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의 우리말 번역 작업 자체가 해석/주해 작업이어서는 아니 됩니다

인쇄

. [218.55.90.*]

2015-02-17 ㅣ No.1616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게시자 주: 이 글의 제1항부터 제3항까지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제목: 가톨릭 보편 교회 문헌들의 우리말 번역 작업 자체가 해석/주해 작업이어서는 아니 됩니다] 과 동일합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17.htm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글을 이미 읽으신 분들께서는, 아래의 제4항으로 직접 이동하거나 혹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이상, 게시자 주 끝)

 

1. 들어가면서

이번 항에서는, 가톨릭 보편 교회 문헌들의 우리말 번역 작업 자체가 해석/주해 작업이 아니라고 생각되는 경우 한 개를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1. 다음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 전문이며,

(i) "영혼" 으로 차용(借用) 번역된 용어와

(ii) "정신" 으로 차용(借用) 번역된 용어, 그리고

(iii) "욕망" 으로 차용(借用) 번역된 용어에

각각 주목해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page=55

(발췌 시작)
37 한편 인간이 처한 역사적 조건들 안에서 이성의 빛만으로 하느님을 인식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간단히 말해서, 실제로 인간 이성이 자신의 타고난 능력과 빛으로써, 당신 섭리로 
          세상을 보호하고 다스리시는 인격적인 하느님과, 창조주께서 우리 영혼 안에 심어 
          놓으신 자연법에 대한 참되고 확실한 인식에 도달할 수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본성적 
          능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결과를 얻기에는 많은 장애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진리들은 감각적인 사물들의 질서를 완전히 넘어서는 
          것이며, 이러한 진리들이 구체적인 행동에 적용되고 삶을 형성하게 될 때에는 자기를 
          바치고 포기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진리들을 얻기 위해서 인간의 
          정신은 감각과 상상력의 충동뿐 아니라, 원죄에서 발생한 그릇된 욕망들로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 때문에 인간은 이러한 일들에서, 스스로 사실이 아니기를 바라는 것들이 
          거짓이거나 적어도 불확실한 것이라고 쉽게 믿어 버립니다.13)(#)

 

-----
13. 비오 12세, 회칙 Humani generis: DS 3875.

 

(#) 게시자 주:
(1)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비오 12세 교황님의 이 회칙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에서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그리고 필자가 소장 중인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발행의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제목의 CD에도 제공되지 않고 있다고 파악되고 있다.

 

(2) (중간 결론 1) 그리고, 이들 세 개의 용어들에 주목하면서 정밀하게 비교/검토를 하면, 바로 아래의 제1-2항에 발췌된, 1992년에 초판 발행된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에 발췌 인용되어 있는 비오 12세 교황님의 이 회칙의 프랑스어본이, 위의 번역문의 번역대본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3) (중간 결론 2, 번역 오류) 그러나, 아래의 제1-4항에 발췌되어 있는, 1997년에 초판 발행된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에 발췌 인용되어 있는 비오 12세 교황님의 이 회칙의 라틴어 정본의 분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과 정밀하게 비교/검토를 하면, 위의 우리말본에서 이들 세 개의 용어들 중에서 두 개, 즉, 정신욕망은, 1997년에 초판 발행된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에 발췌 인용되어 있는 비오 12세 교황님의 이 회칙의 라틴어 정본에서의 해당 용어들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차용 번역 용어들로 교체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다른 지역 언어본들과 정밀하게 비교/검토를 하면,

 

(i) 위의 우리말본에서 정신은,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들이 전통적으로 수용하여 따르고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언어 체계에 따라, 지성(intellect) 혹은 마음(mind)로 교체되어야 하고, 그리고

 

(ii) 욕망은, 다음의 글들에서 전달해 드리고 있는,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cupiditas(cupidity) 라는 용어의 의미(meaning)/정의(definition)에 따라, 애덕(charity)이 아닌 사랑(love), 즉, 애덕(charity)의 결여/부재, 즉,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love) 으로 교체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국내의 성직자 및 수도자들께서 아래의 제2항과 이들을 꼭 읽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37.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53.htm <----- 필독 권고

-----

  

1-2. 1992년에 초판 발행된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FRA0013/__PC.HTM

(발췌 시작)

37 Dans les conditions historiques dans lesquelles il se trouve, l’homme éprouve cependant bien des difficultés pour connaître Dieu avec la seule lumière de sa raison :

 

Bien que la raison humaine, en effet, à parler simplement, puisse vraiment par ses forces et sa lumière naturelles arriver à une connaissance vraie et certaine d’un Dieu personnel, protégeant et gouvernant le monde par sa Providence, ainsi que d’une loi naturelle mise par le Créateur dans nos âmes, il y a cependant bien des obstacles empêchant cette même raison d’user efficacement et avec fruit de son pouvoir naturel, car les vérités qui concernent Dieu et les hommes dépassent absolument l’ordre des choses sensibles, et lorsqu’elles doivent se traduire en action et informer la vie, elles demandent qu’on se donne et qu’on se renonce. L’esprit humain, pour acquérir de semblables vérités, souffre difficulté de la part des sens et de l’imagination, ainsi que des mauvais désirs nés du péché originel. De là vient qu’en de telles matières les hommes se persuadent facilement de la fausseté ou du moins de l’incertitude des choses dont ils ne voudraient pas qu’elles soient vraies (Pie XII, enc. " Humani Generis " : DS 3875).(#)

 

-----
(#) 게시자 주: 다음은, 1950년 12월 8일자 비오 12세 교황님의 회칙 Humani Generis 프랑스어본에서, 여기서 발췌된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그러나, 아래에 발췌된 이 회칙에서, 애초에 사용되었던 용어들 두 개, 즉, espritmauvais désirs가, 아래의 제1-4항에 발췌된, 1997년에 초판 발핻된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에 따라, 각각 intelligencepassions vicieuses로 바로잡아졌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출처: http://w2.vatican.va/content/pius-xii/fr/encyclicals/documents/
hf_p-xii_enc_12081950_humani-generis.html

(발췌 시작)

On ne peut s'étonner, il est vrai, que mésententes en ces domaines et éloignement de la vérité aient toujours sévi, en dehors du bercail du Christ. En effet, si, en principe du moins, la raison humaine est, par sa propre force et à sa seule lumière naturelle, apte à parvenir à la connaissance vraie et certaine d'un Dieu unique et personnel, qui par sa Providence protège et gouverne le monde, et à l'intuition aussi de la loi naturelle inscrite par Dieu en nos âmes, nombreux, pourtant, sont les obstacles qui empêchent cette même raison d'user de sa force native efficacement et avec fruits. Et de fait, les vérités qui concernent Dieu et qui ont rapport aux relations qui existent entre Dieu et les hommes ne transcendent-elles pas absolument l'ordre du sensible? et, passées dans le domaine de la vie pratique qu'elles doivent informer ne commandent-elles pas le don de soi et l'abnégation? Or, l'intelligence humaine, dans la recherche de si hautes vérités, souffre d'une grave difficulté en raison d'abord de l'impulsion des sens et de l'imagination et en raison aussi des passions vicieuses nées du péché originel. Voilà comment les hommes en sont venus à se pénétrer si facilement eux-mêmes de ce principe que, dans ce domaine, est faux ou pour le moins douteux tout ce qu'ils ne veulent pas être vrai. 

-----

(이상, 발췌 끝)

 

1-3. 이탈리아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it/documents/2663cat017-308.PDF

(발췌 시작)
37 Tuttavia, nelle condizioni storiche in cui si trova, l’uomo incontra molte difficoltà per conoscere Dio con la sola luce della ragione.


          « Infatti, sebbene la ragione umana, per dirla semplicemente, con le sole
          sue forze e la sua luce naturale possa realmente pervenire ad una conoscenza
          vera e certa di un Dio personale, il quale con la sua provvidenza
          si prende cura del mondo e lo governa, come pure di una legge naturale
          inscritta dal Creatore nelle nostre anime, tuttavia la stessa ragione incontra
          non poche difficoltà ad usare efficacemente e con frutto questa
          sua capacità naturale. Infatti le verità che concernono Dio e riguardano
          i rapporti che intercorrono tra gli uomini e Dio trascendono assolutamente
          l’ordine delle cose sensibili, e, quando devono tradursi in azioni
          e informare la vita, esigono devoto assenso e la rinuncia a se stessi. Lo
          spirito umano, infatti, nella ricerca intorno a tali verità, viene a trovarsi
          in difficoltà sotto l’influsso dei sensi e dell’immaginazione ed anche a
          causa delle tendenze malsane nate dal peccato originale. Da ciò consegue
          che gli uomini facilmente si persuadono, in tali argomenti, che è
          falso o quanto meno dubbio ciò che essi non vorrebbero che fosse vero ».13 (#)

 

-----
(#) 게시자 주: 다음은, 1950년 12월 8일자 비오 12세 교황님의 회칙 Humani Generis 이탈리아어본에서, 여기서 발췌된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아래에 발췌된 이 회칙에서, 애초에 사용되었던 용어들 두 개, 즉, spiritotendenze malsane가, 아래의 제1-4항에 발췌된, 1997년에 초판 발핻된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에 따라, 각각 intellettocattive passioni로 바로잡아졌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출처: http://w2.vatican.va/content/pius-xii/it/encyclicals/documents/
hf_p-xii_enc_12081950_humani-generis.html

(발췌 시작)

Veramente non c'è da meravigliarsi, se fuori dell'ovile di Cristo sempre vi sono stati questi dissensi ed errori. Benché la ragione umana, assolutamente parlando, con le sue forze e con la sua luce naturale possa effettivamente arrivare alla conoscenza, vera e certa, di Dio unico e personale, che con la sua Provvidenza sostiene e governa il mondo, e anche alla conoscenza della legge naturale impressa dal Creatore nelle nostre anime, tuttavia non pochi sono gli ostacoli che impediscono alla nostra ragione di servirsi con efficacia e con frutto di questo suo naturale potere. Le verità che riguardano Dio e le relazioni tra gli uomini e Dio trascendono del tutto l'ordine delle cose sensibili; quando poi si fanno entrare nella pratica della vita e la informano, allora richiedono sacrificio e abnegazione.

 

Nel raggiungere tali verità, l'intelletto umano incontra ostacoli della fantasia, sia per le cattive passioni provenienti dal peccato originale. Avviene che gli uomini in queste cose volentieri si persuadono che sia falso, o almeno dubbio, ciò che essi "non vogliono che sia vero". Per questi motivi si deve dire che la Rivelazione divina è moralmente necessaria affinché quelle verità che in materia religiosa e morale non sono per sé irraggiungibili, si possano da tutti conoscere con facilità, con ferma certezza e senza alcun errore. (Conc. Vat. D. B. 1876, Cost. "De fide Cath.", cap. II, De revelatione).

-----

(이상, 발췌 끝)

 

1-4. 1997년에 초판 발행윈 라틴어 정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atechism_lt/p1s1c1_lt.htm#CAPUT PRIMUM HOMO EST DEI « CAPAX »

(발췌 시작)

37 Attamen homo in condicionibus historicis, in quibus versatur, plures experitur difficultates ad Deum solo rationis lumine cognoscendum.

 

« Licet humana ratio, simpliciter loquendo, veram et certam cognitionem unius Dei personalis, mundum providentia Sua tuentis ac gubernantis, necnon naturalis legis a Creatore nostris animis inditae, suis naturalibus viribus ac lumine assequi revera possit, nihilominus non pauca obstant, quominus eadem ratio hac sua nativa facultate efficaciter fructuoseque utatur. Quae enim ad Deum pertinent et ad rationes spectant, quae inter homines Deumque intercedunt, veritates sunt rerum sensibilium ordinem omnino transcendentes, quae, cum in vitae actionem inducuntur eamque informant, sui devotionem suique abnegationem postulant. Humanus autem intellectus in talibus veritatibus acquirendis difficultate laborat tum ob sensuum imaginationisque impulsum, tum ob pravas cupiditates ex peccato originali ortas. Quo fit ut homines in rebus huiusmodi libenter sibi suadeant esse falsa vel saltem dubia, quae ipsi nolint esse vera ».13 (#)

 

-----
(#) 게시자 주: 다음은, 1950년 12월 8일자 비오 12세 교황님의 회칙 Humani Generis 라틴어본에서, 여기서 발췌된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1997년에 초판 발행된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에 발췌된 바와 동일하게 이들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출처: http://w2.vatican.va/content/pius-xii/la/encyclicals/documents/
hf_p-xii_enc_12081950_humani-generis.html

(발췌 시작)

Haud mirum quidem est huiusmodi discordiam et aberrationem extra ovile Christi semper viguisse. Nam licet humana ratio, simpliciter loquendo, veram et certam cognitionem unius Dei personalis, mundum providentia sua tuentis ac gubernantis, necnon naturalis legis a Creatore nostris animis inditae, suis naturalibus viribus ac lumine assequi revera possit, nihilominus non pauca obstant quominus eadem ratio hac sua nativa facul tate efficaciter fructuoseque utatur. Quae enim ad Deum pertinent et ad rationes spectant, quae inter homines Deumque intercedunt, veritates sunt rerum sensibilium ordinem omnino transcendentes, quae, cum in vitae actionem inducuntur eamque informant, sui devotionem suique abnegationem postulant. Humanus autem intellectus in talibus veritatibus acquirendis difficultate laborat tum ob sensuum imaginationisque impulsum, tum ob pravas cupiditates ex peccato originali ortas. Quo fit ut homines in rebus huiusmodi libenter sibi suadeant esse falsa vel saltem dubia, quae ipsi nolint esse vera.

-----
(이상, 발췌 끝)

  

1-5. 1997년에 초판 발행된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1s1c1.htm#37

(발췌 시작)

37 In the historical conditions in which he finds himself, however, man experiences many difficulties in coming to know God by the light of reason alone:

Though human reason is, strictly speaking, truly capable by its own natural power and light of attaining to a true and certain knowledge of the one personal God, who watches over and controls the world by his providence, and of the natural law written in our hearts by the Creator; yet there are many obstacles which prevent reason from the effective and fruitful use of this inborn faculty. For the truths that concern the relations between God and man wholly transcend the visible order of things, and, if they are translated into human action and influence it, they call for self-surrender and abnegation. The human mind, in its turn, is hampered in the attaining of such truths, not only by the impact of the senses and the imagination, but also by disordered appetites which are the consequences of original sin. So it happens that men in such matters easily persuade themselves that what they would not like to be true is false or at least doubtful.13 (#)

 

-----
(#) 게시자 주: 다음은, 1950년 12월 8일자 비오 12세 교황님의 회칙 Humani Generis 영어본에서, 여기서 발췌된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1997년에 초판 발행된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에서는 위의 라틴어 정본에서 사용된 용어들이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아래에서 제2항에서 별도로 다룰 생각이다:

 

출처: http://w2.vatican.va/content/pius-xii/en/encyclicals/documents/
hf_p-xii_enc_12081950_humani-generis.html

(발췌 시작)

2. It is not surprising that such discord and error should always have existed outside the fold of Christ. For though, absolutely speaking, human reason by its own natural force and light can arrive at a true and certain knowledge of the one personal God, Who by His providence watches over and governs the world, and also of the natural law, which the Creator has written in our hearts, still there are not a few obstacles to prevent reason from making efficient and fruitful use of its natural ability. The truths that have to do with God and the relations between God and men, completely surpass the sensible order and demand self-surrender and self-abnegation in order to be put into practice and to influence practical life. Now the human intellect, in gaining the knowledge of such truths is hampered both by the activity of the senses and the imagination, and by evil passions arising from original sin. Hence men easily persuade themselves in such matters that what they do not wish to believe is false or at least doubtful.

(이상, 발췌 끝) 

 

2.

2-1. 우선적으로, 다음의 그에서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고 있듯이, 영혼(soul)의 본질은 생명의 원리(the principle of life)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9.htm [제3-3항]

 

그리고, 다음의 글들에서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고 있듯이, 인간의 중요한 장기인 "heart"생명의 원리(the principle of life)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84_natural_law_in_human_heart.htm [제5항]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5.htm [제6항]

 

따라서, 위의 제1-4항에 발췌된 1950년 12월 8일자 비오 12세 교황님의 회칙 Humani Generis 라틴어본과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에 발췌된 이 회칙에서, "자연법이 animis(영혼들)에 새겨져 있다"는 표현이, 이 회칙의 영어본과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에서 "자연법이 hearts(심장들)에 새겨져 있다"로 교체된 것은, "자연법(the natural law)"이, 바로 이 생명의 원리인간의 심장(the human heart)에 새겨져 있다는, 로마서  2,14,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의 가르침,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가르침을 출실하게 따르고 있는, 다음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항들의 가르침을 또한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으므로, 전혀 문제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84_natural_law_in_human_heart.htm

 

2-2. 다음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서 언급되고 있듯이, 지성력(the intellectual power, intellective power)은 지성(the intellect) 혹은 마음(the mind) 으로 불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9.htm [제3-1-1항]

 

또한 다음의 주소에 있는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mind" 에 대한 설명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2_mind_MCD.htm

 

그러므로, the human intellect로 번역되는 라틴어 표현이 the the human mind로 번역되는 것에는 별 문제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2-3.

2-3-1. 우선적으로, 예를 들어,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에서의 "cupiditas" 와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7항에서의 "concupiscientia(사욕, 혹은 사욕편정)" 둘 다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해당 항들에서 동일하게 "욕망"으로 번역되고 있으며, 그리고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772항에서 "desire" 로 번역되는 또다른 라틴어 단어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해당 항에서 또한 "욕망" 으로 번역되고 있는데, 그러나 이들 용어들은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들이 결코 아니므로, 이렇게 번역하는 것은 개념 상실을 초래하기 때문에, 명백한 번역 오류입니다.

 

2-3-2.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본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라틴어 단어 "cupiditas" 가 여러 지역 언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그리 일관성있게 번역되지 못하고 있음은 다음의 글에서 대단히 구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53.htm <----- 필독 권고

 

2-3-3. 따라서, 무슨 말씀인고 하면,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글에서 이미 충분하게 지적하고 있듯이,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에 의하여 그 신학적 의미가, 애덕(charity)이 아닌 사랑(love), 즉, 애덕(charity)의 결여/부재, 즉,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love)이라고 정의된(defined), "cupiditas" 라는 용어가, 연대순에 있어 거슬러 올라갈 때에,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적어도 1713년에 이르기까지는, 성 아우구스티노에 의하여 정의된 의미대로 사용되어 왔으나, 그러나, 예를 들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라틴어 원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의,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평소에 가까이에 두고 들여다 보는 다음의 주소들에 있는, 1947년 Benziger Bros. edition 영어 번역본(번역 시기: 1912-1936년; 번역자: Father Laurence Shapcote, O.P)에 이르면,

http://www.newadvent.org/summa/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

참고 자료: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이 영어본 신학 대전 본문의 여러 곳들에서 [번역자가 한 명이 아닌 여러 명이었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하여튼], "cupiditas""cupidity"(#1) 로 일관성있게 번역되는 대신에"cupiditas" 가, 때로는, "covetousness"(#2) 로 [문제는,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님에 의하여, 칠죄종들 중의 하나로 나열되는, "avaritia" 가 또한 "covetousness" 로 번역되는 데에 있다](#3) 그리고,  "cupiditas" 가, 때로는, "desire"(#4)로 번역되었기 때문에 [그리고, "concupiscentia" 가, 때로는, "desire" 로 번역되었기 때문에](#5), 1713년과 1947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이전에 조사한 바에 의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라틴어 원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이 영어로 번역되기 이전의 시점인 19세기 말경에 이르면,]  "cupiditas""cupidity" 로 일관성있게 번역되지 못함이 지중해 지역 등에서 처음 발생하기 시작하였을 것임을 우리가 추정할 수 있으므로,(#6) 기존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7항의 발췌문에 있는 "욕망" 이라는 번역 오류가, 우리말로의 번역 작업 과정에서, 번역자 고유의 임의적/자의적 해석/주해를 거쳐, 즉, 번역자 고유의 임의적/자의적 해석/주해 과정에 의하여, 발생하게 된 오류라고 결론내릴 수 없을 것입니다.

 

-----
(#1) 게시자 주: 예를 들어, 다음을 보라: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30-34.htm#q30a3co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23-26.htm#q24a10ad2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55-170.htm#q155a2arg3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I-66-72.htm#q70a4co

"cupidity" "concupiscence" "cupiditas" site:http://www.logicmuseum.com

 

(#2) 게시자 주: 예를 들어, 다음을 보라: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30-34.htm#q30a2ad2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98-105.htm#q99a6ad1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83-189.htm#q185a1co

"cupidity" "cupiditas" "summa" "covetousness" site:http://www.logicmuseum.com

 

(#3) 게시자 주: 예를 들어, 다음을 보라: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71-74.htm#q72a2arg4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52-56.htm#q55a8arg1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01-113.htm#q111a3arg3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55-170.htm#q166a1arg3

"avaritia" "summa" "covetousness" site:http://www.logicmuseum.com

 

(#4) 게시자 주: 예를 들어, 다음을 보라: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30-34.htm#q31a4co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40-45.htm#q40a1ad1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83-189.htm#q184a2co

"cupiditas" "summa" "cupidity" "desire" site:http://www.logicmuseum.com

 

(#5) 게시자 주: 예를 들어, 다음을 보라: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23-127.htm#q123a10arg3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41-154.htm#q141a4arg1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55-170.htm#q155a2arg2

"desire" "concupiscentia" "summa" site:http://www.logicmuseum.com

 

(#6) 게시자 주:

(1) 이러한 불행한 사태가 발생하게 된 주된 이유는,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하기에, 그리고 다음의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http://www.newadvent.org/cathen/14698b.htm [소제목: Decline of Scholasticism and of Thomism]

 

17세기와 18세기 동안 인문주의(Humanism), 프로테스탄티즘(Protestantism, 개신교주의), 프랑스 혁명(French Revolotion), 자연 과학의 발달 등의 세속의 풍조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스콜라 철학(Scholasticism)과  토미즘(Thomism)의 거부, 폭력과 폭동 등에 의한 유럽 지역에 위치한 가톨릭 신학교들과 수도원들의 파괴 그리하여 쇠락 때문에,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통적 교회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의 상실, 전와(轉訛) 등이 발생하였기 때문일 것입니다.

 

(2) 그리고 그 대표적인 예(example)가, "애덕(caritas, charity)"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올바로 그리고 제대로 이해하려면 또한 반드시 함께 고찰하여야 하는, 일찌기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에 의하여 비 이원론적으로(non-dualistically) 정의되었던(defined) "cupiditas"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의 상실을 들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지금 지적한 바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의 후반부를 또한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53.htm <----- 필독 권고

 

(3) 그러나, 제1차 바티칸 공의회(1869-1870년) 후에 레오 13세 교황님께서는 1879년 회칙[제목: Aeterni Patris(영원하신 아버지)]을 통하여, 토미즘(Thomism)을 가톨릭 보편 교회의 신학으로 확고하게 자리잡게 하고자 교황으로서 모든 권위를 사용하셨다는 생각인데,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의 <<부록 1>>, <<부록 2>>, 그리고, (i) 체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사제 양성에 관한 교령, 온 교회의 열망(Optatam Totius), 제16항(#7)과, (ii)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 교육의 중요성(Gravissimum Educationis), 제10항(#8)에 대하여 언급하는,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성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들 세 개로의 안내인 <<부록 3>> 을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19.htm <----- 필독 권고

 

(#7) 게시자 주: 다음은 체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사제 양성에 관한 교령, 온 교회의 열망(Optatam Totius), 제16항에 주어진 각주 36 전문이다:

 

출처 1: http://www.vatican.va/archive/hist_councils/ii_vatican_council/documents/
vat-ii_decree_19651028_optatam-totius_en.html
 

출처 2: http://ebook.cbck.or.kr/gallery/view.asp?seq=192862&path=120726090305&page=18

(출처 2로부터 발췌 시작)
36. 비오 12세, 신학생들에게 한 강론, 1939.6.24., AAS 31(1939), 247: “진리를 추구하고 전파하려는 열정이 토마스 성인의 가르침을 연구함으로써 줄어들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더욱 분발하여 안전하게 나아갈 것이다.”; 바오로 6세, 그레고리오 대학교에서 한 훈화, 1964.3.12., AAS 56(1964), 365 참조: “(교수들은)`…… 교회 학자들의 말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들어야 한다. 그들 가운데에서 탁월한 아퀴노가 특별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천사적 박사의 재능은 놀라운 것으로, 진리에 대한 순수한 사랑, 드높은 진리들을 탐구하고 밝히며 가장 적절하게 하나로 연결시키는 지혜가 출중하여, 그의 가르침은 신앙의 기초를 안전하게 구축하고 건실한 신앙 진보의 열매를 유익하고 확실하게 거두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제6차 국제 토미즘 대회에서 한 훈화, 1965.9.10., AAS 57(1965), 788-792 참조.
(이상, 발췌 끝)

 

(#8) 게시자 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 교육의 중요성(Gravissimum Educationis),, 제10항은 다음에 있다:

출처 1: http://www.vatican.va/archive/hist_councils/ii_vatican_council/documents/
vat-ii_decl_19651028_gravissimum-educationis_en.html
 [영문본]

출처 2: http://ebook.cbck.or.kr/gallery/view.asp?seq=192872&path=120726090727&page=14 [우리말본]

-----

 

3.

이번 항에서는, 위의 제2-3항에서 함께 고찰한 바와는 달리, 그리고 이 글의 제목에서 말씀드렸듯이, 가톨릭 보편 교회의 핵심 문헌들이 우리나라 지역 교회로 번역 되는 과정에서, 번역자 고유의 임의적/자의적 해석/주해를 거쳐, 즉, 번역자 고유의 임의적/자의적 해석/주해 과정에 의하여, 잘못된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이 진행된 구체적인 예를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3-1. 우선적으로, 다음의 글들에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베네딕토 16세 교황님께서, 성경 용어 "심장(heart)"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말씀들을 하시는지 꼭 읽도록 하십시오. 영어로 "heart" 로 번역되는, 그 기원이 히브리어 구약 성경 본문인, 성경 용어는 그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가 [표준국어대사전에 그 의미가 주어진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순수한 우리말 "마음"의 의미가 결코 아닌] 우리 몸/신체의 가장 중요한 장기인 "심장(염통)"을 말한다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국내의 성직자 및 수도자들께서 꼭 읽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8_heart_CE.htm [1912년, 영어 가톨릭 대사전]<-----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84_human_heart.htm [1989년, 성 요한 바오로 2세] <----- 필독 권고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89년 5월 30일자 문헌 [제목: ADDRESS OF HIS HOLINESS JOHN PAUL II TO THE PARTICIPANTS IN THE SYMPOSIUM ON CARDIOLOGY HELD IN ROME(로마에서 개최된 심장학(cardiology)에 대한 심포지움 참석자들을 향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성하의 연설문)]:

(출처 1로부터 발췌 시작)

2. Throughout the ages, the human heart has been regarded as more than simply one physical organ among others. In the Scriptures, the word “heart” refers to the source of life itself, not merely physical life (Cfr. Gen. 18, 5), but also the life of the soul as it lies open to God (ISam. 16, 7; 1Petr. 3, 4). It is the heart which characterizes the individual in his relations with God and with others (Matth. 5, 8; 15, 19). In biblical language, the heart is the abyss (Ps. 64, 6) which conceals the fathomless mysteries of human desires, motivations and yearnings. When God wishes to assure his people that he will bring them to himself and grant them every blessing and fulfilment, he promises them a new heart. As the Lord says through the Prophet Ezechiel: “I will give you a new heart, and a new Spirit will I put within you; and I will take out of your flesh the heart of stone and give you a heart of flesh” (Ez. 36, 26). 

 

2. 오랫동안 처음부터 끝까지, 인간의 심장(the human heart)은 인간의 다른 기관(器官, organ)들 사이에서 단순히 하나의 육체의/신체의 기관(器官)(one physical organ) 이상의(more than) 기관(器官)으로서 간주되어 왔습니다.(*) 성경 본문에 있어, "심장(心臟, heart)" 이라는 단어는, 단지 육체적/신체적 생명(life)(창세 18,5 참조)이 아니라, 하느님을 향하여 영혼이 개방한 상태(open)에 있기에 영혼의 생명(the life of the soul as it lies open to God)(1사무엘 16,7; 1베드로 3,4)생명의 원천 자체(source of life itself)에 대한 언급입니다.(**) 하느님과 그리고 다른 이들과 자신과의 관계들에 있어 개인을 특징짓는 것은 바로 이 심장(heart)입니다(마태오 5,8; 15,19). 성경의 언어에 있어, 심장(the heart)은, 인간의 욕망(desires)들, 동기(motivations)들 그리고 열망(yearnings)들의, 깊이를 알 수 없는, 신비(mysteries)들을 감추고 있는, 심연(the abyss)입니다(시편 64,6). 하느님께서 당신께서 장차 그들을 당신 자신께로 데려 올 것이며 그리하여 그들에게 모든 축복과 구현을 베풀 것이라고 당신의 백성에게 보증하는 것을 바라실(wishes) 때에, 당신께서는 한 개의 새 심장(a new heart)을 약속하십니다.(***) 주님께서 예언자 에제키엘(Ezechiel)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듯이: "나는 너희들에게 한 개의 새 심장(a new heart)을 장차 제공할 것이며, 그리하여 내가 한 개의 새 거룩한 영(a new Spirit)을 너희들 안쪽에 장차 둘 것이고, 그리고 내가 장차(will) 너희들의 육(flesh)으로부터 돌(stone)로 이루어진 심장(the heart of stone)을 들어낼 것이며 그리고 너희들에게 육으로 이루어진 한 개의 심장(a new heart of flesh)을 제공할 것이다" (에제키엘 36,26).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00.htm [2003년, 성 요한 바오로 2세]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8.htm [2011년, 베네딕토 16세]<----- 필독 권고

 

다음은, 성서 전공 신학자이신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2011년 7월 24일(가해 연중 제17 주일"삼종 기도(Angelus)" 강론 말씀에서 발췌한 문장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holy_father/benedict_xvi/angelus/2011/documents/
hf_ben-xvi_ang_20110724_en.html

(발췌 시작)
We know that the “heart” in the Bible does not only indicate a part of the body, but also the centre of the person, the seat of his intentions and opinions.

 

성경에 있어 "심장(heart)" 이 몸/신체의 한 부분(a part of the body)뿐만이 아니라, 또한, 의향(intentions)들과 견해(opinions)들의 자리인, 인격의 중심(the centre of the person)을 나타냄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1) "Devotion to the Sacred Heart of Jesus(예수님의 성스러운 심장[즉, 예수 성심] 쪽으로 공경/경례(敬禮))" 이 성경 본문에 근거하고 있음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6.htm

 

(2)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Devotion to the Sacred Heart of Jesus(예수님의 성스러운 심장[즉, 예수 성심] 쪽으로 공경경례(敬禮))" 제목의 글에서 발췌한 것인데, 영어로 "heart" 로 번역되는 성경 용어가 "심장" 으로 반드시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어야 함을 분명하게 지적하고 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7163a.htm

(발췌 시작)

(a) The word heart awakens, first of all, the idea of a material heart, of the vital organ that throbs within our bosom, and which we vaguely realize as intimately connected not only with our own physical, but with our emotional and moral life. Now this heart of flesh is currently accepted as the emblem of the emotion and moral life with which we associate it, and hence the place assigned to the word heart in symbolic language, as also the use of the same word to designate those things symbolized by the heart. (이하 생략)

 

(a) heart 라는 단어는, 무엇보다도 먼저, 개의 질료적/물질적 심장(a material heart)이라는, 우리의 가슴 안쪽에 있는 사활(死活)에 관한 기관/장기(vital organ) 라는, 관념(idea)을 자각시키며(awakens), 그리하여 우리는  이 기관을, 우리 고유의 신체적 삶/생명(physical life)뿐만이 아니라, 또한 우리의 감정적 삶/생명(emotional life) 및 윤리적 삶/생명(moral life)과도 밀접하게 관련시켜 생각하게 되는 것으로서, 모호하게(vaguely) 알아차립니다(realize). 그러고 나서(now) 바로 이 살로 이루어진 심장(heart of flesh)은 현재(currently), (i) 우리가 그것과 관련지우는 감정(emotion)과 윤리적 삶/생명(moral life)의 표상(表象, emblem)으로서, 그리하여 그 결과, (ii) 또한 이 심장(heart)에 의하여 표상(表象)/상징(象徵)되는(symbolized by) 바로 이 사물(things)들을 나타내기 위한 동일한 단어의 사용에 따라, 표상(表象)/상징(象徵) 언어(symbolic language)에 있어 심장(heart)이라는 단어에 할당된 장소(place)로서, 받아들여집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전임 교황이셨던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위에 발췌된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가르침을 더 자세하게 설명하는, 성경 본문에 근거한 가르침은 다음의 글의 제1-3항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84.htm <----- 필독 권고

 

(4) "인간의 심장(the human heart)" 에 대한 예수회의 가르침이 또한 소개되고 있는, 예수회 회원이신 프란치스코 교황님"심장(the heart)" 에 대한 가르침들을 전달하는 글은 다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7.htm <----- 또한 필독 권고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3-1: 위의 주소들에 있는 글들을, 특히, 이제 25년도 더 지난그러나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많이 부족한 되인인 필자가 최근에 전달해드릴 때까지, 국내의 가톨릭계에 널리 전달된 적이 없는,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89년 강론 말씀을, 반드시 읽도록 하십시오. 그런 다음에, 아래의 글들을 읽으십시오. 꼭 부탁드립니다.

 

3-2.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수순한 무리말 단어인 "마음" 에 대한 설명입니다:

 

(발췌 시작)
마음
 
명사
  • 「1」사람이 본래부터 지닌 성격이나 품성.
    마음이 좋다/아내는 착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다./많이 아는 사람보다는 마음이 어진 사람을 사귀어야 한다.
  • 「2」사람이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대하여 감정이나 의지, 생각 따위를 느끼거나 일으키는 작용이나 태도.
    몸은 멀리 있어 마음으로나마 입학을 축하한다./몸은 늙었지만 마음은 아직 청춘이다.
  • 「3」사람의 생각, 감정, 기억 따위가 생기거나 자리 잡는 공간이나 위치.
    안 좋은 일을 마음에 담아 두면 병이 된다./너무 욕심내지 말고 마음을 비워라./친구에게만은 마음에 가지고 있는 생각을 모두 털어놓고 싶었다.
  • 「4」사람이 어떤 일에 대하여 가지는 관심.
    마음을 떠보다/오늘은 날이 추워 도서관에 갈 마음이 없다./그는 이번 일은 꼭 이루겠다고 마음을 먹는다./나는 너의 호탕한 성격이 마음에 든다./하루 종일 백화점을 돌아다녀 봐도 마음에 드는 옷을 고르기는 쉽지 않았다./아이가 공부에는 마음이 없고 노는 데만 정신이 팔렸다.
  • 「5」사람이 사물의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심리나 심성의 바탕.
    마음에 드는 사람을 골라 결혼해라./그는 자신의 마음에 비추어 한 치의 부끄러움도 없는 삶을 살려고 노력했다.
  • 「6」이성이나 타인에 대한 사랑이나 호의(好意)의 감정.
    너 저 사람에게 마음이 있는 모양이로구나.
  • 「7」사람이 어떤 일을 생각하는 힘.
    마음을 집중해서 공부해라.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3-2: 바로 위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수순한 무리말 단어인 "마음" 에 대한 설명 어디에도, 이 단어가 우리의 신체의 중요한 장기인 심장을 말한다는 설명이 없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3-3.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심장(心臟)" 이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 전문입니다:

 

출처: http://124.137.201.223/search/View.jsp

(발췌 시작)

심장(心臟)

 

「명사」

「1」『의학』주기적인 수축에 의하여 혈액을 몸 전체로 보내는, 순환 계통의 중심적인 근육 기관. 어류는 1심방 1심실, 양서류는 2심방 1심실, 조류와 포유류는 2심방 2심실이다. 사람의 경우에는 가슴안에서 중앙보다 왼쪽에 있고, 주먹보다 약간 큰 근육질 덩어리로 원뿔형의 주머니 모양을 하고 있다. ≒염통01.
¶ 심장이 멈추다/심장의 박동이 고르지 못하다/총으로 그의 심장을 겨누고 있었다.
「2」사물의 중심이 되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엔진은 자동차의 심장이다./신문사의 심장인 윤전기 소리가 그치고 보니 백여 명이나 되는 종업원들은 숨이 끊긴 사람의 팔다리처럼….≪심훈, 영원의 미소≫
「3」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심장이 끓다/내 가까운 사람들의 죽음은 심장에 못을 박은 듯 남아 있으나….≪박경리, 원주 통신≫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3-3: 위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심장(心臟)" 이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우리는,

 

"마음" 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순수한 우리말 단어가  "심장(心臟)"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 아니라"심장(心臟)" 이라는 단어가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게시자 주 3: "특정 개념들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는 연상(association)의 방향성(directionality)"을 예를 들어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자 단어 "心" 글자에 대하여 어릴 적에 우리가 "마음 심" 이라고 외웠던 것은,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순수한 우리말 단어인 "마음"이 의미하는 바를 다른 이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에 우리의 신체의 장기인 심장(心臟)을 나타내는 상형 문자인 "心" 글자를, "마음" 이라는 단어 대신에, 사용하기 위하여서였지, 그 역을 위하여서가 결코 아니었습니다.

 

즉, 한자 단어 "心" 글자에 대하여 어릴 적에 우리가 "마음 심" 이라고 외웠던 것은, 우리의 신체의 장기인 심장(心臟)을 나타내는 상형 문자인 "心" 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와 이 자구적 의미에 근거한, "한 가운데" 등의, 여러 파생 의미들을 다른 이에게 전달하고자 할 때에, 한자 단어 "心" 글자 대신에, 순수한 우리말 단어인 "마음"을 사용하고자 함이 결코 아니었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달리 말하여, "心(심장)" 이라는 상형 문자는, 이미 우리들의 기억에 주입된 "마음 심" 이라는 방향성을 가지는 한 개의 연상(an association)의 정의(definition)에 의하여, 우리들로 하여금 "마음" 을 연상하게 하나, 그러나, 역으로, "마음" 이라는 순수한 우리말 단어는, 이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의미의 정의(definition)에 의하여, 우리들로 하여금 "心(심장)" 을 연상하게 하지 못함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지금 지적한 바에 관하여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마음" 과 "심장"에 대한 설명들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서 꼭 읽도록 하십시오.

 

다른 한편으로, 차용 번역 용어들인 "심장(heart)" 과 "마음(mind)" 사이에, 우리말로의 번역 이전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원 단어들 "heart" 와 "mind" 이 나타내는 개념들 사이의 연상(association)의 방향성(direcionality)을, 우리말로의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 과정에서 충실하게 보존하여 전달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차용 번역 용어들이 아닌 우리말 단어들인 "심장" 과 "마음"에 대하여 이미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은 "이들 우리말 단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 사이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연상(association)의 방향성(directionality)"을 우선적으로 올바르게 이해하여야 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바는, 어느 특정 언어에 종속되는 문제가 아니고, 언어 이전에 언어를 통하여 전달될 대상들인, 논리(logic)의 단계에 있는개념들 사이 존재하는 연상(association)의 방향성(directionality)에 관한 지적이었습니다.

 

"하느님은 개념(concept)을 앞서고,
개념은 언어(language)를 앞서며,
언어는 문법(grammar)을 앞섭니다."

(이상, 게시자 주 3 끝) 

 

3-4. 우리말로의 용어 번역과 관련하여, 다음의 국내의 철학계 제공의 자료["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철학문헌정보센터" 제공의 "토픽맵에 기초한 디지털 지식 자원 구축" 이라는 제목의 논문, 2004년]에 의하면, 표준 차용(借用) 번역 용어들로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ii) "soul""영혼" 으로, 그리고
(iii) "spirit" "정신" 으로,
(이상, 발췌 끝) 
번역할 것을 제시하고 있음.

 

3-5.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들께서는, 위의 제3-1부터 제3-4항까지를 반드시 먼저 읽은 다음에, 다음의 질문에 답변을 해 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특히 개신교 신자들(여기에는 개신교 목회자들 포함)께서도 또한 답변해 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질문 1: 히브리어 구약 성경이 그 기원이며, 영어 성경들에서 "heart" 로 직역 번역이 되고 있는, 형이하학적 물제로서 우리의 신체의 중요한 장기인 "심장(心臟, 염통)"을 말하는 가산 명사(countable noun)인 히브리어 구약 성경 용어와 이 히브리어 용어에 대응하는 그리스어 신약 성경 용어를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 그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를 우리말이라는 지역 언어로의 번역과정에서 훼손됨 없이 잘 보존(保存)하기 위하여,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에 따라, 가산 명사(countable noun)인 "심장(心臟)"으로 번역하는 것이 올바른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입니까? 아니면,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불가산 명사(uncountable noun) "마음"으로 번역하는 것이 올바른 직역 번역입니까? 위의 제3-1부터 제3-4항까지를 반드시 먼저 읽은 다음에, 이 질문에 답변을 해 주실 것을 다시 한 번 더 요청드립니다.

 

질문 1에 대한 답변 시작:

3-5-1.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i) 위의 제3-2항에 발췌된,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마음" 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불가산 명사(uncountable noun)인 순수한 우리말 단어의 의미가 지금까지처럼 그리고 앞으로도, 전와(轉訛)됨 없이, 계속 잘 보존된다면,

(iI) 그리고 위의 제3-1항에 발췌된, 신앙의 유산(the deposit of faith)에 근거한 성경(Sacred Scriptures)과 성전(Sacred Tradition)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의 살아 있는 교도권(의 가르침)이 이 땅에까지 앞으로도 온전하게 계속 잘 전달된다면,

(iii) 십자가 위에서 거룩한 속량의 피를 흘리셨던 구속주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예수 성심)으로부터 당신의 성혈이 이 땅 위에도 더 이상의 저지됨 없이 흘러내리게 되어,

 

그리하여, 예를 들어, 영어본 및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599항, 제2603항, 그리고 제2765항 등에서 his human heart(son cœur d’homme)로 번역되는 표현이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해당 항들에서, 당신의 인간의 심장으로 올바르게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는 대신에, 지금까지처럼, 당신께서 지니신 인간의 심성, 그분께서 인간으로서 지니신 ... 마음으로, 혹은 인간의 마음 등으로 계속하여 잘못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이 될 수는 없을 것입니다.(*)

 

-----

(*) 게시자 주: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전례문, 성경 등의 가톨릭 보편 교회의 문헌들의 지역 언어로의 번역 지침서인, 2001년 5월 7일자 교황청 경신성사성 문헌[제목: Liturgiam authenticam] 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roman_curia/congregations/ccdds/documents/
rc_con_ccdds_doc_20010507_liturgiam-authenticam_en.html

Fifth Instruction “For the Right Implementation of the 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Liturgiam authenticam On the Use of Vernacular Languages in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of the Roman Liturgy.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7월 17일]

특정 용어들의 지역 언어로의 직역 번역(lietral translation)과 관련하여, 교리 교육의 필요성 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바로 위의 문헌의 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29항, 제30항, 제40항, 제43항, 제74항, 제133항.

 

특히 기존의 지역 언어본 번역물의 개정에 대한 언급은 제133항에 주어져 있습니다.

[이상, 2015년 7월 17일자 내용 추가 끝]

  

(1) 이 문헌의 제57항 b)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va2001trans_guide.htm

(발췌 시작)
57. b) In the translation of terms contained in the original text, the same person, number, and gender is to be maintained insofar as possible.


57. b) 원문에 포함된 용어들의 번역에 있어, 가능한 한 같은 사람, 같은 숫자, 같은 성(性, gender)이 유지가 되어야만 한다.

(이상, 발췌 끝)

 

(2) 그리고 이 동일한 문헌의 제43항의 두 번째부터 마지막까지 문장들은 같습니다:

 

(발췌 시작)

43. [...] Thus it is best that such terms not be explained or interpreted by more abstract or general vernacular expressions. As regards certain terms, such as those translated in the Nova Vulgata as anima and spiritus, the principles mentioned in above nn. 40-41 should be observed.  Therefore, one should avoid replacing these terms by a personal pronoun or a more abstract term, except when this is strictly necessary in a given case.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a literal translation of terms which may initially sound odd in a vernacular language may for this very reason provoke inquisitiveness in the hearer and provide an occasion for catechesis.

 

43. [...] 따라서 그러한 용어들은 더 추상적이거나 혹은 더 일반적인(more abstract or general) 세속의 표현들에 의하여 설명되거나(explained) 혹은 해석되지(interpreted) 않는 것이 최선이다.(#1) 새 대중 라틴말 성경에서 anima(영혼)spiritus(영) 로 번역되고 있는 바로 그러한 용어들처럼, 특정한 용어들에 관하여, 위의 제40항-제41헝들애 언급되어 있는 원리/원칙(principles)들은 마땅히 준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여러분들은 이러한 용어들을 어떤 인칭 대명사(a personal pronoun) 혹은 어떤 더 추상적인 용어(a more abstract term)교체하는 행위(replacing), 어떤 주어진 경우에 있어 이것이 엄밀하게 필요한 때를 제외하고는, 마땅히 회피하여야 한다.(#1) 어떤 세속 언어에 있어 초기에(initially) 어색하게 들릴 수도 있는, 용어들의 어떤 자구적 번역(a literal translation)은 바로 이 이유 때문에 청중들에게 알고 싶어함(inquisitiveness)을 불러일으켜 그리하여 교리 교육의 한 기회(an occasion for catechesis)를 제공할 수도(may) 있음이 마땅히 마음에 새겨져야 할 것이다.(#0)

 

-----
(#1) 번역자 주: 달리 말하여, 지역 언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번역자의 자의적/임의적 해석/주해가 번역된 본문 중에, 마치 직역 번역된 본문의 일부인양, 추가되는 것을 금한다는 표현이다. 이 지침은 또한, 만약에 그러한 일이 발생하면, 그 궁극적 책임이, 해당 문헌의 해당 지역 언어본으로 출판을 허락한 지역 교회의 교도권자에게 있다기보다는, 번역자 당사자에게 있음을 또한 밝히고 있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추후에라도 그러한 오류가 지역 언어로의 번역본에서 발견이 되면, 이 지침에서 요구하는 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바로잡아져야 함을 또한 이 지침은 밝히고 있다는 생각이다.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6월 15일]

(#0) 번역자 주: 최근에 들어와, (i)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교황 직무를 수행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매 주간 수요일에 있는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들과 (ii) 다양한 기회들에 주어지는 교황님들의 강론 말씀들은, 이러한 용도의 교리 교육의 역할을 또한 해 왔다는 것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이다. 예를 들어, 다음의 글에 안내되어 있는 히브리어 구약 성경 용어인 "heart(심장)"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에 대한 교황님들의 가르침들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01_heart_Popes.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그리고 이 동일한 문헌의 제40항 전문 및 제41항의 전반부 및 마지막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췌 시작)

40. With due regard for the requirements of sound exegesis, all care is to be taken to ensure that the words of the biblical passages commonly used in catechesis and in popular devotional prayers be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great caution is to be taken to avoid a wording or style that the Catholic faithful would confuse with the manner of speech of non-Catholic ecclesial communities or of other religions, so that such a factor will not cause them confusion or discomfort.

 

40. 건전한 성서 해석/주해에 있어서의 요구 사항들에 대한 정당한 고려와 함께, 교리 교육에서 그리고 민간의 공경/경례(敬禮) 기도(popular devotional prayers)들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경 구절들에 있어서의 표현들이 유지가 됨을 확실히 하기 위한 모든 주의가 기울여져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가톨릭 열심신자들이 비 가톨릭 교회적 공동체(non-Catholic ecclesial communities)[주: 여기에는 개신교 교파들이 포함됨]의 화법의 방식과 혼동할 수 있는, 그리하여 그 결과 그러한 어떤 요소가 그들에게 혼동(confusion) 혹은 불안(discomfort)을 장차 야기하지 않도록, 어떤 말씨(wording) 혹은 양식을 회피하기 위한 커다란 경계(caution)가 기울여져야 한다.


41. The effort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the translations be conformed to that understanding of biblical passages which has been handed down by liturgical use and by the tradition of the Fathers of the Church, especially as regards very important texts such as the Psalms and the readings used for the principal celebrations of the liturgical year; in these cases the greatest care is to be taken so that the translation express the traditional Christological, typological and spiritual sense, and manifest the unity and the inter-relatedness of the two Testaments.[34]

 

41. 번역문들이, 전례에서의 사용에 의하여 그리고 교부들의 전승(tradition)에 의하여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성경 구절들에 대한 바로 그 이해에 합치됨(be conformed to)을, 특히 전례 주년(전례력)의 주된 경축들을 위하여 사용되는 시편들과 독서들 등과 같은 대단히 중요한 본문들에 관련하여, 확실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마땅히 기울여져야 하며,(#2) 그리고 바로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 번역문이 전통적인 그리스도론적(Christological), 예표론적(typological) 그리고 영성적(spiritual) 어의(語義)/의미(sense)를 표현하기 위하여, 그리하여 두 개의 계약[즉,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들의 단일성 및 상호-관련되어 있음(inter-relatedness)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34](#3) 최대한의 주의가 기울여져야 한다.

 

-----
(#2) 번역자 주: 이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제공하는 다음의 자료들을 활용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85.htm [성 토마스 아퀴나스 용어집]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교회의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을 전달하는 게시판]

 

(#3) 번역자 주:

(1) 다음의 주소에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580항 전문과 이어지는 글을 반드시 여러번 차분히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01_heart_CCC580.htm <----- 필독 권고 

 

(2) 한 처음에 사람이 창조될 때에 하느님께서는 이미 그의 영혼(soul)지성[intellect, 마음(mentus)]자유 의지(free will), 그리고 자연법(the natural law)을 주셨고, 그리고 아담과 하와의 원죄 때문에 타락하게 된 인류의 윤리성(morality)의 회복을 위한 그 첫 단계로서, 모세를 통하여 당신에 의하여 선택된 백성인 이스라엘의 자손들에게 당신의 신법(divine law)/계시법(revealed law)도 또한 알려 주셨으나,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백성의 윤리성의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인데, 이를 지켜보시던 성부 하느님께서는, 드디어, 오로지 인류에 대한 당신의 사랑(love) 때문에, 이스라엘의 자손들뿐만이 아니라 인류 전체의 윤리성의 회복을 위한 한 개의 결정적이고 또한 충분한 길인 은총의 법/사랑의 법/새 법(the New Law)을 새로 마련해 주시고자, 당신의 명에 따라 사람이 되신, 당신의 외아드님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몸(body)을, 그리하여, 특히, 하느님의 심장(God's heart)인 바로 이분의, 살(flesh)과 피(blood)로 이루어진, 인간의 심장(his human heart)을, 인류의 속량(Redemption)을 위한 희생 제물로 바치게 하셨던 것이다(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580항을 꼭 읽도록 하라)

 

(3) 바로 위의 제(2)항에 간략하게 말씀드린 이러한 성부 하느님의 인류 구원 계획의 관점을 지속적으로 유념하면서, "그리스도의 인간의 심장(the human heart of Christ)"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다음의, 우리말본이 아닌, 라틴어 정본, 영어본, 그리고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항들은의 번호들인데, 우리말본이 아닌 이 항들을 아래에 나열된 순서대로 읽도록 하라:

 

CCC 580 [바로 위의 주소] <----- 필독 권고

CCC 609 <----- 필독 권고

CCC 478 <----- 필독 권고 

CCC 2599 [아래에 있는, 이 글의 제3-5-2-1항] <----- 필독 권고

CCC 2765 [아래에 있는, 이 글의 제3-5-2-3항] <----- 필독 권고

CCC 2603 [아래에 있는, 이 글의 제3-5-2-2항] <----- 필독 권고

CCC 470

-----

 

...

 

Finally, translators are strongly encourag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that may be drawn from citations of biblical texts in the writings of the Fathers of the Church, and also from those biblical images more frequently found in Christian art and hymnody.

 

끝으로, 번역자들이 교부들의 저술들에 있는 성경 본문들의 인용들로부터, 그리고 또한 그리스도교 예술과 찬미가(hymnody)에서 더 자주 발견되는 바로 그 성경 묘사(biblical images)들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는, [성경 본문에 대한] 해석의 역사(the history of interpretation)(#4)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 강력하게 독려된다.

 

-----
(#4) 번역자 주: 이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2006년 12월부터 제공해온 다음의 홈페이지에 있는 가톨릭 보편 교회의 문헌들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 용; 호환용 보기 설정 선택이 필요함]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 폰용]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3-5-2. 다음은, his human heart(son cœur d’homme)이 사용되고 있는, 영어본 및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599항, 제2603항, 그리고 제2765항 등에서의 해당 문장들을 발췌한 것입니다:

 

3-5-2-1.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599항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599항)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FRA0013/__P8Y.HTM

2599 Le Fils de Dieu devenu Fils de la Vierge a appris à prier selon son cœur d’homme. Il a appris les formules de prière de sa mère, qui conservait et méditait dans son cœur toutes les " grandes choses faites par le Tout-Puissant " (cf. Lc 1, 49 ; 2, 19 ; 2, 51). Il l’apprend dans les mots et les rythmes de la prière de son peuple, à la synagogue de Nazareth et au Temple. Mais sa prière jaillit d’une source autrement secrète, comme il le laisse pressentir à l’âge de douze ans : " Je Me dois aux affaires de mon Père " (Lc 2, 49). Ici commence à se révéler la nouveauté de la prière dans la plénitude des temps : la prière filiale, que le Père attendait de ses enfants, va enfin être vécue par le Fils unique Lui-même dans son Humanité, avec et pour les hommes.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599항)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4s1c1a2.htm#2599

2599 The Son of God who became Son of the Virgin also learned to pray according to his human heart. He learns the formulas of prayer from his mother, who kept in her heart and meditated upon all the "great things" done by the Almighty.41 He learns to pray in the words and rhythms of the prayer of his people, in the synagogue at Nazareth and the Temple at Jerusalem. But his prayer springs from an otherwise secret source, as he intimates at the age of twelve: "I must be in my Father's house."42 Here the newness of prayer in the fullness of time begins to be revealed: his filial prayer, which the Father awaits from his children, is finally going to be lived out by the only Son in his humanity, with and for men.

 

(졸번역)

2599 동정녀의 아드님이 되셨던 하느님의 아드님께서는 당신의 인간의 심장(his human heart)에 따라 기도하는 것을 또한 배우셨습니다. 당신께서는, 거룩하신 분에 의하여 과거에 행해졌던 모든 "커다란 실들"을 자신의 심장(her heart) 안에 간직하셨고 그리고 묵상하셨던, 당신의 어머니로부터 기도의 정식(the formula of prayer)을 배우십니다. (이하, 생략)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3-5-2-1-(i): 다음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 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599항 전문인데, 바로 위의 많이 부족한 죄인의 우리말 번역문들과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다른지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라: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
page=918

(발췌 시작)

2599 동정녀의 아들이 되신 하느님의 아들께서는 또한 당신께서 지니신 인간 심성에 따라 기도하는 법을 배우셨다. 예수님께서는 전능하신 분께서 마련하신“큰일” 들을 모두 마음속에 간직
하시고 묵상하시던 41) 당신 어머니에게서 기도문을 배우셨다. 예수님께서는 나자렛의 회당과 예루살렘의 성전에서, 당신 동포들이 기도할 때 썼던 말과 운율에 젖어 기도를 배우셨다. 그러나 예수님의 기도는, 벌써 열두 살 때“저는 제 아버지의 집에 있어야 할줄을 모르셨습니까?” (루카 2,49) 라고 암시하셨듯이, 좀 더 신비로운 원천에서 솟아 나온 기도였다. 바로 여기에서 때가 차 드리신 기도의 새로움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곧, 하느님 아버지께서 당신 자녀들에게 기대하시던 자녀다운 기도를, 마침내 사람이 되신 외아들께서 사람들과 함께 그리고 사람들을 위하여 바치신 것이다.

(이상, 발췌 끝)

 

3-5-2-2.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03항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03항)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FRA0013/__P8Y.HTM

2603 Du Christ, durant son ministère, les évangélistes ont retenu deux prières plus explicites. Or elles commencent chacune par l’action de grâces. Dans la première (cf. Mt 11, 25-27 et Lc 10, 21-23), Jésus confesse le Père, le reconnaît et le bénit parce qu’il a caché les mystères du Royaume à ceux qui se croient doctes et l’a révélé aux " tout petits " (les pauvres des Béatitudes). Son tressaillement " Oui, Père ! " exprime le fond de son cœur, son adhésion au " bon plaisir " du Père, en écho au " Fiat " de Sa Mère lors de sa conception et en prélude à celui qu’il dira au Père dans son agonie. Toute la prière de Jésus est dans cette adhésion aimante de son cœur d’homme au " mystère de la volonté " du Père (Ep 1, 9).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03항)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4s1c1a2.htm#2603

2603 The evangelists have preserved two more explicit prayers offered by Christ during his public ministry. Each begins with thanksgiving. In the first, Jesus confesses the Father, acknowledges, and blesses him because he has hidden the mysteries of the Kingdom from those who think themselves learned and has revealed them to infants, the poor of the Beatitudes.48 His exclamation, "Yes, Father!" expresses the depth of his heart, his adherence to the Father's "good pleasure," echoing his mother's Fiat at the time of his conception and prefiguring what he will say to the Father in his agony. The whole prayer of Jesus is contained in this loving adherence of his human heart to the mystery of the will of the Father.49

 

(졸번역)
2603 [...] "그렇습니다, 아버지!"(마태오 11,26) 라는 당신의 외침은, 당신을 수태하는 시점에 당신의 어머니의 거룩한 순종(Fiat)을 반향하는(echoing) 그리고 당신의 고뇌 안에서 당신이 성부께 장차 말씀하실 바를 예표하는(prefiguring), [우리에게 하늘 나라를 주시고자 하는] 성부의 "선의/호의(good pleasure)"(루카 12,32; 필리피 2,13) 쪽으로 당신의 집착(執着, adherence)인, 당신의 심장(heart)의 깊이를 표현합니다. 예수님의 전체 기도는 성부의 의지의 신비 쪽으로 당신의 인간의 심장(his human heart)바로 이러한 애정 있는 집착(執着)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에페소 1,9).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3-5-2-1-(ii): 다음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 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603항 전문인데, 바로 위의 많이 부족한 죄인의 우리말 번역문들과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다른지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라. 아래의 발췌문의 후반부에는 심각한 수준의 번역 오류가 있다는 생각이며, 특히 마지막 문장에는, 영어로 "heart"로 번역되는 성경 용어를 "심장"으로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을 하지 않고, 대신에, "마음"으로 잘못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을 하다 보니,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 또다른 종류의 심각한 수준의 번역 오류가 있다는 생각이다: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
page=920

(발췌 시작)

2603 복음사가들은 예수님께서 공생활 동안 드리셨던 두 편의 기도를 아주 분명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이 두 기도는 각각 감사로 시작된다.  첫째 기도에서, 51) 예수님께서는 성부를, 하늘 나라의 신비를 스스로 똑똑하다고 자신하는 사람들에게는 감추시고“철부지 어린이들” (참행복의 가난한 사람들) 에게 나타내 보이시는 분으로 고백하시며, 성부를 그러한 분으로 알아 뵙고 성부께 찬미를 드리신다. “그렇습니다, 아버지!”하고 예수님께서 외치신 감탄사는 그분의 깊은 마음속을 드러내며, 성부의 뜻에 순종하시는 그분의 심정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외침은 성모 마리아께서 예수님을 잉태했을 때“말씀하신 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하신 말씀을 반향하는 것이요, 또한 예수님께서 죽음을 앞두고 고뇌하시던 중에 성부께 드리신 말씀의 전조가 되는 것이다. 예수님의 모든 기도는 그분께서 인간으로서 지니신 충만한 사랑의 마음으로 성부의“심오한 뜻”을 52) 전적으로 받아들이는 동의로 집약된다.

(이상, 발췌 끝)

 

3-5-2-3.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765항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765항)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FRA0013/__P9S.HTM

2765 L’expression traditionnelle " Oraison dominicale " [c’est-à-dire " prière du Seigneur "] signifie que la prière à Notre Père nous est enseignée et donnée par le Seigneur Jésus. Cette prière qui nous vient de Jésus est véritablement unique : elle est " du Seigneur ". D’une part, en effet, par les paroles de cette prière, le Fils unique nous donne les paroles que le Père lui a données (cf. Jn 17, 7) : il est le Maître de notre prière. D’autre part, Verbe incarné, il connaît dans son cœur d’homme les besoins de ses frères et sœurs humains, et il nous les révèle : il est le Modèle de notre prière.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765항)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4s2a1.htm#2765

2765 The traditional expression "the Lord's Prayer" - oratio Dominica - means that the prayer to our Father is taught and given to us by the Lord Jesus. The prayer that comes to us from Jesus is truly unique: it is "of the Lord." On the one hand, in the words of this prayer the only Son gives us the words the Father gave him:13 he is the master of our prayer. On the other, as Word incarnate, he knows in his human heart the needs of his human brothers and sisters and reveals them to us: he is the model of our prayer.

 

(졸번역)

2765 [...] 다른 한편으로, 강생하신 거룩한 말씀이시기에, 당신께서는 당신의 인간의(human) 형제들과 자매들의 필요한 것들을 당신의 인간의 심장(his human heart) 안에서 알고 계시고 그리고 그것들을 우리에게 드러내십니다: 당신께서는 우리의 기도의 모범이십니다.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3-5-2-1-(iii): 다음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 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765항 전문이다:

 

출처: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
page=979

(발췌 시작)

2765 ‘주님의 기도’ (Oratio dominica 곧 Oratio Domini) 라는 전통적인 표현은 주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가르쳐 주시고 전해 주신 우리 아버지께 드리는 기도라는 뜻이다. 예수님에게서 우리에게 전해진 이 기도는 참으로 유일한 것으로서 ‘주님의’ 기도이다. 한편, 외아들께서 이 기도의 말씀을 통해, 성부께서 당신에게 주신 말씀을 몸소 우리에게 전해 주신다. 13) 예수님께서는 우리 기도의 스승이시기 때문이다. 반면에, 예수님께서는 인간이 되신 말씀으로서, 인간의 마음으로 당신의 인간 형제자매들에게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를 아시고, 그것들을 우리에게 알려 주신다. 예수님께서는 우리 기도의 모범이시다.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이상, 질문 1에 대한 답변 끝)

 

3-6. 질문 2: 그렇다면, 형이하학적 물체인 우리의 신체의 중요한 기관을 말하는 성경 용어인 "heart" 가, 유독 우리나라 그리스도교에서만, 도대체 무슨 이유로, "심장(心臟)" 이 아닌,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순수한 우리말 단어인 "마음"으로 애초에 잘못 번역이 되었을까요?

 

질문 2에 대한 답변 시작:

3-6-1.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듯이,

http://www.archives.nd.edu/cgi-bin/words.exe?cor

http://www.wordreference.com/fren/c%C5%93ur

http://www.archives.nd.edu/cgi-bin/words.exe?mens

http://www.wordreference.com/fren/intelligence

 

(i) 가산 명사(countable noun)인 심장(heart)을 나타내는 프랑스어 단어 cœur 남성 명사(masculine noun)이고,(*) 그리고 불가산 명사(uncountable noun)인 마음(mind)을 나타내는 프랑스어 단어 intelligence여성 명사(feminine noun)[주: 대응하는 라틴어 mens 도 또한 여성 명사]임에도 불구하고, 그러나 

(ii) 영어 명사(nouns)들과 우리말 명사(nouns)들에 있어, 남성, 여성, 중성을 제대로 구분할 수 없는 어법상의 결함과, 또한, 설상가상으로,

(iii) 우리말 명사(nouns)들의 사용에 있어, 단수 혹은 복수도 제대로 나타내지 않는, 그리하여, 가산 명사불가산 명사를 구분하지 않는/못하는 또다른 종류의 어법상의 결함을, 십분 활용(?)하여,

 

-----

(*) 게시자 주: 라틴어 명사들과는 달리, 프랑스어 명사들의 [문법적(grammatical)] 성(gender)은 남성(masculine) 혹은 여성(feminine) 둘 중의 하나이며, 대응하는 라틴어 cor 는 중성 명사(neuter noun)이다.

-----

 

1960년대 혹은 그 이전에 국내의 개신교측에서 영어본 성경을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개신교 일부 교파들의 교리상의 문제 때문에, 형이하학적 물체인 우리의 신체의 중요한 기관이기에 분명히 가산 명사(countable noun)인 "heart" 를 임의적/자의적/의도적으로,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기에 분명히 불가산 명사(uncountable noun)인 "마음"으로, 영어 어법에도 맞지 않게, 우리말로 잘못 번역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 대단히 불행하게도, 이것을 국내의 가톨릭측에서도 그대로 받아들여 지금까지 사용해 왔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지금 지적하는 바는, 개신교 목회자가 되고자 과거에 개신교 신학 대학원에까지 진학하였으나, 그러나 그만 두고, 가톨릭 신앙에 귀의하신 분께서, 최근에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게 직접 말씀해 주신 내용입니다.

 

3-6-2.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신약 성경의 네 복음서들에서 하느님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께서 직접 "심장(heart, kardia)" 이라고 말씀하신 것을, 국내의 개신교측에서 지난 1960년대 혹은 그 이전에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자의적/임의적/의도적으로 "마음"으로 바꿔치기 한 것은 정말로 곤란하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하느님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한 말씀을 피조물인 인간들이 특정 지역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자의적/임의적/의도적으로 변조/훼손하는 행위는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하더라도, 당신께 직접적으로 반하는 중대한 죄의 원인(offense)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바로 이 이유 때문에,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직접 구체적으로, 그리스어 어원들과의 정밀한 비교/검토까지 하면서, 이에 대하여 확인한 바는 다음의 글의 제2항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03.htm <----- 필독 권고

 

-----
(*) 게시자 주: 가톨릭 보편 교회가 이미 수용한, 이 문제에 대한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의 지적은 다음의 글[제목: 성경 본문의 무오성(inerrancy)에 대한 성 아우구스티노의 입장]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9.htm <----- 필독 권고

-----

 

3-6-3. 더 구체적으로, 우리들의 윤리성(morality)의 회복을 위하여, 그리스도교 윤리의 대 헌장인 산상 설교에서 성자 하느님이신 예수님께서 직접 말씀하셨던 바는 "심장(heart)" 이었지, 우리말본 성경들에서 잘못 번역된 "마음" 이 결코 아니었습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어, 다음의 마태오 복음서 5,28에 대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80년 8월 4일자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제목: Opposition in the human heart between the spirit and the body(영과 몸 사이에 있는 인간의 심장(the human heart) 안(內)에 있는 대립)]을 차분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www.miraclerosarymission.org/ga80aug04.html

(발췌 시작) 

5. According to the first letter of John 2:16, lust shows above all the state of the human spirit. Also the lust of the flesh bears witness in the first place to the state of the human spirit. It will be opportune to devote a further analysis to this problem. Applying Johannine theology to the field of the experiences described in Genesis 3 as well as to the words spoken by Christ in the Sermon on the Mount (Mt 5:27-28), we find, so to speak, a concrete dimension of that opposition which—together with sin—was born in the human heart between the spirit and the body.

 

5. 1요한 2,16에 따르면, 음욕(lust)은 무엇보다도 먼저 인간의 영(the human spirit)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또한 육의 음욕(the just of the flesh)은 인간의 영의 상태에 대하여 첫째로 증언합니다. 바로 이 문제에 대한 [다음과 같은] 어떤 추가적인 분석에 몰두하는 것은 장차 적절할(oppotune) 것입니다. 산상 설교(마태오 5,27-28)에서 그리스도에 의하여 말해졌던 담화(the words)에 대하여서뿐만이 아니라 창세기 제3장에 서술되어 있는 경험들의 영역에 대한 사도 요한의 신학(Johannine theology)을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말하자면, 영(the spirit)과 몸(the body) 사이에 있는, 인간의 심장(the human heart) 안(內)에, 죄와 함께, 과거에 태어난, 바로 그 대립(opposition)에 대한 어떤 구체적인 양상(a concrete dimension)을 발견합니다. 

 

Its consequences are felt in the mutual relationship of persons, whose unity in humanity is
determined right from the beginning by the fact that they are man and woman. Since "another law at war with the law of (my) mind" (Rom 7:23) has been installed in man, there exists almost a constant danger of this way of seeing, evaluating, and loving, so that "the desire of the body" is more powerful than "the desire of the mind". And it is precisely this truth about man, this anthropological element that we must always keep in mind, if we wish to understand completely the appeal made by Christ to the human heart in the Sermon on the Mount.

 

그 결과들은, 그들이 사람(man)과 여자(woman)라는 사실에 의하여 인성(humanity)에 있어 그들의 단일성(unity)이 애초부터 올바르게 결정되는, 인격(persons)들의 상호 관계 안에서 느껴집니다. 왜냐하면 "(나의) 이성/지성의 법과 대결 중인 또다른 법" (로마 7,23)이 사람 안에 이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몸의 욕망(the desire of the body)" 이 "이성/지성의 욕망(the desire of the mind)" 보다 더 힘이 있도록 하는 바로 그러한 방식의 바라 보는 행위(seeing), 평가 행위(evaluating), 그리고 사랑하는 행위(loving)로 이루어진 어떤 지속적인 위험이 대체로(almost) 존재합니다. 그리하여, 만약에 산상 설교에서 인간의 심장(the humann heart) 쪽으로 그리스도에 의하여 마련되었던 호소를 완전하게 이해하는 것을 우리가 바란다고(wish) 한다면, 우리가 반드시 항상 마음에 기억하여야 하는 것은 정확하게, 바로 이 인류학적 요소인, 사람에 관한 바로 이 진리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6-4. 더구나,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는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107, a1, ad2 에서 다음과 같이 가르칩니다:

 

출처: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a-106-108.htm#q107a1ad2

(발췌 시작)
Hence the New Law which derives its pre-eminence from the spiritual grace instilled into our hearts, is called the "Law of love": and it is described as containing spiritual and eternal promises, which are objects of the virtues, chiefly of charity.

 

따라서 우리의 심장(hearts)들 안쪽으로 스며 들게 되는(instilled) 영적 은총(the spiiritual grace)으로부터 그 탁월성을 도출하는 새 법(the New Law)"사랑의 법(Law of love)" 이라고 불리며, 그리고 이 법은, 덕(virtues)들의, 주되게 애덕(charity)의, 대상들인, 영적인 그리고 영원한 약속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서술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질문 2에 대한 답변 끝)

 

3-7. 질문 3: 국내의 가톨릭계에서 적어도 언제부터, 우리의 신체의 중요한 장기를 말하는, 형이하학적 물체를 나타내는, 중성 명사인 라틴어 용어 "cor"여성 명사인 라틴어 용어 "mens" 에 대응하는,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순수한 우리말 "마음" 으로 잘못 번역이 되기 시작하였는지요? 그러한 구체적인 증거가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질문 3에 대한 답변 시작:

3-7-1.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적어도 1969년부터로 파악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글은 다음에 있으니, 클릭한 후에 끝까지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8_mistranslation_of_heart_in_Korea.htm <----- 필독 권고

혹은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8_cor2mens_translation_error_in_Korea.htm <----- 필독 권고

(이상, 질문 3에 대한 답변 끝)

  

4.

4-1.  번역서인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중국 청 나라 초기에, 예수회 소속 선교사 신부님들인 마테오 리치, 판토하 등에 의하여, 적어도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of Hippo) 이후로 가톨릭 교회의 윤리 신학 분야의 전통적 용어인 라틴어 "concupiscentia" "慾偏情(사욕편정)"이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로 교리적으로 올바르게 "한문 문화권" 안쪽으로 번역되었으며 그리고 이 차용(借用) 번역 용어가 또한 우리나라 가톨릭 교우들에게도 잘 전달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그러나 1801년의 신유박해(辛酉迫害)와 이어지는 여러 번의 박해들을 겪은 후, 대략 20세기 초부터 국내의 가톨릭계에 "慾偏情(사욕편정)" 으로 [즉, 첫 한자 단어가 에서 로 바뀜] 대단히 잘못 알려지게 된 데에 대한 글과 유관 글들은 다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10.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concupiscence.htm <----- 필독 권고

 

4-2. 번역서들인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공동번역 성서" 및 "새 번역 성경"에서, 지금까지, (i) 칠죄종(七罪宗, the seven capital sins)들 중의 하나인 "envy(질투)" 로 번역되는 용어가 나타내는 개념과 (ii) 칠죄종들에 포함되지 않는 "jealousy(시기)" 로 번역되는 용어가 나타내는 개념 사이의 차이점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envy_vs_jealousy_concept_error.htm <---- 필독 권고

 

4-3. 다음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와 체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인류의 빛(Lumen Gentium)" 에서, 영어로 "the order of grace" 로 번역되는 표현이, 대단히 안타깝게도,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사물들 중에는 사물들 사이의 관계(relationships) 중의 한 종류인 순서/질서(orders)들이 또한 있음을 알지 못하는 번역자에 의하여, "은총의 순서/질서" 로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지 않고, 납득할 수 없는 수준의 자의적/작위적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을 하여 우리말로 잘못 번역한 것에 대한 글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37.htm <----- 필독 권고

 

4-4. 번역서들인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공동번역 성서" 및 "새 번역 성경"에서, 지금까지, (i) "성화(sanctification)" 와 관련하여 대단히 중요한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인 "perfect" 로 번역되는 용어가 나타내는 개념과 (ii) "complete" 로 번역되는 세속의 용어가 나타내는 개념 사이의 차이점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둘 다를 모두 한 개의 표현인 "완전하다"로 잘못 번역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4.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08.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33.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80.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complete_vs_perfect_concept_error.htm

 

4-4. 번역서들인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공동번역 성서" 및 "새 번역 성경"에서, 지금까지, (i) "credere Deum", (ii) "credere Deo", 그리고 (iii) "credere in Deum" 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여, 이들 모두를 한 개의 표현인 "하느님을 믿다"로 잘못 번역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글들은 다음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48.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49.htm <----- 필독 권고

 

 

5. 결언

지금까지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언어 장벽과 문화 장벽 때문에,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위의 항들에서 안내해 드린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신뢰할 수 있는 문헌들의 가르침들이 국내의 가톨릭 신자들에게는 생소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그러나 점차로 세월이 흘러 이들 문헌들의 내용이 성경 공부 혹은 미사 중의 강론 말씀 등을 통하여 국내의 가톨릭 교우님들께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제대로 전달될 날이 결국에 올 것임을 조금이라도 고려한다면, 이 글에서 지적하고 있는 그러한 종류의 번역 오류는, 결국에 다수의 국내의 교수 신부/수녀님들, 신학 혹은 철학 전공자로서 해외 유학 중인 성직자들과 수도자들, 강론 준비를 하여야 하는 국내의 성직자들 및 수도자들, 그리고 일정 수준 이상의 변별력과 식견을 가진 교우님들께 자괴감과 허탈감, 고뇌와 상처 등을 가져다 줄 수도 있기 때문에라도, 되도록 빠른 시일 내에 바로잡아져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참 진리들과, "신앙의 유산"에 근거한,  이 진리들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 문헌들의 가르침들은, 교회 안과 밖의 어떠한 형식의 제도와 제약 등에 의하여 본의 아니게 발생될 수도 있는, 왜곡 혹은 억압의 대상이 되어서는 결코 아니 되기 떄문입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32시간 (자료 조사 포함)

 



1,691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