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한문본 성년광익 은 우리말본 성경직해광익 의 번역대본들에 반드시 포함된다 1242_

인쇄

. [121.190.18.*]

2018-11-05 ㅣ No.1963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63.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1. 들어가면서

 

1-1. 왜냐하면, 우리말본 "성경직해광익", 권2, 십자성가첨례성경, 의행지덕의 번역대본은, 한문본 "성경광익"아니고, 한문본 "성년광익", 5월 3일, 의행지덕이기 때문입니다.

 

한문본 "성경광익"에는, "천주강생성경직해"에서 십자성가 첨례로 수록되어 있는, 십자성가첨례 자체가 수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아래의 제2-2-(ii)항에 안내된 주소에 접속하면,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순조1년(1801년) 10월 9일자, "추안급국안", 권25, 제758쪽, 제2-6열에서 이가환이, [1784년 말 혹은 1785년 초에이벽 성조(1754-1785년)로부터 한문본 "성년광익"을 빌려 보았다는, 신문/문초 기록이 아닌황사영 백서의 [전문이 아닌 일부] 사본에 의하여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되고 있으므로, 따라서 "성년광익"은 아무리 늦더라도 1784년에 이르면 우리나라 조선에 이미 전래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사료 분석 I

 

2-1.

2-1-(i).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1738년에 초간된 드 메야/마이야 신부님(1669-1748년)의 한문본 "성년광익", 5월 3일, 십자성가, 의행지덕축문을 읽을 수 있고,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669-1748_모이리악_드_메야/1738_성년광익_권5_5월_3일_심획십자성가.htm

(발췌 시작)

(이상, 발췌 끝)

 

2-1-(ii). 다음은, "천진암성지 자료집, 제116권"에 수록되어 있는, 천진암 성지가 소장 중인 "성경직해광익" 필사본들 중에서 가장 후대의 필사본인, 우리말본 "성경직해광익", 권2, 십자성가첨례성경, 의행지덕축문을 발췌한 것인데,

 

(발췌 시작)

 

 

 

 

(이상, 발췌 끝)

 

이들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십시오.

 

(이 글의 결론 1) 1738년에 초간된 드 메야/마이야 신부님(1669-1748년)의 한문본 "성년광익", 5월 3일, 십자성가, 의행지덕, 및 축문이 우리말본 "성경직해광익", 권2, 십자성가첨례성경, 의행지덕축문의 번역대본임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2-1-(iii). 그런데,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국립중앙도서관 전자도서관 제공의 1938년판 우리말본 "성경직해", 권2, 십자성가첨례성경, 의행지덕 및 축문을 읽을 수 있는데,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890년대/우리말본_성경직해_권2_심획십자성가첨례성경_제379-403쪽.htm <----- 필히 클릭하여, 바로 위의 제2-1-(ii)항에 발췌된 바와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라.

(축문 발췌 시작)

(이상, 발췌 끝)

 

언뜻 살펴보더라도 명백하게 알 수 있는 것이, 특히, 축문이, 바로 위의 제2-1-(ii)항에 발췌된, 천진암 성지가 소장 중인 "성경직해광익" 필사본들 중에서 가장 후대의 필사본인, 우리말본 "성경직해광익", 권2, 십자성가첨례성경, 축문으로부터, 완전히 다른, 대단히 짧은, 문장으로 교체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2-1: 따라서, 지금까지 바로 위의 제2-1항에서 고찰한 바로부터,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 글의 결론 2) 우리말본 "성경직해광익"이라는 책 제목이, 19세기 말 경에 들어와, 또다른 우리말 제목인 "성경직해"로 교체된 이유(들)에, 바로 위의 제2-1-(ii)항에서 지적한 점, 즉, 축문이 교체된 것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2-2.

2-2-(i). 더 나아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총 38개이 첨례들이 "천주강생성경직해" 목록에 나열되어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74-1659_엠마누엘_주니오르_디아스/1636_천주강생성경직해.htm 

(발췌 시작)

권5_1_성지예의첨례_275-279

권5_6_오주야소수난지첨례_279-329

 

권6_11_야소부활후제1부첨례_340-346
권6_17_야소부활후제2부첨례_346-348
권6_20_야소부활후제3부첨례_349-352
권6_24_성다묵종도첨례_353-358
권6_54_성신강림후제1부첨례_383-386
권6_57_성신강림후제2부첨례_386-389

 

권9_1_오주야소첨례_성모영보첨례_111-126
권9_15_오주야소성탄첨례_126-145
권9_34_입야소성명첨례_145-148
권9_38_3왕래조야소첨례_149-154
권9_43_성모왕헌야소or성모헌야소우주당첨례_154-160
권9_49_야소건립성체대례or야소건정성체첨례_160-165
권9_55_오주야소승천첨례_166-170
권9_60_야소성체or성체첨례_171-176
권9_65_10자성가첨례_176-187(*) (<---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5월초3일, 요한 복음서 3,1-8(1969년에 개정된 지금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부활 제2주간 월요일 복음 말씀); 9-15(1969년에 개정된 지금의 전례력에 있어, 매년 부활 제2주간 화요일 복음 말씀)] [(2017년 1월 4일) 주: 제75쪽에서 "천주의자(義子)" = "하느님의 입양 자식"이라는 번역 용어가 요한 복음서 3,3의 각주(제72쪽)에서 한 번 그리고 이 절의 잠(제75쪽)에서 두 번 사용되고 있음. 이들 각주와 잠의 내용은, 세례를 받음으로써, 세례를 받는 자가 "천주의자", 즉, 하느님의 입양 자식이 된다는 내용임.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있는 졸글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44.htm (<--- 필독 권고). 그리고 "천주자"에는 "천주진자(眞子)""천주의자(義子)" 이렇게 두 종(種)이 있다는 식의 설명이 각주에 주어져 있음.]
     권9_65_10자성가소론_176-181
     권9_70_심득성가지례_181-182 

 

-----

(*) 게시자 주: 여기서 발췌되고 있는 요한 복음서 3,1-8을, 소제목 아래에서, 약한 제3편이라고 표기하였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더 나아가, "천주강생성경직해" 본문 전체에 걸쳐, 사도 요한세례자 요한 두 분 모두가, 지금처럼 아무런 구분 없이, "약한"[주: 17세기 중국어 발음은 "요한"에 가까움]으로 번역되었음에 대한 필자의 졸글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61.htm <----- 필독 권고

-----

 

권10_1_성모첨례_187-198
권10_12_성모성탄첨례_198-199
권10_13_성모영보첨례_199-199
권10_13_성모왕견성부의살백이첨례_199-206
권10_21_성모승천첨례_207-221

 

권11_1_건성미액이대천신전첨례_222-236
권11_17_성백탁라_성보록_2위종도첨례_239-246
권11_25_성암덕륵종도첨례_247-258
권11_37_성아각백종도첨례_259-269

 

권12_1_성약망종도_겸성사첨례_269-277
권12_9_성비리백_성아각백_2위종도첨례_277-284
권12_17_파이다록무종도첨례_285-291
권12_24_성마두종도_겸성사첨례_292-298
권12_30_성서만_성대두_2위종도첨례_298-304
권12_37_성마제아종도첨례_305-311

 

권13_6_제성첨례/제성인지첨례_318-338
권13_26_성약망보제사대탄일or성약한보제사대탄일첨례_338-345
권13_34_성사덕망수선치명자첨례_346-350
권13_38_성로릉좌치명지첨례_350-354

 

권14_1_성회예의첨례_359-364
권14_7_사념성교중선인첨례_365-368

(이상, 발췌 끝)

 

2-2-(ii).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총 21개의 첨례들이 "성경광익" 목록에 나열되어 있음을, 그리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669-1748_모이리악_드_메야/1740_성경광익.htm

 

2-3. (이 글의 결론 3) 따라서, 위의 제1-1항에서 지적한 바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우리말본 "성경직해광익"의 의행지덕들은, 상당수의 첨례들의 경우에, 그 번역대본이 오로지 한문본 "성경광익"일 수가 없고, 우리말본 "성경직해광익"의 초벌 번역이 마련될 당시에 이미 우리나라 조선에 전래되어 있었던, 한문본 "성년광익"의행지덕들임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게시자 주 2-2: 따라서,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지금까지 초판 "가톨릭대사전"개정판 "가톨릭대사전" 둘 다에 수록된 "성경직해"에 대한 서술에서 우리말본 "성경직해광익"의 번역대본으로서, (i) "천주강생성경직해", (ii) 한문본 "성경광익" 이들 둘 오로지 언급하고 있는데, 그러나 여기에 추가로, 가톨릭대사전의 또다른 개정판이 편집될 때에 표제어 "성경직해" 아래의 서술에서, (iii) 한문본 "성년광익"이 우리말본 "성경직해광익"의 번역대본들에 포함됨을 반드시 언급하여야 할 것입니다:

http://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1614 

http://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1615  

http://ch.catholic.or.kr/pundang/4/cb/가톨릭대사전/성경직해&성경직해광익.htm

(이상, 게시자 주 2-2 끝) 

 

작성 중입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488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