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시편 제목 중의 코라의 후손들이란? 외 [성경공부_시편] [성경공부_용어]

인쇄

[218.236.113.*]

2008-05-05 ㅣ No.794

질문:

오늘 예수님 승천 대축일과 관련하여 시편47장이 봉독되는데
 
1.  코라후손들이 이 노래를 부르게 된 역사적 배경은 어떤 것이었으며 또 주님승천과 어떤 연관이 있는 것인지.....
     (주님의 승천사건이 구약성서에 이미 예언되어있었다라고 폭넓게 보아도 무리가 없는 것인지....) 
 
2.  제1독서(사도행전1장)에서 테오필로스님, 저는.......이란 구절에서 테오필로스라는 분과 사도행전 저자인것 같은
저라는 분은 누구이신지...언급한 첫번째 책이란 또 어떤것인지 궁금해서...
----------------------------
 
답글:
 
+ 찬미 예수
 
2. 답변하기 쉬운 두 번째 질문부터 먼저 말씀드립니다.
 
첫 번째 책은 볼 것도 없이 루카 복음서입니다. 두 책의 저자는 복음사가 루카입니다.
 
테오필로스는 "하느님께서 사랑하는 자"라는 뜻이라고 하며, 이 자가 누구인지은 알려진 바가 없다고 합니다. 전체로서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가리킬 수 있다고 합니다.
 
출처: 필자의 졸 저서 중에서.
 
---------------------------- 
다시 주신 질문:
 
두번째 궁금증에 대한 답글 감사합니다 루까복음사가는 인터넷을 뒤져보니 바오로사도와 전교수행을 같이하셨다고 나오네요 새로 알게되었습니다. 첫번째 질문..코라의 후손들이 부른 노래라는 것이 시편에 많이 나오는데 그 사람들은 살면서 도대체 어떤 일들을 겪었길래 그런 노래들을 부를수있었습니까?? 그리고 오늘 복음시편은 주님의 승천을 미리 예언한 노래라고 볼수있습니까??
 
----------------------------
 
답글:
 
1-1. 다음은 시편 47,3에 대한 NAB 주석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대괄호 안은 저의 졸번역입니다:
Christian liturgical tradition has applied the verse to the ascension of Christ.
[그리스도교 전례의 전통은 이 구절을 그리스도의 승천에 적용해 왔다].
 
참고: 시편 화답송의 역할 중 하나는, 제1독서의 내용과 복음 말씀 내용을 연결해 주는 연결고리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하십시요.
 
1-2. 다음은 시편 42,1에 대한 NAB 주석입니다. 대괄호 안은 저의 졸번역입니다:
 
The Korahites: a major guild of temple singers (2 Chron 20:19) whose name appears in the superscriptions of Psalm 42; 44-49; 84-85; 87-88.
[코라후손들: 성전 성가대원들의 주된 조직(2역대기 20,19)인데 이들의 이름은 시편 42; 44-49; 84-85; 87-88의 제목에 나타난다.]
 
참고: 2역대기 20,19를 반드시 읽어 보십시요.
 
1-3. 2역대기 20.19 내용에다 추가로 말씀을 드리면, 시편 당시의 성전 성가대원(temple singers)들은 지금으로 치면 부제에 해당하는 직무를 수행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 http://chant.catholic.or.kr/chant/history/h1.html (고대음악: 구약시대 기원전 500년경~ )
 
우리나라 가톨릭 교우님들은 부제(Deacon)에 대하여 잘 모르고 계시지만, 부제는 사제들의 직무를 도우는 가톨릭 교계제도의 말단 직으로서, 결혼도 할 수 있습니다. 즉, Pope(교황)> Bishops(주교) > Priests(사제) > Decons(부제) 가 교계제도의 구조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하십시요.
 
저도 이유는 모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사제가 되기 위하여 신품성사 받으실 분들이 잠깐 부제를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보다는 훨씬 포괄적으로 사제를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이 부제(deacon)직입니다.
 
1-4. 위에서 "guild"를 "조직"으로 번역하였는데, "조합" 혹은 "단체"로 번역하여도 좋을 것입니다. 이 조직은, 예를 들면, 다윗 왕 시절에 성막 안으로 계약의 궤를 운반할 때에 노래를 부른, 성전 음악 담당 레위족 "도제 조직"인 듯 합니다.
 
1-5. 1역대 6,16-32에 대한 NAB 주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괄호 안은 저의 졸번역입니다:
 
The origin of the choir services performed by the levitical families in the postexilic temple at the time of the Chronicler is here attributed to David, somewhat as all the laws in the Pentateuch are attributed to Moses.
[모세 오경에 있는 모든 율법들이 모세에게 돌려지고 있는 정도 만큼, 역대기 저자의 시기에 (바빌론) 유배 이후의 성전에서 레위의 후손 가족들에 의하여 연주된 성가대 봉사의 시초는 이 구절에서 다윗 왕에게 돌려지고 있다.]
 
참고: 1역대기 6,16-32를 또한 읽어 보도록 하십시요. 역대기 저자의 시기는 기원전 5세기 말 쯤이라고 합니다. 이것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6. 1역대기 5,27-6,66에 대한 NAB 주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괄호 안은 저의 졸번역입니다:
 
The tribe of Levi. The list gives special prominence to Levi's son Kohath, from whom were descended both the Aaronite priests (1 Chron 5:26[26-41]) and the leading group of temple singers (1 Chron 6:18-23).
[레위 부족. 이 명단은 레위의 아들인 크핫(Kohath)에게 특벽한 두드러짐을 부여하고 있는데, 그로부터 아론계 사제(Aronite priests)들(1역대기 5,26[26-41])과 성전 성가대원들의 선도 집단(1역대기 6,18-23) 둘 다가 (그의 자손들로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1-7. 1역대기 25,2-31에 대한 NAB 주석에서 발취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괄호 안은 저의 졸번역입니다:
 
This list of twenty-four classes of temple singers balances the list of the twenty-four classes of priests (1 Chron 24:4-19).
[성전 성가대원들에 대한 24 계급의 이 명단은 사제들에 대한 24 계급의 명단(1역대기 24,4-19)와 균형을 이루고 있다.]
 
1-8. 다음의 가톨릭 백과사전 내용을 참고하십시요. [번역 생락]:
 
KORAH
1. Son of Esau and Oholibamah (Genesis 36:5); 2. eponymous head of the clan of Korahites, a guild of Temple musicians (Exodus 6:24). Their name appears at the head of some of the Psalms (Psalms 42); 3. son of Kohath. He led a rebellion against Moses and Aaron, demanding, "Why set yourselves higher than the community of Yahweh?" (Numbers 16:3). Yahweh supported Moses in the confrontation. The ground opened up and swallowed Korah and his company of rebels (Numbers 16:35).
1-9. 탈출기 제6장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6,18) 크핫(Korath)의 아들들은 아므람, 이츠하르(Izhar), 헤브론(Hebron), 우찌엘이다.
(6,21) 이츠하르의 아들들은 코라(Korah), 네펙, 지크리이다. 
(6,24) 코라의 아들들은 아씨르, 엘카나, 아비아삽이다. 이들이 "코라인들의 씨족"(clans of Korahites)이다.
  
1-10. 민수기 3,27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크핫에게는 아므람 씨족, 이츠하르 씨족, 헤브론 씨족, 우찌엘 씨족이 속하였다. 이들이 크핫의 씨족들이다.
 
1-11. 1역대기 2,43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헤브론의 아들은코라(Korah), 타푸아, 레겜, 세마이다.
 
참고: 그러나 그 이후 구약 성경에 헤브론의 아들인 이 코라의 후손들에 대한 직접적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 코라는 친 자식이 없었던 듯 합니다.
 
참고: 예루살렘 출신의 레위의 후손들은 전통적으로 예루살렘 성전에서 사제 직무 혹은 제사장을 보좌하는 직무를 수행하였습니다. 
 
이제 대충 윤곽이 잡힌 것 같습니다:
 
결론: 위의 구약 성경 주석 자료들로부터, 다음과 같이 이해하면 무난할 것 같습니다:
 
레위의 아들인 크핫의 손자로서 이름이 코라(Korah)인, 즉 레위의 증손인 코라와 그에게 딸린 모든 사람과 재산들은 [모세에게 대항하다(민수기 16,1-35)] 하느님의 벌로서 땅이 갈라져 이들을 모두 삼켜 버렸다.
 
참고: 그러나 이 사건이, 이미 분가한 코라의 아들들과 이들의 후손들 또한 코라와 함께 모두 하느님의 벌을 받아 죽었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결혼과 함께 분가하였다면 이미 코라에 딸린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벌을 받지 않은 "코라인들의 씨족들"의 후손들은, 다윗 왕 시절 이후 성전 음악을 담당하는 레위의 후손(1역대기 제15장 전부)들로 이루어진 길드(guild)의 구성원들이었으며, 이들을 포함한 무리들을 두고서 시편 제목들에서 간단하게 "코라의 후손들"이라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 결론 끝.
------------------------
 
참고: 레위(Levi)는 이스라엘 12지파의 아버지인 야곱(Jacob)의 세 번째 아들로서, 그의 아들인 크핫(Korath)을 통한 후손들에 모세(Moses)와 아론(Aaron)이 있다.
 
금송아지 우상 숭배 사건 이후에, 모세 율법에 의하여 대사제들과 대사제 후보자들은 아론의 후손들의 몫, 또 사제들 및 사제들을 도우는 직무는 레위의 나머지 후손들의 몫이 되었다. (탈출기 32,29; 예레미야 34,21-22; 민수기 6,22-27;25,10-13)
 
이것의 근본적 이유는 레위가 그의 여동생과 관련하여 레위와 그 추종자들이 한 잔인한 보복 행위에 대하여 그의 아버지인 야곱(Jacob)이 유언으로 남긴 레위와 그 자손들에 대한 저주 때문인 듯 하며, 다른 지파들과는 달리, 여호수아를 선봉장으로 하여 이스라엘(주: 이스라엘은 야곱에게 하느님께서 내려 주신 이름인데, 통상적으로 야곱의 자손들을 칭하는 표현으로 사용됨.)이 팔레스티나 지억에 정착할 때에도 레위의 후손들에게는 영토 분배가 없었다.
 
레위의 후손들은 주로 예루살렘과 작은 도시들에 거주하였으며 이들 도시들 주변의 땅을 분할받아 경작하였는데, 민수기에 의하면 경작지가 제한되어 있기에 레위의 후손들 사이에소유권 문제가  좀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베들레헴 작은 도시(town)의 이사이(Jesse, 이사이, 이사야)의 아들인 다윗 왕(David)은 아론의 후손(Aaronite)도 아니고 레위의 후손(Levite)도 아니었다.
 


1,634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