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Gospel)은 무엇에 대한 것? 869_tran KH_errors [하늘나라] [하늘나라_번역오류] [하늘나라_개념오류]

인쇄

. [211.58.38.*]

2009-12-04 ㅣ No.887

 
 
+ 찬미 예수님
 
 
1.
세례자 요한에 이어,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공생활의 첫 말씀을
 
"회개하여라,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마태오 복음서 4,17) 하고 선포하기 시작하셨습니다.
 
이 선포를 "새 번역 성경"의 마르코 복음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증거하고 있습니다:
 
요한이 잡힌 뒤에 예수님께서는 갈릴래아에 가시어, 하느님의 복음을 선포하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마르코 복음서 1,14-15)
 
다음은 위의 구절에 대응하는 NAB(New American Bible)의 구절입니다:
 
After John had been arrested, Jesus came to Galilee proclaiming the gospel of God: "This is the time of fulfillment.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Repent, and believe in the gospel." (Mark 1,14-15)
 
위의 영문 표현에서,
 
"the" gospel
 
이라고 표현하였는데, 이것을 살려서 정확하게 이 구절을 우리말로 표현을 하면,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만
 
요한이 잡힌 뒤에 예수님께서는 갈릴래아에 가시어, 하느님의 복음을 다음과 같이 선포하셨다: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 쪽으로(in) 믿어라."
 
(번역 오류) 매우 유감스럽게도 "새 번역 성경"의 마르코 복음서 1,15에 이렇게 번역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1월 27일]
"공동번역성서" 의 마르코 복음서 1,15에서는, 분명히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로 올바르게 그리고 정확하게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어 있습니다. 이 번역 오류가 왜 심각한 번역 오류인지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 [제목: 케리그마 중에서만 오로지 디다케가 가능할 수 있다]제4항을 꼭 읽도록 하십시오:
 
[이상, 내용 추가 끝]
 
2.
따라서 여기 이 구절로부터, 
 
예수님께서 선포하신 복음이
 
바로 "하느님 나라의 도래(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임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Gospel)은 
 
"하느님 나라의 도래"라는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좋은 소식"을 말합니다.
 
 
 
참고 사항:
그리고 이미 여러 번에 걸쳐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하늘 나라(Kingdom of heaven) = 하느님 나라(Kingdom of God)
 
이나,
 
예수 재림의 날까지, 하늘 나라(Kingdom of heaven)는 결코 하늘(heaven, 천당) 아닙니다.
 
참고: 여기(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ingdom_of_heaven.htm)를 클릭하시면, 하늘 나라에 대하여 그동안 올려드린 글들의 목록을 접할 수 있습니다.
 
 
3.
다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바로 "하느님 나라의 도래"임을 밝히는 자료들입니다:
 
3-1.
출처: 다음은 교황청 공인 영어 성경인 NAB(New American Bible, St. Joseph 판)의 부록에 있는 Bible Dictionary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GOSPEL: In Greek, this word signifies good news, and specifically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of God (Heb 4,2; Mt 4,23). St. Paul uses the word to indicate his preaching; later, the same word will be applied to the accounts of Christ's life (1 Cor 9,16; Rom 1,3).
 
복음(GOSPEL):  그리스어로, 이 단어는 좋은 소식(good news)을 의미하며, 그리고 구체적으로 말하면(specifically) 하느님 나라(the kingdom of God)에 대한 좋은 소식(good news)을 말한다(히브리 4,2; 마태오 복음서 4,23).(*1) 성 바오로는 이 단어를 자신의 설교를 가리키기 위하여 사용하며, 그리고 이후로, 같은 단어는 그리스도의 삶에 대한 기록들에 적용될 것이다 (1코린토 9,16; 로마 1,3).(*2)

[내용 추가 일자: 2021년 1월 24일]
-----
(*1)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복음"이라는 용어의 더 자세한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다:

(*2)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에 대한 더 자세한 글[제목: 로마 16,25에서 <내가 전하는 복음으로 곧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선포로> 는 번역 오류 이다; 게시일자: 2020-12-21]을 읽을 수 있다:
-----
[이상, 2021년 1월 24일자 내용 추가 끝]
 
3-2.
출처: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일반 알현(General Audience) 강론 말씀 중에서 발췌하였습니다.
 
The Church Is Revealed in Parables
General Audience, September 18, 1991
 
출처: The Church Is Revealed in Parables (클릭하십시오)
(1991년 9월 18일 General Audience)
 
 
교회는 비유들 안에서 드러나게 됩니다
일반 알현, 1991년 9월 18일
요한 바오로 2세
 
 
The Gospel texts document Jesus' teaching about the kingdom of God in relation to the Church. They also document how the apostles preached this teaching and how it was understood and believed in the early Church. The mystery of the Church as the kingdom of God is revealed in these texts. Vatican II says: "The mystery of the holy Church is manifest in its very foundation. The Lord Jesus set it on its course by preaching the Good News, that i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d, in the works, and in the presence of Christ, this kingdom was clearly open to the view of men" (LG 5). In addition to everything we said in this regard during the preceding catecheses, today we will reflect further on the teaching that Jesus gave about the kingdom of God in his parables, especially in those which are especially concerned about explaining its significance and essential value.
 
복음서 본문들은 교회에 대한 관계 안에서 하느님의 나라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에 대한 사실을 기록한 증거를 제공합니다(document).  이 본문들은 또한 어떻게 사도들이 이 가르침을 설교하였는지 그리고 어떻게 초기 교회 안에서 이해되었으며 그리고 믿게 되었는지에 대한 사실을 기록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하느님의 나라로서의 교회의 신비는 이들 본문들에서 드러나게 됩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거룩한 교회의 신비는 바로 그 기초에 있어 역력합니다. 주님이신 예수님께서는 복음(Good News, 좋은 소식)을, 즉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설교하심으로써 그 과정 중에 교회를 시작하셨습니다. ...  그리스도의 말씀 안에서, 실천들 안에서, 그리고 현존 안에서, 이 나라는 사람들의 시야에 분명하게 개방되어 있었습니다.”(LG 5). 이전의 교리 교육들 내내 이에 관하여 우리가 말하였던 모든 것에 더하여, 오늘 우리는 당신의 비유들 안에서, 특별히 이 나라의 중요성과 핵심 가치를 설명하는 데에 특별히 관련된 비유들 안에서, 하느님 나라에 관하여 예수님께서 주셨던 가르침에 대하여 더 묵상할 것입니다.
 
 
 
3-3.
출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들 중의 4개의 핵심 문헌들 중의 하나인, "인류의 빛 제 5항(LG 5)
 
(영어본)
5. The mystery of the holy Church is manifest in its very foundation. The Lord Jesus set it on its course by preaching the Good News, that i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which, for centuries, had been promised in the Scriptures: "The time is fulfilled, and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18). In the word, in the works, and in the presence of Christ, this kingdom was clearly open to the view of men. The Word of the Lord is compared to a seed which is sown in a field;(19) those who hear the Word with faith and become part of the little flock of Christ,(20) have received the Kingdom itself. Then, by its own power the seed sprouts and grows until harvest time.(21) The Miracles of Jesus also confirm that the Kingdom has already arrived on earth: "If I cast out devils by the finger of God, then the kingdom of God has come upon you".(22) Before all things, however, the Kingdom is clearly visible in the very Person of Christ, the Son of God and the Son of Man, who came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23)
 

(라틴어본)
5. Ecclesiae sanctae mysterium in eiusdem fundatione manifestatur. Dominus enim Iesus Ecclesiae suae initium fecit praedicando faustum nuntium, adventum scilicet Regni Dei a saeculis in Scripturis promissi: "Quoniam impletum est tempus, et appropinquavit regnum Dei" (Mc 1,15; cf. Mt 4,17). Hoc vero regnum in verbo, operibus et praesentia Christi hominibus elucescit. Verbum nempe Domini comparatur semini, quod in agro seminatur (cf. Mc 4,14): qui illud cum fide audiunt et Christi pusillo gregi (cf. Lc 12,32) adnumerantur, regnum ipsum susceperunt; propria dein virtute semen germinat et increscit usque ad tempus messis (cf. Mc 4,26-29). Miracula etiam Iesu Regnum iam in terris pervenisse comprobant: "Si in digito Dei eicio daemonia, profecto pervenit in vos Regnum Dei" (Lc 11,20; cf. Mt 12,28). Ante omnia tamen Regnum manifestatur in ipsa Persona Christi, Filii Dei et Filii hominis, qui venit "ut ministraret et daret animam suam redemptionem pro multis" (Mc 10,45).

 

(이탈리아어본)
5. Il mistero della santa Chiesa si manifesta nella sua stessa fondazione. Il Signore Gesù, infatti, diede inizio ad essa predicando la buona novella, cioè l'avvento del regno di Dio da secoli promesso nella Scrittura: « Poiché il tempo è compiuto, e vicino è il regno di Dio » (Mc 1,15; cfr. Mt 4,17). Questo regno si manifesta chiaramente agli uomini nelle parole, nelle opere e nella presenza di Cristo. La parola del Signore è paragonata appunto al seme che viene seminato nel campo (cfr. Mc 4,14): quelli che lo ascoltano con fede e appartengono al piccolo gregge di Cristo (cfr. Lc 12,32), hanno accolto il regno stesso di Dio; poi il seme per virtù propria germoglia e cresce fino al tempo del raccolto (cfr. Mc 4,26-29). Anche i miracoli di Gesù provano che il regno è arrivato sulla terra: « Se con il dito di Dio io scaccio i demoni, allora è già pervenuto tra voi il regno di Dio » (Lc 11,20; cfr. Mt 12,28). Ma innanzi tutto il regno si manifesta nella stessa persona di Cristo, figlio di Dio e figlio dell'uomo, il quale è venuto « a servire, e a dare la sua vita in riscatto per i molti » (Mc 10,45). Quando poi Gesù, dopo aver sofferto la morte in croce per gli uomini, risorse, apparve quale Signore e messia e sacerdote in eterno (cfr. At 2,36; Eb 5,6; 7,17-21), ed effuse sui suoi discepoli lo Spirito promesso dal Padre (cfr. At 2,33). La Chiesa perciò, fornita dei doni del suo fondatore e osservando fedelmente i suoi precetti di carità, umiltà e abnegazione, riceve la missione di annunziare e instaurare in tutte le genti il regno di Cristo e di Dio, e di questo regno costituisce in terra il germe e l'inizio. Intanto, mentre va lentamente crescendo, anela al regno perfetto e con tutte le sue forze spera e brama di unirsi col suo re nella gloria.

 

(프랑스어본)
5. Le mystère de la sainte Eglise se manifeste dans sa fondation. Le Seigneur Jésus, en effet, inaugura son Eglise en prêchant la bonne nouvelle, c'est-à-dire la venue du Royaume de Dieu promis depuis des siècles dans les Écritures: "Les temps sont accomplis, le Royaume de Dieu est proche" (Me 1, 15; cf. Mt. 4, 17). Ce Royaume de Dieu, il apparaît aux hommes dans la parole, les oeuvres et la présence du Christ. La parole du Seigneur est comparée au grain semé dans un champ (Mc 4, 14): ceux qui l'écoutent avec foi et s'agrègent au petit troupeau du Christ (Lc 12, 32) ont accueilli le Royaume lui-même. Puis la semence, par sa propre force, germe et se développe jusqu'au temps de la moisson (cf. Mc 4, 26-29). De même les miracles de Jésus sont une preuve que le Royaume est véritablement venu sur terre: "Si c'est par le doigt de Dieu que je chasse les démons, il est déjà venu à vous, le Royaume de Dieu" (Lc 11, 20; cf. Mt. 12, 28). Mais, avant tout, le Royaume se manifeste dans la Personne même du Christ, Fils de Dieu et Fils de l'homme, qui est venu "pour servir et donner sa vie comme rançon d'un grand nombre" (Mc 10. 45).
 
(스페인어본)
5. El misterio de la santa Iglesia se manifiesta en su fundación. Pues nuestro Señor Jesús dio comienzo a su Iglesia predicando la buena nueva, es decir, el Reino de Dios, prometido muchos siglos antes en las Escrituras: "Porque el tiempo está cumplido, y se acercó el Reino de Dios" (Mc., 1,15; cf. Mt., 4,17). Ahora bien, este Reino comienza a manifestarse como una luz delante de los hombres, por la palabra, por las obras y por la presencia de Cristo. La palabra de Dios se compara a una semilla, depositada en el campo (Mc., 4,14): quienes la reciben con fidelidad y se unen a la pequeña grey (Lc., 12,32) de Cristo, recibieron el Reino; la semilla va germinando poco a poco por su vigor interno, y va creciendo hasta el tiempo de la siega (cf. Mc., 4,26-29). Los milagros, por su parte, prueban que el Reino de Jesús ya vino sobre la tierra: "Si expulso los demonios por el dedo de Dios, sin duda que el Reino de Dios ha llegado a vosotros" (Lc., 11,20; cf. Mt., 12,28). Pero, sobre todo, el Reino se manifiesta en la Persona del mismo Cristo, Hijo del Hombre, que vino "a servir, y a dar su vida para redención de muchos" (Mc., 10,45).
 
 

Pero habiendo resucitado Jesús, después de morir en la cruz por los hombres, apareció constituido para siempre como Señor, como Cristo y como Sacerdote (cf. Act., 2,36; Hebr., 5,6; 7,17-21), y derramó en sus discípulos el Espíritu prometido por el Padre (cf. Act., 2,33). Por eso la Iglesia, enriquecida con los dones de su Fundador, observando fielmente sus preceptos de caridad, de humildad y de abnegación, recibe la misión de anunciar el Reino de Cristo y de Dios, de establecerlo en medio de todas las gentes, y constituye en la tierra el germen y el principio de este Reino. Ella en tanto, mientras va creciendo poco a poco, anhela el Reino consumado, espera con todas sus fuerzas,y desea ardientemente unirse con su Rey en la gloria.

 
(우리말본)
5. 거룩한 교회의 신비는 그 창립에서 드러난다. 주 예수님께서는“때가 다 되어 하느님의 나라가 다가왔다.” (마르 1,15; 마태4,17 참조) 하시며 오래 전부터 성서에서 약속된 하느님의 나라가 다가왔다기쁜 소식을 선포하심으로써 당신 교회를 시작하셨던것이다. 이 나라는 그리스도의 말씀과 활동과 현존 안에서 사람들에게 빛나기 시작한다. 곧 주님의 말씀은 밭에 심은 씨앗과 비슷하여(마르 4,14 참조), 그 말씀을 믿음으로 듣고 그리스도의 작은 양 떼에(루가 12,32 참조) 들게 된 사람들이 하느님의 나라를받아들인 것이며, 그런 다음에 씨앗은 저절로 싹이 터 수확 때까지 자라난다(마르 4,26-29 참조). 예수님의 기적들 또한 그 나라가 이미 지상에 와 있음을 증명하여 준다. “나는 하느님의 능력으로 마귀를 쫓아 내고 있다. 그렇다면 하느님의 나라는 이미 너희에게 와 있는 것이다” (루가 11,20; 마태 12,28 참조) . 그러나 모든 것에 앞서, 하느님의 나라는 바로 그리스도 자신에게서 드러난다.하느님의 아들이시며 사람의 아들이신 그리스도께서는“사람들을 섬기러 오셨고 또 목숨을 바쳐 많은 사람을 구원하러 오셨다” (마르 10,45 참조) . 예수님께서는 사람들을 위하여 십자가에서 돌아가셨다가 부활하셨을 때에 주님으로서 또 그리스도로서 그리고 영원한 사제로서 나타나셨으며(사도 2,36; 히브 5,6; 7,17-21 참조), 성부께서 약속하신 성령을 당신 제자들에게 부어 주셨다(사도 2,33 참조). 그러므로 교회는 그 창립자의 은혜를 받아 사랑과 겸손과 극기의계명을 충실히 지키며, 하느님과 그리스도의 나라를 선포하고 모든 민족 가운데에 이 나라를 세울 사명을 받았으며 또 지상에서이 나라의 싹과 시작이 된 것이다. 교회는 조금씩 자라나는 동안하느님 나라의 완성을 위하여 분투하며, 온 힘을 다하여 자기 임금님과 영광스럽게 결합되기를 바라고 갈망한다.
 
번역 누락 한 개: 그런데, 색깔을 입힌 구절에 대한 위의 우리말 번역은, 이탈리아어 번역, 스페인어 번역,프랑스어 번역 및 영어 번역과 꼭 같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라틴어 표현인 "scilicet(of course, certainly, evidently, one may know)" 을 프랑스어 번역본 및 영어 번역본에서는 "cioè = es decir = c'est-à-dire = that is = 즉" 이라는 표현으로 번역을 하였으나, 우리말로는 이 표현이 아예 번역이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번역 누락이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현재의 우리말본 LG 제5항의 번역인,
 
하느님의 나라가 다가왔다기쁜 소식을 선포하심으로써 당신 교회를 시작하셨던것이다.
 
보다는,
 
복음을, 즉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설교하심으로써 당신 교회를 시작하셨던것이다.
 
혹은
 
복음(Good News, 좋은 소식)을, 즉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설교하심으로써 그 과정 중에 교회를 시작하셨습니다.
 
라고 번역하는 것이 훨씬 더 라틴어 원문 및 다른 구라파언어 본 번역문에 충실한 우리말 번역임을 확신합니다.
 

만약에 이 표현이 우리말 본에 제대로 잘 번역이 되어 그 위치에 제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더라면, 국내의 교우님들께서도 구라파 및 미국의 가톨릭 교우님들과 마찬가지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즉, 좋은 소식)"이 바로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말하는 것임을 즉시 쉽게 알 수 있었을 것인데, 매우 유감스럽게도 이 표현이 우리말 번역본에 없었던 관계로, 이 중요한 사실을 알래야 알 수가 없었다는 생각입니다.
 
번역 오류 한 개: 그런데 다른 한 편으로, 다음의 글을 읽어 보시면,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816항에서는, 정작에 라틴어본, 프랑스어본, 영어본 등의 제2816항에는 없는 "도(also 혹은 as well)"를 번역 과정에서 추가하여, 결국에 국내의 교우님들로 하여금, 하늘 나라, 즉 하느님의 나라가 교회 밖의 다른 곳에도 있는 듯한 추측을 하도록 만드는데, 이러한 의역 번역은, 위에 지적한 번역 누락보다도 훨씬 더 심각한 착각을 하게 하는, 매우 중대한 번역 오류라는 생각입니다.
 
게시자 주: 위의 두 문헌들의 번역에 임하셨던 분들께서 매우 수고를 하셨으나, 이분들께서 하늘 나라(kingdom of heaven)과 하늘(heaven, 천당)이 예수 재림의 날까지는 구분되는 개념임을 사전에 알지 못하였던 것이, 이러한 번역 누락/오류의 뿌리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4.
그런데 예수님께서 그 도래를 선포하신 이 "하느님 나라"가 심지어 구약 성경의 마지막 예언자인 세례자 요한이 외친 "하느님 나라"와 다르다고 NAB 주석은 언급하고 있는데, 예수님께서 그 도래를 선포하신 "하느님 나라" 즉 "하늘 나라"는, 당시의 유다인들에게 상당히 생소하였을 것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다음은 마태오 복음서 3,2 및 이 구절에 대한 NAB 주석입니다. 파란색칠한 부분을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Repent, for the kingdom of heaven is at hand!" (마태오 복음서 3,2). 
 
Repent: the Baptist calls for a change of heart and conduct, a turning of one's life from rebellion to obedience towards God.
 
The kingdom of heaven is at hand: "heaven" (literally, "the heavens") is a substitute for the name "God" that was avoided by devout Jews of the time out of reverence. The expression "the kingdom of heaven" occurs only in the gospel of Matthew. It means the effective rule of God over his people. In its fullness it includes not only human obedience to God's word, but the triumph of God over physical evils, supremely over death. In the expectation found in Jewish apocalyptic, the kingdom was to be ushered in by a judgment in which sinners would be condemned and perish, an expectation shared by the Baptist. This was modified in Christian understanding where the kingdom was seen as being established in stages, culminating with the parousia of Jesus.

회개하라: 세례자 요한은, 하느님을 향한 저항으로부터 복종으로 각자의 삶의 선회인, 마음과 처신의 변화를 요청한다.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하늘(heaven)"[글자 그대로, "하늘들(the heavens)"]은 공경심 때문에 당시의 신심깊은 유다인들에 의하여 회피되었던 "하느님"이라는 이름에 대한 대용어이다. "하늘 나라라는 표현은 오로지 마태오 복음서에만 나타난다. 이것은 당신 백성에 대한 하느님의 유효한 통치를 뜻한다. 때가 찼을 때에 이 통치는 하느님의 말씀에 대한 인간의 복종뿐만이 아니라, 또한 형이하학적 악들에 대한, 궁극적으로 죽음에 대한, 하느님의 승리를 포한한다. 유다인들의 종말론적 사조에서 발견되는 예상에 있어, 이 나라는 죄인들이 단죄받아 소멸될 것이라는 심판에 의하여 그 시작이 알려질 예정이었으며, 이것은 세례자 요한에 의하여 함께 공유되었던 예상이었다. (그러나) 이 예상은, 하늘 나라가 단계적으로 건설될 것으로, 그리하여 예수님의 재림과 함께 절정에 다다르게 될 것으로, 그리스도인들의 이해 안에서 수정되었다.
 
5.
여기를 클릭하시면,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에 실린 복음에 대한 설명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및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활 동안의 활약 및 당신의 수난, 십자가 위에서의 죽으심, 부활, 승천 및 성령 강림 등 등을 전하는 사도들의 증언 및 가르침들도 또한 복음으로 불린다는 내용의 글인데, 결국에 신약 성경에 실린 복음의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인 "하느님 나라의 도래"에 관한 것입니다.
 
6.
그러나 그동안 제가 말씀을 나눈 바에 의하면 대부분의 국내의 교우님들이 매우 유감스럽게도, "천당(heaven, 하늘)"을 "하늘 나라(Kingdom of heaven)"와 동일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듯하며, 만약에 이러하다면 당연한 결과로서 "하늘 나라"가 가톨릭 교회임을 도저히 인식할 수 없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있어, 대다수의 국내의 교우님들께서 예수님의 복음(Gospel), 즉 "하늘 나라의 도래" 그리고 "하늘 나라"에 대하여 그동안 어떻게 이해해 왔는지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즉, 예수님의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하였던 당시의 유다인들과 국내의 교우님들의 사이에, 평소의 신앙생활과 내세관에 있어, 어떠한 차이점들이 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글쓴이: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5시간
 


1,627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