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게시판

[중고등부] 삶의 질

인쇄

ManSokKu,Lee [nikolas9] 쪽지 캡슐

1999-10-17 ㅣ No.1510

 플라톤의 행복철학이 밝힌 삶의 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하고 싶은 수준보다 조금 못 먹고 못 입으며 못 사는 정도의 재산.

2) 사람들이 칭찬하기에는 약간 모자라는 품성과 용모의 아내.

3) 자만하고 있는 것의 절반밖에 알아주지 않은 명예.

4) 두 사람한테 이기고 한사람한테 지는 정도의 체력.

5) 청중의 반수만이 손뼉을 치는 웅변력.

 곧 지금 생각하면 이상한 부분도 있지만 적당히 모자란 재력과 재능을 지니고 열심히 사는

것이 당시 희랍인이 생각하는 수준 높은 삶의 질이었습니다.

 

 17세기 중국의 문인 김성탄에게 어떤 정도로 세상사는 것을 원하는가 물었습니다. 이에 그

는,

"한 가난한 학도가 돈을 빌리러 왔으면서 말을 못  꺼내고 머뭇거린다. 이때 뒤란으로 데려

가 나지막이 얼마가 필요한가고 물어 마련해주고 지금 꼭 가야 할 일이 없으면 한 잔 하고

가게나 하고 붙잡을 수 있으면 더 바랄 것이  없다" 했으니 이는 곧 명나라의 삶의 질을 나

타내고 있습니다.

 

 조선조의 삶의 질은 스스로의 분에 만족하는 자적이었습나다.  조신의 자적시에서 완연하게 드

러나고 있습니다.

 ’아 나는 가는 곳마다 자적하네  /몸이 천하므로 작은 벼슬도  영광이요 /집이 가난하므로

  박봉이라도 원망 않네 /거처하는 곳은 무릎만 들이면 되고 /음식은 배만 부르면 좋고 /술

  은 있으면 마시고 없으면 그만 /혼자면 자작 둘이면 대작 /시는 잘  지어 뭣하리 내 뜻이

  나 담으면 그만 /글도 노곤하면 그만 읽고 자고 마니 /이것이 모두 나의 자적이로세.’

 

 퐁피두 前 프랑스 대통령은 정치란  국민의 삶의 질(칼리테 드 비)을  높이는 일이라 하고

다음 여덟 가지를 내세웠습니다.

1) 주급을 절약 주휴 2일을 근검하게 즐길 수 있을 것.

2) 주간에 한번의 가족외식.

3) 자녀들이 고교졸업을 하면 자립시킬 것.

4) 외국어 하나를 구사할 수 있을 것.

5) 스포츠 한 종목을 즐길 수 있을 것.

6) 악기 하나 다룰 줄 알 것

7) 자기 집만의 음식솜씨 하나를 지닐 것.

8) 환경문제에 자기 집 일 이상으로 민감할 것.

 

 이상은 여러 사람들이 책정한 그들만의 독특한  ’행복한 생활’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당신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척도는 무엇입니까?

 

 아마도 지금의 상태에서 부족함을 느끼지 못하고 더 이상의 그 어떤 필요성도 느끼지 못하

는 바로 그 때가 자신의 삶이 최적화(最適化)된 상황이 아닐까요.



38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