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성년광익(聖年廣益) 및 編者 미상의 성년광익 둘 다의 출처 한문본 문헌들에는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의 천주성교성인행실 이 포함된다

인쇄

. [121.190.18.*]

2018-08-25 ㅣ No.1949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49.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1. 들어가면서

 

1-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제시된 "성년광익(聖年廣益)"이라는 제목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에 대한 안내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9243 <----- 필독 권고

 

1-2. 바로 위의 주소에 안내된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 조선에 일찍부터 전달된 "성년광익(聖年廣益)"이라는 제목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은 두 종류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20년 10월 13일]

-----

(*)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는 編者 미상의 한문본 "聖年廣益"이, 아무리 빠르더라도, 중국 본토에서 1856년 이전에 출판될 수 없었음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졸글/논문[제목: 편자 미상인 개정판 한문본 성년광익 의 출판년도는 예수 성심 대축일이 가톨릭 교회의 보편 교회 전례력에 도입된 해인 1856년 직후이다; 게시일자: 2020-06-19]]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67.htm <----- 필독 권고

-----

[이상, 2020년 10월 13일자 내용 추가 끝]

 

(이 글의 결론 1) 이번 글에서는, 編者 미상의 한문본 "聖年廣益" 본문이 중국에서 편집될 당시에,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1566-1640년)에 의하여 한문으로 번역되어 1629년에 초간된 "천주성교성인행실"의 거의 대부분을, (i) 그대로 포함시키거나 혹은 (ii) 더욱 더 요약하고 또 일부 내용을 수정/편집하여, 포함시켰음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도록 하겠습니다.

 

1-3. 바로 위의 제1-2항에서 말씀드린 바를 교회사 연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도록 하고자, 바로 이어지는 제2항 사료 분석 I에서,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에 의하여 한문으로 번역되어 1629년에 초간된 "천주성교성인행실"의 74개의 성인전의 항들 중의 대부분이 編者 미상의 한문본 "聖年廣益" 본문의 연중 어느 날짜에 소개된 성인전에 해당하는지를, 실증적으로(positively) 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결과,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을 읽고 이해하는 분이라면 누구든지, 이들 두 성인전들의 본문들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바로 아래의 제2항에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생성된 기초 분석 자료들에 근거하여, 위의 제1-2항에서 필자가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말씀드린 바를, 그리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게시자 주 1-3: (1) 천상 교회에 계신 분들 중에서 지상의 우리들의 삶에 모범이 되는 분들이 가톨릭 교회의 교도권에 의하여 선정되어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 안에서 경축되는데, 이분들의 삶에 대한 기록들이 담긴 성인전을 읽는 것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영원한 구원(eternal salvation), 천상영복 쪽으로 향하고자 지상에서 순례 중인 우리들이 살아있는 동안에 행하여야 하는 좋은 행실들을 손쉽게 모방할 수 있게 하므로, 그리스도교 신앙적으로 상당히 유익하다 아니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編者 미상의 한문본 "聖年廣益"도 우리말로 번역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2) (이 글의 결론 2) 이승훈에게 천주교 교리를 가르친 후에 북경에 파견하였던 이벽 등의 우리나라 조선의 신앙의 선조 제1세대들이 1784년에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을 때에 선택하였던 세례명들은 바로 이 "성년광익"이라는 한 해를 주기로 하여 서술된 성인전을 읽고서 선정하였을 것임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3) 아래의 제2항 사료 분석 I에서 도출된 바들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2017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 기간 동안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따라서 그 저작권(著作權, Copyright)이 필자에게 있는, Data Mining 기법을 적용한, "AI 기반, 한시(漢詩) 표준 해석법 [A Standard Method of Interpretation of Chinese Poems(漢詩),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 에서 사용하고 있는, 필자가 지난 20여년의 세월 동안에 사용해온 Data 분석 기법들 중의 일부를 또한 사용한 결과입니다.

 

그리고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에 대하여 이 해석법을 사용하여 필자가 도출한 결과들에 어떠한 졸글들이 포함되는지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http://bbs.catholic.or.kr/home/bbs_list.asp?menu=question_and_answer&PSIZE=100&searchkey=C&searchtext=Data+Mining 

(이상, 게시자 주 1-3 끝)

 

2. 사료 분석 I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66-1640_알퐁소_바뇨니/1629_천주성교성인행실.htm <----- 연구자들의 필독 권고

 

2-1. 천주성교성인행실 권1: 14위 종도성인들

백다록종도행실 [성 베드로 사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6월 29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6월 29일은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로 경축됨] 

안덕륵종도행실 [성 안드레아 사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1월 30일]

약망종도행실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2월 27일]

장아가백종도행실 [성 야고보 사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7월 25일; 성 요한 사도의 형인 큰 야고보를 말함]

비리백종도행실 [성 필립보 사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성 야고보 사도와 함께 축일은 5월 1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5월 3일로 이동됨]

차아가백종도행실 [성 야고보 사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성 필립보 사도와 함께 축일은 5월 1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5월 3일로 이동됨; 주님의 형제로 불리는 작은 야고보를 말함]

다묵종도행실 [성 토마스 사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2월 21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7월 3일로 이동됨]

파이다록무종도행실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8월 24일]

마두종도행실 [성 마태오 사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9월 21일] 

서만달도2위종도행실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0월 28일]

마제아종도행실 [성 마티아 사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2월 24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5월 14일로 이동됨]

보록종도행실 [성 바오로 사도(사도행전 14,4; 14,14);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6월 30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6월 29일은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대축일로 경축됨; 12사도들 중의 한 명은 아님]

파아납백종도행실 [성 바르바나 사도(사도행전 14,4; 14,14);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6월 11일; 12사도들 중의 한 명은 아님]

 

2-2. 천주성교성인행실 권2: 12위 사교성인들

액아략성인행실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the great, 540-604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3월 12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9월 3일로 이동됨]

앙박라삭성인행실 [성 암브로시오(St. Ambrose, 339-397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2월 7일]

오오사정성인행실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8월 28일]

열락니마성인행실 [성 예로니모(St. Jerome, 347-419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9월 30일]

마이청성인행실 [투르의 성 마르티노(St. Martin of Tours, 316-397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1월 11일]

니각노성인행실 [성 니콜라스(St. Nicholas of Myra, 270-341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2월 6일]

보리낙성인행실 [성 파울리노(St. Paulinus, 351-431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6월 22일]

제아니휼성인행실 [성 디오니시오(St. Dionysius, Denis of Paris, +258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0월 9일]

아대납소성인행실 [성 아타나시오(St. Athanasio, 257-373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5월 2일] 

파서략성인행실 [성 바실리오(대)(St. Basilio the great, 329-379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6월 14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1월 2일로 이동됨]

액륵아략납서앙성인행실 [나지안주스의 성 그레고리오 (St. Gregory of Nazianzus, 329-390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5월 9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1월 2일로 이동됨]

액륵아략도마도성인행실 [타우마투르고의 성 그레고리오 (St. Gregory of Taumaturgus, 213-270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1월 17일]

 

2-3. 천주성교성인행실 권3: 12위 치명성인들

약한보제사대성인행실 [성 요한 세례자(St. John the baptist, +29년경);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탄생 대축일은 6월 24일이고 수난 기념일은 8월 29일]

사덕망성인행실 [성 스테파노(St. Stephen);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유해 발견 축일은 8월 3일이고 수난 축일은 12월 26일; 성 스테파노의 유해 발견 축일은 1955년에 공식 전례에서 제외됨]

로릉좌성인행실 [성 라우렌시오(St. Lawrence, +258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8월 10일]

미증득성인행실 [사라고사의 성 빈센치오(St. Vincentio of Saragossa, +304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월 22일]

격륵맹덕성인행실 [성 클레멘스 1세 교황 (St. Clement, Pope, 30-101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1월 23일]

파사제앙성인행실 [성 세바스티아노 (St. Sebastian, +288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월 20일]

백다록성인행실 [성 베드로 (St. Peter, 1206-1252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4월 29일] 

아파리납성인행실 [성 아폴로리나리스 (St. Apollinaris, +1/2세기);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7월 23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7월 20일로 이동됨]

구대각성인행실 [성 에우스타키오 (St. Eustachius, +118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9월 20일]

사대니노성인행실 [성 스타니슬라오 (St. Stanislaus, 1030-1070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5월 7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9월 11일로 이동됨]

방대량성인행실 [성 판탈레온 (St. Pantaleon, +305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7월 27일]

발사정약미대성인행실 [성 파우스티노와 성 요비타 (St. Faustinus and St. Jovita, +120년); 형제이며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2월 15일]

 

2-4. 천주성교성인행실 권4: 6위 현수성인들

다명아성인행실 [성 도미니코 (St. Dominic, 1170-1221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8월 4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8월 8일로 이동됨]

방제각[방지거]성인행실 [아사시의 성 프란치스코 (St. Franciscus of Assasi, 1181-1226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0월 4일]

독마사성인행실 [성 토마스 아퀴나스 (St. Thomas Aquinas, 1225-1274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3월 7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1월 28일로 이동됨]

암다니아성인행실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St. Anthony of Padova, 1195-1231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6월 13일]

의납작성인행실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St. Ignatius of Loyola, 1491-1556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7월 31일; 예수회 창설자]

방제각사물략성인행실 [성 프란치스코 사베리오 (St. Frenciscus Xavier, 1506-1552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2월 3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1월 31일로 이동됨; 예수회 창설자들 중의 한 명]

 

2-5. 천주성교성인행실 권5: 6위 은수성인들

보록은성인지수행실  [테베의 성 바오로 (St. Paul of Thebae, 230-342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월 15일; 최초의 그리스도교 은수자]

안당성인행실 [성 안토니오 (St. Anthony the Abbot, 252-356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월 17일]

희랄연성인행실 [푸아티에의 성 힐라리오 (St. Hilary of Poitiers, 310-368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0월 21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1월 13일로 이동됨]

본독성인행실 [누르시아의 성 베네딕토 (St. Benedict of Nursia, 480-547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3월 21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7월 11일로 이동됨]

백이납독성인행실 [성 베르나르도 (St. Bernard, 1090-1153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8월 20일] 

아륵숙성인행실 [성 알렉시오 (St. Alexis, +417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7월 17일]

 

2-6. 천주성교성인행실 권6: 12위 동신성녀들

가대리납성녀행실 [성녀 카타리나 (St. Catherine of Alexandria, +310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1월 25일] 

아가대성녀행실 [성녀 아가타 (St. Agatha, +251년); 초판본 성년광익에서 축일은 2월 7일이고 그리고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2월 5일] 

로제아성녀행실 [성녀 루치아 (St. Lucy, +314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2월 13일]

칙제리아성녀행실 [성녀 체칠리아 (St. Cecilia, +230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1월 22일]

의닉사성녀행실 [성녀 아녜스 (St. Agnes of Rome, +304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월 21일]

기리사제납성녀행실 [성녀 크리스티나 (St. Christina, +300년경);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7월 24일]

가랄성녀행실 [아시시의 성녀 클라라 (St. Clare of Assisi, 1194-1253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8월 12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8월 11일로 이동됨]

가대리납슬납성녀행실 [시에나의 성녀 카타리나 (St. Catherine of Siena, 1347-1380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4월 30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4월 29 이동됨]

파아발랍성녀행실 [성녀 바르바라 (St. Barbara, +306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 수록되지 않은 것 같음; 초판본 성년광익에서 축일은 12월 4일이고 그리고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도 축일은 12월 4일임]

마아대성녀행실 [성녀 마르타 (St. Martha);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7월 29일]

독라덕아성녀행실 [성녀 도로테아 (St. Dorothea, +303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2월 6일]

덕격랄성녀행실 [성녀 테클라 (St. Thecla, +100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는 9월 23일이고 그리고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도 축일은 9월 23일임; 사도 바오로의 제자이며 첫 여성 순교자로 알려져 있음. cf. Acta Pauli et Theclae: https://www.pbs.org/wgbh/pages/frontline/shows/religion/maps/primary/thecla.html]

 

2-7. 천주성교성인행실 권 7: 12위 수절성부행실

복례제대성부행실 [성부 펠리치나 (St. Felicity, ); 초판본 성년광익에서 축일은 7월 10일이고 그리고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도 축일은 7월 10일임;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7월 23일로 이동됨; 일곱 아들들로 알려진 분들의 축일은 여전히 7월 10일임]

피리일대성부행실 [성부 비르치타 (St. Birgitta of Sweden, 1303-1373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0워 8일]

의살백이성후행실 [성후 엘리사벳 (St. Elizabeth of Hungary, 1207-1231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1월 19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11월 17일로 이동됨]

액도미일성후행실 [성후 헤드비지스 (St. Hedwig, 1147-1243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0월 17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10월 16일로 이동됨]

묵랍니아성부행실 [성부 멜라니아 (St. Melania, 383-439년); 초판본 성년광익에서 축일은 1월 1일이고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월 4일임;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12월 31일로 이동됨]

보랄성부행실 [성부 바울라 (St. Paula, 347-404년); 초판본 성년광익에서 축일은 1월 26일이고 그리고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1월 28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1월 26일로 이동됨]

파서리살성부행실 [성부 바실리사 (St. Basilissa, +304년); 초판본 성년광익에서 축일은 1월 9일이고 그리고 성년광익 춘,하,추,동에 수록되지 않은 것 같음;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축일은 1월 9일임]

고니공덕성후행실 [성후 쿠네군다 (St. Cunegundes, 1234-1292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3월 3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7월 24일로 이동됨]

방제사가성부행실 [성부 프란치스카 (St. Frances, 1384-1440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3월 9일]

마리아마대륵납성부행실 [성부 마리아 막달레나 (St. Mary Magdalen, +1세기경);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7월 22일; 예수님의 제자]

가대리납성부행실 [성부 카타리나 (St. Catherine of Sweden, 1331-1381년); 성년광익 춘,하,추,동에서 축일은 3월 22일; 아무리 늦더라도 1969년에 개정된 전례력에서 3월 24일로 이동됨; 천주성교성인행실, 권7, 제47a쪽에 선종연도가 1081년으로 잘못 기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그러나 이분이 권7의 두 번째 성부 비르치타의 딸임을 밝히고 있는 각주 때문에, 명백하게 식자공의 오류라는 생각임]

마이칙랍성부행실 [성부 마르첼라 (St. Marcella of Rome, 325-411년); 초판본 성년광익에서 축일은 1월 31이며 그리고 성년광익 춘,하,추,동에 수록되지 않은 것 같음]

 

[내용 추가 일자: 2018년 10월 4일] 

3.

3-1.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지금까지 국내에서 編者 미상이라고 알려진, 심지어 저자 미상이라고 알려진, "聖年廣益"도 또한 메야/마이야(Mailla) 신부님(1669-1748년)의 저술임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졸글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53.htm <----- 필독 권고

[제목: 이승훈에게 한문 서신을 보낸 현천(유항검?)이 이미 학습하였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 중에는 성교절요 뿐만이 아니라 성경광익 및 성년광익 이 포함된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54.htm <----- 필독 권고

[제목: 지금까지 국내에서 編者(편자, editor) 미상이라고 추정되어 온 성년광익(聖年廣益) 의 저자(著者, author)도 또한 메야/마이야(Mailla) 신부님이다 [번역오류]]

 

3-2. 바로 위의 제3-1항에서 보고드린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기에, 더 나아가, 그 저작권자가 메야/마이야(Mailla) 신부님(1669-1748년)라고 명기된 "聖年廣益"을 입수하여 위의 제2항에서 이미 수행한 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의 결론들을 도출 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 글의 결론 3) 그 저작권자가 메야/마이야(Mailla) 신부님(1669-1748년)라고 명기된 "聖年廣益"(성년광익)은,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1566-1640년)에 의하여 한문으로 번역되어 1629년에 초간된 "천주성교성인행실"의 성인전들 거의 대부분을, (i) 심지어 동일한 번역 용어들과 동일한 자구/어구들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그대로 포함하거나, 혹은 (ii) 더 요약하는 과정에서 일부 내용을 수정/편집하여 포함하고 있으며, 심지어 (iii) 지역명들과 인명들을 나타내는 음역 용어들 거의 대부분이 "천주성교성인행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명칭들과 동일함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이 글의 결론 4) 지금까지 국내에서 編者 미상이라고 알려진, 심지어 저자 미상이라고 알려진, 개정판 "聖年廣益"(성년광익)은, 그 저작권자가 메야/마이야(Mailla) 신부님(1669-1748년)라고 명기된, 1738년에 초간된, "聖年廣益"에 기 포함된 "천주성교성인행실"의 성인전들의 요약본들을, (i) 심지어 동일한 번역 용어들과 동일한 자구/어구들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그대로 포함하거나, 혹은 (ii) 약간 더 요약하고 또 일부 내용을 수정/편집하여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그러나 (iii) 지역명들과 인명들을 나타내는 음역 용어들 중의 일부는 "천주성교성인행실" 및 그 저작권자가 메야/마이야(Mailla) 신부님(1669-1748년)라고 명기된 "聖年廣益"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에서 사용된 낱글자들 중의 일부가, 거의 동일한 음가를 가지는, 다른 낱글자들로 교체되었음[예를 들어, "여덕아"(Judea)"여달"로 교체됨]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 합니다. 

 

3-3. 따라서, 본글에서 지금까지 고찰한 바로부터 우리는 다음의 결론들을 또한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 글의 결론 5) 지금까지 국내에서 編者 미상이라고 알려진, 심지어 저자 미상이라고 알려진, 개정판 "聖年廣益"(성년광익)이, 그 저작권자가 메야/마이야(Mailla) 신부님(1669-1748년)라고 명기된, 1738년에 초간된, "聖年廣益"에 기 포함된 "천주성교성인행실"의 성인전들의 요약본들을, (i) 심지어 동일한 번역 용어들과 동일한 자구/어구들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그대로 포함하거나, 혹은 (ii) 약간 더 요약하고 또 일부 내용을 수정/편집하여 포함하고 있음으로부터, (iii) 그리고 또한, 예를 들어, 그 저작권자가 메야/마이야(Mailla) 신부님(1669-1748년)라고 명기된, 1738년에 초간된, "聖年廣益"에 기 포함된 8월5일"건성모설지전"을, 단지 몇 개의 낱글자들의 교체와 함께, 100% 있는 그대로 복사(複寫)하였음으로부터, 지금까지 국내에서 編者 미상이라고 알려진, 심지어 저자 미상이라고 알려진, 개정판 "聖年廣益"(성년광익)의 저작자가 또한 메야/마이야(Mailla) 신부님(1669-1748년)임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1566-1640년)이, 상당히 지긋한 나이인 38세에 조차지인 마카오(오문)에 처음 도착하여 그때부터 74세에 선종할 때까지, 한문으로 저술한 책들이 총 18 종류임을 또한 고려할 때에, 또한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 글의 결론 6) 만약에 그 저작권자가 메야/마이야(Mailla) 신부님(1669-1748년)라고 명기된, 1738년에 초간된, "聖年廣益"(성년광익)이 한문의 구어체/백화체 문체 형성에 기여를 하였다고 한다면, 이 책에 그 대부분의 성인전들이 포함된,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1566-1640년)에 의하여 한문으로 번역되어 1629년에 초간된 "천주성교성인행실"이 또한 한문의 구어체/백화체 문체 형성에 [실증적으로(positively) "성년광익"개정판 "성년광익"을 경유하여] 기여를 하였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게시자 주 3-3: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1566-1640년)에 의하여 한문으로 번역되어 1629년에 초간된 "천주성교성인행실"이 우리나라 조선에 전래되었는지에 대하여서는, 문헌상의 실증적인 증거(positively evidence)를 아직까지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

 

3-4. 다른 한편으로, 중국에 선교사로 퍄견된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 모두가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의 저술 작업에 참여하였다기 보다는, "천주성교일과"와 "수진일과" 등의 기도서들을 제외하고,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의 독자적 저술 작업을 하셨던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은, "한문 문화권"을 대상으로 하는 선교/전교(mission)/복음화(evangelization)의 마지막 단계로서 필수적인 토착화(inculturation)를 위하여, 중국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후배 신부님에게 한문과 신학을 교육시켰던, 당시에 마카오(오문)에 있었던 성 바오로 대학(College of St. Paul)에서 중국 예수회의 장상에 의하여 교수 신부들로 선정/지명된, 예수회 소속의 일부 선배 신부님들이셨음에 대한 필자의 졸글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18.htm <----- 필독 권고

[제목: 1618-1623년 사이에 마카오에서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으로부터 철학, 신학, 한문을 배웠을 신부님들, 게시일자: 2018년 4월 27일]

 

(이 글의 결론 7) 유구한 교회의 역사 안에서 형성된 천주교회의 고유한 문화 유산인 성인전들을 중국어로 번역하여 "한문 문화권" 내에 제공함에 있어, "한문 문화권"선교/전교(mission)/복음화(evangelization)의 마지막 단계로서 필수적인 토착화(inculturation)와 관련하여, 일찌기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1566-1640년)께서 "천주성교성인행실"의 저술에서 제시된 "구어체 문체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을 통한 문서 선교 방식"에 적극적으로 동참한 분이 또한 드 메야/마이야 신부님(1669-1748년)이셨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이상, 2018년 10월 4일자 내용 추가 끝]

 

작성 중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70-12-21_성_토마스_사도_축일_in_Trident_Liturgical_Calendar.htm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110시간

 



1,160 3

추천

게에고리오,에오랴오,액아략,額我略,Gregorius,그레고리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