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교황 프란치스코 -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 의 성경적 근거 - 1역대 29,14 [교리용어_은총] [_관상기도] [성경용어_은총]

인쇄

[218.55.90.*]

2013-07-29 ㅣ No.1424


질문:

성경 구절 찾아주실래요.,???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 

성경 구절 몇장 몇절인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ㅜㅜ;;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질문에 대한 간략한 답변: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


<----- 이곳 굿뉴스 서버 제공의 성경 본문에 대한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열심히 검색을 해 보았으나, 정확하게 이러한 표현은 성경 본문 중에 없는 것 같습니다. 
(이상, 질문에 대한 간략한 답변 끝).

     지금부터는, 위의 간략한 답변에 이어지는 답변입니다. 관상 기도(contemplative prayer)와 관련이 있기에 추가로 말씀드립니다:

1. 들어가면서
사실, 모든 것들이 하느님께서 창조하시고, 베푸시고 또 허락하시는 것들이기에, 하느님의 은총이 아닌 것이 없다는 생각입니다.

     그런데, 성경의 본문 중에는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 라는 정확한 표현이 없으므로, 그 다음 순서로, 성경에 기록되지 않은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들 [여기에는, 성전(Sacred Tradition) 과 교도권이 포함됨] 중에 그러한 구체적인 언급이 있는지를 이 글에서 함께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2.
2-1.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712항 전문입니다.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에 대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의 근거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_P9M.HTM


(발췌 시작)
2712 Contemplative prayer is the prayer of the child of God, of the forgiven sinner who agrees to welcome the love by which he is loved and who wants to respond to it by loving even more. But he knows that the love he is returning is poured out by the Spirit in his heart, for everything is grace from God. Contemplative prayer is the poor and humble surrender to the loving will of the Father in ever deeper union with his beloved Son.

2712 관상 기도(contemplative prayer)는 하느님의 아이의, 즉 그것에 의하여 자신이 사랑받게 되는 바로 그 [즉, 하느님의] 사랑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것에 동의한 자인 그리고 심지어 더 사랑함으로써 이 사랑에 응답하는 것을 원하는 자인 용서받은 죄인의, 기도입니다. 그러나 그는, 모든 것이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은총(everything is grace from God)이기에, 자신이 되돌려드리고 있는 사랑이 자신의 심장(heart) 안에 계시는 성령에 의하여 밖으로 쏟아져 나옴을 압니다. 관상 기도는, 당신의 사랑받는 아드님과 참으로 더 깊은 결합 안에서, 성부의 이 자애로운 의지(the loving will)에 대한 가난한(poor) 그리고 겸손한(humble) 항복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그런데,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712항"모든 것이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은총이다"라는 위의 언급에는, 그 출처를 밝히는 주석이 주어져 있지 않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초판이 1992년 10월 11에 공포되었음에 주목하십시오.

2-2. 다음은 1992년 12월 9일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 [제목: Peter Is Charged with Feeding the Sheep(베드로는 양을 돌보는 책임을 맡게 됩니다]인데, 본문 중에서 "all is grace(모든 것은 은총입니다)"라는 언급을 하고 계십니다

게시자 주: 그런데, 이 강론 말씀의 전후 문맥 안에서, 제시된 성경의 근거 구절은 아직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Obviously the task of shepherd requires a special love for Christ. However, it is he, it is God who gives everything, including the ability to respond to one's vocation, to fulfill one's own mission. Indeed, we must say "all is grace," especially at that level!
(이상, 발췌 끝)

2-4. 다음은 2001년 4월 2일 성 목요일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교서 [제목: To Priests(사제들에게]인데, 본문 중에서 "all is grace(모든 것은 은총입니다)"라는 언급을 하고 계십니다.

게시자 주: 그런데, 이 강론 말씀의 전후 문맥 안에서, 제시된 성경의 근거 구절은 아직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10. Dear priests, the witness of Peter and Paul contains valuable pointers for us. Their lives invite us to live the gift of the ministry with a sense of endless thanksgiving: nothing is due to our merits, all is grace! The experience of the two Apostles prompts us to abandon ourselves to the mercy of God, to give over to him in sincere repentance our frailties, and with his grace to set out again on our journey to holiness. In Novo Millennio Ineunte I indicated the commitment to holiness as the first element of all wise pastoral "planning". It is the basic task of all believers, so how much more must it be for us (cf. Nos. 30-31)!
(이상, 발췌 끝).

2-4. 다음은 2001년 6월 6일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인데, 본문 중에서 "all is grace(모든 것은 은총입니다)"라는 언급을 하고 계십니다.

게시자 주: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위의 제2-2항에서의 일반 알현 강론 말씀 이후, 거의 8년 6개월 이후에, 드디어,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all is grace)"의 성경의 근거 구절이 1역대기 29,14임을 교황님께서 친히 구체적으로 찾아, 충분한 설명과 함께, 또다른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에서 가르쳐 주고 계십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2. Such is the context in which the canticle is born. It does not dwell, except briefly, on human satisfaction but centres attention immediately on the glory of God: "Yours, O Lord, is the greatness ... yours is the kingdom ...". The great temptation that is always lurking, when one accomplishes works for the Lord, is that of putting oneself at the centre as if God were indebted to us. David, instead, attributes everything to the Lord. It is not the human being with his intelligence and strength who is the first architect of all that is done, but God himself

In this way, David expresses the profound truth that all is grace.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다윗(David)은 모든 것은 은총이다라는 깊은 진리를 표현합니다.] In a certain sense, all that has been put aside for the temple, is only the restitution, in a very meagre way at that, of all that Israel received in the invaluable gift of the covenant established by God with their Fathers. In the same way David credits the Lord with everything that constituted his fortune, in the military, the political and the economic field. All comes from him.

3. Herein lies the contemplative thrust of these verses. It seems that the author of the Canticle does not have enough words to confess the greatness and power of God. He considers him as "our father", first of all, in his special paternity shown to Israel. This is the first title which elicits our praise "now and forever"

In the Christian use of the prayer we cannot forget that God's fatherhood is fully revealed in the Incarnation of the Son of God. It is he, and only he, who can speak to God calling him properly and affectionately, "Abba" (Mk 14,36).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gift of the Spirit, we share in his sonship, and become "sons in the Son". God the Father's blessing of ancient Israel takes on for us the greater intensity that Jesus showed to us teaching us to call God "our Father".

4. The view of the biblical author extends from the history of salvation to the whole cosmos in order to contemplate the greatness of God the Creator: "All in heaven and on earth is yours". And again, "Yours is the sovereignty; you are exalted as head over all". As in Psalm 8, the one who prays the Canticle lifts his head towards the immense expanse of the heavens, then he looks in wonder at the immensity of the earth, and sees everything under the dominion of the Creator. How can he express the glory of God? The words pile up, in a kind of mystical pursuit: greatness, power, glory, majesty and splendour; and then even force and power. All that man experiences as beautiful and great must be referred to him who is at the origin of everything and governs them. [사람이 아름다운 것으로서 그리고 위대한 것으로서 경험하는 것 모두는 모든 것의 기원에 계시는 분이시며 그리고 그들을 통치하는 분이신 그분께 돌려져야 합니다.] The human creature knows that everything he possesses is the gift of God, as David emphasizes further on in the Canticle: [인간 피조물은, 다윗이 다음의 찬가에서 한층 더 강조하듯이, 자신이 소유한 모든 것이 하느님의 선물임을 압니다:] "Who am I and what is my people, that we should be able thus to offer you this willingly? For all things come from you, and of your own have we given you" (I Chr 29,14).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다음은, "새 번역 성경"의 1역대기 29,14 두 번째 문장입니다:

(발췌 시작)
"모든 것은 당신에게서 오기에, 저희가 당신 손에서 받아 당신께 바쳤을 따름입니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그리고 다음은 1역대기 29,10-20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다윗이 바친 이 감사와 찬미의 이 기도는(10-20) 다윗 시대보다 역대기 저자 시대의 생각을 더 많이 표현한다. 그러나 다윗은 유배 이후 시대의 유다교에서도 신앙의 모범으로 제시된다.
(이상, 발췌 끝).

2-5. 다음은 2001년 7월 20일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강론 말씀인데, 본문 중에서 "all is grace(모든 것은 은총입니다)"라는 언급을 또다시 하고 계십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All is grace! And so in a special way is the life of the Priest, minister of divine grace and for this reason called to "live the gift of the ministry with a sense of endless thanksgiving" (Letter to Priests, Holy Thursday 2001, n. 10).
(이상, 발췌 끝)

2-6. 다음은 2007년 10월 14일 주일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Angelus 인데, 본문 중에서 "everything is grace(모든 것은 은총입니다)"라는 언급을 하고 계십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Faith thus entails the opening of the person to the Lord's grace; it means recognizing that everything is a gift, everything is grace. What a treasure is hidden in two small words: "thank you"!
(이상, 발췌 끝).

2-7. 다음은, 2013년 7월 5일자, 교황청 신앙 교리성 장관이신 Gerhard L. Müller 대 주교님의 문헌 [제목: PRESENTATION OF THE ENCYCLICAL LETTER OF POPE FRANCIS LUMEN FIDEI(교황 프란치스코의 회칙, 신앙의 빛의 제시]의 첫 단락 전문입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In the meditations that he offers us by way of his daily homilies, Pope Francis often reminds us that “all is grace.” This affirmation, which in the face of all the complexities and contradictions of life might seem naïve or abstract, is in fact an invitation to recognise the ultimate goodness of reality.

교황 프란치스코께서는, 당신께서 우리에게 당신의 매일 강론들을 거쳐서 제공하시는 묵상(meditations)들에서,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all is grace)"를 우리에게 자주 상기시키십니다. 바로 이 확언은, 삶에 있어서의 모든 복잡한 것들과 모순들에 직면하여 소박하거나(naive) 혹은 추상적인(abstract) 것처럼 생각될 수도 있습니다만, 사실은 실재(reality)의 궁극적 선함(the untimate goodness)을 알아차림으로의 어떤 초대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위의 제2-7항에서 언급되고 있는 교황 프란치스코2013년 6월 29일자 첫 번째 회칙 교서(Encyclical Letter), "신앙의 빛(Lumen Fidei)" 영문본 전문은 다음에 있습니다. 아직 우리말 번역본은 마련되지 않은 것 같으며, 다른 교황님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황좌 착좌 이후의 첫 번째 회칙이므로,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사목 방침 전반을 밝히고 있다는 생각이며, 따라서 모두들 커다란 존경과 함께 경청관 순명의 자세로 읽고 깊이 묵상하여야 할 것입니다: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이상, 게시자 주 끝).

     이상,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 라는 표현의 성경 본문의 근거가 1역대기 29,14이고 그리고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근거가 가틀릭 교회 교리서 2712항임을 확인하였습니다.

게시자 주: 사실 이 절이, "다윗이 주님을 찬미하다"는 소제목이 붙은 1역대기 29,10-20에 포함되므로,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 라는 표현의 성경 본문의 근거가 1역대기 29,10-20 이라고 하여도 무방하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1역대기 29는 특정한 주일 혹은 주간 미사 중의 말씀 전례에서 제1독서로 발췌되고 있지 않음을 또한 참고하십시오.
(이상, 게시자 주 끝).

3.
3-1.
질문 2: 그런데, 위의 제2-4항에서처럼,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all is grace)"에 대한 근거 성경 구절을 찾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을까요? 단순한 우연이었을까요?

질문 2에 대한 답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즉, 다음의 정보를 참고하면,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성무일도(시간경) 제1주간 월요일 아침기도에서 1역대기 29,10-13이 찬가의 일부로 발췌되기 때문에 (여기를 클릭하면 이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설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마련해 주셨던 것으로 생각합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psalter/
jp2_b16_commentaries.htm
  <----- 클릭한 후에 살펴 보십시오.
[시간경(성무일도) 중에서 아침기도와 저녁기도의 시편들 및 찬가들에 대한 요한 바오로 2세와 베네딕토 16세의 주석들]

교황 직무 말기임에도 불구하고 이런 좋은 해설을 시작하셨고 그리하여 마련해 주신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과, 곧바로 마무리를 해 주신 베네딕토 16세 교황님께 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관심 있는 분들께서는 위의 파란색 주소를 클릭한 후에 직접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이상, 질문 3에 대한 답변 끝).

3-2. 질문 3: 그렇다면, 어느 분이 "모든 것은 은총입니다(all is grace)" 를 처음으로 말씀한 것인지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이십니까? 

질문 3에 대한 답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찾아 본 바에 의하면,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of Hippo, 354-430년)입니다.

다음은 마태오 복음서 11,25에 대한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의 해설 [제목: Sermon 17 on the New Testament] 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fathers/160317.htm

(발췌 시작)

7. Give heed then to the Lord confessing; "I confess to You, O Father, Lord of heaven and earth." I confess to You, that is, I praise You. I praise You, not I accuse myself. Now as far as the taking of very man is concerned, all is grace, singular and perfect grace. [이제 바로 그 사람을 취하심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은 은총이며, 유일한 그리고 완미한 은총입니다.] What merit had that man who is Christ, if you take away the grace, even that so pre-eminent grace, whereby it behooved that there should be One Christ, and that He whom we acknowledge should be He? Take away this grace, and what is Christ but a mere man? [만약에 당신께서 이 은총을, 심지어, 그것에 의하여 한 분의 그리스도만이 계셔야만 하고, 그리고 우리가 그분이시라고 인정하는 분이 그분이셔야 함이 마땅하였던, 바로 그 대단히 뛰어난 은총을 제거하신다면, 그리스도이시라는 바로 그 사람이 무슨 공로를 가졌을 것입니까?] What but the same as you are yourself? [당신과 동일함을 제외하고(but) 무엇이 당신 자신이십니까?] He took a Soul, He took a Body, He took a perfect Man; He unites him to Himself, the Lord makes one Person with the servant. [그분께서는 한 영혼(a Soul)을 취하셨고, 그분께서는 한 몸(a Body)을 취하셨으며, 그분께서는 한 완미한 사람(a perfect Man)을 취하셨는데, 그리하여 그분께서는 그를 그분 자신께 결합시키시며, 주님께서는 이 종과 함께 한 분의 위격(one Person)을 달성하십니다.] What pre-eminent grace is this! [바로 이것이 얼마나 커다란 은총인지!] Christ in heaven, Christ on earth; Christ at once both in heaven and earth; not two Christs, but the same Christ, both in heaven and earth. [그리스도께서는 하늘에 계시고, 그리스도께서는 땅 위에 계시며, 그리하여 그리스도께서는 동시에 하늘 및 땅 둘 다에 계시며, 그리하여 두 분의 그리스도들이 아니라, 오로지 동일한 그리스도께서, 하늘 및 땅 둘 다에 계십니다.] Christ with the Father, Christ in the Virgin's womb; Christ on the Cross, Christ succouring some souls in hell; and on the self-same day Christ in paradise with the robber who confessed. [그리스도께서는 성부와 함께 계시고, 그리스도께서는 동정녀의 태 안에 계시며, 그리하여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 위에 계시고, 그리스도께서는 저승에 있는 일부 영혼들을 구조하시고, 그리고 바로 그 동일한 날에 그리스도께서는 고백하였던 그 도둑과 함께 낙원에 계십니다.] And how did the robber attain to this blessedness, but because he held on that way, in which "He shows His salvation?" That way, from which let not your foot wander. For in that he accused himself, he praised God, and made his own life blessed. He looked in hope for this from the Lord, and said to Him, "Lord, remember me when You come into Your kingdom." For he considered his own wicked deeds, and thought it much, if mercy should be shown him even at the last. But the Lord immediately after He had said, "Remember me" — when? "when You come into Your kingdom," says, "Verily I say unto you, Today shall you be with Me in paradise." Mercy offered at once, what misery deferred.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7월 30일]

3-3.
로마서 6,23에 대한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St. John Chrysostom)의 강론 [제목: Homily XII: Rm VI. 19. —“I speak after the manner of men because of the infirmity of your flesh:] 1202항 에는 다음과 같은 언급이 있으며, 이 언급에 대한 주석에서 "all is grace" 라는 표현이 등장하고 있습니다만, 그러나 이 주석 자체가,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로마서에 대한 강론집의 영어본 번역자(G. B. S.)들에 의하여, 상당히 후대에 마련된 것이라고 합니다. 혹시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또한 참고하십시오:

출처: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dcn.htm

(발췌 시작)

1202 Do you see how he points out some things as already given, and some as existing in hope, and from what are given he draws proof of the others also, that is from the holiness of the life. For to prevent your saying (i.e. as an objection) everything lies in hope, he points out that you have already reaped fruits, first the being freed from wickedness, and such evils as the very recollection of puts one to shame; second, the being made a servant unto righteousness; a third, the enjoying of holiness; a fourth, the obtaining of life, and life too not for a season, but everlasting. Yet with all these, he says, do but serve as ye served it. For though the master is far preferable, and the service also has many advantages, and the rewards too for which ye are serving, still I make no further demand. Next, since he had mentioned arms and a king, he keeps on with the metaphor in these words:

Rm 6,23. “For the wages of sin is death, but the gift of God is eternal life,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After speaking of the wages of sin, in the case of the blessings, he has not kept to the same order (taxin, rank or relation): for he does not say, the wages of good deeds, “but the gift of God;” to show, that it was not of themselves that they were freed, nor was it a due they received, neither yet a return, nor a recompense of labors, but by grace all these things came about.2 And so there was a superiority for this cause also, in that He did not free them only, or change their condition for a better, but that He did it without any labor or trouble upon their part: and that He not only freed them, but also gave them much more than before, and that through His Son. And the whole of this he has interposed as having discussed the subject of grace, and being on the point of overthrowing the Law next. That these things then might not both make them rather listless, he inserted the part about strictness of life, using every opportunity of rousing the hearer to the practice of virtue. For when he calls death the wages of sin, he alarms them again, and secures them against dangers to come. For the words he uses to remind them of their former estate, he also employs so as to make them thankful, and more secure against any inroads of temptations. Here then he brings the hortatory part to a stop, and proceeds with the doctrines again, speaking on this wise.

-----
2 Verse 23 is a confirmation of what he had said in 21, 22 about death and life. They are the results of the two courses spoken of. The servant of sin receives death as his wages. It follows on the principle of desert. Not so, however, on the other side. Respecting eternal life there can be no thought of wages or deserts. There all is grace, [영원한 생명에 관하여 거기에는 죄값 혹은 상응하는 상벌에 대한 염려가 전혀 없습니다. 거기에는 모든 것이 은총입니다.And thus Paul closes this refutation of objections by triumphantly maintaining the praise of God’s grace in Christ, as he had closed the argument constructed upon the parallel between Adam and Christ (v. 21).—G. B. S).
-----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다음의 자료들에 의하면, 바로 위의 각주 2 마지막에 있는 G. B. S. 는 이 각주를 제공한 분들이 영어본 편집자들임을 밝히고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출처 1: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c2l.htm
출처 2: http://orthodoxchurchfathers.com/fathers/npnf111/npnf1112.htm
출처 3: http://orthodoxchurchfathers.com/fathers/npnf111/npnf1185.htm
#P2483_2384112

출처 4: http://orthodoxchurchfathers.com/fathers/npnf111/footnote/
fn24.htm#P2495_2391425


(발췌 시작)
In the preparation of this volume of Chrysostom’s Homilies on Acts and Romans, the effort has been to improve the Oxford edition by some changes and corrections, and by the addition of critical and explanatory notes.

...

These notes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the English editors by having appended to them the initials, G. B. S.
(이상, 발췌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게시자 주: 바로 위의 제3-2항에 발췌한 마태오 복음서 11,25에 대한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의 대단히 유익한 해설을 묵상하면서, 이번의 글을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8시간 (자료 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1,643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