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트리덴틴 라틴 미사 허용 자의 교서 - 베네딕토 16세 교황 2007.07.07 [인터넷전교] [라틴미사]

인쇄

[69.138.75.*]

2007-07-09 ㅣ No.756

 
+ 찬미 예수
 
2007.07.07 자로 언론에 공개된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트리덴틴 라틴 미사 집전 허용에 관한 자의교서와 관련한 영문 및 라틴어 자료 출처들을 아래에 모아 보았습니다. 궁금한 분들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cwnews.com/news/viewstory.cfm?recnum=52051 <----- 이번의 자의교서에 대한 뉴스 보도.
 
http://www.ewtn.com/library/papaldoc/b16SummorumPontificum.htm <----- 다음의 교황님 자의교서의 교황청 제공 비 공식 영문 번역본 (서문이 아직은 없음).
 
이 영문 번역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아래에 <부록 1>로 첨부하였습니다.
 
제가 읽어보니, 지역교회의 사제들께서, 일정 수 이상의 본당 신자들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항상 라틴어 미사를 잘 집전할 수 있도록 라틴어 공부를 열심히 하셔야 하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문제가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사실, 우리나라에 불교는 오래 전에 매우 토착화가 잘 되었는데, 지금도 절에 가면 예불 중에 스님들께서는 여전히 인도어의 고어로 쓰여진 경전을 외우는 줄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 불교 신자들이 이런 외국어 경문 때문에 못 알아 들어 못 살겠다는 분들은 별로 없는 듯 합니다. 즉, 진정한 의미의 토착화는, 보편 교회를 지역 교회화 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교회를 보편 교회화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구원의 여정이 펼쳐지는 교회,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으로 세우신 교회는, 지역교회가 아니라, 보편 교회이기 때문입니다.
 
 
http://www.vatican.va/holy_father/benedict_xvi/letters/2007/documents/hf_ben-xvi_let_20070707_lettera-vescovi_en.html <----- 위의 자의교서와 관련하여 주교들에게 보낸 교황님 친서 (바티칸 제공 공식) 영문 본 
 
 
http://www.adoremus.org/0707_1962Missal.html <-----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에 대한 요약
 
 
http://www.vatican.va/holy_father/benedict_xvi/motu_proprio/index_en.htm <----- 바티칸 홈페이지의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자의교서 모음 주소
 
 
 
http://www.sacred-texts.com/chr/lmass/ord.htm <----- 1962년 판 트리엔틴 라틴 미사 경문
 
http://www.latinliturgy.com/nomass.html <----- 1975년 판 라틴 미사 경문
 
  
< 부록 1 >  (미국 EWTN-TV 방송국 홈페이지 제공) 라틴어로 쓰여진 교황님의 자의 교서의 교황청 제공 비 공식 영문 번역본 + 일부 평신자 관련 부분에 대한 게시자의 졸번역(Draft) 삽입.
 
(단, 이 영문본에서 라틴어본 자의교서의 서문은 생략되었으며, 비록 교황청 제공이나 공식적인 영문본이 아닙니다. 나중에 더 완전한 영문본이 인터넷에 올라오면 알려드리겠습니다.)
 
 
Apostolic Letter "Summorum Pontificum" issued Motu Prorpio
Benedict XVI

On Saturday 7 July 2007 Pope Benedict XVI issued an Apostolic Letter on the celebration of the Roman Rite according to the Missal of 1962. The following text is a partial and unofficial Vatican translation of the official Latin text, and is missing the introductory paragraphs. EWTN will provide them as soon as they are available.

Accompanying Letter of Pope Benedict

(. . .)

Our predecessor John Paul II having already considered the insistent petitions of these faithful, having listened to the views of the Cardinal Fathers of the Consistory of 22 March 2006, having reflected deeply upon all aspects of the question, invoked the Holy Spirit and trusting in the help of God, with these Apostolic Letters We establish the following:

Art. 1 The Roman Missal promulgated by Paul VI is the ordinary expression of the Lex orandi (Law of prayer) of the Catholic Church of the Latin rite. Nonetheless, the Roman Missal promulgated by St. Pius V and reissued by Bl. John XXIII is to be considered as an extraordinary expression of that same Lex orandi, and must be given due honour for its venerable and ancient usage. These two expressions of the Church's Lex orandi will in no any way lead to a division in the Church's Lex credendi (Law of belief). They are, in fact two usages of the one Roman rite.

It is, therefore, permissible to celebrate the Sacrifice of the Mass following the typical edition of the Roman Missal promulgated by Bl. John XXIII in 1962 and never abrogated, as an extraordinary form of the Liturgy of the Church. The conditions for the use of this Missal as laid down by earlier documents Quattuor abhinc annis and Ecclesia Dei, are substituted as follows:

Art. 2 In Masses celebrated without the people, each Catholic priest of the Latin rite, whether secular or regular, may use the Roman Missal published by Bl. Pope John XXIII in 1962, or the Roman Missal promulgated by Pope Paul VI in 1970, and may do so on any day with the exception of the Easter Triduum. For such celebrations, with either one Missal or the other, the priest has no need for permission from the Apostolic See or from his Ordinary.

Art 2. 평신자 참여 없이 집전되는 미사들에서는, 수도원 밖이거나 수도원이거나 할 것 없이, 라틴 전례를 집전하는 각 가톨릭 사제는, 요한 23세 교황에 의하여 1962년에 발행된 로마 미사 경문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바오로 6세 교황에 의하여 1970년에 선포된 로마 미사 경문을 사용 할 수 있으며,  그리고 부활절 성삼일(Easter Triduum) 기간을 제외하고는 어느 날이던지 그렇게 할 수 있다. 이들 두 미사 경문 중 어느 것을 가지고, 그러한 미사 집전을 하기 위하여, 사제는 교황이나 그의 주교로부터 허락을 받을 필요가 없다.


Art. 3 Communities of Institutes of consecrated life and of Societies of apostolic life, of either pontifical or diocesan right, wishing to celebrate Mass in accordance with the edition of the Roman Missal promulgated in 1962, for conventual or "community" celebration in their oratories, may do so. If an individual community or an entire Institute or Society wishes to undertake such celebrations often, habitually or permanently, the decision must be taken by the Superiors Major, in accordance with the law and following their own specific decrees and statues.

Art. 4 Celebrations of Mass as mentioned above in art. 2 may - observing all the norms of law - also be attended by faithful who, of their own free will, ask to be admitted.

Art. 4 위의 Art 2에 언급된 바와 같은 미사 집전들에 - 모든 교회법의 규정들을 지키면서 - 그들 자신의 자유의지에 따라, 입회의 허락을 요청하는, 열심신자들 또한 참여할 수 있다


Art. 5 § 1 In parishes, where there is a stable group of faithful who adhere to the earlier liturgical tradition, the pastor should willingly accept their requests to celebrate the Mass according to the rite of the Roman Missal published in 1962, and ensure that the welfare of these faithful harmonises with the ordinary pastoral care of the parish, under the guidance of the bishop in accordance with canon 392, avoiding discord and favouring the unity of the whole Church.

Art. 5 § 1 이전의 전례적 전통을 지킬 것을 고수하는 열심신자들로 구성된 안정적인 그룹이 있는 본당에서, 주임신부는 1962년에 발행된 로마 미사 경문에 따라 미사를 봉헌하고자 하는 이들의 요청을 흔쾌히 수락하여야 하며, 교회법 392에 부합하는 주교의 지침 하에, 불일치를 피하고 전체 교회의 일치를 선호하면서, 이들 열심신자들의 안녕이 그 본당의 통상의 사목적 보살핌과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도록 확실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 2 Cele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issal of Bl. John XXIII may take place on working days; while on Sundays and feast days one such celebration may also be held.

§ 2 요한 23세의 미사 경문에 따른 미사 집전은 평일에도 할 수 있으며, 주일들과 축일들에도 이러한 미사 또한  한 번 집전될 수 있다.

§ 3 For faithful and priests who request it, the pastor should also allow celebrations in this extraordinary form for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marriages, funerals or occasional celebrations, e.g. pilgrimages.

§ 3 열심신자들과 사제들이 요청하면, 결혼식들, 장례식들 혹은, 예를 들어, 순례자들을 위한 미사 등의 기념 미사 집전과 같은 특수한 여건들에 있어 이 매우 특별한 형식으로의 미사 집전을 주임신부는 또한 허락하여야 한다.


§ 4 Priests who use the Missal of Bl. John XXIII must be qualified to do so and not juridically impeded.

§ 4 요한 23세의 미사 경문을 사용하는 사제들은 그렇게 하는 데 있어 자격이 갖추어져야 하며 이들이 교회법적으로 방해를 받아서는 않된다.


§ 5 In churches that are not parish or conventual churches, it is the duty of the Rector of the church to grant the above permission.

§ 5 본당이 아니거나 수도원의 교회인 교회들에서는, 위의 허락함을 허락하는 것은 그 교회의 장상의 의무이다.


Art. 6 In Masses celebrated in the presence of the 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Missal of Bl. John XXIII, the readings may be given in the vernacular, using editions recognised by the Apostolic See.

Art. 6 요한 23세의 미사 경문에 따라 평신자들이 참여한 상태에서 집전되는 미사들에서는, 교황에 의하여 인준을 받은 자국어로 번역된 말씀의 전례용 봉독문들을 사용하여, 독서는 지역 언어로 주어질 수 있다.


Art. 7 If a group of lay faithful, as mentioned in art. 5 § 1, has not obtained satisfaction to their requests from the pastor, they should inform the diocesan bishop. The bishop is strongly requested to satisfy their wishes. If he cannot arrange for such celebration to take place, the matter should be referred to the Pontifical Commission "Ecclesia Dei".

Art 7. 열심 신자 그룹이, 이미 Art 5, § 1에 언급된 바와 같이, 그들의 요청에 대하여 주임신부로부터 만족을 얻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이들은 소속 교구의 주교에게 이것을 알려야 한다. 주교는 이들의 요구를 만족시켜 줄 것이 강하게 요청된다. 만약에 주교가 그런 미사 집전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주선을 할 수 없으면, 이 문제는 Pontifical Commision "Ecclesia Dei"로 알려져야만 한다.


Art. 8 A bishop who, desirous of satisfying such requests, but who for various reasons is unable to do so, may refer the problem to the Commission "Ecclesia Dei" to obtain counsel and assistance.

Art 8. 그러한 요구들을 만족시켜 주고자 하나,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는 주교는, 상담과 지원을 받기 위하여 그 문제를 Pontifical Commision "Ecclesia Dei" 에 알려야 할 것이다.


Art. 9 § 1 The pastor, having attentively examined all aspects, may also grant permission to use the earlier ritual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of Baptism, Marriage, Penance, and the Anointing of the Sick, if the good of souls would seem to require it.

Art. 9 § 1 주의깊게 모든 면들을 심사숙고한 다음, 만약에 선량한 사람들이 그것을 원하는 것으로 보여지면, 주임신부는 세례 성사, 혼배 성사, 고해 성사, 그리고 병자 성유 를 위하여 이들 두 전례 양식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또한 허락할 수 있다.

§ 2 Ordinaries are given the right to celebrate the Sacrament of Confirmation using the earlier Roman Pontifical, if the good of souls would seem to require it.

§ 2 만약에 선량한 사람들이 그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이면, 이전의 Roman Pontifical을 사용하는 견진 성사를 집전할 권한이 주교들에게 주어진다.

§ 3 Clerics ordained "in sacris constitutis" may use the Roman Breviary promulgated by Bl. John XXIII in 1962.

Art. 10 The ordinary of a particular place, if he feels it appropriate, may erect a personal parish in accordance with can. 518 for celebrations following the ancient form of the Roman rite, or appoint a chaplain, while observing all the norms of law.

Art. 11 The Pontifical Commission "Ecclesia Dei", erected by John Paul II in 1988, continues to exercise its function. Said Commission will have the form, duties and norms that the Roman Pontiff wishes to assign it.

Art. 12 This Commission, apart from the powers it enjoys, will exercise the authority of the Holy See, supervising the observance and application of these dispositions.

We order that everything We have established with these Apostolic Letters issued as Motu Proprio be considered as "established and decreed", and to be observed from 14 September of this year, Feast of the Exaltation of the Cross, whatever there may be to the contrary.

From Rome, at St. Peter's, 7 July 2007, third year of Our Pontificate.

 
 
----------------------
 
< 부록 2 > 지난 봄에 있었던 한줄답변 대화 모음
 
 
소순태 (2007/03/09) : 모처럼 좋은 소식 전해 주셨군요..

교황청 내부 소식에 밝은 분께서 작년 가을 어느날 사석에서 전해 주신 것입니다만, 라칭거 추기경님께서 교황님이 되신 후에 각 나라 주교님들이 모인 자리에서 말씀을 끝내기 전에, "지금 이 말을 알아 듣지 못하는 분은 일어서서 나가시오", 라는 말씀을 라틴어로 하셨다고 합니다. 저도 귀로 전해 들은 것이라 꼭 이 말씀을 하셨는지는 모릅니다만, 이 말씀을 전해 주신 분께서는, 지역 교회 사제들 중에 라틴어 미사 집전에 어려움이 있으신 분들께 드린 강한 경고라고 말씀하시더군요.
 
김신 (2007/03/10) : 글쎄요. 저는 라틴어를 거의 못 알아 듣습니다만, 교황님이 농담으로 그렇게 말씀하셨을는지 모르지만 설마 그렇게 매몰찬 말씀을 하셨을리가요.
 
이병렬 (2007/03/10) : 소순태님, 교황님께서 "지금 이 말을 알아 듣지 못하는 분은 일어서서 나가시오" 라는 말씀을 라틴어로 하셨다고요? 그러면 한사람도 안 나갔겠네요. 꼭 개그 같습니다.
 
소순태 (2007/03/10) : 그 말씀을 듣고 그 자리에서 저도 믿기가 힘들었지만, 그런 류의 말씀을 하셨다고 합니다. 제가 받은 인상은, 조만간 미사 중 라틴어 기도를 바치는 것과 관련하여 어떤 조치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병렬 (2007/03/11) : 당연히 믿기 어렵지요. 오늘 결석한 사람 손 들어보라는 것과 같은 말이니... 아무튼 앞으로 라틴어로 미사를 하게되면 무슨 말인지 제대로 알아 듣질 못할텐데 걱정이구만요.
 
김신 (2007/03/11) : 크게 걱정하실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자국어 미사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니까, 라틴어 미사가 불편하다면 여전히 우리말 미사에 참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트리덴틴 양식의 라틴어 미사에서 전례의 색다른 아름다움을 맛볼 수 있는 기회가 넓어지는 것 같아 기대되는데요. 외국에서는 의외로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소순태 (2007/03/11) : 우리나라에 불교는 오래 전에 매우 토착화가 잘 되었는데, 지금도 절에 가면 예불 중에 스님들께서는 여전히 인도어의 고어로 쓰여진 경전을 외우는 줄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 불교 신자들이 이런 외국어 경문 때문에 못 알아 들어 못 살겠다는 분들은 별로 없는 듯 합니다. 즉, 진정한 의미의 토착화는 보편 교회를 지역 교회화 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교회를 보편 교회화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구원의 여정이 펼쳐지는 교회,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으로 세우신 교회는, 지역교회가 아니라, 보편 교회이기 때문입니다.
 
이병렬 (2007/03/11) : 지역교회와 보편교회가 서로 반대말이던가요? 지역교회는 보편성이 없나요? 라틴어로 미사를 집전하면 보편교회가 되고 자국어로 하면 보편성이 떨어지는 것인가요? 소순태님의 논리는 가끔 이해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소순태 (2007/03/12) : 가톨릭 교회의 교계제도와 관련하여, 제가 이병렬 형제님께서 지금 주신 그런 말씀을 드린 적은 단 한 번도 없습니다. 다른 분들께서도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면,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그 저자가 "보편 교회(Universal Church)"이지, 지역 교회(Local Church)(특정 가톨릭 사제 포함)가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
 
소순태 (2007/04/05) :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가톨릭 교회 미사 예절 (즉, 트리텐틴 미사라고 위에서 언급한 미사예절)이 궁금한 분은 다음을 클릭하십시요. 김신 형제님께서 경험한 바와 같이, 신앙적인 면에서 지금의 미사 예절 보다 훨씬 더 좋습니다. 다음의 자료를 꼭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여러 분들께서 읽을 수 있도록 소장 중인 자료를 제가 일일이 입력한 것입니다.
 
 
일단 허용이 되면, 아래의 제 109182글 댓글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라틴어로 미사 집전이 힘드신 본당 사목 담당 사제들에게는 현실적으로 상당한 부담이 될 것입니다만, 농담이 아니라, 가톨릭 신앙에 눈을 뜨신 열심신자들이라면 모두가 너무나 좋아 할 최상의 흠숭지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개인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 트리덴틴 미사 집전이 1969년 이후로 금지되었던 것이 아니라, 1969년 이후로 새 미사 양식을 적극 사용할 것을 당시 교황님께서 권장하셨던 줄로 기억하고 있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전면 허용" 혹은 "허용"이라는 표현들이 최근의 기사들 중에 사용되고 있어, 좀 더 자세히 알아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최진국 (2007/04/05) : 내적으로 다소 문제가 있지만--토착화라는 명목하에 출처불명의 성가를 교중미사에 버젓이 부르는둥,교구인준 없이 복음성가류의 노래를 부르게하고 아무생각없이 부르고 ---그나마 정통전례도 모르는데 아무런 홍보없이 트리텐틴미사를 시행할 경우 수많은 반대에 부딪혀 거기서 나오게되는 논란들이 걱정스럽습니다!!!!~~~~^*^;
 
소순태 (2007/04/05) : 홍보와 교육을 통하여 제한적으로 또 점진적으로, 그러나 지금보다는 더 많이, (외국인들의 왕래가 빈번한) 대도시의 일부 성당의 특정 시간대 미사에서 옛 라틴어 미사를 정례적으로 드릴 수가 있게 될 듯 싶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있어, 언어장벽 때문에, 우선 급한 것이 라틴어 미사를 집전할 수 있는 사제들을 일정수 이상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니까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말씀의 전례에 해당하는 부분 (및 신자들의 기도에 해당하는 부분)은 우리말로 진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백성일 (2007/04/05) : 트리덴틴 미사가 어떤 것인지 궁금해서 동영상을 찾아봤습니다.

 
소순태 (2007/04/05) : 백성일 형제님, 수고하셨습니다.
제 기억에, 미사 집전 사제의 방향이 동쪽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요즈음 미사 중에 장궤를 하지 않거나 못하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매우 매우 불만입니다. 무릎을 꿇고 싶은데 장궤 설치도 되어 있지 않고.. 미사 중에 무릎을 꿇어야 하는 부분이 오면 언제나, "무릎을 꿇어야 하는데.. 무릎을 꿇어야 하는데.. " 그러지 못함이 너무나 답답하고 안타까워서 혼자서 입 속에서 중얼 줄얼 하면서, 그러지 못함에 대하여 천주께 항상 용서를 구합니다. 미사 중에 강림하시는 영생의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께, 어찌 감히 앉아서 혹은 서서, 흠숭지례를 다 할 수 있다고 하는지, 저로서는 매우 큰 불만입니다.
 
 
 백 형제님께서 올려 주신 두 번째 동영상의 해설을 해 주고 계시는 분은, 미국의 Fulton J. Sheen 대주교님 (1895-1979)이십니다.
 
위의 파란색 글자를 클릭하고 들어가, 제일 처음 동영상에 대한 안내글을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Traditional Latin Mass filmed on Easter Sunday in 1941 at Our Lady of Sorrows church in Chicago.
 
부활절 장엄 미사입니다.
 
위의 두 동영상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www.youtube.com/v/IaDiOLD1kLU
http://www.youtube.com/v/R6AOvStZS64
특히, 위의 두 번째 동영상에서 Sheen 대주교님에 의하여 영어로 주어지고 있는 미사 경문의 영어 번역 및 진행과정 설명은 매우 좋으므로, 다른 곳으로 퍼다 날라 널리 알리셔도 참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미사를 집전 중인 사제를 통하여, 삼위일체 예수 그리스도께 수직적으로 결합되는, 살아 있는 자들의 지상 최고의 만남의 자리가, 흠숭지례인 전례가, 바로 "미사"임을 매우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두 분 형제님 덕택에, 이번의 성삼일 및 부활절이 특히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백 형제님께서 수고해 주심에 특별한 감사를 드립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트리덴틴 미사 집전 사제의 방향이 서쪽이어야 할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공생활하신 지역, 죽임 당하시고 부활하시어 승천하신 곳이 우리나라에서는 서쪽에 위치하기에..
 
위의 두 번째 동영상을 보시면서, 위의 두 번째 댓글에 있는 파란 글을 클릭하여, 미사 순서를 참고하시면 진행 내용에 대하여 더 나은 이해를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미사 순서에 있어, 예를 들면, 제일 마지막 부분이, 영성체후축문(성요왕복음 1:1-15) = The Last Gospel (요한 복음서 1:1-14) 으로서, 잘 일치하고 있습니다.
 
김신 (2007/04/05) : 앞으로 지어질 성당은 모르겠지만 기존의 성당 구조를 바꾼다는 것이 어려우니까 기존에 지어진 성당 형편에 맞게 미사를 드려도 상관이 없을 것 같은데요... 그리고 지구가 둥그니까 어디서든 해가 뜨는 동쪽을 바라봐도 별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 교황님의 자의교서가 발표되더라도 그것이 실제로 시행되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릴 것 같습니다. 신부님들께서 무척 바빠지실 것 같군요.
 
베네딕도 교황님께서 교황으로 선출되셨을 때 "이제 카페테리아는 문닫았다"(Cafeteria Is Closed)는 말이 있었는데 그것이 현실로 다가오는 느낌입니다. 공의회 이후 너무 자유분방하다 못해 교회가 일반 사회 친목 단체와 비슷해지는 경향, 교회의 모습이 마치 아무런 부담없이 먹고 마시고 떠드는 카페테리아에 온 듯 변하는 경향을 가리켜 "카페테리아 가톨리시즘"(Cafeteria Catholicism)이라 하더군요.
 
백성일님께서 올려주신 풀톤 쉰 주교님 해설의 미사 동영상 잘 보았습니다. 좀처럼 보기 힘든 역사적 보존 가치가 있는 자료 같습니다. 감동입니다. 감사합니다.
 
'옛 양식'과 '새로운 양식'의 미사가 서로 경쟁적인 갈등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보완해주고 전례 생활을 풍성하게 해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두 가지 양식 모두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재현되는 유효한 미사이니까 이 두 양식을 가지고 편을 가르지는 말아야 될 것 같습니다. 이 두 양식 모두를 전례의 풍요로움의 선물로 받아들이고 서로 화합하는 방향으로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백성일 (2007/04/05) : 두번째 동영상 파일 원본이 필요하시면 클릭하셔서 다운받으세요!
예상 다운로드 시간 : 1시간
 
소순태 (2007/04/06) : 백 형제님께 다시 한 번 더 감사드립니다.


1,615 1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