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현대 가톨릭 사전(Modern Catholic Dictionary) 안내 969_토미즘학습 [성경용어_사전] [교리용어_사전]

인쇄

2011-08-18 [39.118.118.*]

2012-12-30 ㅣ No.1316

 


참고 사항 한 개:

혹시 독자들이 가질 수 있는 의심을 불식시키기 위하여:
 
이런 안내의 글 마저도 제가 우리말로 번역까지 하면서 마련해 드려야 하는 현실이, 저에게는 참으로 큰 고통이며 그리고 커다란 슬픔입니다. 왜냐하면 어떤 분이, 가톨릭 신학적으로 확실히 신뢰할 수 있는 영문 문헌/자료들에 근거하여 그리고 그 출처들을 다 밝히면서 제가 마련해드려 왔던 "가톨릭 보편 교회의 가르침들에 대한 단순 전달성 글/정보들"에 대하여, "그 정보의 신뢰성은 누가 보증할 수 있는지요?" 하면서, 납득할 수 없는, 강한 의심을 하더군요.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 및 그 저자에 대한 안내입니다: 
 
(A)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 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술들, 특히 신학 대전을 읽고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용어들에 대한 설명들이 주어진, 대단히 우수한 영어 가톨릭 용어 사전 입니다.

 

이에 관하여서는, 여기를 클릭하여, 이 용어 사전의  Guide를, 특히 제일 마지막 부분에 주어진, 다음의 설명을 참고하십시오:

 

(발췌 시작)
Scholastic Philosophy and Theology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certain basic terms from scholastic philosophy and theology. These terms are the backbone, as it were, of the Church’s official teaching of faith and morals.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Catholic church in her own deepest understanding of herself without some familiarity with this language of scholastic thought.

 

스콜라 철학 및 신학

 

특별한 배려가 스콜라 철학 및 신학에서 유래하는 다소의(certain) 기본적 용어들에 기울여졌습니다. 이들 용어들은, 말하자면, 신앙(faith)과 윤리(morals)들에 대한 교회의 공식적 가르침의 중추(中樞, backbone)입니다. 스콜라 철학적 사고(scholastic thought)에 기인하는 이러한 언어와의 상당한(some) 친숙 없이 교회 자신에 대한 교회 고유의 가장 깊은 이해 안에서 가톨릭 교회를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상, 발췌 끝).

(B) Modern Catholic Dictionary는 예수회 소속 신부이며, 신학자, 저술가, 하느님의 종인, John A. S. A. Hardon, S.J., Ph.D. (1914-2000년)에 의하여 마련된 현대 가톨릭 용어 사전입니다. 다음은, 이 신부님에 대한 간략한 소개의 글입니다:
 
 
Father Hardon was a very prominent member of the Jesuit community, which is known for its academic rigor, and wrote dozens of books on religion and theology, including: The Catholic Catechism (1975), a defining volume of Catholic orthodoxy; and the Modern Catholic Dictionary(1980), the first major Catholic reference dictionary published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1962–1965). Hardon was also a major contributor to Catholic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was executive editor of The Catholic Faith magazine. Hardon had a close working relationship with Pope Paul VI, engaging in several initiatives at the Pope's request, including his authoring of The Catholic Catechism.
 
Hardon 신부는, 그 학문적 엄격함으로 알려진, 예수회 공동체의 매우 저명한 구성원이었으며, 그리고, 다음의 책들을 포함하여, 종교와 신학에 대한 수십 권의 책들을 저술하였다: 가톨릭 정통성을 정의하는 책인 가톨릭 교리서(The Catholic Catechism, 1975), 그리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 이후에 출판된 첫 번째 주된 가톨릭 참고 사전인 현대 가톨릭 사전(Modern Catholic Dictionary, 1980). Hardon 신부는 또한 가톨릭 신문들 및 잡지들에 주된 기고자였으며 그리고 The Catholic Faith 잡지(주: 클릭하여 또한 이 잡지에 대한 안내를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의 주필(executive editor)이었다. Hardon 신부는, 교황 바오로 6세와 가까운 실무적 관계를 가졌는데, 그리하여 그는, 자신의 가톨릭 교리서(The Catholic Catechism)의 저술 작업을 포함하여, 이 교황의 요청에 따른 여러가지 계획들에 관여하였다.  
 
Father Hardon's Catholic Catechism was a significant post–Vatican II work in the sense that it essentially brought modern Catholic teaching and faith into one book, unlike any other before, and was a precursor to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which is the official codified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promulgated by Pope John Paul II in 1992. Hardon served as a consultant for the drafting of that document.
 
Hardon 신부의 가톨릭 교리서는, 이 책이, 이전의 다른 책들과은 달리, 본질적으로 현대 가톨릭 가르침과 믿음을 한 권의 책으로 탄생시켰다는 점에 있어, 하나의 괄목할만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저술이며, 그리고 이 책은, 1992년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하여 공표된, 가톨릭 교회의 공식의 성문화된 가르침(official codified teaching)인, 가톨릭 교회 교리서(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에 대한 한 선행물(a precursor)이었다. Hardon 신부는 바로 이 문헌(즉,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기초를 위한 한 명의 자문 위원으로서 봉사하였다.
 
(C) 또한 여기를 클릭하여, Hardon Archives 제공의 Hadon 신부님에 대한 간략한 안내의 글도 또한 참고하십시오.
 
(D)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굿뉴스 서버 제공의 가톨릭 대사전 [제공처: 한국교회사연구소] 등에서의 용어 설명에서 Modern Catholic Dictionary[참고 문헌]으로 인용하고 있는 약100건(주: 2019년 12월 28일자 마지막 확인) 대하여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상, Modern Catholic Dictionary 및 그 저자에 대한 안내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600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