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4월17일(7월14일)[문헌.여성의존엄]복녀 카테리 테카크위타♬Alleluia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4-16 ㅣ No.1715

 

축일:4월17일(7월14일)

복녀 카테리 테카크위타

Blessed Kateri Tekakwitha

Beata Kateri (Caterina) Tekakwitha

(Catherine Tekakwitha; Lily of the Mohawks; Tegakouita; Tegakwitha)

Born:1656 at Osserneon (Auriesville), modern New York, USA

Died:17 April 1680 at Caughnawaga, Canada

Venerated:1943

Beatified:22 June 1980 by Pope John Paul II

Canonized:pending

 

 

이로꽈 인디언들에게 체포된 알곤퀸의 딸인 카테리 테카크위타는 오호크 인디언 추장과 결혼하였다.

그녀는 1676년에 예수회 선교사인 쟈끄 드 랑베르빌 신부에 의하여 크리스챤으로 개종하였으나,

그녀의 새로운 종교 때문에 부족과 친척들의 질시와 학대를 이기지 못하여 고향을 떠났다.

 

밀림지대를 거쳐 200마일의 거리를 헤맨 끝에 몬트리얼과 가까운 어느 크리스챤 인디언 마을에 당도하였다.

그녀는 1677년 성탄절에 첫 영성체를 하였고, 1679년에는 정결서원을 발하고 그리스도께 자신을 봉헌하였다.

그녀는 카나다의 코그나와가에서 선종하였는데, 그녀의 성덕이 뛰어나 만인의 공경을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그녀는 [모호크족의 백합화] ’Lily of the Mohawks’ 라고 불리며,

1980년에 교황 요한 바오로에 의하여 시복되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여성의 존엄 (Mulieris Dignitatem)

요한 바오로 2세. 1988년 8월 15일

마리아의 해에 즈음하여 발표한 여인의 존엄과 소명에 관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한

 

인류가 매우 심각한 변화를 겪고 있는 이 시기에

복음의 정신으로 무장된 여성들이 인간성의 상실을 막는 데에 대단한 공헌을 할 수 있다

 

 

부활의 첫 증인들

 

16. 그리스도의 선교 시작부터 여자들이 그분과 그분의 신비에 여성특유의 감수성을 보인다.

이 사실은 빠스카 신비, 곧 십자가와 부활 새벽에 있었던 사건에서 다시 명백하게 확인된다. 여자들이 제일 먼저 무덤에 도착한다.

그들은 무덤이 비어 있다는 사실을 누구보다도 먼저 발견한다.

그래서 그들은 "그분은 여기 계시지 않다. 전에 말씀하신 대로 다시 살아나셨다."(마태 28,6)는 소식을 접하는 첫 사람들이 된다.

그들은 예수님의 발을 붙잡는 첫 사람들이다.(마태 28,9 참조).

그들은 또한 첫 번째로 사도들에게 이 진실을 알려 줄 임무를 맡는다.(마태 28, 1-10, 루가 24, 8-11 참조).

요한복음(마르 16,9도 참조)은 막달라 여자 마리아의 특별한 역할을 강조한다.

그 여자는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난 첫 증인이다. 처음에 그 여인은 그분이 동산지기인 줄로 착각하였다.

"예수께서 ’마리아야!’하고 부르시자 마리아는 예수께 돌아서서 히브리어로 ’라뽀니’하고 불렀다(이 말은 ’선생님이여’라는 뜻이다).

예수께서는 마리아에게 ’내가 아직 아버지께로 올라가지 않았으니 나를 붙잡지 말고 어서 내 형제들을 찾아가라.

그리고 나는 내 아버지시며 너희의 아버지 곧 내 하느님이시며 너희의 하느님이신 분께 올라간다고 전하여라.’ 하고 일러주셨다.

막달라 여자 마리아는 제자들에게 가서 자기가 주님을 만나 뵌 일과 주님께서 자기에게 일러주신 말씀을 전하였다"(요한 20,16-18).

 

이리하여 막달라 여자 마리아는 "사도들 중의 사도"라는 칭호로 불려져 왔다.

그 여자는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첫 목격 증인이 되었고 이 때문에 사도들 앞에서 첫 증언도 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어떤 의미에서 전에 언급했던 대로 그리스도께서 남자들에게 신적 진리를 위탁했다는 사실을 웅변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이것은 예언자 요엘의 말씀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나는 내 영을 만민에게 부어 주리니, 너희의 아들과 딸은 예언을 하리라"(요엘 3,1).

예수 부활 후 오십 일째 되는 날에, 이 말씀은 예루살렘의 다락방에서 빠라끌리또 성령께서 내려오실 때 다시 한번 확인된다(사도 2,17 참조).

 

여자들에 대한 그리스도의 태도를 언급한 이 모든 말씀들은 성령 안에서 남녀 평등의 진리를 확인하고 선명하게 부각시킨다.

남자와 여자는 분명 둘 다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되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평등할 수 밖에 없다.

둘 다 성령 안에서 쏟아 부어지는 신적 진리와 사랑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남녀 모두가 그분의 구원적이고 성화적인 "방문"을 받는다.

이 성스러운 방문 앞에 남자나 여자로 태어났다는 사실이 아무런 제약을 주지는 못한다.

그것은 성 바오로의 말대로 인간 안에서의 성령의 구원적 활동이 유다인으로 태어났거나 그리스인으로 태어났거나,

자유인의 지위를 누리거나 노예 신분에 처해 있거나에 구애되지 않는 것과 똑같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여러분은 모두 한 몸을 이루었기 때문입니다"(갈라 3,28).

이 결합은 다양한 자원 안에서 일치를 가져오시는 성령께서 "너희 아들들이 예언을 하리라." 와

"너희 딸들이 예언을 하리라."는 사실에 똑같은 방법으로 기여하실 것이다.

 

"예언을 한다."는 말은 남녀 각개 인격체의 진정한 모습과 독창성을 보존하면서 인간의 말과 행동으로 "하느님께서 하신 큰일들"(사도 2,11)을 표현한다는 뜻이다.

"하느님께서 하신 큰일들"에 대한 복음적 평등성, 남자와 여자의 평등성은 나자렛 예수님의 말씀과 행동 안에서 매우 분명하게 드러났는데,

바로 이 평등성이 교회와 세상 안에서 여성들의 존엄과 소명을 위해 가장 확실한 기초를 제공한다.

모든 소명은 인격적이고 예언자적으로 심오한 의미를 지닌다. 이런 식으로 이해한 "소명"안에서 인격적으로 여성적인 요소가 새로운 차원에 도달한다,

"그것은 하느님께서 하신 큰일들"의 차원으로서 그 안에서 여성은 생동력 있는 주체가 되고 대체 될 수 없는 증인이 된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홈에서)

 

 

 

낯선 북소리
   
세상에서 자기만 한 발짝 떨어져 나온 것 같은 느낌을 가져 본 적이 있는가?
친구며 가족들과는 다른 길로 가고 있다고 느껴 본 적이 있는가?
수필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보조를 맞추지 못하는 이유는
아마도 그들과는 다른 북소리를 듣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하였다.

 

미국 독립 전쟁 전 모호크족의 족장과 알공킨족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카테리 테카크위타에게 들린 북소리는 부족의 전통과는 다른 리듬을 갖고 있었다.
모호크족의 전통에서는 여자가 결혼하지 않고 산다는 것은 거의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테카크위타는 그리스도인으로 개종하고
자신의 일생을 하느님께 완전히 봉헌함으로써 부족의 전통에서 완전히 벗어난 길을 걸었다.

그는 기도하고 자선을 베풀고 참회하는 데 많은 시간을 쏟았는데
이런 비전통적인 삶의 방식 때문에 가끔 위험에 빠지기도 하였다.


그는 “결혼하지 않았기 때문에 겪어야 할 가난은 두렵지 않다.
나는 약간의 양식과 걸칠 수 있는 옷 한 벌이면 충분하다.”라고 말했다.

카테리 테카크위타는 진정한 자유인이 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예상을 깨뜨려야 할 때도 있음을 보여 준다.

 

먼 곳에서 희미하게 낯선 북소리가 들려 오면 그쪽으로 발걸음을 옮겨 보라.
다른 사람이 내 진로를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나는 내가 원하는 사람이 되어 가는 중이다.

(까리따스수녀회홈에서) 

    

 

 

 

♬Alleluia

 

 

 

알렐루야

(히) hallelujah (영) Alleluia

 

어원적으로 히브리어 ’힐렐’(hillel, 찬미하다)이란 동사의 명령형 ’할렐루’(hallelu)와

하느님이란 말의 야훼 (jahve)의 약자 ’야’(jah)의 합성어 즉 야훼 하느님을 찬미하라는 뜻이다.

 

구약성서의 하느님을 찬미하는 시편의 시작과 마지막에 많이 인용되었고(시편 111-117),

유태인의 종교 의식에 있어 성가대의 합창에 신자들이 아멘과 알렐루야로 응답하였다.

알렐루야는 그리스도교의 전례로 넘어와 응답으로서, 환호로서 전례문에 삽입되었으며, 후렴으로도 사용되었다.

 

 

 

 

 

 

 

 

 

 

 

 

 

 

 

 

 

 

 

 

 

 

 

 

 

 

 

 

 

 

 

 

 

 

 

 

 

 

 

 

 

 

 

 

 

 

 

 

 

 

 

 

 

 

 

 

 

 

 

 

 

 

 

 

 

KATERI TEKAKWITHA

 

Also known as

Catherine Tekakwitha; Lily of the Mohawks; Tegakouita; Tegakwitha

Memorial

14 July

Profile

Daughter of a Christian Algonquin woman captured by Iroquois and married to a non-Christian Mohawk chief. Orphaned during a smallpox epidemic, which left her with a scarred face and impaired eyesight. Converted and baptized in 1676 by Father Jacques de Lamberville, a Jesuit missionary. Shunned and abused by relatives for her faith. Escaped through 200 miles of wilderness to the Christian Native American village of Sault-Sainte-Marie. Took a vow of chastity in 1679. Known for spirituality and austere lifestyle. Miracle worker. Her grave became a pilgrimage site and place of miracles for Christian Native Americans and French colonists. First Native American proposed for canonization, her cause was started in 1884 under Pope Leo XIII. The Tekakwitha Conference,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Native American Catholics and those in ministry with them, was named for her.

Born

1656 at Osserneon (Auriesville), modern New York, USA

Died

17 April 1680 at Caughnawaga, Canada

Venerated

1943

Beatified

22 June 1980 by Pope John Paul II

Canonized

pending; if you have information related to her cause, contact the Vice Postulator, Blessed Kateri Tekakwitha League, Auriesville, NY 12016, the people working for the canonization of Saint Kateri

Patronage

ecologists, ecology, environment, environmentalism, environmentalists, exiles, loss of parents, people in exile, people ridiculed for their piety, World Youth Day

 

 

 

 

 

 

 

 

Beata Kateri (Caterina) Tekakwitha

 

17 aprile

Osserneon (Auriesville), New York, 1656 - Caughnawaga, Canada, 17 aprile 1680

 

Kateri (Caterina) Takakwitha e la prima pellerossa d’America beata (1980). La sua breve vita (1656-1680) fu segnata dalla diversita. Era, infatti, figlia di una coppia mista: padre irochese pagano e madre algonchina cristiana. Poi venne sfigurata dal vaiolo. Battezzata ad Albany da missionari francesi, scappo in Canada per sfuggire alle ire dei parenti pagani. Qui visse nella preghiera. Santa giovane, e stata protagonista alla GMG di Toronto (2002). (Avv.)

 

Kateri e la prima beata pellerossa d’America a salire agli onori degli altari, primo fiore d’innocenza cristiana. Nacque presso Fort Orange, odierna Albany nel 1656 da genitori di due etnie diverse, il padre irochese pagano e la madre algonchina cristiana.

Nel 1660 scampo all’epidemia di vaiolo che pero le lascio il volto sfigurato e una grave menomazione alla vista, segni che le procurarono una vita sociale difficile fra la sua gente. Rimasta ben presto orfana fu presa con se da uno zio con l’incarico di aiutare la moglie nel governo della casa, il suo nome Tekakwitha le fu dato perche significa “colei che mette le cose in ordine”.

Negli Stati Uniti e ricordata il 14 luglio. Giunta in eta da marito respinse proposte di matrimonio, nel 1675 alcuni missionari cattolici francesi del Canada, giunsero nel suo villaggio, la loro conoscenza e la religione che professavano, l’affascinarono al punto che circa un anno dopo riceve nel giorno di Pasqua del 1676 il santo Battesimo, le fu imposto il nome di Kateri (Caterina).

Per sfuggire alle ire dello zio pagano dovette riparare nella Missione di s. Francesco Saverio a Sault presso Montreal, dove riceve la Santa Comunione e inizio una vita di preghiera e straordinaria pieta. Senza trascurare le funzioni religiose e gli obblighi verso la famiglia che l’ospitava, Kateri si isolava spesso nella foresta a pregare, recitava il santo Rosario al mattino nel grande freddo del Canada, girando intorno alla propria campagna coltivata a mais, completando le sue orazioni nella piccola cappella del villaggio.

Il 25 marzo 1679 fece voto di perpetua verginita, sottoponendosi a pesanti penitenze. Distrutta dalla malattia e dai patimenti, mori il 17 aprile 1680 a soli 24 anni; dopo la sua morte scomparvero dal viso i segni del vaiolo.

E’ stata beatificata il 22 giugno 1980 da papa Giovanni Paolo II.

Autore: Antonio Borrelli

 

 

 



800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