을 말한다.
(ii) 본 해설 논문의 제17항부터 제20항까지의 내용과 직접 관련된 John F. McCarthy 몬시뇰님의 추가적인 논문들은 다음에 있다는 생각이다:

 

SOME RATIONALIST PRESUPPOSITIONS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PART I. REGARDING THE TESTIMONY OF JOSEPH CARDINAL RATZINGER

http://www.rtforum.org/lt/lt137.html
PART II. THE CRITICAL PHILOSOPHY OF IMMANUEL KANT IN THE BACKGROUND

http://www.rtforum.org/lt/lt139.html

PART III. THE INFLUENCE OF KANTIAN PHILOSOPHY UPON HISTORICAL CRITICISM

http://www.rtforum.org/lt/lt140.html

-----

 

18. “The real philosophic presupposition of the whole system,” he said, seems to be situated "in the philosophic turning-point proposed by Immanuel Kant,” according to which “the voice of being-in-itself cannot be heard by human beings.”21 “In theological terms,” said the Cardinal, “this means that revelation must recede into the pure formality of the eschatological stance, which corresponds to the Kantian split,” and to this extent, for Bultmann and for the majority of modern exegetes, “there lies in modern exegesis a reduction of history into philosophy, a revision of history by means of philosophy.”22

 

18. 이분께서는, 그것에 따르면 "있음 그 자체(being-in-itself)의 음성이 인간들에 의하여 듣게 될 수 없는", "전체 체계에 대한 실재(實在)적인(real) 철학적 사전 전제(presupposition)가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에 의하여 제안되었던 철학적 방향 전환 지점(turning-point)에" 놓여져 있다고 생각한다 말씀하셨습니다.21 "신학적 용어들로, 이것은 계시(revelation)가 종말론적 입장(the eschatological stance)이라는 순수한 정식(formality) 안쪽으로 반드시 후퇴하여야(recede) 함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칸트파 철학의 쪼갬(Kantian split)에 대응하며," 그리고 바로 이러한 정도에까지, 불트만(Bultmann)의 경우에 그리고 근대 성서 주석자들 중의 다수의 경우에, "철학 안쪽으로 역사의 어떤 환원(a reduction)이, 철학에 의한 역사의 어떤 개정(a revision)이, 근대 성서 주석(modern exegesis)안에 있습니다" 라고 이 추기경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22

 

19. The Cardinal proposed some "basic elements for a new synthesis," which will require the attentive and critical commitment of a whole generation.23 On the level of the integration of the biblical texts into their historical context, said the Cardinal, the time is ripe for a " new and thorough reflection on exegetical method,” also in the sense that “scientific exegesis must recognize the philosophic element present in a great number of its ground rules, and it must then reconsider the results which are based on these rules.” To achieve this task he saw the need to introduce into the discussion “the great outlines of patristic and medieval thought."24

 

19. 이 추기경님께서는 어떤(some) "한 개의 새로운 종합(synthesis)을 위한 기본 요소들" 을 제안하셨는데, 이 제안은 전체 세대의 세심한 그리고 비평적 기여를 장차 요구할 것입니다.23 성서 본문들을 그들의 역사적 문맥 안쪽으로 통합하는 수준에서 어떤 "성서 주석에 대한 새로운 그리고 철저한 숙고(reflection)" 를 위한, 그리고 또한 "과학적 성서 주석이 커다란 숫자의 그 절차 규칙(ground rules)들에 존재하는 철학적 요소를 반드시 알아차려야 하고, 그러고 나서 과학적 성서 주석이 이들 규칙들에 근거한 결과들에 대하여 반드시 재고하여야 한다는 의미에 있어, 시간은 기회가 무르익었습니다(ripe)." 라고 이 추기경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바로 이 과업을 성취하기 위하여 "초기 그리스도교 교부(敎父)들의 그리고 중세의 사고에 대한 커다란 윤곽들"을 이 논의 안쪽으로 도입할 필요를 이분께서 보셨습니다.24

 

20. Regarding philosophical systems, the Cardinal affirmed: “At its core, the debate about modern exegesis is not a dispute among historians; it is rather a philosophical debate.”25 As to the “scientific” and “historical” character of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the Cardinal remarked: “Now, at a certain distance, the observer determines to his surprise that these interpretations, which were supposed to be so strictly scientific and purely ‘historical,’ reflect their own overriding spirit, rather than the spirit of times long ago. This insight should not lead us to skepticism about the method, but rather to an honest recognition of what its limits are, and perhaps how it might be purified.”26

 

20. 철학적 체계들에 관하여, 이 추기경님께서는 "그 핵심에 있어서, 근대 성서 주석에 관한 토론(debate)은 역사가들 사이의 한 개의 논쟁(a dispute)이 아니며, 그리고 이것은 오히려 한 개의 철학적 토론입니다" 라고 확언하셨습니다.25 역사-비평 방법(the historical-critical method)의 "과학적" 그리고 "역사적" 특성에 관하여, 이 추기경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논평하셨습니다(remarked): "그런데, 얼마간의 거리에서, 관찰자는, 대단히 엄밀하게 과학적이고 그리고 순수하게 '역사적이다' 고 가정되었던, 이들 해석들이 오래 전 시기들의 시대 정신(the spirit) 대신에 오히려 그들 고유의 주된(overriding) 시대 정신을 반향한다(reflect)고 놀랍게도 단정합니다(determines). 이러한 통찰은 이 방법에 관한 회의(skepticism)로가 아니라, 오히려 이 방법의 한계들이 무엇인가에 대한, 그리고 혹시 가능하다면(perhaps) 어떻게 이 방법이 정화될 것인가에 대한, 어떤 정직한 알아차림으로 우리를 마땅히 인도하여야 합니다,"26

 

21. Both Bultmann and Gunkel based their idea of modern man, at least implicitly, upon Kant’s thoroughgoing distinction between factual knowledge, as gained from empirical observation, and metaphysical and religious opinion, which is postulated but not known. The form-criticism of Gunkel and Bultmann is a critical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Sacred Scripture in the sense that it sets aside Christian faith and concentrates exclusively upon critical reason in the Kantian sense in order to critique the Bible. It does not consider at all the critical reasoning of traditional biblical interpretation in which the ars critica of conventional historical research is used also to certify and defend the Scriptures as well as to achieve a fuller under­stand­ing of them. The method of Gunkel and Bultmann is a Modernist method in the sense that it unreasonably extols the reasoning of so-called “modern man” over the supposedly inferior thinking presented in the sacred writings. The form-criticism of Gunkel and Bultmann is also a reductive method in that it focuses exclusively upon the human side of the Bible and rules out a priori in its reasoning any divine and supernatural influence in the writing of the sacred books. It is reductive also to the extent that it puts aside the use of sound metaphysics and thus falls repeatedly into philosophical errors that only sound philosophy can adequately ascertain.

 

21. 불트만(Bultmann)군켈(Gunkel) 둘 다는, 적어도 함축적으로(implicitly), 경험적(empirical) 관찰로부터 획득되는 것으로서, 사실에 입각한(factual) 지식(knowlegde)과, 공리(公理)로 간주되나(postulated) 그러나 알려지지 않은, 형이상학적 그리고 종교적 견해(opinion) 사이의 칸트(Kant)의 철저한 구분에 근대 사람(modern man)에 대한 자신들의 관념의 바탕을 두었습니다. 불트만(Bultmann)군켈(Gunkel)의 형식 비평(form-criticism)은, 이 비평이 그리스도교 신앙을 버리고(sets aside) 그리고 성경을 (비판적으로) 비평하기 위하여 칸트파 철학적 의미로 비판적 이성(critical reason)에 배타적으로 집중한다는 의미에 있어, 성경 본문의 해석에 한 개의 비판적 접근(a critical approach)입니다. 이 접근은, 그 안에서 성경 본문에 대한 더 풍부한 이해를 성취하기 위하여서 뿐만이 아니라 성경 본문을 또한 확신시키고(certify) 그리고 옹호하기(defend) 위하여 재래의(conventional) 역사 연구로 이루어진 ars critica(문학 비평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traditional) 성서 해석의 비판적 추론 행위(critical reasoning)를 전혀 고려하지 않습니다. 불트만(Bultmann)군켈(Gunkel)의 방법은, 이 방법이 성스러운 저술들에 제시되어 있는 추측컨대(supposedly) 저급의 사고 행위(thinking)에 비하여(over) 소위 말하는 "근대 사람"의 추론 행위를 비이성적으로 크게 찬양한다는 의미에 있어, 한 개의 근대주의자 방법(a Modernist method)입니다. 불트만(Bultmann)군켈(Gunkel)의 형식 비평(form-criticism)은 또한, 이 비평이 성경의 인간적 측면에 배타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그리고 성스러운 책들의 저술 행위에 있어 신성적(divine) 및 초자연적(supernatural) 영향 모두를 이 비평의 추론 행위에서 선험적으로(a priori, 조사 혹은 분석 없이) 배제한다는 점에서(in that), 한 개의 환원적 방법(a reductive method)입니다. 이 방법은, 이 방법이 건전한(sound) 형이상학(metaphysics)의 사용을 제쳐 놓으며(put aside) 그리하여 그 결과 오로지 건전한 절학만이 적절하게 확정할(ascertain) 수 있다는 철학적 오류들로 반복적으로 떨어지는 정도에 이르기까지, 또한 환원적(reductive) 입니다.

 

22. To be sure, Gunkel and Bultmann do not follow Kant in explicitly assuming that the things we see do not exist outside of our own minds, but they and their followers do fall into the consequent error of using a defective subject-object model of reasoning that overlooks the formal object of human understanding and thus puts out of critical focus the very mental framework that they are using in the course of their reasoning. Finally, the “Kantian split” is functional in this form-critical method, because the aura of reality is given only to their own critical thinking, while the teaching and historical episodes of the Bible are consigned arbitrarily to a religious dream-world of myth and fancy. So why was the Bible relevant at all for Gunkel and Bultmann? They studied it, I think, not only to critique it in the Kantian sense, but also with the idea that its fiction retains an underlying existential meaning for modern Christians that is to be found on the other side of the “Kantian split.”27

 

22. 확실하게, 불트만(Bultmann)군켈(Gunkel)이 우리가 보는 사물들이 우리의 고유한 마음들의 바깥에 존재하지 않음을 명백하게 가정함에 있어 칸트(Kant)를 따르지 않으나, 그러나 그들과 그들의 추종자들은, 인간의 이해의 형상적 객체(formal object)를 간과하는 그리하여 그 결과 비판적 초점 때문에 그들이 자신들의 추론 행위의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바로 그 심리적 체제(mental framework)에 이르게 하는(puts), 추론 행위(reasoning)의 어떤 결함이 있는 주체-객체 모델(subject-object model)을 사용함이라는, 결과로서 뒤따르는, 오류(consequent error)에 정말(do) 빠집니다. 끝으로, "칸트파 철학의 쪼갬(Kantian split)" 은 바로 이 형식 비평적(form-critical) 방법에서 작동하는데, 왜냐하면, 성경의 가르침과 역사적 에피소드들은 신화(myth)와 환상(fancy)으로 이루어진 어떤 종교적 꿈-세상에 임의적으로 맡겨진 동안에(while), 실재의 기운(aura of reality)은 오로지 그들의 고유한 비판적 사고 행위에만 제공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불트만(Bultmann)군켈(Gunkel)의 경우에 성경은 도대체 왜 유의미한 관련을 가졌는지요(relevant)? 그들은 칸트 철학파의 의미로 성경을 (비판적으로) 논평하기 위하여서 뿐만이 아니라, 또한 성경의 허구가 이 "칸트파 철학의 쪼갬(Kantian split)" 의 다른 측면에서 발견되어야 하는 근대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어떤, 밑에 있는(underlying), 존재론적(extential) 의미를 간직하고 있다는 관념과 함께, 그들이 성경을 연구하였다고 저는 생각합니다.27

 

23. Rudolf Bultmann often raised the question of "reality" in relation to Christian faith and the contents of the New Testament Scriptures. To resolve the dilemma that the question of reality raised for him, he divided the concept of reality into two and proposed a novel meaning of Wirklichkeit, the German word for reality:  a) the reality that is known by sense experience and constitutes the real world of empirical science he called, not Wirklichkeit, but Realität, and this is the objective representation of the world in which man finds himself;  b) and he called Wirklichkeit  "the reality of the historically existing man."28 This distinction enabled Bultmann to predicate reality in relation to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object of faith without predicating reality in the commonly understood sense to the object of faith itself. This was a wrong answer to the question of reality, but it did address a question that for too long has escaped the critical attention of modern exegetes of the prevailing school.

 

23. 루톨프 불트만(Rudolf Bultmann)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과 신약 성경 본문의 내둉들에 관계하여 "실재(reality)" 의 문제를 자주 제기하였습니다. 실재의 문제가 그를 위하여 제기하였던 진퇴양난(dilemma)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는 실재(reality)라는 개념(concept)을, 다음과 같이, 두 개로 나누었으며 그리고 실재를 나타내는 독일어 단어인 Wirklichkeit 에 대한 한 개의 기발한(novel) 의미를 제안하였습니다: a) 감각 경험에 의하여 알려지게 된 그리고 경험 과학(empirical science)의 실제 세상(the real world)을 구성하는 실재를 그는, Wirklichkeit 이 아니라, Realität 라고 불렀으며, 그리고 이것은 그 안에서 사람이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세상에 대한 객관적 표현(objective representation)입니다; b) 그리고 그는 Wirklichkeit  을 "역사적으로 존재하는 사람의 실재" 라고 불렀습니다.28 바로 이러한 구분은 불트만(Bultmann)이, 신앙(faith)의 대상 그 자체에 대한 통상의 이해되는 의미로 실재를 서술함 없이, 신앙(faith)의 대상에 대한 어떤 특정한 이해에 관련하여 실재(reality)를 서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이것은 실재의 문제에 대한 한 개의 잘못된 해답이나, 그러나 이것은 우세한 학파의 근대 성서 주석자들의 비판적 주의를 너무 오랜 기간 동안 벗어나 있었던 한 개의 문제를 정말 제기하였습니다. 

 

24. Modern historical-critical exegetes, to the extent that they uncritically follow the method of Bultmann and make use of his presuppositions, actually cut themselves off from the reality that is objectively presented in the Scriptures along the lines of Bultmann's exclusion of Realität in the objects presented by the biblical narrative. Catholic form-critics seldom raise the question of reality at all, and one of the unanswered questions throughout almost the whole of their discourse is whether in their judgment the biblical events which they are interpreting really happened or did not.

 

24. 근대 역사-비평 주석자(historical-critical exegetes)들은, 그들이 불트만(Bultmann)의 방법을 무비판적으로 뒤따르는 그리하여 그의 사전 전제들을 사용하는 정도에까지, 성경의 이야기에 의하여 제시되고 있는 대상들에 있어 Realität 에 대한 불트만(Bultmann)의 배제의 윤곽(lines)을 따라서(along), 성경 본문에 객관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실재로부터 그들 자신들을 현실태적으로(actually) 분리시킵니다. 가톨릭 형식-비평가(form-critics)들은 어떠한 여건 아래에서도(at all) 실재의 문제를 좀처럼 제기하지 않으며, 그리고 그들의 토론(discourse)의 거의 전부에 걸쳐 답변이 주어지지 않은(unanswered) 질문들 중의 한 개는 그들의 판단에 있어 그들이 해석 중인 성경의 사건들이 실제로 발생하였는지 혹은 그렇지 않았는지 입니다.

 

25. In his speculation, Rudolf Bultmann often raised the question of "history" in relation to Christian faith and the contents of the New Testament Scriptures. Again he proposed a double meaning of the German word for history, Geschichte, and he set up a radical distinction between history as Historie, which, he said, is composed of causally connected events and relationships between facts which are objectively verifiable and chronologically determinable,29 and history as Geschichte, which consists of the encounters of the "genuinely" existing human being, whose "existential constitution" ultimately signifies "to exist, to be confronted with non-being, to be able to be and ever to decide anew." Thus, for Bultmann, the question of the "historicity" of the Gospels was subjectivized into the possession by the contemporary thinker of what he called "true historicity," which was "the existential constitution of the being which necessarily exists in history."30 While these definitions of reality and of history are proper to Bultmann, they are derived from the “Kantian split” between empirical “reality” and the “fictitious” nature of all other forms of thought.

 

25.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은, 자신의 사변(思辨, speculation)에 있어, 그리스도인들의 신앙과 신약 성경 본문의 내둉들에 관계하여 "역사(history)" 의 문제를 자주 제기하였습니다. 게다가 또(again) 그는 역사를 나타내는 독일어 단어, Geschichte 의 어떤 이중의 의미를 제안하였으며, 그리고 그는,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그리고 연대순으로 확정할 수 있는 사실들 사이에서 우연적으로(casually) 연결된 사건들과 관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그가 말하였던, Historie 로서 역사와29, 그자의 "존재론적 구성"이 "존재함을, 있지 않음(non-being)과 직면하게 됨, 있을 수 있음 그리고 언제나 새로이 결심할 수 있음"를 궁극적으로 표명하는(signifies), "진정으로(genuinely)" 존재하는 인간(human being)의 마주침(encounters)들로 이루어진 Geschichte 로서 역사 사이에 어떤 발본적인(radical) 구분을 설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불트만(Bultmann)의 경우에, 복음서들의 "역사성(historicity)"의 문제는 그가, "역사 안에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있음(being)의 존재론적 구성(existential constitution)"인, "참된 역사성(true historicity)" 이라고 부르는 바에 대한 동시대의 사고자에 의한 소유(possession)로 주관화되었습니다(subjectivized).30 실재(reality)에 대한 그리고 역사에 대한 이들 정의(definitions)들이 불트만(Bultmann)에게 고유하다고 할지라도(while), 그들은 경험적 "실재(reality)" 와 사고의 모든 다른 형태들의 "허구의(fictitious)" 본성(nature) 사이에 있는 "칸트파 철학의 쪼갬(Kantian split)" 으로부터 도출됩니다. 

 

26. Finally, in his address of 14 October to the Fourteenth General Congregation of the Synod of Bishops, Pope Benedict XVI concludes that, “for the life and the mission of the Church, for the future of faith, this dualism between exegesis and theology must be overcome.” This dualism is the simultaneous presence in the minds of Catholic exegetes and theologians of two opposing systems of thought, namely, the frame­work of form-critical thinking and the framework of Catholic belief. And it is really a dualism, because the framework of form-criticism being used has never been synthesized with the outlook of Catholic faith or with the corpus of Catholic theology. Catholic form-critics do not deny their faith; they simply do not use their faith when they are doing their form-critical thinking. Often they strive to put their form-criticism aside when they are saying their prayers, but they also often preach and think about results of this method which tend to call into question the theology that they have learned. And that is a big reason why this dualism of exegesis and theology must be overcome, in the words of Pope Benedict XVI, “for the life and the mission of the Church, for the future of faith.”

 

26. 끝으로, 교황 베내딕토 16세께서는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제14차 전체회의에 주어진 10월 14일자 당신의 연설에서, "교회의 생명과 사명(mission)을 위하여, 신앙의 미래를 위하여, 성서 주석과 신학 사이에 있는 이러한 이원론(dualism)(*)을 극복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라고 끝맺으셨습니다. 바로 이 이원론은 가톨릭 성서 주석자들과 신학자들의 마음들에 있는 사고에 있어서의 두 개의 상반되는 체제(frameworks)들의, 즉, 형식 비평적 사고 행위의 체제와 가톨릭 믿음(Catholic belief)의 체제의 동시 현존(simultaneous presence)을 말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실제로 한 개의 이원론인데, 왜냐하면 사용되고 있는 형식 비평(form-criticism)의 체제가 가톨릭 신앙의 관(觀, outlook)으로써 혹은 가톨릭 신학의 총체(corpus)으로써 여태까지 종합된 적이 전혀 없었기 때문입니다. 가톨릭 형식 비평가들은 자신들의 신앙(faith)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자신들의 형식 비평적 사고 행위를 하고 있을 때에 그들은 자신들의 신앙(faith)을 단순히 사용하지 않고 있을 뿐입니다. 그들이 자신들의 기도들을 바칠 때에, 자주 그들은 자신들의 형식 비평(form-criticism)을 제쳐 놓기 위하여 노력하나, 그러나 그들은 또한, 그들이 이미 배웠던 신학에 이의를 제기하는 경항을 가지고 있는  바로 이 방법의 결과들에 관하여 자주 설교하고 그리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성서 주석과 신학의 이러한 이원론이,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교회의 생명과 사명(mission)을 위하여, 신앙의 미래를 위하여" 라는 말씀들 안에서, 반드시 극복되어야만 하는 한 개의 큰 이유입니다.

 

-----
(*) 번역자 주: "이원론(dualism)"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5.htm

-----

 


 

Endnotes

 

1 To quote the exact words of Pope Pius X: “Some Modernists, devoted to historical studies, seem to be greatly afraid of being taken for philosophers. About philosophy, they tell you, they know nothing whatever – and in this they display remarkable astuteness, for they are particularly anxious not to be suspected of being prejudiced in favor of philosophical theories which would lay them open to the charge of not being objective, to use the word in vogue. And yet the truth is that their history and their criticism are saturated with their philosophy, and that their historico-crtiical conclusions are the natural fruit of their philosophical principles” (Pascendi dominici gregis, no. 30).

2 H. Gunkel, Genesis (Göttingen, 1901); Eng. trans. of the of the 3d revised edition (1910), Genesis (Mercer: Macon, Georgia, 1997), p. viii. See Living Tradition 77, paragraph 19.

3 Gunkel, Genesis, p. x.

4 Gunkel, Genesis, ibid. See Living Tradition 111, paragraph 38.

5 Gunkel, Genesis p. viii. See Living Tradition 140, paragraph 42. For a detailed analysis of Gunkel’s approach to form-criticism see J.F. McCarthy, “Rationalism in the Historical-Criticism of Hermann Gunkel” in Living Tradition 108.

6 Gunkel, ibid., p. xiii.

7 Gunkel, ibid. p. xx.

8 Gunkel, ibid., xxi. Cf. ibid., lxvii, lxix.

9 Gunkel, ibid., xxiii.

10 Gunkel, ibid., xxvi. See Living Tradition 77, paragraph 21.

11 See Living Tradition 77, paragraph 22.

12 Gunkel, Genesis, pp. xii-xiii.

13 See Living Tradition 108, paragraph 12.

14 Gunkel, Genesis, p. xvi.

15 Gunkel, Genesis, p. lxviii. See Living Tradition 108, paragraph 15.

16 See Living Tradition 108, paragraph 27.

17 Joseph Cardinal Ratzinger, in Richard J. Neuhaus, ed., Biblical Interpretation in Crisis (Grand Rapids: Eerdmans, 1989), pp. 1-23).

18 Ratzinger, ibid., p. 21. For more on this discussion, see Living Tradition, issues 41 and 137.

19 Ratzinger, ibid., p. 9.

20 Ratzinger, ibid., pp. 10, 14-15.

21 Ratzinger, ibid., p. 15.

22 Ratzinger, ibid., p. 16.

23 Ratzinger, ibid., pp. 16 and 17-23.

24 Ratzinger, ibid., pp. 21-22.

25 Ratzinger, ibid.

26 Ratzinger, ibid., p. 8.

27 See Living Tradition 140, paragraph 44.

28 R. Bultmann, "Zum Problem der Entmythologisierung," in H. W. Bartsch et al., Kerygma und Mythos (Hamburg: Evangelischer Verlag), vol. VI-1: a) "... die ein objektivierenden Sehen vorgestellte Wirklichkeit der Welt, innerhalb deren sich der Mensch vorfindet..." (p. 20); b) "... als die Wirklichkeit des geschlichtlich existierenden Menschen" (p. 21). See Living Tradition 41.

29 R. Bultmann, History and Eschatology (New York: Harper and Row, 1957), pp. 143-144.
30 Cf. R. Bultmann, in H. W. Bartsch ed., Kerygma and Myth: A Theological Debate, vol. I (London: SPCK, 1953), pp. 191-193, and 200.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Biblical Exegesis"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www.newadvent.org/cathen/05692b.htm

 

이 설명은, 특히 성서 주석 분야의 기본적인 전문 용어들을 습득하여 변별력을 확보하는 데에, 그리하여, 아래의 부록 1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12-114항의 내용 뿐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위의 제1항제2항에 발췌된 글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더 깊이있게 이해하는 데에, 대단히 유익하다는 생각입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40시간 (자료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

 

<< 부 록 1 >>

 

게시자 주 A-1: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인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 제11-13항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hist_councils/ii_vatican_council/documents/vat-ii_const_19651118_dei-verbum_en.html

(발췌 시작)

CHAPTER III

SACRED SCRIPTURE, ITS INSPIRATION AND DIVINE INTERPRETATION

 

11. Those divinely revealed realities which are contained and presented in Sacred Scripture have been committed to writing under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For holy mother Church, relying on the belief of the Apostles (see John 20:31; 2 Tim. 3:16; 2 Peter 1:19-20, 3:15-16), holds that the books of both the Old and New Testaments in their entirety, with all their parts, are sacred and canonical because written under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they have God as their author and have been handed on as such to the Church herself.(1) In composing the sacred books, God chose men and while employed by Him (2) they made use of their powers and abilities, so that with Him acting in them and through them, (3) they, as true authors, consigned to writing everything and only those things which He wanted. (4)

 

11.  성경 본문에 포함되어 그리하여 제시되는 하느님에 의하여 계시된 실체(realities)들은 성령의 영감 아래에서 저술 행위에 위탁되어(committed) 왔습니다. 이는 거룩한 어머니 교회가, 사도들의 믿음(belief)에 의존하여(요한 20,31; 2티모테오 3,16; 2베드로 1,19-20; 3,15-36을 보라), 구약 및 신약 둘 다의 책들이, 성령의 영감 아래에서 저술되었기에, 온전히 그대로, 그들의 부분들 모두와 함께, 성스럽고(sacred) 그리고 정경적(canonical)임을 견지하기 때문에, 이 책들은 하느님을 자신들의 저자로서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교회 자신에게 그러한 것으로서 양도되어져(handed on) 왔습니다.(1) 성스러운 책들을 작문함에 있어, 하느님께서 사람(men)들을 선택하셨으며 그리고 당신에 의하여 종사하게 된 동안에(2) 그들은 자신들의 힘들과 능력들을 사용하였는데, 그리하여 그 결과 그들 안에서 작용하시는 당신과 함께 그리고 그들을 통하여,(3) 그들은, 참 저자들로서, 당신께서 원하시는 모든 것 그리고 오로지 바로 그것들 만을(*) 저술함에 동의하였습니다(consigned to).(4)

 

-----
(*) 번역자 주: 이 강조의 표현은, 해당 대상들을 대단히 구체적으로 제한하여 정의할(define) 때에 사용되는, "if and only if" 와 논리적으로 동치인(logically equivalent)"omnes et solas(모든 그리고 오로지 ... 뿐)" 이라는 라틴어 표현의 한 변형이라는 생각이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78.htm

-----

 

Therefore, since everything asserted by the inspired authors or sacred writers must be held to be asserted by the Holy Spirit, it follows that the books of Scripture must be acknowledged as teaching solidly, faithfully and without error that truth which God wanted put into sacred writings (5) for the sake of salvation. Therefore "all Scripture is divinely inspired and has its use for teaching the truth and refuting error, for reformation of manners and discipline in right living, so that the man who belongs to God may be efficient and equipped for good work of every kind" (2 Tim. 3:16-17, Greek text).

 

그러므로, 영감을 받은 저자들 혹은 성스러운 저자둘에 의하여 단언된(asserted) 모든 것은 성령에 의하여 단언된 것이라고 반드시 견지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성경 본문을 이루는 책들이, 구원을 위하여 성스러운 저술들 안쪽으로 주입(注入) 하는 것을 하느님께서 원하셨던, 바로 그 진리를(5) 확고하게, 충실하게 그리고 아무런 오류 없이 가르치는 것으로서 반드시 인정되어져야 함이 당연한 결과로서 뒤따릅니다. 그러므로 "성경 본문 모두는 하느님에 의하여 영감을 받고 있으며 그리하여, 하느님께 속하는 사람이 온갖 종류의 선행을 위하여 효율적이 되고 그리고 준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진리를 가르치고 오류를 바로잡기 위한, 올바른 삶에 있어 예절들과 기강의 개선을 위한, 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2티모테오 3,16-17, 그리스어본 본문).

 

12. However, since God speaks in Sacred Scripture through men in human fashion,(6) the interpreter of Sacred Scripture, in order to see clearly what God wanted to communicate to us, should carefully investigate what meaning the sacred writers really intended, and what God wanted to manifest by means of their words.

 

12. 그러나, 하느님이 인간적 방식으로 사람들을 통하여 성경 본문에서 말씀하시기 때문에,(6) 성경 본문의 해석자는, 하느님께서 우리들에게 무엇을 나누어주시는 것을 원하셨는지를 보기 위하여, 무슨 의미를 성스러운 저자들이 실제로 의도하였는지를, 그리하여 무엇을 하느님이 그들의 말들에 의하여 드러내는 것을 원하셨는지를, 마땅히 조심스럽게 조사하여야 합니다. 

 

To search out the intention of the sacred writers, attention should be given, among other things, to "literary forms." For truth is set forth and expressed differently in texts which are variously historical, prophetic, poetic, or of other forms of discourse. The interpreter must investigate what meaning the sacred writer intended to express and actually expressed in particular circumstances by using contemporary literary form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his own time and culture. (7) For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what the sacred author wanted to assert, due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customary and characteristic styles of feeling, speaking and narrating which prevailed at the time of the sacred writer, and to the patterns men normally employed at that period in their everyday dealings with one another. (8)

 

성스러운 저자들의 의향을 밝혀내기 위하여 주의가 마땅히, 다른 것들 중에서, "문학 형식들(literary forms)"에 주어져야 합니다. 이는 진리가, 다양하게 역사적인, 예언적인, 시적인(poetic), 혹은 화법(discourse)의 다른 형식들인, 본문들 안에서 서로 다르게 진술되고 그리고 표현되기 때문입니다. 해석자는 성스러운 저자가 표현하고자 의도하였던 그리고 특별한 여건들 안에서 실제로 표현된 의미가 무엇인지를, 그의 고유한 시기와 문화라는 상황에 일치하는 동시대의 문학 형식들을 사용함으로써, 반드시 조사하여야 합니다.(7) 성스러운 저자가 단언하기를 원하였던 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성스러운 저자의 시기에 보급되었던 느낌, 말하기 그리고 이야기하기의 관습적인 및 특징적인 생활 양식(styles)들에, 그리고 그들이 일상적으로 서로를 대하는 데에 있어 바로 그 시대에 통상적으로 사람들이 사용하였던 행동 양식(patterns)들에, 정당한 주의(due attention)가 반드시 기울여져야 합니다.(8)

 

But, since Holy Scripture must be read and interpreted in the sacred spirit in which it was written, (9) no less serious attention must be given to the content and unity of the whole of Scripture if the meaning of the sacred texts is to be correctly worked out. The living tradition of the whole Church must be taken into account along with the harmony which exists between elements of the faith. It is the task of exegetes to work according to these rules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meaning of Sacred Scripture, so that through preparatory study the judgment of the Church may mature. For all of what has been said about the way of interpreting Scripture is subject finally to the judgment of the Church, which carries out the divine commission and ministry of guarding and interpreting the word of God. (10)

 

그러나, 거룩한 성경 본문은 그 안에서 그것이 저술되었던 성스러운 정신 안에서 반드시 읽히고 그리고 해석되어야 하기 때문에,(9) 성스러운 본문들의 의미가 올바르게 산출되고자 한다면 성경 본문 전체의 내용과 단일성에 더 많은 진지한 주의가 반드시 주어져야 합니다. 전체 교회의 살아있는 성전(the living tradition)은, 신앙의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는 조화와 함께,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준비 단계의 연구를 통하여 교회의 판단이 성숙할 수 있도록, 성경 본문의 의미에 대한 어떤 더 나은 이해와 설명을 향하여 바로 이러한 규칙(rules)들에 따라 일하는 것은 성서 주석자(exetetes)들의 과업(task)입니다. 이는 성경 본문을 해석하는 방식에 관하여 이미 말해진 바의 모두가, 하느님의 말씀을 지키고 해석하는 신성적(divine) 위임된 임무(commision)와 교역/직무(ministry)를 수행하는, 교회의 판단에 최종적으로 종속하기 때문입니다.(10)

 

13. In Sacred Scripture, therefore, while the truth and holiness of God always remains intact, the marvelous "condescension" of eternal wisdom is clearly shown, "that we may learn the gentle kindness of God, which words cannot express, and how far He has gone in adapting His language with thoughtful concern for our weak human nature." (11) For the words of God, expressed in human language, have been made like human discourse, just as the word of the eternal Father, when He took to Himself the flesh of human weakness, was in every way made like men.

 

13. 그러므로 성스러운 본문에는, 하느님의 진리와 거룩함이 항상 손상되지 않은 채 남아있음(remains intact)과 동시에(while), "말들이 표현할 수 없는 하느님의 온화한 친절을, 그리고 우리의 나약한 인성에 대한 사려깊은 배려(concern)와 함께 당신의 언어를 적응시키심(adapting)에 있어 얼마나 멀리까지 당신께서 이미 나아가셨는지를, 우리가 배울 수 있도록(that)," 영원한 지혜(eternal wisdom)의 경이로운 "겸양(condescension)"이 분명하게 보여지고 있습니다.(11) 이는, 당신께서 인간의 나약함으로 이루어진 육(the flesh)을 당신 자신에게로 취하셨던 때에 영원한 성부의 말씀(the word of the eternal Father)이 모든 방식에 있어 사람(men)들 처럼 되었던(made like) 것(요한 복음서 1,14)과 꼭 마찬가지로(just as), 인간의 언어로 표현된 하느님의 말씀들(the words of God)이 이미 인간의 담화(human discourse) 처럼 되었기(made like) 때문입니다.

 

-----

Chapter III

Article 11:

1. cf. First Vatican Council, Dogmatic Constitution on the Catholic Faith, Chap. 2 "On Revelation:" Denzinger 1787 (3006); Biblical Commission, Decree of June 18,1915: Denzinger 2180 (3629): EB 420; Holy Office, Epistle of Dec. 22, 1923: EB 499.

2. cf. Pius XII, encyclical "Divino Afflante Spiritu," Sept. 30, 1943: A.A.S. 35 (1943) p. 314; Enchiridion Bible. (EB) 556.

3. "In" and "for" man: cf. Heb. 1, and 4, 7; ("in"): 2 Sm. 23,2; Matt.1:22 and various places; ("for"): First Vatican Council, Schema on Catholic Doctrine, note 9: Coll. Lac. VII, 522.

4. Leo XIII, encyclical "Providentissimus Deus," Nov. 18, 1893: Denzinger 1952 (3293); EB 125.

5. cf. St. Augustine, "Gen. ad Litt." 2, 9, 20:PL 34, 270-271; Epistle 82, 3: PL 33, 277: CSEL 34, 2, p. 354. St. Thomas, "On Truth," Q. 12, A. 2, C.Council of Trent, session IV, Scriptural Canons: Denzinger 783 (1501). Leo XIII, encyclical "Providentissimus Deus:" EB 121, 124, 126-127. Pius XII, encyclical "Divino Afflante Spiritu:" EB 539.

Article 12:

6. St. Augustine, "City of God," XVII, 6, 2: PL 41, 537: CSEL. XL, 2, 228.

7. St. Augustine, "On Christian Doctrine" III, 18, 26; PL 34, 75-76.

8. Pius XII, loc. cit. Denziger 2294 (3829-3830); EB 557-562.

9. cf. Benedict XV, encyclical "Spiritus Paraclitus" Sept. 15, 1920:EB 469. St. Jerome, "In Galatians' 5, 19-20: PL 26, 417 A.

10. cf. First Vatican Council, Dogmatic Constitution on the Catholic Faith, Chapter 2, "On Revelation:" Denziger 1788 (3007).

Article 13:

11. St. John Chrysostom "In Genesis" 3, 8 (Homily l7, 1): PG 53, 134; "Attemperatio" [in English "Suitable adjustment"] in Greek "synkatabasis."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A-2: 다음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인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 제11-13항 전문입니다. 보다 더 정확한 내용 이해를 위하여, 위의 영문본 및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졸번역본과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서 읽으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번역 오류 한 개) 아래의 제13항의 우리말 번역문은, 예를 들어, 해당 원문이 "그리스도교 원리" 인 요한 복음서 1,14"말씀이 사람이 되셨다" 를 유비(analogy)의 근거로 삼아 대단히 유의미한 설명을 제시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며, 따라서 번역 오류라는 생각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출처: http://ebook.cbck.or.kr/gallery/view.asp?seq=192848&path=120726090012&page=13
(발췌 시작)
제 3 장
성경의 영감과 그 해석

 

성경의 저자

 

11.   하느님의 계시는 성령의 감도로 성경에 글로 담겨지고 표현되어 보존된 것이다. 그러므로 거룩한 어머니인 교회는 사도의 신앙에 따라 구약과 신약의 모든 책을 그 각 부분과 함께 전체를 거룩한 것으로, 또 정경으로 여긴다. 그 이유는 이 책들이 성령의 감도로 기록된 것이고(요한 20,31; 2티모 3,16; 2베드 1,19-21; 3,15-16 참조), 하느님께서 저자이시며, 또 그렇게 교회에 전달되었기 때문이다. 1) 성경을 저술하는 데에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선택하시고, 자기의 능력과 역량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활용하신다. 2) 하느님께서 몸소 그들 안에 또 그들을 통하여 활동하시어 3)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모든 것을, 또 원하시는 것만을 그들이 참 저자로서 기록하여 전달하도록 하셨다. 4)

 

그러므로 영감 받은 저자들, 또는 성경 저자들이 주장하는 모든 것은 성령께서 주장하신 것으로 여겨야 한다. 따라서 성경은 하느님께서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성경에 기록되기를 원하신 진리를 확고하고 성실하게 그르침이 없이 가르친다고 고백해야 한다. 5) 그러므로 “성경은 전부 하느님의 영감으로 쓰인 것으로, 가르치고 꾸짖고 바로잡고 의롭게 살도록 교육하는 데에 유익하다. 그리하여 하느님의 사람이 온갖 선행을 할 능력을 갖춘 유능한 사람이 되게 해 준다” (2티모 3,16`-17).

 

성경 해석

 

12.  하느님께서는 성경에서 인간을 통하여 인간의 방식으로 말씀하셨기에 6) 성경 해석자는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전달하고자 하신 것이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 성경 저자들이 정말로 뜻하고자 한 것이 무엇이며, 하느님께서 그들의 말을 통하여 나타내고자 하신 것이 무엇인지를 주의 깊게 연구해야 한다.

 

성경 저자들의 진술 의도를 알아 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것들 중에서‘문학 유형’들도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진리는 본문에서 역사적, 예언적, 시적 양식 또는 다른 화법 등 여러 양식으로 각각 다르게 제시되고 표현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경 해석자들은 성경 저자가 제한된 상황에서 그 시대와 문화의 여러 조건들에 따라 당시의 일반적인 문학 유형들을이용하여 표현하려 하였고 또 표현한 그 뜻을 연구해야 한다. 7) 성경 저자가 글로써 주장하고자 한 것을 옳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에 널리 쓰이던 그 지방 고유의 사고방식, 언어 방식, 설명방식 그리고 사람들이 상호 교류에서 관습적으로 사용하던 방식들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 8)


그러나 성령을 통해 쓰여진 성경은 성령의 도우심으로 읽고 해석해야 하기 때문에, 9) 성경 본문들의 뜻을 올바로 알아내기 위해서는 전체 교회의 살아 있는 전통과 신앙의 유비뿐만 아니라 그에 못지않게 성경 전체의 내용과 일체성을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 성경 해석자들의 임무는 이러한 규범에 따라 성경의 뜻을 더 깊이 이해하고 해석하도록 노력하는 데 있다. 그리하여 어떤 의미에서 준비의 역할을 하는 연구로써 교회의 판단은 성숙하게 된다. 성경 해석에 관한 이 모든 것은 결국 하느님의 말씀을 보존
하고 해석하라는 하느님의 명령과 그 직무를 수행하는 교회의 판단에 속한다. 10)

 

하느님 지혜의‘자기 낮춤’

 

13.  그러므로 성경에는 하느님의 진리와 거룩함이 늘 손상되지 않은 채, 영원한 지혜의 놀라운‘자기 낮춤’이 드러나 있다. “이는 우리가 하느님의 형언할 수 없는 인자하심과 그리고 하느님께서 우리 인간을 배려하고 보살피시면서 얼마나 당신의 말씀을 알맞게 사용하셨는지를 배워 익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11) 왜냐하면 마치 예전에 영원하신 아버지의 말씀이 연약한 인간의 육신을 취하여 인간들을 닮으셨듯이, 인간의 언어로 표현된 말씀들이 인간의 말과 같아졌기 때문이다.

 

-----
1. 제1차 바티칸 공의회, 「하느님의 아드님」, 제2장, Dz 1787(3006); 교황청 성서위원회, 교령, 1915.6.18., Dz 2180(3629); 『성경 총람』(EB), 420; 성무성성, 서한, 1923.12.22., EB 499 참조.
2. 비오 12세, 회칙「성령의 영감」(Divino Afflante Spiritu), 1943.9.30., AAS 35(1943), 314; EB 556 참조.
3. “사람 안에(in) 사람을 통하여(per)”: 히브 1,1과 4,7(in); 2사무 23,2; 마태1,22 등(per); 제1차 바티칸 공의회, 가톨릭 교리에 관한 의안, 주 9, 『공의회 자료집』(Coll. Lac.), VII, 522 참조.
4. 레오 13세, 회칙 Providentissimus Deus, 1893. 11.18., Dz 1952(3293); EB 125.
5. 성 아우구스티노, 「창세기 축자 해석」, 2,9,20, PL 34,270-271;  CSEL 28,1, 46-47과「서간집」, 82,3, PL 33,277; CSEL 34,2,354; 성 토마스 데 아퀴노, 「가톨릭 신앙의 진리」, q.12, a.2, C.; 트리엔트 공의회, 정경에 관한 결정, Dz 783(1501); Providentissimus Deus, EB 121.124.126-127; 「성령의 영감」, EB 539 참조.
6. 성 아우구스티노, 「신국론」, 17,6,2, PL 41,537; CSEL 40,2,228 참조.
7. 성 아우구스티노, 「그리스도교 교양」, 3,18,26, PL 34,75-76, CSEL 80,95 참조.
8. 「성령의 영감」, Dz 2294(3829-3830); EB 557-562 참조.
9. 베네딕토 15세, 회칙 Spiritus Paraclitus, 1920.9.15., EB 469; 성 예로니모, 「갈라티아서 주해」, 5,19-21, PL 26,417A 참조.
10. 제1차 바티칸 공의회, 「하느님의 아드님」, 제2장, Dz 1788(3007) 참조.
11.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창세기 강론」, 3,8, 강론 17,1, PG 53,134. “알맞은 말씀”이라는 표현은 그리스어로 συγκαταjβασιı.
-----
(이상, 발췌 끝)

 



1,713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